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567B1 - 헤파리나제 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상제논 c와 상제논 g - Google Patents

헤파리나제 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상제논 c와 상제논 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567B1
KR100594567B1 KR1020040068604A KR20040068604A KR100594567B1 KR 100594567 B1 KR100594567 B1 KR 100594567B1 KR 1020040068604 A KR1020040068604 A KR 1020040068604A KR 20040068604 A KR20040068604 A KR 20040068604A KR 100594567 B1 KR100594567 B1 KR 100594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genon
formula
compound represented
xenon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9906A (ko
Inventor
안종석
오현철
홍정현
김보연
김범석
김환묵
박성규
이창우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68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567B1/ko
Publication of KR20060019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파리나제 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상제논 C와 상제논 G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백피로부터 분리된 상제논 C와 상제논 G가 암세포의 내피세포 침윤(invasion)이나 소혈관형성 시에 필요한 헤파리나제의 활성을 저해하며 동시에 동물의 암전이 저해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상제논 C, 상제논 G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및 상백피로부터 상제논 C 또는 상제논 G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헤파리나제 저해, 상제논 C, 상제논 G, 암전이 저해

Description

헤파리나제 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상제논 C와 상제논 G{Sangenon C and sangenon G inhibiting heparinase activity}
도 1은 상백피의 알콜추출물에서 상제논 C와 상제논 G를 분리하기 위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리피를 C18 레진에서 아세토나이트릴과 물의 혼합용매(60:40)로 용출할 때 얻어지는 분획피크의 용출패턴을 보인 것이다.
도 2는 분리된 상제논 C의 전기분사이온화 질량분석 스펙트럼(electric spray ionization mass spectrum)이다.
도 3은 분리된 상제논 G의 전기분사이온화 질량분석 스펙트럼(electric spray ionization mass spectrum)이다.
도 4는 분리된 상제논 C의 수소-1 핵자기공명 스펙트럼(1H NMR spectrum)이다
도 5는 분리된 상제논 C의 탄소-13 핵자기공명 스펙트럼(13C NMR spectrum)이다
도 6은 분리된 상제논 G의 수소-1 핵자기공명 스펙트럼(1H NMR spectrum)이다
도 7은 분리된 상제논 G의 탄소-13 핵자기공명 스펙트럼(13C NMR spectrum)이다
도 8은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꼬리정맥 주사한 암컷 S.P.F C57BL/6 마우스에 상제논 C 및 상제논 G 화합물을 14 일간 복강으로 3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한 실험군과 0.5% Tween 80 만을 처리한 대조군의 마우스 폐로 전이되는 멜라노마 암집락 형성에 대한 저해정도의 차이를 비교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헤파리나제 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상제논 C와 상제논 G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백피로부터 분리된 상제논 C와 상제논 G가 암세포의 내피세포 침윤(invasion)이나 소혈관형성 시에 필요한 헤파리나제의 활성을 저해하며 동시에 동물의 암전이 저해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상제논 C, 상제논 G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및 상백피로부터 상제논 C 또는 상제논 G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유동물 세포에서 일어나는 암세포의 침윤이나 암세포의 전이(tumor metastasis)는 세포 외부에 존재하는 효소에 의해 기저막(basement membranes)의 효소적 분해과정을 수반한다. 헤파란 설페이트(heparan sulfate)나 헤파린 (heparin)은 콜라젠(collagen), 라미닌(laminin) 및 피브로넥틴(fibronectin) 등과 함께 대부분의 포유동물 세포에 존재하는 기저막의 주요 구성성분 중의 하나이다. 헤파린 혹은 헤파란 썰페이트는 세포표면이나 세포외부 격자(extracellular matrix, ECM)에 존재하여 성장인자나 사이토카인(cytokine), 효소, 효소 저해제, 바이러스 단백질을 포함하는 다양한 분자들과 결합 혹은 반응을 통해서 세포의 성장, 암세포의 이동, 세포의 분화, 혈관생성(angiogenesis), 바이러스 침투, 항혈액응고에 관여하고 있다. 즉, 암세포의 성장뿐 만 아니라 혈관생성 및 세균, 원생동물(protozoa), 바이러스 등에 의한 부착, 감염에서도 헤파린 및 헤파란 설페이트 등이 관여하여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나 염기성 섬유 모세포 성장인자(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안지오제닌(angiogenin), 니드카인(nidkine)과 같은 헤파린 결합 단백질 등을 매개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헤파린은 비만세포(mast cell), 호염기성 과립형 백혈구(basophilic granulocytes)에 주로 존재하고 헤파란 설페이트는 세포표면이나 세포외부 격자에 존재하며 헤파린과 헤파란 설페이트는 엔-아세틸화(N-acetylation) 또는 엔-황화(N-sulfation)된 글루코사민(α-D glucosamine)과 유론산(uronic acid)의 이당류 단위가 연속적으로 결합된 복합 선상의 다당류로서 서로 구조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즉, 헤파린과 헤파란 설페이트는 유론산(L-iduronic acid) 혹은 글루쿠론산(D-glucuronic acid)과 헥소사민(hexosamine)이 1,4 위치로 결합한 이당류가 반복적으로 연속한 단위로서 황화합물의 위치와 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다당류를 나타낸다. 헤파린과 헤파란 설페이트는 세린(serine)계 단백질 분해효소(protease) 저해제인 안티스롬빈(antithrombin) Ⅲ을 활성화해서 스롬빈(thrombin)과 팩터(factor) Xa와 같은 세린계 단백질 분해효소의 불활성화를 통하여 혈액의 응고를 방지하여 지난 50 년간 항혈액응고제로 사용되어 왔다.
헤파린과 헤파란 설페이트는 각각 헤파리나제와 헤파라나제(heparanase) 효소에 의해 분해되며, 헤파리나제는 헤파린 뿐만 아니라 헤파란 설페이트도 가수분해하는 효소로서 효소적 작용에 의해 세포외부 격자로부터 헤파린 결합 성장인자를 유리하여 상처 치유로부터 암전이에 이르는 생리학적, 병리학적 작용에 관여하며 헤파린 다당류의 α-D 글루코사민과 유론산의 결합을 절단을 통해 이루어진다. 헤파리나제 활성은 순환계 세포(circulating cell)나 세포외부 격자와 기저막을 통과하는 호중성 백혈구(neutrophil), 비만세포, 대식세포, 활성화된 T 림프세포 등에서 확인되고 있다.
이들 헤파리나제와 헤파라나제 효소는 혈관생성이나 암전이 과정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 Biol. Chem. 257, 2678∼2686, 1982; Science 220, 313∼325, 1983]. 암세포가 다른 조직으로 전이를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혈관이 생겨 이를 통한 영양물질의 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혈관생성에는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나 염기성 섬유모세포성장인자가 요구된다. 이들 성장인자들은 헤파린 혹은 헤파란 설페이트에 결합되어 있다가 해파리나제나 헤파라나제가 이들을 분해하면 유리되어 혈관생성세포의 성장을 유도시켜 혈관생성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들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면 신혈관생성을 저해할 수 있어 암세포의 성장저해, 특히 전이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J. Biol. Chem. 270, 11322∼11326, 1995]. 또한, 이들 효소의 저해제들이 암전이를 억제한다는 것이 보고되면서[Biochemistry. 25, 5322∼5328, 1986; Cancer Res. 50, 3631∼3637, 1990] 항암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제시되어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이들 효소에 대한 새로운 저해제를 찾으려는 탐색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설페이티트 키틴(sulfated chitin), 라미나린 설페이트(laminarin sulfate), 칼슘 스피룰린(calcium spirulin), 포스포로티오에이트 DNA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phosphorothioate DNA oligonucleotide) 등의 다음이온성 화합물(polyanionic compounds)[Biochem. Biophysic. Acta 1471, M99∼M108, 2001], 트라치스픽산(trachyspic acid)[J. Antibiotics 48, 357∼362, 1994]과 A-72363C[J. Antibiotics 49, 61∼64, 1996] 및 수라민(suramin)[J. Biol. Chem. 266, 9661∼9666, 1991], 포스포만노펜타오스 설페이트(phosphomannopentaose sulfate, PI-88)[Cancer Res. 59, 3433∼3441, 1999] 등이 헤파리나제와 헤파라나제 효소 저해제로 보고되어 있으며, 헤파라나제 활성을 저해하고 종양세포의 전이 및 혈관생성을 저해하는 수라민과 PI-88은 항암제로 개발되어 전임상과 임상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미량으로서 헤파라나제 또는 헤파리나제 효소활성 저해뿐만 아니라 세포 내에서도 이들을 저해하여 암전이를 억제할 수 있는 신규 화합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성분의 약제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 기존 약제의 실험적 변형에 의한 노력보다는 전통 의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천 연물 약제들로부터 새로운 활성 성분을 발견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개발된 약물들에 의한 독성 염려가 적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백피로부터 메탄올과 에틸아세트로 추출 후에 실리카겔 컬럼크마토그래피에서 클로로포름 100%와 클로로포름:메탄올(10:1)의 강한 극성용매로 용출하여 두 가지 헤파리나제 저해 활성분획물을 얻고, 이 활성분획물이 암전이 억제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여 상기 활성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전이 억제제를 특허 출원한 바 있으나[국내 특허 출원 제 2002-22736호], 유효물질을 분리, 정제하진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실리카겔 컬럼크마토그라래피의 강한 극성용매(클로로포름 100%와 클로로포름:메탄올=10:1)) 보다 극성이 약한 용매(클로로포름:메탄올=5:1)로 용출하여 기존 활성분획물과는 전혀 다른 활성분획물을 얻었고 이로부터 헤파리나제 저해활성을 갖는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상제논 C와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상제논 G를 분리하였으며, 이들이 기존 활성분획물에는 포함되지 않은 활성물질임을 알고 헤파리나제 저해활성과 암전이 억제 활성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백피로부터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4039113601-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04039113601-pat00002

본 발명은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4039113601-pat00003
[화학식 2]
Figure 112004039113601-pat00004
또한, 본 발명은 상백피로부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분리방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백피로부터 분리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상제논 C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상제논 G가 암세포의 내피세포 침윤(invasion)이나 소혈관형성 시에 필요한 헤파리나제의 활성을 저해하며 동시에 동물의 암전이 저해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여 상제논 C, 상제논 G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및 상백피로부터 상제논 C 또는 상제논 G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파리나제 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상제논 C 또는 상제논 G는 다음과 같이 상백피로부터 분리할 수 있거나 통상적인 유기합성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상백피(Mori Cortex Radicis)를 분쇄한 후 알콜 수용액을 상백피 함량대비 3∼10배를 넣어 용매 추출한다. 상기 추출액을 증발 농축한 후, 농축액을 총량의 50∼100 배의 증류수로 현탁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의 유기용매로 활성물질을 추출, 농축하여 엑기스를 얻는다. 상기 엑기스를 실리카겔(silica gel)에 흡착한 후, 클로로포름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메탄올을 5:1로 혼합한 용매로 용출하여 활성분획을 분리한다. 상기 활성분획물을 감압농축한 후 오디에스 알피 18 컬럼크로마토그래피(ODS RP-18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메탄올과 물 3:2 비율의 혼합용매에서 활성물을 용출한다. 상기 용출액을 농축한 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레진 C18)에서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농도구배를 40:60 내지 73:27로 용출하여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다.
이렇게 분리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상제논 C)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상제논) G는 헤파리나제 효소 활성을 저해하고,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꼬리정맥 주사한 암컷 S.P.F C57BL/6 마우스에서 암 전이 억제효과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제논 C와 상제논 G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면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제 임상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캅셀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귀넨신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상제논 화합물의 유효투입량은 환 자의 나이, 신체적 조건, 몸무게 등에 의해 다양화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1 내지 100 ㎎/㎏(몸무게)/1일 범위 내에서 투여한다. 그리고, 1일 유효투입량 범위 내에서 하루에 한번 또는 하루에 여러 번 나누어 투입한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상백피로부터 상제논 C와 상제논 G의 분리
상백피(Mori Cortex Radicis)를 분쇄한 후 알콜 수용액을 상백피 함량대비 3∼10배를 넣어 3회 용매 추출하여 얻어진 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농축액을 총량의 50∼100 배의 증류수로 현탁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의 유기용매로 활성물질을 추출, 농축하였다. 이렇게 얻은 추출농축물을 실리카겔(silica gel)에 흡착한 후, 클로로포름 혹은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메탄올을 5:1로 혼합한 용매로 용출하여 활성분획을 분리하여 활성분획물을 감압농축한 후 오디에스 알피 18 컬럼크로마토그래피(ODS RP-18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메탄올과 물 3:2 비율의 혼합용매에서 활성물질을 용출하였다. 그리고 이 활성분획물을 농축한 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컬럼 Kromasil KR100-5C9, 길이 250 mm 직경 10 m)를 용매로 아세토나이트릴과 물을 40:60에서 73:27까지 농도구배로 용출유속 2 ml/분 조건으로 용출하여 254 nm의 UV 흡수피크를 34분에서 보이는 상제논 G와 38.7분에서 상제논 C를 분리하였다[도 1].
실시예 2 : 상제논 C와 상제논 G의 구조 확인
상백피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상제논 C와 상제논 G의 물리 화학적 특성은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상제논 G는 옅은 노란색의 분말형태이고 상제논 C는 좀더 노란색을 나타내는 분말이었다. 고해상도 질량분석(ESI-mass)을 측정하여 상제논 C의 분자량은 708이고 상제논 G의 분자량은 694 m/z를 나타내었다. 본 화합물은 둘 다 메탄올, 아세톤, DMSO에는 잘 용해되었지만 물에는 잘 용해되지 않았다. 또한, RP18 TLC에서 60% 아세토나이트릴(CH3CN)과 40% H2O 전개용매에서 0.5(상제논 G)와 0.4(상제논 C)의 Rf 값을 보였다.
이들 화합물의 화학구조를 규명하기 위하여 1H-NMR 스펙트럼 및 13C-NMR 스펙트럼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상제논 C는 분자식 C40H36O12, 분자량 708의 다음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확인하였으며, 상제논 G는 분자식 C40H38O11 갖고 분자량 694의 다음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확인하였다.
상제논 C와 상제논 G의 물리화학적 특성
특성 상제논 C 상제논 G
형상 황색분말 황색분말
분자식 C40H36O12 C40H38O11
분자량 708 694
가용성 용매 메탄올,아세톤, DMSO 메탄올,아세톤, DMSO
불용성 용매
Rf 값(RP18 TLC CH3CN:H2O=3:2) 0.4 0.5
분리된 상제논 C의 탄소-13 화학이동값 측정치와 기존 문헌치의 비교
탄소번호 탄소-13 화학이동값 탄소번호 탄소-13 화학이동값
문헌치 분리된 상제논C 문헌치 분리된 상제논C
2 92.0 91.1 20 48.3 47.4
3 102.4 101.5 21 208.8 209.2
4 188.3 187.5 22 114.0 113.2
4a 99.9 98.6 23 165.8 165.9
5 163.9 162.2 24 103.8 102.4
6 109.0 108.1 25 166.8 165.0
7 167.6 166.7 26 107.6 107.8
8 96.5 95.6 27 129.0 128.2
8a 161.9 160.3 28 121.3 120.4
9 32.0 31.9 29 156.5 155.6
10 118.5 117.7 30 103.5 102.9
11 136.7 135.9 31 157.8 156.9
12 18.1 17.2 32 108.7 108.8
13 25.9 25.1 33 134.7 133.9
14 35.9 35.0 1' 122.2 121.2
15 122.8 121.9 2' 161.2 160.3
16 135.0 134.1 3' 99.5 99.1
17 23.7 22.9 4' 161.2 161.0
18 33.8 32.8 5' 109.7 108.8
19 32.8 32.8 6' 125.6 124.7
[화학식 1]
Figure 112004039113601-pat00005
분리된 상제논 G의 탄소-13 화학이동값 측정치와 기존 문헌치의 비교
탄소번호 탄소-13 화학이동값 탄소번호 탄소-13 화학이동값
문헌치 분리된 상제논G 문헌치 분리된 상제논G
2 75.8 75.2 20 47.1 47.0
3 43.1 42.8 21 210.8 210.0
4 198.4 198.1 22 116.2 116.1
4a 103.8 103.8 23 165.5 164.9
5 165.7 165.8 24 103.8 103.8
6 107.8 107.8 25 165.5 165.0
7 165.9 166.2 26 107.4 107.5
8 97.0 96.2 27 128.8 129.1
8a 163.3 162.9 28 122.9 122.2
9 38.5 38.4 29 157.0 157.4
10 125.5 125.4 30 103.4 103.5
11 137.0 138.0 31 157.0 156.7
12 38.5 38.4 32 107.8 107.8
13 27.3 27.3 33 134.1 133.9
14 125.2 124.9 1' 110.4 110.1
15 130.4 131.6 2' 156.6 156.3
16 25.9 26.0 3' 102.9 102.9
17 17.8 17.9 4' 159.5 159.6
18 38.5 38.4 5' 107.9 107.9
19 36.3 36.0 6' 133.1 133.9
주) 상제논 G의 화학이동값의 문헌치는 (Fukai등, Heterocycles, 1983년, 20권, 611-615)에서 발췌. 분리된 상제논G의 화학이동값은 아세톤-d6, 75 MHz에서 측정.
[화학식 2]
Figure 112004039113601-pat00006
실시예 3 : 헤파리나제 저해활성 측정
헤파린 10 ng을 포함하는 반응용액 17 ㎕에 검정할 시료용액 3 ㎕를 넣고 헤파리나제 효소액 10 ㎕(0.1 unit)를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15 분간 반응하였다. 다시 안티스롬빈 Ⅲ 용액 20 ㎕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2 분간 반응시킨 후 팩터 Ⅹa 용액 20 ㎕을 첨가하였다. 첨가 1 분 후 팩터 Ⅹa의 기질 20 ㎕을 첨가하여 15 분간 반응시키고 빙초산 20 ㎕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킨 후 4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헤파리나제 효소에 대한 저해율은 수학식 1과 같이 계산하였으며, IC50 값은 효소활성의 저해율이 50%에 달하는 저해제의 농도로 결정하였다.
Figure 112004039113601-pat00007
A : 저해제를 넣지 않은 것의 반응 후 흡광도
B : 효소액을 넣지 않은 것의 반응 후 흡광도
C : 저해제를 넣은 것의 반응 후 흡광도
상제논 C와 상제논 G의 헤파리나제 효소 활성을 50% 저해하는 농도(IC50)를 측정한 결과, 각각 4.0 μM, 3.7 μM로 나타났으며 저해제로 이미 알려진 수라민의 경우, 본 실험에서 50% 저해하는 농도(IC50)가 5 μM로 나타났다. 이때 헤파리나제는 플라보박테리움 헤파리눔(Flavobacterium heparinum)에서, 헤파린은 돼지의 내장 점막에서 분리된 것을 시그마사(Sigma Co.)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4 : 메트리젤에서 암세포 침투 저해활성 측정
강력한 전이활성이 있는 유방암 세포주인 MDA-MB231 암세포가 보이든 쳄버(Boyden chamber)에서 메트리젤로 코팅된 필터(matrigel-coated filter)의 침투(invasion)를 저해하는 정도를 조사하여 시료의 암세포전이에 대한 억제활성을 조사하였다. 보이든 쳄버 트랜스웰(trans well)의 바닥 필터의 아래 부분을 유도제(chemoattractant)로서 5 ㎍의 콜라젠 1형(collagen type Ⅰ)으로 코팅하였고 반대편 위쪽에는 메트리젤 20 ㎍로 코팅하였다. 보이든 쳄버를 트랜스웰(trans well)의 아래층에는 10% 우태혈청(FBS)를 포함하는 디엠이엠(DMEM) 배지 750 ㎕를 넣고 윗 층에는 MDA-MB231 세포를 우태혈청이 없는 디엠이엠 배지에 1×106 세포수가 될 정도의 밀도로 넣어두었다. 48시간동안 배양한 후 완전히 필터를 침투해서 아래층으로 넘어가지 못한 세포들은 면봉으로 닦아 내고 아래층으로 이동한 세포들은 메탄올로 고정시키고 헤마톡실린(hematoxilin)과 에오신(eosin)으로 염색한 후, 100배의 현미경에서 무작위로 5군데의 세포수를 세어 평균을 구했다. 시료를 처리한 경우의 침투한 세포수를 대조군으로 용매를 사용한 경우의 침투 세포수를 100으로 했을 때의 상대적 비율을 %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04039113601-pat00008
A : 저해제를 넣지 않은 경우의 침투한 세포수
B : 저해제를 넣은 경우의 침투한 세포수
상제논 C는 55 μM의 농도에서 78.1%의 저해율을 보였고 상제논 G의 경우는 76.7%의 침투저해율을 보였다.
실시예 5 : 동물모델 마우스에서 암전이 저해활성 측정
상제논 C와 상제논 G 각 시료에 메탄올을 첨가하여 녹인 뒤 드라이기를 이용하여 메탄올을 증발시켰으며, 0.5% 트윈 80을 매체로 하여 제조한 뒤 사용하였다. 용매 대조군으로는 0.5% 트윈 80을 사용하였다.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배양한 후 세포를 트립신-EDTA를 이용하여 분리하였으며, 0.85% 생리식염수로 희석하여 5 ×106 cells/ml로 맞추었다. 준비된 세포 현탁액을 암컷 S.P.F C57BL/6 마우스(대한바이오링크, 16∼18 g)에 마리당 0.2 ml 씩 꼬리정맥 내로 주사하였다. 마우스는 각 군당 5 마리씩 배치하였다.
암세포를 이식한 4시간 뒤, 약물 투여를 시작하여 13 일째까지 마우스 몸무게 20 g 당 시료 용액을 0.2 ml 씩 30 mg/kg 용량이 되게 매일 복강 투여하였다. 몸무게 측정은 0, 3, 6, 9, 12, 14 일째에 실시하였다. 암세포 이식 14일 후 마우스를 부검하여 암세포가 전이된 폐를 적출 하였으며, 카메라를 이용하여 각 군별로 폐를 촬영하였다. 적출한 폐는 중성 포르말린(neutral formalin)에 담가 보관하였고, 폐에서의 암세포 군락수(pulmonary metastatic tumor colony)를 육안으로 계수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성은 Student's t-test로 검정하였다.
상제논 C와 상제논 G 각 시료 투여군은 14일간 매일 1회 복강 투여시, 용매 대조군과 같이 정상적인 체중의 증가가 관찰되어 시험기간동안 약물투여에 기인한 몸무게의 변화는 없었다.
실험 최종일(14일째)에 마우스에 대한 부검을 실시하여 용매 대조군이 평균 101.6개의 암세포 군락을 형성했을 때 상제논 C 30 mg/kg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평균 39.4개(p<0.01)의 암세포 군락을 형성하여 61.2%의 유의성 있는 생체내 전이 억제 활성을 보였다[표 4]. 상제논 G 처리시 30 mg/kg 처리한 실험군은 약 37.6 개(p<0.01)의 암세포 군락을 형성하여 64.0%의 유의성 있는 생체내 전이 억제 활성을 보였다[표 4].
상제논 C와 상제논 G의 복강투여에 의한 마우스의 폐에 형성된 흑색종 암 집락수
실험군 처리용량 (mg/kg) 폐에 형성된 흑색종 암 집락 수 평균 집락수 억제율 (%)
동물 1 동물 2 동물 3 동물 4 동물 5
대조구 0 99.0 111.0 87.0 102.0 109.0 101.6ㅁ9.53 0
상제논 C 처리군 30 37.0 42.0 40.0 41.0 37.0 39.4ㅁ2.30 61.2
상제논 G 처리군 30 35.0 40.0 39.0 38.0 36.0 37.6ㅁ2.07 64.0
실시예 6: 독성시험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하여 독성실험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상제논 C와 상제논 G를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DMSO)에 용해하고 물로 희석한 후 이를 마우스(군당 10마리)에 각각 10 g/㎏을 투여한 다음 7일간 관찰하였으나 사망하는 쥐는 없었다.
제조예 1 : 분말제의 제조
유효성분 10 g
옥수수 전분 50 g
카르복시 셀룰로오스 40 g
총 량 100 g
상기에서 나열된 성분들을 잘게 부숴 혼합하여 분말을 제조하였다. 5 번 경질 캡슐에 분말 100 ㎎을 넣어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정제의 제조
유효성분 10 g
락토스 70 g
결정성 셀룰로오스 15 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5 g
총 량 100 g
상기에서 나열된 성분들을 잘게 부숴 혼합한 후 직타법(direct tableting method)에 의해 정제를 제조하였다. 각 정제의 총량은 100 ㎎이고, 그 중 유효성분의 함량은 10 ㎎이다.
제조예 3 : 주사제의 제조
유효성분 10 ㎎
염화나트륨 600 ㎎
아스코르빈산 100 ㎎
주사용 물 적량
총량 100 ㎖
상기와 같은 조성으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이 용액을 앰플에 넣고 120 ℃ 에서 30분 동안 가열 멸균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제논 C와 상제논 G는 헤파리나제 효소활성과 메트리젤에서 암세포의 침투를 억제하고 아울러 동물모델인 마우스에서 암 전이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이를 암전이 억제제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1.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4039113601-pat00009
    [화학식 2]
    Figure 112004039113601-pat00010
  2. 삭제
  3. 1) 상백피(Mori Cortex Radicis)를 분쇄한 후 알콜 수용액을 상백피 함량대비 3∼10배를 넣어 용매 추출하는 단계;
    2) 상기 추출액을 증발 농축한 후, 농축액을 총량의 50∼100 배의 증류수로 현탁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의 유기용매로 활성물질을 추출, 농축하여 엑기스를 얻는 단계;
    3) 상기 엑기스를 실리카겔(silica gel)에 흡착한 후, 클로로포름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메탄올을 5:1로 혼합한 용매로 용출하여 활성분획을 분리하는 단계;
    4) 상기 활성분획물을 감압농축한 후 오디에스 알피 18 컬럼크로마토그래피(ODS RP-18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메탄올과 물 3:2 비율의 혼합용매에서 활성물을 용출하는 단계; 및
    5) 상기 용출액을 농축한 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레진 C18)에서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농도구배를 40:60 내지 73:27로 용출하여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백피로부터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분리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4039113601-pat00013
    [화학식 2]
    Figure 112004039113601-pat00014
KR1020040068604A 2004-08-30 2004-08-30 헤파리나제 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상제논 c와 상제논 g KR100594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604A KR100594567B1 (ko) 2004-08-30 2004-08-30 헤파리나제 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상제논 c와 상제논 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604A KR100594567B1 (ko) 2004-08-30 2004-08-30 헤파리나제 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상제논 c와 상제논 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906A KR20060019906A (ko) 2006-03-06
KR100594567B1 true KR100594567B1 (ko) 2006-06-30

Family

ID=37127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604A KR100594567B1 (ko) 2004-08-30 2004-08-30 헤파리나제 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상제논 c와 상제논 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45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60630A (zh) * 2011-12-19 2012-09-12 上海相宜本草化妆品股份有限公司 用于中药桑白皮的化妆品美白活性物初步筛选方法
CN103487547B (zh) * 2013-09-27 2015-04-29 山东省中医药研究院 一种快速鉴别桑白皮、蜜桑白皮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3718B1 (ko) * 1994-05-04 1998-07-15 김은영 항암 활성을 갖는 신규 제리쿠드라닌 이 및 제이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H11147834A (ja) 1997-11-18 1999-06-02 Noevir Co Ltd セリンプロテアーゼ阻害剤
KR20030084175A (ko) * 2002-04-25 2003-11-0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상백피로부터 얻은 헤파리나제 효소 활성 및 암전이활성을 저해하는 활성분획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3718B1 (ko) * 1994-05-04 1998-07-15 김은영 항암 활성을 갖는 신규 제리쿠드라닌 이 및 제이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H11147834A (ja) 1997-11-18 1999-06-02 Noevir Co Ltd セリンプロテアーゼ阻害剤
KR20030084175A (ko) * 2002-04-25 2003-11-0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상백피로부터 얻은 헤파리나제 효소 활성 및 암전이활성을 저해하는 활성분획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906A (ko) 2006-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Qian et al. Kaempferol reduces K63-linked polyubiquitination to inhibit nuclear factor-κB and inflammatory responses in acute lung injury in mice
KR100847889B1 (ko) 곤충유래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13074A (ko)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신규 용도 및 제조방법
CN113952378B (zh) 独一味酚苷的提取方法及防治肝纤维化药物或保健品的应用
US20060183712A1 (en) Affinity purified heparin/heparan sulfate for controlling the biological activity of the FGF receptor
US5948405A (en) Fucans with low molecular weight having anticoagulant, antithrombinic and antithromobic activity
KR100594567B1 (ko) 헤파리나제 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상제논 c와 상제논 g
Beavan et al. Renal glomerular proteoglycans. An investigation of their synthesis in vivo using a technique for fixation in situ
KR101200406B1 (ko)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을 함유하는 항응혈용 조성물
KR101200419B1 (ko)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을 함유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US20190151350A1 (en) Depolymerized holothurian glycosaminoglycan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KR100658154B1 (ko) 정향으로부터 얻은 암 전이 억제 활성분획물
KR100477896B1 (ko) 상백피로부터 얻은 헤파리나제 효소 활성 및 암전이활성을 저해하는 활성분획물
KR100543354B1 (ko) 간염억제활성을 갖는 생약재 추출물
KR101200402B1 (ko) 신규한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제조방법
KR101250391B1 (ko)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을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0675252B1 (ko) 신규 7,8-디히드로-잔테논-8-카르복실산 유도체 및 이를생산하는 신규 미생물
KR101200404B1 (ko)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을 함유하는 혈관확장반응의 기능장애로 인한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338901B1 (ko) 육두구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리그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i et al. Anticoagulant 1, 2, 3, 4, 6-pentagalloyl-β-d-glucopyranose isolated from geranium (Pelargonium inquinans Ait)
KR20010001270A (ko)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새로운 이소쿠마린 유도체
KR101200422B1 (ko)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을 함유하는 소염용 조성물
KR100482841B1 (ko) 귤피로부터 분리한 장관면역 활성화능이 있는 다당류, 그제조방법 및 그 용도
KR20040058626A (ko) 항종양활성, 간염억제활성 및 면역증강활성을 갖는미삼정생약제제 추출물
KR100543355B1 (ko) 면역증강활성을 갖는 생약 추출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