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607B1 - 한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한자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607B1
KR102263607B1 KR1020190056924A KR20190056924A KR102263607B1 KR 102263607 B1 KR102263607 B1 KR 102263607B1 KR 1020190056924 A KR1020190056924 A KR 1020190056924A KR 20190056924 A KR20190056924 A KR 20190056924A KR 102263607 B1 KR102263607 B1 KR 102263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nese
character
characters
chinese characters
arran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2070A (ko
Inventor
박인기
Original Assignee
박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기 filed Critical 박인기
Priority to KR1020190056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607B1/ko
Publication of KR20200132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한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는 木문자체계를 구성하는 一,
Figure 112019049660661-pat00333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34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35
를 한자 구성의 최소 분절단위인 기본 문자소로 설정하고, 설정된 기본 문자소를 포함한 다수의 문자소를 키 상에 할당하여 키의 입력에 의해 문자소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부, 다수의 문자소, 및 다수의 문자소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문자, 및 다수의 문자소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한자를 저장하되, 다수의 한자를 배열에 따라 상하배열 및 좌우배열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상하배열 및 좌우배열 중 어느 하나의 배열을 선택 받는 배열 선택부, 및 선택된 배열 및 입력된 문자소에 따라 저장된 다수의 문자소, 다수의 문자, 및 다수의 한자 중 어느 하나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한자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한자를 입력하는 장치 및 방법과 관련된다.
한자를 컴퓨터나 휴대단말 등의 IT 기기에 입력하기는 쉽지 않다. 한글이나 알파벳은 글자의 구성요소, 즉 자음과 모음이 정해져 있으므로 자음과 모음을 키패드, 키보드 등에 할당하여 입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지만, 한자는 표의문자로서 글자의 특성상 특정한 규칙에 의해 문자가 구성되어 있지 않고 글자의 개수도 무수히 많기 때문에 키보드나 키패드 등에 직접 표시하여 입력하는 것은 어렵다. 특히, 한자는 구성요소인 부수가 매우 많고 거의 대부분의 한자가 부수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나 그 결합의 구조가 규칙적이지 않아 한자를 일정한 규칙에 의해 입력되도록 기술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한자의 모든 필획을 분석하여 한자 구성의 최소 단위인 문자소를 다수 개 설정하고, 그 문자소의 집합을 木 문자체계로 설정하며, 문자소의 결합을 통해 한자를 입력 및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는, 木문자체계를 구성하는 一,
Figure 112019049660661-pat00001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02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03
를 한자 구성의 최소 분절단위인 기본 문자소로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기본 문자소를 포함한 다수의 문자소를 키 상에 할당하여 상기 키의 입력에 의해 문자소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부, 상기 다수의 문자소, 및 상기 다수의 문자소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문자, 및 상기 다수의 문자소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한자를 저장하되, 상기 다수의 한자를 배열에 따라 상하배열 및 좌우배열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상하배열 및 상기 좌우배열 중 어느 하나의 배열을 선택 받는 배열 선택부, 및 선택된 상기 배열 및 입력된 상기 문자소에 따라 저장된 상기 다수의 문자소, 상기 다수의 문자, 및 상기 다수의 한자 중 어느 하나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는, 상기 다수의 문자소, 상기 다수의 문자, 및 상기 다수의 한자 중 어느 하나가 발생되는 경우, 저장된 상기 다수의 한자 중 발생된 문자소, 문자, 또는 한자로 시작되는 한자들을 출력하는 한자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출력된 상기 한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는 한자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자 출력부는, 저장된 상기 다수의 한자 중 발생된 문자소, 문자, 또는 한자로 시작되는 한자들이 다수 존재하는 경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존재하는 상기 한자들을 정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한자 출력부는, 저장된 상기 다수의 한자 중 발생된 문자소, 문자, 또는 한자로 시작되는 한자들이 다수 존재하고, 존재하는 상기 한자들 중 일부 한자들이 상기 한자 선택부를 통해 기 선택된 적이 있는 경우, 존재하는 상기 한자들을 상기 한자 선택부를 통해 기 선택된 횟수에 따라 정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문자소는,
Figure 112019049660661-pat00004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05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06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07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08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09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10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11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12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13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14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15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16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17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18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19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20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21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22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23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24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25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26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27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28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29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30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31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32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33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34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35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36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37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38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39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40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41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42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43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44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45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46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47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48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49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50
, 및
Figure 112019049660661-pat00051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문자소는, 상기 기본 문자소의 기울기, 길이, 가획 및 돌출 원리를 적용하여 상기 기본 문자소로부터 각각 확장되며, 상기 기본 문자소의 순서 및 필순을 동시에 적용하여 그 순서가 결정되고, 결정된 상기 순서에 따라 상기 키에 차례로 할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한자 입력 방법은 木문자체계를 구성하는 一,
Figure 112019049660661-pat00052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53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54
를 한자 구성의 최소 분절단위인 기본 문자소로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상기 기본 문자소를 포함한 다수의 문자소, 상기 다수의 문자소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문자, 및 상기 다수의 문자소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한자를 저장하되, 상기 다수의 한자를 배열에 따라 상하배열 및 좌우배열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상하배열 및 상기 좌우배열 중 어느 하나의 배열을 선택 받는 단계, 상기 다수의 문자소를 키 상에 할당하여 상기 키의 입력에 의해 상기 문자소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배열 및 입력된 상기 문자소에 따라 저장된 상기 다수의 문자소, 상기 다수의 문자, 및 상기 다수의 한자 중 어느 하나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木 문자체계를 이용하여 한자를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한자를 상하배열과 좌우배열로 분류하여 저장함으로써, 한자 입력 또는 한자 검색의 효율 및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한자를 상하배열과 좌우배열로 분류하여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한자의 각 구성요소의 위치를 인지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한자기억상실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한자의 순서를 배열함으로써, 한자 입력 또는 한자 검색의 효율 및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문자소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문자소의 교차관계 및 대면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문자소에서 기울기 원리에 따라 확장된 문자소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문자소에서 길이 원리에 따라 확장된 문자소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문자소에서 가획 원리에 따라 확장된 문자소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문자소에서 돌출 원리에 따라 확장된 문자소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문자소로부터 확장된 문자소들을 정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木문자체계의 조감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에서 상하배열로 분류하는 한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에서 좌우배열로 분류하는 한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출력부에서 각 한자들을 정렬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강희자전 214부수와 木문자체계 배열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강희자전 214부수의 木문자체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니코드 한중일 부수보충과 木문자체계 배열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니코드 한중일 부수보충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木문자체계에서의 부수통합 배열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강희자전 페이지정보 木문자체계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한어대자전 페이지정보 木문자체계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한어대사전 페이지정보 木문자체계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대한화사전 페이지정보 木문자체계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부수 유니코드 번호 정보에 대응되는 木문자체계를 나타낸 도면
도 2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A 부수 유니코드 번호 정보에 대응되는 木문자체계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B 부수 유니코드 번호 정보에 대응되는 木문자체계를 나타낸 도면
도 2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一(한 일) 부수목록을 나타낸 도면
도 2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A 一(한 일) 부수목록을 나타낸 도면
도 2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B 一(한 일) 부수목록을 나타낸 도면
도 2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一(한 일) 부수목록 통합 木문자체계를 나타낸 도면
도 3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一(한 일) 부수목록 통합 木문자체계를 나타낸 도면
도 31은 종래 휴대폰에 출현하는 간체자의 병음목록을 나타낸 도면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종래 휴대폰과 木문자체계 비교하기 위한 도면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 휴대폰과 木문자체계의 人 2음절어 비교 하기 위한 도면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종래 휴대폰과 木문자체계의 2음절어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나열형과 조합형의 기준 도면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나열형 예시 도면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조합형 예시 도면
도 38 내지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에서 다수의 문자소를 키에 할당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한자 입력 방법의 흐름도
도 4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문자소(grapheme)란 한자를 구성하는 최소 분절단위의 문자를 의미할 수 있으며, 木문자체계를 구성하는 一,
Figure 112019049660661-pat00055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56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57
문자가 기본 문자소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본 문자소를 토대로 문자소를 확장시킬 수 있으며, 이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모든 한자는 하나 이상의 문자소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문자소의 입력을 통해 모든 한자를 입력 및 검색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의로부터 한자의 입력 및 검색방식을 위한 문자소의 체계를 ‘木문자체계’라 칭하며, 본 발명에 따른 木문자체계에서의 문자소는 모두 1획으로 한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100)는 木 문자체계를 이용하여 한자를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문자 입력부(102), 저장부(104), 배열 선택부(106), 및 제어부(108)를 포함한다.
문자 입력부(102)는 木문자체계를 구성하는 一,
Figure 112019049660661-pat00058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59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60
를 한자 구성의 최소 분절단위인 기본 문자소로 설정하고, 설정된 기본 문자소를 포함한 다수의 문자소를 키 상에 할당하여 키의 입력에 의해 문자소를 입력한다.
이때, 다수의 문자소는 기본 문자소의 기울기, 길이, 가획 및 돌출 원리를 적용하여 기본 문자소로부터 각각 확장되며, 예를 들어,
Figure 112019049660661-pat00061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62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63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64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65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66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67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68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69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70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71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72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73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74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75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76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77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78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79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80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81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82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83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84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85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86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87
, 및
Figure 112019049660661-pat00088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문자소는 기본 문자소의 순서 및 필순을 동시에 적용하여 그 순서가 결정되고, 결정된 순서에 따라 키에 차례로 할당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문자소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一,
Figure 112019049660661-pat00089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90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91
는 木문자체계를 구성하는 기본 문자소로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문자소의 교차관계 및 대면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一와 의 교차관계는 十으로,
Figure 112019049660661-pat00092
Figure 112019049660661-pat00093
의 대면관계는 八로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문자소에서 기울기 원리에 따라 확장된 문자소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문자소에서 길이 원리에 따라 확장된 문자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문자소에서 가획 원리에 따라 확장된 문자소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문자소에서 돌출 원리에 따라 확장된 문자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Figure 112019049660661-pat00094
는 기울기 원리에 따라 삐침 정도에 의해 3가지로 확장될 수 있으며,
Figure 112019049660661-pat00095
Figure 112019049660661-pat00096
는 길이 원리에 따라 길이 정도에 의해 각각 1개씩 확장될 수 있다. 또한, 一은 가획 원리에 따라 1차 내지 3차 가획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가획된 문자소들은 돌출 원리에 따라 각각 1개씩 확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본 문자소들은 상술한 원리들에 의해 확장될 수 있으며, 이를 정리하면 도 8과 같다. 도 8을 참조하면, 기본 문자소들은
Figure 112019049660661-pat00097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98
,
Figure 112019049660661-pat00099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00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01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02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03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04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05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06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07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08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09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10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11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12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13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14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15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16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17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18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19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20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21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22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23
, 및
Figure 112019049660661-pat00124
과 같은 문자소들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木문자체계의 문자소를 순차적으로 배열하되 영어 알파벳 26개와 대칭 관계를 이루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대칭관계를 정리하면 도 9와 같다. 한자 입력 장치(100)는 이러한 대칭 관계를 이용함으로써 알파벳 26개에 대칭하는 문자소를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키보드 등에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알파벳에 대칭되는 문자소의 입력을 통해 문자 및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非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非의 문자소에 대칭되는 알파벳 VAABKAAA의 키를 누르면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문자소의 경우 유니코드 70,000여 자의 한, 중, 일 통합 한자를 포함하고, 이체자, 약자, 속자 등을 망라한 10여 만 자에서 유의미한 문자소로 확장되되, 예를들어,
Figure 112019049660661-pat00125
(A),
Figure 112019049660661-pat00126
(B1),
Figure 112019049660661-pat00127
(b2),
Figure 112019049660661-pat00128
(B3),
Figure 112019049660661-pat00129
(C),
Figure 112019049660661-pat00130
(D1),
Figure 112019049660661-pat00131
(D2),
Figure 112019049660661-pat00132
(D3),
Figure 112019049660661-pat00133
(E),
Figure 112019049660661-pat00134
(F),
Figure 112019049660661-pat00135
(G), 乙(H),
Figure 112019049660661-pat00136
(I1),
Figure 112019049660661-pat00137
(I2),
Figure 112019049660661-pat00138
(I3),
Figure 112019049660661-pat00139
(I4),
Figure 112019049660661-pat00140
(I5),
Figure 112019049660661-pat00141
(I6),
Figure 112019049660661-pat00142
(J),
Figure 112019049660661-pat00143
(K),
Figure 112019049660661-pat00144
(L),
Figure 112019049660661-pat00145
(M),
Figure 112019049660661-pat00146
(N1),
Figure 112019049660661-pat00147
(N2),
Figure 112019049660661-pat00148
(N3),
Figure 112019049660661-pat00149
(O),
Figure 112019049660661-pat00150
(P1),
Figure 112019049660661-pat00151
(P2),
Figure 112019049660661-pat00152
(P3),
Figure 112019049660661-pat00153
(P4),
Figure 112019049660661-pat00154
(Q),
Figure 112019049660661-pat00155
(R),
Figure 112019049660661-pat00156
(S),
Figure 112019049660661-pat00157
(T1),
Figure 112019049660661-pat00158
(T2),
Figure 112019049660661-pat00159
(T3),
Figure 112019049660661-pat00160
(U1),
Figure 112019049660661-pat00161
(U2),
Figure 112019049660661-pat00162
(U3),
Figure 112019049660661-pat00163
(V),
Figure 112019049660661-pat00164
(W),
Figure 112019049660661-pat00165
(X),
Figure 112019049660661-pat00166
(Y1),
Figure 112019049660661-pat00167
(Y2),
Figure 112019049660661-pat00168
(Z1),
Figure 112019049660661-pat00169
(Z2), ㅇ(Z3) 와 같이 47개의 문자소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47개의 확장된 문자소는 자판이나 키패드 등의 장치에 따라 문자소의 개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28개 문자소 각각에 명칭이 부여될 수 있다. 이때, 28개 문자소의 종성에 ㄱ, ㄴ, ㄹ, ㅁ, ㅂ, ㅇ 이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4개의 기본 문자소의 초성 음소는 자음으로 시작되고 각각 ㄱ[g], ㄷ[d], ㅅ[s]/ㅈ[
Figure 112019049660661-pat00170
], ㅊ[
Figure 112019049660661-pat00171
]이 된다. 하위 문자소들은 초성 음소를 공유하며, 이를 통해 하나의 집단임을 나타내게 한다. 또한, 기본 문자소 4개 명칭의 각각 끝은 ㅣ[i]의 운율 즉, 기[gi], 디[di], 지[
Figure 112019049660661-pat00172
i], 치[
Figure 112019049660661-pat00173
i]로 하며, 기본 문자소 4개 집단을 가르는 운율이 된다.
이와 같은 문자소 명칭의 제정원칙에 따라 도 9에서와 같이 가, 각, 간, 갈, 감, 갑, 강, 고, 곡, 골, 공, 기, 다, 닥, 달, 당, 도, 디, 상, 자, 장, 조, 종, 지, 차, 찰, 초, 치로 각 문자소에 명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총체적 제자원리를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木문자체계가 완성되는 것이다.
문자 입력부(102)는 상술한 방법으로 설정된 다수의 문자소를 설정하고, 설정된 문자소를 키 상에 할당하여 키의 입력에 의해 문자소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키는 예를 들어 키보드, 캐피드 등의 키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04)는 다수의 문자소, 및 다수의 문자소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문자, 및 다수의 문자소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한자를 저장하되, 다수의 한자를 배열에 따라 상하배열 및 좌우배열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04)는 다수의 문자소, 문자소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한자 외에 문자 입력부(102)를 통해 문자소가 연속적으로 입력될 때마다 연속적으로 입력된 문자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문자 또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木을 입력하기 위해 一,
Figure 112019049660661-pat00174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75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76
의 문자소를 차례로 입력하는 경우 一, 十,
Figure 112019049660661-pat00177
, 木가 순차적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저장부(104)는 이러한 문자소, 문자, 한자를 모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04)는 그 외로 각 한자별 음, 뜻, 의미, 예문 등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04)는 예를 들어, 한자 입력 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 SSD(Solid State Driver),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메모리카드 등)과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데이터베이스에 다수의 문자소, 다수의 문자, 및 다수의 한자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04)는 i) 春, 木, 又,
Figure 112019049660661-pat00178
과 같이 첫 획이 상하 필순일 경우, ii) 目, 牛, 月, 冠과 같이 첫 획이 왼쪽 아래로 시작되거나 왼쪽에 위치하더라도 하나의 한자일 경우, iii) 上, 堂,
Figure 112019049660661-pat00179
, 兆, 立과 같이 첫 획을 가운데부터 쓰는 경우, iv) 冊, 必, 州,
Figure 112019049660661-pat00180
과 같이 첫 획이 왼쪽에서 시작하더라도 하나의 한자로 인식되는 경우, v)
Figure 112019049660661-pat00181
, 羽,
Figure 112019049660661-pat00182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83
과 같은 부수는 좌우 결합의 한자처럼 보이지만 하나의 한자로서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의 한자는 상하배열의 한자로 분류하고, 그 외 한자(예를 들어, 起, 打, 矜 ,限 과 같이 왼쪽에 부수가 첨가되거나 期, 郁, 刷, 乳과 같이 오른쪽에 부수가 첨가되는 경우의 한자 등)는 상하배열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04)에서 상하배열로 분류하는 한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04)에서 좌우배열로 분류하는 한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도면을 참조하면 저장부(104)는 다수의 한자를 상하배열 또는 좌우배열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04)는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한자를 자동으로 분류하여 저장하거나, 한자 저장시 한자의 배열에 대한 정보를 함께 입력 받음으로써 한자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배열 선택부(106)는 사용자로부터 상하배열 및 좌우배열 중 어느 하나의 배열을 선택 받는다. 예를 들어, 배열 선택부(106)는 사용자로 상하배열 및 좌우배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배열을 선택 받거나, 하나의 키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해당 키를 선택할 때마다 배열이 상하배열 및 좌우배열 중 하나로 번갈아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08)는 배열 선택부(106)를 통해 선택된 배열 및 문자 입력부(102)를 통해 입력된 문자소에 따라 저장부(104)에 저장된 다수의 문자소, 다수의 문자, 및 다수의 한자 중 어느 하나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때, 발생된 문자소, 문자, 또는 한자는 한자 입력 장치(100)에 입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8)는 사용자가 다수의 문자소를 연속적으로 입력하여 특정 한자가 발생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한자를 선택할지 여부를 추가로 입력 받아 그 후로 입력되는 문자소는 다른 한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소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08)는 사용자가 다수의 문자소를 연속적으로 입력하여 특정 한자가 발생된 경우, 그 후로 입력되는 문자소는 다른 한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소로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08)는 저장부(104)에 저장된 다수의 문자 및 다수의 한자 중 배열 선택부(106)를 통해 선택된 배열 및 문자 입력부(102)를 통해 입력된 문자소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한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마지막으로 입력된 문자소의 입력을 삭제하고, 사용자로 문자소 삭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8)는 저장부(104)에 저장된 다수의 문자 및 다수의 한자 중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소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한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문자소를 잘못 입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08)는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입력한 문자소의 입력을 삭제하고, 사용자로 해당 문자소가 삭제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200)는 한자 출력부(202) 및 한자 선택부(2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자 출력부(202)는 제어부(108)를 통해 다수의 문자소, 다수의 문자, 및 다수의 한자 중 어느 하나가 발생되는 경우, 저장부(104)에 저장된 다수의 한자 중 발생된 문자소, 문자, 또는 한자로 시작되는 한자들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8)를 통해 기본 문자소인 木이 발생되는 경우, 한자 출력부(202)는 저장부(104)에 저장된 한자들 중 木로 시작되는 한자들(예를 들어, 木, 本, 林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한자 출력부(202)는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CD),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출력 기능을 구비한 장치를 통해 한자들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한자 선택부(204)는 사용자로부터 한자 출력부(202)를 통해 출력된 한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을 수 있다.
한자 출력부(202)는 저장부(104)에 저장된 다수의 한자 중 제어부(108)를 통해 발생된 문자소, 문자, 또는 한자로 시작되는 한자들이 다수 존재하는 경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다수의 한자들을 정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조건은 한자 입력 장치(100)의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예를 들어, 저장부(104)에 저장된 순서, 한자의 획 수, 한자의 사용 빈도 등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한자들 중 일부 한자들이 한자 선택부(204)를 통해 기 선택된 적이 있는 경우, 한자 출력부(202)는 다수의 한자들을 한자 선택부(204)를 통해 기 선택된 횟수에 따라 정렬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한자 출력부(202)는 필순이 동일하지만 시각적으로 달라보이는 한자들(이하, 시각문자소(視覺文字素))의 경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시각문자소를 정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한자 출력부(202)는 짧은 문자소를 긴 문자소보다 우선하여 정렬한다. 예를 들어, 한자 출력부(202)는 未, 末와 같이 길이의 차이가 나는 한자의 경우에는 未를 우선하며, 甲, 申와 같이 길이의 차이는 없으나 시각적으로 길이의 차이가 나는 한자(甲 보다 申의
Figure 112019049660661-pat00184
문자소가 더 길어 보임)의 경우 甲를 우선할 수 있다.
또한, 한자 출력부(202)는 삐침과 파임의 순서는 좌우가 붙어 있는 것을 우선으로 하고, 교차를 그 다음으로 하고, 분리된 것을 가장 나중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자 출력부(202)는 가로, 세로 길이와 돌출형태가 있을 때 가로길이가 돌출보다 앞서도록 할 수 있다(예:
Figure 112019049660661-pat00185
->于, 未->末, 工->土->士). 또한, 한자 출력부(202)는 세로길이와 돌출형태가 있을 때 가로길이가 돌출보다 앞서도록 할 수 있다(예: 甲->申, 田->由, 午->牛). 또한, 한자 출력부(202)는 삐침길이가 순차적으로 길어지는 모양은 짧은 것이 앞서도록 할 수 있다(예:
Figure 112019049660661-pat00186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87
->井, 元->无). 또한, 한자 출력부(202)는 刀, 力과 같이 삐침길이와 돌출형태가 있을 때에는 다음과 같이 정렬할 수 있다(刀->力, 矢->失, 天->夫). 또한, 한자 출력부(202)는 삐침길이와 교차가 분리보다 앞서도록 할 수 있다(예: 入->人->乂->八). 또한, 한자 출력부(202)는
Figure 112019049660661-pat00188
과 같은 꺽임길이도 짧은 것이 우선하도록 할 수 있다(己->已->巳). 또한, 한자 출력부(202)는 大 다음의 문자소와 王 다음의 문자소인
Figure 112019049660661-pat00189
가 미세한 차이일지라도 가깝거나 먼 관계에 놓여있는 경우 가까운 것을 우선할 수 있다(太->犬, 玉->
Figure 112019049660661-pat00190
). 또한, 한자 출력부(202)는 작아보이는 한자가 커 보이는 한자보다 우선하도록 할 수 있다(日->曰, 口->
Figure 112019049660661-pat00191
).
또한, 한자 출력부(202)는 분리된 글자와 단독 글자가 섞여있을 경우 분리된 글자는 획수순으로 하며 단독 글자는 가장 뒤에 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口, 日, 貝의 경우, 口는 3획, 日은 4획, 貝는 7획의 글자이므로
Figure 112019049660661-pat00192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93
->
Figure 112019049660661-pat00194
->貝 순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旦, 目, 且에서 旦은 분리된 글자이므로 가장 앞에 배치하고 目과 且의 순서는 가로길이에 의해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한자 출력부(202)는
Figure 112019049660661-pat00195
, 査,
Figure 112019049660661-pat00196
, 相,
Figure 112019049660661-pat00197
순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3은 한자 출력부(202)에서 각 한자들을 정렬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3에서는 상단에 위치한 한자가 한자 출력부(202)에 의해 우선적으로 정렬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한자 입력 장치(200)의 경우,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문자소를 차례대로 입력함으로써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王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一, 一,
Figure 112019049660661-pat00198
, 一을 순차적으로 입력함으로써 王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문자소가 입력될 때마다 제어부(108)은 문자소의 조합(즉, 一 -> 二 -> 干 -> 王)을 순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으며, 한자 출력부(202)는 해당 조합으로 시작되는 한자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8)는 문자소의 조합을 사용자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저장부(104)는 실제로 통용되지는 않지만 필요한 문자(예를 들어,
Figure 112019049660661-pat00199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00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01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02
등)과 같은 문자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한자의 입력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단축 입력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단축 입력부는 하나 이상의 한자를 키에 할당하고, 사용자가 해당 키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키에 할당된 한자가 바로 입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단축 입력부의 키에 할당된 한자는 한자 입력 장치(100)의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한자 입력 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변경 설정될 수 있다. 이때, 한자 입력 장치(100)는 실시예에 따라 단축 입력부의 특정 키가 선택되는 경우, 특정 키에 할당된 한자를 포함하는 한자들이 화면 전체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한자 입력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木문자체계는 종래의 한자 입력 방법들과 함께 사용되어 한자 입력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에서는 종래 한자 입력 방법인 부수검색 및 입력법, 총획검색 및 입력법, 발음검색법 등과 木문자체계를 혼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1>
부수검색법에 木문자체계를 접목할 때의 경우를 설명한다. 시대적으로 변화된 모든 부수목록에 한자를 각각 속하게 하면 부수의 변동이 발생하더라도 검색 불편이 생기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번체자 視(볼 시)를 아는 사람은 見(볼 견) 부수에서 찾으면 되고, 간체자
Figure 112019049660661-pat00203
(볼 시)를 아는 사람은
Figure 112019049660661-pat00204
(보일 시) 부수에서 찾으면 된다. 다른 예로는 번체자 軍(군사 군)을 아는 사람은 車(수레 거) 부수에서, 간체자
Figure 112019049660661-pat00205
(군사 군)을 아는 사람은
Figure 112019049660661-pat00206
(덮을 멱) 부수에서 각각 찾으면 된다. 이와 같이 소속부수를 각각 모두 반영하여 배열하면, 소속부수가 다르더라도 이미 알고 있는 부수만 알면 바로 찾아갈 수 있다.
부수검자표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강희자전 214부수를, 木문자체계에 따라 도 14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또한, 도 15처럼 부수목록을 木문자체계의 피라밋 구조로 모든 한자를 검색하면 부수검자표가 필요하지 않다. 부수검자표가 필요 없으므로 당연히 부수의 총획 의미가 사라짐과 동시에, 나머지 획을 세어 검색하는 불편이 생기지 않는다. 한, 중, 일 부수보충은 검색의 불편으로 인해 전통적인 214개 부수에서 벗어나 부수 숫자를 변동시켜 새로이 부수가 된 것들이 모인 것이다. 이것을 木문자체계에 따라 정리하면 도 16의 배열순서와 도 17의 피라밋 구조가 만들어진다.
도 18은 상기 214개 부수와 한, 중, 일 부수보충을 합체하면 그동안 변형된 모든 부수를 아우르는 부수통합목록이 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부수 소속 뿐 아니라 부수변동으로 추가된 부수에 모두 속하게 하면 자신이 알고 있는 부수만으로 검색할 수 있다. 향후 부수가 더 늘어나더라도 木문자체계에 따라 배열하면 부수검색의 아무런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참고사항으로 부수의 변동사항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모든 부수목록은 자전과 사전 같은 모든 서적에 부수 페이지 정보가 있기 때문에 검색할 수 있지만, 유니코드에서는 부수목록이 있어도 부수의 유니코드 번호정보가 없어 검색시간이 매우 길 수밖에 없다. 하지만 木문자체계는 영어 알파벳처럼 문자소로 검색할 수 있기 때문에 부수의 유니코드 번호정보를 절대로 필요로 하지 않는다. 부수목록이 있는 모든 서적뿐 아니라 유니코드에서도 영어사전 찾는 것과 동일하게 검색하고 입력할 수 있다.
유니코드 한자는 한중일 통합 한자 20,902자,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A 6,582자,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B 42,711자,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C 4,220자, 한중일 통합 호환용 한자 467자, 강희자전 부수 214자, 한중일 통합 부수 보충한자 116자, 한중일 통합 호환용 보충한자 542자 등 75,754자가 등록되어 있으며 확장-D, 확장-E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것들은 부수배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검색하기가 매우 까다롭다. 게다가 찾고자 하는 한자가 어디에 속하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 하지만 상기의 목록들을 木문자체계로 각각 정리하면 직관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게다가 각각 분리된 목록을 통합하여 전체목록을 만들면 직관적으로 검색하는 것이 훨씬 쉬워진다. 또한, 사용자가 통합된 전체목록에서 개별한자의 소속을 알고자 할 경우 사용자를 위해서 개별한자의 소속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부수검자표는 책의 종류에 따라 부수를 영어사전처럼 검색할 수가 없어 부수총획을 세느라 다소 머뭇거리게 되지만, 木문자체계에 따라 도 19 내지 도 25의 부수검자표를 정리하면 직관적인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영어사전은 책의 종류와 두께에 상관없이 어휘가 아무리 많아도 직관적으로 바로 찾을 수 있는 것처럼, 木문자체계에 의한 한자검색은 문자소 단위의 검색이기 때문에 검색시간의 차이가 없다. 한자가 무한대로 증가하더라도 검색시간의 차이가 생기지 않는다.
木문자체계의 가장 특징적인 것은 기존의 수많은 검색법을 전혀 몰라도 무한대의 한자를 문자소 단위로 검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세 부분 전체를 대신하여 一(한 일)부수를 예로 들면, 도 26, 도 27, 도 28으로 각각 배열할 수 있고 도 29와 같이 세 부분을 통합하여 정리할 수도 있다.
상기 한중일 통합 한자 3종을 통합한 一(한 일)부수를 木문자체계에 따라 도 30의 피라밋 구조로 정리할 수도 있다.
상기의 예를 통해 부수별, 부수보충, 한중일 통합 한자 종류별, 한중일 통합 한자들을 모두 포함하는 부수목록을 피라밋 구조로 검색 및 입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예2>
발음입력법에 木문자체계를 접목할 때의 내용을 설명하면, 많은 병음입력법 가운데 대표적으로 종래의 휴대폰(예: iPhone)에서의 입력법과 본 발명의 木병음입력법의 비교해 보기로 한다. 종래 휴대폰에 출현하는 간체자의 병음목록을 나타내면 도 31과 같이 모두 103자이다:
상기 103자를 木문자체계에 따르면
Figure 112019049660661-pat00207
Figure 112019049660661-pat00208
Figure 112019049660661-pat00209
溶과 같이 배열된다.
화면에서 1열마다 7자씩 4열을 만들고 좌우에 8개의 방향키를 설정하며, ① 내지 ⑧을 방향키로 설정한다. 방향키는 8개로 고정된 것이 아니며 대형 화면이라면 100개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방향키의 설정이 화면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향키는 표시할 한자가 많은 경우에 표시되지 않은 나머지 한자들을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Figure 112019049660661-pat00210
이때 28자 단위로 목록이 달라지므로 ①, ②, ③은 각각
Figure 112019049660661-pat00211
으로 대체된다. 목록한자는 검은색으로 하되 목록의 첫 대표한자가 되는 한자는 한자 밑에 화살표를 표시하거나, 밑줄을 표시할 수 있고, 원 또는 사각에 한자를 넣어서 표시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한자의 색깔을 표시하여 구분할 수도 있다.
<실시예3>
종래 휴대폰과 같이 도 32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자가 간체자 병음입력 중에 r 발음을 선택하여 입력하면 다음의 12자가 출현한다. 12자를 입력 및 구현하려면 2회와 3회가 필요하다.
木병음입력법은 r 입력시 28자가 표시되어 한자를 터치하면 2회에 입력된다. 29번째 한자부터는 한자 방향키를 통해 찾으므로 3회만에 입력된다. 木병음입력법은 최대 252자까지 3회 이내에 입력할 수 있으나, 종래휴대폰은 103자를 3회 이내에 처리하기 불가능하다.
<실시예4>
도 33은 상기 103자 중에서 가장 조어력이 많은 한자인 人을 입력한 후 1음절이 결합되는 입력의 보기이다. 이 방식에서 종래 휴대폰은 빈도순 배열과 한 개의 방향키가 사용되지만, 木병음입력법은 도 33을 보면, 木문자체계의 배열에 따른 다수 방향키의 사용으로 입력 효율성 측면에서 절대적인 격차가 생긴다.
<실시예5>
도 34의 단어입력비교는 종래 휴대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다양한 기기들의 화면크기에 따라 얼마든지 늘릴 수 있으나 현재 종래 휴대폰과 비슷한 화면크기에 적용하면, 2음절어를 5개씩 4열로 할 경우 20단어를 처리할 수 있다. ry를 2회 입력한 후 2음절어를 선택하면 3회에 입력된다. 20단어를 초과할 경우 한자 방향키를 누른 뒤 2음절어를 선택하면 4회에 입력된다.
Figure 112019049660661-pat00212
상기 103개의 한자목록에 의하면, 방향키 ①은 첫 째 단어 任一로 대체되며, 방향키 ②는 첫 째 단어 如有로 대체된다. 任一과 如有는 한자 방향키 역할을 하지만, 이것들의 입력은 터치를 통해 가장 첫 번째 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 한자 방향키는 색깔이나 서체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위에서 예시된 표에 의하면, 木문자체계에 따라 20단어 배열과 8개 방향키를 설정할 때, 최대 180단어까지 4회 이내에 입력할 수 있으므로 입력이 매우 빨라진다. 즉, 180단어까지 입력하면 20단어 × 3회 = 60회; 160단어 × 4회 = 640회로써 평균 700회/180단어 = 3.9회가 된다. 종래 휴대폰은 디스플레이되는 단어를 최대 50개로 제한하고 있으며 단어를 늘릴수록 입력평균이 크게 높아진다. 또한, 종래 휴대폰에 단어를 많이 늘릴 수는 있으나 빈도순 배열로 직관적인 검색이 어렵기 때문에 단어목록을 제한할 수밖에 없다. 木문자체계는 구현방식과 단어배열, 방향키 설정 등의 사정에 따라 유연하게 단어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木문자체계는 종래 휴대폰과 달리 단어 숫자에 따라 입력 평균의 편차가 거의 없다. 어떤 목록이든지 직관적인 검색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표의문자인 한자는 문자소의 개념이 없으므로 표음문자와 유사한 문자체계로 검색하고 입력하는 것이 불완전하다고 인식되고 있다. 본 발명은 한자를 검색하고 입력하기 위한 문자체계의 개발이 핵심이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대한 공통된 문제점을 포괄적으로 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국, 대만, 일본, 한국은 한자의 검색과 입력을 위해 보조수단으로 각각 알파벳, 주음부호, 카나문자, 한글을 사용하고 있다. 이 보조수단들은 발음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다.
<실시예6>
총획검색에 木문자체계를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면, 전통적인 총획검색은 1) 찾고자 하는 한자의 총획을 세는 단계, 2) 총획목록에서 찾는 단계, 3) 확인한 페이지를 찾아가는 단계를 거친다.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는 부수배열로 되어 있으나 총획의 관점에서 보면 1획의 一(4E00)에서 64획의 (02A6A5)의 범위 안에 포함된다. 총획을 센 이후의 한자목록 검색의 역사적인 통일기준이 없으므로 모든 자전과 사전의 검색이 어렵다. 하지만, 木문자체계에 따라 역사적인 모든 자료의 총획검색을 통일시키면 총획을 센 이후의 검색이 용이해진다.
진화된 총획검색은 2단계를 개량하여 총획의 보조수단으로 오필획(一,
Figure 112019049660661-pat00213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14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15
, 乙)을 사용하고 있다. 한어대사전처럼 수만 개 한자의 총획목록 검색을 위해 오필획 × 오필획 = 25 단위로 확대하여 검색해야 한다. 하지만 木문자체계는 어떠한 보조수단도 없이 원하는 한자를 독자적이고 직관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실시예7>
필획입력법은 상기 진화된 총획검색의 보조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오필획(一,
Figure 112019049660661-pat00216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17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18
, 乙)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종래 휴대폰에서 木을 입력할 경우 一,
Figure 112019049660661-pat00219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20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21
의 필획을 순차적으로 나열하면
Figure 112019049660661-pat00222
이 된다. 木문자체계는 기존 필획입력방식의 비효율성 때문에 빈도순 배열을 사용하지 않는다. 종래 휴대폰의 한자를 木문자체계로 배열하면,
Figure 112019049660661-pat00223
이 될 뿐 아니라 스마트폰의 화면크기에 따라 50자 이상 실어도 직관적인 검색이 되므로 입력의 효율성이 높아진다.
모든 한자는 단자(單字)를 나열형과 조합형으로 입력할 수 있다. 문자소의 나열숫자는 IT기기의 사정에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서작업 또는 문자메시지 등의 한자를 입력함에 있어, 도 35처럼 디스플레이 창에 나열형과 조합형을 활용하면 단어와 문장을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단어와 문장 입력은 문자소를 항상 1개씩만 나열하도록 한다. 단자입력, 단어와 문장 입력을 한 화면에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6처럼 단자
Figure 112019049660661-pat00224
과 단어 一百五日을 똑같이 나열형으로 표시하여 입력할 수 있고, 도 37처럼 단자
Figure 112019049660661-pat00225
과 단어 一百五日을 각각 조합형과 나열형으로 표시하여 입력할 수 있다. 한자의 조합형 입력의 예를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재인용하면, 모든 한자를 한글의 ㅅ(s)->소(so)->송(song)처럼 조합형으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한자를 조합형으로 직접 입력하면, 병음 사용 때문에 한자쓰기를 점점 잊어가는 현상, 즉 한자기억상실증(Chinese character amnesia)을 예방할 수 있다.
<실시예8>
필기입력법은 한자를 필기하여 한자목록에서 원하는 한자를 찾아 입력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Figure 112019049660661-pat00226
10자는 배열의 규칙성이 없지만, 木문자체계로 정리하면
Figure 112019049660661-pat00227
와같이 논리적인 배열이 될 뿐 아니라 PC의 큰 화면에서는 수 백 자의 한자를 실을 수 있다. 수 천 자의 목록이라도 영어사전처럼 정확하게 검색하여 입력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필기입력법들은 한자의 숫자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검색이 어려워지므로 입력이 더욱 더 힘들어진다.
<실시예9>
키보드 없이 오로지 검색을 통한 화면이동만으로도 木문자체계에 의한 모든 한자목록을 검색하여 입력할 수 있다. 터치의 수단은 마우스, 손가락, 레이저나 스타일러스펜, 생각이나 눈동자의 움직임 등 다양할 수 있다. 여기서 한자의 예시 대상은 간체자로 한정되고 있지만, 번체자를 비롯한 이체자와 약자, 속자 등 어떤 한자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디스플레이 화면은 일반적인 모니터뿐만 아니라 스크린 등 화면을 시각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모든 것에 적용할 수 있다. 허공을 화면으로 구현하여 시각적으로 드러나게 하여도 레이저 같은 도구로 검색 및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木문자체계의 문자소를 화면의 사정에 따라 수십 자 내지 수백 자를 거느리는 대표단축한자들을 배치하면, 바로 지름길처럼 직행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검색 및 입력할 수 있다. 木문자체계는 영어알파벳 문자체계와 동일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도 38 내지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100)에서 다수의 문자소를 키에 할당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8 내지 도 40은 한자 입력 장치(100)가 터치패드,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출력 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키를 출력하고, 이를 통해 한자를 입력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도 38 내지 도 40은 유사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나, 실시예(예를 들어, 핸드폰 용, 패드 용 등)에 따라 각 키에 할당되는 문자소가 변경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한자 입력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문자소가 할당된 키(3803)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문자소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키(3803)에는 문자소 외에 다른 기능(예를 들어, 문자 삭제, 줄바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 '통합' 키는 중(中)과 좌(左)로 분리된 것을 하나로 통합하여 입력하는 것이며, 사용자는 '中/左'나 '통합'버튼을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木/A는 예를 들어, 木자판과 알파벳 입력의 전환키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면 중앙 상단의 한자들(3802)는 단축 입력을 위한 한자로서, 사용자가 특정 한자를 누르면 특정 한자로 시작되는 한자들을 출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단 좌측 및 우측의 숫자(3801-1, 3801-2)들은 예를 들어, 방향키의 역할을 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한자 입력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1을 참조하면, 한자 입력 장치(100)는 木문자체계를 구성하는 一,
Figure 112019049660661-pat00228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29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30
를 한자 구성의 최소 분절단위인 기본 문자소로 설정한다(4102).
한자 입력 장치(100)는 설정된 기본 문자소를 포함한 다수의 문자소, 다수의 문자소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문자, 및 다수의 문자소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한자를 저장하되, 다수의 한자를 배열에 따라 상하배열 및 좌우배열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여 저장한다(4104). 이때, 다수의 문자소는,
Figure 112019049660661-pat00231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32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33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34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35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36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37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38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39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40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41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42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43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44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45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46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47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48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49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50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51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52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53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54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55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56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57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58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59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60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61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62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63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64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65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66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67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68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69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70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71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72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73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74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75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76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77
, 및
Figure 112019049660661-pat00278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문자소는, 기본 문자소의 기울기, 길이, 가획 및 돌출 원리를 적용하여 기본 문자소로부터 각각 확장되며, 기본 문자소의 순서 및 필순을 동시에 적용하여 그 순서가 결정되고, 결정된 순서에 따라 키에 차례로 할당될 수 있다.
한자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상하배열 및 좌우배열 중 어느 하나의 배열을 선택 받는다(4106).
한자 입력 장치(100)는 다수의 문자소를 키 상에 할당하여 키의 입력에 의해 문자소를 입력 받는다(4108).
한자 입력 장치(100)는 선택된 배열 및 입력된 문자소에 따라 저장된 다수의 문자소, 다수의 문자, 및 다수의 한자 중 어느 하나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4110).
한자 입력 장치(100)는 다수의 문자, 다수의 한자 중 어느 하나가 발생되는 경우, 저장된 다수의 한자 중 발생된 문자소, 문자, 또는 한자로 시작되는 한자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한자 입력 장치(100)는 저장된 다수의 한자 중 발생된 문자소, 문자, 또는 한자로 시작되는 한자들이 다수 존재하는 경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존재하는 다수의 한자들을 정렬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한자 입력 장치(100)는존재하는 다수의 한자들 중 일부 한자들이 기 선택된 적이 있는 경우, 존재하는 다수의 한자들을 기 선택된 횟수에 따라 정렬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한자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출력된 한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을 수 있다.
한편, 도 41에 도시된 순서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42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한자 입력 장치(1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200: 한자 입력 장치
102: 문자 입력부
104: 저장부
106: 배열 선택부
108: 제어부
202: 한자 출력부
204: 한자 선택부

Claims (7)

  1. 木문자체계를 구성하는 一,
    Figure 112020120780442-pat00279
    ,
    Figure 112020120780442-pat00280
    ,
    Figure 112020120780442-pat00281
    를 한자 구성의 최소 분절단위인 기본 문자소로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기본 문자소를 포함한 다수의 문자소를 키 상에 할당하여 상기 키의 입력에 의해 문자소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부;
    상기 다수의 문자소, 및 상기 다수의 문자소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문자, 및 상기 다수의 문자소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한자를 저장하되, 상기 다수의 한자를 배열에 따라 상하배열 및 좌우배열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상하배열 및 상기 좌우배열 중 어느 하나의 배열을 선택 받는 배열 선택부;
    선택된 상기 배열 및 입력된 상기 문자소에 따라 저장된 상기 다수의 문자소, 상기 다수의 문자, 및 상기 다수의 한자 중 어느 하나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다수의 문자소, 상기 다수의 문자, 및 상기 다수의 한자 중 어느 하나가 발생되는 경우, 저장된 상기 다수의 한자 중 발생된 문자소, 문자, 또는 한자로 시작되는 한자들을 출력하는 한자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다수의 한자 중 첫 획이 상하 필순인 한자, 첫 획이 왼쪽 아래로 시작되는 한자, 첫 획을 가운데부터 쓰는 한자, 첫 획이 왼쪽에서 시작하더라도 하나의 문자로 인식되는 한자 및 부수가 좌우 결합된 것으로 보이나 하나의 문자로서 위쪽에 위치하는 한자는 상기 상하배열의 한자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다수의 한자 중 상기 상하배열의 한자로 분류되지 않은 나머지 한자는 좌우배열의 한자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배열 선택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단일 키가 선택될 때마다 상기 상하배열 및 상기 좌우 배열 중 하나로 번갈아 상기 배열을 선택하고,
    상기 제어부는, 저장된 상기 다수의 한자 중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문자 입력부 및 상기 배열 선택부를 통해 연속적으로 입력하는 복수의 제1 문자소들에 대응되는 한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문자소들 중 마지막에 입력된 문자소를 삭제하고, 마지막에 입력된 문자소의 삭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한자 출력부는, 저장된 상기 다수의 한자 중 발생된 문자소, 문자, 또는 한자로 시작되는 한자들이 다수 존재하는 경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존재하는 상기 한자들을 정렬하여 출력하고,
    상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존재하는 상기 한자들이 시각문자소인 경우, 상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존재하는 상기 한자들은 짧은 문자소를 긴 문자소보다 우선하는 순서, 짧은 삐침 길이를 긴 삐침 길이보다 우선하는 순서 및 짧은 꺽임 길이를 긴 꺽임 길이보다 우선하는 순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정렬되는 한자 입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출력된 상기 한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는 한자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한자 입력 장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자 출력부는, 저장된 상기 다수의 한자 중 발생된 문자소, 문자, 또는 한자로 시작되는 한자들이 다수 존재하고, 존재하는 상기 한자들 중 일부 한자들이 상기 한자 선택부를 통해 기 선택된 적이 있는 경우, 존재하는 상기 한자들을 상기 한자 선택부를 통해 기 선택된 횟수에 따라 정렬하여 출력하는 한자 입력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문자소는,
    Figure 112019049660661-pat00282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83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84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85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86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87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88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89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90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91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92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93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94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95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96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97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98
    ,
    Figure 112019049660661-pat00299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00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01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02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03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04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05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06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07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08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09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10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11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12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13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14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15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16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17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18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19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20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21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22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23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24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25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26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27
    ,
    Figure 112019049660661-pat00328
    , 및
    Figure 112019049660661-pat00329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한자 입력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문자소는, 상기 기본 문자소의 기울기, 길이, 가획 및 돌출 원리를 적용하여 상기 기본 문자소로부터 각각 확장되며, 상기 기본 문자소의 순서 및 필순을 동시에 적용하여 그 순서가 결정되고, 결정된 상기 순서에 따라 상기 키에 차례로 할당되는 한자 입력 장치.
  7. 삭제
KR1020190056924A 2019-05-15 2019-05-15 한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2263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924A KR102263607B1 (ko) 2019-05-15 2019-05-15 한자 입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924A KR102263607B1 (ko) 2019-05-15 2019-05-15 한자 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070A KR20200132070A (ko) 2020-11-25
KR102263607B1 true KR102263607B1 (ko) 2021-06-09

Family

ID=73645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924A KR102263607B1 (ko) 2019-05-15 2019-05-15 한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6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1286A (ko) 2022-05-18 2023-11-27 김민찬 원소글자를 이용한 한자의 분류 및 조합의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553B1 (ko) 2005-04-28 2007-02-28 박인기 3열 4행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KR100757372B1 (ko) 2006-09-29 2007-09-11 박인기 표의문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1872879B1 (ko) 2017-09-18 2018-07-3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자 입력용 키보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947B1 (ko) * 2000-04-03 2002-07-22 이관동 한자입력장치 및 방법
KR100407555B1 (ko) * 2001-04-16 2003-12-01 이관동 한자입력 키보드
KR100643856B1 (ko) * 2005-03-31 2006-11-10 박인기 정보통신단말기의 한자입력방법 및 입력장치
KR101497757B1 (ko) * 2011-06-29 2015-03-0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기 및 그의 한자입력방법
CN102981633A (zh) * 2011-09-06 2013-03-20 雅虎公司 利用拼音输入法输入读音未知汉字的方法和系统
JP2017509080A (ja) * 2014-03-25 2017-03-30 パク・インギPARK, In Ki 漢字入力装置と漢字入力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漢字検索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553B1 (ko) 2005-04-28 2007-02-28 박인기 3열 4행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KR100757372B1 (ko) 2006-09-29 2007-09-11 박인기 표의문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1872879B1 (ko) 2017-09-18 2018-07-3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자 입력용 키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1286A (ko) 2022-05-18 2023-11-27 김민찬 원소글자를 이용한 한자의 분류 및 조합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070A (ko)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3868B2 (ja) 文字入力装置、該文字入力装置を備えた複写機、文字入力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20006503A (ko) 개선된 텍스트 입력
KR20020053784A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통신 서비스 방법
KR100643856B1 (ko) 정보통신단말기의 한자입력방법 및 입력장치
KR101657886B1 (ko) 한자 입력장치와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자 검색방법
JP6681518B2 (ja) 文字入力装置
WO2007121673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39;amélioration de la vitesse de saisie de caractères chinois
CN104808807A (zh) 用于汉字拼音输入的方法和装置
JP4504571B2 (ja) 表意文字言語および非表意文字言語用テキスト入力システム
WO201514110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046914B1 (ko) 귀환적 키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2182672B1 (ko) 다국어 통합 자음 패턴 검색 방법 및 그 장치
TWI475405B (zh) 電子裝置及其文字輸入介面顯示方法
KR102263607B1 (ko) 한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2126831B1 (ko)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6168880B (zh) 一种输入控制的方法及终端
KR100757372B1 (ko) 표의문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및 처리 방법
CN104635949A (zh) 一种汉字输入装置及方法
CN111694443A (zh) 一种以触摸手势作为交互方式的输入法
KR20100135340A (ko) 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한 중국어 및 한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100862242B1 (ko) 단어 검색 방법
KR102119482B1 (ko) 스마트폰 한손 자판 화면 배치 방법 및 문자 입력 방법
JP5563706B1 (ja) ドキュメントファイル生成装置、ドキュメントファイル生成方法およびドキュメントファイル生成プログラム
KR20100133350A (ko) 문자 입력을 위한 12 키 만능 병음 자판
KR20100013108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및 휴대용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