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903B1 -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 - Google Patents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903B1
KR100822903B1 KR1020050067557A KR20050067557A KR100822903B1 KR 100822903 B1 KR100822903 B1 KR 100822903B1 KR 1020050067557 A KR1020050067557 A KR 1020050067557A KR 20050067557 A KR20050067557 A KR 20050067557A KR 100822903 B1 KR100822903 B1 KR 100822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uffer tank
bellows
upper sid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3164A (ko
Inventor
민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Priority to KR1020050067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903B1/ko
Priority to PCT/KR2005/003045 priority patent/WO2007013714A1/en
Publication of KR20070013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 F16K31/126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one side of the diaphragm being spring 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3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 F16K31/4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with electrically-actuated member in the discharge of the motor
    • F16K31/4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with electrically-actuated member in the discharge of the motor acting on a diaphrag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3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 F16K31/4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with electrically-actuated member in the discharge of the motor
    • F16K31/4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with electrically-actuated member in the discharge of the motor acting on a diaphragm
    • F16K31/4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with electrically-actuated member in the discharge of the motor acting on a diaphragm the discharge being effected through the diaphragm and being blockable by an electrically-actuated member making contact with the diaphrag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1/00Feed-water supply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5/00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Check Valve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일러와 같은 순환수가 공급되는 기기의 내부압력이 급수압보다 클 경우나 밸브의 순간적인 개폐시 발생할 수 있는 수격현상으로 인하여 역압이 발생하여 순환배관에서 역류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상측이 개방된 완충탱크를 형성하고 상기 완충탱크의 일측으로는 연동되어 상측으로 절곡 형성된 순환수 유입파이프를 형성하고 상기 완충탱크의 타측 으로는 유출파이프가 형성된 파이프부와, 상기 파이프부의 완충탱크 상측에 적층되어 유입파이프의 출구를 개폐하며 일측으로 출수홀을 형성한 벨로우즈와, 상기 벨로우즈의 상측과 완충탱크의 상측으로 고정하며 상기 벨로우즈를 가압하도록 완충 스프링이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홈을 형성한 덮게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The series valve which has a counterflow prevention function}
도 1은 종래 급수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파이프부 21 : 완충탱크
22 : 유입파이프 23 : 유출파이프
30 : 벨로우즈 31 : 출수홀
40 : 덮게부 41 : 스프링
42 : 스프링홈 50 : 제2완충탱크
51 : 입수파이프 52 : 개방구
53 : 입수공 54 : 출수공
55 : 벨로우즈판 56 : 상부덮게
57 : 솔레노이드 58 : 고무봉
본 발명은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일러와 같은 순환수가 공급되는 기기의 내부 압력이 급수압보다 클 경우나 밸브의 순간적인 개폐시 발생할 수 있는 수격현상으로 인하여 역압이 발생하여 순환배관에서 역류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을 하기 위하여 크게는 화력발전소 및 냉각수나 보일러와 같은 순환수를 공급해야하는 시스템에서 급수밸브의 개폐로 인하여 순환수를 공급 및 차단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형적인 순환수 급수밸브의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부재번호 1은 개방구, 2는 순환수 몸체, 4는 입수공, 5는 출수공, 6은 벨로우즈판, 7은 입수파이프, 8은 출수파이프, 9는 상부덮개, 10은 솔레노이드, 11은 고무봉, 12는 플란자, 13은 스프링을 각각 가리킨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순환수 급수밸브는 상측으로 개방구(1)를 형성한 순환수몸체(2)의 상측 개방구(1)에 입수공(4)과 출수공(5)이 형성된 벨로우즈판(6)을 형성하고 순환수몸체(2)의 일측으로는 입수파이프(7)를 연통되도록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상기 벨로우즈판(6)의 출수공(5)과 연결될 수 있도록 출수파이프(8)를 형성하며 상기 벨로우즈판(6) 상측으로는 상부덮개(9)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덮개(9) 상측으로 솔레노이드(10)에 의해 승하강 하여 벨로우즈판(6)의 출수공(5)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단에 고무봉(11)이 형성된 플란자(12)를 스프링(13)에 의해 탄력 설치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상기 순환수 급수밸브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였을 시 스프링(13)에 의하여 플란자(12)의 단부에 형성된 고무봉(11)이 출수공(5)을 폐쇄키고 이때 입수공으로 유체가 공급되더라도 플란자 상측의 압력과 플란자 하측(입력파이프의 압력이 같아지므로 유체가 출수 파이프로 흐르지 못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기를 공급하면 플란자가 상승하게 되어 플란자가 상측의 유체가 벨로우즈판의 출수공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플란자 상측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벨로우즈판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유체는 입수파이프로부터 출수파이프로 흐르게 된다.
이와같이 압력의 차이를 이용함으로써 작은힘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큰 수압의 유체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만일 어떤 이유로 인해 출수파이프측의 압력이 입수파이프측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벨로우즈판이 쉽게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써 유체가 역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보일러와 같은 순환수가 공급되는 기기의 내부 압력이 급수압보다 클 경우나 밸브의 순간적인 개폐시 발생할 수 있는 수격현상으로 인하여 역압이 발생하여 순환배관에서 역류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측이 개방된 완충탱크를 형성하고 상기 완충탱크의 일측으로는 연동되어 상측으로 절곡 형성된 순환수 유입파이프를 형성하고 상기 완충탱크의 타측 으로는 유출파이프가 형성된 파이프부와, 상기 파이프부의 완충탱크 상측에 적층되어 유입파이프의 출구를 개폐하며 일측으로 출수홀을 형성한 벨로우즈와, 상기 벨로우즈의 상측과 완충탱크의 상측으로 고정하며 상기 벨로우즈를 가압하도록 완충 스프링이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홈을 형성한 덮게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부의 유입파이프의 외측단을 직선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유입파이프 외측으로는 제2완충탱크를 형성하며 상기 제2완충탱크의 일측으로는 입수파이프를 형성하며 제2완충탱크의 상측으로는 개방구를 형성고 상기 개방구에 입수공과 출수공이 형성되어 출수공과 유입파이프의 단부가 연통되도록 벨로우즈판을 형성하고 상기 벨로우즈판 상측으로는 상부덮개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덮개 상측으로 솔레노이드에 의해 승하강 하여 벨로우즈판의 출수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단에 고무봉이 형성된 플란자를 스프링에 의해 탄력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는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어 순환할 수 있도록 파이프부(20)를 형성하되 상기 파이프부(20)는 상측이 개방된 완충탱크(21)를 형성하고 상기 완충탱크(21)의 일측으로는 연동되어 상측으로 절곡 형성된 순환수 유입파이프(22)를 형성하고 상기 완충탱크(22)의 타측으로는 유출파이프(23)가 형성된다.
이와같이 형성된 상기 파이프부(20)의 완충탱크(21) 상측에 벨로우즈(30)를 적층하되 상기 벨로우즈(30)는 유입파이프(22)의 출구를 개폐하며 일측으로 출수홀(31)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벨로우즈(30)의 상측과 완충탱크(21)의 상측으로는 덮게부(40)를 고정하되 상기 덮개부는 상기 벨로우즈(30)를 가압하도록 완충 스프링(41)이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홈(42)을 형성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상기 파이프부(20)의 유입파이프(22)의 외측으로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2완충탱크(50)를 형성하며 상기 제2완충탱크(50)의 일측으로는 입수파이프(51)를 형성하며 제2완충탱크(50)의 상측으로는 개방구(52) 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구(52)에 입수공(53)과 출수공(54)이 형성되어 출수공(54)와 유입파이프(22)의 단부가 연통되도록 벨로우즈판(55)을 형성하고 상기 벨로우즈판(55) 상측으로는 상부덮개(56)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덮개(56) 상측으로 솔레노이드(57)에 의해 승하강 하여 벨로우즈판(55)의 출수공(54)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단에 고무봉(58)이 형성된 플란자(59)를 스프링(60)에 의해 탄력 형성한다.
이러한 제2완충탱크(50)는 완충탱크(21) 일측이나 상측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완충탱크를 형성하는 구성은 종래의 순환수 급수밸브의 출수파이프와 연결하여 본 발명의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를 형성하는 것도 동일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파이프부(20)를 통하여 순환수가 유입되면 유입파이프(22)의 내측에 입구압(P4)의 압력이 상승되어 벨로우즈(30)를 밀어 올리게 되며 입구로 부터 출구로 순환수가 흐르게 되며 유출파이프(23)의 압력인 출구압(P6)이 크게 되면 벨로우즈(30)의 출수홀(31)을 통하여 순환수가 유입되면서 덮게부(40)의 중간부암(P5)과 출구압(P6)가 일치하게 되어 벨로우즈(30)가 스프링(41)의 힘에 의하여 유입파이프(22)의 단부를 막으면서 역류가 방지된다.
이와같은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역류방지 기능을 갖지 못하는 급수밸브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하여 사용하여도 역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급수밸브를 상측으로 형성하여 종래의 급수밸브와 동일하게 순환수는 전원이 온되면 솔레노이드(57) 에 의해 플란자(59)의 상승으로 고무봉(58)이 출수공(54)을 개방하게 되어 순환수가 유입되며 상기 순환수는 유입파이프(22)를 통하여 유입되어 순환수의 압력에 의하여 벨로우즈(30)을 밀게 되어 유출파이프(23)로 유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출구압이 입구압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벨로우즈가 닫히게 되어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배관의 내부압력이 급수압보다 클 경우나 밸브의 순간적인 개폐시 발생할 수 있는 수격현상으로 인하여 출구압이 입구압보다 클경우 순환배관에서 역류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삭제
  2. 상측이 개방된 완충탱크(21)를 형성하고, 상기 완충탱크(21)의 일측으로는 상측으로 절곡 형성된 순환수 유입파이프(22)를 형성하고, 상기 완충탱크(21)의 타측 으로는 유출파이프(23)가 형성된 파이프부(20);
    상기 파이프부(20)의 완충탱크(21) 상측에 고정되고 상기 유입파이프(22)의 단부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유출파이프(23)와 연통되는 출수홀(31)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파이프로부터 순환수가 유입되면 위로 밀어 올려져 개방되고, 상기 유출파이프로부터 순환수가 유입되면 상기 출수홀을 통하여 유입파이프를 폐쇄하는 벨로우즈(30)와,
    상기 벨로우즈(30)의 상측과 완충탱크(21)의 상측에 고정되며 상기 벨로우즈(30)를 가압하도록 완충 스프링(41)이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홈(42)을 형성한 덮게부(40)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파이프부(20)의 유입파이프(22)의 외측단을 직선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유입파이프(22) 외측으로는 제2완충탱크(50)를 형성하며 상기 제2완충탱크(50)의 일측으로는 입수파이프(51)를 형성하며 제2완충탱크(50)의 상측으로는 개방구(52)를 형성고 상기 개방구(52)에 입수공(53)과 출수공(54)이 형성되어 출수공(54)과 유입파이프(22)의 단부가 연통되도록 벨로우즈판(55)을 형성하고 상기 벨로우즈판(55) 상측으로는 상부덮개(56)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덮개(56) 상측으로 솔레노이드(57)에 의해 승하강 하여 벨로우즈판(55)의 출수공(54)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단에 고무봉(58)이 형성된 플란자(59)를 스프링(60)에 의해 탄력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
KR1020050067557A 2005-07-25 2005-07-25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 KR100822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557A KR100822903B1 (ko) 2005-07-25 2005-07-25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
PCT/KR2005/003045 WO2007013714A1 (en) 2005-07-25 2005-09-14 Water suppling valve having function for preventing backward f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557A KR100822903B1 (ko) 2005-07-25 2005-07-25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164A KR20070013164A (ko) 2007-01-30
KR100822903B1 true KR100822903B1 (ko) 2008-04-17

Family

ID=37683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557A KR100822903B1 (ko) 2005-07-25 2005-07-25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22903B1 (ko)
WO (1) WO20070137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9354A (zh) * 2015-05-22 2015-08-05 中山市雅西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双向调节的水管接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717B1 (ko) * 2009-09-28 2012-07-1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믹싱밸브가 구비된 급탕열교환기 및 믹싱밸브 일체형 어댑터
CN105805459B (zh) * 2015-11-01 2017-11-17 茹朝贵 一种通过压盘调节的水管接头
CN105605240A (zh) * 2015-12-30 2016-05-25 封海涛 一种低压流体向高压流体传输的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6775A (ja) 1982-12-07 1984-06-20 Fuji Seikou Kk 安全機構付き圧力制御バルブ
JPH0196582U (ko) * 1987-12-18 1989-06-27
US6138990A (en) 1999-03-25 2000-10-31 Dxl Usa Inc. Flow control valve assembly for mass flow controller
US6688577B2 (en) 2002-01-30 2004-02-10 W. T. David Abbott Self draining valve
KR20050051983A (ko) * 2003-11-28 2005-06-02 진금수 유로제어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6775A (ja) 1982-12-07 1984-06-20 Fuji Seikou Kk 安全機構付き圧力制御バルブ
JPH0196582U (ko) * 1987-12-18 1989-06-27
US6138990A (en) 1999-03-25 2000-10-31 Dxl Usa Inc. Flow control valve assembly for mass flow controller
US6688577B2 (en) 2002-01-30 2004-02-10 W. T. David Abbott Self draining valve
KR20050051983A (ko) * 2003-11-28 2005-06-02 진금수 유로제어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9354A (zh) * 2015-05-22 2015-08-05 中山市雅西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双向调节的水管接头
CN104819354B (zh) * 2015-05-22 2016-11-23 中山市雅西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双向调节的水管接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13714A1 (en) 2007-02-01
KR20070013164A (ko) 2007-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903B1 (ko)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급수밸브
KR960006191B1 (ko) 복수배출장치
JP5001072B2 (ja) 液体圧送装置
JP4994965B2 (ja) 液体圧送装置
JP5274974B2 (ja) 液体圧送装置
JP2006316940A (ja) 排気弁
KR100619159B1 (ko) 온수역류가 방지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조
KR200462065Y1 (ko) 가스보일러용 기수분리기
JP2879490B2 (ja) 復水排出装置
JP5065138B2 (ja) 復水圧送装置
JP2004076831A (ja) フロート式スチームトラップ
JP2711610B2 (ja) 復水排出装置
JP2006316939A (ja) 排気弁
KR20110005104U (ko) 소형 온수 보일러
JP5514065B2 (ja) 液体圧送装置
KR200333251Y1 (ko) 온수 보일러
KR20130017937A (ko)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
KR100839444B1 (ko) 급수밸브
JP5514056B2 (ja) 液体圧送装置
JP4166514B2 (ja) フロート式ドレントラップ
JP4704832B2 (ja) 液体圧送装置
JP2009299602A (ja) 液体圧送装置
JP5405896B2 (ja) 液体圧送装置
KR920000500Y1 (ko) 급속 배기밸브
JP5085400B2 (ja) 液体圧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