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656B1 - 디지털 버스로 상호연결된 디지털 장치에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메뉴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버스로 상호연결된 디지털 장치에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메뉴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656B1
KR100605656B1 KR1020007004956A KR20007004956A KR100605656B1 KR 100605656 B1 KR100605656 B1 KR 100605656B1 KR 1020007004956 A KR1020007004956 A KR 1020007004956A KR 20007004956 A KR20007004956 A KR 20007004956A KR 100605656 B1 KR100605656 B1 KR 100605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d
bit
digital
peripheral dev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5800A (ko
Inventor
스탈토마스안토니
샤터지아밋쿠마르
아이잿헤크맷 아이잿
쿠루케이사반
내그팔산지브
트르지빈스키로버트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10015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공통 가전(CE: Consumer Electronics) 장치 사이에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뉴 및 관련된 제어 기능을 교환하기 위한 상호운용기능이 제공된다. 상기 상호운용기능은 물리적 및 링크 레이어를 위해 IEEE 1394 시리얼 버스에 기초하며 제어 언어로 AV/C 또는 CAL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타겟 장치(즉, 디지털 VCR)에 의해 구성된 비트맵화된 온-스크린 메뉴를 디스플레이 장치(즉, 디지털 TV)에 전송하기 위해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지털 버스로 상호연결된 디지털 장치에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메뉴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ON SCREEN DISPLAY MENUS IN DIGITAL DEVICES INTERCONNECTED BY A DIGITAL BUS}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 버스와 같은 상호연결을 거쳐, 가전 장치 등과 같은 다수의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그러한 장치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뉴의 상호운용기능(interoperability)을 관리하기 위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버스는 텔레비전 수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비디오-카세트 리코더(VCR: Video-cassette Recorders), 직접 방송 위성(DBS: Direct Broadcast Satellite) 수상기, 및 가정용 제어 장치(즉, 보안 시스템 또는 온도 제어 장치)와 같은 디지털 전자 장치를 상호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버스를 사용하는 통신은 버스 프로토콜에 따라 발생한다. 버스 프로토콜의 실시예는 가전 버스(CEBus: Consumer Electronics Bus)와 IEEE 1394 고성능 시리얼 버스를 포함한다.
버스 프로토콜은 일반적으로 제어 정보와 데이터 모두를 전달하기 위해 제공된다. 예를 들어, CEBus 제어 정보는 미국 전자 공업회(EIA: Electronics Industries Association) 규격 IS-60에서 정의된 프로토콜을 갖는 "제어 채널" 상 에 전달된다. 제어 정보는 일반적으로 시리얼 버스의 비동기 서비스를 사용하여 IEEE 1394 시리얼 버스 상으로 통과된다. 특정 응용을 위한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공통 응용 언어(CAL: Common Application Language) 또는 AV/C를 사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오늘날의 아날로그 오디오/비디오(A/V: Audio/Video) 클러스터에서,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 장치(즉, TV) 상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SD: On-Screen Display) 메커니즘의 작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한 A/V 장치의 OSD는 주변 장치 또는 타겟 장치(target device)(즉, VCR)에서 생성되고, 임의의 다른 비디오 신호와 동일한 방식으로 그러한 장치의 NTSC 출력 상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어떠한 추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도 주변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1은 그러한 제어 방법론(control methodology)을 사용하는 VCR(12)과 디스플레이 장치(14)(즉, 텔레비전)를 갖는 현행 A/V 시스템(10)을 도시한다. VCR(12)을 제어하는데 관련된 메뉴는 VCR(12)에 의해 생성되고, 합성 비디오 신호로서 VCR(12)의 NTSC 출력을 거쳐 디스플레이 장치(14)에 제공된다.
유감스럽게도, 디스플레이 장치(12)와 동일한 디지털 TV(DTV)와의 접근(도 2를 참조)을 사용하는 것은 MPEG-2 전송 스트림으로 전송될 메뉴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않다. 그러한 스트림의 생성은, MPEG 인코더(15)를 그러한 가전 장치의 비용과 복잡성을 매우 증가시키는 모든 주변 장치로 집적시키는 단계를 필 요로 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시리얼 버스를 거쳐 상호연결된 공통 가전(CE: Consumer Electronic) 장치 사이에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SD) 메뉴 및 관련된 제어를 교환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시리얼 버스는 물리적 및 링크 레이어(link layer)를 위해 사용된다. OSD를 관리하고 장치의 연결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언어는 버스를 거쳐 상호연결된다. 특히, 본 발명은 타겟 장치에 의해 발생되고 제어되는 비트-맵화된 OSD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고, 비트-맵화된 OSD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과 조합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비트-맵화된 OSD 메뉴의 전송은 타겟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보내진 트리거 메시지(trigger messages)에 의해 관리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즉, DTV)에 대한 타겟 장치 또는 소스 장치(즉, DVCR)의 선택을 허용하여, 타겟 장치가 내용과 OSD 모두를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게 한다. 더욱이, 사용자는 타겟 장치에 대해 소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케이블 STB에 의해 디코딩된 프로그램이 동시에 DTV 상에서 관람될 수 있고 DVHS 리코더 상에서 리코딩될 수 있도록, 장치의 체이닝(chaining)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원격 항해(remote navigation)를 포함한다. 원격 항해는 제어된 장치가 메뉴를 통해 사용자의 항해를 기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VCR(즉, 타겟)은, 디스플레이 장치(즉, TV)로부터 어떠한 관여도 없이 하이라이트(highlight) 주위를 이동시키기 위해 자신을 OSD로 변경하게 한다. 이것 은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이 OSD 갱신 블록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상호운용기능을 단순한 블록도의 형태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디지털 VCR 및 디지털 텔레비전의 상호운용기능을 단순한 블록도의 형태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을 사용하여 디지털 장치의 상호운용기능을 단순한 개략도의 형태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을 사용하여 구성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단순한 개략도의 형태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뉴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단순한 개략도의 형태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온-스크린 메뉴의 변경을 단순한 개략도의 형태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뉴의 상이한 해상도를 위해 맵화된 픽셀(pixel)을 단순한 개략도의 형태로 도시한 도면.
도면에서, 상이한 도면에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낸다.
IEEE 1394 시리얼 버스의 사용은 가정용 네트워크 환경내의 많은 응용을 위해 제안되어 왔다. 상기 시리얼 버스는 "전체 가정용 네트워크"로서 사용하기 위해 비디오 전자공학 표준 협회(VESA: 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내에서 논의됐다. 상기 시리얼 버스는 차세대 PC에 구축되고 있으며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많은 로컬 주변 장치에 사용될 것이다. 더욱이, 디지털 텔레비전(DTV)과 같은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가전 장치와 디지털 비디오 카세트 리코더(DVHS)는 이러한 장치를 상호연결하기 위해 시리얼 버스를 사용할 수 있다.
IEEE 1394는 주변 또는 백-플랜(back-plane) 버스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고속의, 저가 디지털 시리얼 버스이다. 상기 버스의 몇 가지 중요한 점은, 동적 노드 주소 할당, 100, 200 및 400 M비트/sec의 데이터 속도, 비동기 및 등시성 모드, 공정한 버스 중재, 및 ISO/IEC 13213과의 일치성을 포함한다. 공동 계류중의 출원서인, 변리사 관리 번호 88,761호 및 88,823호는 오디오/비주얼 장치의 상호운용기능을 위한 IEEE-1394 시리얼 버스의 사용을 논의한다.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 메뉴를 타겟(즉, 제어될 장치)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즉, DTV)로 전송하는 것은 몇몇 포맷 중 하나의 포맷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해 특성이 없는 HTML의 서브세트(subset)는 OSD를 기술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성은 DVD 하부그림(subpicture) 포맷과 유사한 어떤 포맷을 사용하여 메뉴의 런-길이-인코딩된(run-length-encoded) 버전을 전송하는 것이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는 OSD 비트-맵 포맷으로 실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8 비트/픽셀, 전체 스크린(full screen), 640×480 OSD는 200 Mbit/sec인 IEEE 1394 시리얼 버스의 대역폭의 10%를 사용하여 약 100 msec로 전송될 수 있다.
OSD 기술에 대한 비트-맵 포맷은, (1)제조자가 OSD의 "룩 앤드 필(look and feel)"을 유지하도록 하게 하고, (2)OSD의 생성시 자유(freedom)를 허용하고, (3)동적 갱신(즉, 부분 스크린 또는 심지어 단일 픽셀 갱신이 가능함)을 허용한다. 압축된 표시(representations)와 비교하여, 비트-맵 표시는, 그러한 비트-맵화된 OSD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최소한의 해석과 조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하기에 더 적은 처리 시간을 필요로 한다. HTML과 같은 기술적인 방식은 일반적인 가전 제품에 대해 인가와 갱신이 어렵다는 단점을 갖는다.
비트-맵화된 OSD 정보의 전송을 단순화하기 위해, "풀(pull)" 방법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으로, OSD 데이터의 벌크(bulk)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생기는 비동기 판독 요청에 의해 타겟 또는 주변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IEEE 1394의 하나 이상의 블록 판독 트랜젝션을 이용함으로써 주변 장치의 메모리로부터 OSD 정보를 판독한다. 주변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시작할 준비가 될 때 주변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로 보내진 "트리거(trigger)" 명령을 거쳐 OSD 데이터의 위치와 크기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통보된다.
주변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로 OSD 메뉴를 전송하기 위한 다른 대안은, (1)OSD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록하기 위한 주변 장치에 의해 초기화된 IEEE 1394 비동기 기록 트랜젝션을 먼저 사용하는 비동기 푸쉬(push) 방법과, (2)IEEE 1394에 의해 제공된 등시성 채널 중 하나를 통해 OSD 데이터를 방송하기 위한 등시성 전송 방법과, (3)OSD 정보를 운반하기 위한 비동기 스트림 방법, 및 (4)대안적으로, 비트-맵화된 OSD는 8 VSB-T{트렐리스(trellis)} 또는 16 VSB RF 재변조된 채널을 거쳐 제공될 수 있는 방법을 포함한다.
도 3은 IEEE 1394 시리얼 버스를 거쳐 상호연결된 디지털 A/V 장치 사이에 상호운용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10)을 정의한다. 그러한 시스템(10)에서, 상호운용기능은 "풀(Pull)" 방법을 사용하여 주변 장치 또는 타겟 장치(12)(즉, DVCR)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4)(즉, DTV)로 직접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SD) 메뉴를 전송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메뉴는 주변 장치에 포함된 MPEG 인코더를 통해 메뉴 정보를 먼저 통과시키는 단계를 필요로 하는 합성 비디오 스트림으로 전송되지 않는다. 상기 메뉴는, 시리얼 버스(16)를 거쳐 비트-맵화된 OSD로 DTV(14)에 전송되는데, 상기 DTV(14)에서는 메뉴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기에 앞서 디코딩된 MPEG 스트림으로 DTV(14)에 오버레이(overlayed)된다.
다수의 상기 장치는 각 기기의 자체 기술 장치 테이블(SDDT: Self Describing Device Table)에 저장된 정보를 관찰하는 발견 과정 동안 만들어진 레지스트리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SDDT는 고유 ID, 노드 주소,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레지스트리 테이블은 사용자가 성분 사이의 연결을 세팅하도록 하기 위한 메뉴를 만들기 위해 DTV에 의해 사용된다(오늘날 TV의 소스를 위해 사용자가 합성 입력을 선택하는 것과 유사함). 타겟 장치는 우선 어떤 크기와 해상도 OSD가 처리될 수 있는지를 알기 위해서 자체 기술 장치 테이블(SDDT)내에 디스플레이 포맷 및 최대로 이용가능한 블록 필드를 검사한다. 그 후에, 상기 타겟 장치는 OSD 데이터(헤더 및 비트-맵)를 구성하고, 상기 OSD 데이터를 OSD 메모리 구역 내에 저장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4) 상에 구성된 OSD 메뉴(18)는 OSD 영역(region)(20)과 OSD 갱신 블록(24)(OSDUB1 내지 OSDUB5)으로 이루어져 있다. OSD 영역을 정의한 데이터는 주 OSD 헤더 내에 포함된 단일 칼라 맵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OSD 갱신 블록은 OSD 갱신 블록 헤더와 비트-맵으로 이루어져 있다. OSD 메뉴를 구성하도록 사용된 갱신 블록은 OSD를 구성하는데 사용될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한 타겟(즉, VCR)으로부터 취득된다. OSD 갱신 블록은 시리얼 버스를 통해 타겟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된다.
일단 OSD 정보가 전송할 준비가 되면, 타겟은 트리거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도 5를 참조)에 보낸다. 이러한 동일한 트리거 메시지는 주 OSD 헤더 뿐 아니라 OSD 갱신 블록(24) 모두에 대해 사용된다. 유일한 트리거 메시지는 각 OSD 갱신 블록(24)에서 필요로 하게 된다. OSD 갱신 블록 전송의 초기화는 타겟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로 트리거 메시지의 사용을 통해서만이 발생될 수 있다. 큐(queue)는 트리거 메시지가 수신된 동일한 순서로 처리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트리거 메시지는 전송되는 순서로 처리되어, 타겟이 어떤 OSD 갱신 블록이 하부에 속하는지 및 어떤 OSD 갱신 블록이 상부에 속하는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OSD 블록 0{주 OSD 헤더 및 팔레트(palette)}에 대한 트리거 메시지가 먼저 전송되고, OSD 블록 1에 대한 트리거 메시지가 뒤를 잇되, 기타도 이와 같다. 효과적으로, 제 1 갱신 블록은 하부에서 끝나고, 마지막 갱신 블록은 상부에서 끝난다. {즉, OSD 메뉴는 각 이후의 단계가 이전 단계의 부분을 오버라이트하는(overwrite)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OSD 블록이 진행 중에 구성되게 하여, 메모리 요구조건을 적게 유지한다.
비트 맵은 이미 각 OSD 블록에 대해 헤더의 뒤를 잇는다. 메모리에 저장된 OSD 픽셀은 팔레트로부터 세팅된 채도/휘도(chroma/luma) 레벨의 4:4:4 표시이다. 각 팔레트 엔트리는 투명성(T) 비트(transparency bit), 혼합(B) 비트(blending bit), Y의 6 비트, Cb의 4 비트, 및 Cr의 4 비트를 포함한다. 각 엔트리 당 투명성 비트와 혼합 비트는 타겟이 픽셀 및 픽셀 베이시스 상의 OSD 픽셀, 비디오 픽셀, 또는 혼합 픽셀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게 한다.
트리거 메시지는 타겟으로부터 수신된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내의 OSD 모듈은 트리거 메시지내에 인가된 메모리 위치에서 시작하는 메모리 억세스(즉, 비동기 판독)를 요청한다. OSD가 완전히 새로워진 경우, 제 1 트리거 메시지는 주 OSD 헤더 및 팔레트로 언급되어야 한다. 일단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 정보를 구비하면, 그 후에 제 2 트리거 메시지(즉, OSD 갱신 블록 1)에 지정된 정보를 요청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OSD 블록 1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판독하고, 실제 비트-맵 이미지를 구성하기 시작한다. 동시에, 타겟이 데이터 블록의 전송에 할당하였던 임의의 메모리를 고정하지 않도록 블록이 판독된다는 것을 타겟에 통보한다. 그 후에 이 이미지는 디스플레이된다. 추가 트리거 메시지가 수신된다면, 그러한 OSD 갱신 블록은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OSD 제어기(미도시)는 OSD를 구성하고 DTV(14)내의 디코딩된 MPEG 비디오와 믹싱(mix)하기 위해 이 데이터를 사용한다. OSD 갱신 블록이 오버라이트되고, 제거되거나, 사용자가 다른 장치를 선택할 때까지 OSD 갱신 블록은 스크린 상에 머무른다.
칼라 성분이 디스플레이되기 전에, 각 Y, Cb 및 Cr에 8 비트를 발생시키기 위해 OSD 제어기{즉, 최하위 비트가 제로로 패딩(padded)됨}에 의해 칼라 성분은 "좌측으로 조정"된다. 4:4:4 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디스플레이 제어기에 의해 출력된 4:2:2 MPEG 비디오로 다중 사용(muxed)된다.
블록 1에 대해 픽셀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OSD 모듈은 블록 2에 대한 헤더를 판독하고,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고 나서, 블록 2에 관련된 픽셀 데이터를 판독한다. OSD 모듈은 DTV가 상이한 소스를 선택하는 지점을 통해 이러한 과정(헤더 판독, 주소를 이용하는 데이터 요청, 픽셀 데이터 취득, 등)을 반복한다. 그 후에 이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적당한 포맷에 저장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OSD 제어기는 OSD를 구성하고, 디코딩된 MPEG 비디오와 믹싱하기 위해 이 데이터를 사용한다.
갱신은, 칼라 팔레트 또는 공간 해상도가 변경되지 않는 한, 원시 OSD가 주 OSD 헤더 및 칼라 팔레트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는 예외적인 경우와 함께 정확하게 동일한 방식으로 발생한다. 원격 제어(직접 또는 간접)로부터의 입력을 기초로, 타겟은 메모리 내에 바람직한 OSD 갱신 블록(들)을 구성한다. 이러한 블록은 매우 작은 경우도 있고, 이미 디스플레이된 OSD와 아마도 오버랩핑할 것이다. 일단 블록(들)이 준비되면, 타겟은 적절한 트리거 메시지(들)를 방출한다. 트리거 메시지(들)가 타겟으로부터 수신된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내의 OSD 모듈은 트리거 메시지에 지정된 메모리 위치에서 시작하여 메모리 억세스를 요청한다. 이러한 OSD 갱신 블록은 트리거 메시지가 수신된 동일한 순서로 현존하는 OSD를 거쳐 처리되고 오버레이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겟이 블록 전송에 할당된 임의의 내부 메모리를 고정되지 않을 수 있도록 성공적인 판독을 타겟에 다시 통보한다. 원시 OSD와 정확하게 같도록, 이러한 블록은 오버라이트될 때까지 디스플레이 상에 머무른다.
다양한 관찰이 타겟 내에 구성되고 나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적당히 디스플레이된다. 변경이 이루어질 때, 타겟은 디스플레이된 OSD가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결정하고, 적당한 갱신 블록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보낸다. 이 구성은 오버레이를 기억하도록 요구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비교하여, 복잡성과 버스 트래픽(traffic)을 감소시킨다.
전송될 데이터의 양은 제한된 칼라의 수를 사용하고, 두배로 된 수직선(vertical line)과 수평 해상도의 절반을 사용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20×240 OSD는 두배로 된 수직선과 수평 해상도의 절반을 지정함으로써 640×480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단지 4 비트 칼라만이 사용된다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의 양은 대략 39K바이트이다. 512byte가 500usec마다 페이로드(payload)된다고 가정하면, 이 OSD는 약 40msec로 전송될 수 있다. 적은 갱신은 당연히 더 적은 시간이 걸린다.
실시간 인코딩된 비디오는 비트-맵화된 OSD 메뉴를 전송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8 비트 칼라를 사용하는 640×480 디스플레이는 74M비트/sec 등시성 채널을 사용하여 30 프레임/sec로 전송될 수 있다. 아마도 하나의 그러한 채널은 클러스터 상에 지원될 수 있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될 현재 OSD 데이터의 시작 위치 및 크기와 함께, OSD 데이터의 유형을 나타내는 필드가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를 관람하는 사용자는 상태 메시지 또는 오류 메시지를 무시하길 원한다. OSD 데이터의 유형의 구별은,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 및/또는 사용자에게 도움이 된다.
트리거 메시지는 주 OSD 헤더 및 칼라 팔레트를 판독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통보하도록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트리거 메시지는 OSD를 소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또한 통보할 수 있다. OSD 갱신 블록 판독의 초기화는 타겟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트리거 메시지의 사용을 통해서만이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신된 바와 같이 동일한 순서로 처리해야 한다.
도 6은 디스플레이될 현존하는 OSD 영역(20)의 특정 하부-영역(sub-region)(32)의 갱신을 요청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4)에 의해 생성되는 하부-영역 메시지(30)의 사용을 도시한다. 이 메시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또는 몇몇 다른 장치로부터 오류 메시지가 현존하는 OSD의 부분을 오버라이트할 때와 같이 몇몇 상황에서 유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OSD의 이러한 하부-영역이 재전송되는 것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한 하부-영역 메시지는, 칼라 맵으로의 변경이 있을 때 유용하지만, 디스플레이 장치는 원시 OSD 갱신 비트맵의 복사를 저장하지 않는다. 하부-영역 메시지를 사용하는 또 다른 이익은 사용자가 상이한 장치를 선택한 후 초기 장치에 복귀할 경우에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개조하기 위해 몇몇 정보를 요청할 필요가 있다. 하부-영역이 블록으로서 요청될지라도, 이전에 그 하부-영역내에 존재했던 OSD의 형태가 본래 직사각형이 아닐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타겟은 이 하부-영역에 대한 정보를 다수의 OSD 갱신 블록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메시지는 하부-영역의 행/열 시작 좌표 및 폭/높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타겟이 OSD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그 메시지를 기다릴 필요가 없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대부분의 시간에, 들어오는(incoming) 원격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OSD로의 변경을 초기화할 것이다. 트리거 메시지는 어느 경우에나 OSDUB의 전송을 초기화하도록 사용될 것이다.
OSD 메뉴는 임의의 아래 ATSC 비디오 포맷을 통해 적당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화면 크기 프레임 속도 종횡비
1920×1080 60i - 30p 24p 16:9 -
1280×720 - 60p 30p 24p 16:9 -
704×480 60i 60p 30p 24p 16:9 4:3
640×480 60i 60p 30p 24p - 4:3
i=인터레이싱된(interlaced) p=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타겟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는 OSD 메뉴의 일반적인 포맷은 처음에 주 OSD 헤더를 전송하고, 두 번째로 칼라 팔레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OSD 메뉴는 갱신된 OSD 헤더 및 관련된 비트-맵화된 메뉴를 전송함으로써 부분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주 OSD 헤더는 칼라 맵에 대한 제어 정보, 및 필요한 OSD 영역의 해상도, 크기 등과 같은 일반적인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칼라 맵은 4개의 포맷(2 비트 칼라, 4 비트 칼라, 8 비트 칼라, 무 칼라 맵) 중 하나의 포맷일 수 있고, 또한 백그라운드(background) 비디오와 혼합하기 위한 시설을 포함한다.
주 OSD 헤더
주 OSD 헤더는 후속 OSD 메뉴의 포맷을 세팅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후속 헤더는 전체 OSD 영역 및 칼라 팔레트에 대한 정보(즉, 640×480 픽셀의 크기)를 포함한다. 주 OSD 헤더로의 변경은 타겟으로부터 트리거 메시지의 사용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달된다. 정의된 OSD 영역은 타겟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소스로 선택되는 경우에 유효하다.
주 OSD 헤더 포맷
15 14 13 12 11 10 9 8 7 6 5 4 3 2 1 0
OSD 헤더 유형 두배로 된 수직선 해상도 모드 믹스 웨이트 칼라 해상도 0
OSD 영역 높이 1
OSD 영역 폭 2
T0 B0 칼라0Y 칼라0Cb 칼라0Cr 3
T1 B1 칼라1Y 칼라1Cb 칼라1Cr 4
T2 B2 칼라2Y 칼라2Cb 칼라2Cr 5
T3 B3 칼라3Y 칼라3Cb 칼라3Cr 6
T4 B4 칼라4Y 칼라4Cb 칼라4Cr 7
T5 B5 칼라5Y 칼라5Cb 칼라5Cr 8
T6 B6 칼라6Y 칼라6Cb 칼라6Cr 9
T7 B7 칼라7Y 칼라7Cb 칼라7Cr 10
T8 B8 칼라8Y 칼라8Cb 칼라8Cr 11
T9 B9 칼라9Y 칼라9Cb 칼라9Cr 12
T10 B10 칼라10Y 칼라10Cb 칼라10Cr 13
T11 B11 칼라11Y 칼라11Cb 칼라11Cr 14
T12 B12 칼라12Y 칼라12Cb 칼라12Cr 15
T13 B13 칼라13Y 칼라13Cb 칼라13Cr 16
T14 B14 칼라14Y 칼라14Cb 칼라14Cr 17
T15 B15 칼라15Y 칼라15Cb 칼라15Cr 18
OSD 헤더 필드는 타겟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는 OSD 블록의 유 형, 예를 들어 주 OSD 헤더 또는 비트-맵 갱신 블록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각 수직선이 두배로 되는 것을 인가할 가능성이 있다. 인터레이싱(interlaced)된 디스플레이를 위해, 이것은 짝수 및 홀수 필드가 동일한 것을 지정하는 효과가 있다. 이 모드가 활성화될 때, OSD의 모든 라인은 즉시 반복된다(즉, 두배로 된다). 예를 들어, 수직 가능 비트가 트루(true)로 세팅되고, OSD 데이터의 5개의 라인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보냄으로써, OSD는 디스플레이 출력 상에서 10개의 라인을 발생시킨다. 그 후에, 블록 높이가 총 디스플레이된 OSD 라인(이 경우에, 10개)에 정확히 대응하도록 타겟이 블록 높이를 세팅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믹스 웨이트 비트(mix weight bits)는 OSD에 OSD와 비디오에 대한 혼합비(blending ratio)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각 비트는 1/16의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혼합비는 0(투명)으로부터 15/16(대체로 짙은 픽셀)으로의 범위이다. 동일한 믹스 웨이트는 각각 혼합 비트 세트{B[n]=1}를 갖는 모든 픽셀에 대해 사용된다. 믹스 웨이트는 사용불가능한 혼합을 갖는 팔레트가 무시되어, 짙은 OSD가 된다.
OSD 영역 높이 및 OSD 영역 폭은 타겟이 사용할 계획이 있는 OSD 영역(픽셀의 수에서)의 높이와 폭을 정의한다. 일반적인 영역은 640×480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 영역의 외부가 되는 OSD 갱신 블록의 부분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것이다. 칼라 해상도 비트는 예를 들어, 전체, 절반, 또는 1/3 해상도와 같은 OSD의 현행 해상도를 정의한다. OSD 영역 높이, OSD 영역 폭 및 칼라 해상도의 조합은 OSD 배치(OSD layout)를 효과적으로 세팅한다.
칼라 팔레트는 주 OSD 헤더에 즉시 종속한다. 각 팔레트 엔트리는 투명(T) 비트, 혼합(B) 비트, Y의 6 비트, Cb의 4 비트, 및 Cr의 4 비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3개의 칼라 성분의 각각이 MPEG 비디오와 믹싱하기 전에 하나의 바이트로 변환될 것을 주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각 필드(즉, Y)와 관련된 비트는 상기 바이트내의 최상위 비트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luminance)(Y)에 대해, 칼라 맵에 있는 6 비트는 휘도 바이트내의 6개의 최상위 비트이다. 각 엔트리에 대한 투명 비트 및 혼합 비트는 타겟이 픽셀 베이시스에 의한 픽셀 상의 OSD 픽셀, 비디오 픽셀, 또는 혼합 픽셀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게 한다. 칼라 팔레트로의 변경은 트리거 메시지의 사용과 후속 판독 동작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달된다.
메모리에 저장된 OSD 픽셀은 팔레트로부터 세팅된 채도/휘도 레벨의 4:4:4 표시이다. 비트 맵내의 값은 본질적으로 팔레트내에 인덱스(indexed)된다. 각 블록의 칼라 해상도가 팔레트에 대해 지정된 해상도보다 적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칼라 맵(즉, 8 비트/픽셀)내에 256개의 엔트리가 있다면, 특정 OSD 블록은 2 비트/픽셀, 또는 4 비트/픽셀, 8 비트/픽셀을 지정할 것이다. 이 예에서 2 비트/픽셀이 OSD 블록에 대해 인가된다면, 그 후에 이러한 2 비트는 칼라 맵의 처음 4개의 엔트리로 인덱스한다. 4 비트/픽셀이 OSD 블록에 대해 지정된다면, 이러한 4 비트는 칼라 맵의 처음 16개의 엔트리로 인덱스한다.
트루 칼라 모드에 대해, 디스플레이 장치내의 OSD 하드웨어는 OSD FIFO(미도 시)로부터 직접 4:2:2 데이터를 추출하고, 노멀 팔레트 룩업(normal palette look-up)을 통과함으로써 출력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보낸다. 믹싱 기능을 제외하고 OSD의 모든 노멀 기능이 지원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체, 절반, 또는 1/3 해상도내에 이 트루 칼라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임의의 픽셀은 Y 성분을 "0"으로 세팅함으로써 투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헤더 블록에 대한 모든 데이터가 후속 시퀀스, 즉 Y1, Cb1, Cr1, Y2, Y3, Cb3, Cr3, Y4...에 있는 4:2:2 포맷내에 존재한다고 가정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각 성분은 8 비트의 데이터이다. 이 포맷에서, Y1과 Y2 모두는 동일한 채도 성분(Cb1, Cr1)을 사용한다. 즉, 각 픽셀은 제 2 픽셀과 공유된 각 휘도 값 및 채도 정보의 한 세트에 의해 나타난다. 예를 들어, 픽셀(1 및 2)은 각 휘도 값(Y1 및 Y2) 및 채도 값(Cb1 및 Cr1)의 공통 세트에 의해 나타난다. 이것은 16 비트/픽셀의 유효 픽셀 크기로 된다. 팔레트 기반(palette-based) 모드에서와 같이, 짝수 픽셀에서만 OSD 갱신 블록에 대해 지원된다. 갱신 블록의 픽셀 포맷은, 영역의 하부 우측에 위치된 마지막 픽셀까지 가로 먼저, 세로를 그 다음을 구성하는 논리적 방법에 따라, 상부의 좌측 픽셀이 첫 번째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주어진 해상도와 라인 폭에서 요구된 라인 당 픽셀의 수를 적당하게 계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트루 칼라 비트-맵 포맷
픽셀 1-Y 픽셀 0&1-Cr 픽셀 0&1-Cb 픽셀 0-Y
픽셀 3-Y 픽셀 2&3-Cr 픽셀 2&3-Cb 픽셀 2-Y
등.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는 동일한 크기 OSD 영역에 대해 4배 내지 6배의 픽셀 밀도를 구비할 수 있다. 셋업 요구조건과 OSD 전송 횟수를 완화시키기 위해, 절반의 해상도와 1/3의 해상도 모드가 제공된다. 이러한 모드는 팔레트 기반 OSD와 트루 칼라 OSD 모두에 대해 이용가능하다. 도 7은 각각의 픽셀이 선택된 해상도에 기초하여 픽셀을 출력하도록 맵화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해상도 모드에 기초하여OSD 영역의 폭을 적당하게 세팅하는 것이 타겟에 달려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OSD 갱신 블록 헤더내의 시작 행과 폭은 디스플레이 장치(내부 디스플레이 픽셀 계수기에 기초)의 출력 디스플레이 픽셀에 직접 해당한다. 예를 들어, 행 시작 위치가 100이고 폭이 100이면, OSD 갱신은 픽셀 카운트(count) 100에서의 픽셀을 디스플레이하기 시작하여, 픽셀 카운드 199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기 시작할 것이다. 따라서, 이 기능은 선택된 해상도 모드에 의존하지 않는다. 해상도가 절반이고, 타겟이 이러한 동일한 픽셀의 세트를 디스플레이하려고 한다면, 폭을 200으로 조정해야 한다. 그 효과는 원시 OSD 화면이 수평으로 "늘어난" 버젼(version)을 보는 것이다.
최소한도로,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평에 대해 두배로 한 수직선과 1/2 또는 1/3 해상도 모드를 사용하여 2 비트/픽셀 OSD에서의 640×48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야 한다. 1/3 수평 모드에 대해, 이것은 640×480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및 데이터 전송 시간)를 갖는 1920×1080 디스플레이로 된다.
버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즉, 비트-맵화된 메뉴)은 적당한 시간의 양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 비트/픽셀을 갖는 640×480 OSD에 대해 요구된 모든 데이터는 1,228,800 비트를 필요로 한다. 모든 이러한 데이터는, 100 Mb/sec 버스, 512 바이트의 패킷 페이로드를 가정하고, 우리가 하나의 패킷을 각각 500μsec로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하면, 약 150ms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간은, 어떠한 OSD도 이러한 많은 공간을 차지할 수 없다는 것을 고려할 때 더욱 더 감소한다. 단지 전체 스크린 중 1/4(일반적인)를 사용하면, 대략 40ms 전송 속도가 된다. 적은 갱신은 수천분의 1초의 순서 상에 있을 수 있다.
OSD 갱신 블록
OSD 영역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의 정의된 영역이다. 상기 영역은 OSD 갱신 블록(OSDUB)(도 4를 참조)을 사용하여 채워진다. 각 OSD 갱신 블록은 스크린의 직사각형 부분이 갱신되도록 정의된다. 각 블록은 자체 헤더 정보와 비트-맵을 포함한다. 각 갱신 블록은 다른 블록에 의해 오버라이트될 때까지, 또는 "클리어 영역(clear region)" 트리거 명령이 수신될 때까지 스크린 상에 남아있을 것이다. 타겟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계를 고려하여) 이러한 블록 포맷의 완벽한 유연성을 갖는다.
OSD 갱신 블록의 크기(dimension)는 절대적이다(픽셀을 고려하면). 상기 블록의 좌표는 OSD 영역내에서 절대적이다. OSD 영역의 상부 좌측 코너는 좌표(0, 0)이다. 디스플레이된 OSD 블록의 높이/폭은 디스플레이 포맷에 따라 정해진다. 전송 포맷이 변한다면, OSD의 외관은 따라서 변경할 것이다. 전송 포맷이 변한다면, 메시지는, 포맷이 변경되는지를 타겟이 알게 하고, 필요하다면 타겟이 OSD를 재지정(re-specify)하게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타겟으로 제공될 것이다(디스플레이 정보에 따라 아래 논의를 참조). 대부분의 OSD가 디스플레이 포맷과 믹싱되고, 전송 포맷 변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 예견된다. 그러나, 타겟은, 비디오가 스크린의 상이한 부분을 차지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OSD를 여전히 재드로우(redraw)하길 원한다.
OSD 갱신 블록에 대한 헤더는 OSD 영역 내의 시작 위치 및 블록의 크기를 포함한다. 헤더(아래 참조)는 칼라 해상도를 나타내는 2개의 비트를 포함한다. 이 칼라 해상도는 주 OSD 헤더내에 지정된 해상도보다 적거나 동일해야 한다.
OSD 갱신 블록 헤더 포맷
15 14 13 12 11 10 9 8 7 6 5 4 3 2 1 0
OSD 헤더 유형 행 시작 위치 0
블록 높이 1
열 시작 위치 2
블록 폭 3
9 비트 이동 값 이동 이동 방향 단일 칼라 칼라 해상도 4
비트-맵 정보
행 시작 및 열 시작 포인터(pointer)는 디스플레이될 OSD 블록의 상부 좌측 코너를 정의한다. 이 박스의 외부에는, 어떠한 OSD도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것이다. 픽셀이 0에서 시작하여 증가하는 순서로 번호가 매겨지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블록 높이와 블록 폭은 디스플레이될 OSD 블록(픽셀의 수에서)의 높이와 폭을 정의한다. 이 박스의 외부에는, 어떠한 OSD도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것이다.
이제까지 단일 칼라 갱신 블록을 보내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었다. 단일 칼라가 지정될 때, 단일 칼라만이 갱신 블록(지정된 영역의 비트-맵에 마주 보는 바와 같이)에 보내진다. 상기 칼라는 헤더에 의해 수반된 포맷에 공급된다. 단일 칼라(SC) 비트는 세팅될 때 전체 OSD 갱신 블록이 단일 칼라인 것을 지정한다. 이 경우에, 비트-맵 정보는 칼라 해상도 비트에 의해 지정된 포맷내에 하나의 칼라를 포함할 것이다.
갱신 블록은 특정 영역, 즉 상측, 하측, 우측, 또는 좌측에 픽셀을 이동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동될 데이터는 갱신 블록의 비트-맵 부분 내에 공급된다. 예를 들어, 200×100 영역이 갱신 블록에 의해 지정되고, 10개의 픽셀에 의한 우측 이동이 지정되면, 갱신 블록에 공급된 비트-맵은 10×100이 될 것이다. 2개의 비트 필드는 이동 방향을 지정한다.
주장될 때, 이동 비트는 이 갱신 블록에 의해 지정된 영역이 지정된 수의 픽셀에 의해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된다는 것을 지정한다. 이동되어야 할 데이터는 갱신 블록의 비트-맵 데이터 부분에 포함된다.
이동 비트가 세팅될 때, 이러한 9 비트 이동 값 필드는 데이터가 이동되어 픽셀의 수를 지정한다. 갱신 블록에 포함된 비트-맵의 크기는 이동 방향에 수직인 크기(dimension)와 이 필드의 함수이다.
하부-영역 요청
디스플레이 장치(14)가 미리 보내진(도 6을 참조) 영역(20)의 특정 부분(32)을 요청하도록 허용하는 하부-영역 메시지(30)가 또한 정의되었다. 이것은, OSD가 상이한 장치 또는 유사한 것으로부터의 오류 메시지에 대해 일시적으로 오버라이트되어야 하는 경우에 유용할 것이다. 이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필요할 때(다시 메모리 요구조건을 적게 하는) 영역을 요청할 수 있다.
OSD 하부-영역 요청 메시지 요약
<-- 1 바이트--><---1 바이트---><---1 바이트---><---1 바이트--->
FCP CTS=1h APDU=E0h 콘텍스트 ID=90h 객체 ID=03h
방법 ID=46h IV ID=6Ch 구획 문자=F5h 구획 문자=F5h
데이터 시작=F4h 데이터 길이=38h 에스케이프=F6h OSD_하부-영역_요청
OSD_하부-영역_요청
OSD_하부-영역_요청 명령의 끝=F9h
<-------------------------- 1 쿼들렛---------------------------->
필드 "OSD_하부-영역_요청"은 다음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테이블 1- OSD 트리거 메시지 포맷
SR 행 SR 열 SR 높이 SR 폭
<---------------><---------------><--------------><-------------->
2 바이트 2 바이트 2 바이트 2 바이트
SR_행: 상부로부터 행의 수(상부 행이 OSD 사용에 대해 타겟에 의해 요청된 영역의 상부에 관하여 0임).
SR_열: 좌측으로부터 열의 수(좌측 열은 OSD 사용에 대해 타겟에 의해 요청된 영역의 좌측에 관하여 0임).
SR_높이: 행의 수로 본 하부영역의 높이(대부분은 OSD 영역에서의 행의 수보다 적어야 함).
SR_폭: 열의 수로 본 하부영역의 폭(OSD 영역에서의 열의 수보다 적어야 함).
SR_높이=SR_폭=0이라면, 요청은 주 OSD 헤더와 칼라 맵을 다시 보내기 위한 요청으로 해석될 것이다.
OSD를 생성시킬 수 있는 모든 타겟은 아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OSD 하부-영역 객체(object)를 구현할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역과 폭 및 높이의 상부 좌측 코너의 행/열 좌표를 지정함으로써 적용가능한 하부-영역을 전송한다. IEC 61883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FCP 프레임으로 가는 메시지 신택스(syntax)가 아래에 도시된다.
디스플레이 정보
다음의 메시지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 포맷이 변경되었다는 것을 타겟에게 통보하도록 정의되었다. 디스플레이 포맷(다른 정보와 함께)은 언제라도 타겟에 의해 판독되도록 또한 이용가능할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타겟으로 제공된 피드백은 전체 OSD 비트-맵 플랜이 무엇이며(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포맷과 동일한), 플랜의 어떤 부분이 오버래핑(overlapping)된 비디오를 갖는 것인가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OSD 비트-맵 플랜은 1920×1080일 수 있지만, 인입(incoming) 비디오가 4:3 종횡비를 갖는 640×480이라면, 결과적인 비디오는 좌표(319, 59)에서 비디오의 상부 좌측 코너에 1280×960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정보
<---1 바이트----><---1 바이트----><---1 바이트---><---1 바이트---->
FCP CTS=1h APDU=E0h 콘텍스트=90h 객체 ID=04h
방법 ID=46h IV ID=6Ch 구획 문자=F5 구획 문자=F5
데이터 시작=F4h 데이터 길이=3136h 에스케이프=F6h
비트-맵 해상도/위치 및 비디오 위치
비트-맵 해상도/위치 및 비디오 위치
비트-맵 해상도/위치 및 비디오 위치
비트-맵 해상도/위치 및 비디오 위치
명령의 끝=F9h 제로 패드
<--------------------------- 1 쿼들렛----------------------------->
비트-맵 해상도/위치 및 비디오 위치 필드
수평 전체 스크린 비트-맵 크기(픽셀) 수직 전체 스크린 비트-맵 크기(픽셀)
OSD 영역 시작 열 위치 OSD 영역 시작 행 위치
디스플레이된 비디오의 폭(픽셀) 디스플레이된 비디오의 높이(픽셀)
비디오 시작 열 위치 비디오 시작 행 위치
<------------------------ 1 쿼들렛---------------------------------->
응용 제어 언어
가전 장치가 IEEE 1394 시리얼 버스를 거쳐 상호연결된 다른 장치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공통적인 명령어 세트가 정의되어야 한다. 장치 모델링 및 제어에 대한 3개의 표준 방식은 CAL, AV/C 및 범용 시리얼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에 대해 채택된 방식이다.
제어 언어의 설계는, 모든 가전 제품이 공통 부분 또는 기능의 계층적인 구조를 갖는다는 가정을 기초로 한다. CAL 및 AV/C는 논리적 및 물리적 실체(entities)를 구별하는 제어 언어이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즉, 물리적 실체)은 튜너, 오디오 증폭기 등과 같은 다수의 기능적 성분(즉, 논리적 실체)을 구비할 것이다. 그러한 제어 언어는 2개의 주 기능, 즉 리소스 할당(resource allocation) 및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리소스 할당은 제너릭 네트워크 리소스(generic network resource)를 요청하고, 사용하며 해제하는 것과 관련된다. 메시지 및 제어는 IEC-61883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전술한 바와 같이 FCP에 의해 전송된다. 예를 들어, CAL은 명령어 신택스에 대해 객체 베이스 방법론을 채택한다. 객체는 순간 변수(IV: Instance Variables)로 공지된 내부 값의 정해진 수를 포함하고, 단독 억세스를 구비한다. 각 객체는 방법의 내부 리스트를 유지한다. 방법은 객체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결과로 얻는 작용이다. 방법이 야기될(invoked) 때, 하나이상의 IV는 일반적으로 갱신된다. 메시지는 0이나 그 이상의 파라미터를 수반하는 방법 식별자(identifier)로 이루어져 있다. 객체가 방법을 수신할 때, 상기 객체는 메시지에 식별된 방법에 부합하는 객체에 대한 방법의 리스트를 조사한다. 만약 발견되면, 상기 방법은 수행될 것이다. 메시지에 공급된 파라미터는 방법의 정확한 수행을 결정한다.
OSD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모든 장치는 후속하는 OSD 객체를 구현해야 한다. 이 객체는 트리거 메시지 접근으로 비동기 PULL을 가정한다. 이 객체는 타겟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로 트리거 메시지에 전송된다. 그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겟의 버스 맵화된 메모리 공간으로부터 메뉴를 판독함으로써 메뉴를 풀링(pull)한다. 이 요청의 응답은 타겟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러한 갱신 블록을 판독한다는 표식(indication)으로서 사용될 것이다.
OSD 갱신 트리거 객체
2 OSD 갱신 트리거 객체 (16) 데이터 메모리
객체는 디스플레이 가능 장치에tj OSD 메커니즘을 트리거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IV R/W 유형 이름 콘텍스트 함수
a(61) b(62) R R 수 수 블록_의_크기 레코드_의_길이 바이트 단위의 "메모리_블록"의 크기(디폴트 값=10) 바이트 단위의 현행_레코드의 길이(디폴트 값=10)
C(43) R/W 현행_인덱스 (디폴트 값=0)으로지정된 현행 레코드 블록
I(6C) R/W 데이터() 메모리_블록 각 레코드에서, 6의 MSB는 오프셋을 포함하고 LSB는 OSD_유형을 포함하며, 나머지 3 바이트는 바이트 단위의 OSD 길이를 나타낸다.
OSD를 생성시킬 수 있는 모든 장치는 후속하는 OSD 하부영역 요청 객체를 구현해야 한다. 이 객체는, 좌표 행과 열, 폭과 높이를 갖는 OSD의 하부-영역을 요청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타겟으로 요청 메시지내에서 운반된다.
OSD 하부영역 요청 객체
3 OSD 하부-영역 요청 객체 (16) 데이터 메모리
객체는 OSD의 하부-영역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IV R/W 유형 이름 콘텍스트 함수
a(61) b(62) R R 수 수 블록_의_크기 레코드_의_길이 바이트 단위의 "메모리_블록"의 크기(디폴트 값=8) 바이트 단위의 현 행_레코드의 길이(디폴트 값=8)
C(43) R/W 현행_인덱스 (디폴트 값=0)으로지정된 현행 레코드 블록
I(6C) R/W 데이터(8) 메모리_블록 각 레코드에서, 2 MSB는 행 좌표, 다음 2 바이트는 열 좌표 , 다음 2 바이트는 높이 및 2 LSB는 하부-영역의 폭을 포함한다.
후속하는 객체는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타겟에 통보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OSD 비트-맵 플랜의 해상도와 크기, 및 디스플레이된 비디오의 위치와 크기 정보이다.
디스플레이 정보 객체
4 디스플레이 정보 객체 (16) 데이터 메모리
객체는 OSD 및 디스플레이 포맷을 타겟에게 통보하기 위해 사용된다.
IV R/W 유형 이름 콘텍스트 함수
a(61) b(62) R R 수 수 블록_의_크기 레코드_의_길이 바이트 단위의 "메모리_블록"의 크기(디폴트 값=16) 바이트 단위의 현행_레코드의 길이(디폴트 값=16)
C(43) R/W 현행_인덱스 (디폴트 값=0)으로 지정된 현행 레코드 블록
I(6C) R/W 데이터(16) 메모리_블록 각 레코드에서, 4 MSB는 전체 스크린 비트-맵 크기를 포함하고, 다음 4 바이트는 OSD 영역의 위치를 포함하고, 다음 4 바이트는 디스플레이된 비디오의 크기를 포함하고, 마지막 4 바이트는 디스플레이된 비디오의 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다수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된 반면, 전술한 것을 읽고 이해함에 따라, 기술된 실시예에 대한 다수의 변경이 당업자에게 가능할 것이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내에 그러한 변경을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 버스와 같은 상호연결을 거쳐, 가전 장치 등과 같은 다수의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등에 이용가능하다.

Claims (11)

  1. 디지털 장치로서,
    (a)디지털 버스로 상호연결된 주변 장치에서, 상기 주변 장치에 의해 생성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비트-맵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b)비디오 신호를 나타내는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c)상기 디지털 장치에서, 조합된 디스플레이가능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비트-맵화된 데이터와 상기 디지털 스트림을 조합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a)상기 미리 수신된 데이터의 갱신된 부분을 나타내는 후속하는 비트-맵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b)갱신되고 조합된 디스플레이가능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수신된 후속하는 비트-맵화된 데이터로 상기 조합된 디스플레이가능한 이미지를 갱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갱신되고 조합된 디스플레이가능한 이미지는 상기 주변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갱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된 디스플레이가능한 이미지의 부분은 오버라이트되고, 상기 디지털 장치는,
    (a)상기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조합된 디스플레이가능한 이미지의 상기 오버라이트된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비트-맵화된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수단, 및
    (b)상기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비트-맵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된 디스플레이가능한 이미지 내에서 상기 비트-맵화된 데이터를 이동시키기(shifting)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
  5. 디지털 버스를 거쳐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호연결된 주변 장치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a)상기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주변 장치와 관련된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주변 장치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뉴에 의해 생성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b)비동기 판독 요청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주변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와,
    (c)상기 비동기 판독 요청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비트-맵화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d)비디오 신호를 나타내는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및
    (e)조합된 디스플레이가능한 이미지를 생성시키기 위해,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비트-맵화된 데이터와 상기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을 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조합된 이미지는 상기 주변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조합 단계
    를 수행하는, 주변 장치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온-스트린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상기 데이터는 상기 주변 장치의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비트-맵화된 데이터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장치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헤더 및 비트-맵화된 갱신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헤더는 상기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뉴의 파라미터를 정의하여, 상기 비트-맵화된 갱신 블록은 상기 메뉴의 위치와 내용을 정의하는, 주변 장치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7. 디지털 텔레비젼 장치에 있어서,
    (a)디지털 버스로 상호연결된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주변 장치와 관련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비트-맵화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단과,
    (b)상기 디지털 버스를 통해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미리 전송된 비트-맵화된 데이터의 갱신된 부분을 나타내는, 후속하는 비트-맵화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후속하는 비트-맵화된 데이터는 상기 미리 전송된 비트-맵화된 데이터로 인덱스된,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 비트-맵화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텔레비젼 장치.
  8. 디지털 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의 소스에 연결되어 상기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디지털 장치와 관련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비트 맵화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과,
    디지털 버스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직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전송 수단은 상기 디지털 버스를 통해 상기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와 상기 비트 맵화된 데이터를 별개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전송하는, 전송 수단과,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생성 수단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비트 맵화된 데이터를 생성하고 전송하도록 적응되는,
    디지털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07004956A 1997-11-25 1998-11-20 디지털 버스로 상호연결된 디지털 장치에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메뉴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05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678297P 1997-11-25 1997-11-25
US60/066,782 1997-11-25
US7134198P 1998-01-14 1998-01-14
US60/071,341 1998-01-14
US7369398P 1998-02-04 1998-02-04
US60/073,693 1998-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800A KR20010015800A (ko) 2001-02-26
KR100605656B1 true KR100605656B1 (ko) 2006-07-28

Family

ID=27371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956A KR100605656B1 (ko) 1997-11-25 1998-11-20 디지털 버스로 상호연결된 디지털 장치에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메뉴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1034654B1 (ko)
JP (1) JP4596343B2 (ko)
KR (1) KR100605656B1 (ko)
CN (1) CN1212007C (ko)
AU (1) AU762427B2 (ko)
BR (1) BR9814659B1 (ko)
CA (1) CA2318937C (ko)
DE (1) DE69816334T2 (ko)
ES (1) ES2202916T3 (ko)
HK (1) HK1034398A1 (ko)
TR (1) TR200001498T2 (ko)
WO (1) WO19990277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4870B1 (en) * 2000-03-31 2002-05-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synchronizing HDTV format change with on screen display
KR100771386B1 (ko) * 2000-05-12 2007-10-31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디지털 텔레비전 장치, 통신 채널 확립 방법 및 osd 신호 발생 방법
JP2002108326A (ja) * 2000-09-29 2002-04-10 Toshiba Corp 映像処理装置
JP4104300B2 (ja) * 2001-06-25 2008-06-18 三洋電機株式会社 複数機器制御システム
CN1322755C (zh) * 2001-12-18 2007-06-20 汤姆森许可公司 为联网设备的设置菜单生成图文显示的方法和设备
WO2005048581A2 (en) * 2003-11-10 2005-05-26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ynamic display of conten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device in a network
US9860560B2 (en) * 2014-07-02 2018-01-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palette mode coding
CN111402380B (zh) * 2020-03-12 2023-06-30 杭州小影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gpu压缩纹理处理方法
CN114785975A (zh) * 2022-04-27 2022-07-22 珠海鸿芯科技有限公司 视频osd显示方法、计算机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06113D0 (en) * 1991-03-22 1991-05-08 D2B Systems Co Ltd Local communication bus system and apparatus for use in such a system
DE69228404T2 (de) * 1991-03-22 1999-09-02 D2B Systems Co Ltd Geräte eines lokalen Bus-Kommunikationssystems
JPH0690450A (ja) * 1991-05-13 1994-03-29 Toshiba Corp 単方向catv装置
JP3272046B2 (ja) * 1992-09-22 2002-04-08 三洋電機株式会社 リモコン送信器、及び該リモコン送信器によって操作制御される操作対象機器、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リモコンシステム
JP3158364B2 (ja) * 1992-10-13 2001-04-23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JP3611588B2 (ja) * 1992-12-21 2005-01-19 ソニー株式会社 送信方法、受信方法、通信方法及び双方向バスシステム
GB9325299D0 (en) * 1993-12-10 1994-02-16 D2B Systems Co Ltd Local communication system and station for use in as system
EP0842582A1 (en) * 1995-08-02 1998-05-20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Linked list structure onscreen display
JP3870436B2 (ja) * 1995-11-02 2007-01-1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信号記録機器及び通信方法
JPH09149325A (ja) * 1995-11-21 1997-06-06 Sony Corp グラフイック表示データ分散型avシステム
KR19980042023A (ko) * 1996-11-01 1998-08-17 윌리엄비.켐플러 오디오 영상 시스템용 집적 회로
JP3612696B2 (ja) * 1996-12-18 2005-01-1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H10285664A (ja) * 1997-04-08 1998-10-23 Kenwood Corp Avシステム
KR100230281B1 (ko) * 1997-04-14 1999-11-15 윤종용 프로그램 번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과 프로그램 번호 전송 및 수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814659B1 (pt) 2013-02-05
DE69816334D1 (de) 2003-08-14
AU1591999A (en) 1999-06-15
CN1212007C (zh) 2005-07-20
JP2001524785A (ja) 2001-12-04
BR9814659A (pt) 2000-10-03
TR200001498T2 (tr) 2001-05-21
CA2318937A1 (en) 1999-06-03
DE69816334T2 (de) 2004-05-13
WO1999027710A1 (en) 1999-06-03
ES2202916T3 (es) 2004-04-01
CN1279860A (zh) 2001-01-10
KR20010015800A (ko) 2001-02-26
AU762427B2 (en) 2003-06-26
HK1034398A1 (en) 2001-10-19
EP1034654A1 (en) 2000-09-13
EP1034654B1 (en) 2003-07-09
JP4596343B2 (ja) 2010-12-08
CA2318937C (en) 2006-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9859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1016271B1 (en) Digital televis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eripheral device via a digital bus
KR100771386B1 (ko) 디지털 텔레비전 장치, 통신 채널 확립 방법 및 osd 신호 발생 방법
KR100460219B1 (ko)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KR100605656B1 (ko) 디지털 버스로 상호연결된 디지털 장치에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메뉴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7362381B1 (en) Device interoperability utilizing bit-mapped on-screen display menus
EP1491051A2 (en)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enabling the selection and mixing of multiple streams of audio/video data from multiple sources within a receiving device allowing external control
KR100581603B1 (ko) 디지털 tv에 연결된 dvd 플레이어를 포함하는 시스템 동작 방법, 및 디지털 tv
JPH11341472A (ja)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及びデバイス
EP134542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peripheral consumer electronic device
US7068920B1 (en) Digital baseband interface for a DVD player
MXPA00004942A (es) Interoperabilidad de dispositivo que utiliza menus de despliegue en pantalla con mapa de bits
JP2001145175A (ja)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に用いるデバイス並びにコントローラ
KR100619702B1 (ko) 디티브이 링크의 고해상도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방법
MXPA00002741A (en) Peripheral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is device via a digital b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