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452B1 - 오디오신호 근거리 송신용 음성/영상 처리모듈, 오디오신호근거리 수신용 음성 수신/처리 모듈 및 음성/영상처리모듈에서 음성 수신/처리 모듈로의 오디오신호 전달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신호 근거리 송신용 음성/영상 처리모듈, 오디오신호근거리 수신용 음성 수신/처리 모듈 및 음성/영상처리모듈에서 음성 수신/처리 모듈로의 오디오신호 전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452B1
KR100599452B1 KR1020050037840A KR20050037840A KR100599452B1 KR 100599452 B1 KR100599452 B1 KR 100599452B1 KR 1020050037840 A KR1020050037840 A KR 1020050037840A KR 20050037840 A KR20050037840 A KR 20050037840A KR 100599452 B1 KR100599452 B1 KR 100599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udio signal
audio
processing modul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전우
배창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37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신호 근거리 송신용 음성/영상 처리모듈, 오디오신호 근거리 수신용 음성 수신/처리 모듈 및 음성/영상 처리모듈에서 음성 수신/처리 모듈로의 오디오신호 전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달된 A/V(Audio/Video)신호를 음성/영상 처리모듈에서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로 분리하여 상기 오디오신호를 설정된 근거리 영역내로 송출하고, 송출된 오디오신호를 음성 수신/처리 모듈에서 수신하여 오디오를 청취함으로써, 음성/영상 처리모듈에 부가될 수 있는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대한 정확한 정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디오신호 전송을 이용하여 음악 서비스, 광고, 광고 시청에 따른 사이버 머니 적립 등의 다양한 컨텐츠로의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휴대정보단말기,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 오디오신호

Description

오디오신호 근거리 송신용 음성/영상 처리모듈, 오디오신호 근거리 수신용 음성 수신/처리 모듈 및 음성/영상 처리모듈에서 음성 수신/처리 모듈로의 오디오신호 전달 방법{VOICE/IMAGE PROCESS MODULE FOR TRANSFERRING AUDIO SIGNAL TO SHORT DISTANCE, VOICE RECEIVING/PROCESSING MODULE FOR RECEIVING AUDIO SIGNAL AT SHORT DISTAN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UDIO SIGNAL FROM VOICE/IMAGE PROCESS MODULE TO VOICE RECEIVING/PROCESSING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신호 전달 시스템 및 방법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시스템을 이용한 오디오신호 전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음성/영상 처리모듈의 제어회로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음성/영상 처리모듈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음성 수신/처리 모듈의 제어회로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음성 수신/처리 모듈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A/V신호 수신부 12 : A/V신호 처리부
121 : A/V신호 분리부 122 : FM 변조부
123 : FM 송신부 124 : 송신용 근거리 무선통신기기
125 : 수신방식 안내표시 생성기 126 : 비디오 믹서
14 :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 16 : 오디오신호 수신부
161 : FM 수신/동조부 162 : FM 복조부
163 : 수신용 근거리 무선통신기기 18 : 휴대정보단말기
본 발명은 근거리에 오디오신호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에서 오디오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신호 근거리 송신용 음성/영상 처리모듈, 오디오신호 근거리 수신용 음성 수신/처리 모듈 및 음성/영상 처리모듈에서 음성 수신/처리 모듈로의 오디오신호 전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의 가격이 저렴해짐에 따라 많은 장소에 설치되어 광고 또는 뉴스 속보와 같은 비디오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도심의 거리를 걸어가는 일반 시민이나 시내 빌딩 가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들은 대형 빌딩의 옆면에 장착된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광고 또는 뉴스 속보와 같은 비디오 정보를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는 지하철역 구내 및 플랫폼 뿐만 아니라, 기차역, 고속버스 터미널, 그리고 공항 대합실 등에도 설치되어 광고, 방송 등을 포함한 다양한 비디오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승객들은 이를 통해 기다리는 지루함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정보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가 설치되는 장소는 주로 공공장소이기 때문에 비디오 정보에 오디오신호를 동시에 전달한다면 공공장소에서의 소음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건물 옥상 또는 벽면에 부착된 대형의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상당한 거리에 떨어진 사람들에게 오디오신호를 전달하는 것도 실제적으로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하여 전달 가능한 정보는 실제적으로 비디오 정보 밖에 없다. 하지만, 오디오가 빠진 비디오 정보는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의 반밖에 전달하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오고, 특히 광고의 경우 그 효과가 극히 미비해 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송된 A/V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로 분리하고, 상기 오디오신호를 근거리로 송신하는 오디오신호 근거리 송신용 음성/영상 처리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근거리에 위치한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 등에 장착될 수 있는 오디오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된 오디오신호를 수신하여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 등에서 재생되는 영상과 매칭되는 음향을 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디오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청취할 수 있는 오디오신호 근거리 수신용 음성 수신/처리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정보단말기 등에 장착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 등에 장착될 수 있는 음성/영상 처리모듈에 의해 처리된 영상에 대응하는 오디오신호를 수신하여 청취하는 음성/영상 처리모듈에서 음성 수신/처리 모듈로의 오디오신호 전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때, 오디오신호가 전달되는 경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그 첫 번째 방법은, 근거리 FM 방송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자동차 극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하는 각 비디오 정보에 해당하는 오디오신호를 각각 특정한 FM 주파수로 변조한 후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 등에 장착될 수 있는 음성/영상 처리모듈을 중심으로 근거리 지역에 방송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가진 음성 수신/처리 모듈에 FM 수신기를 장착하여야 하며, 장착된 FM 수신기의 주파수를 동조함으로써 원하는 음성/영상 처리모듈 또는 오디오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된 오디오신호를 청취할 수 있다.
한편, 그 두 번째 방법은,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가진 음성 수신/처리 모듈에 근거리 무선통신기기를 장착하고, 장착된 근거리 무선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청취하고자 하는 오디오신호를 제공하는 사이트 또는 장치 등에 접속한 후 오디오신호를 스트리밍 받아 재생함으로써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디오신호 근거리 송신용 음성/영상 처리모듈은,
전달된 A/V(Audio/Video) 신호를 수신하는 A/V신호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A/V신호에서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오디오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A/V신호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오디오신호 근거리 송신용 음성/영상 처리모듈의 제어방법은,
전송된 A/V(Audio/Video)신호를 A/V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A/V신호에 대해 A/V신호 처리부에서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로 분리하여 상기 오디오신호를 미리 설정된 거리이내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오디오신호 근거리 수신용 음성 수신/처리 모듈은,
오디오신호 근거리 송신용 음성/영상 처리모듈로부터 전달된 오디오신호를 전송받는 오디오신호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오디오신호를 재생하는 휴대정보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오디오신호 근거리 수신용 음성 수신/처리 모듈의 제어방법은,
오디오신호를 휴대정보단말기에 마련된 오디오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오디오신호를 휴대정보단말기에서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음성/영상 처리모듈에서 음성 수신/처리 모듈로의 오디오신호 전달 방법은,
전달된 A/V(Audio/Video) 신호를 수신하는 A/V신호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A/V신호에서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달함과 아울러 상기 오디오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A/V신호 처리부와, 상기 비디오신호에 대응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로 구성된 음성/영상 처리모듈; 및 상기 A/V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오디오신호를 전송받는 오디오신호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오디오신호를 재생하는 휴대정보단말기로 구성된 음성 수신/처리 모듈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이용하여,
a. 전송된 A/V(Audio/Video)신호를 A/V신호 처리부에서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로 분리하여 상기 비디오신호는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오디오신호는 미리 설정된 거리이내로 송신하는 단계;
b. 상기 오디오신호를 휴대정보단말기에 마련된 오디오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신된 오디오신호를 휴대정보단말기에서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오디오신호 근거리 송신용 음성/영상 처리모듈, 오디오신호 근거리 수신용 음성 수신/처리 모듈 및 음성/영상 처리모듈에서 음성 수신/처리 모듈로의 오디오신호 전달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신호 전달 시스템 및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크게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 마련하여야 하는 음성/영상 처리모듈(Ⅰ)과, 서비스 사용자 측에서 마련하여야 하는 음성 수신/처리 모듈(Ⅱ)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음성/영상 처리모듈(Ⅰ)은, A/V(Audio/Video) 수신부(10), A/V신호 처 리부(12), 그리고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A/V신호 수신부(10)는 A/V(Audio/Video)신호의 송출지인 센터(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A/V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A/V신호 처리부(12)는 수신된 A/V신호에서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를 분리하여 비디오신호는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14)로 전달하고, 오디오신호는 음성 수신/처리 모듈(Ⅱ)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14)는 전달된 비디오신호에 대응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음성 수신/처리 모듈(Ⅱ)은, 오디오신호 수신부(16) 및 휴대정보단말기(1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휴대정보단말기(18)는 통상의 통신서비스 및 개인정보 관리를 위해 평상시 휴대하는 이동단말을 의미한다. 상기 오디오신호 수신부(16)는 A/V신호 처리부(12)로부터 전송된 오디오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A/V신호 처리부(12)와 오디오신호 수신부(16)간에는 FM 방송 방식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게 되며, A/V신호 처리부(12)와 오디오신호 수신부(16) 사이의 거리는 제한된 영역 내에서 송수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A/V신호 처리부(12)에서 오디오신호 수신부(16)로 오디오신호가 스트리밍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디오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FM 방식을 이용하여 오디오신호를 송수신 하는 음성/영상 처리모듈(Ⅰ) 및 음성 수신/처리 모듈(Ⅱ)간 오디오신호 전달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시스템을 이용한 오디오신호 전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센터(미도시)로부터 공중파 또는 유선상으로 전송된 A/V신호를 A/V 수신부(10)에서 수신하여 A/V신호 처리부(12)로 전달한다(S1). 이에 A/V신호 처리부(12)에서는 A/V신호를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로 분리한다(S2). 분리된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는 각각 해당 처리장치로 전달되는데, 비디오신호는 옥내외디스플레이 기기(14)로 전달됨과 아울러 오디오신호는 FM 변조를 통해 근거리로의 송신이 이루어지게 된다(S3).
한편, 휴대정보단말기(18) 사용자가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14)를 보면서 해당 비디오 정보에 대한 오디오 정보를 청취하고자 할 경우에,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14)에 디스플레이되는 FM 주파수를 확인하여 해당 주파수에 동조시킨다(S4). 이후 동조가 이루어지면 A/V신호 처리부(12)로부터 출력되는 변조신호가 오디오신호 수신부(16)를 통해 수신된다(S5).
이후, 수신된 신호는 FM 복조가 이루어져 오디오신호가 복원된다(S6). 이 복원된 오디오신호를 휴대정보단말기(18)에 마련된 스피커 또는 단자에 연결된 이어폰 등으로 출력시키게 된다(S7). 이에 사용자가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를 결합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동작예의 실시예에서는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14)를 포함하 는 음성/영상 처리모듈(Ⅰ)과, 휴대정보단말기(18)를 포함하는 음성 수신/처리 모듈(Ⅱ)간 오디오신호 전달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14)를 제외한 A/V신호 수신부(10)와 A/V신호 처리부(12)로 이루어진 음성/영상 처리모듈(Ⅰ’)만으로, 또는 휴대정보단말기(18)를 제외한 오디오신호 수신부(16)로 이루어진 음성 수신/처리 모듈(Ⅱ’)만으로 오디오신호 전달 서비스를 수행하는 각각의 과정을 기술사상내에 포함시키고 있다.
이에, A/V신호 수신부(10)와 A/V신호 처리부(12)로 이루어진 음성/영상 처리모듈(Ⅰ’)만으로 오디오신호 전달 서비스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14)가 제외됨에 따라 수신방식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없으므로 음성 수신/처리 모듈(Ⅱ’)에서 수신방식에 대한 스캐닝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기술이 더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오디오신호 수신부(16)로 이루어진 음성 수신/처리 모듈(Ⅱ’)만으로 오디오신호 전달 서비스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오디오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대한 선행조건이 제시되어야 하며, 휴대정보단말기(18)의 기능, 즉 이어폰 단자 또는 오디오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장치가 더 마련되어야 함과 아울러, 이에 대한 제어과정이 더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제 2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 제시한 음성/영상 처리모듈(Ⅰ)만을 이용하여 오디오신호를 제공하는 기술사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음성/영상 처리모듈의 제어회로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음성/영상 처리모듈은 A/V(Audio/Video) 수신부(10), A/V신호 처리부(12’), 그리고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A/V(Audio/Video) 수신부(10) 및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14)는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A/V신호 처리부(12’)는 A/V신호 분리부(121), FM 변조부(122), FM 송신부(123), 송신용 근거리 무선통신기기(124), 수신방식 안내표시 생성기(125), 그리고 비디오 믹서(12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A/V신호 분리부(121)는, A/V신호를 수신하는 A/V신호 수신부(10)로부터 전송된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를 분리하고, 이 분리된 신호들을 해당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FM 변조부(122)는 A/V신호 분리부(121)로부터 전달된 오디오신호를 근거리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오디오신호를 정현파 등의 고주파 전류 또는 전압의 주파수 변조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FM 송신부(123)는 변조된 신호를 근거리 이내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송신용 근거리 무선통신기기(124)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기기를 의미하며, 일정거리내에 있는 블루투스칩을 내장한 오디오신호 수신부(16)로 오디오신호를 다이렉트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블루투스 이외에 무선랜(Wireless LAN) 등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무선랜의 경우에는 인터넷망 등을 이 용한 망접속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수신방식 안내표시 생성기(125)는 송신용 근거리 무선통신기기(124)의 종류에 따른 수신주파수, IP 등의 정보를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14)에 표시하기 위한 수신방식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비디오 믹서(126)는 A/V신호 분리부(121)로부터 전달된 비디오신호와 수신방식 안내표시 생성기(125)에서 전달된 수신방식정보를 혼합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혼합된 정보는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14)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며, 수신방식정보는 특정 위치, 즉 하단 또는 측면에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오디오 정보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개별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는 두 가지 종류의 오디오 전달 경로를 제공한다.
그 첫 번째는, FM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제한된 지역 내에서 특정한 FM 방송 주파수를 사용하여 오디오 정보를 방송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의 경우 수신방식 안내표시 생성기(125)와 비디오 믹서(126)를 통해 현재 오디오 정보를 방송 중인 FM 주파수를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14) 하단에 표시함으로써 원하는 사용자가 오디오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 두 번째는,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송신용 근거리 무선통신기기(124)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는 오디오 정보를 송신용 근거리 무선통신기기(124)로 보내고 FM 방송 방식과 마찬가지로 수신방식 안내표시 생성기(125)와 비디오 믹서(126)를 통해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14)의 하단에 오디오 정 보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을 표시해 준다.
한편, 서비스 사용자 측에서 이외의 송수신방식을 이용할 것을 고려하여 음성/영상 처리모듈은 여기서 설명한 송신방식 이외의 다양한 송신방식을 갖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본 제 2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A/V(Audio/Video) 수신부(10), A/V신호 처리부(12’), 그리고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14)로 이루어진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14)를 제외하고 상기 A/V(Audio/Video) 수신부(10) 및 A/V신호 처리부(12’)로만 이루어진 오디오 송신장치를 마련하여 오디오신호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A/V신호 처리부(12’)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의 A/V신호 처리부(12’)에 적용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디오신호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음성/영상 처리모듈(Ⅰ)이 FM 수신 방식을 이용하여 오디오신호를 제공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음성/영상 처리모듈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센터(미도시)로부터 공중파 또는 유선상으로 전송된 A/V신호를 A/V 수신부(10)에서 수신하여 A/V신호 처리부(12’)로 전달한다(P1). 이에 A/V신호 처리부(12’)에서는 A/V신호를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로 분리한다 (P2). 분리된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는 각각 해당 처리장치로 전달되는데, 비디오신호는 옥내외디스플레이 기기(14)로 전달됨과 아울러 오디오신호는 FM 변조부(122)로 전달된다(P3). 이에 FM 변조부(122)에서는 오디오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과정으로서 변조를 수행하여(P4) FM 송신부(123)로 전달한다. 이에 FM 송신부(123)에서는 변조된 오디오신호를 미리 설정된 근거리 영역에 송출한다(P5).
제 3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 제시한 음성 수신/처리 모듈(Ⅱ)만을 이용하여 오디오신호를 수신하는 기술사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음성 수신/처리 모듈의 제어회로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음성 수신/처리 모듈(Ⅱ)은 오디오신호 수신부(16’) 및 휴대정보단말기(1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휴대정보단말기(18)는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오디오신호 수신부(16’)는 FM 수신/동조부(161), FM 복조부(162), 그리고 수신용 근거리 무선통신기기(16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FM 수신/동조부(161)는 A/V신호 처리부(12)와 동조 및 A/V신호 처리부(12)로부터 전송된 오디오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FM 복조부(162)는 수신된 신호에서 오디오신호 본래의 신호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수신용 근거리 무선통신기기(163)는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기기를 의미하며, 상기한 송신용 근거리 무선통신기기(124)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오디오신호 수신부(16’)는 A/V신호 처리부(12)에서 오디오 정보를 송신하는 방식에 따라 수신 방식이 결정된다.
먼저, A/V신호 처리부(12)에서 FM 방송 방식으로 오디오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사용자의 휴대정보단말기(18)에는 FM 수신/동조부(161)와 FM 복조부(162)가 장착되어 있어야 한다. 사용자는 장착된 FM 방송 수신/동조부의 주파수를 원하는 비디오 정보가 재생되고 있는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14)의 하단에서 보여주고 있는 주파수로 동조함으로써 오디오신호를 수신하여 청취할 수 있다.
다음으로, A/V신호 처리부(12)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오디오 정보를 송신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휴대정보단말기(18)에는 수신용 근거리 무선통신기기(163)가 장착되어 있어야 한다. 사용자는 장착된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수신용 근거리 무선통신기기(163)를 이용하여 원하는 비디오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송신기에 접속하여 오디오신호를 수신하여 청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FM 방송 방식을 위한 장치 및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위한 장치는 휴대정보단말기(18)에 선택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본 제 3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오디오신호 수신부(16’) 및 휴대정보단말기(18)로 이루어진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휴대정보단말기 (18)를 제외하고 상기 오디오신호 수신부(16’)로만 이루어진 음성 수신/처리 모듈을 마련하여 오디오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음성 수신/처리 모듈은 상기한 제 1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디오신호를 제공받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음성 수신/처리 모듈(Ⅱ)이 FM 수신 방식을 이용하여 오디오신호를 제공받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음성 수신/처리 모듈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오디오 정보를 청취하고자 할 경우에, 주변 정보를 통해 FM 주파수를 확인하여 FM 수신/동조부(161)를 동조시킨다(Q1). 이후 동조가 이루어지면 A/V신호 처리부(12)로부터 출력되는 변조신호가 FM 수신/동조부(161)로 수신되게 된다(Q2).
이후, 수신된 신호는 FM 복조부(162)에서 복조가 이루어져 오디오신호가 복원된다(Q3). 이 복원된 오디오신호를 휴대정보단말기(18)에 마련된 스피커 또는 단자에 연결된 이어폰 등으로 출력시키게 된다(Q4). 이에 사용자가 오디오신호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신호 근거리 송신용 음성/영상 처리모듈, 오디오신호 근거리 수신용 음성 수신/처리 모듈 및 음성/영상 처리모듈에서 음성 수신/처리 모듈로의 오디오신호 전달 방법은, 비디오 정보를 통한 광고 또는 뉴스 속보 서비스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옥내외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휴대정보단말기로 오디오 정보를 전달하여 휴대정보단말기 이용자가 디스플레이와 매칭되는 오디오 정보를 청취할 수 있게 됨으로써, 특히 광고 등에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한 광고 시장의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외에, 지하철 역 구내 또는 각종 대합실 등에서 승객의 지루함을 달랠 수 있는 음악 제공 등 다양한 서비스로의 확장이 가능하며,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부가함으로써 웹사이트 접속을 통한 더욱 풍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광고의 경우 오디오 정보를 수신 청취하는 사용자에게는 광고회사에서 일정액의 사이버 머니 등의 이익을 제공함으로써 더 높은 광고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전달된 A/V(Audio/Video) 신호를 수신하는 A/V신호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A/V신호에서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오디오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A/V신호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 근거리 송신용 음성/영상 처리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비디오신호에 대응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 근거리 송신용 음성/영상 처리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V신호 처리부는,
    A/V신호 수신부로부터 전송된 A/V신호를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A/V신호 분리부;
    상기 A/V신호 분리부로부터 전달된 오디오신호를 근거리에 전송하기 위한 변조를 수행하는 FM 변조부; 및
    상기 변조된 신호를 미리 설정된 거리이내로 송신하는 FM 송신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 근거리 송신용 음성/영상 처리 모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V신호 처리부는,
    A/V신호 수신부로부터 전송된 A/V신호를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A/V신호 분리부;
    상기 A/V신호 분리부로부터 전달된 오디오신호를 근거리에 전송하기 위한 무선접속을 수행하는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를 포함한 송신용 근거리 무선통신기기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 근거리 송신용 음성/영상 처리모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V신호 처리부에는,
    상기 오디오 수신을 위한 수신방식정보를 생성하는 수신방식 안내표시 생성기; 및
    A/V신호로부터 분리된 비디오신호와 상기 수신방식 안내표시 생성기에서 생성된 수신방식정보를 혼합하여 디스플레이 기기로 출력하는 비디오 믹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 근거리 송신용 음성/영상 처리모듈.
  6. 오디오신호 근거리 송신용 음성/영상 처리모듈로부터 전달된 오디오신호를 전송받는 오디오신호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오디오신호를 재생하는 휴대정보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 근거리 수신용 음성 수신/처리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신호 수신부는,
    주파수를 동조시켜 상기 오디오신호를 수신하는 FM 수신/동조부; 및
    상기 FM 수신/동조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에서 오디오신호를 복원하는 FM 복조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 근거리 수신용 음성 수신/처리 모듈.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신호 수신부는,
    A/V신호 처리부로부터 전송된 오디오신호를 무선접속을 통해 수신하는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를 포함한 수신용 근거리 무선통신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 근거리 수신용 음성 수신/처리 모듈.
  9. a. 전송된 A/V(Audio/Video)신호를 A/V신호 처리부에서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로 분리하여 상기 비디오신호는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오디오신호는 미리 설정된 거리이내로 송신하는 단계;
    b. 상기 오디오신호를 휴대정보단말기에 마련된 오디오신호 수신부에서 수신 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신된 오디오신호를 휴대정보단말기에서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영상 처리모듈에서 음성 수신/처리 모듈로의 오디오신호 전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수신방식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영상 처리모듈에서 음성 수신/처리 모듈로의 오디오신호 전달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오디오신호 송신은,
    상기 비디오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신호를 FM 변조하는 단계; 및
    상기 변조된 오디오신호를 미리 설정된 거리이내로 송신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영상 처리모듈에서 음성 수신/처리 모듈로의 오디오신호 전달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오디오신호 송신은,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를 포함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영상 처리모듈에서 음성 수신/처리 모듈로의 오디오신호 전달 방법.
  13.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오디오신호 수신은,
    설정 거리이내에서 해당 FM 주파수로 동조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원래의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영상 처리모듈에서 음성 수신/처리 모듈로의 오디오신호 전달 방법.
  14. 제 9 항, 제 10 항, 제 12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오디오신호 수신은,
    설정 거리이내에서 해당 무선통신 또는 망접속을 수행하는 단계; 및
    무선통신 또는 망접속이 이루어지면 오디오신호를 스트리밍받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영상 처리모듈에서 음성 수신/처리 모듈로의 오디오신호 전달 방법.
KR1020050037840A 2005-05-06 2005-05-06 오디오신호 근거리 송신용 음성/영상 처리모듈, 오디오신호근거리 수신용 음성 수신/처리 모듈 및 음성/영상처리모듈에서 음성 수신/처리 모듈로의 오디오신호 전달방법 KR100599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840A KR100599452B1 (ko) 2005-05-06 2005-05-06 오디오신호 근거리 송신용 음성/영상 처리모듈, 오디오신호근거리 수신용 음성 수신/처리 모듈 및 음성/영상처리모듈에서 음성 수신/처리 모듈로의 오디오신호 전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840A KR100599452B1 (ko) 2005-05-06 2005-05-06 오디오신호 근거리 송신용 음성/영상 처리모듈, 오디오신호근거리 수신용 음성 수신/처리 모듈 및 음성/영상처리모듈에서 음성 수신/처리 모듈로의 오디오신호 전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9452B1 true KR100599452B1 (ko) 2006-07-12

Family

ID=37183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840A KR100599452B1 (ko) 2005-05-06 2005-05-06 오디오신호 근거리 송신용 음성/영상 처리모듈, 오디오신호근거리 수신용 음성 수신/처리 모듈 및 음성/영상처리모듈에서 음성 수신/처리 모듈로의 오디오신호 전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4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5665B2 (en) 2006-06-05 2011-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transmitting/playing multimedia data over wireless network and wireless device using the method
KR102252541B1 (ko) * 2021-01-28 2021-05-14 (주)유유코리아 와이파이를 이용한 음향의 무선 디지털 전송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5665B2 (en) 2006-06-05 2011-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transmitting/playing multimedia data over wireless network and wireless device using the method
US8059775B2 (en) 2006-06-05 2011-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transmitting/playing multimedia data over wireless network and wireless device using the method
KR102252541B1 (ko) * 2021-01-28 2021-05-14 (주)유유코리아 와이파이를 이용한 음향의 무선 디지털 전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7277B2 (en) Localised audio data delivery
JP2002330099A (ja) 情報出力装置および移動体通信端末をもつシステム
US8719874B2 (en) System and method of streaming audio from a common video device
JP2001320337A (ja) 音響信号伝達方法および音響信号伝達装置および記憶媒体
US8874635B2 (en) Internet multimedia content delivery to consumer electronic devices through wireless network infrastructure
KR100599452B1 (ko) 오디오신호 근거리 송신용 음성/영상 처리모듈, 오디오신호근거리 수신용 음성 수신/처리 모듈 및 음성/영상처리모듈에서 음성 수신/처리 모듈로의 오디오신호 전달방법
KR100735622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dmb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및 방법
US20120033825A1 (en) Captioned Audio and Content Delivery System with Localizer and Sound Enhancement
KR100864188B1 (ko) 재생 장치 및 방법
CN101420275A (zh) 音频无线传输方法、公共媒体音频发射设备、和移动终端
KR200211953Y1 (ko) 지하철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방송시스템
JP2007243673A (ja) 車内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番組提供方法
KR200362457Y1 (ko) 휴대폰을 이용한 옥외 방송단말의 오디오신호 청취 장치
KR101767518B1 (ko) 무선 시스템에서 음향 사운드를 통한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JP2004297420A (ja) 地下鉄車内情報システム
KR20030090826A (ko) 디지털 라디오의 데이터 송신/수신 장치 및 그의 데이터제어 시스템과 데이터 제어 방법
KR101348624B1 (ko) 영상 및 음성 출력 시스템, 및 그의 동작방법
JP2004064723A (ja) 鉄道用ワイヤレス放送装置
Kopitz et al. Traffic and Travel Information broadcasting
JPH03135283A (ja) 文字情報のスーパーインポーズ装置
JP2004040531A (ja) 基地局制御局および移動局
JP2001184597A (ja) 自動車情報提供方法及び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0130370A (ja) ネットワーク接続型放送受信装置
JP2002261760A (ja) 情報送信サーバおよび通信端末
KR20020006115A (ko) 지하철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방송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