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886B1 - 한자 입력장치와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자 검색방법 - Google Patents

한자 입력장치와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자 검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886B1
KR101657886B1 KR1020150041742A KR20150041742A KR101657886B1 KR 101657886 B1 KR101657886 B1 KR 101657886B1 KR 1020150041742 A KR1020150041742 A KR 1020150041742A KR 20150041742 A KR20150041742 A KR 20150041742A KR 101657886 B1 KR101657886 B1 KR 101657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chinese
input
characters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1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1329A (ko
Inventor
박인기
Original Assignee
박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기 filed Critical 박인기
Publication of KR20150111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26Character encoding
    • G06F40/129Handling non-Latin characters, e.g. kana-to-kanji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06F40/242Dictiona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한자 입력장치는, 한자를 정보통신단말에 입력하는 한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木' 문자체계를 기반으로 그 구성요소인 一,
Figure 112015501026329-pat00359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60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61
로 이루어진 각 획을 기본 문자소로 하고, 상기 기본 문자소로부터 연속하여 변형이 이루어지는 문자소들을 할당한 복수의 키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키들의 단수 또는 복수 조작으로 해당하는 문자소를 시계열 순으로 입력하기 위한 문자키; 상기 문자키의 조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문자소들 또는 한자들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선택키; 문자소들과 문자소들 중 선택한 적어도 둘 이상의 문자소들이 설정 순서에 따라 결합된 문자들 및 한자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문자키로 입력된 문자소, 적어도 둘 이상 문자소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문자 및 한자 및 상기 선택키에 의해 선택된 한자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색하여 생성시키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문자키를 통해 입력된 문자소, 상기 선택키에서 선택된 문자 또는 한자,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문자소, 문자, 한자의 표출이 이루어지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한자 입력장치와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자 검색방법{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AND METHOD FOR SEARCHING THE CHINESE CHARACTERS}
본 발명은 한자 입력장치와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자 검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木(나무 목)' 문자체계의 획순에 따른 네 개의 최소 획단위인 문자소(grapheme)들 각각을 네 개 문자키 그룹의 대표로 하는 기본 문자소로 하고, 기본 문자소들 중 어느 하나의 기본 문자소를 시작으로 연속 관계에 있는 문자키들의 조합으로부터 한자를 입력 및 검색하도록 하는 한자 입력장치와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자 검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자를 컴퓨터나 휴대단말 등 IT 기기를 통해 입력하기는 쉽지 않다.
IT 기기를 통한 한글이나 알파벳의 입력은, 글자의 구성요소 즉, 자음과 모음이 정해져 있으므로, 자음과 모음을 키보드나 키패드 등에 할당하여 입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한자는 표의문자로서 글자의 특성상 특정한 규칙에 의해 문자가 구성되어 있지 않고 글자의 개수도 무수히 많기 때문에 키보드나 키패드 등에 직접 표시하여 입력하는 것은 어렵다.
특히, 한자는 구성요소인 부수가 매우 많고, 거의 대부분의 한자가 부수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나, 그 결합의 구조가 규칙적이지 않아 한자를 일정한 규칙에 의해 입력되도록 기술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곤란하다.
중국, 대만, 일본, 한국은 한자의 검색과 입력을 위해 보조수단으로 각각 알파벳, 주음부호, 카나문자, 한글을 사용하고 있다.
이 보조수단들은 발음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다.
종래의 한자 입력법 중에는 한자를 구성하는 요소를 오필획(一, ㅣ, ノ, \, 乙)으로 구분하여 입력하는 필획 입력법이 있다. 이는 다섯 가지의 필획 모양(一, ㅣ, ノ, \, 乙)을 키에 표시하고 입력할 한자의 각 획 모양을 필순에 따라 해당 키를 누름으로써 그 한자를 입력하게 한다. 즉, 王을 입력할 경우 각각 一, 一, ㅣ, 一에 대응하는 키를 순차적으로 누른 후 특정키를 누르게 되면 이들로 구성된 王를 입력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한자 입력의 경우 입력과정에서 입력된 해당 필획만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한자의 필획이 제대로 입력되고 있는지 계속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필획 누락의 여부를 포함하여 그 입력이 정상적인지 확인하기가 어려움).
또한, 다른 예로서 한자의 읽기발음을 알파벳으로 입력하면 이에 해당하는 한자가 여러 개 나열되고 해당하는 글자를 특정키(글자의 순번을 나타내는 번호키 등)의 누름을 통해 입력하는 방식이 있다.
예를 들어 '我'의 경우 이에 해당하는 영문발음인 wo를 입력하면 '我'를 비롯해서 wo 발음에 해당하는 다수의 한자가 표시되고 이 중에서 '我'를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서는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영문발음을 알아야만 한자를 입력할 수 있고, 키보드나 키패드에 영문자를 모두 표시해야 하며, 한자를 직접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영문자를 통해 입력하는 것이므로, 키 입력횟수가 늘어나 한자의 입력속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IT 기기에서의 한자 검색방법도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다.
일례로서 총획검색법은 한자의 총획을 이용하여 해당 한자를 검색하는 방법이다.
이는 사용자가 획의 증감과 자형의 변화를 미리 숙지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Figure 112015501026329-pat00001
부수와
Figure 112015501026329-pat00002
부수는 번체자 214부수에서 3획과 4획이지만 간체자 200부수에서는 2획과 3획으로 계산된다. 간체자에서
Figure 112015501026329-pat00003
부수와
Figure 112015501026329-pat00004
부수를 가진 모든 한자는 번체자의 총획에서 각각 1획을 빼고 검색해야 한다. 이러한 총획검색법은 총획을 계산하는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검색 편의성이 크게 떨어진다.
다른 예로서 부수검색법과 발음(병음, 주음, 훈음, 독음)검색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한자자전과 한자사전은 부수검색법을 기본으로 한다. 부수검색의 과정은 1) 부수의 총획을 계산한다. 2) 부수검자표에서 부수의 페이지를 확인한다. 3) 부수 외의 나머지 획수를 센 후 원하는 한자를 찾아간다.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 편의성이 매우 약한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家(집 가)는 3획인
Figure 112015501026329-pat00005
(집 면)을 부수검자표에서 찾은 뒤 나머지 부분 7획인 豕(돼지 시)를 검색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부수검색법의 효율성이 당연히 떨어진다.
더구나 부수의 소속관계가 달라지는 문제도 있다. 예를 들어, 번체자 視(볼 시)의 경우 見(볼 견)부수에 속하지만 간체자
Figure 112015501026329-pat00006
(볼 시)의 경우
Figure 112015501026329-pat00007
(보일 시)부수에 속한다. 다른 예로는 번체자 軍(군사 군)은 車(수레 거)부수에 속하지만, 간체자
Figure 112015501026329-pat00008
(군사 군)은
Figure 112015501026329-pat00009
(덮을 멱)부수에 속한다. 부수검색법은 시대적으로 부수의 숫자 변화가 많아서 사용자들이 여러 종류의 책을 능숙하게 검색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설문해자는 540개 부수이고, 한어대사전과 한어대자전은 200개 부수이며, 사해(辭海)는 250개의 부수를 가지고 있다. 일본의 대한화사전, 한국의 한자사전은 214개 부수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유니코드에는 1) 한,중,일 통합 한자 20,902자, 2)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A 6,582자, 3)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B 42,711자, 4)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C 4,220자, 5) 한,중,일 통합 호환용 한자 467자, 5) 강희자전 부수 214자, 6) 한,중,일 통합 부수 보충한자 115자, 7) 한,중,일 통합 호환용 보충한자 542자 등 75,753자가 등록되어 있다. 한자는 정확히 몇 자인지 알지 못할 뿐만 아니라 214개 부수검자표가 없기 때문에 직관적으로 검색하기 어렵고 또한 부수를 안다고 하여도 확장한자의 소속을 알지 못하면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발음(병음, 주음, 훈음, 독음)검색법은 개별 한자의 발음을 습득하면 검색이 빠른 장점이 있지만 발음 습득시간이 긴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한자의 모든 발음(병음, 주음, 훈음, 독음)을 실제로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수의 한자자전과 한자사전들은 부수검색을 기본으로 하는 경우가 많으며 발음검색 목록과 총획검색 목록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어사전들은 검색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 보조수단으로 chu의 네 가지 발음인
Figure 112015501026329-pat00010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11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12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13
의 사성(四聲)을 사용하고 있다.
발음(병음, 주음, 훈음, 독음)입력의 하나인 병음에 있어서, 중국의 IT 기기들은 입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빈도순 배열을 취하고 있다.
여기서, 발음검색법에서 입력의 효율이 떨어지는 가장 큰 이유는 나머지 한자들을 찾기 위해서 방향키를 한 개만 사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빈도순 배열의 문제로 다수 개의 방향키를 설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형자전과 대형사전의 병음검색에 있어서, 사용자가 한자의 사성(四聲)을 정확히 모르면 검색이 느려진다. 병음입력의 빈도순 배열은 자전과 사전의 병음배열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입력이 불편해진다. 대만과 일본의 검색과 입력도 동일한 현상을 겪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643856호, 10-0662553호, 10-0757372호를 통해 휴대폰 입력방법, 컴퓨터 입력방법 및 한자데이터베이스 처리방법을 개시한 바 있는데, 이것들은 모두 한자알파벳 배열법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들이다.
상기 본 출원인의 선출원 특허에 의하면, 한자알파벳 배열법은 핵심개념인 자획들의 나열이므로 표음문자체계와 유사한 문자체계가 되기에는 논리적으로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
표음문자체계의 최소 음단위가 문자소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자 자획의 숫자가 46개나 달함에도 불구하고 한자알파벳 배열법은 자획을 28개로 한정시킨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한자알파벳 배열법은 배열기준의 원칙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28개 자획의 배열이 혼란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한자알파벳 배열법은 제자원리에 관한 내용이 없다. 또한, 상기 본 출원인의 선출원 특허들은 공통적으로 빠른 입력을 위한 한자의 방향키 사용방법이 제시되지 않아 검색과 입력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 특허는 기존 한자입력법이 사용하는 빈도순 배열의 문제점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또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 특허인 10-0757372호는 한자의 목록창에 가로와 세로에 검색과 상관이 없는 무의미한 숫자를 통한 입력이 제시되어 있고, 검색수단 입력을 마우스로 한정한 문제점이 있다.
KR 10-0643856(2006.11.10. 공고) KR 10-0662553(2007.02.28. 공고) KR 10-0757372(2007.09.11. 공고)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 해결과 개선을 위한 것으로서, 특히 '木(나무 목)' 문자체계의 획순에 따른 네 개의 획을 기본 문자소로 하고, 이들 기본 문자소로부터 연속적으로 변형관계에 있는 문자소를 기본 문자소를 기준한 문자키 그룹으로 구분하며, 기본 문자소들을 포함한 문자키들의 조합으로부터 한자를 입력 및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한자 입력장치와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자 검색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자 입력장치는,
한자를 정보통신단말에 입력하는 한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木' 문자체계를 기반으로 그 구성요소인 一,
Figure 112015501026329-pat00014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15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16
로 이루어진 각 획을 기본 문자소로 하고, 상기 기본 문자소로부터 연속하여 변형이 이루어지는 문자소들을 할당한 복수의 키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키들의 단수 또는 복수 조작으로 해당하는 문자소를 시계열 순으로 입력하기 위한 문자키; 상기 문자키의 조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문자소들 또는 한자들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선택키; 문자소들과 문자소들 중 선택한 적어도 둘 이상의 문자소들이 설정 순서에 따라 결합된 문자들 및 한자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문자키로 입력된 문자소, 적어도 둘 이상 문자소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문자 및 한자 및 상기 선택키에 의해 선택된 한자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색하여 생성시키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문자키를 통해 입력된 문자소, 상기 선택키에서 선택된 문자 또는 한자,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문자소, 문자, 한자의 표출이 이루어지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문자키는 상기 一,
Figure 112015501026329-pat00017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18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19
로 이루어진 네 개의 기본 문자소들 또는 상기 기본 문자소들 중 '一' 를 대표로 하여 획의 시작과정에서 진행방향이 같은
Figure 112015501026329-pat00020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21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22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23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24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25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26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27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28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29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30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31
로 이루어진 문자소 1그룹과,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32
' 를 대표로 하여 획의 시작과정에서 진행방향이 같은
Figure 112015501026329-pat00033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34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35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36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37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38
로 이루어진 문자소 2그룹과,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39
' 를 대표로 하여 획의 시작과정에서 진행방향이 같은
Figure 112015501026329-pat00040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41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42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43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44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45
로 이루어진 문자소 3그룹 및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46
' 를 대표로 하여 획의 시작과정에서 진행방향이 같은
Figure 112015501026329-pat00047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48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49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50
로 이루어진 문자소 4그룹으로 구분한 배치를 이루며, 이에 따른 28개의 각 문자소가 각각 할당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문자소는 상기 一,
Figure 112015501026329-pat00051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52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53
의 기본 문자소를 대표로 하는 각 문자소 그룹 중 상기 문자소 1그룹에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54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55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56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57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58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59
)로 이루어진 제 1 확장 문자소 그룹과, 상기 문자소 2그룹에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60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61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62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63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64
)로 이루어진 제 2 확장 문자소 그룹, 상기 문자소 3 그룹에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65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66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67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68
)로 이루어진 제 3 확장 문자소 그룹 및 상기 문자소 4 그룹에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69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70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71
)로 이루어진 제 4 확장 문자소 그룹으로 확장되고, 상기 제 1 내지 4 확장 문자소 그룹의 각 문자소는 상기 각 문자키들에 복수의 조작으로 입력되게 할당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 문자소 내지 상기 제 1 내지 4 확장 문자소 그룹에 이르는 각 문자소는 상기 기본 문자소 一,
Figure 112015501026329-pat00072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73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74
의 기울기, 길이, 가획 및 돌출 원리를 적용하여 구분하고, 이들이 할당된 상기 문자키의 조작 순서에 따라 입력이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문자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한자를 모두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방향키의 입력에 의해 표시되지 않은 나머지 한자들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이에 더하여 상기 방향키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한자에 할당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키의 입력에 의해 표시되는 나머지 한자들은 상기 방향키에 할당된 한자가 첫 번째 한자가 되는 다수의 한자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다수의 한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자를 단축키로 할당하고, 상기 단축키를 선택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단축키에 해당하는 한자로 시작하는 다수의 한자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다수의 한자 중에서 선택키에 의해 선택된 한자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단축키가 할당된 한자는 나머지 다른 한자와 구별되게 표시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문자키에서 다수의 문자소가 순차적으로 입력될 때에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문자소의 입력단계마다 해당 문자소들이 결합된 조합 문자로 표시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자 입력방법은, 한자를 정보통신단말에 입력하는 한자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한 한자 입력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문자키를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필순에 따라 해당 문자소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제1단계; 상기 문자키들의 조작으로 해당 문자소가 순차적으로 입력될 때마다 입력된 문자소들이 서로 결합된 문자로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2단계; 상기 해당 문자소들이 설정된 순서에 따라 결합된 문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3단계; 상기 표시된 한자 중 상기 입력할 한자를 선택하는 제4단계; 상기 선택된 한자를 발생시켜 상기 정보통신단말에 입력되도록 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입력할 한자의 필순에 따라 문자소가 입력되는 단계마다 기입력된 문자소와 결합된 새로운 문자를 표시부에 표시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3단계 이후에,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자 중 특정 한자에 단축키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한자 입력과정 중 상기 할당된 단축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단축키에 대응하는 한자로 시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한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부에 한자를 모두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 방향키가 입력되면 표시되지 않은 나머지 한자들을 추가로 표시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자 검색방법은, 한자를 정보통신단말에 입력하는 한자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한자를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한 한자 입력장치와 검색키를 구비하고, 상기 문자키를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필순에 따라 해당 문자소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제1단계; 상기 문자키들의 조작으로 해당 문자소가 순차적으로 입력될 때마다 입력된 문자소들이 서로 결합된 문자로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2단계; 상기 해당 문자소들이 설정된 순서에 따라 결합된 문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3단계; 상기 표시된 한자 중 상기 입력할 한자를 선택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선택된 한자에 대하여 상기 검색키의 입력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한자의 세부정보를 검색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자 검색에 따른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문자소가 결합된 문자를 포함하는 한자를 상기 표시부에 모두 표시할 수 없는 경우 방향키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방향키의 입력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지 않은 나머지 다른 한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방향키의 입력에 의해 표시되는 나머지 한자들은 상기 방향키에 할당된 한자가 첫 번째 한자가 되는 다수의 한자들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다수의 한자 중 특정 한자에 단축키가 설정되고 상기 단축키가 선택되면, 상기 단축키에 해당하는 한자로 시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자를 표시부에 표시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木문자체계를 이용한 한자 입력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한자 검색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
첫째, 214 부수로 배열되어 있는 유니코드의 한자목록을 木문자체계에 적용하면, 유니코드의 한자목록에 대해서 영어사전처럼 직관적인 검색과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모든 한자자전과 한자사전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둘째, 유니코드 한자목록을 발음(병음, 주음, 훈음, 독음)검색, 총획검색, 필획검색, 필기검색 등에도 木문자체계를 적용하면 직관적인 검색과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기존 부수입력법은 부수검자표를 보조수단으로 반드시 필요로 하지만, 木문자체계를 적용하면 부수검자표가 필요 없다.
넷째, 병음입력법과 총획입력법은 한자가 많으면 사성과 오필획을 보조수단으로 필요로 하지만, 한자가 아무리 많아도 보조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다섯째, 유니코드 7만 여자를 비롯한 모든 한자의 목록을 마우스, 터치, 스타일러스펜, 레이저, 눈동자 등의 이동수단으로 직관적인 검색 및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여섯째, 표의문자의 표음문자 개념으로의 전환을 통해 검색과 입력의 한자배열이 동일하므로 사용자의 부담이 기존 입력법들보다 대폭 줄어들 수 있다.
일곱째, 木문자체계의 검색 편이성으로 자판이나 키패드 등의 보조수단 없이 독자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여덟째, 한자를 필순에 따라 조합으로 입력하면 한자기억상실증(Chinese character amnesia)의 예방이 이루어진다.
아홉째, 다수 개의 단축한자를 논리적으로 배열함으로써 기존의 방식보다 입력효율성이 높아진다.
열 번째, 기존의 입력방식들은 빈도순 때문에 방향키를 한 개만 사용할 뿐이지만, 방향키의 다수개 사용으로 한자입력의 효율성이 높아진다.
열한 번째, 기존의 다양한 한자입력법은 한자목록에서 선택하여 입력하지만, 본 발명은 폰트를 개발하여 한글처럼 조합으로 스스로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
열두 번째, 기존 입력법의 한자 빈도순은 배열규칙의 객관성이 없으나, 木문자체계의 배열규칙은 어떤 입력법에 적용하여도 항상 객관성을 유지하므로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자 입력장치의 구성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문자소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문자소의 교차관계 및 대면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문자소에 대한 기울기 원리에 따른 확장된 문자소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문자소에 대한 길이 원리에 따른 확장된 문자소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문자소에 대한 가획 원리에 따른 확장된 문자소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문자소에 대한 돌출 원리에 따른 확장된 문자소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기본 문자소로부터 확장된 문자소의 피라밋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문자소를 키패드 상에 구현한 예시 도면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木문자체계의 조감을 나타낸 도면.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木문자체계에서 문자소의 결합단계에 따른 문자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축키 목록 및 문자소 방향키를 나타낸 예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강희자전 214부수와 木문자체계 배열순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강희자전 214부수의 木문자체계의 피라밋구조 도면.
도 2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니코드 한중일 부수보충과 木문자체계 배열순서 도면.
도 29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니코드 한중일 부수보충의 피라밋구조 도면.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木문자체계에서의 부수통합 배열순서 도면.
도 3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강희자전 페이지정보 木문자체계 도면.
도 3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한어대자전 페이지정보 木문자체계 도면,
도 3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한어대사전 페이지정보 木문자체계 도면,
도 3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대한화사전 페이지정보 木문자체계 도면,
도 3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부수 유니코드 번호 정보에 대응되는 木문자체계 도면,
도 3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A 부수 유니코드 번호 정보에 대응되는 木문자체계 도면,
도 3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B 부수 유니코드 번호 정보에 대응되는 木문자체계 도면,
도 3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一(한 일) 부수목록 도면,
도 3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A 一(한 일) 부수목록 도면,
도 4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B 一(한 일) 부수목록 도면,
도 4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一(한 일) 부수목록 통합 木문자체계 도면,
도 4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一(한 일) 부수목록 통합 木문자체계 피라밋 도면,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 휴대폰과 木문자체계 비교 도면,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종래 휴대폰과 木문자체계의 人 2음절어 비교 도면.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종래 휴대폰과 木문자체계의 2음절어 비교 도면.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나열과 조합의 기준 도면,
도 47은 본 발명에 따른 나열의 예시 도면,
도 48은 본 발명에 따른 조합의 예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문자소' 의 의미를 정의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문자소(grapheme)는 표의 문자인 한자를 구성하는 최소 획단위의 문자이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木문자의 획순체계를 구성하는 一,
Figure 112015501026329-pat00075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76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77
로 이루어진 각 획 문자를 기본 문자소로 설정한다. 이들 기본 문자소를 토대로 문자소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본 문자소에서 확장시킨 문자를 편의상 '확장된 문자소' 라 칭한다. 이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모든 한자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소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문자소의 입력을 통해 모든 한자를 입력 및 검색한다고 정의한다. 이러한 정의로부터 한자의 입력 및 검색방식을 위한 문자소의 체계를 '木문자체계' 라 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木문자체계에서의 상술한 기본 문자소는 모두 1획으로 한정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표의 문자인 한자의 필획을 최소 단위로 하는 문자소(예를 들어 붓을 떼지 않고 굽거나 휘는 관계에 있는 단일 획을 문자소)로 하고, 이들 문자소들 중 '木' 문자체계를 이루는 각 획들인 一,
Figure 112015501026329-pat00078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79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80
을 기본 문자소로 한다.
그리고, 이들 각 기본 문자소는, 각 획의 처음 시작과정에서 진행방향이 같거나 동일 범주로 진행방향으로 시작하여 연속하여 굽거나 휘거나 삐치는 관계의 문자소들을 위의 기본 문자소들 각각을 기반(대표)으로하는 문자소 그룹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논리적 질서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자 입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자 입력장치(100)는 한자를 구성하는 문자소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문자키(110), 다수의 한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선택키(120), 문자키(110) 및 선택키(120)에 의해 입력 및 선택된 문자소 및 한자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 다수의 문자소, 문자소가 결합된 문자, 한자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140), 제어부(130)에 의해 발생되는 문자소 및 한자를 표시하는 표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한자 입력장치(100)는 검색키(1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단축키(170)와 방향키(18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문자키(110)에는 하나 이상의 문자소가 할당된다. 이러한 문자키(110)의 입력에 의해 해당 문자소가 입력되도록 한다. 문자소는 一,
Figure 112015501026329-pat00081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82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83
로 구성된다. 그러나, 다른 예에서는 一,
Figure 112015501026329-pat00084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85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86
을 포함하여 4~46개로 확장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문자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木문자체계는 다음 사항들을 기초로 결정된다.
1) 도 2와 같이 木문자체계의 중심은 木이다. 木문자체계를 구성하는 一,
Figure 112015501026329-pat00087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88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89
을 기본 문자소로 설정한다. 이들 기본 문자소의 기준은 무조건 1획으로만 한정한다. 뿐만 아니라 이들 기본 문자소에서 확장되는 문자소들도 역시 1획으로 한정한다.
2) 도 3과 같이 기본 문자소 4개를 교차관계와 대면관계로 설정한다. 즉, 一와
Figure 112015501026329-pat00090
의 교차관계를 十으로,
Figure 112015501026329-pat00091
Figure 112015501026329-pat00092
의 대면관계를 八로 설정한다.
3) 기본 문자소 4개를 기반으로 확장되는 문자소의 경우, 도 4의 기울기 원리, 도 5의 길이 원리, 도 6의 가획 원리, 도 7의 돌출 원리로부터 변별요소가 생긴다. 이러한 변별요소는 동일한 문자소에 여러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의 기울기 원리에 따라
Figure 112015501026329-pat00093
에서 삐침 정도에 따라 3가지로 확장할 수 있고, 도 5의 길이 원리에 따라
Figure 112015501026329-pat00094
Figure 112015501026329-pat00095
를 상대적으로 짧은 모양과 대비시켜 각각 1개씩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가획 원리에서는 一에서 1~3차 가획으로 확장시킬 수 있고, 도 7의 돌출 원리에서는 도 6의 1차 가획 문자소에서 돌출 여부에 따라 각각 1개씩 확장될 수 있다.
4) 이와 같이 一,
Figure 112015501026329-pat00096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97
,
Figure 112015501026329-pat00098
의 기본 문자소로부터 피라미드 형태로 5단계로 확장된 문자소를 정리하면 도 8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들 4개의 기본 문자소를 포함하여 28개 중 선택된 문자소를 문자키(110)에 할당하는 것이다. 이때, 다수의 문자키(1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소가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문자키(110)의 예시들이 도 9 내지 도 22에 도시된다. 도 21과 도 22는 실제로 휴대단말과 컴퓨터 키보드에 구현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5)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木문자체계의 문자소를 상기의 제자원리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시키되 영어 알파벳 26개와 대칭관계를 이루도록 하며, 이러한 대칭관계는 도 23에 도시된 예와 같다. 이러한 대칭관계를 이용함으로써 알파벳 26개에 대칭하는 문자소를 키보드 등에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알파벳에 대칭되는 문자소의 입력을 통해 문자 및 한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非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非의 문자소에 대칭되는 알파벳 VAABKAAA의 키를 누르면 된다. 이러한 28개의 문자소는 바람직하게는 도 2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순서로 결정될 수 있다.
6)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문자소의 경우 유니코드 70,000여 자의 한,중,일 통합 한자를 포함하고, 이체자, 약자, 속자 등을 망라한 10여 만 자에서 유의미한 문자소로 확장하되, 예를 들어 一(A),
Figure 112015501026329-pat00099
(B1),
Figure 112015501026329-pat00100
(B2),
Figure 112015501026329-pat00101
(C),
Figure 112015501026329-pat00102
(D1),
Figure 112015501026329-pat00103
(D2),
Figure 112015501026329-pat00104
(D3),
Figure 112015501026329-pat00105
(E),
Figure 112015501026329-pat00106
(F),
Figure 112015501026329-pat00107
(G),
Figure 112015501026329-pat00108
(H),
Figure 112015501026329-pat00109
(I1),
Figure 112015501026329-pat00110
(I2),
Figure 112015501026329-pat00111
(I3),
Figure 112015501026329-pat00112
(I4),
Figure 112015501026329-pat00113
(I5),
Figure 112015501026329-pat00114
(I6),
Figure 112015501026329-pat00115
(J),
Figure 112015501026329-pat00116
(K),
Figure 112015501026329-pat00117
(L),
Figure 112015501026329-pat00118
(M),
Figure 112015501026329-pat00119
(N1),
Figure 112015501026329-pat00120
(N2),
Figure 112015501026329-pat00121
(N3),
Figure 112015501026329-pat00122
(O),
Figure 112015501026329-pat00123
(P1),
Figure 112015501026329-pat00124
(P2),
Figure 112015501026329-pat00125
(P3),
Figure 112015501026329-pat00126
(P4),
Figure 112015501026329-pat00127
(Q),
Figure 112015501026329-pat00128
(R),
Figure 112015501026329-pat00129
(S),
Figure 112015501026329-pat00130
(T1),
Figure 112015501026329-pat00131
(T2),
Figure 112015501026329-pat00132
(T3),
Figure 112015501026329-pat00133
(U1),
Figure 112015501026329-pat00134
(U2),
Figure 112015501026329-pat00135
(U3),
Figure 112015501026329-pat00136
(V),
Figure 112015501026329-pat00137
(W),
Figure 112015501026329-pat00138
(X),
Figure 112015501026329-pat00139
(Y1),
Figure 112015501026329-pat00140
(Y2),
Figure 112015501026329-pat00141
(Z1),
Figure 112015501026329-pat00142
(Z2),
Figure 112015501026329-pat00143
(Z3)와 같이 46개로 문자소를 확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46개의 확장된 문자소는 자판이나 키패드 등의 장치에 따라 문자소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26개 키에 맞추면 26개의 대표 문자소로 줄일 수 있다. 즉, 一(A),
Figure 112015501026329-pat00144
(B),
Figure 112015501026329-pat00145
(C),
Figure 112015501026329-pat00146
(D),
Figure 112015501026329-pat00147
(E),
Figure 112015501026329-pat00148
(F),
Figure 112015501026329-pat00149
(G),
Figure 112015501026329-pat00150
(H),
Figure 112015501026329-pat00151
(I),
Figure 112015501026329-pat00152
(J),
Figure 112015501026329-pat00153
(K),
Figure 112015501026329-pat00154
(L),
Figure 112015501026329-pat00155
(M),
Figure 112015501026329-pat00156
(N),
Figure 112015501026329-pat00157
(O),
Figure 112015501026329-pat00158
(P),
Figure 112015501026329-pat00159
(Q),
Figure 112015501026329-pat00160
(R),
Figure 112015501026329-pat00161
(S),
Figure 112015501026329-pat00162
(T),
Figure 112015501026329-pat00163
(U),
Figure 112015501026329-pat00164
(V),
Figure 112015501026329-pat00165
(W),
Figure 112015501026329-pat00166
(X),
Figure 112015501026329-pat00167
(Y),
Figure 112015501026329-pat00168
(Z)의 26개이다. IT기기의 사정상 문자소가 줄어든다고 하여 제자원리에 따른 46개 문자소의 고정된 배열순서는 전혀 변동되지 않는다. 상기 제자원리의 기준에 따라 도 23을 통해 木문자체계의 논리적 구조가 총 정리된다. 木문자체계의 문자소는 음가를 가지지 않지만 한 획씩 나열하거나 조합하면 기존의 모든 한자가 완성된다.
7) 본 발명에서는 28개 문자소에 각각 명칭이 부여된다. 이때, 28개 문자소의 종성에 ㄱ, ㄴ, ㄹ, ㅁ, ㅂ, ㅇ이 포함되도록 한다. 4개의 기본 문자소의 초성 음소는 자음으로 시작하고 각각 ㄱ[g], ㄷ[d], ㅅ[s]/ㅈ[
Figure 112015501026329-pat00169
], ㅊ[
Figure 112015501026329-pat00170
]이 된다. 하위 문자소들은 초성 음소를 공유하며, 이를 통해 하나의 집단임을 나타내게 한다. 또한, 기본 문자소 4개 명칭의 각각 끝은 ㅣ[i]의 운율 즉, 기[gi], 디[di], 지[
Figure 112015501026329-pat00171
i], 치[
Figure 112015501026329-pat00172
i]로 하며, 기본 문자소 4개 집단을 가르는 운율이 된다.
8) 이와 같은 문자소 명칭의 제정원칙에 따라 도 23에서와 같이 가, 각, 간, 갈, 감, 갑, 강, 고, 곡, 골, 공, 기, 다, 닥, 달, 당, 도, 디, 상, 자, 장, 조, 종, 지, 차, 찰, 초, 치로 각 문자소에 명칭을 설정한다.
9) 이러한 총체적 제자원리를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木문자체계가 완성되는 것이다.
10) 또한, 상술한 문자소의 구분에 있어서, 상기 문자키는 상기 一,
Figure 112015501026329-pat00173
,
Figure 112015501026329-pat00174
,
Figure 112015501026329-pat00175
로 이루어진 네 개의 기본 문자소들 또는 상기 기본 문자소들 중 '一' 를 대표로 하여 획의 시작과정에서 진행방향이 같은
Figure 112015501026329-pat00176
,
Figure 112015501026329-pat00177
,
Figure 112015501026329-pat00178
,
Figure 112015501026329-pat00179
,
Figure 112015501026329-pat00180
,
Figure 112015501026329-pat00181
,
Figure 112015501026329-pat00182
,
Figure 112015501026329-pat00183
,
Figure 112015501026329-pat00184
,
Figure 112015501026329-pat00185
,
Figure 112015501026329-pat00186
,
Figure 112015501026329-pat00187
로 이루어진 문자소 1그룹과, '
Figure 112015501026329-pat00188
' 를 대표로 하여 획의 시작과정에서 진행방향이 같은
Figure 112015501026329-pat00189
,
Figure 112015501026329-pat00190
,
Figure 112015501026329-pat00191
,
Figure 112015501026329-pat00192
,
Figure 112015501026329-pat00193
,
Figure 112015501026329-pat00194
로 이루어진 문자소 2그룹과, '
Figure 112015501026329-pat00195
' 를 대표로 하여 획의 시작과정에서 진행방향이 같은
Figure 112015501026329-pat00196
,
Figure 112015501026329-pat00197
,
Figure 112015501026329-pat00198
,
Figure 112015501026329-pat00199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00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01
로 이루어진 문자소 3그룹 및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02
' 를 대표로 하여 획의 시작과정에서 진행방향이 같은
Figure 112015501026329-pat00203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04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05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06
로 이루어진 문자소 4그룹으로 편의상 구분할 수 있고, 이들은 각 문자키에 할당할 수 있다.
11) 그리고, 상기 문자소는 상기 一,
Figure 112015501026329-pat00207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08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09
의 기본 문자소를 대표로 하는 각 문자소 그룹 중 상기 문자소 1그룹에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10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11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12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13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14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15
)로 이루어진 제 1 확장 문자소 그룹과, 상기 문자소 2그룹에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16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17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18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19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20
)로 이루어진 제 2 확장 문자소 그룹, 상기 문자소 3 그룹에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21
,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23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24
)로 이루어진 제 3 확장 문자소 그룹 및 상기 문자소 4 그룹에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25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26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27
)로 이루어진 제 4 확장 문자소 그룹으로 확장되고, 상기 제 1 내지 4 확장 문자소 그룹의 각 문자소는 상기 각 문자키들에 복수의 조작으로 그 입력이 변경되면서 입력되게 할당할 수 있다.
계속해서, 문자키(110)을 통해 상기와 같은 木문자체계에 의해 설정된 다수의 문자소를 입력하고 그 문자소의 입력을 통해 원하는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문자키(110)에 적어도 하나의 문자소가 할당되어 문자키(110)를 누름으로써 해당 문자소가 입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자키(110)는 예를 들어 키보드, 키패드 등의 키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선택키(120)는 문자키(110)에서 입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소로 구성된 한자 및 그 한자를 포함하는 다수의 한자 중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선택키(120)도 예를 들어 키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문자키(110)에 의해 입력된 문자소 및/또는 한자를 한자 입력장치(100)에 발생시켜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선택키(120)에 의해 선택된 문자소 및/또는 한자가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발생된 문자소와 한자는 한자 입력장치(100)에 입력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다수의 문자소, 문자소가 결합된 문자, 한자 등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한자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문자키(110)에 의해 입력된 문자소 및 한자뿐만 아니라 문자키(110)에 의해 문자소가 연속적으로 입력될 때마다 그 연속적으로 입력된 문자소가 결합된 문자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木을 입력할 때 一,
Figure 112015501026329-pat00228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29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30
의 문자소를 차례로 입력하면, 각 문자소가 입력될 때마다 순차적으로 이들이 결합된 문자, 즉 一, 十,
Figure 112015501026329-pat00231
, 木이 단계적으로 입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문자소가 결합된 형태의 문자가 표시될 때 문자소나 한자가 아닌 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140)는 한자 입력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자소, 문자소가 결합된 문자, 한자 등을 모두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장부(140)는 모든 한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한자정보는 각 한자별 음, 뜻, 의미, 예문 등을 포함한다.
표시부(150)는 제어부(130)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소, 적어도 하나의 문자소가 결합된 문자, 한자 등을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150)는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표시부(150)는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이 문자키(110)과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선택키(120)도 이러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이 문자키(110) 및 표시부(15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검색키(160)는 표시부(150)에 표시된 한자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표시부(150)에 표시하도록 한다. 이때, 한자의 정보는 음, 뜻, 의미, 예문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한자의 정보는 모르는 한자의 의미를 알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단축키(170)는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가 다른 소속 한자를 포함할 때 그 포함되는 소속 한자에 할당된다. 이는 소속 한자를 먼저 입력한 후 단축키(170)를 입력하면 그 소속 한자로 시작하는 다수의 한자들이 표시되도록 하고 이 중에서 원하는 한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木을 단축키로 할당한 경우 本을 입력할 때는 먼저 木을 입력한 후 木의 단축키를 입력하면 木을 포함하는 한자, 예를 들어 木, 本, 林, 朴, ... 등의 한자가 표시된다. 이때 本을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방향키(180)는 표시부(150)의 크기 제약으로 인해 원하는 한자를 모두 표시할 수 없는 경우, 일부만 표시된 상태에서 방향키(180)를 입력하면, 표시되지 않은 나머지 다른 한자들을 표시하도록 한다. 이로써 표시할 한자가 많은 경우 일부만 표시하고 나머지는 방향키(180)의 입력에 의해 추가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한자 입력장치(100)에서의 한자 입력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문자키(110)을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를 구성하는 문자소를 필순에 따라 입력한다. 이때, 문자키(110)에 의해 문자소가 각각 입력될 때마다 표시부(150)에는 이들 문자소가 차례로 결합된 문자들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王을 입력하는 경우, 一, 一,
Figure 112015501026329-pat00232
, 一을 순차적으로 입력하면 표시부(150)에는 이들 문자소가 입력될 때마다 一, 一,
Figure 112015501026329-pat00233
, 一가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이들 문자소의 조합 즉 一 ⇒ 二 ⇒ 干 ⇒ 王과 같이 문자소의 조합으로 각 단계별로 표시되는 것이다. 이때, 王처럼 天, 木, 中, 少가 조합이 되려면 1)
Figure 112015501026329-pat00234
, 2)
Figure 112015501026329-pat00235
, 3)
Figure 112015501026329-pat00236
, 4)
Figure 112015501026329-pat00237
같은 폰트가 필요하며 실제로 이들 폰트의 문자가 통용되지는 않지만 화면상에는 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모든 한자의 입력을 위하여 입력과정에서 나타나는 각각의 폰트를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문자소가 연속으로 입력될 때마다 이들 폰트들이 표시부(150)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문자소가 조합되는 과정을 눈으로 보면서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한자의 모든 폰트가 만들어지면 도 24와 같이 어떤 한자이든지 생생하게 조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한자를 입력하는 경우, 그 한자로 시작하는 다수의 다른 한자가 미리 표시부(150)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王을 입력하는 경우 王으로 시작하는 王, 全, 皇, 弄 등의 한자가 표시된다. 이때, 표시된 다수의 한자 중에서 선택키(120)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한자를 쉽고 빠르게 입력하기 위해 단축키(170)가 설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25와 같이 키보드나 키패드의 초기화면에 기본적으로 단축키(170)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5의
Figure 112015501026329-pat00238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39
안에 있는 대표 한자들은 하위 소속 한자로 바로 직행할 수 있는 단축키(170)의 역할을 한다. 즉, 이러한 단축키(170)는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다수의 한자 중에서 특정 한자에 할당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禁을 입력할 때 木을 단축키로 설정한 경우, 먼저 木을 입력한 후 단축키로 설정된 木을 선택하면 木으로 시작하는 한자들이 모두 표시되도록 하고 그 중에서 禁을 선택함으로써 이를 입력하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단축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木, 木, 示를 필순에 따라 차례로 입력함으로써 해당 한자를 입력할 수도 있다.
Figure 112015501026329-pat00240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41
의 단축키는 각 문자소로 시작되는 가장 빈도수가 높은 한자의 목록이 있음을 나타낸다. 빈도수 높은 한자목록은 반드시 木문자체계의 배열순서를 지킨다. 상기 단축키의 대표한자는 반드시 부수만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禁의 부수는 示이지만 필순의 시작이 木이므로 禁은 단축한자 木에 속한다. 즉, 단축키 역할을 하는 대표한자 木으로 필순이 시작되는 모든 한자를 의미한다. 木의 입력은 초기화면의 대표한자 木을 누른 후 가장 첫 번째 나타나는 木을 누르면 입력된다. 즉, 木은 2회에 입력할 수 있다. 다른 단축한자들도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 단축키의 한자들은 색깔이나 서체를 이용하여 단축키임을 구분시킬 수 있다.
단축키의 문자소와 조합형 폰트의 배열은 알파벳 A, B, C, D, E, F, G, H의 배열처럼 木문자체계의 기준을 따른다.
Figure 112015501026329-pat00242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43
대신에 가장 첫 번째 나타날 수 있는 한자를 배치하면 고빈도의 한자가 어디에 위치하는지 정확히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이 영어 단어 BOOK은 B에 속한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것과 동일한 개념이다.
단축키(170)를 누르면 키보드나 키패드들이 일시적으로 사라지게 하고, 화면전체에 소속 한자들(그 해당 단축키(170)에 할당된 한자를 포함하는 한자들)이 50~100자 이상 표시되도록 한다. 화면전체에서 초기화면으로 돌아오는 기호를 만들어 두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100자를 배치할 경우 빈도수가 높은 800자를 2회에 무조건 입력할 수 있다. 보편적인 통계에 의하면 800자의 누적사용량은 전체 문장의 80% 이상을 점유한다고 한다. 여기서 선택한 한자가 디스플레이될 경우 선택된 한자와 결합하는 글자 또는 단어의 목록이 계속적으로 전체화면에 드러나도록 만들면 입력의 효율성이 극대화된다.
木문자체계를 사용하여 입력할 키보드를 자판형태에 맞추어 도 9 내지 도 21과 같이 4~28개의 키버튼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배치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구현하고자 하는 IT 기기의 형태에 따라 필요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축한자를 이용하여 소속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 단축한자는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한자 중에 木문자체계의 순서에 따라 특정 한자에 부여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서는 이러한 한자 입력장치를 이용한 한자 검색방법을 제공한다. 한자 검색방법의 경우 한자 입력장치에서 한자가 입력되면 검색키(160)를 입력한다. 그러면 해당 한자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한자의 정보에는 음, 뜻, 의미, 예문 등이 포함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木문자체계를 기존의 검색법 및 입력법과 접목하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많은 방법들 중 역대 주요 3대 검색 및 입력법은 다음과 같다.
(1) 기존의 부수검색 및 입력법은 부수검자표에서 부수총획을 확인한 다음 나머지 획을 세어 검색하거나 입력하는 방식이지만, 木문자체계를 접목하면 부수검자표와 나머지 획을 세는 방식이 전혀 필요 없다.
(2) 총획검색 및 입력법에 木문자체계를 접목하면 오필획을 비롯한 여러 보조수단 없이 검색하고 입력할 수 있다.
(3) 발음(병음, 주음, 훈음, 독음)검색법은 사정에 따라 4개 성조, 총획순서, 부수순서, 필획순서의 보조수단이 필요하지만, 木문자체계를 접목하면 발음검색 이후 한자목록을 직관적으로 검색하고 입력할 수 있다. 木문자체계를 접목하면 배열순서의 통일성이 유지되므로 사용자들이 검색과 입력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46개 문자소들 중에서 전통적인 214 부수에서 각각 3획 한자인
Figure 112015501026329-pat00244
Figure 112015501026329-pat00245
Figure 112015501026329-pat00246
Figure 112015501026329-pat00247
는 2획이지만 간체자에서 1획으로 취급하는
Figure 112015501026329-pat00248
Figure 112015501026329-pat00249
은 제자원리 1)항에 부합되어 문자소에 편입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국가와 시대별로 총획기준이 다를 수 있으나 1획으로 분류되는 것은 모두 문자소로 수용될 수 있다.
일부 한자의 경우 서체와 국가 표준에 따라 문자소가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번체자인 非(=VAABKAAA)의 첫 문자소
Figure 112015501026329-pat00250
는 V와 대칭되지만 간체자인
Figure 112015501026329-pat00251
(=KAAAKAAA)의 첫 문자소
Figure 112015501026329-pat00252
는 K와 대칭된다. 다른 예로 月(=VFAA)의 대만 자형은
Figure 112015501026329-pat00253
(=VFXB)이다. 月의 문자소가 달라졌으므로 각각 달리 취급한다. 이와 같이 환경에 따라 변형된 문자소도 모양이 다르므로 독립적으로 소속시킨다.
국가별 필순이 다를 경우 개별 국가의 필순도 모두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田 또는 由의 경우 중국의 필순은
Figure 112015501026329-pat00254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55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56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57
, 田(=KCAKA)이지만 일본의 필순은
Figure 112015501026329-pat00258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59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60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61
, 田(=KCKAA)으로서 세 번째 획에서 필순이 다르다. 또 다른 예로, 王 또는
Figure 112015501026329-pat00262
(예: 靑, 表)의 경우 중국의 필순은 ①一 ②二 ③干 ④王(=AAKA)이지만 일본의 필순은 ①一 ②
Figure 112015501026329-pat00263
③干 ④王(=AKAA)이다. 국가별 필순에 따라 개별적으로 자전이나 사전 등을 출판 및 IT 제품에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모든 국가의 필순도 반영하여 자전과 사전 등을 만들 수 있다. 필순이 수시로 변한다고 하더라도 어떤 종류의 검색이나 입력에도 모두 적용된다.
<실시 예 1>
부수검색법에 木문자체계를 접목할 때의 경우를 설명한다. 시대적으로 변화된 모든 부수목록에 한자를 각각 속하게 하면 부수의 변동이 발생하더라도 검색 불편이 생기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번체자 視(볼 시)를 아는 사람은 見(볼 견) 부수에서 찾으면 되고, 간체자
Figure 112015501026329-pat00264
(볼 시)를 아는 사람은
Figure 112015501026329-pat00265
(보일 시) 부수에서 찾으면 된다. 다른 예로는 번체자 軍(군사 군)을 아는 사람은 車(수레 거) 부수에서, 간체자
Figure 112015501026329-pat00266
(군사 군)을 아는 사람은
Figure 112015501026329-pat00267
(덮을 멱) 부수에서 각각 찾으면 된다. 이와 같이 소속부수를 각각 모두 반영하여 배열하면, 소속부수가 다르더라도 이미 알고 있는 부수만 알면 바로 찾아갈 수 있다.
부수검자표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강희자전 214부수를, 木문자체계에 따라 도 26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또한, 도 27처럼 부수목록을 木문자체계의 피라밋 구조로 모든 한자를 검색하면 부수검자표가 필요하지 않다. 부수검자표가 필요 없으므로 당연히 부수의 총획 의미가 사라짐과 동시에, 나머지 획을 세어 검색하는 불편이 생기지 않는다. 한,중,일 부수보충은 검색의 불편으로 인해 전통적인 214개 부수에서 벗어나 부수 숫자를 변동시켜 새로이 부수가 된 것들이 모여진 것이다. 이것을 木문자체계에 따라 정리하면 도 28의 배열순서와 도 29의 피라밋 구조가 만들어진다.
도 30은 상기 214개 부수와 한,중,일 부수보충을 합체하면 그동안 변형된 모든 부수를 아우르는 부수통합목록이 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부수 소속 뿐 아니라 부수변동으로 추가된 부수에 모두 속하게 하면 자신이 알고 있는 부수만으로 검색할 수 있다. 향후 부수가 더 늘어나더라도 木문자체계에 따라 배열하면 부수검색의 아무런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참고사항으로 부수의 변동사항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모든 부수목록은 자전과 사전 같은 모든 서적에 부수 페이지 정보가 있기 때문에 검색할 수 있지만, 유니코드에서는 부수목록이 있어도 부수의 유니코드 번호정보가 없어 검색시간이 매우 길 수밖에 없다. 하지만 木문자체계는 영어 알파벳처럼 문자소로 검색할 수 있기 때문에 부수의 유니코드 번호정보를 절대로 필요로 하지 않는다. 부수목록이 있는 모든 서적뿐 아니라 유니코드에서도 영어사전 찾는 것과 동일하게 검색하고 입력할 수 있다.
유니코드 한자는 한중일 통합 한자 20,902자,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A 6,582자,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B 42,711자,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C 4,220자, 한중일 통합 호환용 한자 467자, 강희자전 부수 214자, 한중일 통합 부수 보충한자 116자, 한중일 통합 호환용 보충한자 542자 등 75,754자가 등록되어 있으며 확장-D, 확장-E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것들은 부수배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검색하기가 매우 까다롭다. 게다가 찾고자 하는 한자가 어디에 속하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 하지만 상기의 목록들을 木문자체계로 각각 정리하면 직관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게다가 각각 분리된 목록을 통합하여 전체목록을 만들면 직관적으로 검색하는 것이 훨씬 쉬워진다. 또한, 사용자가 통합된 전체목록에서 개별한자의 소속을 알고자 할 경우 사용자를 위해서 개별한자의 소속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부수검자표는 책의 종류에 따라 부수를 영어사전처럼 검색할 수가 없어 부수총획을 세느라 다소 머뭇거리게 되지만, 木문자체계에 따라 도 31 내지 도 37의 부수검자표를 정리하면 직관적인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영어사전은 책의 종류와 두께에 상관없이 어휘가 아무리 많아도 직관적으로 바로 찾을 수 있는 것처럼, 木문자체계에 의한 한자검색은 문자소 단위의 검색이기 때문에 검색시간의 차이가 없다. 한자가 무한대로 증가하더라도 검색시간의 차이가 생기지 않는다.
木문자체계의 가장 특징적인 것은 기존의 수많은 검색법을 전혀 몰라도 무한대의 한자를 문자소 단위로 검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세 부분 전체를 대신하여 一(한 일)부수를 예로 들면, 도 38, 도 39, 도 40으로 각각 배열할 수 있고 도 41과 같이 세 부분을 통합하여 정리할 수도 있다.
상기 한중일 통합 한자 3종을 통합한 一(한 일)부수를 木문자체계에 따라 도 42의 피라밋 구조로 정리할 수도 있다.
상기의 예를 통해 부수별, 부수보충, 한중일 통합 한자 종류별, 한중일 통합 한자들을 모두 포함하는 부수목록을 피라밋 구조로 검색 및 입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예2>
발음입력법에 木문자체계를 접목할 때의 내용을 설명하면, 많은 병음입력법 가운데 대표적으로 종래의 휴대폰(예: iPhone5)에서의 입력법과 본 발명의 木병음입력법의 비교해 보기로 한다. 종래 휴대폰에 출현하는 간체자의 병음목록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이 모두 103자이다:
Figure 112015501026329-pat00268
Figure 112015501026329-pat00270
화면에서 1열마다 7자씩 4열을 만들고 좌우에 8개의 방향키(180)를 설정하며, ① 내지 ⑧을 방향키로 설정한다. 방향키는 8개로 고정된 것이 아니며 대형 화면이라면 100개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방향키(180)의 설정이 화면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향키(180)는 표시할 한자가 많은 경우에 표시되지 않은 나머지 한자들을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표시부(150)의 크기 제약에 의해 한자를 모두 다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 일부만 표시하고 나머지는 방향키(180)의 입력에 의해 표시되지 않은 다른 한자를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Figure 112015501026329-pat00271
이때 28자 단위로 목록이 달라지므로 ①, ②, ③은 각각
Figure 112015501026329-pat00272
, 乳,
Figure 112015501026329-pat00273
으로 대체된다. 목록한자는 검은색으로 하되 목록의 첫 대표한자가 되는 한자는 한자 밑에 화살표를 표시하거나, 밑줄을 표시할 수 있고, 원 또는 사각에 한자를 넣어서 표시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한자의 색깔을 표시하여 구분할 수도 있다.
<실시예3>
종래 휴대폰과 같이 도 43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자가 간체자 병음입력 중에 r 발음을 선택하여 입력하면 다음의 12자가 출현한다. 12자를 입력 및 구현하려면 2회와 3회가 필요하다.
木병음입력법은 r 입력시 28자가 표시되어 한자를 터치하면 2회에 입력된다. 29번째 한자부터는 한자 방향키를 통해 찾으므로 3회만에 입력된다. 木병음입력법은 최대 252자까지 3회 이내에 입력할 수 있으나, 종래휴대폰은 103자를 3회 이내에 처리하기 불가능하다.
<실시예4>
도 44는 상기 103자 중에서 가장 조어력이 많은 한자인 人을 입력한 후 1음절이 결합되는 입력의 보기이다. 이 방식에서 종래 휴대폰은 빈도순 배열과 한 개의 방향키(180)가 사용되지만, 木병음입력법은 도 44를 보면, 木문자체계의 배열에 따른 다수 방향키의 사용으로 입력 효율성 측면에서 절대적인 격차가 생긴다.
<실시예5>
도 45의 단어입력비교는 종래 휴대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다양한 기기들의 화면크기에 따라 얼마든지 늘릴 수 있으나 현재 종래 휴대폰과 비슷한 화면크기에 적용하면, 2음절어를 5개씩 4열로 할 경우 20단어를 처리할 수 있다. ry를 2회 입력한 후 2음절어를 선택하면 3회에 입력된다. 20단어를 초과할 경우 한자 방향키를 누른 뒤 2음절어를 선택하면 4회에 입력된다.
Figure 112015501026329-pat00274
상기 103개의 한자목록에 의하면, 방향키 ①은 첫 째 단어 任一로 대체되며, 방향키 ②는 첫 째 단어 如有로 대체된다. 任一과 如有는 한자 방향키 역할을 하지만, 이것들의 입력은 터치를 통해 가장 첫 번째 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 한자 방향키는 색깔이나 서체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위에서 예시된 표에 의하면, 木문자체계에 따라 20단어 배열과 8개 방향키를 설정할 때, 최대 180단어까지 4회 이내에 입력할 수 있으므로 입력이 매우 빨라진다. 즉, 180단어까지 입력하면 20단어 × 3회 = 60회; 160단어 × 4회 = 640회로써 평균 700회/180단어 = 3.9회가 된다. 종래 휴대폰은 디스플레이되는 단어를 최대 50개로 제한하고 있으며 단어를 늘릴수록 입력평균이 크게 높아진다. 또한, 종래 휴대폰에 단어를 많이 늘릴 수는 있으나 빈도순 배열로 직관적인 검색이 어렵기 때문에 단어목록을 제한할 수밖에 없다. 木문자체계는 구현방식과 단어배열, 방향키 설정 등의 사정에 따라 유연하게 단어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木문자체계는 종래 휴대폰과 달리 단어 숫자에 따라 입력 평균의 편차가 거의 없다. 어떤 목록이든지 직관적인 검색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표의문자인 한자는 문자소의 개념이 없으므로 표음문자와 유사한 문자체계로 검색하고 입력하는 것이 불완전하다고 인식되고 있다. 본 발명은 한자를 검색하고 입력하기 위한 문자체계의 개발이 핵심이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대한 공통된 문제점을 포괄적으로 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국, 대만, 일본, 한국은 한자의 검색과 입력을 위해 보조수단으로 각각 알파벳, 주음부호, 카나문자, 한글을 사용하고 있다. 이 보조수단들은 발음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다.
<실시예6>
총획검색에 木문자체계를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면, 전통적인 총획검색은 1) 찾고자 하는 한자의 총획을 세는 단계, 2) 총획목록에서 찾는 단계, 3) 확인한 페이지를 찾아가는 단계를 거친다.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는 부수배열로 되어 있으나 총획의 관점에서 보면 1획의 一(4E00)에서 64획의
Figure 112015501026329-pat00275
(02A6A5)의 범위 안에 포함된다. 총획을 센 이후의 한자목록 검색의 역사적인 통일기준이 없으므로 모든 자전과 사전의 검색이 어렵다. 하지만, 木문자체계에 따라 역사적인 모든 자료의 총획검색을 통일시키면 총획을 센 이후의 검색이 용이해진다.
진화된 총획검색은 2단계를 개량하여 총획의 보조수단으로 오필획(一,
Figure 112015501026329-pat00276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77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78
, 乙)을 사용하고 있다. 한어대사전처럼 수만 개 한자의 총획목록 검색을 위해 오필획 × 오필획 = 25 단위로 확대하여 검색해야 한다. 하지만 木문자체계는 어떠한 보조수단도 없이 원하는 한자를 독자적이고 직관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실시예7>
필획입력법은 상기 진화된 총획검색의 보조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오필획(一,
Figure 112015501026329-pat00279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80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81
, 乙)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종래 휴대폰에서 木을 입력할 경우 一,
Figure 112015501026329-pat00282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83
,
Figure 112015501026329-pat00284
의 필획을 순차적으로 나열하면 机本想
Figure 112015501026329-pat00285
Figure 112015501026329-pat00286
Figure 112015501026329-pat00287
이 된다. 木문자체계는 기존 필획입력방식의 비효율성 때문에 빈도순 배열을 사용하지 않는다. 종래 휴대폰의 한자를 木문자체계로 배열하면, 本
Figure 112015501026329-pat00288
相想机
Figure 112015501026329-pat00289
이 될 뿐 아니라 스마트폰의 화면크기에 따라 50자 이상 실어도 직관적인 검색이 되므로 입력의 효율성이 높아진다.
모든 한자는 단자(單字)를 나열과 조합으로 입력할 수 있다. 문자소의 나열숫자는 IT기기의 사정에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서작업 또는 문자메시지 등의 한자를 입력함에 있어, 도 46처럼 디스플레이 창에 나열과 조합을 활용하면 단어와 문장을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단어와 문장입력은 문자소를 항상 1개씩만 나열하도록 한다. 단자입력, 단어와 문장입력을 한 화면에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7처럼 단자
Figure 112015501026329-pat00290
과 단어 一百五日을 똑같이 나열로 표시하여 입력할 수 있고, 도 48처럼 단자
Figure 112015501026329-pat00291
과 단어 一百五日을 각각 조합과 나열로 표시하여 입력할 수 있다. 한자의 조합 입력의 예를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재인용하면, 모든 한자를 한글의 ㅅ(s)
Figure 112015501026329-pat00292
소(so)
Figure 112015501026329-pat00293
송(song)처럼 조합으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한자를 조합으로 직접 입력하면, 병음 사용 때문에 한자쓰기를 점점 잊어가는 현상, 즉 한자기억상실증(Chinese character amnesia)을 예방할 수 있다.
<실시예8>
필기입력법은 한자를 필기하여 한자목록에서 원하는 한자를 찾아 입력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木
Figure 112015501026329-pat00294
朮求本未來末米
Figure 112015501026329-pat00295
10자는 배열의 규칙성이 없지만, 木문자체계로 정리하면 末未木本來
Figure 112015501026329-pat00296
Figure 112015501026329-pat00297
求米와 같이 논리적인 배열이 될 뿐 아니라 PC의 큰 화면에서는 수 백 자의 한자를 실을 수 있다. 수 천 자의 목록이라도 영어사전처럼 정확하게 검색하여 입력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필기입력법들은 한자의 숫자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검색이 어려워지므로 입력이 더욱 더 힘들어진다.
<실시예9>
키보드 없이 오로지 검색을 통한 화면이동만으로도 木문자체계에 의한 모든 한자목록을 검색하여 입력할 수 있다. 터치의 수단은 마우스, 손가락, 레이저나 스타일러스펜, 생각이나 눈동자의 움직임 등 다양할 수 있다. 여기서 한자의 예시 대상은 간체자로 한정되고 있지만, 번체자를 비롯한 이체자와 약자, 속자 등 어떤 한자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디스플레이 화면은 일반적인 모니터뿐만 아니라 스크린 등 화면을 시각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모든 것에 적용할 수 있다. 허공을 화면으로 구현하여 시각적으로 드러나게 하여도 레이저 같은 도구로 검색 및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木문자체계의 문자소를 화면의 사정에 따라 수십 자 내지 수백 자를 거느리는 대표단축한자들을 배치하면, 바로 지름길처럼 직행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검색 및 입력할 수 있다. 木문자체계는 영어알파벳 문자체계와 동일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한자를 정보통신단말에 입력하는 한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木' 문자를 기반으로 한 획순체계 중 一,
    Figure 112016028020261-pat00298
    ,
    Figure 112016028020261-pat00299
    ,
    Figure 112016028020261-pat00300
    로 이루어진 각 획을 기본 문자소로 하고, 상기 기본 문자소로부터 연속하여 변형이 이루어지는 문자소들을 할당한 복수의 키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키들의 단수 또는 복수 조작으로 해당하는 문자소를 시계열 순으로 입력하기 위한 문자키;
    상기 문자키의 조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문자소들 또는 한자들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선택키;
    문자소들과 문자소들 중 선택한 적어도 둘 이상의 문자소들이 설정 순서에 따라 결합된 문자들 및 한자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문자키로 입력된 문자소, 적어도 둘 이상 문자소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문자 및 한자 및 상기 선택키에 의해 선택된 한자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색하여 생성시키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문자키를 통해 입력된 문자소, 상기 선택키에서 선택된 문자 또는 한자,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문자소, 문자, 한자의 표출이 이루어지는 표시부; 를 포함하되,
    상기 문자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한자를 모두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방향키의 입력에 의해 표시되지 않은 나머지 한자들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방향키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한자에 할당되는 한자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키는 상기 一,
    Figure 112015501026329-pat00301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02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03
    로 이루어진 네 개의 기본 문자소들 또는 상기 기본 문자소들 중 '一' 를 대표로 하여 획의 시작과정에서 진행방향이 같은
    Figure 112015501026329-pat00304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05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06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07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08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09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10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11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12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13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14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15
    로 이루어진 문자소 1그룹과,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16
    ' 를 대표로 하여 획의 시작과정에서 진행방향이 같은
    Figure 112015501026329-pat00317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18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19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20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21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22
    로 이루어진 문자소 2그룹과,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23
    ' 를 대표로 하여 획의 시작과정에서 진행방향이 같은
    Figure 112015501026329-pat00324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25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26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27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28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29
    로 이루어진 문자소 3그룹 및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30
    ' 를 대표로 하여 획의 시작과정에서 진행방향이 같은
    Figure 112015501026329-pat00331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32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33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34
    로 이루어진 문자소 4그룹으로 구분한 배치를 이루며, 이에 따른 28개의 각 문자소가 각각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소는 상기 一,
    Figure 112015501026329-pat00335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36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37
    의 기본 문자소를 대표로 하는 각 문자소 그룹 중 상기 문자소 1그룹에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38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39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40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41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42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43
    )로 이루어진 제 1 확장 문자소 그룹과, 상기 문자소 2그룹에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44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45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46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47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48
    )로 이루어진 제 2 확장 문자소 그룹, 상기 문자소 3 그룹에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49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50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51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52
    )로 이루어진 제 3 확장 문자소 그룹 및 상기 문자소 4 그룹에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53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54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55
    )로 이루어진 제 4 확장 문자소 그룹으로 확장되고, 상기 제 1 내지 4 확장 문자소 그룹의 각 문자소는 상기 각 문자키들에 복수의 조작으로 입력되게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문자소 내지 상기 제 1 내지 4 확장 문자소 그룹에 이르는 각 문자소는 상기 기본 문자소 一,
    Figure 112015501026329-pat00356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57
    ,
    Figure 112015501026329-pat00358
    의 기울기, 길이, 가획 및 돌출원리를 적용하여 구분하고, 이들이 할당된 상기 문자키의 조작 순서에 따라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키의 입력에 의해 표시되는 나머지 한자들은 상기 방향키에 할당된 한자가 첫 번째 한자가 되는 다수의 한자들을 포함하는 한자 입력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다수의 한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자를 단축키로 할당하고, 상기 단축키를 선택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단축키에 해당하는 한자로 시작하는 다수의 한자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다수의 한자 중에서 선택키에 의해 선택된 한자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한자 입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가 할당된 한자는 나머지 다른 한자와 구별되도록 표시되는 한자 입력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키에서 다수의 문자소가 순차적으로 입력될 때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문자소의 입력단계마다 해당 문자소들이 결합된 조합 문자로 표시되는 한자 입력장치.
  11. 한자를 정보통신단말에 입력하는 한자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항, 제2항, 제3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한자 입력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문자키를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필순에 따라 해당 문자소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제1단계;
    상기 문자키들의 조작으로 해당 문자소가 순차적으로 입력될 때마다 입력된 문자소들이 서로 결합된 문자로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2단계;
    상기 해당 문자소들이 설정된 순서에 따라 결합된 문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3단계;
    상기 표시된 한자 중 입력할 한자를 선택하는 제4단계;
    상기 선택된 한자를 발생시켜 상기 정보통신단말에 입력되도록 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한자 입력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입력할 한자의 필순에 따라 문자소가 입력되는 단계마다 기입력된 문자소와 결합된 새로운 문자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한자 입력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이후에,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자 중 특정 한자에 단축키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한자 입력과정 중 상기 할당된 단축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단축키에 대응하는 한자로 시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한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한자 입력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한자를 모두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 방향키가 입력되면 표시되지 않은 나머지 한자들을 추가로 표시하도록 하는 한자 입력방법.
  15. 한자를 정보통신단말에 입력하는 한자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한자를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항, 제2항, 제3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한자 입력장치와 검색키를 구비하고,
    상기 문자키를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필순에 따라 해당 문자소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제1단계;
    상기 문자키들의 조작으로 해당 문자소가 순차적으로 입력될 때마다 입력된 문자소들이 서로 결합된 문자로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2단계;
    상기 해당 문자소들이 설정된 순서에 따라 결합된 문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3단계;
    상기 표시된 한자 중 입력할 한자를 선택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선택된 한자에 대하여 상기 검색키의 입력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한자의 세부정보를 검색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되,
    한자 검색에 따른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문자소가 결합된 문자를 포함하는 한자를 상기 표시부에 모두 표시할 수 없는 경우 방향키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방향키의 입력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지 않은 나머지 다른 한자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키의 입력에 의해 표시되는 나머지 한자들은 상기 방향키에 할당된 한자가 첫 번째 한자가 되는 다수의 한자들을 포함하는 한자 검색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다수의 한자 중 특정 한자에 단축키가 설정되고 상기 단축키가 선택되면, 상기 단축키에 해당하는 한자로 시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자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한자 검색방법.
KR1020150041742A 2014-03-25 2015-03-25 한자 입력장치와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자 검색방법 KR101657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4541 2014-03-25
KR1020140034541 2014-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329A KR20150111329A (ko) 2015-10-05
KR101657886B1 true KR101657886B1 (ko) 2016-09-30

Family

ID=54195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742A KR101657886B1 (ko) 2014-03-25 2015-03-25 한자 입력장치와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자 검색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102779A1 (ko)
JP (1) JP2017509080A (ko)
KR (1) KR101657886B1 (ko)
CN (1) CN106133654A (ko)
WO (1) WO20151475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8050B1 (ja) * 2015-01-24 2015-12-02 株式会社インビオ キー入力表示装置、キー入力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キー入力表示方法
KR101872879B1 (ko) 2017-09-18 2018-07-3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자 입력용 키보드
KR20190094777A (ko) * 2018-02-06 2019-08-14 김태균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
KR102263607B1 (ko) * 2019-05-15 2021-06-09 박인기 한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N110244857A (zh) * 2019-05-24 2019-09-1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汉字串统计方法及系统
KR102555122B1 (ko) * 2020-12-03 2023-07-12 정석근 한자 사전 기록 매체와, 한자 사전 기록 매체에서 한자를 검색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553B1 (ko) * 2005-04-28 2007-02-28 박인기 3열 4행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0903A (en) * 1986-10-27 1991-02-05 Bestfont Ltd. Method for storing Chinese character description information in a character generating apparatus
US5212769A (en) * 1989-02-23 1993-05-18 Ponte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chinese characters
DE60003521T2 (de) * 1999-01-04 2004-05-13 Zi Technology Corporation Ltd. Texteingabesystem für ideographische sprachen
US6562078B1 (en) * 1999-06-29 2003-05-13 Microsoft Corporation Arrangement and method for inputting non-alphabetic language
KR100702483B1 (ko) * 2003-08-28 2007-04-02 최홍규 한자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43856B1 (ko) 2005-03-31 2006-11-10 박인기 정보통신단말기의 한자입력방법 및 입력장치
CN101122817B (zh) * 2006-08-08 2011-07-06 邓桂成 一种基于交互式显示界面的汉字输入方法
KR100757372B1 (ko) 2006-09-29 2007-09-11 박인기 표의문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20080096481A (ko) * 2007-04-27 2008-10-30 오의진 한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913962B1 (ko) * 2007-05-14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WO2011143808A1 (en) * 2010-05-18 2011-11-24 Nokia Corporation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apparatus, and associated memory medium
KR20130060862A (ko) * 2011-11-30 2013-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553B1 (ko) * 2005-04-28 2007-02-28 박인기 3열 4행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33654A (zh) 2016-11-16
KR20150111329A (ko) 2015-10-05
US20170102779A1 (en) 2017-04-13
WO2015147549A1 (ko) 2015-10-01
JP2017509080A (ja)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886B1 (ko) 한자 입력장치와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자 검색방법
KR101791929B1 (ko)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KR100662553B1 (ko) 3열 4행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CN102449579A (zh) 一体式中文字输入方法
CN101414213A (zh) 人类语言、文字、符号点划式人机界面
CN117519493B (zh) 基于10键键盘及应用于小屏电子设备的全拼输入法
KR101036903B1 (ko)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문자 입출력 장치
CN109844695B (zh) 字符输入装置
WO2006104322A1 (en)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using chinese alphabet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JP2002534733A (ja) 表意文字言語および非表意文字言語用テキスト入力システム
KR102459508B1 (ko) 일본어 문자 입력기 및 입력 방법
US20150185868A1 (en) Brahmi phonemics based keyboard for providing textual inputs in indian languages
KR102263607B1 (ko) 한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517029B1 (ko) 한국어 자모 입력방법
JP2002207728A (ja) 表音文字生成装置及びそれ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120080474A (ko) 선긋기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KR20130004648A (ko) 터치스크린패널기기에서의 문서편집기능이 있는 다국어 문자입력장치
KR101304352B1 (ko) 스크린 자판상에서 연속된 방향성드래그에 의한 한국어 음절 입력 방법
KR101355377B1 (ko) 스크린 자판상에서의 끊어지지 않는 연속된 드래그에 의한 한국어 음절 입력방법
KR20030008254A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WO2019156386A1 (ko)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
KR20090077086A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36435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어 입력방법
KR100638585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상기 문자 입력 장치에서의 문자 입력방법
KR101228079B1 (ko) 터치스크린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