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518B1 - 무선 시스템에서 음향 사운드를 통한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시스템에서 음향 사운드를 통한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518B1
KR101767518B1 KR1020100100756A KR20100100756A KR101767518B1 KR 101767518 B1 KR101767518 B1 KR 101767518B1 KR 1020100100756 A KR1020100100756 A KR 1020100100756A KR 20100100756 A KR20100100756 A KR 20100100756A KR 101767518 B1 KR101767518 B1 KR 101767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data
dac
acoustic
additio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9194A (ko
Inventor
손태환
류승표
안성주
신대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0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518B1/ko
Publication of KR20120039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1/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sonic, ultrasonic or infrasonic wav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03Software-defined radio [SDR] systems, i.e. systems wherein components typically implemented in hardware, e.g. filters or modulators/demodulators, are implented using software, e.g. by involving an AD or DA conversion stage such that at least part of the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digital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무선 시스템에서 음향 사운드를 이용한 발신 장치의 데이터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재생할 음향 사운드를 생성하는 과정과 전송할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 변조 및 DAC(Digital to Analog Conversion)를 수행 시 재생할 음향 사운드와 구별되게 부호화, 변조 및 DAC를 수행하는 과정과 재생할 음향 사운드와 DAC를 수행한 데이터를 믹싱하는 과정과 믹싱한 음향 사운드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마이크/스피커가 탑재된 장치인 경우, 특정 통신 모듈(Wifi /Bluetooth 등)을 탑재하지 않고서도 음향 사운드를 통해 데이터를 제공하고 공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선 시스템에서 음향 사운드를 통한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TA USING ACOUSTIC SOUND IN WIRELESS SYSTEM}
본 발명은 무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공 장소의 특정 위치에서 음향 사운드를 이용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통신을 이용한 광고 또는 불특정 다수에 대한 데이터 제공 서비스는 특정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공되고 있다.
상기 특정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Wifi/Zigbee/Bluetooth 과 같은 특정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특정 통신 모듈이 양쪽 장치에 장착되어야 하며 상기 특정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 및 분석이 가능해야 한다.
상기 통신 모듈들은 반드시 선행 작업을 통해 통신 링크를 생성해야 하며, 상기 통신 모듈들은 특성에 따라서 1:1 통신 또는 방송에 제약을 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통신 모듈이라 하더라도 버전이 올라감에 따라 버전 간 호환성에 대한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모듈 및 버전에 상관없이 데이터를 전달하고, 공유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시스템에서 음향 사운드를 통한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공장소에서 재생되는 음악에 특정 데이터를 포함시켜 송출하거나, 또는 사람이 들을 수 없는 고주파수 또는 저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고도 대부분의 무선 장치에 이미 공통적으로 탑재되어있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방송하고 방송된 데이터를 마이크로 수신하여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제 1 견지에 따르면, 무선 시스템에서 음향 사운드를 이용한 발신 장치의 데이터 공유 방법에 있어서 재생할 음향 사운드를 생성하는 과정과 전송할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 변조 및 DAC(Digital to Analog Conversion)를 수행 시 재생할 음향 사운드와 구별되게 부호화, 변조 및 DAC를 수행하는 과정과 재생할 음향 사운드와 DAC를 수행한 데이터를 믹싱하는 과정과 믹싱한 음향 사운드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제 2 견지에 따르면, 무선 시스템에서 음향 사운드를 이용한 수신 장치의 데이터 공유 방법에 있어서 음향 사운드를 수신하는 과정과 데이터가 상기 음향 사운드와 함께 방송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음향 사운드가 함께 방송되는 경우, 상기 음향 사운드에서 상기 데이터를 분리하는 과정과 분리한 데이터에 대해 ADC(Analog to Digital Conversion),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하는 과정과 복호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제 3 견지에 따르면, 무선 시스템에서 음향 사운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공유하는 발신 장치에 있어서 재생할 음향 사운드를 생성하고, 전송할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 변조 및 DAC를 수행 시 재생할 음향 사운드와 구별되게 부호화, 변조 및 DAC를 수행하고, 재생할 음향 사운드와 DAC를 수행한 데이터를 믹싱하는 제어부와 믹싱한 음향 사운드를 재생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제 4 견지에 따르면, 무선 시스템에서 음향 사운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공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음향 사운드를 수신하는 마이크와 데이터가 상기 음향 사운드와 함께 방송되는지 검사하고, 상기 데이터가 상기 음향 사운드가 함께 방송되는 경우, 상기 음향 사운드에서 상기 데이터를 분리하고, 분리한 데이터에 대해 ADC,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복호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제 5 견지에 따르면, 특정 지역에서 음향 사운드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의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음향 사운드를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한 음향 사운드에서 부가 정보를 분리하는 과정과, 분리한 부가 정보에 대해 ADC,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하는 과정과, 복호를 수행한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절들을 달성하기 위한 제 6 견지에 따르면, 특정 지역에서 음향 사운드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의 장치에 있어서 음향 사운드를 수신하는 마이크와 수신한 음향 사운드에서 부가 정보를 분리하고 분리한 부가 정보에 대해 ADC,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하고, 복호를 수행한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이크/스피커가 탑재된 장치인 경우, 특정 통신 모듈(Wifi /Bluetooth 등)을 탑재하지 않고서도 음향 사운드를 통해 데이터를 제공하고 공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 측의 음향 사운드 볼륨 조절을 통해 데이터의 제공 거리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 주파수 대역의 음향 사운드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므로 조용한 환경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사운드 제공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신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송 장치 및 수신 장치의 블록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무선 시스템에서 음향 사운드를 통한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사운드 제공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신 장치는 음향 사운드를 스피커를 통해 방송하고, 수신 장치는 마이크가 장착되어 상기 음향 사운드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향 사운드에 포함된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활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음향 사운드는 음향 사운드 가청 지역(150)에서만 수신 가능하다. 즉, 음향 사운드 수신 거리(100) 이내에서만 수신 가능하고, 음향 사운드 미 수신 거리(120)에서는 수신이 불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신 장치(210)는 스피커가 장착된 모든 장치가 가능하며, 발신 장치(210)에 한해서는 마이크가 장착이 필수 요소는 아니다.
그리고 상기 발신 장치(210)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추가적인 소프트웨어 설치가 가능한 장치이고, 해당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선택한 임의의 노래에 데이터를 변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수신 장치(220)는 마이크가 장착된 모든 장치가 가능하며, 수신 장치(220)에 한해서는 스피커가 필수 요소는 아니다.
그리고 상기 수신 장치(220)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추가적인 소프트웨어 설치가 가능한 장치여야 하며, 해당 소프트웨어는 마이크로부터 입력 받은 음향 사운드로부터 복조를 통해 포함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발신 장치(210)는 임의의 음악에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변조 과정을 거쳐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음악에 합쳐서 또는 고주파 또는 저주파대역의 음향 사운드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발신 장치가 출력 또는 재생하는 음향 사운드를 청취하는 사용자 또는 상기 발신 장치의 음향 사운드가 발신되는 영역임을 인지한 사용자는 상기 수신 장치(220)에 탑재되어 있는 수신용 소프트웨어를 구동한다. 설정에 따라 상기 수신용 소프트웨어는 상시로 구동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수신 장치(220)는 마이크를 통해 현재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복조를 통해 유효한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후, 상기 수신 장치(220)는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에 복조한 데이터를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신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발신 장치는 전송할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와 변조 과정을 수행하고, 이후 DAC(Digital to Analog Conversion)과정을 수행한다(310 단계). 상기 발신 장치는 상기 데이터를 변조하는 경우, 고주파 또는 저주파 대역의 신호로 변조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발신 장치는 재생할 음향 사운드와 DAC를 수행한 데이터를 믹싱한다(320 단계).
상기 발신 장치가 순수 음향 사운드에 특정 음향 사운드를 포함시키는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데이터가 변조되어 상기 음향 사운드에 포함된 경우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음향 사운드는 순수 음향 사운드와 겹치지 않으면 되고, 다른 제약 사항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후, 상기 발신 장치는 믹싱한 음향 사운드를 재생한다. 즉,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330 단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신 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수신하는 음향 사운드가 데이터와 믹싱이 되어 있는 경우(410 단계), 마이크에서 입력되는 음향 사운드에서 데이터를 분리하여 추출한다(420 단계).
수신한 음향 사운드에 특정 음향 사운드 신호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데이터가 변조되어 상기 음향 사운드에 포함된 경우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음향 사운드는 순수 음향 사운드와 겹치지 않으면 되고, 다른 제약 사항은 존재하지 않는다.
만약, 상기 데이터가 고주파 또는 저주파 대역의 음향 사운드로 변조되어서 순수 음향 사운드와 믹싱되는 경우,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고주파 또는 저주파 대역의 음향 사운드를 분리할 수 있는 필터를 사용하면, 상기 데이터를 분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수신 장치는 데이터가 분리된 순수 음향 사운드를 코덱으로 전송한다(430 단계).
이후, 상기 수신 장치는 분리된 데이터에 대해, DAC(Digital to Analog Conversion), 복조 및 복호과정을 수행하여(440 단계) 데이터를 추출하여 획득하고 표시부를 통해 출력한다(450 단계).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송 장치 및 수신 장치의 블록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발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기능 블록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발신 장치 및 상기 수신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될 경우, 모뎀(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신 장치 및 상기 수신 장치는 모뎀(510), 제어부(520), 저장부(530), 음향 관리부(540), 마이크(550), 스피커(560) 및 표시부(5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뎀(510)은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모듈로서, 무선처리부 및 기저대역처리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선처리부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실제 무선 경로 상에서 전송할 수 있도록 무선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발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발신 장치의 경우, 순수 음향 사운드와 DAC를 수행한 데이터를 믹싱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제어하고, 수신 장치의 경우, 음향 사운드를 마이크를 통해 수신하고, 데이터를 수신한음향 사운드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제어한다.
상기 저장부(530)는 상기 발신 장치 및 상기 수신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수행 중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표시부(570)는 상기 제어부(520)가 출력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57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장치의 마이크(550)는 상기 발신 장치가 상기 스피커(560)를 통해 재생 또는 출력하는 음향 사운드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52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피커(560)는 상기 제어부(520)가 출력하는 DAC가 수행된 음향 사운드를 출력한다.
상기 음향 관리부(540)는 발신 장치의 경우, 전송할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와 변조 과정을 수행하고, 이후 DAC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발신 장치는 상기 데이터를 변조하는 경우, 고주파 또는 저주파 대역의 신호로 변조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음향 관리부(540)는 순수 음향 사운드와 DAC를 수행한 데이터를 믹싱하고 믹싱한 음향 사운드를 상기 스피커(560)를 통해 재생한다.
상기 음향 관리부(540)는 수신 장치의 경우 상기 마이크(550)를 통해 수신하는 음향 사운드가 데이터와 믹싱이 되어 있는 경우, 상기 마이크(550)에서 입력되는 음향 사운드에서 데이터를 분리하여 추출한다
만약, 상기 데이터가 고주파 또는 저주파 대역의 음향 사운드로 변조되어서 순수 음향 사운드와 믹싱되는 경우, 상기 음향 관리부(540)는 고주파 또는 저주파 대역의 음향 사운드를 분리할 수 있는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분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음향 관리부(540)는 데이터가 분리된 순수 음향 사운드를 코덱으로 전송한다. 상기 코덱은 상기 제어부(520)에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음향 관리부(540)는 분리된 데이터에 대해, DAC, 복조 및 복호과정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추출하여 획득하고 상기 표시부(570)를 통해 출력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발신 장치가 순수 음향 사운드에 특정 음향 사운드를 포함시키는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데이터가 변조되어 상기 음향 사운드에 포함된 경우라고 판달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음향 사운드는 순수 음향 사운드와 겹치지 않으면 되고, 다른 제약 사항은 존재하지 않는다.
상술한 블록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음향 관리부(54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제품을 구현하는 경우에 상기 음향관리부(540)의 기능 모두를 상기 제어부(52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기능 중 일부만을 상기 제어부(52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8)

  1. 무선 시스템에서 음향 사운드를 이용한 발신 장치의 데이터 공유 방법에 있어서,
    음향 사운드를 생성하는 과정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과정과,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음향 사운드와 상이한 주파수로 변조하는 과정과,
    상기 변조된 데이터에 DAC(digital to analog conversion)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음향 사운드에 상기 DAC를 수행한 데이터를 믹싱하는 과정과,
    상기 DAC를 수행한 데이터가 믹싱된 음향 사운드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음향 사운드와 상이한 주파수로 변조하는 과정은,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음향 사운드가 사용하는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음향 사운드와 상이한 주파수로 변조하는 과정은,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음향 사운드가 사용하는 대역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삭제
  6. 무선 시스템에서 음향 사운드를 이용한 수신 장치의 데이터 공유 방법에 있어서,
    음향 사운드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음향 사운드에 DAC(digital to analog conversion)를 수행한 데이터가 믹싱되어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음향 사운드에 상기 DAC를 수행한 데이터가 믹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음향 사운드에서 상기 DAC를 수행한 데이터를 분리하는 과정과,
    상기 분리한 데이터에 대해 ADC(Analog to Digital Conversion),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복호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음향 사운드에서 상기 DAC를 수행한 데이터가 분리된 음향 사운드를 코덱에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DAC를 수행한 데이터를 분리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된 음향 사운드에서 상기 DAC를 수행한 데이터가 분리된 음향 사운드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된 데이터를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DAC를 수행한 데이터를 분리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된 음향 사운드에서 상기 DAC를 수행한 데이터가 분리된 음향 사운드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된 데이터를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무선 시스템에서 음향 사운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공유하는 발신 장치에 있어서,
    음향 사운드를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음향 사운드와 상이한 주파수로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데이터에 DAC(digital to analog conversion)를 수행하고, 상기 생성된 음향 사운드에 상기 DAC를 수행한 데이터를 믹싱하는 제어부와,
    상기 DAC를 수행한 데이터가 믹싱된 음향 사운드를 재생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삭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음향 사운드가 사용하는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음향 사운드가 사용하는 대역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삭제
  16. 무선 시스템에서 음향 사운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공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음향 사운드를 수신하는 마이크와,
    상기 수신된 음향 사운드에 DAC(digital to analog conversion)를 수행한 데이터가 믹싱되어 있는지 검사하고, 상기 수신된 음향 사운드에 상기 DAC를 수행한 데이터가 믹싱되어 있는, 상기 음향 사운드에서 상기 DAC를 수행한 데이터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한 데이터에 대해 ADC,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복호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음향 사운드에서 상기 DAC를 수행한 데이터가 분리된 음향 사운드를 수신하는 코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삭제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DAC를 수행한 데이터는,
    상기 수신된 음향 사운드에서 상기 DAC를 수행한 데이터가 분리된 음향 사운드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DAC를 수행한 데이터는,
    상기 수신된 음향 사운드에서 상기 DAC를 수행한 데이터가 분리된 음향 사운드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특정 지역에서 음향 사운드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음향 사운드를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된 음향 사운드에서 부가 정보가 믹싱되어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음향 사운드에 상기 부가 정보가 믹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신된 음향 사운드에서 상기 부가 정보를 분리하는 과정과,
    상기 분리한 부가 정보에 대해 ADC,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복호를 수행한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를 수행한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복호를 수행한 부가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음향 사운드에서 부가 정보를 분리하는 과정은,
    상기 부가 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음향 사운드를 분리할 수 있는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음향 사운드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를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삭제
  25. 특정 지역에서 음향 사운드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의 장치에 있어서,
    음향 사운드를 수신하는 마이크와,
    상기 수신된 음향 사운드에서 부가 정보가 믹싱되어 있는지 검사하고, 상기 수신된 음향 사운드에 상기 부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신된 음향 사운드에서 상기 부가 정보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한 부가 정보에 대해 ADC,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하고, 상기 복호를 수행한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호를 수행한 부가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 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음향 사운드를 분리할 수 있는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음향 사운드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삭제
KR1020100100756A 2010-10-15 2010-10-15 무선 시스템에서 음향 사운드를 통한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1767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756A KR101767518B1 (ko) 2010-10-15 2010-10-15 무선 시스템에서 음향 사운드를 통한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756A KR101767518B1 (ko) 2010-10-15 2010-10-15 무선 시스템에서 음향 사운드를 통한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194A KR20120039194A (ko) 2012-04-25
KR101767518B1 true KR101767518B1 (ko) 2017-08-23

Family

ID=46139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756A KR101767518B1 (ko) 2010-10-15 2010-10-15 무선 시스템에서 음향 사운드를 통한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5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6910A (zh) * 2016-03-18 2016-08-10 深圳市轱辘软件开发有限公司 频道共享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194A (ko) 201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8514B2 (en) Device association using an audio signal
US9078058B2 (en) Applications for a two-way wireless speaker system
CN101690221B (zh) 用于提供无线电数据系统信息警报的设备和方法
US9941979B2 (en) Transmitter and receiver audio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US92323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music
CN103987033A (zh) 设备连接Wi-Fi网络的方法、设备及系统
RU2009131083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предупреждений через радиовещание
WO20130712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airing devices
JP2002330099A (ja) 情報出力装置および移動体通信端末をもつシステム
AU2039500A (en) Digital wireless loudspeaker system
JP2012249296A (ja) エンターテイメントシステムのための無線オーディオ
KR20150122878A (ko) 방송 확인 시스템 및 방법
US8185222B2 (en) Wireless audio adapter
CN104159167A (zh) 无线音频发送方法和装置
KR101767518B1 (ko) 무선 시스템에서 음향 사운드를 통한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CN204231370U (zh) 一种应急智能广播系统
KR101563890B1 (ko) 혼선방지 기능을 갖는 무전기를 이용한 원격 안내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1420275A (zh) 音频无线传输方法、公共媒体音频发射设备、和移动终端
US20100136921A1 (en) Interface unit for display of alphanumeric data
KR100599452B1 (ko) 오디오신호 근거리 송신용 음성/영상 처리모듈, 오디오신호근거리 수신용 음성 수신/처리 모듈 및 음성/영상처리모듈에서 음성 수신/처리 모듈로의 오디오신호 전달방법
KR20070037096A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브로드캐스팅 시스템
CN203104777U (zh) 利用广播系统实现将位置信号传送到移动通信终端的通信装置
JP2004064723A (ja) 鉄道用ワイヤレス放送装置
KR100689459B1 (ko) 외부 음향 장치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fm트랜스미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N1856005B (zh) 用于娱乐系统的无线音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