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144B1 - 탈크 및 부탄을 함유하는 청량감을 갖는 피부보습용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크 및 부탄을 함유하는 청량감을 갖는 피부보습용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144B1
KR100602144B1 KR1020040084954A KR20040084954A KR100602144B1 KR 100602144 B1 KR100602144 B1 KR 100602144B1 KR 1020040084954 A KR1020040084954 A KR 1020040084954A KR 20040084954 A KR20040084954 A KR 20040084954A KR 100602144 B1 KR100602144 B1 KR 100602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kin
cosmetic composition
moisturizing
tal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5446A (ko
Inventor
박철승
박명원
강순기
윤향순
Original Assignee
(주)엠포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포엠 filed Critical (주)엠포엠
Priority to KR1020040084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144B1/ko
Publication of KR20060035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1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크 및 부탄을 사용하여 피부에 청량감을 주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탈크 및 부탄을 함유함으로써, 피부에 분사하였을 때, 피부의 온도를 순간적으로 낮추는 효과를 나타내어 청량감을 주며, 점증제를 추가로 함유함으로써 시원하고 상쾌한 느낌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온에서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시간, 노력,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탈크 및 부탄을 함유하는 청량감을 갖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alc and butane for moisturizing and refreshing}
본 발명은 부탄 및 탈크를 함유하는 청량감을 갖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장품 중에서 멘톨(menthol)류나 알코올류의 첨가제를 더 함유함으로써, 기존 화장료에 청량감을 느낄 수 있게 한 제품들이 있다.
이 중 멘톨의 경우 향이 매우 강력하여 화장품으로서 사용하는데 선호도가 떨어지며, 사용시에도 용량에 있어 제한이 있다.
또한, 청량감을 위해 화장료에 알코올을 함유한 경우, 피부에 산뜻하고 시원한 느낌을 주는 효과는 좋으나, 알코올이 피부의 유분을 닦아 내고, 피부의 수분과 함께 증발되어 피부를 건조하게 만드는 단점이 있어, 피부보습을 위해서는 알코올이 함유되지 않은 화장료가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청량감을 주며, 사용감이 좋고, 피부 보습효과가 있는 새로운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가 요구된다.
한편, 기존의 에멀젼 타입의 기존의 로션 제조시, 고급 알콜계 원료 및 왁스 와 같은 성분을 녹이기 위해서, 또한 유화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온도를 70~80 ℃ 정도로 가온하여 제품을 생산하게 되는데, 이 경우 가온과 냉각시 시간이 소요되며 에너지 비용도 발생하게 되고, 제조공정상 번거로움이 생기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화장품 제조상의 단점을 개선하고, 종래 청량감을 위해 사용하던 성분과는 다른, 탈크 및 부탄을 함유시켜 우수한 청량감을 갖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우수한 청량감을 지니며, 피부 보습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탈크, 부탄, 보습제, 유화제, 유연제 및 용제를 함유하는 탈크 함유 혼합물 및 부탄가스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탈크 1~15 중량부, 보습제 0.01~1 중량부, 유화제 0.5~3 중량부, 유연제 0.1~3 중량부 및 용제 60~90 중량부를 함유하는 탈크 함유 혼합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30 중량부 함유하고, 부탄가스 70~90 중량부를 함유한다.
상기 탈크 함유 혼합물 및 부탄가스 혼합시, 탈크 함유 혼합물과 부탄 가스의 중량비는 10: 23~90 이며, 바람직하게는 10 : 32~4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37 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보습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 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솔비톨, 콜라겐 등 기존에 사용되어 온 보습성분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0.3 중량부를 함유한다.
유화제는 구체적으로 tween 20 (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ester)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2 중량부를 함유한다.
유연제 및 윤활제는 구체적으로 사이클로 메치콘(cyclomethicone),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acrylate), 및 가수분해 캐스터 오일(hydrogenated castor oil) 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1.5 중량부를 함유한다.
용제는 구체적으로 정제수, 알코올 등이 될 수 있고,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알콜 1~30 중량부 및 정제수 45~95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알콜 5~15 중량부 및 정제수 50~8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점증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점증제는 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하이드록시구아닌,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코카마이드디이에이, 폴리쿼터늄, 세테아릴알콜, 스테아릭산, 카라기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 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쿼터늄 중에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쿼터늄이 될 수 있다. 또한 점증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8~1.5 중량부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탈크 3~10 중량부, 보습제 0.1~0.3 중량부, 유화제 1~2 중량부, 용제 5~15 중량부, 유연제 0.5~1.5 중량부, 점증제 0.8~1.5 중량부 및 정제수 50~80 중량부를 함유한 탈크 함유 혼합물을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30 중량부 함유하고, 부탄가스를 70~90 중량부를 함유한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당업계에 통상적인 방부제, 향료, 색소, 첨가제 등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방부제는 구체적으로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imidazolidinyl urea) 또는 메틸 파라벤(methyl paraben) 등이 될 수 있고,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방부제 0.05~0.4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8~0.15 중량부를 함유할 수 있다.
향료는 인공향료 등이 될 수 있고,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향 0.1~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0.8 중량부를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피부보습용 조성물은 상기에 기재된 성분 중 함량범위에 준하여, 우선 정제수를 점증제, 보습제, 방부제, 유화제, 용제, 향료, 유연제, 탈크, 첨가제를 균일하게 20~25 ℃ 정도의 상온에서 혼합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상기 탈크 함유 혼합물에 부탄을 첨가,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부탄 첨가시, 탈크 함유 혼합물과 부탄 가스의 중량비는 10: 23~90 이며, 바람직하게는 10 : 32~4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37 이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분사형태인 에어로졸 에멀젼, 무스, 스프레이 제형을 갖는다.
본 발명의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탈크 및 부탄을 함유함으로써, 피부에 분사하였을 때, 피부의 온도를 순간적으로 낮추는 효과를 나타내어 청량감을 주며, 점증제를 추가로 함유함으로써 시원함, 상쾌함, 산뜻함이 더욱 증가시키고, 보습효과가 뛰어나 피부보호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탈크 및 부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1~3
본 발명의 탈크 및 부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원료명 실시예 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 1
함량 (g)
정제수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프로필렌글리콜 0.173 0.173 0.173 0.173
메틸 파라벤 0.104 0.104 0.104 0.104
tween 20 1.732 1.732 1.732 1.732
알코올 10.36 10.36 10.36 10.36
0.485 0.485 0.485 0.485
사이클로메치콘 1.024 1.024 1.024 1.024
첨가제 0.182 0.182 0.182 0.182
탈크 6.92 6.92 6.92 -
에어로실 - - - 6.92
폴리쿼터늄 1.123 - - 1.123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1.123 -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 - 1.123 -
중화제 - 0.1 - -
상기 표 1에 따라 각각의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으로 혼합하고, 용해시킨 후 완전히 분산될 때까지 25 ℃ 상온에서 혼합하여 탈크 함유 보습로션을 제조한 다음 캔에 넣고, 이 탈크 함유 보습로션과 부탄가스의 비율이 10:37 (w:w)이 되도록 부탄가스를 충전, 혼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3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8] 본 발명의 탈크 및 부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예 4~8
본 발명의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의 적절한 부탄 함유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의 탈크 함유 보습 로션에 하기 표 2와 같이 다양한 양의 부탄을 첨가, 혼합하여 실시예 4~8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 (g)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보습로션 10 10 10 10 10
부탄 32 35 37 40 42
[비교예 1] 비교예 조성물의 제조
탈크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상기 표 1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하고, 완전히 용해시켜 분산시켜 보습로션을 제조한 다음, 상기 보습로션을 부탄 과 10:37(w:w)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상기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예 조성물을 가지고 사용시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시험은 20대에서 30대의 남녀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각 조성물 (실시예 1, 비교예 1)에 20명씩 배정하여, 5회에 걸쳐 본 발명의 피부보습용 조성물을 사용하게 한 후, 효과정도를 평가 기준에 의하여 설문 평가하였다.
하기 표 3은 피부에 분사시의 효과, 총 5개 항목(거품의 크기, 지속시간 및 사용시 청량 효과, 피부의 흡습성, 끈적임 정도)에 대해 상대 비교 평가(매우좋음(A), 좋음(B), 보통(C), 나쁨(D)) 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비교했을 때, 탈크 및 부탄을 함유한 실시예 1 조성물이 무스 형태로 만들어져 청량 효과 및 피부로의 흡습성이 뛰어났으며, 탈크를 제외하고 부탄만을 함유하여 제조된 비교예 1의 조성물은 무스형태로 제조되지 않고, 액상 크림 및 무스 형태가 섞여져 균일하지 않게 제조되며, 분사시 청량 효과를 제대로 나타낼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 1에서 사용된 에어로실에 의해 로션 타입의 유화 액상의 점도가 매우 상승되어, 피부에 분사할 때 균일하게 분사되지 않는 분사액 끊김 현상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분사 후 실시예 1에 비해서 끈적임도 많이 발생되었고, 분사되었을 때 피부에 땀이나 물기가 있을 경우 실시예 1에 비해서 미끌거림과 끈적임이 심하게 나타나,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이 비교예 조성물보다 액상의 점도, 분사시 거품조절 및 유연효과가 더 탁월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거품크기 A C
거품지속시간 A C
청량 효과 A C
피부의 흡습성 A C
끈적임 정도 B D
[시험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4~8에서 제조된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거품의 크기, 거품지속시간 및 사용시 청량 효과 정도를 시험하여 적절한 부탄의 함유량을 확인하였다.
하기 표 4는 피부에 분사시의 효과를 상대 비교하여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을 A, B, C, D 등급으로 나타낸 결과이다.
탈크 함유 보습로션과 부탄의 혼합비가 10: 37 (w:w)인 실시예 6의 조성물의 경우가 다른 실시예에 비해서 거품의 크기, 지속시간 및 청량감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으며, 부탄의 함량이 40 이상일 경우 분사되는 형태가 무스 타입이 아닌 혼합 로션이 부탄에 의해 동결되어 얼음 알갱이 형태로 분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부탄의 함량이 32 이하일 경우 분사되는 형태가 무스 타입의 거품이 아닌 로션 타입의 유화액상으로 분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거품크기 C B A C D
거품지속시간 C B A C D
청량감 D B A A D
따라서 본 발명의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이 탈크 및 부탄을 함유함으로 써, 직접적으로 피부의 온도를 낮추어 시원하고 상쾌한 느낌을 주며, 청량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보습로션의 기능뿐만 아니라 탈크와 부탄을 함유함으로써, 직접적인 피부의 온도를 낮추어 주는 효과를 나타내어 청량감을 주며, 점증제를 추가로 함유함으로써 시원함, 상쾌함, 산뜻함이 증가된 효과를 가지므로, 사용시 산뜻한 사용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온에서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시간, 노력,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탈크 1~15 중량부, 보습제 0.01~1 중량부, 유화제 0.5~3 중량부, 유연제 0.1~3 중량부 및 용제 60~90 중량부를 함유하는 탈크 함유 혼합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30 중량부 함유하고, 부탄가스 70~90 중량부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크 함유 혼합물 및 부탄의 중량비가 10 : 32 ~ 40인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탈크 함유 혼합물 및 부탄의 중량비가 10 : 37인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에어로졸, 무스,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인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에 점증제 0.5~3 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탈크 3~10 중량부, 보습제 0.1~0.3 중량부, 유화제 1~2 중량부, 용제 5~15 중량부, 유연제 0.5~1.5 중량부, 점증제 0.8~1.5 중량부 및 정제수 50~80 중량부를 함유한 탈크 함유 혼합물을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30 중량부 함유하고, 부탄가스를 70~90 중량부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쿼터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에어로졸, 무스,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인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에어로졸, 무스,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인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에어로졸, 무스,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인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40084954A 2004-10-22 2004-10-22 탈크 및 부탄을 함유하는 청량감을 갖는 피부보습용화장료 조성물 KR100602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954A KR100602144B1 (ko) 2004-10-22 2004-10-22 탈크 및 부탄을 함유하는 청량감을 갖는 피부보습용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954A KR100602144B1 (ko) 2004-10-22 2004-10-22 탈크 및 부탄을 함유하는 청량감을 갖는 피부보습용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446A KR20060035446A (ko) 2006-04-26
KR100602144B1 true KR100602144B1 (ko) 2006-07-19

Family

ID=3714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954A KR100602144B1 (ko) 2004-10-22 2004-10-22 탈크 및 부탄을 함유하는 청량감을 갖는 피부보습용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1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705A (ko) 2019-01-25 2020-08-04 코스맥스 주식회사 쿨링감을 부여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1208A (ja) 1985-05-27 1986-12-01 Shiseido Co Ltd 乳化化粧料
US6365139B2 (en) 1998-04-29 2002-04-02 Avon Products, Inc. Cosmetic stick
US20050084553A1 (en) 2002-01-26 2005-04-21 Woong-Sig Moon Composition containing moutan root bark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0532691B1 (ko) 2003-01-07 2005-12-02 한국콜마 주식회사 아이스 샤벳 형태를 갖는 자외선차단 화장료 및 이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1208A (ja) 1985-05-27 1986-12-01 Shiseido Co Ltd 乳化化粧料
US6365139B2 (en) 1998-04-29 2002-04-02 Avon Products, Inc. Cosmetic stick
US20050084553A1 (en) 2002-01-26 2005-04-21 Woong-Sig Moon Composition containing moutan root bark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0532691B1 (ko) 2003-01-07 2005-12-02 한국콜마 주식회사 아이스 샤벳 형태를 갖는 자외선차단 화장료 및 이의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705A (ko) 2019-01-25 2020-08-04 코스맥스 주식회사 쿨링감을 부여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446A (ko)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42968B1 (en) Self-foaming oil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making and using same
KR101663141B1 (ko) 캡슐을 포함하는 이층상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53144B1 (ko) 이산화탄소를 분사제로 사용하는 폼타입의 마사지 무스 팩화장료 조성물
RU2185145C2 (ru) Антиперспирантные или дезодорирующие композиции
CN113693956A (zh) 一种洗面奶组合物
JPH0393707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20070113552A (ko) 피부쿨링에 효과적인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KR100602144B1 (ko) 탈크 및 부탄을 함유하는 청량감을 갖는 피부보습용화장료 조성물
JP2799362B2 (ja) 後発泡性ゲル組成物
CN114795980B (zh) 一种双连续相卸妆液及其制备方法
JP3836411B2 (ja) 発泡性を有する化粧料
JP2952275B2 (ja) エアゾール用組成物
JP2002241745A (ja) エアゾール組成物
JP6648230B2 (ja) 皮膚外用剤用キット
JP2000128736A (ja) 化粧用パウダ―並びに皮膚および粘膜からメ―クアップを除去するためのまたはクレンジングするためのその使用
KR101022988B1 (ko) 에어로졸형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10413488B2 (en) Aerosol oil foam compositions comprising a triglyceride-based oil and surfactant
KR20140040001A (ko)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36255B1 (ko) 모공수축효과 및 탄력효과가 우수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JP2003119109A (ja) エアゾール組成物
JP6851646B2 (ja) 皮膚外用剤用キット
JP6628197B2 (ja) 皮膚外用剤用キット
JPS63126811A (ja) 化粧料
KR20020091341A (ko) 모발 유연효과, 피부 진정효과 및 세정효과가 우수한화장료 조성물
JPH0640849A (ja) ゲル状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