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437B1 -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437B1
KR100607437B1 KR1020040062571A KR20040062571A KR100607437B1 KR 100607437 B1 KR100607437 B1 KR 100607437B1 KR 1020040062571 A KR1020040062571 A KR 1020040062571A KR 20040062571 A KR20040062571 A KR 20040062571A KR 100607437 B1 KR100607437 B1 KR 100607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servoir
treated
electrolytic cell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5262A (ko
Inventor
이나모또요시히로
히로따다쯔야
스기모또무네아끼
가와무라요조
기시미노루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5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02F1/685Devices for dosing the additives
    • C02F1/688Devices in which the water progressively dissolves a solid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4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bathing facilities, e.g. swimming po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3Inversing polar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5Tim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과제) 전해 처리에 의해 발생된 화합물을 공급함으로써 피처리수의 품질을 일정한 것으로 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저수조 (2) 안의 피처리수는, 순환용 펌프 (31) 에 의해 저수조 (2) 와 전해조 (1) 사이에서 순환된다. 전해조 (1) 에서는 전극 (3, 4) 에 의한 전해 처리에 의해 하이포아염소산이 생성되고, 생성되 하이포아염소산은, 저수조 (2) 안으로 도입되어 피처리수의 살균에 이용된다. 전해조 (1) 안의 피처리수는, 제 1 쓰리웨이 밸브 (16) 가 제어되는 것에 의해, 저수조 (2) 로 유도되거나, 또는 저수조 (2) 로 유도되지 않고 드레인 (3) 으로 유도된다. 전극 (3) 과 전극 (4) 사이에서 극성의 전환이 이루어진 후 소정 시간은 전극 표면에 부착된 불순물이 저수조 (2) 에 도입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전해조 (1) 안의 피처리수는 드레인 (30) 으로 유도된다.

Description

수처리 장치{WATER TREATMENT APPARATUS}
도 1 은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의 수처리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수처리 장치의 제어부가 저수조 안의 물에 대하여 적절한 양의 하이포아염소산을 공급하기 위해서 실행하는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낸 수처리 장치의 변형예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도 4 에 나타낸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살수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해조
2: 저수조
3, 4: 전극
5: 제어반
15: 전자 밸브
16: 제 1 쓰리웨이 밸브 (three-way valve)
17: 제 2 쓰리웨이 밸브
21, 27: 도입구
23, 25, 28: 배출구
31: 순환용 펌프
32: 칼럼
33: 필터
34: 플로우 스위치
40: 살수관
41∼44, 61∼65: 관
41A∼41E, 42A∼42E: 토출관
50: 제어부
51: 드라이버
53: 운전 스위치
54: 타임 스위치
55: 전원 램프
56: 전해 제어 램프
57: 이상(異常) 램프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처리수 중에 전극쌍을 침지시키고, 해당 전극쌍을 사용한 전해 반응에 의해 발생한 화합물을 피처리수에 작용시키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풀이나 목욕탕, 및 일반 가정용 욕조와 같은 비교적 소형의 수조에 있어서, 피처리수의 멸균 처리를 위해 전극쌍을 사용한 전해 반응이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전해 반응에서는, 피처리수 안에 함유되는 염소가 전해 반응에 의해 하이포아염소산으로 변화되고, 해당 하이포아염소산이 멸균 처리에 이용되고 있었다.
전극쌍을 사용한 전해 반응에 의한 멸균 처리는, 취급에 주의를 요하는 염소 (chlorine) 등의 약제를 사용한 멸균 처리와 비교하여, 필요한 노동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멸균 처리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피처리수 안의 잔류 염소 농도에 근거하여 통전되는 전극쌍의 수를 전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70642호
그러나, 종래의 전해 처리를 이용하는 수처리 장치에서는, 전해 처리에 있어서 발생하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적절히 필터가 설치되어 있지만, 해당 불순물의 양에 따라서는 해당 필터를 포함하는 피처리수의 유로에 있어서 피처리수의 흐름을 크게 약화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피처리수의 흐름이 약해짐에 따 라, 전해 처리에 의해 발생된 하이포아염소산을 피처리수에 공급하기 위한 흐름도 약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의해 종래의 수처리 장치에서는 멸균 처리의 대상이 되는 피처리수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처리 장치에서는, 전해 처리에 의해 발생된 하이포아염소산이 피처리수에 공급되더라도 해당 하이포아염소산이 항상 균일하게 피처리수에 공급되기는 어려웠다. 이것으로부터도, 종래의 수처리 장치에서는 소독되는 피처리수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도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해 처리에 의해 발생된 화합물을 공급함으로써 피처리수의 품질을 일정한 것으로 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국면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저수조 안의 물을 처리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로서, 피처리수에 대하여 전해를 실시하기 위한, 복수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전극쌍과, 피처리수 및 상기 전극쌍을 수용하는 전해조와, 상기 전해조 안의 피처리수를 상기 저수조로 보내는 펌프와, 상기 전해조를 개폐 가능하고, 열린 상태로 함으로써 상기 전해조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상기 저수조와는 다른 장소로 도입시키는 개폐 수단과, 상기 전극쌍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수단과, 상기 개폐 수단 및 상기 전력 공급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력 공급 수단에, 상기 전극쌍에서의 상기 복수의 전극 사이에서 극성을 전환시키고, 또 해당 극성의 전환에서부터 소정 조건이 성립할 때까지 상기 개폐 수단에, 상기 전해조를 열린 상태로 하도록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국면에 따르면, 전해조에 있어서, 전극쌍에서의 복수의 전극 사이에서 극성의 전환이 이루어질 때, 즉 그때까지 전극에 부착되어 있던 불순물이 전극으로부터 박리될 때, 개폐 수단이 일정 시간 전해조를 열린 상태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것에 의해 상기 소정 조건이 성립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에서는, 상기 개폐 수단은, 상기 전해조와 상기 저수조를 연결하는 제 1 상태, 및, 상기 제 1 상태와 다른 상태로서 상기 전해조와 상기 저수조와는 다른 장소를 연결하는 제 2 상태를 취할 수 있는, 쓰리웨이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에서는, 상기 전해조와 상기 저수조 사이의 피처리수의 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전해조로부터 보내진 피처리수가 상기 저수조에 도입되기 전에 여과하기 위한 칼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저수조 안의 물을 처리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로서, 피처리수에 대하여 전해를 실시하기 위한, 복수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전극쌍과, 피처리수 및 상기 전극쌍을 수용하는 전해조와, 상기 전해조로부터 상기 저수조에 피처리수를 보내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저수조에 도입되는 피처리수를 확산시키는 확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확산 수단에 의해, 저수조 안에서, 전해조에 서의 전해 처리에 의해 발생된 화합물이 균일하게 도입된다.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에서는, 상기 확산 수단은, 상기 저수조 안에 설치되고, 해당 저수조 안의 피처리수를 교반하는 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에서는, 상기 확산 수단은, 상기 저수조 내부에서 소정 길이를 갖는 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에서는, 상기 확산 수단은, 상기 저수조 내부의, 벽면 근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저수조 안의 물을 처리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로서, 피처리수에 대하여 전해를 실시하기 위한, 복수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전극쌍과, 피처리수 및 상기 전극쌍을 수용하는 전해조와, 상기 전해조와 상기 저수조 사이에서 피처리수를 순환시키는 펌프와, 상기 복수의 전극에 대한 전력의 공급, 및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펌프의 동작을, 상기 복수의 전극에 대한 전력의 공급과는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복수의 전극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정지되어 전해조에 있어서 전해 처리가 실시되고 있지 않을 때라도, 순환 수단이 피처리수를 순환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전극에 대한 전력의 공급 패턴을 복수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소정 조건에 따라서 복수의 상기 공급 패턴 중에서 선택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전극에 대한 전 력의 공급 패턴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에 나타낸 수처리 장치는, 빌딩이나 집합주택의 옥상 등에 배치되어 생활용수를 수용하는 저수조 (2) 의 내부에 하이포아염소산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주로, 전해조 (1), 외부의 상용(商用) 전원 (100) 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수처리 장치의 각종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반 (5), 및, 전해조 (1) 와 저수조 (2) 를 접속하는 관 (관 (61) 등) 으로 구성된다. 저수조 (2) 안에 도입된 하이포아염소산은, 예를 들어 수돗물의 살균에 이용된다. 해당 수처리 장치는,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을 저수조 (2) 에 저장해 둠과 동시에 해당 수돗물을 저수조 (2) 와 전해조 (1) 사이에서 순환시키고, 해당 수돗물과, 전해조 (1) 에서 전해에 의해 얻어진 화합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혼합시키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저수조 (2) 와 전해조 (1) 사이에서 순환되는 물을 피처리수라고 한다.
저수조 (2) 는, 도입구 (21, 27), 배출구 (23, 25, 28), 통기관 (29), 및 플로트 (float: 20) 를 포함한다. 저수조 (2) 는, 관 (22) 으로부터 도입구 (21) 를 통하여 수돗물 (피처리수) 이 도입된다. 플로트 (20) 에 의해 저수조 (2) 의 내부가 만수인 것이 검출되면, 도입구 (21) 는 열린 상태로 되지 않도록 구성되 어 있다. 저수조 (2) 가 만수 상태에서 추가로 수돗물 또는 피처리수가 도입되면, 저수조 (2) 내부의 피처리수는 배출구 (23) 를 통하여 오버플로우관 (24) 으로 흘러 나가 드레인 (drain: 30) 으로 유도된다.
저수조 (2) 는 밀폐되어 있다. 또, 저수조 (2) 내부의 기압이 일정치를 초과하면, 저수조 (2) 의 상단에 형성된 통기관 (29) 이 개방된다. 저수조 (2) 는, 배출구 (25) 를 통하여 급수관 (26) 에 피처리수를 공급한다. 저수조 (2) 는, 급수관 (26) 을 통하여 집합주택의 각 가구 등으로 수돗물을 공급한다.
저수조 (2) 안의 피처리수는, 배출구 (28) 를 통하여 관 (61) 으로 유도된다. 관 (61) 은 전해조 (1) 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해조 (1) 안의 피처리수는 관 (63) 으로 유도된다. 관 (63) 은 도입구 (27) 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저수조 (2) 안의 피처리수는, 관 (61), 전해조 (1), 관 (63), 저수조 (2) 를 순서대로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관 (61) 위에는, 밸브 (11), 전자(電磁) 밸브 (15), 및, 순환용 펌프 (31) 가 접속되어 있다. 순환용 펌프 (31) 는, 저수조 (2) 로부터 전해조 (1) 로, 즉 전자 밸브 (15) 로부터 전해조 (1) 로 피처리수를 보내도록 동작한다. 또한, 관 (61) 위에는 관 (64) 이 접속되어 있다. 또, 관 (61) 의 단부는 전해조 (1) 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관 (64) 은 관 (62) 에 접속되어 있다. 관 (62) 위에는 밸브 (12) 가 접속되어 있다. 밸브 (12) 가 열린 상태로 되면, 관 (62) 안의 피처리수가 드레인 (30) 으로 유도된다.
전해조 (1) 안에는, 피처리수과, 해당 피처리수에 침지되도록 전극 (3, 4) 이 수용되어 있다. 전극 (3, 4) 은, 해당 피처리수에 대하여 전해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전극 (3, 4) 은, 임의의 어느 한쪽이 애노드 전극이 되고, 다른쪽이 캐소드 전극이 된다. 전극 (3, 4) 에 대한 전력의 공급 및 전극 (3, 4) 의 극성은 제어반 (5) 에 의해 제어된다.
전해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피처리수 중의 애노드 전극 근방에서는 식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의 전기분해에 의해 산소 가스가 발생하고, 염화물 이온은 염소 가스가 되고, 염소 가스의 일부는 수화되어 하이포아염소산이 된다.
2H2O ⇔ O2↑+4H+4e (1)
2Cl ⇔ Cl2↑+2e (2)
Cl2+H2O ⇔ H+Cl+HClO (3)
또, 피처리수 중의 캐소드 전극 근방에서는, 식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의 전기분해에 의해 수소 가스가 발생한다.
2H2O+2e ⇔ H2↑+2OH (4)
전해 처리가 실시되고 있는 동안, 전극 (3) 과 전극 (4) 사이에서 극성이 전환된다. 즉, 전극 (3) 이 애노드 전극으로 되고 전극 (4) 이 캐소드 전극으로 될 때가 있으면, 극성 전환이 이루어져 전극 (3) 이 캐소드 전극으로 되고 전극 (4) 이 애노드 전극으로 될 때도 있다.
전해 처리가 실시되면, 애노드 전극 표면에 트리할로메탄의 생성에 이용되는 후민산이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전극 (3) 과 전극 (4) 사이에서 극성 전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애노드 전극으로 되어 있던 전극 표면에 부착된 후민산이, 해당 전극이 캐소드 전극으로 되는 것에 의해 전극 표면으로부터 박리되어 떨어져나간다. 또한, 박리되어 떨어져나간 고체는, 적절히 수처리 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전해조 (1) 에서, 트리할로메탄의 생성이 억제된다.
관 (63) 위에는, 제 1 쓰리웨이 밸브 (16), 칼럼 (32), 제 2 쓰리웨이 밸브 (17), 공기빼기(air-bleeding) 밸브 (18), 필터 (33), 플로우 스위치 (34), 체크 밸브 (check valve: 14), 및 밸브 (13) 가 접속되어 있다. 칼럼 (32) 에는, 산호석이나 맥반석 등이 충전되어 있다. 제 1 쓰리웨이 밸브 (16) 및 제 2 쓰리웨이 밸브 (17) 는, 각각 관 (65) 에도 접속되어 있다. 제 1 쓰리웨이 밸브 (16) 및 제 2 쓰리웨이 밸브 (17) 는, 각각 관 (65) 으로부터 관 (63) 에 피처리수를 보내는 「통상 순환측」으로 조정되는 상태와, 관 (63) 으로부터 관 (65) 에 피처리수를 보내는 「배수측」으로 조정되는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체크 밸브 (14) 는, 전해조 (1) 로부터 저수조 (2) 에, 즉 플로우 스위치 (34) 로부터 밸브 (13) 에만 피처리수를 보낼 수 있다. 관 (63) 위의, 플로우 스위치 (34) 와 체크 밸브 (14) 사이에는 관 (64) 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관 (64) 의 타단은, 관 (61) 의, 순환용 펌프 (31) 의 배출측에 접속되어 있다. 관 (64) 위에는, 정류량(定流量) 밸브 (36) 와 잔류 염소 농도 센서 (35) 가 접속되어 있다. 순 환용 펌프 (31) 가 작동함으로써 저수조 (2) 안의 피처리수가 전해조 (1) 로 보내지지만, 그 일부는 정류량 밸브 (36) 를 통하여 전해조 (1) 로 보내지지 않고, 잔류 염소 농도 센서 (35) 에 보내진다.
도 2 에, 도 1 에 나타낸 수처리 장치의 제어 블록도를 나타낸다.
수처리 장치의 제어반 (5) 은, 수처리 장치 내의 각종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부 (50) 와, 해당 제어부 (50) 에 제어됨으로써 수처리 장치 내의 각종 구성 요소를 동작시키는 드라이버 (51) 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반 (5) 은, 외부에서 조작되는 운전 스위치 (53) 및 타임 스위치 (54) 와, 외부에 수처리 장치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전원 램프 (55), 전해 제어 램프 (56), 및 이상 램프 (57) 와, 제어반 (5) 안을 냉각시키기 위한 제어반 내의 팬 (58) 을 포함한다.
전원 램프 (55) 는 수처리 장치에 전원이 투입되어 있을 때에 점등되는 램프이고, 전해 제어 램프 (56) 는 전극 (3, 4) 에 전력이 공급되어 전해 처리가 실시되고 있을 때에 점등되는 램프이고, 이상 램프 (57) 는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어떠한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점등되는 램프이다.
제어부 (50) 는, 타이머 (50A) 및 메모리 (50B) 를 내장하고 있다. 그리고, 잔류 염소 농도 센서 (35) 및 플로우 스위치 (34) 로부터의 정보가 입력된다.
수처리 장치는, 교류 전원 (100) 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여 해당 수처리 장치의 구성 요소에 공급하는 직류 전원 (52) 을 구비하고 있다.
드라이버 (51) 는, 제어부 (50) 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순환용 펌프 (31), 전자 밸브 (15), 직류 전원 (52), 전극 (3, 4), 제 1 쓰리웨이 밸브 (16), 제 2 쓰리웨이 밸브 (17), 및 잔류 염소 농도 센서 (35) 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드라이버 (51) 는, 전극 (3, 4) 에 대하여 통전의 ON-OFF 에 관한 정보 (통전 ON 신호) 와 공급하는 전력의 극성에 관한 정보 (극성 전환 신호) 를 사용하여 동작을 제어한다.
도 3 에, 제어부 (50) 가 저수조 (2) 안의 물에 대하여 적절한 양의 하이포아염소산을 공급하기 위해 실행하는 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이하, 도 3 을 참조하여, 제어부 (50) 에 의한 해당 처리의 내용을 설명한다.
제어부 (50) 는, 우선 S1 에서 운전 스위치 (53) 가 조작되어 ON 된 것을 확인하면, S2 에서 순환용 펌프 (31) 의 동작을 개시시킨다.
다음으로, 제어부 (50) 는, S3 에서 제 1 쓰리웨이 밸브 (16) 를 통상 순환측으로 조정하고, S4 에서 제 2 쓰리웨이 밸브 (17) 를 배수측으로 조정한다. 이것에 의해, 저수조 (2) 와 전해조 (1) 사이에서 피처리수가 순환되기 전에, 그때까지 전해조 (1) 에 쌓인 침전물 등이 수처리 장치 밖으로 제거된다.
다음으로, 제어부 (50) 는, S5 에서, S4 에서 제 2 쓰리웨이 밸브 (17) 를 배수측으로 조정하고 나서 「배수 시간」이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말하는 배수 시간이란, 미리 메모리 (50B) 에 기억된 시간으로, S2∼S4 의 처리에 의해 전해조 (1) 안에 쌓여 있는 침전물 등이 배출되는 데에 충분하다고 여겨지는 시간이다.
다음으로, 제어부 (50) 는, S6 에서 제 2 쓰리웨이 밸브 (17) 를 통상 순환측으로 조정한다. 이것에 의해, 저수조 (2) 와 전해조 (1) 사이를 피처리수가 순환한다.
다음으로, 제어부 (50) 는, S7 에서 타임 스위치 (54) 가 ON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ON 되었다고 판단하면 S8 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ON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S18 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S18 에서는, 제어부 (50) 는, 전극 (3, 4) 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OFF 하고, S19 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제어부 (50) 는, S8 에서 전해 제어 램프 (56) 를 점등시킨 후, S9에서 잔류 염소 농도 센서 (35) 의 검출 출력을 체크하여, 피처리수 내의 잔류 염소 농도가 미리 정해져 메모리 (50B) 에 기억된 설정치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설정치 이하라고 판단되면 S10 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설정치를 초과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S18 에서 전극 (3, 4) 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정지시킨 후, S19 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S10 에서는, 제어부 (50) 는, 전극 (3, 4) 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ON 한다. 또, 전극 (3, 4) 에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력이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전극 (3, 4) 의 한쪽이 애노드 전극이 되고 다른쪽이 캐소드 전극이 된다. 이와 같이 전극 (3, 4) 에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전해조 (1) 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반응식에 따른 전해 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저수조 (2) 와 전해조 (1) 사이에서 피처리수가 순환됨으로써, 전해조 (1) 에서의 전해 처리에 의해 발생된 하이포아염소산이 저수조 (2) 안에 도입된다.
다음으로, 제어부 (50) 는, S11 에서 전극 (3) 과 전극 (4) 사이에서 전회( 前回) 극성이 전환되고 나서 극성 전환 설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극성 전환 설정 시간이란, 전극 (3) 과 전극 (4) 사이에서 극성이 전환되는 간격으로서 미리 정해진 시간으로, 메모리 (50B) 에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 (50) 는, 극성 전환 설정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되면 S12 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아직 경과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S1 로 처리를 되돌린다.
S12 에서는, 제어부 (50) 는, 전극 (3, 4) 에 대한 통전을 OFF 시킨다. 그리고, 제어부 (50) 는, S13 에서 전극 (3) 과 전극 (4) 에 공급하는 전력의 극성을 전환하는 설정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제어부 (50) 는, S14 에서 제 1 쓰리웨이 밸브 (16) 를 배수측으로 조정한다. 이것에 의해, 전해조 (1) 안의 불순물이 피처리수와 함께 저수조 (2) 에 도입되지 않고, 드레인 (30) 으로 유도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해 처리의 도중에서, 전극 (3, 4) 에서 극성을 전환할 때에, 즉 전극 (3, 4) 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전극 (3) 또는 전극 (4) 에 부착된 불순물이 전극 표면으로부터 박리될 때에, 해당 불순물이 드레인 (30) 으로 유도되는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 (50) 는, S15 에서 전극 (3, 4) 에 대한 통전을 ON 시킨다. 이것에 의해, 전극 (3) 또는 전극 (4) 에 부착된 불순물이, 통전이 정지되는 것에 의해서는 전극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일이 없더라도, 해당 전극 표면에 그때까지와는 반대인 극성의 전력이 공급되는 것에 의해 확실하게 전극 표면으로부터 박리된다.
다음으로, 제어부 (50) 는, S16 에서, S14 에서 제 1 쓰리웨이 밸브 (16) 를 배수측으로 조정하고 나서 배수 시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말하는 배수 시간이란, S5 에서 설명한 배수 시간과 동일한 것이다. 그리고, 배수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되면, S17 에서 제 1 쓰리웨이 밸브 (16) 를 통상 순환측으로 조정하고, S19 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S5 및 S16 에 있어서 배수 시간의 경과를 기다리고, S6 또는 S17 에서 밸브를 통상 순환측으로 조정하고 있었다. 한편, S5 및/또는 S16 에서 미리 정해진 배수 시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대신에, 전해조 (1) 에서의 투명도 등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S6 및/또는 S17 에서 밸브를 통상 순환측으로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S19 에서는, 제어부 (50) 는 플로우 스위치 (34) 의 검출 결과를 체크함으로써 관 (63) 내를 순환하는 피처리수의 유량이 미리 정해진 설정치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 (50) 는, 유량이 해당 설정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S7 로 처리를 되돌리고, 유량이 해당 설정치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S21 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S20 에서는, 제어부 (50) 는 이상 램프 (57) 를 점등시킨 후, S21 에서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모든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처리를 종료시킨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순환 유량이 비정상적으로 저하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모든 구성 요소의 동작이 정지되고, 이상(異常) 통지가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해 처리를 실시하는 전극 (3, 4) 과, 저 수조 (2) 와 전해조 (1) 사이에서 피처리수를 순환시키는 순환용 펌프 (31) 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전극 (3, 4) 에 대한 통전이 OFF 된 상태라도 순환용 펌프 (31) 는 동작을 계속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극 (3, 4) 이 전해 처리를 실시하고 있지 않더라도, 관 (63) 에서의 순환 유량이 비정상적으로 저하된 경우 등 외에는 항상 순환용 펌프 (31) 에 의해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피처리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저수조 (2) 와 전해조 (1) 사이에서 순환되는 피처리수의 잔류 염소 농도를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칼럼 (32) 에서 바이오 필름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S9, S10 및 S18 에 나타낸 처리와 같이, 피처리수의 잔류 염소 농도에 근거하여 전극에 대한 통전의 ON/OFF 가 결정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처리수의 잔류 염소 농도가 미리 정해진 설정치보다도 높으면 피처리수에 하이포아염소산을 공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해 처리가 실시되지 않게 된다. 또, 수처리 장치에 잔류 염소 농도 센서 (35) 를 구비시켜 잔류 염소 농도에 근거하여 전극 (3, 4) 에 대한 전력 공급의 ON/OFF 를 제어하는 대신에, 미리 정해진 패턴을 메모리 (50B) 에 기억시켜 두고 해당 패턴에 따라서 전극 (3, 4) 에 대한 전력 공급의 ON/OFF 가 제어되어도 된다. 또한, 피처리수에 대하여 공급해야 할 하이포아염소산의 양은 외기의 온도나 피처리수 자체의 온도 등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계절에 따른 패턴을 복수 메모리 (50B) 에 기억시키고, 제어부 (50) 는 현재의 계절에 따른 패턴을 메모리 (50B) 로부터 판독하여, 해당 판독된 패턴에 따라서 전극 (3, 4) 에 대한 전력 공급의 ON/OFF 제어를 실행해도 된다.
도 4 에, 도 1 에 나타낸 수처리 장치의 변형예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4 에 나타낸 수처리 장치는, 도 1 에 나타낸 수처리 장치에 추가하여 저수조 (2) 안에 설치된 살수관 (40) 을 구비하고 있다. 도 5 에, 도 4 에 나타낸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살수관 (40) 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또, 도 5 는, 도 4 에 나타낸 저수조 (2) 의 내부를 비스듬한 상측에서 본 도면에 상당한다. 또, 도 5 에서는, 저수조 (2) 는, 도입구 (27) 등, 해당 저수조 (2) 에 형성된 것의 일부가 생략되어 기재되어 있다.
살수관 (40) 은 저수조 (2) 안에서 복수의 관 (41∼44) 으로 분기되고, 관 (41∼44) 에는, 토출관 (41A∼41E, 42A∼42E) 등의 복수의 토출관이 장착되어 있다.
살수관 (40) 은 도입구 (27) 에 접속되어 있다. 관 (63) 안의 피처리수는, 도입구 (27) 를 통하여 살수관 (40) 에 도입된다. 살수관 (40) 에 도입된 피처리수는 관 (41∼44) 으로 유도되고, 토출관 (41A∼41E, 42A∼42E) 등의 복수의 토출관 각각으로부터 저수조 (2) 안으로 도입된다.
도 4 에 나타낸 수처리 장치에서는, 저수조 (2) 에 복수의 토출관 각각으로부터 피처리수가 도입되기 때문에, 전해조 (1) 에서 생성된 하이포아염소산이 저수조 (2) 안으로 남김없이 공급된다. 즉, 도 4 에 나타낸 수처리 장치에서는, 복수의 토출관을 구비하는 살수관 (40) 에 의해 저수조 (2) 에 도입되는 피처리수를 확산시키는 확산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관 (41∼44) 은, 특히 도 5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저수조 (2) 내부의 중앙 부분이 아니라, 해당 저수조 (2) 의 내벽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한 복수의 토출관으로부터 저수조 (2) 안으로 공급되는 피처리수가 효과적으로 저수조 (2) 안에서 확산되게 된다.
또, 복수의 토출관은, 저수조 (2) 의 수평 방향에 대해서 중앙으로 향하도록, 관 (41∼44) 위에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한 복수의 토출관으로부터 저수조 (2) 인에 공급되는 피처리수가 해당 저수조 (2) 안에서 확산되게 된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해조에 있어서, 전해 처리에 의해 발생된 화합물을 저수조에 공급하면서, 전극으로부터 박리된 불순물이 저수조에 유출되는 경우에는, 해당 불순물이 저수조와는 다른 장소에 도입된다. 이것에 의해, 불순물에 의해 전해조로부터 저수조로의 흐름이 저해되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전해 처리에 의해 발생된 화합물을 안정적으로 저수조에 공급할 수 있고, 따라서, 저수조에서의 피처리수의 품질을 일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저수조에서, 전해조에서의 전해 처리에 의해 발생된 화합물이 균일하게 도입되기 때문에, 저수조에서의 피처리수의 품질을 저수조 안에 대해 전체적으로 일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펌프는, 전해조에서의 전해 처리가 실행되고 있지 않을 때라도 피처리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저수조에서의 피처리수의 품질을 일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Claims (11)

  1. 저수조 안의 물을 처리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로서,
    피처리수에 대하여 전해를 실시하기 위한, 복수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전극쌍과,
    피처리수 및 상기 전극쌍을 수용하는 전해조와,
    상기 전해조 안의 피처리수를 상기 저수조로 보내는 펌프와,
    상기 전해조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 상기 저수조와는 다른 장소로 배출가능한 상태와 배출불가능한 상태를 택할 수 있는 배출 수단과,
    상기 전극쌍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수단과,
    상기 배출 수단 및 상기 전력 공급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력 공급 수단에, 상기 전극쌍에서의 상기 복수의 전극 사이에서 극성을 전환시키고, 또 해당 극성의 전환에서부터 해당 극성의 전환 후에 소정 조건이 성립할 때까지 상기 배출 수단을, 상기 전해조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 상기 저수조와는 다른 장소로 배출 가능한 상태로 하게 하는 수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는 것에 의해 상기 소정 조건이 성립하였다고 판단하는 수처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수단은, 상기 전해조와 상기 저수조 사이의 피처리수의 수로를 연결하는 제 1 상태, 및 상기 제 1 상태와 다른 상태로서 상기 전해조와 상기 저수조와는 다른 장소 사이의 피처리수의 수로를 연결하는 제 2 상태를 취할 수 있는, 쓰리웨이 밸브 (three-way valve) 로 이루어지는 수처리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와 상기 저수조 사이의 피처리수의 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전해조로부터 보내진 피처리수가 상기 저수조에 도입되기 전에 여과하기 위한 칼럼을 추가로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5. 저수조 안의 물을 처리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로서,
    피처리수에 대하여 전해를 실시하기 위한, 복수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전극쌍과,
    피처리수 및 상기 전극쌍을 수용하는 전해조와,
    상기 전해조로부터 상기 저수조에 피처리수를 보내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저수조에 도입되는 피처리수를 확산시키는 확산 수단을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수단은, 상기 저수조 안에 설치되고, 해당 저수조 안의 피처리수를 교반하는 수단인 수처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수단은, 상기 저수조 내부에서 소정 길이를 갖는 관인 수처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수단은, 상기 저수조 내부의, 벽면 근방에 위치하고 있는 수처리 장치.
  9. 저수조 안의 물을 처리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로서,
    피처리수에 대하여 전해를 실시하기 위한, 복수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전극쌍과,
    피처리수 및 상기 전극쌍을 수용하는 전해조와,
    상기 전해조와 상기 저수조 사이에서 피처리수를 순환시키는 펌프와,
    상기 복수의 전극에 대한 전력의 공급 및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펌프의 동작을 상기 복수의 전극에 대한 전력의 공급과는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전극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온/오프 (ON/OFF) 제어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전극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오프 (OFF) 된 상태에서도, 상기 펌프의 동작을 계속시키는 수처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에 대한 전력의 공급 패턴을 복수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소정 조건에 따라서 복수의 상기 공급 패턴 중에서 선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전극에 대한 전력의 공급 패턴을 결정하는 수처리 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와 상기 저수조 사이의 피처리수의 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전해조로부터 보내진 피처리수가 상기 저수조에 도입되기 전에 여과하기 위한 칼럼을 추가로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KR1020040062571A 2003-09-04 2004-08-09 수처리 장치 KR1006074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12798A JP2005081169A (ja) 2003-09-04 2003-09-04 水処理装置
JPJP-P-2003-00312798 2003-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262A KR20050025262A (ko) 2005-03-14
KR100607437B1 true KR100607437B1 (ko) 2006-08-02

Family

ID=34413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571A KR100607437B1 (ko) 2003-09-04 2004-08-09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082164A1 (ko)
JP (1) JP2005081169A (ko)
KR (1) KR100607437B1 (ko)
CN (1) CN159030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05292A1 (en) * 2006-03-01 2007-09-06 Kyung Dong Boiler Co. Ltd. Heated fluid distribution apparatus for combined domestic hot water supply and space heating system
KR100853347B1 (ko) * 2007-04-23 2008-08-21 (주)에이엠티기술 살균수 제조장치
JP4697294B2 (ja) * 2008-12-05 2011-06-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JP4678052B2 (ja) * 2008-12-05 2011-04-27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FR2951446B1 (fr) * 2009-10-20 2011-11-25 Pacific Ind Dispositif de traitement d'une eau de bassin et notamment de piscine a partir d'un derive halogene et procede de mise en oeuvre associe
KR101021954B1 (ko) * 2010-10-06 2011-03-16 주식회사 알카메디 전해조의 삼방향 출수구를 갖는 유로변경시스템
US11046596B2 (en) 2012-10-25 2021-06-29 Hydrus Technology Pty. Ltd. Electrochemical liquid treatment apparatus
DE102013011752A1 (de) * 2013-07-13 2015-01-15 Manfred Völker Chlormessung / Filterprüfung / Solebehälterüberwachung einer Wasseraufbereitungsanlage
US11046595B2 (en) 2014-05-23 2021-06-29 Hydrus Technology Pty. Ltd. Electrochemical treatment methods
EP3145875B1 (en) 2014-05-23 2021-09-22 Hydrus Technology Pty. Ltd. Electrochemical treatment method
CN109641766B (zh) * 2016-06-24 2022-12-23 泰格鲁斯有限责任公司 用于处理和修复含水废物流的组合物和方法
AU2018231091B2 (en) 2017-03-06 2023-11-16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Implementation of feedback control for improved electrochemical system design
CN110996835A (zh) * 2017-04-26 2020-04-10 精通水技术股份有限公司 用在水路的装置
CN107445258B (zh) * 2017-09-08 2020-09-08 中国石油天然气集团公司 一种水基废弃钻井液电化学吸附处理装置及其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9493A (en) 1977-06-30 1978-12-12 Diamond Shamrock Corporation Swimming pool chlorinator system
JPH09164303A (ja) * 1995-12-15 1997-06-24 Ebara Corp 洗浄液の油水分離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64856A (en) * 1975-02-12 1979-10-23 Alexander Illis Purification of nickel electrolyte by electrolytic oxidation
US4599159A (en) * 1985-05-28 1986-07-08 Hilbig Herbert H Electrolytic pool chlorinator having distribution chamber for filling anode and cathode chambers
GB9815167D0 (en) * 1998-07-13 1998-09-09 Eastman Kodak Co Recovery of metal from solution
US6627053B2 (en) * 1999-12-14 2003-09-30 Sanyo Electric Co., Ltd. Water treatment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9493A (en) 1977-06-30 1978-12-12 Diamond Shamrock Corporation Swimming pool chlorinator system
JPH09164303A (ja) * 1995-12-15 1997-06-24 Ebara Corp 洗浄液の油水分離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82164A1 (en) 2005-04-21
CN1590308A (zh) 2005-03-09
JP2005081169A (ja) 2005-03-31
KR20050025262A (ko) 2005-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7437B1 (ko) 수처리 장치
KR100437308B1 (ko) 수처리장치
KR100626586B1 (ko) 전해수 생성장치
KR100462639B1 (ko) 수처리장치
TW201029933A (en) Electrolyzed water producing apparatus
KR20070078964A (ko) 공기 제균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172075B1 (ko) 튜브타입의 오·폐수 처리 전기 분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뇨 마쇄 소독 장치
US5366605A (en) Water disinfecting apparatus and process
EP1816409A2 (en) Air filte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40081431A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0311911B1 (ko) 정수및살균수제조장치
KR100556291B1 (ko) 전기화학적 폐수 처리 장치
JP2006122750A (ja) 水素水製造装置及び水素水製造方法
KR102172074B1 (ko) 전기분해장치를 이용한 분뇨 마쇄 소독 장치
JP3373285B2 (ja) 電解イオン水生成装置
JPH06238281A (ja) 水槽用殺菌システム
JPH07163982A (ja) 貯留水の電解消毒装置
JP4036810B2 (ja) 水処理装置
JP4353756B2 (ja) 水処理装置
JP2005074252A (ja) 水処理装置
JPH10469A (ja) 電解水生成装置
JPS638833B2 (ko)
JP6632192B2 (ja) ブロワ、および、排水処理システム
JP2004081991A (ja) 電解アルカリ性水の取出し方法及び取出し装置。
JPH091150A (ja) 飲料用水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