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2154B1 - 한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한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154B1
KR100592154B1 KR1020040040212A KR20040040212A KR100592154B1 KR 100592154 B1 KR100592154 B1 KR 100592154B1 KR 1020040040212 A KR1020040040212 A KR 1020040040212A KR 20040040212 A KR20040040212 A KR 20040040212A KR 100592154 B1 KR100592154 B1 KR 100592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resentative
stroke
chinese character
strokes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5386A (ko
Inventor
김상근
Original Assignee
(주)다올소프트
김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올소프트, 김상근 filed Critical (주)다올소프트
Priority to KR1020040040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154B1/ko
Publication of KR20050115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전화기 등에 주로 사용되는 '3 ×3'형식 자판에서 한자를 표현할 수 있는 획들중 대표획 9개를 형상화하여 자판에 배열하되 자판에 배열된 상태의 형상미와 사용자의 학습용이성을 고려한 대표획의 배열을 통해 한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한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자를, 한자를 표현할 수 있는 9개의 대표획(┛,∧,┗,ㅡ,·,ㅣ,
Figure 112004023936135-pat00001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02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03
)과의 대응규칙에 따라 분해하고, 분해시 이용되는 대표획의 필순으로 이루어지는 한자구성대표획열에 대응되어 출력될 한자가 다수 저장되어 있는 한자데이터베이스, 상기 대표획(┛,∧,┗,ㅡ,·,ㅣ,
Figure 112004023936135-pat00004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05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06
)에 각각 대응된 입력키를 포함하고 있는 '3 ×3'형식 자판입력부, 상기 자판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코드열을 상기 한자데이터베이스에서 대조하여 입력코드열과 동일한 한자구성대표획열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한자구성대표획열에 대응되는 한자를 억세스하는 제어부, 상기 억세스된 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발명임.
한자입력, 사방법, 대표획, 기본획

Description

한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Device for input chinese character and method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표획 및 그 범주에 속하는 유사획간의 계통도,
도 3의 (a)∼(d)는 본 발명에 따른 9개 대표획의 배열배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배열된 대표획의 한자입력시 발생빈도를 숫자의 크기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자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한자획과 대표획의 대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단말기에서 모드별 한자입력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 및 도 8의 (a)∼(c)는 도 6의 [획으로]모드 진행에 따른 출력화면예,
도 9 및 도 10의 (a)∼(d)는 도 6의 [보고쓰기]모드 진행에 따른 출력화면예,
도 11 및 도 12의 (a)∼(c)는 도 6의 [음으로]모드 진행에 따른 출력화면예,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대표획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치도,
도 14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3 ×3'자판입력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표시부, 20 -- 입력부,
30 -- 한자데이터베이스, 40 -- 제어부.
본 발명은 유무선 전화기 등에 주로 사용되는 '3 ×3'형식 자판(1부터9까지 숫자가 좌에서 우로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3 ×3"의 정방형을 이루면서 배치되고, 숫자키 [0]과 특수기능키 [*], [#] 이 보조적으로 일측에 배열된 자판)을 이용한 한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 ×3형식 자판에서 한자를 표현할 수 있는 획들중 대표획 9개를 형상화하여 자판에 배열하되 자판에 배열된 상태의 형상미와 사용자의 학습용이성을 고려한 대표획의 배열을 통해 한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한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문자의 형태가 자음·모음과 같은 자모단위로 이루어져 있는데 비해, 한자는 본디 태생이 상형문자이므로 당연히 자음과 모음으로 분리되지 않는 문 자적 특성을 갖고 있다. 한자의 이러한 특수성은 자판으로 이를 입력하고자 할 때, 당연히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자음과 모음으로 분리되어 있는 문자들은 자음요소와 모음요소를 자판에 배치하여 이를 조합해 나가면 되지만, 한자는 자음과 모음의 조합형태가 아닌 획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 획들을 기본요소로 설정하여 입력할 수밖에 없다.
그리하여, 종래 컴퓨터 등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한자 입출력방법은 한자의 해당 음을 입력한 후 변환키를 누르면 해당 음으로 불리워지는 한자가 배열되도록 하고 그 중에서 사용자가 입력하기를 희망하는 한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한자의 음을 알지 못하면 입력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한 글자 혹은 여러 글자를 일괄하여 한자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져 있어서 해당 한자의 필순을 익히면서 한자학습을 하려는 사람에게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또한, 국내특허공개 제2001-25673호에 개시된 "8진 한자 입·출력 처리법"에 의하면, 8진 기준획(
Figure 112004023936135-pat00007
)을 이용하여 한자와 한자단어를 입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기준획을 입력하기 위한 별도의 기준획코드값을 영문자에 대응하여 부여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바, 기준획입력을 위한 기준획코드를 별도로 암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기준획과 기준획코드간에 관련성이 낮아 암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특허출원 제2003-0026667호의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영어, 한자, 중국어, 히라가나, 특수문자 등 다양한 형태의 문자들을 한글 자모의 풀어치기 형태로 입력하여 보다 편 리하고 간단하게 다양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기본요소가 한글자모 20개(자음 10개, 모음 10개)로 구성되어 있어 한자를 분해할 때 분해요소의 수가 작아 고속 입력이 가능하지만 휴대폰이나 휴대단말기와 같이 하나의 키버튼에 다수의 문자가 대응되어 있는 경우에는 최적화된 효율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한자의 수효가 아무리 많아도 그 한자를 구성하는 기본획의 모양은 한정되어 있음을 감안하여, 한자로부터 ┛,∧,┗,ㅡ,·,ㅣ,
Figure 112004023936135-pat00008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09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10
형상을 대표획으로 추출하여 이를 자판에 배열한 뒤, 한자의 획에 대응하는 대표획을 조합하여 한자를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한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자입력장치는, 한자를, 한자를 표현할 수 있는 9개의 대표획(┛,∧,┗,ㅡ,·,ㅣ,
Figure 112004023936135-pat00011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12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13
)과의 대응규칙에 따라 분해하고, 분해시 이용되는 대표획의 필순으로 이루어지는 한자구성대표획열에 대응되어 출력될 한자가 다수 저장되어 있는 한자데이터베이스, 상기 대표획(┛,∧,┗,ㅡ,·,ㅣ,
Figure 112004023936135-pat00014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15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16
)에 각각 대응된 입력키를 포함하고 있는 '3 ×3'형식 자판입력 부, 상기 자판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코드열을 상기 한자데이터베이스에서 대조하여 입력코드열과 동일한 한자구성대표획열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한자구성대표획열에 대응되는 한자를 억세스하는 제어부, 상기 억세스된 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3 ×3'형식 자판입력부의 4모서리에 위치한 자판에는 해당 모서리의 형상과 대응되어 모서리가 내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대표획(┛,┗,
Figure 112004023936135-pat00017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18
)이 각각 배치되고, 중앙행에는 천지인을 뜻하는 대표획(ㅡ,·,ㅣ)이 각각 배치되며, 상부중앙에는 대표획(∧)이, 하부중앙에는 대표획(
Figure 112004023936135-pat00019
)이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 ×3'형식 자판입력부의 4모서리에 위치한 자판에는 해당 모서리의 형상과 대응되어 모서리가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대표획(
Figure 112004023936135-pat00020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21
,┗,┛)이 각각 배치되고, 중앙행에는 대표획(ㅣ,·,
Figure 112004023936135-pat00022
)이 각각 배치되며, 상부중앙에는 대표획(∧)이, 하부중앙에는 대표획(ㅡ)이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 ×3'형식 자판입력부에 모드변환을 위한 좌이동키 [◀*] 와 우이동키 [#▶] 그리고 미지문자 입력을 위한 아무개키 [0(?)]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 ×3'형식 자판입력부는 복수의 키버튼이 3행 3열의 매트릭스형태로 배열된 자판 또는 단일 버튼이 상,하,좌,우,좌상,우상,좌하,우하,전방으로 눌려짐을 감지하는 방향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자데이터베이스는 수평선 모양(一) , 수평획 끝이 들린 모양(
Figure 112004023936135-pat00023
)을 상기 대응규칙중 대표획 (ㅡ)에 대응하는 한자획으로 분류하여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자데이터베이스는 수직으로 뻗은 모양(|), 편의상 사선처럼 그은 직선모양(/)을 상기 대응규칙중 대표획(ㅣ)에 대응하는 한자획으로 분류하여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자데이터베이스는 좌로 또는 우로 짧게 찍은 점(
Figure 112004023936135-pat00024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25
), 짧은 수직선 모양(
Figure 112004023936135-pat00026
), 선 모양이지만 필기시 '점'인 모양(-), 긴 점으로 보이는 모양(
Figure 112004023936135-pat00027
), 점 2개가 좌우 대칭인 모양(
Figure 112004023936135-pat00028
)을 상기 대응규칙중 대표획(·)에 대응하는 한자획으로 분류하여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자데이터베이스는 <┘> 모양, 좌로 뻗거나 삐쳐도는 모양(
Figure 112004023936135-pat00029
), 낚싯바늘처럼 좌향으로 휘어진 모양(
Figure 112004023936135-pat00030
)을 상기 대응규칙중 대표획(┛)에 대응하는 한자획으로 분류하여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자데이터베이스는 <ㄴ> 모양, 우로 파인 모양(く), 두 획이 결합되어 대체로 <ㄴ>자를 이루는 모양(
Figure 112004023936135-pat00031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32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33
)을 상기 대응규칙중 대표획(┗) 에 대응하는 한자획으로 분류하여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자데이터베이스는 2획간의 사이가 벌어지거나 2획이 교차된 <ㅅ>모양을 상기 대응규칙중 대표획(∧)에 대응하는 한자획으로 분류하여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자데이터베이스는 'ㄱ' 모양, 획의 오른쪽 끝이 아래로 짧게 꺾인 모 양, 대체로 <ㄱ>모양을 상기 대응규칙중 대표획(
Figure 112004023936135-pat00034
)에 대응하는 한자획으로 분류하여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자데이터베이스는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35
>모양을 상기 대응규칙중 대표획(
Figure 112004023936135-pat00036
)에 대응하는 한자획으로 분류하여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자데이터베이스는 획이 한 번 꺾인 뒤 다시 꺾이거나 휜 모양(
Figure 112004023936135-pat00037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38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39
)을 상기 대응규칙중 대표획(
Figure 112004023936135-pat00040
)에 대응하는 한자획으로 분류하여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표획을 이용한 한자입력방법은, 한자를, 한자를 표현할 수 있는 9개의 대표획(┛,∧,┗,ㅡ,·,ㅣ,
Figure 112004023936135-pat00041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42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43
)과의 대응규칙에 따라 분해하고, 분해시 이용되는 대표획을 필순에 따라 배열한 한자구성대표획열과 상기 한자구성대표획열에 대응되어 출력될 한자를 다수 저장하여 한자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3 ×3'형식 자판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입력하고자하는 한자를 상기 9개의 대표획중 대응되는 대표획으로 분해하여 입력하여 입력코드열을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입력코드열을 상기 한자데이터베이스에서 대조하여 입력코드열과 동일한 한자구성대표획열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한자구성대표획열에 대응되는 한자를 억세스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표시부(10)는 LCD등과 같이 입력되는 문자 또는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이며, 입력부(20)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획(┛,∧,┗,ㅡ,·,ㅣ,
Figure 112004023936135-pat00044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45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46
)에 각각 대응된 입력키를 포함함과 아울러 방향키, 기능키 등을 포함하고 있는 수단이다. 하지만 휴대단말기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경우 입력부(20)를 표시부(10)와 일체로 구성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한자데이터베이스(30)는 한자의 구성획 가운데 선정된 9개의 대표획(┛,∧,┗,ㅡ,·,ㅣ,
Figure 112004023936135-pat00047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48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49
)과의 대응규칙에 따라 분해하고, 분해시 이용되는 대표획을 필순에 따라 배열한 한자구성대표획열과 상기 한자구성대표획열에 대응되어 출력될 한자를 다수 저장하여 구축한 것으로, 대응규칙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또한, 제어부(40)는 상기 입력부(2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코드열을 상기 한자데이터베이스(30)에서 대조하여 입력코드열과 동일한 한자구성대표획열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한자구성대표획열에 대응되는 한자를 억세스하여 표시부(10)에 디스플레이하는 작용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표획 및 대표획의 범주에 속하는 유사획간의 계통도를 나타낸다.
도 2에는 9개의 대표획과 그 대표획의 범주에 속하는 유사획들이 계통화되어 도시되어 있는 바, 기본적으로 모든 한자는 도 2의 굵은 선안에 도시된 바와 같은 9개의 대표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금씩 모양이 달리 보이기도 하지만, 형상 인식면에서 대체로 대표획의 범주에 속하는 유사획들이 대표획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계통화 되어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계통도에서 보듯 대표획에 종속된 유사획들은 생각보다 그리 수효가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한자를 구성하는 기본획들의 수효가 많지 않은 것은, 한자가 사각문자라는 데 그 이유가 있다. 글자의 모양을 네모꼴로 통일하다 보니 그 네모꼴 범위 안에서 시각적 변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떤 통일적인 기본획이 반드시 나타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처럼 기본획의 한정성을 이용하면 9개의 대표획만으로 한자의 글꼴을 조합해낼 수 있다.
다음에는 대표획의 배치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자를 입력하기 위한 자판에는 도 3의 (a)와 같이 본능적 형상인식에 의한 대표획 9개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를 자판에 배치하는데 있어 도시된 바와 같이 자획의 <형상미>를 고려하여 배열되어 있다.
9개의 대표획중 그 골격이 되는 획을 우선적으로 배치했는데,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능적인 형상인식 작용에 의해 동서남북 사방(四方)을 가리킨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마치 4거리(교차로)를 위에서 내려다본 듯한 형상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모양으로부터 각 모서리에 배치된 대표획의 위치를 쉽게 암기할 수 있다.
중앙행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모음의 제자원리에 도입되었던 천지인 3재가 적용되어 좌우 중심축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3재 가운데 '점'모양이 정중앙에 위치하고 있어, 9개 대표획의 중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상하 중심행에 배치된 2개의 대표획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에 있는 대표획을 합친 모양으로 설정하였으며, 천지인 3재도 중심에 있는 점을 좌우에 있는 수평선과 수직선의 원래 형상으로 상정하여 좌우 두 요소가 합쳐진 모양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판은 본능적 형상미를 고려하여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판위치를 숙지하기가 용이한데, 대표획을 아무리 시각적 형상미를 고려하여 멋있게 배치했다 하더라도 이 대표획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실질적인 입력효율이 낮다면, 그러한 형상미는 별가치가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각적 형상미와 함께 실질적인 입력효율도 높아야 비로소 완성도가 높은 입력방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표획별 발생빈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발생빈도의 정도를 얼른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해당 대표획의 위치에 숫자의 크기로서 발생빈도의 정도를 나타내었다. 숫자의 크기가 크면 그 만큼 그에 대응하는 자획의 발생빈도가 높음을 뜻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9개의 대표획 가운데 상단·중단 6개의 획이 한자자획 발생빈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발생빈도가 높은 자획을 상하 2단에 집중되도록 배치했기 때문에, 한자를 입력할 때 그 만큼 운지거리가 짧아지게 된다. 반면에 맨 하단의 세 요소는 발생빈도가 가장 낮은 자획들이어서 운지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위치에 놓여있다. 실제로 한자획의 대부분은 3재(ㅡ, ·, ㅣ)로 된 획으로 이루어져 있어 거의 중심 축에서 운지가 이루 어지는 형태가 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자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한자획과 대표획의 대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한자를 표현할 수 있는 대표획으로서 설정된 ┛,∧,┗,ㅡ,·,ㅣ,
Figure 112004023936135-pat00050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51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52
형상으로 한자를 분해하여 해당 한자를 쓸 때의 획순에 따라 대표획을 입력하면 제어부(40)가 입력되는 대표획 열에 대응된 입력코드열을 통해 한자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대응되는 한자를 출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기본획으로 설정된 9개의 대표획이 대체로 거의 모든 한자획과 <1:1> 대응관계를 형성하고 있지만, 일부는 그 대응관계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는 사용자가 대응규칙을 숙지하고 있다가 입력하면 된다.
첨부된 도 5에 의거하여 한자획과 대표획의 대응규칙을 설명한다.
① 대표획 <ㅡ> 에 대한 대응규칙을 설명한다.
수평선 모양(一)은 대표획 <ㅡ> 에 대응시킨다. (예: 十, 右 등의 수평선 모양 획)
또한, 수평획 끝이 들린 모양(
Figure 112004023936135-pat00053
)도 대표획 <ㅡ> 에 대응시킨다. (예: 斗의 세 번째 획)
② 대표획 <ㅣ> 에 대한 대응규칙을 설명한다.
수직으로 뻗은 모양(|)은 대표획 <ㅣ> 에 대응시킨다.(예: 于의 세 번째 획)
편의상 사선처럼 그은 직선모양(/)도 대표획 <ㅣ> 에 대응시킨다.(예: 五의 두 번째 획)
③ 대표획 <·> 에 대한 대응규칙을 설명한다.
좌로 또는 우로 짧게 찍은 점(
Figure 112004023936135-pat00054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55
)은 대표획 <·> 에 대응시킨다.(예: 主의 첫 번째 획, 삼수변
Figure 112004023936135-pat00056
의 3획)
짧은 수직선 모양(
Figure 112004023936135-pat00057
)도 대표획 <·> 에 대응시킨다.(예: 亡, 六 등의 첫 번째 획)
또한, 선 모양이지만 필기시 '점'인 모양(-)도 대표획 <·> 에 대응시킨다.(예: 次의 첫 번째, 두 번째 획)
아울러, 긴 점으로 보이는 모양(
Figure 112004023936135-pat00058
)도 대표획 <·> 에 대응시킨다.(예: 斥의 마지막 획)
마찬가지로, 점 2개가 좌우 대칭인 모양()도 대표획 <·> 에 대응시킨다.(예: 米, 半 등의 첫 번째, 두 번째 획)
④대표획 <┛> 에 대한 대응규칙을 설명한다.
<┘> 모양은 대표획 <┛> 에 대응시킨다.(예: 虛에 포함되어 있는 <┘> 모양)
또한, 좌로 뻗거나 삐쳐도는 모양(
Figure 112004023936135-pat00060
)도 <┛> 에 대응시킨다.(예: 川의 첫 번째 획)
아울러, 낚싯바늘처럼 좌향으로 휘어진 모양도 <┛> 에 대응시킨다.(예:
Figure 112004023936135-pat00061
의 3획)
⑤대표획 <┗> 에 대한 대응규칙을 설명한다.
<ㄴ> 모양은 대표획 <┗> 에 대응시킨다.(예: 七의 <ㄴ> 모양)
또한, 우로 파인 모양(く)도 대표획 <┗> 에 대응시킨다.(예: 巡의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획)
아울러, 두 획이 결합되어 대체로 <ㄴ>자를 이루는 모양도 대표획 <┗> 에 대응시킨다.(예:
Figure 112004023936135-pat00062
Figure 112004023936135-pat00063
모양, 比의
Figure 112004023936135-pat00064
모양, 水의
Figure 112004023936135-pat00065
모양)
⑥대표획 <∧> 에 대한 대응규칙을 설명한다.
2획간의 사이가 벌어지거나 2획이 교차된 <ㅅ>모양은 대표획 <∧> 에 대응시킨다.(예: 丙의 <ㅅ>모양, 交에서 사이가 벌어진 <ㅅ>모양, 元에서 아래쪽의 사이가 벌어진 <ㅅ>모양)
⑦대표획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66
> 에 대한 대응규칙을 설명한다.
<ㄱ>모양은 대표획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67
> 에 대응시킨다.(예: 口에서 두 번째 획이 이루는 <ㄱ>모양)
또한, 획의 오른쪽 끝이 아래로 짧게 꺾인 모양도 대표획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68
> 에 대응시킨다.(예: 了의 첫 번째 획이 이루는 모양)
아울러, 대체로 <ㄱ>모양도 대표획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69
> 에 대응시킨다.(예: 汽의
Figure 112004023936135-pat00070
모양)
⑧대표획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71
> 에 대한 대응규칙을 설명한다.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72
>모양은 대표획(
Figure 112004023936135-pat00073
)에 대응시킨다.(예: 仄의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74
>모양)
⑨대표획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75
> 에 대한 대응규칙을 설명한다.
획이 한 번 꺾인 뒤 다시 꺾이거나 휜 모양(
Figure 112004023936135-pat00076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77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78
)은 대표획(
Figure 112004023936135-pat00079
)에 대응시킨다.(예: 乃의
Figure 112004023936135-pat00080
모양, 卍에서 2개의
Figure 112004023936135-pat00081
모양, 弓에서
Figure 112004023936135-pat00082
모양)
이와 같은 대응규칙에 따라 대표획을 조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나무 목(木)자를 기본획 단위로 쪼개면, 4개의 기본획 <ㅡㅣ┛┗>으로 분해되는데, 분해된 각 요소는 대표획의 모양과 거의 같다. 그러므로 나무 목(木)자는 대표획으로 <ㅡㅣ┛┗>라고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같은 방법으로 물(水)자를 요소분해하면 <ㅣㄱㄴ>으로 분해되는데, 이 글자 또한 한자획과 대표획이 아주 닮은 모양을 하고 있으며, 병(丙)자는 <ㅡㅣㄱ┛┗>으로 분해할 수 있고 이 역시 대응하는 대표획으로 입력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한자입력방법을 휴대폰 및 휴대단말기(PDA)에 적용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자입력방법을 휴대폰 및 휴대단말기에 적용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것이나, 입력수단에 있어 휴대폰은 키버튼으로 이루어져 있고 휴대단말기는 터치스크린형태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과 휴대단말기는 화면이 휴대폰에 비해 크기 때문에 일시에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목록이 많을 수 있다는 점 정도이므로 이하에서는 휴대폰과 휴대단말기를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대상으로 보고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폰 또는 휴대단말기에는 [보고쓰기]모드, [획으로]모드, [음으로]모드 3가지 모드가 구비되어 있다. 바탕모드는 [획으로]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며, [획으로]에서 좌이동키 [◀*]를 누르면 [보고쓰기]모드로 변환되고, [보고쓰기]모드에서 우이동키 [#▶]를 누르면 [획으로]모드로 다시 원위치된다. 마찬가지로, [획으로]모드에서 우이동키 [#▶]를 한 번 더 누르면 [음으로]모드로 변환되고, [음으로]모드에서 좌이동키 [◀*]를 누르면 [획으로]모드로 원위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6에 의거 [보고쓰기]모드, [획으로]모드, [음으로]모드에 따라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3가지 모드중 첫 번째 모드로서 바탕모드인 [획으로]모드에 대하여 휴대폰에 적용한 예인 도 7과 휴대단말기에 적용한 예인 도 8을 참조로 설명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좌이동키 [◀*] 또는 우이동키 [#▶]를 조작하여 [획으로]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단계를 수행한다(도 7(a) 및 도 8(a)). [획으로]모드는 바탕모드이므로 한자입력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자동선택된다.
이어, 1∼9번 키버튼에 배정된 대표획을 입력하면 대표획이 더해질 때마다 그때까지 입력된 대표획에 대응되는 한자목록이 한자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어 출력된다. 이때 검색된 한자목록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범위를 넘어가는 경우에 는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건수단위로 분할하여 출력하며, 별도로 구비되는 스크롤바나 방향이동키를 사용하여 차례로 표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목적하는 한자가 나올 때까지 획을 추가해 가는 대표획 입력단계를 수행한다(도 7(b) 및 도 8(b)). 대표획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모르는 한자획에서 [0번(?)]키를 누르면 해당 자리에 아무개(?)문자 하나가 <1:1>로 대응되어, 아무개(?)문자 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의 대표획이 동일하고 아무개(?)문자 위치에는 임의의 문자가 위치하는 모든 문자가 표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는 화면상에 표출된 한자목록에서 목적하는 한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된 음영커서를 이동시켜 목적하는 한자를 선택한 후 확인키인 [OK]키를 누르는 한자선택단계를 수행한다.
그러면 선택된 한자에 관련된 사항으로서, 예컨대 선택된 한자가 네모상자에 들어감과 동시에 그 한자에 대한 뜻, 적용어휘, 급수표시까지 모두 나타나며, 화면에 입력되어 있던 대표획들은 모두 사라지는 한자보기단계를 수행한다(도 7(c) 및 도 8(c)).
상기의 [한자보기]상태에서 [OK]키를 누르면 다시 첫 번째 단계인 모드변환단계로 되돌아오며, 이 상태에서 좌이동키 [◀*] 또는 우이동키 [#▶]를 조작하게 되면 다른 모드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에는 3가지 모드중 두 번째 모드인 [보고쓰기]모드에 대하여 휴대폰에 적용한 예인 도 9와 휴대단말기에 적용한 예인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좌이동키 [◀*]를 조작하여 [보고쓰기]모드를 선택하 는 모드선택단계를 수행한다(도 9(a) 및 도 10(a)).
[보고쓰기]모드가 선택되면 예컨대 한자능력시험에 준하여 8가지 급수로 분류된 급수분류표가 디스플레이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목적하는 급수에 대응하는 숫자키를 눌러 보고 쓸 한자등급에 음영커서를 위치시킨 후 [OK]키를 눌러 보고 쓸 한자등급을 지정하는 급수지정단계를 수행한다(도 9(b) 및 도 10(b)). 이때 해당 등급에서 첫 번째 위치에 저장되어 있는 한자가 표출되며, 도시된 예에서는 8급문자 50개중 첫 번째 위치의 문자가 표출된 예를 나타낸다(도 9(c) 및 도 10(c)).
도시된 예와 같이 사용자가 <학교-교(校)>자를 보고쓰기 하려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대응규칙에 따라 대표획 [ㅡ,ㅣ,┛,┗,·,ㅡ,┛,┗,┛,┗]를 차례로 입력한다. <학교-교(校)>자를 구성하는 10개의 대표획을 정확하게 입력한 순간 예컨대 <딩동댕>하는 소리와 같이 시청각적으로 입력이 성공되었다는 표시를 출력하는 한편, 입력하는 동안 잘못된 획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띵~>소리와 같은 단발음을 출력시키면서 입력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입력에 따른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고쓰기]모드에서 우이동키 [#▶]를 조작하면 다음 차례 글자를 지정하도록 음영커서를 이동시키도록 하고, 좌이동키 [◀*]를 조작하면 앞 차례 글자를 지정하도록 음영커서를 이동시키는 등 1자 단위씩 앞뒤의 글자를 지정하도록 설정하고, 별도의 좌우상하 방향키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좌우방향키로 지정대상을 각각 10자 단위씩 증감시키도록 설정함과 아울러 상하방향키로 지정대상을 각각 100자 단위씩 증감시키도록 설정함으로써 이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3가지 모드중 세 번째 모드인 [음으로]모드에 대하여 휴대폰에 적용한 예인 도 11과 휴대단말기에 적용한 예인 도 12를 참조로 설명한다.
[음으로]모드는 바탕모드인 [획으로]모드에서 우이동키 [#▶]를 한번 눌러 이동한 후 [OK]키를 눌러 확정하도록 되어 있다(도 11(a) 및 도 12(a)). 이는 [음으로]모드로 변환된 상태에서 모드변환을 확정해 놓지 않으면 좌이동키 [◀*]와 우이동키[#▶]가 여전히 모드변환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므로 모드변환기능에서 한글자모를 생성하기 위한 결합자 기능으로 전환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숫자버튼에 배열된 한글자모와 좌이동키 [◀*]와 우이동키[#▶]를 결합시켜 숫자버튼상에 다 배열되지 못하는 한글음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음으로]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한글음 입력이 진행되면 표시창 일측에 입력중인 한글음이 디스플레이되면서 그때까지 입력되는 한글음에 속한 한자목록이 빈도순으로 나열된다. 도 11(b) 및 도 12(b)에는 일례로써 [리]자가 입력되었을 때의 표시창의 디스플레이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사용자가 <방향키>를 이동시켜 학습하고자 하는 한자를 지정하게 되는데, 예컨대 방향키를 이동시켜 [理]자를 지정하고 [OK]키를 눌러 [理]자를 확정하면 도 11(c) 및 도 12(c)와 같이 <한글음>이 <한자>로 교체되고 그 한자에 대한 정보로써 한자의 뜻 적용된 어휘, 필획 표시, 급수표시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한자보기]를 수행한 상태에서 [OK]키를 누르면 [음으로]모드 초기상태로 되돌아가게 되며, [음으로]모드 초기상태에서 좌이동키 [◀*]를 누르면 이때는 좌이동키 [◀*]가 한글음 입력을 위한 결합자가 아닌 방향이동 키로 작동하여 [획으로]모드로 전환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대표획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치도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3 ×3'형식 자판입력부의 4모서리에 위치한 자판에는 해당 모서리의 형상과 대응되게 모서리가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대표획(
Figure 112004023936135-pat00083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84
,┗,┛)이 각각 배치되어 있고, 중앙행 좌측자판과 하부행 중앙자판에는 각각의 자판위치가 사각형의 변의 위치에 해당함을 감안하여 대표획(ㅣ)과 대표획(ㅡ)이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천지인 3재중 1요소인 '점'모양을 정중앙에 위치시켜 중심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본능적인 형상인식 작용으로 근접하게 사각형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상부행 중앙자판에는 대표획(∧)이 배치되어 있는 바, 이러한 형상은 좌우대칭된 형상으로서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마치 지붕모양을 이루고 있는 형상이므로 본능적으로 상부중앙에 위치하고 있을 것으로 형상인식을 하게 되어 자판위치암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다만 중앙행 우측자판에 배치되는 대표획(
Figure 112004023936135-pat00085
)은 우측방향으로 향한 형상(>)이 2개 결합되어 있는 형태이므로 위와 마찬가지로 형상인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자판의 사용방법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3 ×3'자판입력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된 제1실시예에서는 자판입력부를 구성하는 각 키버튼이 3행 3열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자판에 관한 경우이며, 도 14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는 휴대폰 등에 구비되어 있는 바와 같은, 단일 버튼이 상,하,좌,우,좌상,우상,좌하,우하,전방으로 눌려짐을 감지하는 방향키에 도 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9개의 대표획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배치구조에서는 키버튼의 하드웨어적 구성만이 상이할 뿐 9개의 버튼요소에 9개의 대표획이 배치되어 한자를 입력하도록 하는 방법은 위와 동일한 것이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폰이나 개인휴대단말기(PDA)와 같은 유무선통신기기에서 주로 사용되는 '3 ×3'형식 자판중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배열되는 상측 '3 ×3'자판에 한자를 분해할 때 기본획으로 세분될 수 있는 9개의 대표획(┛,∧,┗,ㅡ,·,ㅣ,
Figure 112004023936135-pat00086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87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88
)을 시각적 형상미를 갖도록 배열함으로써, 자판인지가 용이하고 한자입력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한자를, 한자를 표현할 수 있는 9개의 대표획(┛,∧,┗,ㅡ,·,ㅣ,
    Figure 112004023936135-pat00089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90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91
    )과의 대응규칙에 따라 분해하고, 분해시 이용되는 대표획의 필순으로 이루어지는 한자구성대표획열에 대응되어 출력될 한자가 다수 저장되어 있는 한자데이터베이스, 상기 대표획(┛,∧,┗,ㅡ,·,ㅣ,
    Figure 112004023936135-pat00092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93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94
    )에 각각 대응된 입력키를 포함하고 있는 '3 ×3'형식 자판입력부, 상기 자판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코드열을 상기 한자데이터베이스에서 대조하여 입력코드열과 동일한 한자구성대표획열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한자구성대표획열에 대응되는 한자를 억세스하는 제어부, 상기 억세스된 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한자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 ×3'형식 자판입력부의 4모서리에 위치한 자판에는 해당 모서리의 형상과 대응되어 모서리가 내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대표획(┛,┗,
    Figure 112004023936135-pat00095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96
    )이 각각 배치되고, 중앙행에는 천지인을 뜻하는 대표획(ㅡ,·,ㅣ)이 각각 배치되며, 상부중앙에는 대표획(∧)이, 하부중앙에는 대표획(
    Figure 112004023936135-pat00097
    )이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 ×3'형식 자판입력부의 4모서리에 위치한 자판에는 해당 모서리의 형상과 대응되어 모서리가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대표획(
    Figure 112004023936135-pat00098
    ,
    Figure 112004023936135-pat00099
    , ┗,┛)이 각각 배치되고, 중앙행에는 대표획(ㅣ,·,
    Figure 112004023936135-pat00100
    )이 각각 배치되며, 상부중앙에는 대표획(∧)이, 하부중앙에는 대표획(ㅡ)이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입력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 ×3'형식 자판입력부에 모드변환을 위한 좌이동키 [◀*] 와 우이동키 [#▶] 그리고 미지문자 입력을 위한 아무개키 [0(?)]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입력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 ×3'형식 자판입력부는 복수의 키버튼이 3행 3열의 매트릭스형태로 배열된 자판 또는 단일 버튼이 상,하,좌,우,좌상,우상,좌하,우하,전방으로 눌려짐을 감지하는 방향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입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데이터베이스는 수평선 모양(一), 수평획 끝이 들린 모양(
    Figure 112004023936135-pat00101
    )을 상기 대응규칙중 대표획 (ㅡ)에 대응하는 한자획으로 분류하여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입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데이터베이스는 수직으로 뻗은 모양(|), 편의상 사선처럼 그은 직선모양(/)을 상기 대응규칙중 대표획(ㅣ)에 대응하는 한자획으로 분류하여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입력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데이터베이스는 좌로 또는 우로 짧게 찍은 점(
    Figure 112004023936135-pat00102
    ,
    Figure 112004023936135-pat00103
    ), 짧은 수직선 모양(
    Figure 112004023936135-pat00104
    ), 선 모양이지만 필기시 '점'인 모양(-), 긴 점으로 보이는 모양(
    Figure 112004023936135-pat00105
    ), 점 2개가 좌우 대칭인 모양(
    Figure 112004023936135-pat00106
    )을 상기 대응규칙중 대표획(·)에 대응하는 한자획으로 분류하여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입력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데이터베이스는 <┘> 모양, 좌로 뻗거나 삐쳐도는 모양(
    Figure 112004023936135-pat00107
    ), 낚싯바늘처럼 좌향으로 휘어진 모양(
    Figure 112004023936135-pat00108
    )을 상기 대응규칙중 대표획(┛)에 대응하는 한자획으로 분류하여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입력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데이터베이스는 <ㄴ> 모양, 우로 파인 모양(く), 두 획이 결합되어 대체로 <ㄴ>자를 이루는 모양(
    Figure 112004023936135-pat00109
    ,
    Figure 112004023936135-pat00110
    ,
    Figure 112004023936135-pat00111
    )을 상기 대응규칙중 대표획(┗) 에 대응하는 한자획으로 분류하여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입력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데이터베이스는 2획간의 사이가 벌어지거나 2획이 교차된 <ㅅ>모양을 상기 대응규칙중 대표획(∧)에 대응하는 한자획으로 분류하여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입력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데이터베이스는 'ㄱ' 모양, 획의 오른쪽 끝이 아래로 짧게 꺾인 모양, 대체로 <ㄱ>모양을 상기 대응규칙중 대표획(
    Figure 112004023936135-pat00112
    )에 대응하는 한자획으로 분류하여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입력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데이터베이스는 <
    Figure 112004023936135-pat00113
    >모양을 상기 대응규칙중 대표획(
    Figure 112004023936135-pat00114
    )에 대응하는 한자획으로 분류하여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입력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데이터베이스는 획이 한 번 꺾인 뒤 다시 꺾이거나 휜 모양(
    Figure 112004023936135-pat00115
    ,
    Figure 112004023936135-pat00116
    ,
    Figure 112004023936135-pat00117
    )을 상기 대응규칙중 대표획(
    Figure 112004023936135-pat00118
    )에 대응하는 한자획으로 분류하여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입력장치.
  15. 한자를, 한자를 표현할 수 있는 9개의 대표획(┛,∧,┗,ㅡ,·,ㅣ,
    Figure 112004023936135-pat00119
    ,
    Figure 112004023936135-pat00120
    ,
    Figure 112004023936135-pat00121
    )과의 대응규칙에 따라 분해하고, 분해시 이용되는 대표획을 필순에 따라 배열한 한자구성대표획열과 상기 한자구성대표획열에 대응되어 출력될 한자를 다수 저장하여 한자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3 ×3형식 자판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입력하고자하는 한자를 상기 9개의 대표획중 대응되는 대표획으로 분해하여 입력하여 입력코드열을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입력코드열을 상기 한자데이터베이스에서 대조하 여 입력코드열과 동일한 한자구성대표획열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한자구성대표획열에 대응되는 한자를 억세스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한자입력방법.
KR1020040040212A 2004-06-03 2004-06-03 한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592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212A KR100592154B1 (ko) 2004-06-03 2004-06-03 한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212A KR100592154B1 (ko) 2004-06-03 2004-06-03 한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386A KR20050115386A (ko) 2005-12-07
KR100592154B1 true KR100592154B1 (ko) 2006-06-23

Family

ID=37289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212A KR100592154B1 (ko) 2004-06-03 2004-06-03 한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1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444B1 (ko) * 2005-12-15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
KR20100061058A (ko) * 2008-11-28 2010-06-07 제이씨현시스템주식회사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872879B1 (ko) * 2017-09-18 2018-07-3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자 입력용 키보드
KR20190094777A (ko) * 2018-02-06 2019-08-14 김태균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
CN110097801A (zh) * 2019-03-29 2019-08-06 金华市花儿教育咨询有限公司 一种笔画练习和纠错的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584A (ko) * 2003-08-28 2005-03-10 최홍규 한자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584A (ko) * 2003-08-28 2005-03-10 최홍규 한자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386A (ko)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7566B2 (en) Sequential two-key system to input keyboard characters and many alphabets on small keypads
CN108227947B (zh) 正方形键盘及基于该正方形键盘的输入法
JP3220122B2 (ja) 漢字符号化の入力方法及びその入力装置
KR100592154B1 (ko) 한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1319948B1 (ko)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CN104598045B (zh) 五宫格输入法
KR100628187B1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989836B1 (ko) 문자열 예측 입력방법 및 그 방법이 구현되는 전자장치
KR20100135340A (ko) 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한 중국어 및 한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US20050088415A1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device
US8669888B2 (en) Hangeul input keypad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0702483B1 (ko) 한자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130069517A (ko)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JP2011522492A (ja) 中国語教育に適した漢字の入力方法
KR20100086975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0679421B1 (ko) 한글 입력용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0750634B1 (ko) 한자 입출력 장치
CN110806835A (zh) 一种用于触摸屏的英文和拼音拼形输入键盘
KR101445061B1 (ko)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
KR100669227B1 (ko) 3×4 키패드를 갖는 제품을 위한 한글문자 입력장치
CN102193647A (zh) 形状码及触摸屏的区位汉字输入法
KR20050087583A (ko) 한글 획을 이용한 한자입력장치와 방법 그리고 그를이용한 한자학습방법
KR20060000389A (ko) 스마트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JP6924752B2 (ja) 端末機のタッチスクリーンを用いた漢字と数字の入力キーボード及びその入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