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4326B1 -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4326B1
KR100604326B1 KR1019980047286A KR19980047286A KR100604326B1 KR 100604326 B1 KR100604326 B1 KR 100604326B1 KR 1019980047286 A KR1019980047286 A KR 1019980047286A KR 19980047286 A KR19980047286 A KR 19980047286A KR 100604326 B1 KR100604326 B1 KR 100604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base frame
frame
conveyor system
chain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1309A (ko
Inventor
정상호
박좌근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47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326B1/ko
Publication of KR20000031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3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e.g. interconnected by pivots
    • B65G17/28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e.g. interconnected by pivots extensible, e.g.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65G17/42Attaching load carriers to tra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telescopic conveyor system)이 개시된다. 개시된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은, 소정의 제1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제2위치로 소정의 물품을 이송시키는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물품을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까지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동차량 등에 설치하여 다른 기동차량에 용이하게 물품 또는 포탄 등을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Telescopic conveyor system}
본 발명은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telescopic conveyor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소정의 물품을 직접 이송시킬 수 있는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물품을 이송시키는데 있어서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시스템이 사용된다. 이러한 컨베이어 시스템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롤러와, 상기 롤러들에 지지되어 이 롤러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보통 무한궤도로 이루어진 벨트와, 상기 롤러들이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 시스템은 상기 롤러에 의해 벨트가 회전되므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물품을 이송시키거나, 조립 생산 라인에 설치되어 소정 제품이 순차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용된다.
한편 소정의 차량 특히 제1기동차량에서 제2기동차량으로 소정의 물품 예컨대 포탄, 장약 등을 이송하고자 할 때에는 많은 인력동원과 특수 장비가 소요되어야 만 가능하다. 특히 기동차량의 특성상 후방공급식의 인력동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기동차량간의 물품이송은 많은 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동차량간의 물품을 이송하는 데 있어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컨베이어 시스템은 휴대가 불편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컨베이어 시스템은 휴대하기 위한 조건인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지 않으며, 거의 고정된 조립장치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을 기동차량간에 장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을 기동차량에 적용하여 물품을 이송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많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소정의 위치에서 다른 위치까지 또는 소정의 차량에서 다른 차량으로 소정의 물품을 인력의 소요 없이 간단하게 직접 이송시킬 수 있는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은, 소정의 제1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제2위치로 소정의 물품을 이송시키는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물품을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까지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2위치를 왕복 이송 운동하는 이송 프레임; 상기 이송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프레임을 슬라이딩시키는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로 구비된 슬라이딩장치;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이송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물품을 이송시키는 물품이송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물품이송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제2구동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구동부의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소정의 동력전달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회동축에 설치된 스프라킷롤러에 지지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물품을 이송하는 제1체인벨트;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스프라킷; 상기 이송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구동스프라킷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양단에 지지스프라킷에 지지되어 상기 물품을 이송하는 제2체인벨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은 소정의 장소인 제1위치로부터 소정의 물품(미도시)을 제2위치까지 직접 이송하고자 할 때 고정 시스템에 대하여 이송 시스템이 슬라이딩되고 즉 상기 이송 시스템이 상기 고정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2위치까지 왕복 이송운동을 하여 상기 물품을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써 그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위치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1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텔레스코픽 형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으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제2위치까지 직선 왕복 운동하여 상기 물품을 제2위치까지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 프레임(12)과, 상기 이송 프레임(1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프레임(12)이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수단과, 상기 물품을 지지하며 이 물품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송 프레임(12)의 일측에 설치된 물품이송수단을 포함한다.
도 2에는 이러한 슬라이딩수단과 물품이송수단을 나타내 보일 수 있도록 도 1에서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각각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제1구동부(13)에 의해 구동되도록 상기 이송 프레임(12)의 상단부에 설치된 랙(rack)(14a)과 피니언(pinion)(14b)으로 이루어진 랙 피니언장치(14)와, 상기 이송 프레임(12)의 하단부와 베이스 프레임(11) 사이에 다수의 롤러(roller)(15a)가 설치된 롤러장치(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술한 슬라이딩수단은 랙 피니언장치(14) 및 롤러장치(1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이송 프레임(12)이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도 설치하므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특정한 장치수단에 한정되지 않는 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상기 물품이송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의 일측에 설치된 제2구동부(16)의 회전축(16a)에 지지되어 구동하는 구동스프라킷(17)과 소정의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력을 각각 전달받아 회전하므로써 상기 물품을 전달하는 제1, 2체인벨트(18, 19)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물품이송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구동부(16)의 회전축(16a)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회동축(20a)에 설치된 제1스프라킷롤러(21)와, 상기 제1스프라킷롤러(21)에 지지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물품을 이송하는 제1체인벨트(18)와, 상기 이송 프레임(12)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구동스프라킷(17)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체인벨트(19)와, 상기 제2체인벨트(19)가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고 구동스프라킷(17)과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제2스프라킷롤러(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체인벨트(19)는 구동스프라킷(17) 및 제2스프라킷롤러(22)에 지지되어 회전되고 양단에 지지스프라킷(23)이 지지되어 물품을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1, 2체인벨트(18, 19)는 물품이 제1체인벨트(18)로부터 이송되어 오다가 그 종단부에서 상기 물품이 제2체인벨트(19)로 계속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11) 및 이송 프레임(12)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순차적으로 서로 이웃하는 축에 회전운동을 전하도록 다수의 기어(gear)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써, 상기 구동스프라킷(17)을 지지하는 상기 회전축(16a)의 회전력을 받아서 상기 제1스프라킷롤러(21)에 전달하는 기어 트레인(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어 트레인(20)은 상기 회전축(16a)에 설치된 구동기어(20b)와, 상기 구동기어(20b)와 치합된 아이들기어(idle gear)(20c)와, 상기 아이들기어(20c)와 치합되고 상기 회동축(20a)에 지지되며 그 구동력을 상기 제1스프라킷롤러(21)에 전달하도록 설치된 종동기어(20d)가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체인벨트(18)를 지지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1)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지지롤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체인벨트(19)를 지지하도록 상기 이송 프레임(12)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지지롤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이 소정의 기동차량(31, 32)에 장착된 상태가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2, 및 도 3을 각각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이 제1기동차량(31)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에 대하여 상기 이송 프레임(12)이 텔레스코픽 형태로 슬라이딩하여 즉 상기 이송 프레임(12)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으로부터 토출되어 제2기동차량(32)의 일측으로 전진하여 상기 제2기동차량(32)의 일측에 접근한다. 이로써 상기 제1기동차량(31)에 있는 포탄(33)을 전달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이 상기 제1기동차량(31)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송 프레임(12)이 제1구동부(13)에 의해 구동되는 랙 피니언장치(14)와 롤러장치(15)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1)에 대하여 직선 왕복 운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2구동부(16)에 의해 회전축(16a)에 지지된 구동스프라킷(17)과 기어 트레인(20)의 구동기어(20d)가 동시에 구동된다. 이로써 상기 구동기어(20b)의 회전력은 상기 아이들기어(20c) 및 종동기어(20b)를 회전시키고 상기 종동기어(20d)를 지지하는 회동축(20a)에 의하여 제1스프라킷롤러(21)가 회동하고, 상기 제1스프라킷롤러(21)에 지지된 제1체인벨트(18)가 회전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스프라킷(17)은 제2체인벨트(19)를 회전되게 하고, 제2스프라킷롤러(22)는 제2체인벨트(19)를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1체인벨트(18)에 상기 제1기동차량(31)에 있는 포탄(33)을 올려놓는다. 그러면 상기 제1체인벨트(18)의 회전으로 포탄(33)이 어느 정도까지 이송되면 상기 제2체인벨트(19)로 옮겨지게 되고, 결국 상기 포탄(33)이 제2체인벨트(19)의 회전으로 제2기동차량(32)까지 이송된다.
그리고 전술한 것과는 반대로 상기 제2기동차량(32)으로부터 제1기동차량(31)까지 소정의 포탄(33)을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기동차량(31)에서 제2기동차량(32)으로 포탄(33) 이송시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역회전시키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포탄(33)을 이송시키고자 제1, 2체인벨트(18, 19)에 올려놓을 때에는 별도의 로딩수단이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2기동차량(31, 32)으로부터 이송되는 물품으로 포탄(33)을 하나의 실시예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은 이송되는 어떠한 물품도 이송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소정의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특히 기동차량에서 다른 기동차량으로 물품을 이송하고자 할 때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위험한 물건이 예컨대 포탄 내지 장약을 인력이나 특수한 장치가 소요됨이 없이 이송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인력의 소요를 줄일 수 있으며, 인력에 의한 이송시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 이송 컨베이어 시스템에 비해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저렴하다.
또한 텔레스코픽 형태로 이송 시스템이 이루어져 있으므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Ⅱ-Ⅱ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이 장착된 기동차량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베이스 프레임 12. 이송 프레임
13. 제1구동부 14. 랙 피니언장치
14a. 랙 14b. 피니언
15. 롤러장치 15a. 롤러
16. 제2구동부 16a. 회전축
17. 구동스프라킷 18. 제1체인벨트
19. 제2체인벨트 20. 기어 트레인
20a. 회동축 20b. 구동기어
20c. 아이들기어 20d. 종동기어
21. 제1스프라킷롤러 22. 제2스프라킷롤러
23.지지스프라킷 31. 제1기동차량
32. 제2기동차량 33. 포탄

Claims (3)

  1. 소정의 제1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제2위치로 소정의 물품을 이송시키는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2위치를 왕복 이송 운동하는 이송 프레임;
    상기 이송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프레임을 슬라이딩시키는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딩장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제2구동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내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2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물품을 이송하는 제1체인벨트; 및
    상기 이송 프레임내에 상기 이송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체인벨트에 의해 이송된 물품을 더욱 이송하는 제2 체인벨트를 포함하는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인벨트는 상기 제2구동부의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장치의 회동축에 설치된 스프라킷롤러에 지지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물품을 이송하며, 상기 제2체인벨트는 상기 제2구동부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스프라킷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양단에 설치된 지지스프라킷에 지지되어 상기 물품을 이송하는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복수의 기어를 구비하는 기어 트레인(gear train)인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
KR1019980047286A 1998-11-05 1998-11-05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 KR100604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286A KR100604326B1 (ko) 1998-11-05 1998-11-05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286A KR100604326B1 (ko) 1998-11-05 1998-11-05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309A KR20000031309A (ko) 2000-06-05
KR100604326B1 true KR100604326B1 (ko) 2006-10-24

Family

ID=19557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286A KR100604326B1 (ko) 1998-11-05 1998-11-05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43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385A (ko) * 2001-02-26 2002-09-0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외부 돌출형 컨베어 장치
KR102347576B1 (ko) * 2019-05-16 2022-01-05 송병준 포장박스 출하용 컨베이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309A (ko)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53999B2 (ja) 物品の幅寄せ搬送方法および装置
CA2581227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high speed conveyor switching
KR100551498B1 (ko) 트윈벨트이송장치
US20020134646A1 (en) Conveying apparatus and a roller conveyor system
US5348140A (en) Conveyor roller system and method
CN218370305U (zh) 一种笔记本电脑外壳转运设备
US4759434A (en) Drive mechanism for a conveyor
JPH08268538A (ja) 搬出搬入設備
KR100604326B1 (ko)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
CN110884870B (zh) 一种应用于输送带衔接的平行过渡装置
US20050126885A1 (en) Directional transition module for use in conjunction with a roller-type conveyor
KR20080083502A (ko) 컨베이어 장치
CN102785898A (zh) 一种双向传输装置
JPH0262445B2 (ko)
JP2002534800A (ja) 搬送装置
CN209814978U (zh) 一种新型拼装式传送装置
CN111351350A (zh) 传输设备和热处理设备
KR100916599B1 (ko) 스파이럴 컨베이어
KR200190176Y1 (ko) 롤러콘베이어 이송장치
SU1323486A1 (ru) Конвейер дл перемещени изделий
CN215754666U (zh) 一种自动伸缩系统
KR940008972B1 (ko) 굽힘 반송 장치
JPS6175725A (ja) 長尺物の整列搬送装置
JP2005233310A (ja) 駆動ユニット
JPH06336331A (ja) ローラコンベアの物品移載装置およびその物品移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