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777A -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777A
KR20190094777A KR1020180014329A KR20180014329A KR20190094777A KR 20190094777 A KR20190094777 A KR 20190094777A KR 1020180014329 A KR1020180014329 A KR 1020180014329A KR 20180014329 A KR20180014329 A KR 20180014329A KR 20190094777 A KR20190094777 A KR 20190094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idiom
kanji
address
chine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균
김성은
Original Assignee
김태균
김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균, 김성은 filed Critical 김태균
Priority to KR1020180014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4777A/ko
Priority to PCT/KR2019/000734 priority patent/WO2019156386A1/ko
Publication of KR20190094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자를 필순의 첫 획 형상의 유사성에 따라 10개 이내의 그룹으로 분류한 상태에서 각 그룹을 대표하는 대표획의 연속적인 입력에 의해 해당 대표획을 첫 획으로 하는 복수의 한자로 이루어진 주소나 관용어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도록 한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키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자를 분해하여 얻어진 1획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위획 및 2획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부호를 정의하되, 상기 단위획과 상기 부호가 키보드의 자판에 직접 표시되는 현시 문자구성요소와 키보드의 자판에 직접 표시되지 않는 비현시 문자구성요소로 구분된 상태에서 상기 단위획이나 상기 부호의 조합 또는 상기 부호의 조합에 의해 정보통신기기에서 한자 주소/관용어를 생성하는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에 있어서, 한자를 필순의 첫 획 형상의 유사성에 따른 복수의 대표획을 사용하여 그룹지어 분류한 대표획 한자 분류표 및 조합 가능한 한자 주소나 관용어가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구비된 상태에서, 한자의 대표획을 순차적으로 입력받는 (a) 단계 및 상기 (a) 단계에서 입력된 대표획을 필순상의 첫 획으로 하는 한자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완성된 한자 주소나 관용어를 생성하는 (b)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키보드는 적어도 영문 알파벳에 관해서는 쿼티(QWERTY) 자판 배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한자 모드와 영어 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전환키를 구비하고, 상기 대표획은 상기 키보드 자판의 3열의 가운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표획은 「一」,「┐」,「|」,「
Figure pat00011
」,「`」로 이루어지되, 영문 알파벳 f, g, h, j, 및 k 키의 하층에 임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자 주소나 관용어의 첫 번째 한자는 완성된 한자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자 주소나 관용어의 첫 번째 한자의 입력 후에 그 입력 사실을 알리는 터미네이터 작업이 요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method for generating adress/idiom in Chinese character}
본 발명은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키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자를 필순의 첫 획 형상의 유사성에 따라 10개 이내의 그룹으로 분류한 상태에서 각 그룹을 대표하는 대표획의 연속적인 입력에 의해 해당 대표획을 첫 획으로 하는 복수의 한자로 이루어진 주소나 관용어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도록 한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키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한자는 중국, 일본 및 대만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문자로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만 하더라도 대략 3,000자 내지 6,000자 정도의 개별 문자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한자는 크게 고대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번자체와 이러한 번자체를 현대적으로 간략하게 변형하여 쓰기 쉽게 만든 간자체로 구분될 수 있다. 번자체는 현재 대만과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고, 간자체는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일본에서는 일부 문자에 대해 번자체 및 간자체와는 달리 자체적으로 변형한 한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소학생용 규범 자전에서 각 부의 대표로 색인에 나와 있는 자형(字形)인 부수는 대략 230여자인데, 이러한 부수는 한자를 자형 구성면에서 정리, 분류 및 배열하기 위한 본말(本末)의 한 가지 방법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부수는 한자를 단자(單字)마다 좌우, 상하, 내외, 본말 또는 주종(主從) 등으로 구분하여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그 중에서 의부(意符 또는 義符: 대략의 意義 분류를 나타내는 부분)를 같이 하는 것을 모아 한 부로 만들고, 그 부에 공통되는 의부가 있는 형태를 색인에 내어 부수로 삼는다. 부수는 단자로된 것도 있으나, 상용되지 않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자의 수가 많기 때문에 컴퓨터상에서 한자를 입력하고 처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이에 따라 수십 년 동안 집중적으로 연구되었을 뿐만 아니라 수 백 가지 다양한 방법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한자의 컴퓨터 입력 및 처리, 특히 텍스트 처리는 한자 문화권에서 컴퓨터를 편리하게 이용함에 있어서 커다란 장애가 되고 있다.
오늘날 한자를 입력하고 처리하는데 이용 가능한 컴퓨터 방법은 대략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정방형 문자를 기본적인 화상 성분으로 분해하는 방법에 기초한다. 키보드 상의 각종 키는 중국어 문자의 각종 기본적인 화상 성분을 나타내도록 할당되어 있다. 그 다음에, 각 개별 문자는 이들 기본적인 화상 성분의 조합으로서 몇 번의 키 스트로크(key strokes)에 의해 키 입력될 수 있다.
이 방법의 일예로서, 대만의 창지(Changji) 및 중국 본토의 오키 입력(Five-Stroke)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의 큰 단점은 키를 중국어 문자 성분에 할당하는 것이 인위적이라는 점이다. 창지 및 오키 입력 방법에서는, 코드의 할당을 기계적으로 암기해야 하는데, 이 일이 어려울 뿐 아니라 매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들 방법은 직업적인 입력 오퍼레이터 내지는 잘 훈련된 타이피스트에 의할 경우에는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지만, 보통 사람은 물론 컴퓨터 전문가 및 다른 직업 종사자에 의해서도 많이 이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두 번째 방법은 직업적인 타이피스트를 제외한 모든 사람에 대해 가장 흔히 이용되는 것으로서, 영어 알파벳을 사용한 음성 입력(예를 들면, 중국 본토에 있어서 핀인(Pinyin) 및 대만에 있어서 '음성 부호' 또는 BPMF) 방법이다. 이 방법에 따르면, 수많은 한자의 개별 문자와는 대조적으로 단지 대략 수백 개의 상이한 음성 음절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한 음성 음절이 복수의 상이한 중국어 문자에 대응, 예를 들어 북경 관어에서 'yi'의 발음은 100개 이상의 중국어 문자에 대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음성 음절을 중국어 문자로 번역하는 경우 모호함이 발생한다. 이러한 '동음이의어 문제점'에 대처하기 위해, 음성 입력 시스템의 대부분은 복수 선택 방법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임의의 음성 음절에 해당하는 영문 알파벳이 키 입력 된 후, 컴퓨터는 같은 발음을 갖는 모든 가능한 중국어 문자를 디스플레이 하는데, 해당 문자수가 많은 경우에는 모든 가능한 문자를 디스플레이할 충분한 공간이 스크린 상에 존재하지 않아서 스크롤 업과 스크롤 다운(scrolling up and down)까지 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통한 중국어 문자 입력의 속도가 매우 느릴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모든 중국어 문자를 적절하게 분해하여 1획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기본획과 2획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부호로 분류한 상태에서 이들 기본획과 부호의 1개 이상 조합에 의해 정보통신기기에서 중국어 문자가 생성되도록 하되,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들 기본획이나 부호를 자판상에 표시되는 현시 문자구성요소와 해당 키 버튼의 입력시에 비로소 모니터 상에 표시되는 비현시 문자구성요소로 구분한 중국에 문자 생성 방법을 제안하여 등록번호 10-1018820 및 10-1018821호(이하 '선행기술 2' 라 한다)로 특허받은 상태이다.
한편, 한자 문화권에서는 주로 한자를 사용하여 주소를 표시하고 있는바, 하위 지번까지를 포함하면 많게는 20자 정도의 한자가 주소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길찾기 앱이나 네비게이션 앱 또는 기기(이하 '길찾기 앱' 으로 통칭한다) 등에서 길 찾기 용도로 주소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한 바, 이 과정이 너무 복잡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실례로 중국에서 길찾기 앱을 통해 가고자 하는 주소를 입력함에 있어서는 영어 발음에 기초한 병음 입력을 통한 주소 입력 방식,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방식 또는 맵 상에서 가고자 하는 지점을 대략적으로 선택한 후 목적지 근처에서 다시 정밀하게 입력하는 방식 등이 주로 사용된다. 이중에서 첫 번째 및 세 번째 방식의 경우 조작의 불편함은 물론이고 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문제점이 있고, 두 번째 방식의 경우 극소수의 유명 장소를 제외하고는 해당 목적지의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아서 이용률이 낮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스마트 폰, SNS 및 IPTV 등에서의 문자 입력에는 정형화된 표현이나 오래전부터 통용된 관용어를 사용한 실시간성이 요구되는데, 영어 병음 입력 방식에 의해서는 실시간적인 즉문즉답이나 수다 떨기 등의 행위가 어려워서 사용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의 경우에도 길찾기 앱을 통해 원하는 목적지까지 가기 위해서는 통상 전화번호 입력 방식이나 목적지에 대한 지도상의 코드, 예를 들어 GPS 상의 경도 및 위도와 같은 지리 좌표나 구글 맵에서 제공하는 맵코드 등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방식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첫 번째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이외에 한 번 입력한 정보를 저장해 두었다가 다시 활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두 번째 방식의 경우에도 지리 좌표나 맵코드가 대략 수십 m 내지 수백 m의 넓은 범위를 커버하기 때문에 일단 목적지 근처까지 이동하여 다시 세밀하게 원하는 주소를 재설정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선행기술 2에서 각 한자를 구성하는 문자구성요소 중에서 필순 상 가장 먼저 나오는 부호인 '두부호' 를 사용하여 2개 이상의 한자로 이루어진 관용어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2개의 한자로 이루어진 관용어의 경우, 첫 번째 한자는 전체 문자구성요소를 전부 입력하도록 하고 두 번째 한자만을 두부호로 입력하면 문자가 생성되도록 하는 반면에 3개 이상의 한자로 이루어진 관용어의 경우 모든 한자를 두부호로 입력하여 문자가 생성되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 2에 따르면, 비록 두부호 입력에 의해 키조작 횟수가 대폭 감소되었다 하더라도 두부호의 개수 자체가 수백 개에 이를 정도로 많을 뿐 아니라 현시 문자구성요소 및 비현시 문자구성요소로 분산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에 불편함이 따를 뿐 아니라 키 입력 속도가 여전히 느리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 1: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018820호(발명의 명칭: 중국어 문자 생성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키입력 장치) 선행기술 2: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018821호(발명의 명칭: 중국어 문자 생성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키입력 장치)
본 발명은 전술한 선행기술 2를 개량한 발명으로서, 한자를 필순의 첫 획 형상의 유사성에 따라 10개 이내의 그룹으로 분류한 상태에서 각 그룹을 대표하는 대표획의 연속적인 입력에 의해 해당 대표획을 첫 획으로 하는 복수의 한자로 이루어진 주소나 관용어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도록 한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키입력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자를 분해하여 얻어진 1획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위획 및 2획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부호를 정의하되, 상기 단위획과 상기 부호가 키보드의 자판에 직접 표시되는 현시 문자구성요소와 키보드의 자판에 직접 표시되지 않는 비현시 문자구성요소로 구분된 상태에서 상기 단위획이나 상기 부호의 조합 또는 상기 부호의 조합에 의해 정보통신기기에서 한자 주소/관용어를 생성하는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에 있어서, 한자를 필순의 첫 획 형상의 유사성에 따른 복수의 대표획을 사용하여 그룹지어 분류한 대표획 한자 분류표 및 조합 가능한 한자 주소나 관용어가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구비된 상태에서, 한자의 대표획을 순차적으로 입력받는 (a) 단계 및 상기 (a) 단계에서 입력된 대표획을 필순상의 첫 획으로 하는 한자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완성된 한자 주소나 관용어를 생성하는 (b)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키보드는 적어도 영문 알파벳에 관해서는 쿼티(QWERTY) 자판 배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한자 모드와 영어 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전환키를 구비하고, 상기 대표획은 상기 키보드 자판의 3열의 가운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표획은 「一」,「┐」,「|」,「
Figure pat00001
」,「`」로 이루어지되, 영문 알파벳 f, g, h, j, 및 k 키의 하층에 임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자 주소나 관용어의 첫 번째 한자는 완성된 한자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자 주소나 관용어의 첫 번째 한자의 입력 후에 그 입력 사실을 알리는 터미네이터 작업이 요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한자로 이루어진 주소나 관용어를 키보드의 가장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배치된 5개 정도의 대표획을 사용하여 매우 빠른 속도로 쉽게 입력하여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한자를 사용하여 주소를 표시하는 한자 문화권, 예를 들어 중국, 일본 및 대만의 길찾기 앱 및 즉문즉답과 같이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SNS 앱 등에 채택될 경우 그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관련된 물류 산업 등의 발전을 더욱 가속화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복수의 대표획 각각에 속하는 한자의 단위 획과 부호를 보인 대표획 분류표.
도 2는 본 발명의 일본어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에서 사용되는 현시문자구성요소의 자판 배열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본어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에서 사용되는 비현시 문자구성요소와 다빈도문자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표.
도 4는 본 발명의 일본어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에 의해 임의의 일본어 주소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표.
도 5는 본 발명의 중국어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에서 사용되는 현시문자구성요소의 자판 배열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
도 6은 본 발명의 중국어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에서 사용되는 비현시 문자구성요소와 다빈도문자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표.
도 7은 본 발명의 중국어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에 의해 임의의 중국어 주소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표.
도 8은 본 발명의 중국어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에 의해 임의의 중국어 관용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표.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키입력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정의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획'이라 함은 한자에서 필기구로 한 번 그은 줄이나 점을 세는 단위를 말한다. '단위획'과 '부호'라 함은 각각 개별 한자를 적절하게 분해, 예를 들어 형태상 또는 의미상의 공통 요소로 분해하여 얻어진, 한자 생성을 위한 문자구성요소로서 1획 및 2획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이러한 단위획과 부호의 각각에는 고유의 키코드값, 예를 들어 2바이트의 코드 체계를 갖고 있는 유니코드 값이나 해당 한자를 사용하는 국가 등에서 자체적으로 제정한 고유의 키코드 값이 부여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법을 채택한 정보통신 기기는 상기한 단위획이나 부호의 키코드를 획순에 따라 조합하여 해당하는 한자를 생성하는 한자 생성 규칙 테이블을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즉, 모든 한자는 상기한 단위획이나 부호의 조합으로 표현되고 생성될 수 있을 것이고, 이를 위해 필요한 경우 각 한자별 생성 규칙이 담긴 데이터베이스가 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키 버튼'이라 함은 키보드 상에 배치되어 눌려졌을 때 해당 키코드 값을 생성하는 키 입력 수단을 일컫는바, 이러한 키보드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각 '키 버튼'에는 1개의 키가 단층 배치되거나 2개 이상의 키가 복층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각각의 단위획과 부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정의에 따라 당연히 기존에 분류 및 정의된 부수들과 중첩되는 것이 많을 것이다. 나아가 그 자체로 완성된 한자를 구성하는 것도 있을 것인바, 단위획 또는 부호가 완성된 개별 한자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해당 한자에 대해 기존에 부여되어 있는 키코드 값이 그대로 부여되거나 아니면 처리나 취급의 편의를 위해 다른 키코드 값이 부여된 상태에서 한자로서 완성되는 경우, 예를 들어 후술하는 터미네이터 신호, 즉 개개의 단위 문자 완성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비로소 한자의 기존의 해당 키코드 값으로 변환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관용어'라 함은 2자 이상의 한자로 이루어져서 통상적으로 함께 취급되는 단어, 숙어 또는 관용어를 일컫는다.
한편, '현시 문자구성요소'는 키보드의 각 키 버튼에 보이도록 배치된 단위획이나 부호들을 말하고, '비현시 문자구성요소'는 키보드의 특정 키, 예를 들어 기능키(후술) 등에 대응된 상태에서 해당 기능키가 눌려지는 경우에 비로소 해당 대응이 활성화되거나 이에 더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단위획이나 부호로 이루어진 문자구성요소를 말한다.
'다빈도문자'라 함은 위에서 한자 중에서 상대적으로 사용 빈도수가 높은 순서로 선정된, 한정된 개수의 완성된 한자를 일컫는바, 여기에는 我,
Figure pat00002
, 的,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관용어' 키라 함은 관용어 입력의 시작이나 끝을 알리기 위해 사용되는 키를 일컫는다.
'대표획' 이라 함은 한자를 필순의 첫 획 형상의 유사성에 따라 10개 이내의 그룹, 바람직하게는 5개 내외의 그룹으로 분류할 때 각 그룹을 대표하는 획을 일컫는바, '획' 으로 정의되었기에 당연히 1획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정보통신기기'라 함은 중앙처리장치(CPU)에 의한 정보의 처리나 통신을 수행하는 각종 장치,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또는 랩톱이나 팜톱과 같은 각종 퍼스널 컴퓨터(PC), 스마트폰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앱) 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는 각종 스마트 단말기, 네비게이션 기기, 휴대인터넷 단말기, 전자수첩이나 전자사전, IPTV,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기, 금전 등록기와 전자계산기 및 리모트 컨트롤러 등을 일컫는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복수의 대표획 각각에 속하는 한자의 단위 획과 부호를 보인 대표획 분류표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총 5개의 대표획, 예를 들어, 「一」,「┐」,「|」, 「
Figure pat00005
」,「`」에 각각 이들과 유사한 형상의 획을 필순 상의 첫 획으로 갖는 복수의 단위 획이나 부호들이 그룹을 이루고 있는바, 실제 한자 부수에는 「┐」가 없는 대신에 '乙'이 존재하나 형상의 대표성, 즉 사용자가 형상에 의해 보다 손쉽게 대표획을 알 수 있도록 「┐」를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모든 한자를 이러한 5개의 대표획으로 분류할 수 있는바, 사용자가 이러한 임의의 대표획을 연속하여 복수 입력하면 이를 필순 상의 첫 획으로 하는 한자들로 이루어진 주소나 관용어가 주소/관용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되어 표시될 것이고, 결과적으로 주소나 관용어의 한자수가 많아지는 어느 시점, 예를 들어 한자 기준으로 3~4개 입력 시점에서는 최종적으로 대략 1개의 주소나 관용어가 추출되어 표시될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 길찾기 앱이나 이를 탑재한 정보통신기기에는 대표획 한자 분류표 및 조합 가능한 주소나 관용어 등이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사용자의 착오나 혼동으로 인한 첫 획의 오입력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해 하나의 한자가 서로 다른 두 대표획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본어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에서 사용되는 현시문자구성요소의 자판 배열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키보드는 범용의 문서를 작성하는 것이 아닌 길찾기 용이나 SNS 등 특수한 용도의 문자 입력에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노트북 PC용 키보드를 약간 단순화시킨 행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크게 영어 알파벳을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알파벳키 그룹, 기호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기호키 그룹, 숫자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숫자키 그룹, 주소나 관용어를 편집하는데 사용되는 편집키 그룹 및 복수의 기능키로 이루어진 기능키 그룹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호환성 등을 위해 일반적인 영문 노트북 PC용 키보드를 그대로 채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구성에서, 알파벳키 그룹에는 알파벳 A∼Z까지의 26개의 문자키가 포함되는바, 이러한 알파벳키 그룹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QWERTY 자판 배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숫자키 그룹에는 1∼0까지의 10개의 숫자키가 포함될 수 있는바, 종래와 마찬가지로 문서작성키 그룹 바로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기호키 그룹에는 「-」, 「=」, 「\」, 「.」, 「,」, 「:」, 「"」, 「<」, 「>」및 「?」등의 기호키가 포함될 수 있는데, 보편적인 배열 방식을 따라 알파벳키 그룹 및 숫자키 그룹과 어울려서 배치될 수 있다.
기능키 그룹은 F1 내지 F12 키 및 「Esc」 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보편적인 배열 방식을 따라 숫자키 그룹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편집키 그룹에는 「Enter」, 「Shift」, 「Space」, 「<--」(백 스페이스), 「Alt」, 「CTRL」, 「Caps Lock」및 「Tap」 키와 같은 종래와 동일 기능의 키 이외에 본 발명 전용의 「慣用語」(관용어) 및 일본어 모드와 영어 모드 사이에서 모드전환을 수행하는 「日/英」(일/영 전환)키 등이 포함될 수 있는바, 이들 역시 보편적인 배열 방식을 따라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한자 주소 및 관용어 입력에 사용되는 현시 문자구성요소는 전술한 5개의 대표획 및 자주 사용되는 부호가 알파벳키 그룹 및 일부 기호키 그룹에 배치, 바람직하게는 복층 배치될 수 있는데, 현시문자구성요소를 이루는 부호의 개수나 종류 및 그 배열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대표획은 복수의 한자로 이루어진 주소나 관용어의 첫 번째 한자 전체를 생성하거나 두 번째 이후 한자의 첫 획을 입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나머지 부호는 복수의 한자로 이루어진 주소나 관용어의 첫 번째 한자 전체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더욱이 대표획의 경우에는 매우 자주 사용되기 때문에 양손 엄지로 입력하기가 가장 용이한 위치, 즉 키보드의 아래로부터 3열의 가운데 5개 버튼의 우측 하층에 배치함으로써 한 손(단독)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신속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본어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에서 사용되는 비현시 문자구성요소와 다빈도문자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표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현시 문자구성요소를 이루는 단위 획은 1획 세트에 이열 배치되고, 부호는 2획 내지 10획(10획은 10획과 그 이상의 모든 부호를 포함함)의 획수로 구분되는데, 2획부터 10획까지 각 획당 24개씩의 부호가 해당 부호의 획수와 동일한 번호를 갖는 획세트에 12개를 일렬로 하여 이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획세트는 F1부터 F10까지의 기능키에 일대일로 대응, 즉 해당 번호의 기능키를 누르면 해당 획세트가 활성화(디스플레이)되게 된다. 이 경우에 F11 기능키(F12까지도 가능함)에는 SNS 등에서 자주 사용하는 다빈도문자, 예를 들어 我,
Figure pat00006
, 的,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임의의 기능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비현시 문자구성요소의 임의의 획세트가 활성화(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1열 및 2열에 배치된 단위획이나 부호의 선택은 각각 해당 번호나 기호를 기준 시간 이내에서 빠르게 1회 및 2회(또는 그 반대) 누르는 것(기준 시간 경과시 자동으로 비현시 문자 입력 모드가 해제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에 택일적으로 1열에 배치된 단위획이나 부호는 해당 숫자키 등이 단독으로 눌려지는 것에 의해 선택되고, 2열의 단위획이나 부호는 시프트(Shift)키와 해당 숫자키가 동시에 눌려지는 것에 의해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래의 표 1은 선행기술 및 본 발명에 따른 개별 한자 생성 방법을 예시적으로 보인 표이다.
Figure pat00009
위의 표 1의 생성 규칙은 본 발명에 따른 대표획이나 단위 획 및 부호의 필순에 의한 조합(→)을 표시하고 있고, 대응 영문 키보드 입력은 생성 규칙에 대응하는 영문 키보드 입력을 나타내는바, 예를 들어 F5 및 F3 등은 기능키 입력을 나타내고, 그 다음의 숫자나 기호는 해당 열에 배치된 단위 획이나 부호의 입력을 나타내며, sh+는 시프트키와 다음의 키를 동시에 눌러야 함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본어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에 의해 임의의 일본어 주소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표이다. 도 4에서 F5는 일본어 주소의 선두 한자인 '東' 이 포함된 5획 세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기능키를 나타내고, 다음의 '%' 는 '東' 자가 배치된 열의 대응 키를 나타낸다. 그리고 '東' 자 이후의 일본어 한자 주소는 모두 도 4의 생성 규칙에 나타낸 대표획 키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것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바, 우측의 알파벳 소문자는 해당 대표획이 배치된 알파벳키를 나타낸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다음 일본어 한자 주소의 선두 한자인 '大' 는 키보드의 알파벳 'h' 키의 우측 상층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시프트키와 'h' 키를 동시에 눌러야 하고, 다음의 일본어 한자 주소는 모두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 4의 생성 규칙에 나타낸 대표획 키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것에 의해 신속하게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표획을 키보드의 가장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현시 문자구성요소로 배치한 상태에서 일본어 한자 주소의 각 한자의 첫 획에 대응되는 대표획 키를 순차적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원하는 일본어 한자 주소가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길찾기 앱이나 네비게이션 기기에서 원하는 목적지를 신속하게 입력(생성)할 수가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주소/관용어 데이터베이스에서의 목적지 탐색을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하기 위해 일본어 한자 주소의 첫 번째 한자를 대표획이 아니라 완성된 한자로 입력하도록 하고 있는바, 이 역시도 대표획으로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중국어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에서 사용되는 현시문자구성요소의 자판 배열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중국어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에서 사용되는 비현시 문자구성요소와 다빈도문자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표인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과 비교할 때 일부 한자 부호가 간자체로 표현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중국어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에 의해 임의의 중국어 주소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표인바, 도 4에서의 설명과 동일한 방식으로 중국어 한자 주소를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도 7에서 'F3(' 는 중국어 문자 주소의 첫 번째 한자인 '北' 의 좌측 변인 'ㅕ' 을 생성하기 위한 키입력이고, 'F2 5' 는 그 우측 방인 '匕' 를 생성하기 위한 키 입력이다.
다음으로, 'sh+p' 는 중국어 주소 한자 '上' 의 '卜' 에 해당하는 키입력이고, 'g' 는 '一' 에 해당하는 키입력인바, 이후의 한자들을 모두 그 필순 상의 첫 획에 상응하는 대표획키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것에 의해 목적지까지의 중국어 주소를 신속하게 입력(생성)할 수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중국어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에 의해 임의의 중국어 관용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표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국어 관용어 역시 도 7에 도시한 중국어 주소 입력 생성 방법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중국어 관용어의 첫 번째 한자를 전체 문자구성요소를 모두 구비한 완성된 한자로 입력하고 이후의 한자들을 모두 그 필순 상의 첫 획에 상응하는 대표획키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관용어를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입력(생성)할 수가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중국어 한자 관용어의 모든 한자를 대표획만을 사용하여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5의 키보드의 배열과 키의 개수, 여기에 배치되는 현시 문자구성요소의 개수와 배치 관계, 비현시 문자구성요소의 개수와 배치 관계 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시에는 미리 해당하는 키, 예를 들어 관용어 키를 눌러서 이후 입력되는 한자가 관용어의 첫 번째 완성된 한자임을 알릴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별개로 한자 주소/관용어를 생성함에 있어서 완성된 한자 뒤에 임의의 터미네이터 작업을 수행. 예를 들어 기준 시간 이상의 기다림(키 무조작)이나 엔터(enter)키를 입력하여 해당 한자 주소/관용어의 첫 번째 한자의 입력이 종료되었음을 알릴 수도 있을 것이다.

Claims (6)

  1. 한자를 분해하여 얻어진 1획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위획 및 2획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부호를 정의하되, 상기 단위획과 상기 부호가 키보드의 자판에 직접 표시되는 현시 문자구성요소와 키보드의 자판에 직접 표시되지 않는 비현시 문자구성요소로 구분된 상태에서 상기 단위획이나 상기 부호의 조합 또는 상기 부호의 조합에 의해 정보통신기기에서 한자 주소/관용어를 생성하는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에 있어서,
    한자를 필순의 첫 획 형상의 유사성에 따른 복수의 대표획을 사용하여 그룹지어 분류한 대표획 한자 분류표 및 조합 가능한 한자 주소나 관용어가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구비된 상태에서,
    한자의 대표획을 순차적으로 입력받는 (a) 단계 및
    상기 (a) 단계에서 입력된 대표획을 필순상의 첫 획으로 하는 한자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완성된 한자 주소나 관용어를 생성하는 (b)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는 적어도 영문 알파벳에 관해서는 쿼티(QWERTY) 자판 배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한자 모드와 영어 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전환키를 구비하고,
    상기 대표획은 상기 키보드 자판의 3열의 가운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대표획은 「一」,「┐」,「|」,「
    Figure pat00010
    」,「`」로 이루어지되, 영문 알파벳 f, g, h, j, 및 k 키의 하층에 임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자 주소나 관용어의 첫 번째 한자는 완성된 한자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자 주소나 관용어의 첫 번째 한자의 입력 후에 그 입력 사실을 알리는 터미네이터 작업이 요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
  6. 청구항 1 내지 5의 방법에 의해 구현되는 정보통신기기의 키 입력 장치.
KR1020180014329A 2018-02-06 2018-02-06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 KR20190094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329A KR20190094777A (ko) 2018-02-06 2018-02-06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
PCT/KR2019/000734 WO2019156386A1 (ko) 2018-02-06 2019-01-18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329A KR20190094777A (ko) 2018-02-06 2018-02-06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777A true KR20190094777A (ko) 2019-08-14

Family

ID=67548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329A KR20190094777A (ko) 2018-02-06 2018-02-06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94777A (ko)
WO (1) WO201915638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18821A (zh) 2004-09-13 2007-08-15 西巴特殊化学品控股有限公司 聚烯烃制品
CN101018820A (zh) 2004-07-15 2007-08-15 纳幕尔杜邦公司 含有乙烯共聚物和聚烯烃的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154B1 (ko) * 2004-06-03 2006-06-23 (주)다올소프트 한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750634B1 (ko) * 2005-02-21 2007-08-20 (주)다올소프트 한자 입출력 장치
KR101018821B1 (ko) * 2009-11-10 2011-03-04 김태균 중국어 문자 생성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키입력 장치
US20170102779A1 (en) * 2014-03-25 2017-04-13 In Ki Park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 search method using same
KR20160148928A (ko) * 2015-06-17 2016-12-27 김진호 성조를 포함하는 중국어 문자 표기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18820A (zh) 2004-07-15 2007-08-15 纳幕尔杜邦公司 含有乙烯共聚物和聚烯烃的组合物
CN101018821A (zh) 2004-09-13 2007-08-15 西巴特殊化学品控股有限公司 聚烯烃制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56386A1 (ko) 2019-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7515B2 (en) Digital user interface for inputting Indic scripts
KR101846238B1 (ko) 한자 입력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036903B1 (ko)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문자 입출력 장치
KR101657886B1 (ko) 한자 입력장치와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자 검색방법
CN101021763A (zh) 一种触摸屏幕上软键盘布局快速输入方法
JP2009501963A (ja) 3列4行のキーパッドを利用して漢字を入力する方法
RU2400800C2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способ ввода путем расположения координат &#34;x, y&#34;
JP2019532428A (ja) 文字入力装置
WO2000025197A1 (en) Keyboard input devices, methods and systems
TWI616760B (zh) 用於輸入漢字的方法及裝置
CN104020951A (zh) 一种基于触控设备的交互式滑动拼音输入法
KR20190094777A (ko)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
KR101594416B1 (ko) 한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517029B1 (ko) 한국어 자모 입력방법
KR101018821B1 (ko) 중국어 문자 생성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키입력 장치
JP2010262535A (ja) 手書き入力機能を備えた計算機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156616B (zh) 触摸屏写键输入方法
KR100750634B1 (ko) 한자 입출력 장치
KR20050023584A (ko) 한자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80474A (ko) 선긋기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KR20130004648A (ko) 터치스크린패널기기에서의 문서편집기능이 있는 다국어 문자입력장치
JPS6254364A (ja) 表意文字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1018820B1 (ko) 중국어 문자 생성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키입력 장치
KR20120125054A (ko) Acegi 키보드 레이아웃을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1868772A (zh) 用于加速中文输入中的候选选择的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