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6311B1 -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푸쉬플레이트 푸쉬압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푸쉬플레이트 푸쉬압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6311B1
KR100596311B1 KR1020040023675A KR20040023675A KR100596311B1 KR 100596311 B1 KR100596311 B1 KR 100596311B1 KR 1020040023675 A KR1020040023675 A KR 1020040023675A KR 20040023675 A KR20040023675 A KR 20040023675A KR 100596311 B1 KR100596311 B1 KR 100596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thdrawal
roller
bills
push
push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8449A (ko
Inventor
차진환
엄팔용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6311B1/ko
Publication of KR20050098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에서 출금될 지폐류가 적층되어 있는 푸쉬플레이트와 지폐류를 출금하는 출금수단이 적정한 푸쉬압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반출되도록 하는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푸쉬플레이트 푸쉬압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수단에 있어서, 일측에는 출금롤러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픽업롤러가 설치되며 스프링에 의해 일정한 하방향 푸쉬압을 받는 퇴피분리장치의 고정판금물, 지폐류가 적층되어 승하강되고 출금요청시에는 상기 픽업롤러를 가압하여 상기 고정판금물을 상승시키는 푸쉬플레이트, 상기 고정판금물에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의 존재/부존재여부를 감지하는 푸쉬압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푸쉬플레이트 푸쉬압 감지장치를 제공하여 지폐류와 픽업롤러가 적정한 푸쉬압이 유지되었을 시에 출금동작이 수행되어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원활한 출금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발명임.
푸쉬플레이트, 픽업롤러, 고정판금물, 진입홈, 유동방지부

Description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푸쉬플레이트 푸쉬압 감지장치 {Apparatus for sensing push pressure of push plate in recycle box of auto teller machine}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의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분리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헤드부의 전면부 사시도,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헤드부의 후면부 분리사시도,
도 5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개략적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수단의 내부를 보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수단의 내부를 보인 요부상태도,
도 8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수단의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수단의 저면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픽업롤러 22 : 출금롤러
23 : 게이트롤러 24 : 핀치롤러
25 : 출금가이드 30 : 퇴피분리장치
31 : 고정판금물 32 : 퇴피캠
33 : 감지부 40 : 유입/반출가이드
50 : 푸쉬플레이트 60 : 고정브라켓
61 : 유동방지부 70 : 스프링
100 : 입금수단 200 : 출금수단
S1 : 푸쉬압 감지센서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를 위한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에 설치되는 푸쉬플레이트 푸쉬압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폐류 입출금기의리사이클박스에서 출금될 지폐류가 적층되어 있는 푸쉬플레이트와 지폐류를 출금하는 출금수단이 적정한 푸쉬압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반출되도록 하는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푸쉬플레이트 푸쉬압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웬만한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장치인 금융자동화기기에는, 지폐류 지급기와 지폐류 입출금기 등이 있는데, 지폐류 지급기는 금융업무전산화를 위한 초기 단계에서부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지폐류만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된 장치이고, 지폐류 입출금기는 지폐류자동지급기능에 부가하여 입금기능도 구비된 장치이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지폐류 입출금기를 첨부한 도 1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가지 모듈을 고정하는 메인베이스(1), 고객이 입금한 지폐류를 입금하는 입금장치(2), 입금장치(2)에 입금된 지폐류의 진위여부나 파손여부를 감별하는 위폐감별장치(4), 위폐감별장치(4)에서 정상으로 통과된 지폐류를 일시 저장하는 일시저장장치(5), 위폐감별장치(4)에서 비정상으로 판별된 지폐류를 저장하는 지폐류저장박스(9b), 일시저장장치(5)에 일시 저장된 정상적인 지폐류가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지폐류를 고객의 출금요구시 다시 출금하여 환류시키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리사이클박스(6), 리사이클박스(6)를 동작하기 위한 입출력신호와 전원 또는 구동력 등을 공급하고 리사이클박스(6)를 지지하는 리사이클박스지지장치(7), 리사이클박스(6)에 저장된 정상 지폐류를 고객의 출금요구시 출금하는 출금장치(8), 출금장치(8)에서 출금된 지폐류를 고객이 수취하지 않는 경우 이를 저장하는 미수취회수함(9a), 메인베이스(1)에 설치되어 지폐류를 상기 각각의 모듈로 이송하는 이송장치(3a,3b,3c)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분리사시도이다.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6)는 상단부에 일측은 입금수단(100)이 구비되고 타측은 출금수단(200)이 구비된 헤드부(900)와 입금수단(100)에 의해 유입된 지폐류가 저장되거나 출금수단(200)에 의해 반출될 지폐류가 저장되어있는 저장부(800)로 이루어진다.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헤드부의 전면부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헤드부의 후면부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리사이클박스(6)의 헤드부(900)는 다수개의 롤러 등으로 이루어진 입금수단(100)과 입금수단(100)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입금수단(100)의 롤러와 동일축에 결합되고 기어연결되어 있는 입금부 동력전달수단(300)이 구비되어 있고, 다수개의 롤러 등으로 이루어진 출금수단(200)과 출금수단(200)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출금수단(200)의 롤러와 동일축에 결합되고 기어연결되어 있는 출금부 동력전달수단(400)이 구비되어 있다.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6)의 출금수단(200)은 리사이클박스(6) 내에 저장되어 있는 지폐류를 한장씩 분리하는 픽업롤러(21), 지폐류의 낱장분리를 위하여 픽업롤러(21)를 상하이동시키는 퇴피분리장치(30), 낱장분리된 지폐류를 리사이클박스(6) 외부로 반출하는 출금롤러(22)와 게이트롤러(23), 출금롤러(22)에 지폐류를 밀착시키는 다수의 핀치롤러(24), 리사이클박스(6) 외부로 반출되는 지폐류를 가이드하는 출금가이드(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리사이클박스(6)의 저장부(800)에는 입금수단(100)에 의한 지폐류의 유입시에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강하고, 출금수단(200)에 의한 지폐류의 반출시에는 픽업롤러(21)에 지폐류가 가압되도록 상승하는 푸쉬플레이트(50)가 구비된다.
또한 입금수단(100)에 의한 지폐류의 유입시에는 지폐류의 선단을 가이드하도록 경사지게 이동되고, 출금수단(200)에 의한 지폐류의 반출시에는 지폐류가 픽업롤러(21)와 가압되도록 상측으로 이동되어 회피되는 유입/반출가이드(40)가 구비된다.
이와같은 리사이클박스(6)는 출금동작이 수행되려면 푸쉬플레이트(50)가 상승하여 출금수단(200)의 픽업롤러(21)에 적정한 푸쉬압을 유지하며 가압되어야 지폐류의 분리가 이루어져 출금동작이 수행된다.
이에 리사이클박스(6)는 푸쉬플레이트(50)와 픽업롤러(21)가 출금을 위한 적정한 푸쉬압을 유지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감지하고, 적정한 푸쉬압이 유지되었을 시에 출금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푸쉬플레이트(50)의 푸쉬압 감지장치가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수단 중 지폐류의 낱장분리를 위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퇴피분리장치에 감지부를 형성하고,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 내에 설치되며 지폐류의 반출을 위해 승하강되는 푸쉬플레이트가 퇴피분리장치의 감지부를 상하로 이동시켜 그 존재/부존재여부가 감지되도록 하여 지폐류의 출금을 위한 적정한 푸쉬압 여부가 감지되는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푸쉬플레이트 푸쉬압 감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한기 위한 본 발명은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 내에 설치되어 저장되어 있는 지폐류를 한장씩 분리하는 픽업롤러, 지폐류의 낱장분리를 위하여 상기 픽업롤러를 상하이동시키는 퇴피분리장치, 낱장분리된 지폐류를 상기 리사이클박스 외부로 반출하는 출금롤러와 게이트롤러, 상기 출금롤러에 지폐류를 밀착시키는 다수의 핀치롤러, 상기 리사이클박스 외부로 반출되는 지폐류를 가이드하는 출금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출금수단이 구비된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에 있어서, 일측에는 상기 출금롤러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픽업롤러가 상기 출금롤러를 축으로 상하로 선회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리사이클박스에 설치되는 스프링에 의해 일정한 하방향 푸쉬압을 받는 퇴피분리장치의 고정판금물;과 상기 리사이클박스 내의 지폐류가 적층되어 승하강되고, 출금요청시에는 상기 픽업롤러를 가압하여 상기 고정판금물을 상승시키는 푸쉬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판 금물에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의 존재/부존재여부를 감지하는 푸쉬압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있다.
또한, 상기 푸쉬플레이트는 지폐류의 분리성능이 향상되도록 상기 픽업롤러와 접하는 부위에 상기 픽업롤러가 일정깊이 만큼 진입되는 진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진입홈의 깊이를 보상하여 감지되도록 그 끝단이 상기 픽업롤러의 하단부까지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쉬압 감지센서는 고정브라켓에 의해 상기 리사이클박스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끝단에는 상기 푸쉬플레이트에서 반출되는 지폐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지폐류의 상측을 가이드하는 유동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금물은 상기 리사이클박스 내측에서 지폐류의 반출을 위해 상승하는 상기 푸쉬플레이트가 상기 픽업롤러의 저부를 가압하는 것으로 상기 출금롤러를 축으로 상기 픽업롤러와 함께 선회되어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 금수단의 내부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수단의 내부를 보인 요부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사이클박스(6)는 그 상부 일측은 지폐류가 유입되는 입금수단(100)과 저장되어있는 지폐류를 반출하는 출금수단(200)이 설치된다.
리사이클박스(6)의 출금수단(200)은 그 외부로 반출되는 지폐류를 낱장으로 반출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리사이클박스(6) 내부에 저장된 지폐류를 한장씩 분리하는 픽업롤러(21), 지폐류의 낱장분리를 위하여 픽업롤러(21)를 상하이동시키는 퇴피분리장치(30), 낱장분리된 지폐류를 리사이클박스(6) 외부로 반출하는 출금롤러(22)와 게이트롤러(23), 출금롤러(22)에 지폐류를 밀착시키는 다수의 핀치롤러(24), 리사이클박스(6) 외부로 반출되는 지폐류를 가이드하는 출금가이드(25)로 구성된다.
이러한 리사이클박스(6)는 그 내측으로 입금수단(100)에 의한 지폐류의 유입시에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강하고, 출금수단(200)에 의한 지폐류의 반출시에는 출금수단(200)에 지폐류가 가압되도록 승강하는 푸쉬플레이트(50)가 구비된다.
또한, 리사이클박스(6)의 입금수단(100)에 의한 지폐류의 유입시에는 지폐류의 선단을 가이드하도록 경사지게 이동되고, 출금수단(200)에 의한 지폐류의 반출시에는 지폐류가 픽업롤러(21)와 가압되도록 상측으로 이동되어 회피되는 유입/반출가이드(40)가 구비된다.
출금수단(200)의 퇴피분리장치(30)는 출금롤러(22)를 중심축으로 픽업롤러(21)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일측은 출금롤러(22)와 결합되어 리사이클박스(6)에 설치되고 타측은 픽업롤러(21)와 결합되는 고정판금물(31), 고정판금물(31)의 측부에 설치되고 회전동작에 의해 픽업롤러(21)가 출금롤러(22)를 축으로 상하로 이동되도록하는 퇴피캠(32)으로 이루어진다.
리사이클박스(6)의 고정판금물(31)은 일측에는 출금롤러(22)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픽업롤러(21)가 설치되어 퇴피캠(32)에 의해 출금롤러(22)를 축으로 상하로 선회되며, 그 상측에는 리사이클박스(6)에 고정되어 고정판금물(31)에 하방향 푸쉬압을 제공하는 스프링(70)이 결합되어 있다.
리사이클박스(6) 내의 푸쉬플레이트(50)는 지폐류가 적층되어 승하강되는 것으로, 출금요청시에는 상승하여 픽업롤러(21)를 상측으로 가압하게되고, 이에 따라 픽업롤러(21)가 설치되어 있는 고정판금물(31)도 출금롤러(22)를 축으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고정판금물(31)이 스프링(7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승하여 정지되는 위치를 픽업롤러(21)와 푸쉬플레이트(50)에 발생하는 푸쉬압이 출금동작에 적정한 푸쉬압이 유지되는 출금정위치로 설정한다.
한편, 고정판금물(31)에는 고정판금물(31)과 일체로 형성되어 푸쉬플레이트(50)측으로 하향하여 돌출되는 감지부(33)가 형성된다.
고정판금물(31)의 감지부(33)는 고정판금물(3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판금물(31)의 승하강에 따라 같이 움직이게 되고, 이때 감지부(33)의 존재/부존재 여부가 감지되도록 그 이동경로에 리사이클박스(6)에서 고정설치되는 푸쉬압 감지센서(S1)가 구비된다.
푸쉬압 감지센서(S1)는 감지부(33)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례로광센서가 사용될 수 있고, 발광부와 수광부가 인접되어 설치되는 단거리형이 적절하며, 이에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로 감지부(33)가 이동되는 것이 감지되도록 한다.
이때 푸쉬압 감지센서(S1)는 푸쉬플레이트(50)가 상승하여 픽업롤러(21)를 가압하게되고, 고정판금물(31)이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정지되는 위치를 출금동작에 필요한 적정한 푸쉬압이 유지되는 출금정위치로 판단하도록 한다.
또한, 푸쉬압 감지센서(S1)는 상기한 출금정위치에 감지부(33)가 위치하였을 때 감지부(33)가 감지되도록 설치되고, 감지부(33)가 감지되면 출금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푸쉬플레이트(50)는 적층된 지폐류가 소량일 때에 더욱 큰 마찰력을 발생시켜 지폐류의 분리성능이 향상되도록 푸쉬플레이트(50)의 픽업롤러(21)와 접하는 부위에 픽업롤러(21)가 일정깊이만큼 진입되는 진입홈(51)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수단의 저면부 사시도이다.
진입홈(51)이 형성된 푸쉬플레이트(50)는 지페류가 없을시에도 진입홈(51)의 깊이만큼 픽업롤러(21)가 덜 선회되어 푸쉬압 감지센서(S1)의 감지동작에 영향을 주게된다.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감지부(33)는 그 끝단이 픽업롤러(21)의 하단부까지 연장형성된 접지부(34)를 형성한다.
이에 푸쉬플레이트(50)는 지폐류가 없을시에도 적정한 푸쉬압이 감지되고, 한계치 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푸쉬압 감지센서(S1)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브라켓(60)에 의해 리사이클박스(6)에 고정설치되고, 고정브라켓(60)은 그 끝단에 도 8b에 도시된 바와같이 푸쉬플레이트(50)에서 출금동작시에 반출되는 지폐들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지폐류의 상측을 가이드하는 유동방지부(61)를 설치한다.
이러한 유동방지부(61)는 일례로 롤러 등이 설치되어 지폐류의 상측을 가이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바와같이 본 발명은 출금수단의 퇴피분리장치에 형성된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푸쉬압 감지센서에 의해 푸쉬플레이트의 상승에 따라 출금수단의 픽업롤러와 지폐류 간에 가압정도가 감지되고, 이에 적정한 푸쉬압이 유지되었을 시에 출금동작이 수행되어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원활한 출금동작이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 내에 설치되어 저장되어 있는 지폐류를 한장씩 분리하는 픽업롤러, 지폐류의 낱장분리를 위하여 상기 픽업롤러를 상하이동시키는 퇴피분리장치, 낱장분리된 지폐류를 상기 리사이클박스 외부로 반출하는 출금롤러와 게이트롤러, 상기 출금롤러에 지폐류를 밀착시키는 다수의 핀치롤러, 상기 리사이클박스 외부로 반출되는 지폐류를 가이드하는 출금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출금수단이 구비된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에 있어서,
    일측에는 상기 출금롤러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픽업롤러가 상기 출금롤러를 축으로 상하로 선회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리사이클박스에 설치되는 스프링에 의해 일정한 하방향 푸쉬압을 받는 퇴피분리장치의 고정판금물; 상기 리사이클박스 내의 지폐류가 적층되어 승하강되고, 출금요청시에는 상기 픽업롤러를 가압하여 상기 고정판금물을 상승시키는 푸쉬플레이트; 상기 고정판금물에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의 존재/부존재여부를 감지하는 푸쉬압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판금물은 상기 리사이클박스 내측에서 지폐류의 반출을 위해 상승하는 상기 푸쉬플레이트가 상기 픽업롤러의 저부를 가압하는 것으로 상기 출금롤러를 축으로 상기 픽업롤러와 함께 선회되어 상승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푸쉬플레이트 푸쉬압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플레이트는 지폐류의 분리성능이 향상되도록 상 기 픽업롤러와 접하는 부위에 상기 픽업롤러가 일정깊이 만큼 진입되는 진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는 지폐류가 상기 진입홈의 깊이를 보상하여 감지되도록 그 끝단이 상기 픽업롤러의 하단부까지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푸쉬플레이트 푸쉬압 감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압 감지센서는 고정브라켓에 의해 상기 리사이클박스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끝단에는 상기 푸쉬플레이트에서 반출되는 지폐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지폐류의 상측을 가이드하는 유동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푸쉬플레이트 푸쉬압 감지장치.
  4. 삭제
KR1020040023675A 2004-04-07 2004-04-07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푸쉬플레이트 푸쉬압감지장치 KR100596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675A KR100596311B1 (ko) 2004-04-07 2004-04-07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푸쉬플레이트 푸쉬압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675A KR100596311B1 (ko) 2004-04-07 2004-04-07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푸쉬플레이트 푸쉬압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449A KR20050098449A (ko) 2005-10-12
KR100596311B1 true KR100596311B1 (ko) 2006-07-03

Family

ID=3727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675A KR100596311B1 (ko) 2004-04-07 2004-04-07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푸쉬플레이트 푸쉬압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63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3901A1 (zh) * 2013-03-29 2014-10-02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纸币处理设备及其循环钞箱机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3060A (ja) 1985-12-23 1987-07-08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紙葉類堆積装置
JPS6448732A (en) * 1987-08-17 1989-02-23 Hitachi Ltd Sheet separating mechanism
JPH01299129A (ja) * 1988-05-27 1989-12-01 Fujitsu Ltd 紙幣繰出し機構
JPH04169427A (ja) * 1990-10-31 1992-06-17 Nec Corp 紙葉類繰り出し装置
JPH0692510A (ja) * 1992-09-16 1994-04-05 Hitachi Ltd 紙葉類の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3060A (ja) 1985-12-23 1987-07-08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紙葉類堆積装置
JPS6448732A (en) * 1987-08-17 1989-02-23 Hitachi Ltd Sheet separating mechanism
JPH01299129A (ja) * 1988-05-27 1989-12-01 Fujitsu Ltd 紙幣繰出し機構
JPH04169427A (ja) * 1990-10-31 1992-06-17 Nec Corp 紙葉類繰り出し装置
JPH0692510A (ja) * 1992-09-16 1994-04-05 Hitachi Ltd 紙葉類の分離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3901A1 (zh) * 2013-03-29 2014-10-02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纸币处理设备及其循环钞箱机构
US9401061B2 (en) 2013-03-29 2016-07-26 Grg Banking Equipment Co., Ltd. Banknote processing device and circulating cash box mechanis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449A (ko) 200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450B1 (ko) 지폐 입출금기
KR100799460B1 (ko) 지폐입출금장치
KR101830770B1 (ko)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및 그 지폐집적방법
KR20110005632A (ko) 지엽류 취급 장치, 자동 거래 장치
KR101909021B1 (ko) 금융 기기
KR20170112341A (ko)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KR101671572B1 (ko) 매체집적장치, 매체집적방법 및 금융기기
JP6051060B2 (ja) 紙幣取扱装置
JP6398592B2 (ja) 媒体収納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KR100596311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푸쉬플레이트 푸쉬압감지장치
KR100600347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입금동작 감지장치
KR101099900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1631791B1 (ko) 금융 기기
KR100535155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반송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지폐 반송제어방법
KR20080062868A (ko) 지폐입출금장치의 푸쉬플레이트 구동구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11212A (ko) 다권종 지폐카세트의 푸쉬플레이트 승강구조
KR102030518B1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KR20180057025A (ko) 카세트의 지폐 유무 감지장치
KR100600399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분리제어방법
KR100610999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출금기의 출금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289543B1 (ko) 매체보관함 및 그의 제어방법, 금융기기
KR20100052101A (ko)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픽업장치
KR20180111211A (ko) 갭롤러를 구비한 다권종 지폐카세트
KR20170130174A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0552232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초기화 장치 및 이를이용한 초기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