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588B1 - 카메라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588B1
KR100595588B1 KR1020030061798A KR20030061798A KR100595588B1 KR 100595588 B1 KR100595588 B1 KR 100595588B1 KR 1020030061798 A KR1020030061798 A KR 1020030061798A KR 20030061798 A KR20030061798 A KR 20030061798A KR 100595588 B1 KR100595588 B1 KR 100595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accident
black box
camera
speed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4005A (ko
Inventor
정세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1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588B1/ko
Publication of KR20050024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 거치대에 장착되는 카메라폰에 의해, 사고발생 상황시에 촬영되는 영상자료를 저장함으로써, 그 영상 자료를 사고 경위조사의 자료로 활용하여 보다 빠르고 정확한 사고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블랙박스 기능이 선택되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이미지 데이터화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전송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서큘라 큐(Cicular Queue)의 방식으로 저장하는 메모리와; 사고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의 이미지 데이터 저장 동작을 중지시키고, 그 사고시점까지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주제어부와; 차량의 속도계에서 측정된 속도를 미분하여 속도 변화량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속도변화량을 기준 속도변화량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근거한 사고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사고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카메라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장치 및 방법{BLACK BOX FUNCTION EMBODIMENT APPARATUS AND METHOD IN USING CAMERA PHONE}
도1은 본 발명 카메라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장치에 대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2는 도1에 있어서, 사고감지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3은 도1에 있어서, 사고감지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4는 도1에 있어서, 사고감지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5는 본 발명 카메라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방법에 대한 동작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주제어부 20:사고감지부
30:메모리부 40:카메라부
본 발명은 카메라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사고 발생시, 차량 거치대에 장착되는 카메라폰에 의해 촬영된 차량 사고 발생 상황시의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 경위조사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면, 그 사고 차량의 상태와 사고주변의 상황을 촬영하여, 사고당시의 상황을 유치하고, 사고 당사자간의 진술과 주변 목격자의 진술에 의해서 자동차 사고의 상황을 판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 사고 발생후의 사고처리시, 사고전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고, 종종 당사자간의 진술이 서로 차이가 발생하여 사고 당사자에 크고 작은 분쟁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한적한 장소에서의 사고는, 사고전의 상황을 나타낼 증거자료가 거의 전무하여 이해 당사자간의 진술을 토대로 사고원인을 규명하므로, 당사자간의 사고수습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 거치대에 장착되는 카메라폰에 의해, 사고발생 상황시에 촬영되는 영상자료를 저장함으로써, 그 영상 자료를 사고 경위조사의 자료로 활용하여 보다 빠르고 정확한 사고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로 한 카메라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블랙박스 기능이 선택되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이미지 데이터화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전송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서큘라 큐(Cicular Queue)의 방식으로 저장하는 메모리와;
사고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의 이미지 데이터 저장 동작을 중지시키고, 그 사고시점까지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주제어부와;
차량의 속도계에서 측정된 속도를 미분하여 속도 변화량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속도변화량을 기준 속도변화량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근거한 사고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사고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카메라폰을 자량용 거치대에 장착한 다음, 블랙박스 기능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블랙박스 기능모드가 선택되면, 카메라를 통한 영상을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그 이미지 데이터를 서큘라 큐(Cicular Queue) 방식으로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차량의 속도계에서 측정된 속도를 미분하여 속도 변화량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속도변화량과 기준 속도변화량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한 사고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사고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이미지 데이터 저장 동작을 정지시켜 그 이미지 데이터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과정과;
MMS전송 설정여부를 판단하여, MMS전송이 기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MMS서비스를 이용하여 미리 등록된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과정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장치 및 방법에 대한 작용과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 카메라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블랙박스 기능이 선택되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이미지 데이터화하는 카메라부(40)와;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전송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서큘라 큐(Cicular Queue)의 방식으로 저장하는 메모리부(30)와; 사고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부(30)의 이미지 데이터 저장 동작을 중지시키고, 그 사고시점까지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유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주제어부(10)와; 이동단말기 또는 차량의 거치대에 위치하여, 차량의 사고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근거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사고감지부(20)로 구성한다.
상기 사고감지부(20)는,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차량용 거치대에 부착되고, 사고 발생시,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여 그 사고감지신호를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충격감지센서(21)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고감지부(20)는,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차량의 속도계(22)에서 측정된 속도를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입력받아 그 속도를 미분하여 속도 변화량을 추출하는 미분기(12)와; 상기 미분기(12)에서 출력되는 속도변화량과 기준 속도변화량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한 사고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비교기(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고감지부(20)는,도4에 도시한 바와같이, 마이크를 통한 입력신호의 파형과 사고 발생시 발생하는 충격음의 파형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근거한 사고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비교기(15)로 이루어지며, 이와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차량 탑승시, 사용자는 카메라폰을 차량 거치대에 장착한후, 블랙박스기능모드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부(40)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디지탈화,압축등 의 신호처리로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고, 메모리부(30)는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서큘라 큐(Cicular Queue)의 방식으로 저장하는데, 대략 30초 분량의 데이터를 계속하여 저장하고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고감지부(20)는 이동단말기 또는 차량의 거치대에 위치하여, 차량의 사고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근거한 사고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사고감지부(20)는, 도2와 같이, 충격감지센서(21)로 이루어져, 사고 발생시,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여 그 사고감지신호를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이동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사고감지부(20)는, 도3과 같이, 미분기(12)와 비교기(13)로 구성할 수 있는데, 즉 미분기(12)는 차량의 속도계(22)에서 측정된 속도를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입력받아 그 속도를 미분하여 속도 변화량을 추출하고, 비교기(13)는 상기 미분기(12)에서 출력되는 속도변화량과 기준 속도변화량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한 사고감지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사고감지부(20)는 도4와 같이, 비교기(15)로 이루어져, 마이크를 통한 입력신호의 파형과 사고 발생시 발생하는 충격음의 파형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근거한 사고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이에따라 상기 주제어부(10)는 상기 사고감지부(20)에서 출력되는 사고감지신호에 의해 사고를 감지하여, 상기 메모리부(30)의 이미지 데이터 저장 동작을 중지시키고, 그 사고시점까지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유지시키도록 제어한다.
만약, 사용자에 의해, MMS서비스가 기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주제어부(10)는 메모리부(30)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MMS서비스를 이용하여 미리 등록된 수신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도5는 본 발명 카메라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방법에 대한 동작흐름도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카메라폰을 자량용 거치대에 장착한 다음, 블랙박스 기능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P1,SP2)과; 상기 판단결과, 블랙박스 기능모드가 선택되면, 카메라를 통한 영상을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그 이미지 데이터를 서큘라 큐(Cicular Queue) 방식으로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SP3)과; 사고감지신호의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사고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이미지 데이터 저장 동작을 정지시켜 그 이미지 데이터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과정(SP4,SP5)과; MMS전송 설정여부를 판단하여, MMS전송이 기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MMS서비스를 이용하여 미리 등록된 수신자에게 전송하고, MMS전송이 기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사고조사에 활용하는 과정(SP8)으로 이루어지며, 이와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카메라폰을 자량용 거치대에 장착한 다음(SP1), 블랙박스 기능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P2).
상기 판단결과, 블랙박스 기능모드가 선택되면, 카메라를 통한 영상을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그 이미지 데이터를 서큘라 큐(Cicular Queue) 방식으로 메모리에 저장한다(SP3),
그 다음, 사고감지신호가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사고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이미지 데이터 저장 동작을 정지시켜 그 이미지 데이터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시킨다 (SP4,SP5).
여기서, 상기 차량 사고 감지는,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여 사고를 감지하거나, 차량의 속도계에서 측정된 속도를 미분하여 속도 변화량을 추출한 다음 그 속도변화량과 기준 속도변화량을 비교하여 사고를 감지하거나, 또는 마이크를 통한 입력신호의 파형과 사고 발생시 발생하는 충격음의 파형을 비교하여 사고를 감지한다.
그 다음, MMS 전송 설정여부를 판단하여, 그 MMS전송이 기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MMS서비스를 이용하여 미리 등록된 수신자에게 전송하고(SP8), MMS전송이 기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사고조사에 활용한다(SP7).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차량 거치대에 장착되는 카메라폰에 의해, 사고발생 상황시에 촬영되는 영상자료를 저장함으로써, 그 영상 자료를 사고 경위조사의 자료로 활용한다.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행해진 구체적인 실시 양태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구체적 실시예에 한정해서 협의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된 특허 청구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경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차량 거치대에 장착되는 카메라폰에 의해, 사고발생 상황시에 촬영되는 영상자료를 저장함으로써, 그 영상 자료를 사고 경위조사의 자료로 활용하여 보다 빠르고 정확한 사고처리를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블랙박스 기능이 선택되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이미지 데이터화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전송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서큘라 큐(Cicular Queue)의 방식으로 저장하는 메모리와;
    사고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의 이미지 데이터 저장 동작을 중지시키고, 그 사고시점까지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주제어부와;
    차량의 속도계에서 측정된 속도를 미분하여 속도 변화량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미분기를 기준 속도변화량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근거한 사고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사고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주제어부는,
    사고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MMS서비스를 이용하여 미리 등록된 수신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장치.
  6. 사용자에 의해 카메라폰을 자량용 거치대에 장착한 다음, 블랙박스 기능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블랙박스 기능모드가 선택되면, 카메라를 통한 영상을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그 이미지 데이터를 서큘라 큐(Cicular Queue) 방식으로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차량의 속도계에서 측정된 속도를 미분하여 속도 변화량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속도변화량과 기준 속도변화량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한 사고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사고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이미지 데이터 저장 동작을 정지시켜 그 이미지 데이터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과정과;
    MMS전송 설정여부를 판단하여, MMS전송이 기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MMS서비스를 이용하여 미리 등록된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과정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30061798A 2003-09-04 2003-09-04 카메라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장치 및 방법 KR100595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798A KR100595588B1 (ko) 2003-09-04 2003-09-04 카메라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798A KR100595588B1 (ko) 2003-09-04 2003-09-04 카메라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005A KR20050024005A (ko) 2005-03-10
KR100595588B1 true KR100595588B1 (ko) 2006-07-03

Family

ID=37231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798A KR100595588B1 (ko) 2003-09-04 2003-09-04 카메라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55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519B1 (ko) * 2005-10-10 2007-02-26 노하우뱅크주식회사 단말기용 크래들 어셈블리 및 이의 동영상 촬영 제어방법
KR100759592B1 (ko) * 2005-11-30 2007-09-18 엠텍비젼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사고 통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643519B1 (ko) * 2006-02-13 2006-11-13 주식회사 시드컴 동영상 처리 프로세서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동영상촬영 원격제어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791962B1 (ko) * 2006-06-28 2008-01-08 비알아이티(주) 네트워크 연동기능이 부가된 차량용 dvr 시스템
KR101183217B1 (ko) * 2011-11-25 2012-09-20 김앤더슨형규 모바일 결합형 사용자 인터랙티브 차량용 블랙박스 및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005A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059B1 (ko)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한 졸음운전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졸음운전 방지시스템
EP32749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data associated with a vehicle
US8547214B2 (en) System for preventing handheld device use while operating a vehicle
JP2011171798A (ja) ドライブレコーダとして機能する携帯電話機、プログラム及びドライブレコード方法
JP6627995B2 (ja)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544291B1 (en) Recording device, recording method and program
JP2008181410A (ja) ドライブレコーダ、ドライブレコーダ用プログラム、改ざん解析プログラム、データ解析システム及び画像の改ざん検出方法
KR100595588B1 (ko) 카메라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장치 및 방법
CN111935319A (zh) 一种基于车辆终端系统的监控处理方法、系统及相关设备
JP2018148325A (ja) 記録装置、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032258A (ja) 映像送信装置、映像送信方法及び映像送信プログラム
CN109616106A (zh) 车载控制屏语音识别过程测试方法、电子设备、系统
CN105744164A (zh) 一种移动终端拍照方法及系统
CN106709699A (zh) 用于投保车辆的定损方法
CN111475072A (zh) 一种支付信息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1087252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20110076693A (ko) 차량보안 기능 제공 시스템, 단말기 및 방법
CN108596600B (zh) 一种信息处理方法、终端
JP2017010341A (ja) 事故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制御装置
KR20110129726A (ko)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관리방법
JP6536603B2 (ja) 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092077A (ja) 記録制御装置、記録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9655269B (zh) 一种马达震动检测方法及装置
KR20130101821A (ko) 차량 속도에 따라 충격 감지 민감도를 가변하는 블랙박스 및 그 제어방법
KR102097316B1 (ko) 능동적인 사고 영상 전송 기능을 구비한 차량 블랙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