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6056B1 - 유로제어밸브 - Google Patents

유로제어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6056B1
KR100596056B1 KR1020030085673A KR20030085673A KR100596056B1 KR 100596056 B1 KR100596056 B1 KR 100596056B1 KR 1020030085673 A KR1020030085673 A KR 1020030085673A KR 20030085673 A KR20030085673 A KR 20030085673A KR 100596056 B1 KR100596056 B1 KR 100596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chamber
opening
auxiliary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5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1983A (ko
Inventor
진금수
Original Assignee
진금수
주식회사 테크네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금수, 주식회사 테크네플러스 filed Critical 진금수
Priority to KR1020030085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6056B1/ko
Priority to PCT/KR2004/003097 priority patent/WO2005052424A1/en
Priority to US10/580,565 priority patent/US7451782B2/en
Priority to EP20040808241 priority patent/EP1697669B1/en
Priority to AT04808241T priority patent/ATE478294T1/de
Priority to JP2006541044A priority patent/JP4469373B2/ja
Priority to CNB2004800351996A priority patent/CN100436905C/zh
Priority to DE200460028756 priority patent/DE602004028756D1/de
Publication of KR20050051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3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 F16K31/3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in which the fluid works directly on both sides of the fluid motor, one side being connected by means of a restricted passage and the motor being actuated by operating a discharge from that side
    • F16K31/383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in which the fluid works directly on both sides of the fluid motor, one side being connected by means of a restricted passage and the motor being actuated by operating a discharge from that side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3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 F16K31/4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with electrically-actuated member in the discharge of the motor
    • F16K31/4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with electrically-actuated member in the discharge of the motor acting on a pist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58Pilot or servo controlled
    • Y10T137/7761Electrically actuated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917Flow path with serial valves and/or closures
    • Y10T137/88054Direct response normally closed valve limits direction of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Check Valve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밸브실 내부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유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유로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의 체크밸브가 설치되지 않고도 작동유체의 역류가 차단되고, 이로인해 제품의 크기가 감소되며, 작동유체의 유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유로제어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제어밸브는 입구부와 출구부가 유체연통 가능하게 밸브실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밸브실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입구부와 출구부 사이의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밸브실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폐쇄위치로 편위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전자적으로 개폐하는 전자변과, 상기 개폐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밸브실과 상기 하우징의 입구부를 유체연통하는 압력평행공과, 상기 압력평행공을 통해 상기 밸브실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상기 출구부로 배출시키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하우징의 출구부와 밸브실의 토출부 사이에는 형성된 보조밸브실과, 상기 보조밸브실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조밸브실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보조개폐부재와, 상기 보조밸브실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개폐부재를 폐쇄위치로 편위시키는 보조탄성부재와, 상기 보조개폐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밸브실과 상기 하우징의 출구부를 유체연통하는 보조압력평행공을 포함한다.
솔레노이드밸브, 유로제어밸브, 체크밸브, 탄성부재, 바이패스관, 패킹재

Description

유로제어밸브 {VALVE FOR FLOW CONTROL}
도 1a는 종래의 유로제어밸브가 사용된 히트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냉방시스템도.
도 1b는 종래의 유로제어밸브가 사용된 히트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시스템도.
도 2는 종래의 히트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변형예의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제어밸브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제어밸브의 작동유체가 정순환되는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제어밸브의 작동유체가 역순환되는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로제어밸브의 작동유체가 정순환되는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로제어밸브의 작동유체가 역순환되는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두 개의 밸브실을 갖는 유로제어밸브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두 개의 밸브실을 갖는 유로제어 밸브의 시스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두 개의 밸브실을 갖는 유로제어밸브의 변형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유로제어밸브 111 : 하우징
111a : 밸브시트 112 : 밸브실
113 : 고정막힘판 114 : 입구부
114a : 입구측 도관 연결부 115 : 실링재
116 : 출구부 116a : 출구측 도관 연결부
117 : 개폐부재 118 : 압력평행공
119 : 탄성부재 120 : 전자변
121 : 전자변 연결부재 122 : 부구
123 : 통공 124 : 스프링
126 : 디스크 127 : 패킹재
128 : 안내봉 130 : 바이패스관
212 : 보조밸브실 217 : 보조개폐부재
218 : 평행공 226 : 보조디스크
227 : 보조패킹재
본 발명은 유로의 개폐를 전자적으로 단속하는 유로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밸브실 내부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유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유로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펌프, 유압액츄에이터, 펌프를 포함하는 유체압 발생장치에는 순환되는 유체의 유로를 제어하기 위한 유로제어밸브가 사용된다. 이러한 유로제어밸브는 공기조화설비 또는 자동화 설비 등에 사용되어 상기 유체압 발생장치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되거나, 운전조건에 따라 유로를 제어한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의 유로제어밸브가 사용된 히트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냉난방시스템도이다. 상기 히트펌프식 공기조화기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시스템으로 사용시에는 중온저압의 작동유체를 고온고압의 작동유체로 압축하는 압축기(10)와, 상기 압축기(10)에 압축된 고온고압의 작동유체가 저온고압의 작동유체로 응축되도록 실외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20)와, 상기 실외열교환기(20)에서 토출된 저온고압의 작동유체를 저온저압의 작동유체로 감압시키는 제1팽창밸브(30)와, 상기 제1팽창밸브(30)에서 팽창된 저온저압의 작동유체가 실내공기와 열교환하어 중온저압의 작동유체로 상변화되는 실내열교환기(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팽창밸브(30)와 상기 실외열교환기(20) 사이에는 작동유체의 역류를 차단하는 제1체크밸브(32)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히트펌프식 공기조화기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유체의 유로를 제어하여 실내를 난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압축기(10)의 토출 측에는 작동유체의 유로를 가변시키기 위한 사방밸브(5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압축기(10)에 의해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작동유체는 상기 사방밸브(50)에 의해 유로가 가변되어 역순환된다. 이와 같이 역순환되는 고온고압의 작동유체는 실내열교환기(40)와 열교환되어 저온고압의 작동유체로 된다. 한편, 상기 제1팽창밸브(30)는 난방시 닫히고, 저온고압의 작동유체는 상기 제1팽창밸브(30)와 병렬 연결된 제2체크밸브(37)를 통과한다. 상기 제2체크밸브(37)를 통과한 작동유체는 제2팽창밸브(35)를 통과하며 저온저압의 작동유체로 된다. 상기 제2팽창밸브(35)에 통과된 작동유체는 실외열교환기(20)와 열교환되며 중온저압으로 변환된 후 상기 사방밸브(50)를 거쳐 압축기(10)로 회송된다. 또한, 상기 제1팽창밸브(30)와 제1체크밸브(32) 사이에는 작동유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보조응축기(25)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유로에는 상기 보조응축기(25)로 작동유체가 공급되도록 분기관이 형성되고, 상기 분기관의 후단에는 작동유체의 순환을 제어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26)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체크밸브(37)와 보조응축기(25) 사이에는 작동유체의 정순환시 작동유체의 유입을 단속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27)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27)의 후단에는 작동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3체크밸브(28)가 설치된다.
또한, 종래의 히트펌프식 공기조화기의 일부에 대한 변형예의 구성도인 도 2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공기조화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0)에서 압축된 냉매증기를 단일도관(31a)으로 토출시키고, 상기 단일도관(31a)에 병렬도관(41, 42)을 연결하며, 상기 병렬도관(41, 42)에 작동유체를 응축시키는 방식에 따라 공랭식 열교환기(45) 또는 수냉식 열교환기(46)로 분리하여 설치한다. 이때, 상기 공랭식 열교환기(45)에서는 냉매와 같은 작동유체가 대기에 의하여 응축될 때 그 응축열에 의하여 공기를 가열하여 대류난방용 등으로 사용하고, 상기 수냉식 열교환기(46)에서는 작동유체가 물에 의하여 응축될 될 때 그 응축열에 의하여 온수를 생성하여 복수난방 또는 급탕용 등으로 사용된다. 다음으로, 선택적으로 분기된 작동유체는 다시 단일도관(31b)으로 공급되어 순환사이클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공랭식 열교환기(45) 또는 수냉식 열교환기(46)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때에는 상기 공랭식 열교환기(45)와 수냉식 열교환기(46)의 입구에 각각 솔레노이드 밸브(43)를 선택적으로 제어 개폐하여 병렬도관(41, 42)에 작동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43)는 공랭식 열교환기(45) 또는 수냉식 열교환기(46)에 설치된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개폐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므로, 작동유체의 역류시 상기 센서가 오작동을 일으켜 유로의 선택적 개폐가 불완전해지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43)의 작동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도 3은 종래의 히트펌프식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도로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6, 27, 43)는 입구부(54)와 출구부(56)가 유체연통 가능한 밸브실(52)이 형성된 하우징(51)과, 상기 밸브실(5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입구부(54)와 출구부(56) 사이의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개폐부재(58)와, 상기 밸브실(52)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부재(58)를 폐쇄위치로 편위시키는 탄성부재(59)와, 상기 하우징(5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58)를 전자적으로 개폐하는 전자변(60)을 포함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원이 공급될 경우 상기 전자변(60)의 여자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58)가 개방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전자변(60)의 여자력이 제거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59)의 복귀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58)가 폐쇄위치로 이동된다.
그러나, 종래 솔레노이드 밸브(26, 27, 43)의 폐쇄시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작동유체의 압력이 커질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부재(58)가 개방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솔레노이드 밸브(26, 27, 43)의 후방에 체크밸브(28, 44)를 설치하여 작동유체의 역류를 방지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작동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밸브의 후단에 체크밸브를 부가적으로 설치해야 하므로, 구조적으로 복잡하게 된다. 특히, 많은 수량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체크밸브가 사용되는 공기조화시스템은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부품수의 증가로 인해 비용이 증가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체크밸브가 설치되지 않고도 작동유체의 역류가 차단되고, 이로인해 제품의 크기가 감소되며, 작동유체의 유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유로제어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유로를 갖도록 하고, 각각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유로제어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제어밸브는 입구부와 출구부가 유체연통 가능하게 밸브실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밸브실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입구부와 출구부 사이의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밸브실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폐쇄위치로 편위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전자적으로 개폐하는 전자변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밸브실과 상기 하우징의 입구부를 유체연통하는 압력평행공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평행공을 통해 상기 밸브실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상기 출구부로 배출시키는 바이패스관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의 출구부와 밸브실의 토출부 사이에는 보조밸브실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밸브실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조밸브실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보조개폐부재와, 상기 보조밸브실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개폐부재를 폐쇄위치로 편위시키는 보조탄성부재와, 상기 보조개폐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밸브실과 상기 하우징의 출구부를 유체연통하는 보조압력평행공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제어밸브의 단면도가 도시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제어밸브(110)는 입구부(114)와 출구부(116)가 유체연통 가능한 밸브실(112)이 형성된 하우징(111)과, 상기 밸브실(11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입구부(114)와 출구부(116) 사이의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개방 위치와 폐쇄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개폐부재(117)와, 상기 밸브실(112)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부재(117)를 폐쇄위치로 편위시키는 탄성부재(119)와, 상기 하우징(1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117)를 전자적으로 개폐하는 전자변(120)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117)의 일측에는 상기 밸브실(112) 내부의 압력이 일정압력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밸브실(112)과 입구부(114)를 유체연통시키는 압력평행공(118)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실(112)은 상기 전자변(120)이 고정된 고정막힘판(113)에 의해 막혀진다. 또한, 상기 고정막힘판(113)에는 상기 통공과 연통하여 상기 전자변(120)과 연결되는 전자변 연결부재(121)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전자변 연결부재(121)의 중심에는 통공(12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막힘판(113)과 개폐부재(117) 사이에는 상기 개폐부재(117)가 폐쇄위치로 이동될 경우 상기 밸브실(112)과 상기 통공(123) 사이를 밀폐시키는 패킹재(113a)가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전자변 연결부재(121)의 일측에는 상기 압력평행공(118)을 통해 상기 밸브실(112)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상기 출구부(116)로 배출시키는 바이패스관(130)이 연결된다. 상기 전자변(120)은 상기 전자변 연결부재(121)의 내측에 활주가능한 부구(122)와, 상기 부구(122)를 탄발시키는 스프링(124)을 포함한다.
상기 입구부(114)에는 작동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조화기의 배관과 연결되는 입구측 도관 연결부(114a)가 설치되고, 상기 출구부(116)에는 상기 유로제어밸브(110)에 통과된 작동유체가 토출되는 출구측 도관 연결부(116a)가 설치된다. 상기 입구부(114)와 출구부(116) 사이의 통로에는 상기 개폐부재(117)에 접촉되는 밸브시트(111a)가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117)는 상기 입구부(114)와 출구부(116) 사이의 통로를 차폐하는 디스크(126)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크(126)의 하부에는 상기 입구부(114)와 출구부(116) 사이의 통로를 차폐시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상기 밸브시트(111a)와 밀착되는 패킹재(127)가 부착된다. 상기 패킹재(127)는 고무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재(127)는 테프론과 같은 밀봉능력이 뛰어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117)와 밸브실(112)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재(115)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디스크(126)의 중심부에는 안내봉(128)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1)의 내측에는 상기 안내봉(128)이 삽설되어 왕복운동가능한 안내공(128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한 유로제어밸브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로제어밸브(110)의 작동을 위해 공기조화기의 배관에 상기 유로제어밸브(110)를 설치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기조화기의 배관에 상기 유로제어밸브(110)의 입구측 도관 연결부(114a)와 출구측 도관 연결부(116a)를 연결하고, 작동유체를 공급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변(120)에 전원이 공급되면 자력에 의해 전자변 연결부재(121)에 위치된 부구(122)가 스프링(124)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개방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개폐부재(117)가 밸브시트(111a)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상기 밸브실(112) 내의 작동유체는 상기 전자변 연결부재(121)의 일측에 연결된 바이패스관(130)을 통해 출구부(116)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117)가 개방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개폐부재(117)와 고정막힘판(113) 사이가 패킹재(113a)에 의해 막혀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117)가 개방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입구부(114)의 작동유체가 출구부(116)로 공급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변(120)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스프링(124)에 의해 상기 부구(122)가 탄발되며 상기 밸브실(112) 내의 작동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바이패스관(130)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부구(122)의 이동에 의해 바이패스관(130)이 막히게 되어 작동유체의 유출이 차단되고, 상기 개폐부재(117)에 형성된 압력평행공(118)을 통해 상기 하우징(111) 내부의 작동유체가 상기 밸브실(112)로 유입되며 상기 밸브실(112)과 하우징(111) 내부의 압력이 평행으로 유지된다. 더불어, 상기 탄성부재(119)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117)가 폐쇄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입구부(114)와 출구부(116) 사이의 통로를 차폐한다. 한편, 상기 출구측 도관 연결부(116a)의 작동유체의 압력이 입구측 도관 연결부(114a)의 압력보다 높을 경우 작동유체가 역순환하게 되는데, 상기 밸브실(112) 내부에 유입된 작동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117)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역류가 차단된다.
전술된 유로제어밸브(110)의 경우 작동유체의 역류시 압력이 상기 탄성부재(119)의 탄성력을 초과하고, 상기 작동유체가 압축성일 경우 작동유체가 역류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출구부(116)로부터 역류된 작동유체 중 일부는 상기 압력평행공(118)으로 유입되며 소정시간 경과 후, 상기 밸브실(112)과 하우징(111) 내부의 압력을 다시 평행으로 유지시키고, 상기 탄성부재(119)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117)가 폐쇄위치로 이동되어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고압의 작동유체에 의해 발생되는 역류를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로제어밸브의 단면도로서, 유로제어밸브(210)는 하우징(111)의 출구부(116)와 밸브실(112)의 토출부 사이에 유체연통되는 보조밸브실(212)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밸브실(212)에는 상기 보조밸브실(212)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보조개폐부재(217)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보조개폐부재(217)는 상기 하우징(111)의 토출부와 상기 밸브실(112)의 출구부(116) 사이의 통로를 차폐하는 보조디스크(226)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디스크(226)에는 상기 하우징(111)의 출구부(116)와 밸브실(112)의 토출부 사이의 틈새가 밀폐되도록 보조패킹재(22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밸브실(212)의 내측에는 상기 보조개폐부재(217)를 폐쇄위치로 편위시키는 보조탄성부재(219)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보조개폐부재(217)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밸브실(212)과 상기 하우징(111)의 출구부(116)를 유체연통하는 보조압력평행공(218)이 형성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유로제어밸브에 있어서, 상기 보조개폐부재(217)는 작동유체의 정순환시 작동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보조개폐부재(217)가 개방위치로 이동되며 작동유체가 연통된다.
반면에 작동유체의 역순환시 상기 보조개폐부재(217)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1)의 출구부(116)로부터 유입된 작동유체가 상기 보조압력평 행공(218)을 통해 상기 보조밸브실(212) 내부로 유입된다. 이후로 상기 보조밸브실(212) 내부로 유입된 작동유체의 압력과 상기 출구부(116)의 압력이 일정해지면 상기 보조개폐부재(217)가 보조탄성부재(219)의 탄성력에 의해 폐쇄위치로 이동된다.
전술된 실시예에 의한 유로제어밸브는 단일도관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술된 유로제어밸브가 병렬로 이루어진 도관에 설치될 경우 복수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로제어밸브는 병렬로 이루어진 도관에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출구부를 갖도록 형성되고, 그 출구부로 토출되는 작동유체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두 개의 밸브실을 갖는 유로제어밸브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두 개의 밸브실을 갖는 유로제어밸브의 시스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유로제어밸브(310)는,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을 구획하여 하나의 입구부(314)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두 개의 출구부(316)로 유체연통 가능하도록 두 개의 밸브실(312)이 형성된 하우징(311)이 형성된다.
전술된 두 개의 밸브실(312)을 갖는 유로제어밸브(310)는 하나의 도관을 통해 유입된 작동유체가 두 개의 열교환기(342, 346) 중 어느 하나의 열교환기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유로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밸브실(312)을 갖는 유로제어밸브(310)가 사용될 경우, 하나의 밸브실을 갖는 유로제어밸브가 사용될 경우에 비해 배관의 길이가 저감되고, 별도의 분기관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시공이 용 이해지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두 개의 밸브실(312)을 갖는 유로제어밸브(310)는 연결된 두 개의 열교환기(342, 346)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각각의 밸브실(312)에 설치된 전자변(320) 중 어느 한 쪽의 전자변에 전원을 공급하고, 다른 한 쪽의 전자변은 전원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로제어밸브가 도시된 측면도로서, 유로제어밸브(410)는 중심을 구획하여 하나의 입구부(414)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두 개의 출구부(416)로 유체연통 가능하도록 두 개의 밸브실(412)이 형성된 하우징(4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로제어밸브(410)의 일단에는 작동유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밸브실(412)에 보조밸브실(452)이 설치된다. 상기 보조밸브실(452)에는 보조개폐부재(457)가 각각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개폐부재(457)는 상기 밸브실(412)의 토출부와 상기 하우징(411)의 출구부(416) 사이의 통로를 차폐하는 보조디스크(466)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디스크(466)에는 상기 밸브실(412)의 토출부와 상기 하우징(411)의 출구부(416) 사이의 틈새가 밀폐되도록 보조패킹재(46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밸브실(452)의 내측에는 상기 보조개폐부재(457)를 폐쇄위치로 편위시키는 보조탄성부재(459)가 탄설된다. 또한, 상기 보조개폐부재(457)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밸브실(452)과 하우징(411)의 출구부(416)를 유체연통하는 보조압력평행공(458)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제어밸브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 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제어밸브는 별도의 체크밸브가 설치되지 않더라도 작동유체의 역류가 방지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공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제어밸브는 작동유체의 압력에 의해 밸브의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작동이 신속하게 정확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삭제
  2. 입구부와 출구부가 유체연통 가능하게 밸브실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밸브실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입구부와 출구부 사이의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밸브실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폐쇄위치로 편위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전자적으로 개폐하는 전자변과,
    상기 개폐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밸브실과 상기 하우징의 입구부를 유체연통하는 압력평행공과,
    상기 압력평행공을 통해 상기 밸브실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상기 출구부로 배출시키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하우징의 출구부와 밸브실의 토출부 사이에는 형성된 보조밸브실과,
    상기 보조밸브실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조밸브실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보조개폐부재와,
    상기 보조밸브실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개폐부재를 폐쇄위치로 편위시키는 보조탄성부재와,
    상기 보조개폐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밸브실과 상기 하우징의 출구부를 유체연통하는 보조압력평행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제어밸브.
KR1020030085673A 2003-11-28 2003-11-28 유로제어밸브 KR100596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673A KR100596056B1 (ko) 2003-11-28 2003-11-28 유로제어밸브
PCT/KR2004/003097 WO2005052424A1 (en) 2003-11-28 2004-11-27 Flow path control valve
US10/580,565 US7451782B2 (en) 2003-11-28 2004-11-27 Flow path control valve
EP20040808241 EP1697669B1 (en) 2003-11-28 2004-11-27 Flow path control valve
AT04808241T ATE478294T1 (de) 2003-11-28 2004-11-27 Durchflusswegregelventil
JP2006541044A JP4469373B2 (ja) 2003-11-28 2004-11-27 流路制御弁
CNB2004800351996A CN100436905C (zh) 2003-11-28 2004-11-27 流路控制阀
DE200460028756 DE602004028756D1 (de) 2003-11-28 2004-11-27 Durchflusswegregelvent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673A KR100596056B1 (ko) 2003-11-28 2003-11-28 유로제어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983A KR20050051983A (ko) 2005-06-02
KR100596056B1 true KR100596056B1 (ko) 2006-06-30

Family

ID=36791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673A KR100596056B1 (ko) 2003-11-28 2003-11-28 유로제어밸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51782B2 (ko)
EP (1) EP1697669B1 (ko)
JP (1) JP4469373B2 (ko)
KR (1) KR100596056B1 (ko)
CN (1) CN100436905C (ko)
AT (1) ATE478294T1 (ko)
DE (1) DE602004028756D1 (ko)
WO (1) WO20050524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732B1 (ko) * 2008-04-22 2011-02-14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분수대용 솔레노이드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903B1 (ko) * 2005-07-25 2008-04-17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
IT1394662B1 (it) * 2009-07-09 2012-07-13 Larix Srl Valvola a regolazione fine per lo scarico rapido di aria compressa o gas.
JP5375560B2 (ja) * 2009-11-30 2013-12-25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CN102192152A (zh) * 2010-03-09 2011-09-21 上海汉钟精机股份有限公司 用于带油分半封压缩机的压力维持阀
US8469333B2 (en) * 2010-03-13 2013-06-25 Synapse Engineering, Inc. Counter-biased valve and actuator assembly
DE102018122216A1 (de) * 2018-09-12 2020-03-12 SIKA Dr. Siebert & Kühn GmbH & Co. KG Durchströmbarer Rohreinsatz für die optische Strömungsmessung
WO2020052644A1 (zh) * 2018-09-13 2020-03-19 厦门松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水路切换阀
CN112460267B (zh) * 2019-09-06 2022-11-08 盾安环境技术有限公司 电磁阀
US11313598B2 (en) * 2019-11-01 2022-04-26 Lei Zhong Digital controlled solenoid capillary tube metering devices of refrigeration systems
CN113202937A (zh) * 2021-04-30 2021-08-03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防止分子泵前级泵反流的自动起闭式压差阀
WO2023145989A1 (ko) * 2022-01-26 2023-08-03 손형모 유체 제어밸브용 실링부재
CN115163854B (zh) * 2022-07-13 2023-04-11 长沙市奇俊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大流量闸阀组件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66451A (en) * 1950-02-17 1954-01-19 Gen Controls Co Valve structure for controlling high-pressure fluids
US3030981A (en) * 1961-03-23 1962-04-24 Chatleff Controls Inc Diverting valve with independent pistons
US4387878A (en) 1981-07-13 1983-06-14 Eaton Corporation Pilot operated valve assembly
US5333643A (en) 1993-03-24 1994-08-02 South Bend Controls, Inc. Solenoid valve
US5413308A (en) 1993-09-03 1995-05-09 The Horton Company Fail-open solenoid actuated valve
US5687759A (en) * 1996-04-04 1997-11-18 The Curators Of The University Of Missouri Low operating power, fast-response servovalve
CN2313129Y (zh) * 1997-10-18 1999-04-07 李汉宝 一种活塞式先导式电磁阀
CN2347015Y (zh) * 1998-11-02 1999-11-03 乐清市东达电子有限公司 电磁控制隔膜阀
CN2524019Y (zh) * 2001-11-26 2002-12-04 牛凤山 缓闭消声液控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732B1 (ko) * 2008-04-22 2011-02-14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분수대용 솔레노이드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4028756D1 (de) 2010-09-30
WO2005052424A1 (en) 2005-06-09
JP4469373B2 (ja) 2010-05-26
US7451782B2 (en) 2008-11-18
JP2007513299A (ja) 2007-05-24
KR20050051983A (ko) 2005-06-02
EP1697669A1 (en) 2006-09-06
EP1697669A4 (en) 2008-10-08
US20070267593A1 (en) 2007-11-22
CN1981151A (zh) 2007-06-13
CN100436905C (zh) 2008-11-26
EP1697669B1 (en) 2010-08-18
ATE478294T1 (de)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6056B1 (ko) 유로제어밸브
KR101078137B1 (ko) 복합 밸브
JP4818154B2 (ja) 膨張弁機構および流路切り替え装置
EP2479520B1 (en) Three-way electromagnetic valve
CN114061168A (zh) 热泵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8537773A (ja) 環境に優しい冷媒を用いる場合に使用する三方サービス弁を備えた冷媒サイクル
US20220205687A1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US2723537A (en) Reversing valve for refrigeration system
KR20070065709A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N111043794B (zh) 针对液体段塞的压缩机保护
US4221237A (en) Refrigeration heat pump changeover valve assembly
US11739956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200134805A (ko) 공기조화장치
EP4212793A1 (en) Heat pump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100202595B1 (ko) 냉동싸이클의 냉매제어장치
KR100575693B1 (ko) 보조압축회로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20190070233A (ko) 히트펌프 시스템, 이의 양방향 인젝션 운전 방법
CN114072623B (zh) 制冷循环装置
KR100486100B1 (ko) 유로 변환 밸브장치
EP1420218B1 (en) Heat-save cooler
JP4446628B2 (ja) バイパス弁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装置
JPS61250468A (ja) ヒ−トポンプ式冷暖房給湯装置
JPH04258585A (ja) 電磁弁
CN116294312A (zh) 一种模块化膨胀装置及空调系统
JPH041052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