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948B1 -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948B1
KR101319948B1 KR1020110127602A KR20110127602A KR101319948B1 KR 101319948 B1 KR101319948 B1 KR 101319948B1 KR 1020110127602 A KR1020110127602 A KR 1020110127602A KR 20110127602 A KR20110127602 A KR 20110127602A KR 101319948 B1 KR101319948 B1 KR 101319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enter
press
input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1349A (ko
Inventor
강윤기
Original Assignee
강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윤기 filed Critical 강윤기
Priority to KR1020110127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948B1/ko
Publication of KR20130061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06F40/242Dictiona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문자 입력 방법을 이용하면 문자를 보다 빠르게 입력할 수 있고 오타의 발생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A SOFTWARE KEYBOARD}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의 보급이 대중화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에서는 한글,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할 때 종래의 키패드 대신에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식은 스마트폰 제조사마다 서로 다른 방식들을 적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경우 천지인을 적용하고 있는데, 천지인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이 한국공개특허 1996-0042304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천지인은 문자 입력의 어문 규범에 부적합하고, 천지인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 타수가 가장 많다는 단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이 천지인의 자판 배열은 유사 문자, 머리 문자의 순차 배열의 통일성이 고려되지 아니한 자판 배열로 인체 공학적으로 매우 불편하다.
또한, 엘지전자의 경우 나랏글을 적용하고 있는데, 나랏글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이 한국공개특허 2000-0049346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나랏글은 어떤 키에는 5자, 어떤 키에는 1자의 자모가 할당되어 있어 키 배치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있고, 복모음((ㅑ,ㅕ,ㅛ,ㅠ)은 단모음(ㅏ,ㅓ,ㅗ,ㅜ)의 선택에 종속되어 있어 단모음 선택의 실수로 복모음의 오타가 자주 발생하며, 자음 입력 시 대표 자음(ㄴ) 입력 후 매번 불규칙하게 기능키(*,#)로 이동하여 누름으로 제2(ㄷ), 제3(ㅌ), 제4(ㄸ)의 자음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복잡하고 운지 거리가 긴 입력 방식이다.
한 예로 7 키에 5자의 문자가 할당되고 입력 규칙은 5가지의 입력 규칙이 (ㅅ=ㅅ, ㅈ=ㅅ+* ㅊ=ㅅ+*+* ㅆ=ㅅ+#, ㅉ=ㅅ+*+#) 존재하여 입력 규칙의 일관성이 없고 복잡하며, 불규칙하여 매우 숙지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식은 숙지하기 어렵고, 문자 입력 시간이 길고, 입력 규칙이 복잡하고, 오타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숙지성, 습관성, 분리성, 인체 공학적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문자를 보다 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고 오타의 발생을 현저히 저감시킨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방법은 각 문자키에 "ㄱㅋㄲ, ㄴㄹ, ㄷㅌㄸ, ㅂㅍㅃ, ㅅㅁㅆ, ㅇㅎ, ㅈㅊㅉ, ㅏㅓ, ㅗㅜ,ㅣㅡㅢ "가 할당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으로서, 각 문자키에 할당된 자음과 모음을 순차적으로 누르면 초성, 중성, 및 종성이 조합되어 입력되고, 복모음(ㅑㅕ,ㅛㅠ)의 문자 입력에 있어서, "ㅏ"를 입력하고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ㅑ"가 입력되고, "ㅓ"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ㅕ"가 입력되고, "ㅏ"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2회 누르면 "ㅕ"가 입력되고, 상기 기능키(#)를 연속 누름으로써 "ㅕ/ㅑ, ㅑ/ㅕ"로 전환되고, "ㅗ"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ㅛ"가 입력되고, "ㅜ"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ㅠ"가 입력되고, "ㅗ"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2회 누르면 "ㅠ"가 입력되고, 상기 기능키(#)를 연속 누름으로써 "ㅠ/ㅛ, ㅛ/ㅠ"로 전환되고, "ㅑ"를 입력하고 "ㅏㅓ"키를 1회 누르면 "ㅏ"로 수정되고, "ㅕ"를 입력하고 "ㅏㅓ"키를 1회 누르면 "ㅓ"로 수정되고, "ㅏㅓ"키를 연속 누름으로써 "ㅓ/ㅏ,ㅏ/ㅓ"로 전환되고, "ㅛ"를 입력하고 "ㅗㅜ"키를 1회 누르면 "ㅗ"로 수정되고, "ㅠ"를 입력하고 "ㅗㅜ"키를 1회 누르면 "ㅜ"로 수정되고, "ㅗㅜ"키를 연속 누름으로써 "ㅜ/ㅗ,ㅗ/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방법은 옛 글을 이용한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각 문자키에 "ㄱㅋㄲ, ㄴㄹ, ㄷㅌㄸ, ㅂㅍㅃ, ㅅㅁㅆ, ㅇㅎ
Figure 112013065413658-pat00001
, ㅈㅊㅉ, ㅏㅓ,ㅗㅜ
Figure 112013065413658-pat00002
, ㅣㅡㅢ"가 할당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으로서, 각 문자키에 할당된 자음과 모음을 순차적으로 누르면 초성, 중성, 및 종성이 조합되어 입력되고, 복모음(ㅑㅕ,ㅛㅠ)의 문자 입력에 있어서, "ㅏ"를 입력하고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ㅑ"가 입력되고, "ㅓ"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ㅕ"가 입력되고, "ㅏ"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2회 누르면 "ㅕ"가 입력되고, 상기 기능키(#)를 연속 누름으로써 "ㅕ/ㅑ, ㅑ/ㅕ"로 전환되고, "ㅗ"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ㅛ"가 입력되고, "ㅜ"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ㅠ"가 입력되고, "ㅗ"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2회 누르면 "ㅠ"가 입력되고, 상기 기능키(#)를 연속 누름으로써 "ㅠ/ㅛ, ㅛ/ㅠ"로 전환되고, "ㅑ"를 입력하고 "ㅏㅓ"키를 1회 누르면 "ㅏ"로 수정되고, "ㅕ"를 입력하고 "ㅏㅓ"키를 1회 누르면 "ㅓ"로 수정되고, "ㅏㅓ"키를 연속 누름으로써 "ㅓ/ㅏ,ㅏ/ㅓ"로 전환되고, "ㅛ"를 입력하고 "ㅗㅜ"키를 1회 누르면 "ㅗ"로 수정되고, "ㅠ"를 입력하고 "ㅗㅜ"키를 1회 누르면 "ㅜ"로 수정되고, "ㅗㅜ"키를 연속 누름으로써 "ㅜ/ㅗ,ㅗ/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방법은 각 문자키에 "ㄱㅋㄲ, ㄴㄹ, ㄷㅌㄸ, ㅂㅍㅃ, ㅅㅁㅆ, ㅇㅎ
Figure 112013065413658-pat00078
, ㅈㅊㅉ, ㅏㅓ,ㅗㅜ ,ㅣㅡㅢ "가 할당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으로서, 각 문자키에 할당된 자음과 모음을 순차적으로 누르면 초성, 중성, 및 종성이 조합되어 자모 입력되고, 복모음(ㅑㅕ,ㅛㅠ)의 문자 입력에 있어서, "ㅏ"를 입력하고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ㅑ"가 입력되고, "ㅓ"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ㅕ"가 입력되고, "ㅏ"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2회 누르면 "ㅕ"가 입력되고, 상기 기능키(#)를 연속 누름으로써 "ㅕ/ㅑ, ㅑ/ㅕ"로 전환되고, "ㅗ"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ㅛ"가 입력되고, "ㅜ"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ㅠ"가 입력되고, "ㅗ"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2회 누르면 "ㅠ"가 입력되고, 상기 기능키(#)를 연속 누름으로써 "ㅠ/ㅛ, ㅛ/ㅠ"로 전환되고, "ㅑ"를 입력하고 "ㅏㅓ"키를 1회 누르면 "ㅏ"로 수정되고, "ㅕ"를 입력하고 "ㅏㅓ"키를 1회 누르면 "ㅓ"로 수정되고, "ㅏㅓ"키를 연속 누름으로써 "ㅓ/ㅏ,ㅏ/ㅓ"로 전환되고, "ㅛ"를 입력하고 "ㅗㅜ"키를 1회 누르면 "ㅗ"로 수정되고, "ㅠ"를 입력하고 "ㅗㅜ"키를 1회 누르면 "ㅜ"로 수정되고, "ㅗㅜ"키를 연속 누름으로써 "ㅜ/ㅗ,ㅗ/ㅜ"로 전환되어 입력되고, 발음 표기는 기호(`)로 표기하여 f (예:eng 펑`), l(렁`), v(벙`), ch(텅`), th(텅`), sh(성`), zh(정`)이 한글의 자모 우측 상단에 기호(`)로 표시하여 발음을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문자를 보다 빠르게 입력할 수 있고 오타의 발생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a,b,c,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b,c,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영어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의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기호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의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C 키보드형/터치 스크린용 키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C 키보드형/터치 스크린용 키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C 키보드형/터치 스크린용 키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9b, 9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한글 표기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d에서, 문자배열은 각 키별로 자음은 "ㄱㅋㄲ, ㄴㄹ, ㄷㅌㄸ, ㅂㅍㅃ, ㅅㅁㅆ, ㅇㅎ
Figure 112011095605056-pat00003
, ㅈㅊㅉ", 모음은 "ㅏㅓ,ㅗㅜ
Figure 112011095605056-pat00004
, ㅣㅡㅢ"로 배열되어 있다.
각 키에 할당된 자모를 순차적으로 누름으로써 초성과 중성과 종성을 조합하여 한글을 입력하고, 복모음(ㅑㅕ,ㅛㅠ)의 문자입력은 "ㅏ"를 입력하고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ㅑ"가 입력되고, "ㅓ"를 입력하고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ㅕ"가 입력되고, 또한 "ㅏ"를 입력하고 기능키(#)를 2회(##) 누르면 "ㅕ"가 입력되고, 기능키를 연속누름(##)으로서 ㅕ/ㅑ,ㅑ/ㅕ로 전환 수정되고, "ㅗ"를 입력하고 기능키(#)를 누르면 "ㅛ"가 입력되고, "ㅜ"를 입력하고 기능키(#)를 누르면 "ㅠ"가 입력되고, 또한 "ㅗ"를 입력하고 기능키(#)를 2회(##) 누르면 "ㅠ"가 입력되고, 기능키를 연속누름(##)으로서 "ㅠ/ㅛ,ㅛ/ㅠ"로 전환 수정되고, "ㅑ"를 입력하고 "ㅏㅓ"키를 1회 누르면 "ㅏ"로 수정되고, "ㅕ"를 입력하고 "ㅏㅓ"키를 1회 누르면 "ㅓ"로 수정되고, 이 상태에서 "ㅏㅓ"키를 연속 누르면 연동되어 "ㅓ/ㅏ,ㅏ/ㅓ"로 전환되고, "ㅛ"를 입력하고 "ㅗㅜ"키를 1회 누르면 "ㅗ"로 수정되고, "ㅠ"를 입력하고 "ㅗㅜ"키를 1회 누르면 "ㅜ"로 수정되고, 이 상태에서 "ㅗㅜ"키를 연속 누르면 연동되어 "ㅜ/ㅗ,ㅗ/ㅜ"로 전환되어 한글이 조합 입력될 수 있다.
또한, 각 키의 구성은 중심셀과 4각형(상,하,좌,우) 등 5개의 셀로 구성하는 드래그 입력방식으로서, 자음 "ㄱㅋㄲ, ㄴㄹ, ㄷㅌㄸ, ㅂㅍㅃ, ㅅㅁㅆ, ㅇㅎ
Figure 112011095605056-pat00005
, ㅈㅊㅉ"의 각 키의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에서 4각형의 셀의 상,하,좌,우로 드래그하여 입력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각 문자의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문자 ㄱ,ㄴ,ㄷ,ㅂ,ㅅ,ㅇ,ㅈ을 각각 입력하고, 각 키의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상측 드래그하면 문자 ㅋ,ㄹ,ㅌ,ㅍ,ㅁ,ㅎ,ㅊ이 각각 입력되고,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우측 드래그하면 문자 ㄲ,,ㄸ, ㅃ, ㅆ,
Figure 112011095605056-pat00006
, ㅉ이 각각 입력되고,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하측 드래그하면
Figure 112011095605056-pat00007
이 입력된다.
또한, 모음 ㅏㅓ,ㅗㅜ
Figure 112011095605056-pat00008
,ㅣㅡㅢ 은 각 키의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ㅏㅓ"셀 키에서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ㅑ 가 입력되고,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ㅕ 가 입력되고,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상측으로 드래그하면 ㅒ 가 입력되고,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하측으로 드래그하면 ㅖ 가 입력된다.
"ㅗㅜ"셀 키에서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ㅛ 가 입력되고,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ㅠ 가 입력되고,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상측으로 드래그하면 ㅘ 가 입력되고,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하측으로 드래그하면 ㅝ 가 입력되는 것으로, 드래그 입력과 터치 입력의 자소문자가 서로 조합되어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ㅣㅡㅢ" 셀 키에서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ㅣ가 입력되고,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상측으로 드래그하면 ㅡ가 입력되고,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ㅢ 가 입력된다.
도 2a 내지 도 2d에서, 문자배열은 각 키별로 자음은 "ㄱㅋㄲ, ㄴㄹ, ㄷㅌㄸ, ㅂㅍㅃ, ㅅㅁㅆ, ㅇㅎ`, ㅈㅊㅉ", 모음은 "ㅏㅓ,ㅗㅜ, ㅣㅡㅢ"로 배열한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에 있어서, 각 키에 할당된 자모를 순차적으로 누름으로서 초성과 중성과 종성을 조합하여 한글을 입력하고, 복모음(ㅑㅕ,ㅛㅠ)의 문자입력은 "ㅏ"를 입력하고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ㅑ"가 입력되고, "ㅓ"를 입력하고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ㅕ"가 입력되고, 또한 "ㅏ"를 입력하고 기능키(#)를 2회(##) 누르면 "ㅕ"가 입력되고, 기능키를 연속누름(##)으로서 ㅕ/ㅑ,ㅑ/ㅕ로 전환 수정되고, "ㅗ"를 입력하고 기능키(#)를 누르면 "ㅛ"가 입력되고, "ㅜ"를 입력하고 기능키(#)를 누르면 "ㅠ"가 입력되고, 또한 "ㅗ"를 입력하고 기능키(#)를 2회(##) 누르면 "ㅠ"가 입력되고, 기능키를 연속누름(##)으로서 "ㅠ/ㅛ,ㅛ/ㅠ"로 전환 수정되고, "ㅑ"를 입력하고 "ㅏㅓ"키를 1회 누르면 "ㅏ"로 전환 수정 입력되고, "ㅕ"를 입력하고 "ㅏㅓ"키를 1회 누르면 "ㅓ"로 전환 수정 입력되고, 이 상태에서 "ㅏㅓ"키(#)를 연속(##) 누르면 연동되어 "ㅓ/ㅏ,ㅏ/ㅓ"로 전환되고, "ㅛ"를 입력하고 "ㅗㅜ"키를 1회 누르면 "ㅗ"로 전환 수정 입력되고, "ㅠ"를 입력하고 "ㅗㅜ"키를 1회 누르면 "ㅜ"로 전환 수정 입력되고, 이 상태에서 "ㅗㅜ"키를 연속 누르면 연동되어 "ㅜ/ㅗ,ㅗ/ㅜ"로 전환되어 한글을 조합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각 키의 구성은 중심셀과 4각형 셀등 5개의 셀로 구성하는 드래그 입력방식으로서, 자음 "ㄱㅋㄲ, ㄴㄹ, ㄷㅌㄸ, ㅂㅍㅃ, ㅅㅁㅆ, ㅇㅎ`, ㅈㅊㅉ"의 각키의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4각형의 셀의 상,하,좌,우로 드래그하여 입력하는 방식으로서, 각 문자의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문자 ㄱ,ㄴ,ㄷ,ㅂ,ㅅ,ㅇ,ㅈ을 각각 입력하고, 각 키의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상측 드래그하면 문자 ㅋ,ㄹ,ㅌ,ㅍ,ㅁ,ㅎ,ㅊ이 각각 입력되고,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우측 드래그하여 문자 ㄲ, ㄸ, ㅃ, ㅆ, `, ㅉ을 각각 입력한다.
또한, 모음 ㅏㅓ,ㅗㅜ,ㅣㅡㅢ는 각 키의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ㅏㅓ" 셀 키에서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ㅑ 가 입력되고,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ㅕ 가 입력되고,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상측으로 드래그하면 ㅒ 가 입력되고,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하측으로 드래그하면 ㅖ 가 입력된다.
"ㅗㅜ" 셀 키에서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ㅛ 가 입력되고,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ㅠ 가 입력되고,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상측으로 드래그하면 ㅘ 가 입력되고,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하측으로 드래그하면 ㅝ 가 입력되고,
"ㅣㅡㅢ" 셀 키에서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ㅣ가 입력되고,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상측으로 드래그하면 ㅡ가 입력되고, 중심셀에 접촉한 상태로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ㅢ 가 입력되는드래그 입력과 터치 입력의 자소문자가 서로 조합되어 한글을 입력하는 방식이다.
도 3 및 도 4에서, 지움, 한/영, 숫자/기호, 엔터, 꽃표시의 셀의 부과 기능키를 가지며, 기호에서 * 와 #를 좌우 페이지 턴으로 표시하고, 페이지 표시가 누르는 키에서 발생하고, 처음은 우측키(#)에 1 숫자가 나오고, 다시 누르면 2,3,4,5,6...10순으로 숫자가 표시되고, 좌측(*)을 누르면 10 숫자에서 9,8,7,6....1 로 숫자가 내려가는 페이지를 표시하여 변환되고 이미지와 기능을 가진 문자입력방식이다.
여기서, 모드 키 배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글
영어(a) 중국어(中)
일어(ひ)
상측으로 드래그하면 한글 입력모드로 변경된다.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영어의 대문자(A)와 소문자(a)의 교차 변환의 입력모드로 변경된다.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중국어의 간체와 한글자판(한글로 중국어 입력 모드)으로 교차 변환의 자판배열의 입력 모드로 변경된다.
하측으로 드래그하면 일어의 히라가나와 가타가나 입력 모드로 변경된다.
또한, 초성과 완성문자(자모)를 혼합 이용한 단어검색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전의 초성으로 단어를 검색하는 방법은 초성만으로 검색하기 때문에, 유사단어가 너무 많이 검색되어 단어를 선택하는데 검색효율이 저하되어 입력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초성(ㄱㄴㄷ...)과 완성문자(가나다.. 강남단....)를 혼합 입력하여 저장된 단어를 검색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단어의 자소 문자중 어느 하나 이상을 완성문자로 검색하여 검색단어가 적고 빠르게 목적한 문자를 검색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녕하세요"를 종전의 초성 검색에서는 "ㅇㄴㅎㅅㅇ"로 입력하여 검색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ㅇㄴㅎㅅ요" 또는 "안ㄴㅎㅅㅇ" 또는 "ㅇ녕ㅎㅅㅇ"를 입력하면 해당 단어가 검색될 수 있다.
또한, 만약 종성이 없는 문자를 입력하면 진행중 종료 기능키(*)를 누르고 다음 초성을 입력하면 된다.
예를 들면, "ㅇㄴ하*ㅅㅇ"로 입력하면 된다.
(
Figure 112011095605056-pat00009
)를 한번 누르면 종료 기능으로 2회 누르면 띄움으로 동작한다.
참고로, 종전의 초성 검색에서는 초성으로만 단어가 검색되고 완성 문자와 혼용으로는 검색되지 않았다.
여기에서, 완성문자란 자음과 모음이 조합된 문자(가, 강...)를 말하며, "요, 안, 녕"의 각 단어의 초성과 완성문자를 포함한 단어가 검색되어 검색 단어의 수를 최소한으로 검색하여 검색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입력기술을 이용함으로써 한글의 발음으로 세계 언어를 모두 발음하여 저장된 단어를 빠르게 검색하여 한글단어를 검색하고 외국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국어/일어/태국어/힌디어 등의 각 언어의 단어를 한글 단어로 검색하고 입력창의 진행 중인 미완성 입력문자와 각 나라 언어와 교체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중국어 단어를 더욱 빠르게 입력하려면 중국어 단어의 문자수를 구분하는 기능을 부과하는 방식으로 중국어 문자수를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中=1자 단어, 中中=2자단어, 中中中=3자단어, 中中中中=4자 단어를 구분하여 검색함으로써 검색효율을 가장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단어수를 분리하는 방법으로 문자수를 선택키를 연속 1~4회 누름으로써 문자수를 분리하는 방법과, 또는 4각형 셀의 상,하,좌,우로 드래그하여 1,2,3,4,자의 단어 문자수를 분리하여 검색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가장 빠르게 검색할 수 있다.
즉, 중국어는 동일한 문자(발음기호)로 너무나 많은 중복단어가 많이 검색되어 검색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중국어의 단어 문자수를 분리하여 검색하는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예를 들면, 聊天室 liaotianshi 랴오톈스 3자의 단어를 한글(랴오톈스)로 입력한다면 한글발음을 앞(랴)문자 1자 이상 입력하고 기능키를 3회 누르거나, 또는 4각형 셀의 3회 쪽으로 드래그하면 3자 이상의 단어에서만 검색되어 검색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1,2자의 단어는 검색에서 제외된다. 보통은 1자부터 중국어를 검색하여 2,3,4자의 단계적으로 검색대상이 되어 검색하기 때문에, 검색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또한, 영어 발음(liaotianshi)으로 중국어를 입력하는 병음입력 방식에서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영어로 발음(l)을 1자 이상 입력하고 3회 누름(3자형)이나, 문자수 선택키의 4각형 셀에서 3쪽으로 드래그하면 3자 이상의 단어에서부터 검색되는 방식이다.
다음의 문자를 순차로 연속하여 입력하면 빠르게 발음에 해당된 단어가 검색되고 검색된 단어를 진행중인 문자가 선택된 단어로 전환되어 목적한 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
만약 4자이상의 단어를 입력한다면 한글이든 영어 발음이든 1자 이상 입력하고 문자수 선택키의 4쪽으로 드래그하면 4자 이상에서 단어가 검색된다.
또한, 기능키의 연속누름으로 4회 문자수에 해당된 누름으로 선택되어 문자수를 결정한다.
또한, 한국어로 외국어를 입력하는 방법에서는 한글의 발음표기로 외국어를 모두 표현할 수 없어
Figure 112011095605056-pat00010
Figure 112011095605056-pat00011
Figure 112011095605056-pat00012
Figure 112011095605056-pat00013
의 문자(옛글자4개)를 추가하여 사용함으로써 중국어 힌디어 태국어 일어 등을 한국어로 입력하여 각나라의 문자를 검색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Figure 112011095605056-pat00014
Figure 112011095605056-pat00015
Figure 112011095605056-pat00016
등을 입력한다.
즉, 한글표기법을 이용한 방식으로, 한글로 입력하고 이를 중국어 검색된 중국어를 선택하여 진행중인 한글을 중국어로 변환하여 중국어를 입력할 수 있다.
외국어를 한국어로 표기하는 표기법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어 / 중국어(영어) 발음 표기표는 다음과 같다.
원어 발음 개발발음 표기 한글발음표기(개발)
(예: eng)
중복발음비교
f (ㅍ) f (ㅍ`) feng (펑`) peng (펑)
l (ㄹ) l (ㄹ`) leng (렁`) reng (렁)
v (ㅂ) v (ㅂ`) veng (벙`) beng (벙)
ch (ㅌ) ch (ㅌ`) cheng (청`) ceng (청)
th (ㅌ) th (ㅌ`) theng (텅`) teng (텅)
sh (ㅅ) sh (ㅅ`) sheng (성`) seng (썽)
zh (ㅈ) zh (ㅈ`) zheng (정`) zeng (쩡)
예를 들면, 出乎意料(chuhuyiliao)의 단어를 입력할 때 한글발음으로 "추`후이랴`오"로 발음 표기하는 것이다.
종전의 표기(cuhuyiriao) "추후라이더"와 구분되어 표기된다.
본 발명의 발음으로 聊天室 (liaotianshi) 랴`오톈스`로 표기하지만, 종전의 한글 표기법으로 동일음의 문자를 표시한다면 "랴오톈스" 로 표시하였다.
이러한 표기방식에 따르면, 하나의 표기로 모든 발음을 분리하여 표기할 수 있고, 폰트를 별도로 수백자를 만들거나 유니코드를 수백개를 만드는 문제점이 없고 숙지하기 쉽고 단순하여 세계문자를 발음하는데는 가장 효율적일 수 있다.
만약 6개의 추가 가상문자(추가상형문자)로 만들 경우 pc키보드에 6개의 키에 문자를 배치하여 현재의 26개의 문자키에서 32개의 키보드의 문자를 숙지해야 하는 불편함도 발생한다.
또한, 3*4 자판인 스마트폰의 문자입력에서도 6개의 문자를 더 배열해야하는 복잡성으로 인해 숙지의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폰트에 문자수가 늘어나서 저장용량도 추가되는 것은 당연하다. 즉, 여러 가지의 단점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모두 개선한 본 발명은 기호(`)로 쿼티 형이든, 3*4자판(12키)에서도 기호(`)1자만 더 배열하면 세계의 모든 발음 기호도 변별력있게 발음을 표시할 수 있다.
만약, 그래도 변별력이 없는 특별한 경우는 2개(``)로 표시하면 되는 것이다.
1. 한글을 초성(ㄱㄴㄷㄹ...)과 한글완성문자(정음:가.나.다..강..)을 혼합 입력하여 단어를 검색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出乎意料 : chuhuyiliao (추`후이랴오)
"추`후이랴`오" 순으로 기본입력하면 단어 검색되며, 추ㅎㅇㄹ`ㅇ, ㅊㅎㅇ랴`ㅇ,추ㅎㅇㄹ오, 추`후ㅇㄹㅇ, ㅊㅎㅇㄹ오 등으로 입력하여 검색할 수 있다.
2. 쿼티 방식에서는 각키의 사각형 셀의 상,하,좌,우로 문자수 4,3,2,1를 선정하여 해당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단어를 검색함으로써 검색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글 및 영어 등 발음을 1자 이상 입력 후 단어 문자수를 구분 선택하면 선택 문자수 이상의 단어만 검색되어 가장 빠르게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出乎意料(chuhuyiliao)를 입력하려면, 영어발음 경우 (chuhuyiliao)의 단어 발음중 앞문자 "c" 한자 이상 입력 후 문자수 4로 구분선택하면 4자 단어 이상에서만 검색되는 입력기술로, 다음문자(c+h+u+h+u+y+.....)를 순서대로 입력하면 검색되고, 또한 chhla ,chhuyil,cuuiao, chuhyl 등을 순차적으로 스펠링의 일부를 빼고 입력하여도 기본단어에 포함된 문자의 단어를 검색하는 기술로 단어가 검색되어 단어의 스펠링을 몰라도 단어검색이 되어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한글에서는 (出乎意料:추`후이랴오) 한글발음 경우 발음중 앞문자 "추" 한자 이상 입력 후 문자수 구분 4로 선택하면 4자 단어 이상에서만 검색되는 입력기술로 다음문자를 "이+랴+오" 순서대로 입력하면 出乎意料의 단어가 검색되고, 추ㅎㅇㄹㅇ, ㅊㅎㅇ랴ㅇ, 추ㅎㅇㄹ오, 추`후ㅇㄹㅇ, ㅊㅎㅇㄹ오 등을 순차적으로 입력하여도 기본단어에 포함된 문자의 단어를 초성과 한글완성 문자와의 혼합검색방법으로 검색하는 기술로 단어가 검색되어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3. 3*4키에서는 별도의 키로 정하고, 중국어/일어(한문)등 단어의 문자수를 분리하여 검색할 수 있다. 상4, 좌3, 하2, 우1로 정하고 #의 기능키의 4방으로 정하여 사용한다.
만약 ㄱㅋㄲ의 경우 abc등 경우 한 키에 3자 이내인 경우에는 각 키를 하측 드래그하면 3자 단어 이상에서 단어문자수를 분리하여 검색되게 할 수도 있다.
4. 입력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중국어를 2자의 단어부터 입력되게 한다. 참고로, 2자의 단어는 중국어 전체 단어의 80%에 해당된다,
中的 zhongdi 종`디
差不多 chabudao 차`부둬
出乎意料 chuhuyiliao 추`후이랴`오
老太太 laotaitai 라`오태태
聊天室 liaotianshi 랴`오톈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판 배열을 하고 각 키를 누름으로써 자음과 모음이 조합 입력되고, 쌍자음,옛글(ㄲ,ㄸ,ㅃ,ㅆ,ㅉ,
Figure 112011095605056-pat00017
,
Figure 112011095605056-pat00018
,
Figure 112011095605056-pat00019
,
Figure 112011095605056-pat00020
) 입력은 해당키(ㄱㄷㅂㅅㅈㅋㅌㅍㅊ)를 누른 후 shift를 누름으로써 각 (ㄱㄷㅂㅅㅈㅋㅌㅍㅊ)에서 쌍자음,옛글(ㄲ,ㄸ,ㅃ,ㅆ,ㅉ,
Figure 112011095605056-pat00021
,
Figure 112011095605056-pat00022
,
Figure 112011095605056-pat00023
,
Figure 112011095605056-pat00024
)으로 변환되어 각각 입력되고, ㅇ이이상태에서 shift 를 연속 누르면 변환 문자가 연속 입력된다.
예를 들면, ㄱ+ shift =ㄲ. ㄱ+ shift + shift =ㄲㄲ
또한, 터치 스크린에서는 자음 각 키를 상,하,좌,우로 드래그하면 상(ㅗ),하(ㅜ),좌(ㅓ),우(ㅏ)에 해당된 각 키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자모가 입력되고, 쌍자음(ㄲ,ㄸ,ㅃ,ㅆ,ㅉ)은 caps lock을 누르면 변환되어 동일하게 개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ㄱ"에서 상,하,좌,우로 드래그하면 고,구,거,가의 문자가 입력되고, "ㅣ"키를 누름으로써 "ㅣ"와 결합된 문자 괴,귀,거,개의 문자가 조합 입력된다.
추가 기능으로서, 각 모음(ㅕ ㅑ ㅏ ㅓ ㅗ ㅜ ㅡ)에서 연속 누르면 "ㅣ"와 결합된 겹모음(ㅖㅒㅐㅔㅚㅟㅢ)이 각각 입력되고 각 모음은 모음생성원리에 따라 기본 입력되고, 터치스크린에서 우측 드래그하면 각 모음과 "ㅣ" 모음이 결합된 겹모음(ㅖㅒㅐㅔㅚㅟㅢ)이 입력된다.
각 모음은 모음생성원리에 따라 기본 입력되고, 터치스크린에서 추가 기능으로서, 각 모음(ㅕ ㅑ ㅏ ㅓ ㅗ ㅜ ㅡ)의 셀에서 터치한 상태로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ㅣ"와 결합된 문자(ㅒㅖㅐㅔㅚㅟㅢ)가 각각 결합입력되고, "ㅗ"의 키에서 터치한 상태로 상측드래하여 "ㅙ", "ㅗ"의 키에서 터치한 상태로 하측 드래그하여 "ㅘ"의 문자가 입력되고, "ㅜ"의 키에서 터치한 상태로 상측 드래그하여 "ㅞ"가 입력되고, 하측 드래그하면 "ㅝ"가 입력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자음/모음은 선택하여 누름으로써 자모 생성 원리에 따라 자모가 결합 입력된다.
각 모음은 모음 생성원리에 따라 기본 입력된다.
추가 기능으로서, 각 모음(ㅕ ㅑ ㅏ ㅓ ㅗ ㅜ ㅡ)에서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ㅣ"와 결합된 문자(ㅒㅖㅐㅔㅚㅟㅢ)가 각각 결합입력되고, "ㅗ"의 키에서 상측드래그하여 "ㅙ", 하측 드래그하여 "ㅘ"의 문자가 입력되고, "ㅜ"의 키에서 상측 드래그하여 "ㅞ"가 입력되고, 하측 드래그하면 "ㅝ"가 입력된다.
자판 배열을 하고 각 키를 누름으로써 자음과 모음이 조합 입력되고, 동일키에 배열된 제2의 문자는 기본문자를 입력하고, shift를 누름으로 기본문자가 전환되어 제2문자로 변환되고, 이상태에서 shift키를 연속 누르면 제2의 문자가 연속 입력된다.
예: ㅂ+ shift2 =
Figure 112011095605056-pat00025
ㅂ+ shift2 + shift2 =
Figure 112011095605056-pat00026
Figure 112011095605056-pat00027
ㅎ+ shift2 =
Figure 112011095605056-pat00028
ㅎ+ shift2 + shift2 =
Figure 112011095605056-pat00029
Figure 112011095605056-pat00030
ㅊ+ shift2 =
Figure 112011095605056-pat00031
ㅊ+ shift2 + shift2 =
Figure 112011095605056-pat00032
Figure 112011095605056-pat00033
ㅍ+ shift2 =
Figure 112011095605056-pat00034
ㅊ+ shift2 + shift2 =
Figure 112011095605056-pat00035
Figure 112011095605056-pat00036
1+ shift1 = < 1+ shift1 + shift1 = < <
1+ shift2 = ! 1+ shift2+ shift2 = ! !
숫자키 또는 문자키를 누르고 shift1 키를 누르면 해당키에 할당된 문자의 왼쪽의 각각의 문자가 입력되고, shift2를 누르면 우측의 문자가 각각 입력되는 입력방식으로서 각 shift 키를 연속하여 누르면 해당 문자가 연속으로 입력되는 방식이다.
또한, 터치스크린에서는 해당키의 위치의 방향으로 중심에서 접촉한 상태로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좌측의 문자가,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우측의 문자가 입력된다.
터치스크린에서는 각 자음의 상(ㅗ),하(ㅜ),좌(ㅓ),우(ㅏ)의 셀에 모음을 할당하고, 각 자음키의 상,하,좌,우로 드래그하면 각키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자모가 입력된다.
예: "ㄱ"에서 상,하,좌,우로 드래그하면 각각 "고,구,거,가"의 문자가 입력되고, "ㅣ"키를 누름으로 "ㅣ"와 결합된 문자 "괴,귀,거,개"의 문자가 조합입력된다.
추가 기능으로서, 각 모음(ㅕ ㅑ ㅏ ㅓ ㅗ ㅜ ㅡ)에서 연속 누르면 "ㅣ"와 결합된 겹모음(ㅖㅒㅐㅔㅚㅟㅢ)이 각각 입력되고 각 모음은 모음생성원리에 따라 기본 입력되고, 우측 드래그하면 각 모음과 "ㅣ" 모음이 결합된 겹모음이 입력된다.
각 모음은 모음 생성원리에 따라 기본 입력되고, 추가 기능으로서, 각 모음(ㅑ,ㅕ,ㅏ,ㅓ,ㅗ,ㅜ,ㅡ)키를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ㅣ"와 결합된 문자(ㅒ,ㅖ,ㅐ,ㅔ,ㅚ,ㅟ,ㅢ)가 입력되고, "ㅗ"의 키에서 상측 드래하여 "ㅙ", 하측 드래그하여 "ㅘ"의 문자가 입력되고, "ㅜ"의 키에서 상측 드래그하여 "ㅞ"가 입력되고, 하측 드래그하면 "ㅝ"가 입력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를 각키에 배열하고, 터치스린용에서 소문자 모드에서 각 문자를 상측드래그하면 각 문자의 대문자가 직접 입력되고 다음 각 문자를 터치하면 소문자로 입력된다. 즉, 대소문자를 caps lock에서 대소문자를 바꾸지 않고 머리 문자를 소문자 모드에서 대문자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각 문자를 하측 드래그하면 영어 단어의 문자수가 5자 이상에서만 입력되는 기능을 가진다. 즉 5자 이하의 단어에서는 검색 대상에서 삭제되어 빠른 입력이 가능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10)

  1. 각 문자키에 "ㄱㅋㄲ, ㄴㄹ, ㄷㅌㄸ, ㅂㅍㅃ, ㅅㅁㅆ, ㅇㅎ, ㅈㅊㅉ, ㅏㅓ, ㅗㅜ,ㅣㅡㅢ "가 할당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으로서,
    각 문자키에 할당된 자음과 모음을 순차적으로 누르면 초성, 중성, 및 종성이 조합되어 입력되고,
    복모음(ㅑㅕ,ㅛㅠ)의 문자 입력에 있어서, "ㅏ"를 입력하고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ㅑ"가 입력되고, "ㅓ"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ㅕ"가 입력되고, "ㅏ"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2회 누르면 "ㅕ"가 입력되고, 상기 기능키(#)를 연속 누름으로써 "ㅕ/ㅑ, ㅑ/ㅕ"로 전환되고,
    "ㅗ"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ㅛ"가 입력되고, "ㅜ"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ㅠ"가 입력되고, "ㅗ"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2회 누르면 "ㅠ"가 입력되고, 상기 기능키(#)를 연속 누름으로써 "ㅠ/ㅛ, ㅛ/ㅠ"로 전환되고,
    "ㅑ"를 입력하고 "ㅏㅓ"키를 1회 누르면 "ㅏ"로 수정되고, "ㅕ"를 입력하고 "ㅏㅓ"키를 1회 누르면 "ㅓ"로 수정되고, "ㅏㅓ"키를 연속 누름으로써 "ㅓ/ㅏ,ㅏ/ㅓ"로 전환되고,
    "ㅛ"를 입력하고 "ㅗㅜ"키를 1회 누르면 "ㅗ"로 수정되고, "ㅠ"를 입력하고 "ㅗㅜ"키를 1회 누르면 "ㅜ"로 수정되고, "ㅗㅜ"키를 연속 누름으로써 "ㅜ/ㅗ,ㅗ/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2. 옛글을 이용한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각 문자키에 "ㄱㅋㄲ, ㄴㄹ, ㄷㅌㄸ, ㅂㅍㅃ, ㅅㅁㅆ, ㅇㅎ
    Figure 112013065413658-pat00073
    , ㅈㅊㅉ, ㅏㅓ, ㅗㅜ
    Figure 112013065413658-pat00074
    ,ㅣㅡㅢ "가 할당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으로서,
    각 문자키에 할당된 자음과 모음을 순차적으로 누르면 초성, 중성, 및 종성이 조합되어 입력되고,
    복모음(ㅑㅕ,ㅛㅠ)의 문자 입력에 있어서, "ㅏ"를 입력하고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ㅑ"가 입력되고, "ㅓ"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ㅕ"가 입력되고, "ㅏ"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2회 누르면 "ㅕ"가 입력되고, 상기 기능키(#)를 연속 누름으로써 "ㅕ/ㅑ, ㅑ/ㅕ"로 전환되고,
    "ㅗ"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ㅛ"가 입력되고, "ㅜ"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ㅠ"가 입력되고, "ㅗ"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2회 누르면 "ㅠ"가 입력되고, 상기 기능키(#)를 연속 누름으로써 "ㅠ/ㅛ, ㅛ/ㅠ"로 전환되고,
    "ㅑ"를 입력하고 "ㅏㅓ"키를 1회 누르면 "ㅏ"로 수정되고, "ㅕ"를 입력하고 "ㅏㅓ"키를 1회 누르면 "ㅓ"로 수정되고, "ㅏㅓ"키를 연속 누름으로써 "ㅓ/ㅏ,ㅏ/ㅓ"로 전환되고,
    "ㅛ"를 입력하고 "ㅗㅜ"키를 1회 누르면 "ㅗ"로 수정되고, "ㅠ"를 입력하고 "ㅗㅜ"키를 1회 누르면 "ㅜ"로 수정되고, "ㅗㅜ"키를 연속 누름으로써 "ㅜ/ㅗ,ㅗ/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 방법.
  3. 각 문자키에 "ㄱㅋㄲ, ㄴㄹ, ㄷㅌㄸ, ㅂㅍㅃ, ㅅㅁㅆ, ㅇㅎ
    Figure 112013065413658-pat00075
    , ㅈㅊㅉ, ㅏㅓ,ㅗㅜ ,ㅣㅡㅢ "가 할당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으로서,
    각 문자키에 할당된 자음과 모음을 순차적으로 누르면 초성, 중성, 및 종성이 조합되어 자모 입력되고,
    복모음(ㅑㅕ,ㅛㅠ)의 문자 입력에 있어서, "ㅏ"를 입력하고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ㅑ"가 입력되고, "ㅓ"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ㅕ"가 입력되고, "ㅏ"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2회 누르면 "ㅕ"가 입력되고, 상기 기능키(#)를 연속 누름으로써 "ㅕ/ㅑ, ㅑ/ㅕ"로 전환되고,
    "ㅗ"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ㅛ"가 입력되고, "ㅜ"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1회 누르면 "ㅠ"가 입력되고, "ㅗ"를 입력하고 상기 기능키(#)를 2회 누르면 "ㅠ"가 입력되고, 상기 기능키(#)를 연속 누름으로써 "ㅠ/ㅛ, ㅛ/ㅠ"로 전환되고,
    "ㅑ"를 입력하고 "ㅏㅓ"키를 1회 누르면 "ㅏ"로 수정되고, "ㅕ"를 입력하고 "ㅏㅓ"키를 1회 누르면 "ㅓ"로 수정되고, "ㅏㅓ"키를 연속 누름으로써 "ㅓ/ㅏ,ㅏ/ㅓ"로 전환되고,
    "ㅛ"를 입력하고 "ㅗㅜ"키를 1회 누르면 "ㅗ"로 수정되고, "ㅠ"를 입력하고 "ㅗㅜ"키를 1회 누르면 "ㅜ"로 수정되고, "ㅗㅜ"키를 연속 누름으로써 "ㅜ/ㅗ,ㅗ/ㅜ"로 전환되어 입력되고,
    발음 표기는 기호(`)로 표기하여 f (예:eng 펑`), l(렁`), v(벙`), ch(텅`), th(텅`), sh(성`), zh(정`)이 한글의 자모 우측 상단에 기호(`)로 표시하여 발음을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문자키는 중심셀과, 상기 중심셀의 상,하,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된 4개의 셀을 포함하며,
    자음 문자키에 있어서,
    상기 각 자음 문자키의 중심셀을 터치한 상태에서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각키에 할당된 첫 문자(ㄱ,ㄴ,ㄷ,ㅂ,ㅅ,ㅇ,ㅈ)가 각각 입력되고,
    상기 각 자음 문자키의 중심셀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드래그하면 각키에 할당된 두 번째 문자(ㅋ,ㄹ,ㅌ,ㅍ,ㅁ,ㅎ,ㅊ)가 각각 입력되고,
    상기 각 자음 문자키의 중심셀을 터치한 상태에서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각키에 할당된 3 번째 문자(ㄲ,,ㄸ,ㅃ,ㅆ,
    Figure 112013065413658-pat00076
    ,ㅉ)가 각각 입력되고,
    상기 각 자음 문자키의 중심셀을 터치한 상태에서 하측으로 드래그하면 각키에 할당된 4 번째 문자 (
    Figure 112013065413658-pat00077
    )가 입력되고,
    모음 문자키에 있어서,
    문자키 "ㅏㅓ"의 중심셀을 터치한 상태에서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문자 "ㅑ"가 입력되고,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문자 "ㅕ"가 입력되고, 상측으로 드래그하면 문자 "ㅒ"가 입력되고, 하측으로 드래그하면 문자 "ㅖ"가 입력되고,
    문자키 "ㅗㅜ"의 중심셀을 터치한 상태에서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문자 "ㅛ"가 입력되고,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문자 "ㅠ"가 입력되고, 상측으로 드래그하면 문자 "ㅘ"가 입력되고, 하측으로 드래그하면 문자 "ㅝ"가 입력되고,
    문자키 "ㅣㅡㅢ"의 중심셀을 터치한 상태에서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문자 "ㅣ"가 입력되고, 상측으로 드래그하면 문자 "ㅡ"가 입력되고,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문자 "ㅢ"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입력하고자하는 단어의 초성과 한글완성문자(정음)을 혼합하여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1단계;
    추출 단어는 빈도 수순으로 검색하는 2단계;
    검색단어의 문자수를 구분하여 단어를 검색하는 3단계; 및
    단어저장부에서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된 단어를 표시하고, 검색된 단어를 선택하면 진행중의 미완성문자가 완성된 단어로 전환되어 입력되는 방법으로 한글의 초성과 한글완성문자를 혼용하여 단어를 검색하는 특징을 가진 한글단어 검색을 포함한 문자입력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키보드에 할당된 상기 각 문자키의 한글 발음으로 외국어를 입력하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외국어가 검색되고, 검색된 외국어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판 문자배열의 기능키로서 우측의 상단에 "지움키", 아래 2번째줄에 "모드키(한/영)", 아래 3번째줄에 "숫자/기호키", 아래 4번째줄에 "특수키", "엔터키"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10127602A 2011-12-01 2011-12-01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319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602A KR101319948B1 (ko) 2011-12-01 2011-12-01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602A KR101319948B1 (ko) 2011-12-01 2011-12-01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349A KR20130061349A (ko) 2013-06-11
KR101319948B1 true KR101319948B1 (ko) 2013-10-18

Family

ID=48859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602A KR101319948B1 (ko) 2011-12-01 2011-12-01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9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906B1 (ko) * 2015-01-29 2016-09-02 이효원 터치스크린을 가진 기기에서 스와이프를 이용한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KR101665372B1 (ko) * 2016-03-03 2016-10-24 강윤기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2175334B1 (ko) * 2018-08-21 2020-11-06 김성욱 훈민정음 글자판
KR102263980B1 (ko) * 2019-11-13 2021-06-11 유소리 한글과 라틴 문자가 조합된 문자를 입력하고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921A (ko) * 2003-07-29 2005-02-05 강윤기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글자판
KR20080005783A (ko) * 2006-07-10 2008-01-15 강훈기 Pc 키보드와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90047257A (ko) * 2007-11-07 2009-05-12 강윤기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921A (ko) * 2003-07-29 2005-02-05 강윤기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글자판
KR20080005783A (ko) * 2006-07-10 2008-01-15 강훈기 Pc 키보드와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90047257A (ko) * 2007-11-07 2009-05-12 강윤기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349A (ko) 201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929B1 (ko)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WO2022083753A1 (zh) 新型键位布局的键盘及其应用于电子设备的输入方法
JP6681518B2 (ja) 文字入力装置
KR101319948B1 (ko)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JP2017509080A (ja) 漢字入力装置と漢字入力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漢字検索方法
CN103488426A (zh) 一种基于触摸屏的虚拟键盘及输入法
KR101039284B1 (ko) 터치식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N104598045B (zh) 五宫格输入法
KR100989836B1 (ko) 문자열 예측 입력방법 및 그 방법이 구현되는 전자장치
CN103123572B (zh) 一种输入字符的方法和电子装置
CN105426109B (zh) 一种滑行输入文字的方法
CN107608533A (zh) 一种轻量型的嵌入式输入法
CN102323872A (zh) 汉语拼音滑行输入法
KR101219300B1 (ko) 한글입력수정방법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US8878704B2 (en) Character and function key input device using dictionary order and use frequency
KR100592154B1 (ko) 한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CN104503598A (zh) 12格主字母引导输入法
CN117608415B (zh) 基于10键键盘及应用于小屏电子设备的简拼输入法
CN117666815B (zh) 基于10键键盘及应用于小屏电子设备的英文输入法
CN117590953B (zh) 基于10键键盘及应用于小屏电子设备的双拼输入法
JPH0850524A (ja) コンピュータ及びワードプロセッサの入力及び 変換装置
KR20130004648A (ko) 터치스크린패널기기에서의 문서편집기능이 있는 다국어 문자입력장치
CN118068965A (zh) 基于88键大键盘的汉语拼音全拼输入法
CN118068968A (zh) 基于88键大键盘的汉语拼音双拼输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