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174B1 - 반도체 소자의 본딩 패드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본딩 패드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174B1
KR100605174B1 KR1020030050403A KR20030050403A KR100605174B1 KR 100605174 B1 KR100605174 B1 KR 100605174B1 KR 1020030050403 A KR1020030050403 A KR 1020030050403A KR 20030050403 A KR20030050403 A KR 20030050403A KR 100605174 B1 KR100605174 B1 KR 100605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gas
pad
bonding pad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1353A (ko
Inventor
백인혁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0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174B1/ko
Publication of KR20050011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60Attaching or detaching leads or other conductive member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3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12Auxiliary members for bonding areas, e.g. spacers
    • H01L2224/02122Auxiliary members for bonding areas, e.g. spacers being formed on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01L2224/02163Auxiliary members for bonding areas, e.g. spacers being formed on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on the bonding area
    • H01L2224/02165Reinforcing structures
    • H01L2224/02166Coll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54External layer
    • H01L2224/0555Shape
    • H01L2224/05552Shape in top view
    • H01L2224/05554Shape in top view being squ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딩 패드(Bonding Pad)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집적회로 칩상에 본딩 패드 형성공정 중 폴리이미드(Polyimide)를 마스크로 하여 패드부분을 식각할 때 사용된 가스에 의하여 노출된 패드 표면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소정의 구조물이 형성된 기판에 금속층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금속패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막의 상부에 폴리이미드막을 형성하고 패터닝하는 단계, 상기 패터닝된 폴리이미드막에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보호막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패드 표면 및 폴리이미드막 위에 존재하는 부산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본딩 패드 형성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본딩 패드 형성방법은 본딩 패드 형성을 위하여 식각시 발생되는 부산물을 본 발명에 따른 부가공정을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패드 상부의 산화막 두께를 최소화 시켜줄 수 있고, 안정적인 공정을 확보할 수 있어서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불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특히 공정 시간의 단축을 가져올 수 있어서 제품의 경쟁력이 향상된다.
본딩 패드, 폴리이미드, fluorine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본딩 패드 형성방법{Method for forming bonding pad of semiconductor device}
도 1은 웨이퍼에서 절단된 집적회로 칩을 도시한 평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 기술에 의해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하여 본딩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해 본딩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본딩 패드(Bonding Pad)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집적회로 칩상에 본딩 패드 형성공정 중 폴리이미드(Polyimide)를 마스크로 하여 패드부분을 식각할 때 사용된 가스에 의하여 노출된 패드 표면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의 칩 제조공정에서는 설계된 단위셀을 배열하고 연 결하기 위해 실리콘 기판의 예정된 부분에 불순물의 선택적 도입공정, 절연층과 도전층을 적층하는 적층공정 및 패턴마스크 공정 등이 차례로 실행되어 각각의 칩에 집적회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집적회로 칩은 조립공정으로 보내져서 칩절단, 칩부착, 와이어 본딩, 몰드, 포밍, 트립공정 등의 순서로 진행하여 각각의 IC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조립공정 중 와이어를 칩상부의 패드에 본딩하는데 사용되는 와이어 본딩 패드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994-7290호에 와이어 본딩 패드 형성 방법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 기술은 본딩 패드 형성시 발생하는 폴리이미드 잔여물만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다.
상기에 기재된 와이어 본딩 패드 형성방법을 배경으로 종래의 본딩 패드 형성방법을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웨이퍼에서 절단된 집적회로 칩(1)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집적회로 칩(1)의 중앙부에는 단위셀이 배열되어 회로를 구성한 집적회로부(2)가 형성되고, 집적회로부(2)의 주변부를 따라 일정 부분에 다수의 와이어 본딩 패드(3)가 형성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 기술에 의해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하여 와이어 본딩 패드(3)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실리콘 기판(4)의 절연층(8) 상부에 금속층(5)(예를들면 알루미늄 층)을 증착한 다음, 마스크패턴공정으로 금속배선(5A)을 길게 형성한 후, 전반적으로 보호막(6)을 증착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보호막(6)은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습기에 의한 제품의 신뢰도 저하 및 α-입자(α-Particle)에 의한 소프트 에러를 방지하기 위하여 산화막 또는 질화막으로 증착한 것이다.
도 2b는 상기 보호막(6) 상부에 와이어 본딩 패드 마스크를 사용하여 감광막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고(도시안됨), 노출되는 보호막(6)을 식각하여 금속배선(5A)의 예정된 영역이 노출된 와이어 본딩 패드부(3A)를 형성한 다음, 상기 감광막 마스크 패턴을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c는 와이어 본딩 패드부(3A)를 포함한 전체구조 상부에 감광성 폴리이미드층(7)을 코팅한 후, 와이어 본딩 패드부(3A)를 노출시키기 위해 마스크를 이용하여 광을 노광시킨 다음, 상기 감광성 폴리이미드층(7)을 현상액으로 현상하여 와이어 본딩 패드부(3A)를 노출시킨 감광성 폴리이미드 패턴(7A)를 형성하고,이것을 고온에서 경화(Curing)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감광성 폴리이미드층(7)을 경화시키면 α-입자에 의한 소프트 에러 방지 보호막으로 작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폴리이미드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패드 식각 공정이 끝난 후 300℃ 정도의 고온의 퍼니스 내에서 30분 동안의 경화공정을 거치게 하여 불소기를 제거시킨다.
하지만, 상기 경화공정은 고온의 열 공정이기 때문에 약간의 산소 분위기가 있을 경우에는 패드 상부에 산화막이 수백Å 정도로 두껍게 형성되기도 한다. 따라서 산소의 접근을 차단시키는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장시간의 공정 진행에 의해 서만 불소기가 제거된다는 것도 큰 단점이다.
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비정상적으로 알루미늄표면 상에 두껍게 형성된 산화막이다. 상기 산화막은 테스트시 프로브 핀(probe pin)의 압력에 큰 힘을 요구하게 되고, 핀의 수명 단축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또한, 아날로그 소자와 같이 미세한 저항이라도 소자에 영향을 주는 제품에 문제가 발생하고, 패키지시에도 두꺼운 산화막에 의한 접촉불량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이미드 필름을 마스크로 하여 패드를 식각할 때 사용되는 불소계 가스에 의하여, 노출된 알루미늄 패드 표면의 부식과 같이 소자의 신뢰성에 문제를 유발시키는 요소를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방지하고, 이를 통해서 반도체 소자의 수율 향상 및 신뢰성 향상을 높이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소정의 구조물이 형성된 기판에 금속층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금속패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막의 상부에 폴리이미드막을 형성하고 패터닝하는 단계, 상기 패터닝된 폴리이미드막에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보호막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패 드 표면 및 폴리이미드막 위에 존재하는 부산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본딩 패드 형성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해 본딩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반도체 기판에 금속패드를 형성하고 보호막 및 폴리이미드막을 형성한 단면도이다.
반도체 기판(11)에 금속막을 형성한 뒤, 상기 금속막에 사진 및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후속의 공정에서 리드 프레임이 연결될 본딩 패드로서 기능하는 금속 패드(12)를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금속 패드를 포함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전체가 덮이도록 보호막(13)을 형성하고, 상기 보호막의 상부에 폴리이미드막(14)을 형성한다.
상기 보호막은 산화층과 질화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질화층은 습기로 부터 소자를 보호하고, 상기 산화층은 기계적 스트레스를 줄여준다.
도 3b는 폴리이미드막의 소정부분을 제거한 단면도이다.
상기 폴리이미드막 상부에 마스크를 덮은 후, 상기 금속 패드의 상부에 코팅된 폴리이미드막이 현상될 수 있도록 사진공정을 실시하여 부분 노광한다. 상기 폴리이미드막 중에서, 노광된 부분(15)은 별도의 현상액을 사용함이 없이도 기체화되 어 현상되고, 상기 마스크에 의해 가려졌던 부분은 그대로 남게 된다.
이어, 상기 패터닝된 폴리이미드막에 열처리 공정을 진행한다.
상기 열처리는 폴리이미드막을 경화시키는 공정이며, 300 내지 370℃의 온도범위에서 소정시간 열처리하며, 바람직하게는 30분의 시간동안 N2 Gas 분위기하에서 진행한다.
도 3c는 폴리이미드막을 마스크로 하여 보호막을 식각한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폴리이미드막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보호막을 식각한다. 상기 식각은 불소를 포함하는 가스를 단독으로 또는 첨가가스를 혼합하여 건식식각으로 식각한다.
상기 가스는 CH2F2, C4F8, CF4, C2F 6, C5F8, CHF3 등의 불소를 포함하는 가스와 Ar, He, N2 등의 첨가 가스가 바람직하다.
이어서 패드 표면 및 폴리이미드막 위에 존재하게 될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반응로에서 다음 세가지 공정을 진행한다.
첫번째로 H2O 가스를 1000 내지 2000sccm로 유입시키고, 2 내지 5 Torr의 압력을 걸어주며, 250 내지 300℃의 온도범위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진행하며, 바람직하게는 30초간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불소기는 수소와 반응하여 HF의 형태로 제거되고, 부산물들 중 유기계 부산물의 탄소기는 COx가 되어 제거된다.
두번째로 O2 가스를 500 내지 3000sccm 정도로 주입시키고, 1 내지 3 Torr 정도의 압력을 걸어주며, 1000 내지 2000W의 플라즈마를 걸어주고, 250℃ 내지 300℃의 온도범위에서 10 내지 60초간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Ar 가스를 300 내지 1000sccm 정도로 주입시키고, 0.3 내지 1 Torr 정도의 압력을 걸어주며, 300 내지 1000W의 플라즈마를 걸어주고 진행한다.
상기의 공정으로 본드 패드의 개구부와 폴리이미드 상부에 생성된 부산물이 제거된다.
상세히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본 발명의 특징부를 포함하는 변화들 및 변형들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보통의 사람들에게 명백히 쉬워질 것임이 자명하다. 본 발명의 그러한 변형들의 범위는 본 발명의 특징부를 포함하는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의 범위 내에 있으며, 그러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본딩 패드 형성방법은 본딩 패드 형성을 위하여 식각시 발생되는 부산물을 본 발명에 따른 부가공정을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패드 상부의 산화막 두께를 최소화 시켜줄 수 있고, 안정적인 공정을 확보할 수 있어서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불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특히 공정 시간의 단축을 가져올 수 있어서 제품의 경 쟁력이 향상된다.

Claims (10)

  1. 소정의 구조물이 형성된 기판에 금속층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금속패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막의 상부에 폴리이미드막을 형성하고 패터닝하는 단계;
    상기 패터닝된 폴리이미드막에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폴리이미드막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보호막을 식각하는 단계; 및
    H2O 가스를 이용하는 제 1단계, O2 가스를 이용하는 제 2단계 및 Ar 가스를 이용하는 제 3단계에 의하여 상기 패드 표면 및 폴리이미드막 위에 존재하는 부산물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본딩 패드 형성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산화층과 질화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본딩 패드 형성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공정은 300 내지 370℃의 온도범위에서 소정 시간동안 N2 가스 분위기하에서 진행하여 상기 폴리아미드막을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본딩 패드 형성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의 식각에 사용되는 식각가스는 CH2F2, C4F8, CF4, C2F6, C5F8 및 CHF3 중 어느 하나의 불소기를 포함하는 가스가 단독으로 쓰이거나 상기 가스에 Ar, He 및 N2 중 어느 하나의 첨가가스가 혼합하여 쓰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본딩 패드 형성방법.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H2O 가스를 1000 내지 2000sccm로 유입시키고, 2 내지 5 Torr의 압력을 걸어주며, 250 내지 300℃의 온도범위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본딩 패드 형성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O2 가스를 500 내지 3000sccm 정도로 주입시키고, 1 내지 3 Torr 정도의 압력을 걸어주며, 1000 내지 2000W의 플라즈마를 걸어주고, 250℃ 내지 300℃의 온도범위에서 10 내지 60초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본딩 패드 형성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Ar 가스를 300 내지 1000sccm 정도로 주입시키고, 0.3 내지 1 Torr 정도의 압력을 걸어주며, 300 내지 1000W의 플라즈마를 걸어주고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본딩 패드 형성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H2O 가스는 기판에 존재하는 불소 기 및 탄소 기와 반응하여 상기 불소기를 HF 형태로 제거시키고, 상기 탄소 기와 반응하여 COx형태로 제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본딩 패드 형성방법.
KR1020030050403A 2003-07-23 2003-07-23 반도체 소자의 본딩 패드 형성방법 KR100605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403A KR100605174B1 (ko) 2003-07-23 2003-07-23 반도체 소자의 본딩 패드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403A KR100605174B1 (ko) 2003-07-23 2003-07-23 반도체 소자의 본딩 패드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353A KR20050011353A (ko) 2005-01-29
KR100605174B1 true KR100605174B1 (ko) 2006-07-28

Family

ID=37223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0403A KR100605174B1 (ko) 2003-07-23 2003-07-23 반도체 소자의 본딩 패드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1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4867A1 (en) * 2012-04-13 2013-10-17 Lam Research Corporation Layer-layer etch of non volatile materia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001B1 (ko) * 2005-09-02 2007-05-09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알루미늄 패드 표면의 플루오린 폴리머 제거 방법
KR100720508B1 (ko) * 2005-11-01 2007-05-22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KR100755118B1 (ko) * 2005-12-28 2007-09-0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패드 오픈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4867A1 (en) * 2012-04-13 2013-10-17 Lam Research Corporation Layer-layer etch of non volatile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353A (ko) 200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2568B2 (en) Semiconductor passivation deposition process for interfacial adhesion
JP2000150519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1187332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387478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60110935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660624B2 (en) Method for reducing fluorine induced defects on a bonding pad surface
KR100605174B1 (ko) 반도체 소자의 본딩 패드 형성방법
US2003017100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US6287750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in which opening can be formed with high precision
US7494928B2 (en) Method for patterning and etching a passivation layer
KR940007290B1 (ko) 와이어 본딩 패드 형성방법
KR100681676B1 (ko)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 방법
KR950001298B1 (ko) 와이어 본딩 패드 형성방법
JPH10223759A (ja) 半導体装置の多層配線形成方法
KR100582441B1 (ko) 폴리이미드층의 제거 방법
KR100595323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609223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50052175A (ko) 반도체 소자의 보호막 형성 방법
KR19980052423A (ko)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JP3156389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314260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0179229B1 (ko) 패턴 인식용 얼라인 키의 형성 방법
KR19990069749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JP2009060020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0269326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