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243B1 - 래칫 니들 - Google Patents

래칫 니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243B1
KR100605243B1 KR1020040071982A KR20040071982A KR100605243B1 KR 100605243 B1 KR100605243 B1 KR 100605243B1 KR 1020040071982 A KR1020040071982 A KR 1020040071982A KR 20040071982 A KR20040071982 A KR 20040071982A KR 100605243 B1 KR100605243 B1 KR 100605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needle
cleaning
saw slot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6878A (ko
Inventor
스탕겔우베
쉬몰한스볼프강
하이닝우베
페렌벡커에카르트
Original Assignee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filed Critical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ublication of KR20050026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4Latch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래칫 니들(1)은 그 래칫 생크 단부(18)상에서 세정 프로파일(19)을 구비한 래칫(5)를 갖는다. 세정 프로파일(19)은 소우슬롯(sawslot)(6)을 오염물이 없는 상태로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이를 위해서, 이는 적어도 하나의 특수한 세정면(24)을 갖는다.
래칫 니들, 세정 프로파일, 소우슬롯, 세정면, 니들 본체

Description

래칫 니들{Latch needle}
도 1은 래칫 니들의 단순화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래칫 니들의 다른 척도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 또는 도 2의 래칫 니들의 다른 척도의 부분 파단 측면도.
도 4는 래칫 니들의 변형 실시예의 부분 파단 측면도.
도 5는 래칫 니들을 위한 래칫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다른 세정 프로파일을 갖는 래칫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8은 래칫 스프링을 구비한 본 발명의 래칫 니들의 일 실시예의 부분 파단 측면도.
도 9는 후부에서 폐쇄된 소우슬롯을 가지는 래칫 니들의 실시예의 부분 파단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래칫 니들 2 : 니들 본체
3 : 생크 4 : 후크
5 : 래칫 6 : 소우슬롯
7 : 지지 디바이스 8 : 스푼
9, 11 : 소우슬롯 벽 12, 13 : 플랭크
14 : 니들 상부 15 : 니들 후부
16 : 래칫 구멍 17 : 지지 저널
19 : 세정 프로파일 21, 21a, 21b : 견부
22 : 단부면 23 : 중심
24 : 세정면 25 : 에지
26 : 래칫 생크 하면 27 : 후부면
28 : 영역 29 : 돌출부
31 : 단부면 32, 33 : 에지
35 : 래칫 스프링 36 : 기능 프로파일
37 : 파셋 AE : 간격
AF : 간격 L : 라인
R : 반경 X : 종방향
I, II : 부분
본 발명은 편물기(knitting machines)용 래칫 니들에 관한 것이다.
편물기는 일 단부상에 생크를 형성하고, 그 생크는 그 자유 단부상에서 후크로 변화하는 가는 니들 본체를 가지는 소위 래칫 니들을 구비하는 경우가 많다. 후크의 부근에서, 소우슬롯(sawslot)이 제공되며, 그 내부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된 래칫이 배치된다. 이 래칫은 선회 운동을 실행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후크의 얀 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한다. 이런 래칫 니들은 예로서, 일본 특허공개공보 JP 61-133586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 래칫 니들은 니들 치크(needle cheek)로부터 니들 후부로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소우슬롯을 가지며, 래칫은 장애물 없이 이 소우슬롯내에 선회가능하게 자유롭게 지지된다. 래칫 지지부의 부근에서, 래칫은 라운드형 팁을 구비한 무딘 연장부를 갖는다.
US 특허 제1,163,296호로부터, 니들상에 제공된 슬라이드를 거쳐서 그 래칫이 이동될 수 있는 소우슬롯이 공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래칫은 일 단부상에 오목부를 가지며, 이 오목부는 슬라이드의 팁과 연계되고, 그에 의해 래칫은 필요에 따라 후크 또는 니들 후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소우슬롯내로 돌출하는 슬라이드로 인해, 래칫은 조건부로만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니들이 슬라이드를 위한 부가적인 트랙을 갖는 캠과 함께만 작동할 수 있게 한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JP 8-60504호에는, 후부에서 개구된 소우슬롯 및 래칫과 협력하는 래칫 스프링을 구비한 래칫 니들이 공지되어 있다. 래칫의 두 개의 안정한 위치를 규정하기 위하여, 스프링을 향한 그 단부상에서 래칫은 평탄한 표면과 캠을 갖는다.
상술된 모든 니들은 작동시 오염의 문제가 있으며, 그 결과로, 섬유 잔류물, 오일 및 먼지로 구성된 덩어리가 소우슬롯내에 모일 수 있다. 이런 오염물의 축적이 과도해지면 래칫 니들의 기능을 저해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에 덜 취약한 래칫 니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래칫 니들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래칫 니들은 소우슬롯내에 지지된 그 단부상에서 소우슬롯을 위한 세정 프로파일로서 형성된 래칫을 갖는다. 이는 특수한 세정 프로파일을 갖는 래칫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세정 프로파일은 소우슬롯에 도달되는 섬유 잔류물 또는 기타 오염물을 이동시키고 래칫의 왕복 운동 동안 소우슬롯의 외부로 이를 밀어내도록 기능한다. 따라서, 비교적 다량의 벗겨진 섬유 또는 기타 오염물이 발생하여 소우슬롯에 도달하는 경우에도 래칫의 이동성이 보장될 수 있다.
세정 프로파일은 래칫 스푼상에 형성된 견부 또는 연장부이지만, 래칫 구멍의 중심으로부터 볼 때 래칫은 전체적으로 단지 미소하게만 길어지는 것이 적합하다. 래칫 구멍의 중심과 돌출부의 단부면 사이의 공간은 래칫 구멍의 중심으로부터 플랭크의 공간 보다 크지 않거나, 또는 충분히 크지 않은 것이 적합하다. 치수비는 약 0.8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1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세정 프로파일은 래칫의 전체 폭을 횡단하여 래칫 구멍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날카로운 에지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 이 에지의 라운딩 반경은 가능한 한 미소하다. 따라서, 소우슬롯내에 존재하는 먼지는 확실하게 포획되고 소우슬롯 외부로 밀린다. 또한, 세정 프로파일은 가능한 한 평탄하고 래칫 구멍에 대해 거의 반경방향으로 배향되는 면을 가지며, 이 면은 섬유 잔류물 또는 기타 먼지를 래칫의 선회 운동시 그 전방으로 미는 기능을 한다. 이 면은 비교적 날카로운 에지와 접경하는 래칫의 측면 플랭크까지 연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먼지가 소우슬롯의 측벽과 래칫의 플랭크 사이의 간극내에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세정 프로파일은 치형 프로파일로 고려될 수 있다.
세정 프로파일은 자유롭게 선회가능하게 지지된 래칫을 갖는 래칫 니들에 제공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래칫 니들은 스프링, 슬라이드 등과 같이 선택된 위치에 래칫을 고정하기 위한 어떤 수단도 갖지 않는다. 대신에, 래칫은 그 지지 저널상에서 저 마찰로 자유롭게 전후로 선회할 수 있으며, 선회 운동은 얀 및/또는 래칫 니들의 운동 그 자체에 의해 제어된다. 소우슬롯은 양 측면상에서, 즉 니들 치크로부터 니들 후부까지 연속적으로 양 측면상에서 개방될 수 있거나, 또는 후부 측면상에서 폐쇄될 수 있다. 양자 모두의 경우에, 래칫의 세정 프로파일은 소우슬롯을 청결하게 유지한다.
그러나, 래칫 니들은 또한 필요시 래칫의 하나 이상의 선택된 선회 위치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세정 프로파일은 스프링과 협력하는 다른 기능 프로파일에 부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세정 프로파일은 그들에 무관하게 소우슬롯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의 다른 세부사항은 청구범위, 도면 또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그 단부상에 후크(4)가 제공된 생크(3)를 갖는 니들 본체(2)를 구 비하는 래칫 니들(1)이 도시되어 있다. 지지 디바이스(7)에 의해 소우슬롯(sawslot)(6)내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된 래칫(5)이 후크와 연계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우슬롯(6)은 후크(4)의 바로 부근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 스푼(8)을 갖는 래칫(5)이 한편으로는 후크(4)에 접촉하여 얀 챔버를 폐쇄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생크(3)와 접촉하여 휴지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소우슬롯(6)은 그를 향해 래칫이 그 플랭크들(12, 13)을 향하는 두 개의 소우슬롯 벽들(9, 11)에 의해 형성된다. 도 3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소우슬롯(6)은 니들 상부(14)로부터 니들 후부(15)까지 연장한다. 즉, 이는 양 측면상의 개구로서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5)은 그를 통해 래칫 구멍(16)에 도달하고 지지 디바이스(7)를 형성하는 베어링 저널(17)을 갖는다. 도 3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베어링 저널(17)은 니들 상부(14)와 니들 후부(15) 사이의 거의 중앙에 배치된다. 니들 상부(14) 또는 니들 후부(15)에 대한 지지 디바이스(7)의 배열은 특정 편물기 분야의 함수로 규정되어야 한다. 래칫 구멍(16)은 래칫 생크 하면(26)과 후부면(27) 사이에서 중심적으로 또는 편심적으로 래칫 생크 단부(18)에 배치될 수 있다.
래칫 구멍(16)을 구비한 래칫(5)의 단부는 세정 프로파일(19)을 구비한 래칫 생크 단부(18)이다. 세정 프로파일은 후방 단부면(22)이 래칫 구멍(16)의 중심(23)으로부터 그 간격을 급격히 감소시키는 견부(21)에 의해 형성된다. 그 결과는 바람직하게는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즉 원주방향으로 배향된 세정면(24)이며, 이는 다소 날카로운 에지에 대해 래칫(5)의 플랭크(12, 13)에 인접한다. 또한, 바람 직하게는 다소 날카로운 에지(25)에 대해, 세정면(24)은 단부면(22)에 인접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세정면(24)은 래칫(5)이 휴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니들 상부(14)를 지향한다. 견부(21)는 래칫 구멍(16) 및 스푼(8)을 포함하는 라인상에 배치되는 것이 적합하다. 적용가능한 라인(L)이 도 3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중심(23)으로부터 단부면(22)의 최대 공간(예로서, 라인(L)에 의해 사전 결정된 지점에서 측정됨)은 중심(23)으로부터 래칫(5)의 후부면(27) 또는 래칫 생크 하면(26)의 최대 간격과 일치한다. 반대로, 중심(23)에 보다 인접하게 배치된 래칫(5)의 영역(28)이 견부(24)에 인접한다.
지금까지 설명된 래칫 니들(1)은 하기와 같이 기능한다.
작동시, 래칫(5)은 그 종방향(X)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이 프로세스에서, 저 마찰로 자유롭게 선회가능하게 지지된 래칫(5)은 도 3의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 I로부터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 II로 주기적으로 선회하고 다시 되돌아간다. 이 프로세스에서, 세정면(24)도 전후로 선회한다. 그 결과, 래칫(5)이 위치 II로부터 위치 I로 선회할 때마다, 소우슬롯(6)에 도달된 오염물은 세정면(24)에 의해 포획되어 이동되거나, 또는 달리 말해서, 그와 함께 운반된다. 따라서, 이러한 오염물은 니들 후부(15) 및 니들 상부(14) 양자에서 소우슬롯(6)으로부터 배출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래칫(5) 운동의 원활한 실행이 보전된다. 세정면(24)이 실질적으로 평탄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세정면(24)의 전방으로 밀려진 오염물은 또한 플랭크(12, 13)와 소우슬롯 벽(9, 11)의 내부 측면 사이의 간극에 포획되는(끼워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동일 참조 번호에 기초하여 상술한 바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차이점은 하기에 설명된다.
견부(21)는 상술한 예시적 실시예와 반대로 배향되어 있다. 래칫(5)이 도 4에 도시된 휴지 위치(위치 I)에 있는 경우에, 그 후에 세정면(24)은 니들 후부(15)를 지향한다. 또한, 에지(25)의 라운딩은 다소 크며, 세정면(24)은 반경방향으로 정밀하게 배향되지 않는다. 단부면(22)의 영역(28)은 래칫 구멍(16)의 중심(23)에 대하여 거의 반경을 따른다. 이러한 구성은 소우슬롯(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염물을 운반하는 세정면(24)의 효과를 향상시킨다. 또한, 오염물의 전진은 니들의 역방향 행정 각각의 경우에, 즉 위치 I로부터 위치 II로 래칫(5)의 전이시 실행된다. 오염물의 이송은 여기서 니들 후부(15)를 향해 양호하게 나타난다.
도 5는 그 세정면 또는 세정 프로파일(19)로서 단부면(22)상에 제공된 돌출부(29)를 갖는 래칫(5)의 다른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다. 돌출부(29)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단부면(31)을 구비하고, 이는 날카로운 에지가 둘레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특히, 단부면(31)은 날카로운 에지(32)를 갖는 플랭크(12)와 인접하고, 날카로운 에지(33)를 갖는 플랭크(13)와 인접한다. 실질적으로 평탄한 세정면(24a, 24b)을 향해 에지는 라운딩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날카로워질 수도 있다.
이 래칫(5)의 장점은 양 선회 방향, 즉 위치 I로부터 위치 II로의 전이 및 그 역방향 양자 모두에 있어서 정화 및 세정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래칫(5)의 다른 실시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해,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한 표시가 적용된다. 또한, 이미 상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후부면(27)으로부터 중심(23)까지의 간격 AF가 단부면(22)으로부터 중심(23)까지의 간격 AE와 거의 동일하다는 것은 여기서도 마찬가지 사실이다. AE에 대한 AF의 비율(AF/AE)은 0.8 내지 1.5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1이다. AE는 중심(23)으로부터 가장 먼 단부면(22)의 부분에서 측정되거나, 또는 단부면(31)에서 측정된다. 이 단부면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3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동일한 환경하에서 세정 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킨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일 견부(21) 대신에 동일 또는 다른 방향 중 어느 하나로 배향된 견부(21a, 21b)의 연속체가 제공될 수 있다. 가장 단순한 경우에, 래칫 생크 단부(18)의 영역에서 제 1 반경(R)으로 시작하는 래칫 생크 하면(26)은 견부(21a)에서 보다 큰 제 1 값(R1)으로, 그리고 견부(21b)에서 한층 더 큰 제 2 값(R2)으로 전환된다. 결과적으로 세정면(24a, 24b)은 바람직하게는 거의 반경방향으로 배향된다. 래칫 생크 하면(26)에서 시작하여, 반경(R)은 증가한다. 그러나, 세정 프로파일(19)을 생성하기 위해 후부면(27)에서 견부가 시작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모든 경우에, 견부(21)(21a, 21b)는 치형부를 형성하고, 이는 소우슬롯(6)내로 들어가는 오염물을 포획하고 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작용 및 구성된다.
도 8은 래칫 니들(1)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는 래칫 스프링(35)이 소우슬롯(6)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래칫 스프링은 세정 프로파일(19)에 부가하여 래칫 생크 단부(18)상에 형성되는 래칫(5)의 기능 프로파일(36)과 협력한다. 기능 프로파일(36)은 예로서, 평탄한 표면, 즉 평면 표면 또는 파셋(facet)(37)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래칫(5)이 완전히 휴지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래칫 스프링(35)상에 편편하게 안치된다. 이 방식으로, 래칫(5)은 안정한 휴지 위치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생크(3)상에 전체적으로 안치되지 않는다. 스프링 손상을 회피하기 위해서, 에지(25)는 다소 라운딩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술된 바와 같은 세정면(24)은 소우슬롯을 정화 및 세정하도록 기능한다. 세정면은 단부면(22)이 반경(R1)으로부터 반경(R)으로 변화하는 견부(21)에 형성된다. 적합하게는, 반경(R1)이 중심(23)으로부터 파셋(37)의 간격보다 다소 작다.
본 발명의 래칫 니들(1)의 다른 실시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상술된 래칫 니들과의 차이점은 소우슬롯(6)이 단지 니들 상부(14)상에서만 개방되고, 니들 후부(15)에서 폐쇄된다는 것이다. 상술한 모든 래칫(5)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도 3, 도 5, 도 7 또는 도 9에 따른 래칫(5)의 실시예가 적합하다. 따라서, 특히 이들 도면에 관하여 상기 설명이 적용된다.
래칫 니들(1)은 그 래칫 생크 단부(18)상에서 세정 프로파일(19)을 갖는 래칫(5)를 구비한다. 세정 프로파일(19)은 소우슬롯(6)을 오염물이 없는 상태로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이를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특수한 세정면(24)을 갖는다.
본 발명의 래칫 니들(1)은 그 래칫 생크 단부(18)상에서 세정 프로파일(19)을 구비한 래칫(5)를 갖는다. 세정 프로파일(19)은 소우슬롯(sawslot)(6)을 오염물이 없는 상태로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이를 위해서, 이는 적어도 하나의 특수한 세정면(24)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래칫 니들은 소우슬롯내에 지지된 그 단부상에서 소우슬롯을 위한 세정 프로파일로서 형성된 래칫을 갖는다. 이는 특수한 세정 프로파일을 갖는 래칫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세정 프로파일은 소우슬롯에 도달되는 섬유 잔류물 또는 기타 오염물을 이동시키고 래칫의 왕복 운동 동안 소우슬롯의 외부로 이를 밀어내도록 기능한다. 따라서, 비교적 다량의 벗겨진 섬유 또는 기타 오염물이 발생하여 소우슬롯에 도달하는 경우에도 래칫의 이동성이 보장될 수 있다.

Claims (10)

  1. 그 단부상에서 후크(4)를 구비하고, 상기 후크 부근에서 소우슬롯(sawslot)(6)을 구비하는 생크(3)를 갖는 니들 본체(2)와,
    래칫 지지 디바이스(7)상의 상기 소우슬롯(6)내에 배치되어 선회가능하게 지지되고, 세정 프로파일(19)을 구비하는 래칫(5)을 포함하는 편물기용 래칫 니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5)은 상기 래칫 지지 디바이스(7)에 의해 장애물 없이 자유롭게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용 래칫 니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우슬롯(6)은 니들 상부(14)로부터 니들 후부(15)까지 연장하고, 상기 니들 상부(14)와 상기 니들 후부(15) 양자 모두에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용 래칫 니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프로파일(19)은 상기 래칫(5)의 일 단부면(22)상에 치형 프로파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용 래칫 니들.
  5. 제 1 항에 있어서, 모든 선회 위치에서, 상기 래칫(5)은 베어링 저널(17)과 상기 소우슬롯(6)의 벽들(9, 11)에 의해서만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용 래칫 니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면(22)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견부(21)는 상기 세정 프로파일(19)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용 래칫 니들.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프로파일(19)은 상기 지지 디바이스(7)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정면(2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용 래칫 니들.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견부(21)는 래칫 스푼(8)에 대향하는 상기 래칫(5)의 지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용 래칫 니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5)과 협력하는 래칫 스프링(35)이 상기 소우슬롯(6)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용 래칫 니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프로파일(19)은 적어도 하나의 날카로운 에지(25, 32, 3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용 래칫 니들.
KR1020040071982A 2003-09-10 2004-09-09 래칫 니들 KR100605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41630.7 2003-09-10
DE10341630A DE10341630B4 (de) 2003-09-10 2003-09-10 Zungennad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878A KR20050026878A (ko) 2005-03-16
KR100605243B1 true KR100605243B1 (ko) 2006-07-28

Family

ID=34129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982A KR100605243B1 (ko) 2003-09-10 2004-09-09 래칫 니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31890B2 (ko)
EP (1) EP1514964B1 (ko)
JP (1) JP2005082957A (ko)
KR (1) KR100605243B1 (ko)
CN (1) CN1594698B (ko)
DE (2) DE1034163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88228B1 (de) * 2008-02-05 2011-10-19 Groz-Beckert KG Zungennadel
EP2172584B1 (de) * 2008-10-02 2013-01-09 Groz-Beckert KG Strickmaschinennadel mit geschlitztem Mäanderbogen
PT2604359T (pt) * 2011-12-14 2017-07-24 Groz Beckert Kg Agulha de lingueta com melhorada chumaceira de lingueta, e respectivo procedimento de fabricação
JP6692325B2 (ja) * 2017-07-07 2020-05-1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複合針
EP3604651A1 (de) * 2018-08-03 2020-02-05 Groz-Beckert KG Zungennade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2613A (en) * 1911-06-24 1912-07-16 John J Tuller Latch knitting-needle.
US1163296A (en) * 1914-02-13 1915-12-07 Louis N D Williams Knitting-machine.
US1732469A (en) * 1927-05-10 1929-10-22 Rollins Hosiery Mills Needle for repairing runs in knitted fabrics
GB380554A (en) * 1931-07-25 1932-09-22 Robert Kirkland Mills Improvements in the means for and method of producing knitted fabric
US2536478A (en) * 1940-04-11 1951-01-02 American Vitos Company Inc Knitting needle
JPS61133586A (ja) 1984-11-30 1986-06-20 信越ポリマ−株式会社 コネクタ−
JPS61133586U (ko) * 1985-02-05 1986-08-20
DE3600620C1 (ko) * 1986-01-11 1987-02-12 Theodor Groz & Soehne & Ernst Beckert Nadelfabrik Kg, 7470 Albstadt, De
DE3702019C1 (de) * 1987-01-24 1987-09-24 Groz & Soehne Theodor Zungennadel fuer maschenbildende Textilmaschinen
DE4142003C1 (ko) * 1991-12-19 1993-07-22 Theodor Groz & Soehne & Ernst Beckert Nadelfabrik Kg, 7470 Albstadt, De
DE4334051C1 (de) * 1993-10-06 1995-02-16 Groz & Soehne Theodor Zungennadel für Textilmaschinen
JPH0860504A (ja) * 1994-08-26 1996-03-05 Tsudakoma Corp 編機用ベラ針
DE19712124C2 (de) * 1997-03-22 1999-07-01 Groz Beckert Kg Zungennadel für maschenbildende Textilmaschinen
DE10035827C2 (de) * 2000-07-22 2003-10-16 Groz Beckert Kg Zungennadel mit abgesetztem Zungenschaft
DE10232884B4 (de) * 2002-07-19 2004-05-27 Groz-Beckert Kg Zungennad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878A (ko) 2005-03-16
US6931890B2 (en) 2005-08-23
CN1594698B (zh) 2011-06-15
DE502004003519D1 (de) 2007-05-31
JP2005082957A (ja) 2005-03-31
DE10341630B4 (de) 2006-11-16
DE10341630A1 (de) 2005-04-28
US20050050924A1 (en) 2005-03-10
EP1514964A1 (de) 2005-03-16
CN1594698A (zh) 2005-03-16
EP1514964B1 (de) 200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243B1 (ko) 래칫 니들
JP5055248B2 (ja) 磨耗低減を示す編みシステム
KR19980024301A (ko) 컨베이어 벨트에 있어서 머리없는 피봇 로드를 지지하기 위한 셔틀 플러그
US10470556B1 (en) Belt holder for tape measure
US6954023B2 (en) Linear actuator
CN113166986A (zh) 用于成圈的装置、沉降片器件以及用于成圈的方法
JP4056690B2 (ja) 非対称的に分割されたスライダを有するスライダ編針
KR101027639B1 (ko) 내부 스프링 팁을 구비한 트랜스퍼 니들
JPWO2020008596A1 (ja) ドアレール清掃装置、ドアレール清掃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
JP3216580U (ja) 清掃具
JP4370311B2 (ja) 編機のためのラッチニードル
KR101083982B1 (ko) 래치 니들
JPH0931806A (ja) 可動シンカー装置を備えた横編機
US6574995B2 (en) Latch needle comprising a relieved latch shank
JP2002219288A (ja) 電気バリカン
CN109112733B (zh) 一种防线毛刀盘及缝纫机
US5609045A (en) Latch needle for knitting machines
KR20040010268A (ko) 래칫 니들
JPWO2018110020A1 (ja) スポット溶接用電極格納装置
JPH0917314A (ja) 開閉器のハンドルロック装置
JP3098555U (ja) 爪切り
JP4408803B2 (ja) 可動シンカおよび可動シンカを備える横編機
JP3016654U (ja) 工業用ミシンの折れ針収集箱
US6564589B2 (en) Latch needle having a stepped saw slot
JP2006198163A (ja) 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