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576B1 - 자수실 공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쓰리디 작업 방법 - Google Patents

자수실 공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쓰리디 작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576B1
KR100599576B1 KR1020040074413A KR20040074413A KR100599576B1 KR 100599576 B1 KR100599576 B1 KR 100599576B1 KR 1020040074413 A KR1020040074413 A KR 1020040074413A KR 20040074413 A KR20040074413 A KR 20040074413A KR 100599576 B1 KR100599576 B1 KR 100599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thread
lever
embroidery
needl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5666A (ko
Inventor
조희욱
Original Assignee
(주)엠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지테크 filed Critical (주)엠지테크
Priority to KR1020040074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576B1/ko
Publication of KR20060025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9/00Take-up devices, e.g. levers, for the needle thread
    • D05B49/02Take-up devices, e.g. levers, for the needle thread operated by cams or linkag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02Mechanical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단두 및 다두식 자수기의 캠(Cam)이 곡선으로 회전함에 따라 캠(Cam) 레버 기어(24)의 상부(24-a)에 연결된 실공급 레버(2)를 하강시키는 동작 초기단계와 상기 동작 초기단계에서 캠(Cam) 회전에 따라 캠(Cam) 레버 기어(24)의 중부(24-b)에 연결되며, 실공급 레버(2)의 이동거리는 25㎜ 내지 35㎜구간이며, 각도는 160° 내지 220°구간만큼 일시정지 하는 동작 중기단계와 상기 동작 중기단계에서 캠(Cam)의 회전이 계속되어 캠(Cam) 레버 기어(24)의 하부(24-c)에 연결되어 실공급 레버(2)가 자수사를 공급하는 위치까지 하강하며, 상기 캠은 310° 내지 345°구간만큼 각도가 이루어지며, 이동거리는 60㎜ 내지 65㎜ 구간인 동작 완료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실 공급 장치를 이용한 쓰리디 작업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자수기, 캠, 실공급 레버

Description

자수실 공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쓰리디 작업 방법 {embroidery thread supply machine and it used 3D work method}
도1은 종래 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 캠의 단면도이다.
도3은 종래 캠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4는 종래 캠 동작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5는 종래 캠 자수 작업의 단면도이다.
도6은 종래 캠에 의한 바늘대와 실공급레버 연동 그래프이다.
도7은 종래 니들바세트, 아암 및 실걸이의 조립 정면도이다.
도8은 종래 니들바세트, 아암 및 실걸이의 조립 우측면도이다.
도9는 종래 니들바세트, 아암 및 실걸이의 조립 좌측면도이다.
도10은 종래 니들바세트, 아암 및 실걸이의 조립 평면도이다.
도11은 종래 컨넥팅로드 A 및 B와 레버의 연결 구조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수기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캠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4는 도13의 단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캠 연결 구조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캠 동작 초기의 상태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캠 동작 중기의 상태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에 따른 캠 동작 완료의 상태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에 따른 캠 자수 작업의 단면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인 캠에 의한 바늘대와 실공급레버 연동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실공급 레버 4: 실공급 레버 기어
6: 바늘대 8: 종래 캠(Cam)
10: 캠(Cam) 베이스 12: 슬라이드 블록
14: 바늘대 잡이 16: 기침봉
18: 노루발 20: 바늘
22: 캠(Cam) 레버 24: 캠(Cam) 레버 기어
26: 캠(Cam) 폴로오 28: 컨넥팅로드 A
30: 컨넥팅 로드 레버 32: 컨넥팅로드 B
34: 고무 폼 36: 작업 원단
38: 니들바 세트 40: 아암
42: 실걸이 44: 자수실(윗실)
46: 자수실(밑실) 48: 실걸이 자수실 가이드
50: 니들바세트 자수실 중간 가이드 - A
52: 니들바세트 자수실 중간 가이드 - B
54: 니들바세트 자수실 로워 가이드
본 발명은 단두 및 다두식 자수기 실걸이(42)의 각종 놉(Knob)을 통과한 자수실은 실걸이 자수실 가이드(48)를 통과하고 니들바 세트 자수실 중간 가이드-A(50)를 관통한 후 실공급 레버(2)를 통해서 니들바 세트 자수실 중간 가이드-B(52)를 관통하여 니들바 세트 자수실 로워 가이드(54)를 통해 바늘(20)까지 공급되는 캠(Cam)(9)구조에 있어서, 상기 캠(Cam)(9)의 곡선 형태에 의하여 실공급 레버(2)가 동작 초기 상태부터 동작 완료 상태 중간에 일시 정지한 후, 일정한 각도에서 일시 정지 한 후 동작되는 자수실 공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3D 작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수기 부품 중 캠(Cam)(8)은 아암(40) 구성 부품 중 하나이고, 캠(Cam)(8)에는 실공급 레버(2)를 원호 각 운동 시키는 캠(Cam) 레버(22)가 부착되고 캠(Cam) 레버(22)에는 캠(Cam)(8)의 홈을 따라 베어링 운동 할 수 있도록 켐폴로오가 장착되어 있으며 캠(Cam)(8)은 캠(Cam)(8) 측면에 설치된 캠(Cam) 베이스에 조립되고 커넥팅 로드 레버에는 상하 원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컨넥팅 로드 A가 조립되고 컨넥팅 로드 레버 끝단에는 컨넥팅 로드 B가 설치되어 컨넥팅 레버가 상하 원호 운동에 의해 컨넥팅 로드 B가 연동 운동 되어 이것과 핀의 형태로 연결된 슬라이드 블록(12)은 고정된 기침봉(16)을 따라 상하 왕복 이동을 함으로서 이것과 핀의 형태로 연결되 슬라이드 블록(12)은 고정된 기침봉(16)을 따라 상하 왕복 이동을 함으로서 이것과 연결된 바늘대(6)가 상하 이동 하면서 자수가 이루어지도록 함 과 동시에 캠(Cam) 레버(22)와 연결된 실공급 레버(2)의 원호 각운동에 의한 자수실을 바늘대(6)에 원활히 공급 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일반적인 캠(Cam)(8)은 도1과 같이 홈의 곡선이 계란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캠(Cam)(8)의 단면은 도2에 표기된 것과 같다. 또한, 상기 캠(Cam)(8)의 홈은 요철 형태로 되어 있어서 도3의 캠(Cam)레버의 끝단에 조립된 캠(Cam) 폴로오(26)가 삽입되어 캠(Cam)(8)의 회전운동에 따라 캠(Cam)레버가 원호 운동을 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상기 도3은 종래 캠(Cam)(8)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캠(Cam)(8)은 캠(Cam) 베이스(10)에 조립되고, 상기 캠(Cam) 베이스(10) 측면에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 컨넥팅 로드 A가 조립되고 이것의 편심 회전 운동에 의해 컨넥팅 로드 레버가 왼쪽의 고정점을 중심으로 상하 원운동을 하여 컨넥팅 로드 끝단에 조립된 커넥팅 로드 B 또한 상하 원운동을 하며 컨넥팅 로드A가 회전할 경우 컨넥팅 로드 레버에 조립된 컨넥팅 로드B 또한 동작 하고 이것과 핀 형태로 조립된 슬라이드 블록(12)은 원형의 기침봉(16)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왕복 직선 운동을 한다.
도4에서 종래 캠(Cam)(8)이 회전 운동을 할 경우 위 설명한 것과 같은 관절 링크들에 의하여 슬라이드 블록(12)이 상하 왕복 직선 운동하고 니들바 세트(38)의 바늘대(6)는 바늘대 잡이(14)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 블록(12)의 상하 왕복운동에 따라 바늘대(6) 또한 상하 왕복운동을 하면서 바늘대(6)에 고정되 바늘(20)이 작업물을 뚫고 들어가 자수가 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실걸이(42)부터 니들바 세트(38)의 바늘(20)까지 자수실이 공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7, 도8, 도9에서와 같이 실걸이(42)의 각종 Konb을 통한 자수실은 실걸이(42) 자수실 가이드를 통과하고 니들바 세트(38)의 자수실 중간 가이드1을 관통한 후 실공급 레버(2)를 통해서 니들바 세트(38) 자수실 중간 가이드2를 관통하여 니들바 세트(38) 자수실 로워 가이드를 통해서 바늘(20)까지 공급되는 방법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바늘(20)까지 자수실이 공급되는 과정 중 실공급 레버(2)를 제외하고는 모두 관통 또는 통과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바늘(20)까지 자수실을 공급하는 것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Cam)(8)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캠(Cam)(8)의 홈을 따라 조립된 캠(Cam)레버가 상하 원운동을 하고 이것에 조립된 캠(Cam) 레버 기어(24)가 기어형태로 조합되는 니들바 세트(38)의 실공급 레버 기어(4)의 원호운동에 의해 실공급 레버(2)가 원호운동을 함으로서 자수실은 실걸이(42)로부터 바늘(20)까지 잡아당겨 공급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종래 캠(Cam)(8) 홈의 곡선형태는 도1과 같이 계란모양의 형상으로 되어 있어 이곳의 형상에 의해 원호 관절 운동을 하는 실공급 레버(2)는 도4와 같이 초기에는 니들바 세트(38)의 상부에 위치하고 캠(Cam)(8)의 회전에 의한 동작 완료는 도18과 같이 하부에 위치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자수실을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바늘대(6)와 실공급 레버(2)의 각도별 운동 형태와 이동거리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도19와 같이 나타난다. 여기에서 자수품질과 관련된 중요부분은 실공급 레버(2)와 바늘대(6)가 교차되기 전의 실공급 레버(2)와 바늘대(6)의 이동형태로서 바늘대(6)가 하강함에따라 실공급 레버(2)도 바늘대(6)와 평행하게 하강하여 자수실을 원할하게 공급하여 작업물에 자수가 되는 원리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캠(Cam)(8)의 역할을 자수윗실을 적당량 바늘대(6)로 공급함과 동시에 바늘대(6)의 상하 왕복 운동 이송 거리를 결정하여 바늘대(6)에 장착된 바늘이 작업물을 뚫고 들어간 후 밑실과 잘 엮이도록하고 바늘은 다음 위치로 이동하여 뚫고 들어감으로서 1-Stitch가 형성 되는데 여기서 윗실의 공급량이 적을 경우 실끊김이 발생 할 수 있고 긴경우는 작업물에 자수윗실이 뜨게 되어 자수품질을 저하 시키고 생산성 또한 저하 시킨다.
본 발명은 자수실 공급 장치를 이용한 3D 작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상세하게는 캠(Cam)(9)은 자수기 부품 중 아암(4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캠(Cam)(9) 중앙의 주축 회전 운동은 자수실이 서로 엮어질 수 있도록 슬라이드 블록(12) 상하 왕복 운동을 시켜 바늘(20)이 장착된 바늘대(6)는 상하 왕복운동을 함으로서 실공급 레버(2)는 원호 각 운동을 하게 되고 윗실을 적당량 바늘(20)에 공급함으로서 윗실과 밑실이 엮어 지도록 하여 모자등에 작업하는 3D 자수가 되도록 하는 자수실 공급 장치 를 이용한 3D 작업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단두 및 다두식 자수기에 있어서, 상기 자수기의 놉(Knob)을 통과한 자수실은 자수실 가이드를 통과하고, 상기 자수실은 니들바세트 자수실 중간 가이드-A(50)를 관통하는 실공급 레버(2)와 상기 실공급 레버(2)를 통해서 니들바세트 자수실 중간 가이드-B(52)를 관통하여 니들바세트 자수실 로워 가이드(54)와 상기 니들 바세트 자수실 로워 가이드(54)를 통하여 바늘(20)까지 상기 자수실이 공급되는 캠(Cam)(9)과 상기 캠(Cam)(9)은 아암(40) 내부에 구성되고, 상기 캠(Cam)(9) 중앙의 주축 회전 운동은 자수실이 서로 엮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슬라이드 블록(12)과 상기 슬라이드 블록(12)은 상하 왕복 운동을 시켜 상하 왕복운동을 하며, 바늘(2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바늘대(6)와 상기 바늘대(6)가 상하 왕복운동을 하면 상기 실공급 레버(2)는 원호 각 운동을 하게 되고 윗실을 적당량 바늘(20)에 공급함으로서 윗실과 밑실이 엮어 지도록 하여 자수가 된다.
이러한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3D 작업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캠(Cam)(9)의 곡선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캠(Cam) 레버 기어(24)의 상부(24-a)에 연결되어 실공급 레버(2)를 하강시키는 동작초기단계와 상기 동작초기단계에서 캠(Cam)(9)이 회전함에 따라 캠(Cam) 레버 기어(24)의 중부(24-b)에 연결되어 실공급 레버(2)가 일정각도 만큼 일시정지 하는 동작중기단계와 상기 동작중기단계에서 캠(Cam)(9)의 회전이 계속되어 캠(Cam) 레버 기어(24)의 하부(24-c)에 연결되어 실공급 레버(2)가 자수사를 공급하는 위치까지 하강하는 동작완료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캠(Cam)(9)에 의하여 자수실을 바늘(20)까지 공급하는 각종 링크 또는 관절수단이 동작 중간 일시 정지 한 후 다시 동작을 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동작중기단계에서 일정각도는 160° 내지 220°구간이며, 동작완료단계는 310° 내지 345°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에서 동작중기단계의 이동거리는 25㎜ 내지 35㎜구간이며, 동작완료단계의 이동거리는 60㎜ 내지 65㎜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수기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며, 도1은 종래 캠(Cam)(8)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니들바 세트(38)와 아암(40), 실걸이(42)의 이해를 돕기위하여 참고한다. 다두식 자수기의 구조는 니들바 세트(38)와 캠(Cam)(9)이 장착된 아암(40)과 실걸이(42)등으로 구성 조립되어 있다.
상기 니들바 세트(38)와 아암(40) 및 실걸이(42) 조립의 구성은 도7의 정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바 세트(38)의 상부에는 실걸이(42)가 조립되고 아암(40)은 도8, 도9 및 도10의 조립 우측면도, 좌측면도,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바 세트(38)의 후면에 조립되어 있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캠(Cam)(9)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된 캠(Cam)(9)은 회전 할 경우, 상기 캠(Cam) 레버(22)의 캠(Cam)폴로오가 일부구간에서 정지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도14는 도13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캠(Cam)(9) 연결 구조도이다. 상기 캠(Cam)(9)이 컨넥팅 로드 A와 컨넥팅 로드 레버, 그리고 캠 베이스(10)와 캠(Cam)의 홈에 캠 레버가 조립된 캠 폴로오가 구성된다.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캠(Cam)(9) 동작 초기의 상태도이며, 도17은 본 발명 에 따른 캠(Cam)(9) 동작 중기의 상태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에 따른 캠(Cam)(9) 동작 완료의 상태도이다.
상기 도16은 상기 캠(Cam)(9)이 적용된 실공급 레버(2)의 동작초기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캠(Cam)(9)이 회전함에 따라 실공급 레버(2)는 하강하고,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Cam)(9) 동작 중기에 도달하면 실공급 레버(2)는 일정한 각도 만큼 일시정지한다. 이후,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Cam)(9)의 위치가 하강하여 동작 완료를 한다.
상기 동작 완료는 실공급레버가 초기 조립된 상태에서부터 하강 완료까지를 표기한 것이다.
도19는 본 발명에 따른 캠(Cam)(9) 자수 작업의 단면도이다. 상기 캠(Cam)(9)이 회전함에 따라 실공급 레버(2)는 하강하면서 상기 도17의 동작 중기의 위치에 도달하면 실공급 레버(2)는 일정한 각도만큼 일시 정지한다.
상기 일시정지 후 상기 캠(Cam)(9)은 도18의 동작 완료 위치까지 하강하여 자수사를 충분히 공급하는 구조고 캠(Cam)(9) 곡선이 형성되어 있다.
도20은 본 발명인 캠(Cam)(9)에 의한 바늘대(6)와 실공급 레버(2) 연동 그래프이다. 상기 실공급레어가 일시정지 하는 구간은 하강 하다가 일시정지 후 수평이동하는 구간에 해당된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거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 당업자들에 의하여 변형 또는 수정 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의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르면, 실공급 레버(2)는 하강 하다가 일시 정지 하지만 바늘대(6)는 계속 하강하여 자수실을 강제로 끌어당기고 실공급 레버(2)가 일시정지한 구간을 지나서는 계속 하강하면서 자수실을 충분히 공급함으로서 자수실과 자수실이 서로 잡아당기면서 엮임으로 인하여 작은 둥근 모서리가 형성되고 모자 고무폼(34)작업의 제품은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자등에 작업하는 3D 작업의 자수품질의 향상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캠(Cam)(9)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캠(Cam)(9)을 적용한 경우 자수품질은 향상되고 실끊김을 적게 함으로서 작업물의 생산성을 향상 시키고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볼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단두 및 다두식 자수기의 캠(Cam)이 곡선으로 회전함에 따라 캠(Cam) 레버 기어(24)의 상부(24-a)에 연결된 실공급 레버(2)를 하강시키는 동작 초기단계;
    상기 동작 초기단계에서 캠(Cam) 회전에 따라 캠(Cam) 레버 기어(24)의 중부(24-b)에 연결되며, 실공급 레버(2)의 이동거리는 25㎜ 내지 35㎜구간이며, 각도는 160° 내지 220°구간만큼 일시정지 하는 동작 중기단계;
    상기 동작 중기단계에서 캠(Cam)의 회전이 계속되어 캠(Cam) 레버 기어(24)의 하부(24-c)에 연결되어 실공급 레버(2)가 자수사를 공급하는 위치까지 하강하며, 상기 캠은 310° 내지 345°구간만큼 각도가 이루어지며, 이동거리는 60㎜ 내지 65㎜ 구간인 동작 완료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실 공급 장치를 이용한 쓰리디 작업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40074413A 2004-09-17 2004-09-17 자수실 공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쓰리디 작업 방법 KR100599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413A KR100599576B1 (ko) 2004-09-17 2004-09-17 자수실 공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쓰리디 작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413A KR100599576B1 (ko) 2004-09-17 2004-09-17 자수실 공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쓰리디 작업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742U Division KR200370214Y1 (ko) 2004-09-17 2004-09-17 자수실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666A KR20060025666A (ko) 2006-03-22
KR100599576B1 true KR100599576B1 (ko) 2006-07-19

Family

ID=37131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413A KR100599576B1 (ko) 2004-09-17 2004-09-17 자수실 공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쓰리디 작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5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345A (ko) * 2000-07-05 2002-01-16 박인철 독립 구동형 다두 자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345A (ko) * 2000-07-05 2002-01-16 박인철 독립 구동형 다두 자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666A (ko) 200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0191B1 (ko) 다두 자수 미싱
KR102039777B1 (ko) 코드재를 봉착할 수 있는 자수 미싱
JP4725864B2 (ja) 偏平縫いミシン
KR101364551B1 (ko) 자수 미싱의 옷감 누름부재 구동 구조
JP2005518912A (ja) 水平多針キルティング装置および方法
KR100599576B1 (ko) 자수실 공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쓰리디 작업 방법
WO2009033846A1 (en) Straight linking machine for knitted articles, with highly versatile use
JP2008504862A (ja) 糸通し装置
CA2110277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embroidering beads
KR200370214Y1 (ko) 자수실 공급 장치
KR100792380B1 (ko) 의류용 장식구슬의 자동 부착장치
CN209636471U (zh) 一种多色绣珠机头及具有该机头的绣花机
EP1233095B1 (en) Sewing machine for forming running-stitch seams
CN114737326A (zh) 一种牙刷绣电脑绣花机
US7322304B2 (en) Multi-needle sewing machine
CN213571032U (zh) 缝纫机防跳线装置及缝纫机
KR20100019334A (ko) 자수 미싱의 옷감 누름체
JPH0770903A (ja) 刺繍ミシン
KR200482696Y1 (ko) 경편기의 장식 원사 공급장치
WO2021131884A1 (ja) ミシン
CN109576916B (zh) 缝纫机和缝纫机的控制方法
KR101263427B1 (ko) 발가락양말 봉제용 미싱
CN210002056U (zh) 一种用于多针绗缝机的横向运动缝纫机构
JPH1099573A (ja) ミシン
TW202037780A (zh) 壓布腳上下驅動裝置及具備該裝置的縫紉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