KR100609429B1 - 자동차용 점화코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점화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429B1
KR100609429B1 KR1020010030441A KR20010030441A KR100609429B1 KR 100609429 B1 KR100609429 B1 KR 100609429B1 KR 1020010030441 A KR1020010030441 A KR 1020010030441A KR 20010030441 A KR20010030441 A KR 20010030441A KR 100609429 B1 KR100609429 B1 KR 100609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ode
ignition coil
wire portion
high voltag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0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0161A (ko
Inventor
지오르지오 베르나디
구알디그라지아노
리히로베르토
Original Assignee
페더럴-모걸 이그니션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더럴-모걸 이그니션 에스알엘 filed Critical 페더럴-모걸 이그니션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010110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2Other installations having inductive energy storage, e.g. arrangements of induction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차용 점화코일은, 길이가 긴 형상의 자성코아(12)와, 이 자성코아(12)에 동심적으로 설치되어 저전압코일(22)을 지지하는 1차스풀(20)과 고전압코일(18)을 각각 지지하는 2차스풀(16), 한쪽 끝은 고전압콘넥터(30)로 연결되고 다른쪽 끝은 점화플러그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원통형상 외부케이싱(24), 상기 2차스풀(16)의 한쪽 끝에 설치되고서 상기 고압코일(18)의 한쪽 끝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전선부(44)와 상기 고압콘넥터(30)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전선부(46)를 가진 다이오드(42) 및, 이 다이오드(42)를 보유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58, 60)과 상기 2차스풀(16)의 끝에 연결되도록 하는 스냅식 연결수단(52)을 가진 다이오드지지부재(48)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점화코일 {Ignition coil for motor vehicle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점화코일의 종단면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점화코일의 일부가 절개된 상태를 화살표 Ⅱ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3은 도1에서 화살표 Ⅲ으로 지시된 일부가 절개된 부분의 종단면도,
도4는 도3에서 화살표 Ⅳ를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에 쓰이는 점화플러그를 갖도록 된 내연기관용 점화코일에 관한 것으로, 다이오드가 특이하게 구성된 다이오드지지부재에 의해 보유지지되도록 구성된 점화코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쓰이는 종래의 점화코일은 길이가 긴 형상을 하고서 대응하는 점화플러그의 끝에 직접 장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점화코일은, 길이가 긴 형상을 한 자성코아와, 이 자성코아에 동심적으로 설치되고서 저전압코일을 지지하는 1차스풀 및, 고전압코일을 지지하는 2차스풀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상기 1차스풀과 2차스풀 및 자성코아는 모두 동축형상(同軸形狀)을 하고서 길이가 긴 원통형상의 케이싱내에 수납되어, 한쪽 끝이 저전압콘넥터로 연결되는 한편 다른쪽 끝은 점화플러그와 연결되는 고전압콘넥터를 갖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점화코일은 일반적으로 고전압코일의 한쪽 끝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선부와 점화코일의 고전압콘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선부를 가진 다이오드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점화코일을 조립하는 공정에서 가장 어려운 작업으로는 상기 다이오드를 점화코일의 다른 구성부재에다 연결하는 작업으로서, 그 중 특히 다이오드의 전선부와 고전압콘넥터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이 큰 문제로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점화코일에서 다이오드의 전선부를 고전압콘넥터에다 연결함에 있어, 종래의 연결방법에서 문제로 되고 있던 것을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연결수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점화코일은, 길이가 긴 형상의 자성코아와, 이 자성코아에 동심적으로 설치되고서 저전압코일을 지지하는 1차스풀과 고전압코일을 지지하는 2차스풀, 한쪽 끝은 고전압콘넥터로 연결되고 다른쪽 끝은 점화플러그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원통형상을 한 외부케이싱 및, 상기 2차스풀의 한쪽 끝에 설치되고서 상기 고전압코일의 한쪽 끝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전선부와 상기 고전압콘넥터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전선부를 가진 다이오드(42)를 갖추어 이루어진 자동차용 점화코일에서, 상기 다이오드를 보유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과 상기 2차스풀의 끝에 연결되도록 하는 스냅식 연결수단을 가진 다이오드지지부재가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실 시 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서 참조부호 10은 자동차에 쓰이는 점화플러그를 가진 내연기관용 점화코일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점화코일(10)은 그 자체의 명칭으로도 알 수 있듯이 높은 자성을 띤 물질로 만들어진 판상체가 적층되어 구성된 자성코아(12)를 가진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적층식 자성코아(12)는 길다란 원통형상을 이루어 2차스풀(16)의 원통형상 공간(14)에 내장되고서 외주에 고전압코일(18)이 감겨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2차스풀(16)이 저전압코일(22)이 감겨지는 1차스풀(20)내에 설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 1차스풀(20)과 2차스풀(16) 및 자성코아(12)가 결합된 조립체는 외부케이싱(24)내에 삽입되는 바, 이 조립체의 외주면에는 금속재질로 된 시이트(26)가 1층 이상 감겨져 자력선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덮개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상기 외부케이싱(24)내에 점화코일을 이루는 여러 가지 구성부재가 결합된 조립체가 삽입된 후에는, 상기 외부케이싱(24)의 내부가 종래와 같이 예컨대 에폭시수지와 같은 충전제로 채워지게 된다.
상기 점화코일(10)은 외부케이싱(24)의 양쪽 끝에 저전압콘넥터(28)와 고전압콘넥터(30)를 갖도록 되어 있다. 또, 도1 ~ 도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고전압콘넥터(30)는 그 중앙에 상기 외부케이싱(24)의 한쪽 끝에 고정시켜진 금속단자(32)를 갖도록 되어 있는 바, 이 금속단자(32)에는 점화코일(10)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뻗은 관통구멍(34)과, 상부에 자동차용 점화플러그(도시되지 않음)의 상단부와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금속제 연결소자가 고정되는 돌출부(36)를 갖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상 외부케이싱(24)의 끝에는 탄성재질 등으로 만들어진 캡(40)이 씌워지게 되는 바, 이 캡(40)은 고전압콘넥터(30)를 에워싸면서 점화플러그의 축부재에 맞춰지는 원통부를 갖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1 ~ 도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2차스풀(16)의 끝부분은 1차스풀(20) 보다 좀 더 밑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2차스풀(16)의 돌출단부에 상기 고전압코일(18)의 한쪽 끝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전선부(44)와 상기 고전압콘넥터(30)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전선부(46)를 가진 다이오드(42)가 설치되게 된다.
도3 및 도4에서 보면, 상기 다이오드(42)는 사출성형된 플라스틱제 다이오드지지부재(48)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바, 이 다이오드지지부재(48)는 상기 2차스 풀(16)의 끝부분에 형성된 원형의 시이트(54)에 스냅(snap)식으로 걸려져 결합되는 걸림편(52)을 가진 원반형 기부(基部)를 갖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다이오드(42)의 상기 전선부(44, 46)는 가공되지 않았을 때에는 도4에 점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다이오드(42)의 양쪽 끝에서 직선적으로 뻗는 형태를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전선부(44)는 상기 기부(50)의 작은직경부(56) 일부에 이 기부(50)와 나란하도록 형성된 평면에 대해 굽혀지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제1전선부(44)는 상기 기부(50)와 일체가 되도록 형성된 제1받침부(58)의 둘레를 따라 굽혀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작은직경부(56)에 대해 제1전선부(44)가 굽혀지도록 하는 것은, 다이오드(42)가 기부(50)에 받쳐지도록 함과 더불어 제1전선부(44)를 점화코일(10)의 외주면에서 직경방향으로 떨어져 간격이 만들어지게 해서, 저전압코일과 외부환경(점화플러그 등) 사이에서 전기가 누설될 위험이 줄어들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 다이오드(42)의 제2전선부(46)는 상기 기부(50)의 평면에 대해 수직방향 평면에서 상기 기부(50)와 일체로 형성된 제2받침부(60)의 둘레를 따라 굽혀지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상기 제1, 제2전선부(44, 46)가 각각 제1, 제2받침부(58, 60) 둘레에서 받쳐지게 됨으로써, 다이오드(42)가 다이오드지지부재(48)에 확실하게 고정시켜질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다이오드지지부재(48)에는 점화코일(10)의 축선과 나란한 직선위치에 상기 제2전선부(46)의 직선연장부를 잡는 시이트(64)가 일체로 구성된 아암(62)을 갖도록 되어 있다. 즉,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아암(62)이 제2전선부(46)가 금속단자(32)의 구멍(34)과 나란히 뻗은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이 제2전선부(46)가 금속단자(32)의 구멍(34)속으로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아암(62)을 갖지 않도록 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에는 상기 구멍(34)의 상단부를 상기 제2전선부(46)가 구멍(34)속으로 쉽게 끼워지도록 하는 도입부가 형성된 곡면부와 연락되도록 한다.
이렇게 해서 다이오드(42)의 제2전선부(46)가 금속단자(32)의 구멍(34)에 끼워지고 난 후에는, 금속단자(32)를 제2전선부(46)에 대해 직경방향으로 변형시키게 되는 바, 이는 전기적으로 접속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충전되는 수지가 부어지는 동안 밀봉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 다이오드지지부재(48)는 점화코일을 조립하기 쉽도록 하는 역할도 하게 되는 바, 즉 2개의 스풀(16, 20)이 축선을 중심으로 한 동심적인 위치와 길이방향 위치 및 외부케이싱(24)에 대한 자성코아(12)의 위치가 확보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립 후의 형태가 균일해지게 됨과 더불어, 점화코일을 구성하는 부재들 사이가 잘못 정렬되어 충전물질의 두께가 얇아져 고압코일 사이나 점화코일 밖으로 전기가 누설되는 일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이오드의 제2전선부를 금속단자가 잡아 밀봉상태를 이룸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확실한 접속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예컨대 납땜과 같은 복잡한 용접작업이 추가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용접에 필요한 재료가 소요되지도 않아, 제조공정이 간단해져 제조비용을 줄일 수가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점화코일에 다이오드지지부재가 설치되어, 2개의 스풀이 축선을 중심으로 한 동심적인 위치와 길이방향 위치 및 외부케이싱에 대한 자성코아의 위치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 후의 형태가 균일해지게 됨과 더불어, 점화코일을 구성하는 부재들 사이가 잘못 정렬되어 충전물질의 두께가 얇아져 고압코일 사이나 점화코일 밖으로 전기가 누설되는 일이 줄어들고, 다이오드의 제2전선부를 금속단자가 잡아 밀봉상태를 이룸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확실한 접속상태를 이루어, 납땜과 같은 복잡한 용접작업이 추가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용접에 필요한 재료도 소요되지 않아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길이가 긴 형상의 자성코아(12)와, 이 자성코아(12)에 동심적으로 설치되어 저전압코일(22)을 지지하는 1차스풀(20)과 고전압코일(18)을 지지하는 2차스풀(16), 한쪽 끝은 고전압콘넥터(30)로 연결되고 다른쪽 끝은 점화플러그로 연결되는 원통형상의 외부케이싱(24), 상기 2차스풀(16)의 한쪽 끝에 설치되고서 상기 고전압코일(18)의 한쪽 끝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전선부(44)와 상기 고전압콘넥터(30)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전선부(46)를 가진 다이오드(42), 및 다이오드(42)를 보유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58, 60)을 구비한 다이오드지지부재(48)를 갖추어 이루어진 자동차용 점화코일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지지부재(48)는 상기 2차스풀(16)의 끝에 연결되도록 하는 스냅식 연결수단(52)을 구비하고, 상기 다이오드(42)의 제1, 제2전선부(44, 46)가, 다이오드(42)가 보유지지하기 위한 걸림부로서 상기 다이오드지지부재(48)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수단(58, 60)에 걸려지도록 굽혀져 있으며, 상기 다이오드지지부재(48)에, 상기 제2전선부(46)의 한쪽끝 직선부를 점화코일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유지하도록 하는 아암(62)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점화코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선부(44)가 상기 다이오드지지부재(48)의 원반형상 기부(50)의 직경이 줄여진 작은직경부(56)에 대해 굽혀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점화코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선부(46)의 직선부분이 금속단자(32)의 구멍(34)속으로 들어가 이 제2전선부(46)에 대해 상기 금속단자(32)의 원통형상부(36)가 반경방향으로 변형되어 내부에 충전된 수지에 의해 금속단자(32)와 연결된 상태가 고정시켜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점화코일.
KR1020010030441A 2000-06-06 2001-05-31 자동차용 점화코일 KR1006094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830405.7 2000-06-06
EP00830405A EP1162366A1 (en) 2000-06-06 2000-06-06 Ignition coil for motor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161A KR20010110161A (ko) 2001-12-12
KR100609429B1 true KR100609429B1 (ko) 2006-08-09

Family

ID=8175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0441A KR100609429B1 (ko) 2000-06-06 2001-05-31 자동차용 점화코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36138B2 (ko)
EP (1) EP1162366A1 (ko)
KR (1) KR100609429B1 (ko)
BR (1) BR0102272A (ko)
CZ (1) CZ20011954A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946B1 (ko) * 2007-04-26 2008-04-28 주식회사 유라테크 내연기관용 점화코일
US7969268B2 (en) * 2008-08-15 2011-06-28 Federal Mogul Ignition Company Ignition coil with spaced secondary sector windings
DE102017116277B4 (de) 2016-07-21 2023-06-22 Borgwarner Ludwigsburg Gmbh Zündspul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Zündspu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52454A (en) * 1990-12-27 1992-08-05 Magneti Marelli Spa Ignition coi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9623399A1 (de) * 1996-06-12 1998-01-02 Bremicker Auto Elektrik Zündung für Brennkraftmaschin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3955B2 (ja) * 1993-07-09 2003-01-08 三菱電機株式会社 点火コイル
IT1260977B (it) * 1993-08-10 1996-04-29 Magneti Marelli Spa Bobina di accensione ad ingombro trasversale ridotto.
JP3727764B2 (ja) * 1997-09-30 2005-12-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ンジン用点火コイ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52454A (en) * 1990-12-27 1992-08-05 Magneti Marelli Spa Ignition coi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9623399A1 (de) * 1996-06-12 1998-01-02 Bremicker Auto Elektrik Zündung für Brennkraftmaschi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36138B2 (en) 2003-10-21
US20010050604A1 (en) 2001-12-13
EP1162366A1 (en) 2001-12-12
BR0102272A (pt) 2002-02-19
CZ20011954A3 (cs) 2002-01-16
KR20010110161A (ko) 200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9320A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5018319B2 (ja) 点火コイル
US6011457A (en) Engine igniting coil device
KR100271728B1 (ko) 코일선재와 리드선의 접속구조
CN101055794B (zh) 点火线圈
JPH0666240A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US6836203B2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1023840A (ja) 点火コイル
KR100609429B1 (ko) 자동차용 점화코일
US5714922A (en) Ignition coi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3129714A (ja) 自動車の内燃エンジン用点火コイルの2次部材の中に1次部材を装着する装置
JP5847112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3456152B2 (ja) 点火コイル
US5041807A (en) High tension connection for an ignition coil, in particula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an automotive vehicle
JP5458962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629983B2 (ja) 点火コイル
KR100609428B1 (ko) 자동차용 점화코일
JP3783957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2009135438A (ja) 点火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032692B2 (ja) 点火コイル
CN111667998B (zh) 线圈装置
JPH11230015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H09246074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US20080202484A1 (en) Ignition coi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3115075A (ja) 内燃機関用の点火コ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