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794B1 - 원적외선 염착장치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염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794B1
KR100591794B1 KR20060019507A KR20060019507A KR100591794B1 KR 100591794 B1 KR100591794 B1 KR 100591794B1 KR 20060019507 A KR20060019507 A KR 20060019507A KR 20060019507 A KR20060019507 A KR 20060019507A KR 100591794 B1 KR100591794 B1 KR 100591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
passage
infrared
built
com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19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9409A (ko
Inventor
정석윤
Original Assignee
정석윤
이광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14668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9179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정석윤, 이광범 filed Critical 정석윤
Priority to KR20060019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794B1/ko
Priority to PCT/KR2006/001375 priority patent/WO2007100171A1/en
Publication of KR20060039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9/00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17/00
    • D06B19/0005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 D06B19/007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by application of electric energ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06C7/02Set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01Supporting materials without tension, e.g. on or between foraminous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283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in combination with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련의 공정으로 건조공정 및 증열공정을 수행하면서 내부구조가 단순한 원적외선 염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특히 다층의 이송통로가 형성되는 경우 장치내의 발생하기 쉬운 온도편차를 해결하기 위하여 원단공급, 프린트, 건조, 증열, 세척 등의 공정에서 건조공정 및 증열공정을 하나의 공정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내부에 다수개의 원적외선 히터가 내장된 염착장치에 있어서,
상부 이송벨트를 기준으로 상부에 다수개의 원적외선 히터가 장착된 상부 유출부 및 하부 공통 배출부로 순환통로를 구성하고, 각각 송풍 및 흡입 모터가 내장되어 있는 상부 이송통로와, 중간 로울러를 기준으로 상부에 공통배출부 및 다수개의 원적외선 히터가 내장된 하부 공통 유출부로 순환통로를 구성하고, 각각 송풍 및 흡입 모터가 내장되어 있는 중간 이송통로와, 하부 이송벨트를 기준으로 상부에 공동 유출부 및 하부 배출부로 순환통로를 구성하고, 고정판을 통하여 다수개의 원적외선 히터를 고정하며, 각각 송풍 및 흡입 모터가 내장되어 있는 하부 이송통로를 구성한 것이다.
염착장치, 원적외선 히터, 순환통로, 이송벨트. 이송통로, 유충부, 배출부

Description

원적외선 염착장치 { Dyeing system for radiating far infrared ray }
도 1는 본 발명의 원적외선 염착장치의 원리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적외선 염착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이송통로내에 설치되는 순환통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T1 : 상부 이송통로 T2 : 중간 이송통로
T3 : 하부 이송통로 P1 : 상부 유출부
P23 : 공통 유출부 P12 : 공통 배출부
P3 : 하부 배출부 5 : 원단
H1, H2, H3,..... : 원적외선 히터 C1, C2 :이송벨트
R1, R2, R3,.... : 로울러 7 : 고정대
50 : 원적외선 염착장치
본 발명은 원단에 프린팅을 한후 건조 공정 및 증열공정을 하나의 공정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원적외선 염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원적외선 히터의 파장 및 열전도가 상기 원단에 고르게 공급되게 하여 고품질의 염착을 기할 수 있도록 하여 대량양산 효과가 우수한 염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염색공정은 일반적으로 원단공급, 프린트, 건조, 증열, 세척 등의 공정을 거치게 되고, 상기 염색공정 중 건조공정 및 증열공정에서는 염색된 원단을 건조 및 증열하기 위하여 발열 히터장치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발열 히터장치에 의한 건조공정 및 증열공정에서 온도편차가 심하게 발생하는 경우에 원단에 얼룩이 발생되는 원인이 되어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원적외선 히터를 사용하여 온도편차를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원적외선을 사용하여 건조공정 및 증열공정을 하나의 공정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또한 원적외선을 사용하여 건조공정 및 증열공정을 하나의 공정으로 사용하는 원적외선 염착장치를 구현하는 경우에도 장치의 소형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1) 일련의 공정으로 건조공정 및 증열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내부에 복잡 하여 대형화가 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2) 원적외선을 통과하는 이송거리가 길게되는 경우 큰 면적을 차지하게 되므로 장치의 대형화가 초래된다.
(3) 이송거리의 문제점은 다층의 이송통로가 형성되게 하는 경우 해결할 수가 있으나, 다층의 이송통로를 원단이 통과하는 경우에 자체 중력에 의하여 원단이 쳐지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4) 또한 다층의 이송통로가 형성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추구하는 경우 장치내의 온도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련의 공정으로 건조공정 및 증열공정을 수행하면서 내부구조가 단순한 원적외선 염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특징은 다수개의 원적외선 히터를 사용하고, 원적외선 히터의 파장 및 열전도가 일정하게 원단에 공급되게 하여 달성된다.
이때 원단의 내부에 원적외선이 고루고루 투과되므로써 염착효과가 우수한 원단을 제공할 수가 있다.
다른 목적은 다층의 이송통로를 형성하는 경우 자체 중력에 의하여 원단이 쳐지는 것을 방비할 수 있는 원적외선 염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특징은 각각의 이송통로에 공기 순환용 통로를 형성하여 순환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해결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층의 이송통로가 형성되는 경우 장치내의 발생 하기 쉬운 온도편차를 해결한 원적외선 염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특징은 각각의 이송통로내에 순환통로가 형성될때 송풍용 모터에 의하여 공급되는 기류를 일정하게 위지하기 위하여 단며적이 사다리꼴 구조가 되게 하여 해결하고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원단공급, 프린트, 건조, 증열, 세척 등의 공정에서 건조공정 및 증열공정을 하나의 공정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내부에 다수개의 원적외선 히터가 내장된 염착장치에 있어서,
삭제
상부 이송벨트를 기준으로 상부에 다수개의 원적외선 히터가 장착된 상부 유출부 및 하부 공통 배출부로 순환통로를 구성하고, 각각 송풍 및 흡입 모터가 내장되어 있는 상부 이송통로와, 중간 로울러를 기준으로 상부에 공통배출부 및 다수개의 원적외선 히터가 내장된 하부 공통 유출부로 순환통로를 구성하고, 각각 송풍 및 흡입 모터가 내장되어 있는 중간 이송통로와, 하부 이송벨트를 기준으로 상부에 공동 유출부 및 하부 배출부로 순환통로를 구성하고, 고정판을 통하여 다수개의 원적외선 히터를 고정하며, 각각 송풍 및 흡입 모터가 내장되어 있는 하부 이송통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유출부 및 공통 유출부은 일단이 폭이 넓고, 타단은 폭이 좁은 사다리꼴 단면적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내부에 다수개의 순환용 구멍이 뚫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부 유출부 및 공통 배출부는 덕트로 연결되어 순환통로를 형성하고, 상부 유출부에는 송풍용 모터가 내장되고, 공통 배출부 에는 흡입용 모터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본 발명의 원적외선 염착장치의 원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원단을 이송하는 이송통로는 다층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도면상에는 3단의 이송통로인 상부 이송통로 (T1), 중간 이송통로(T2), 하부 이송통로(T3)를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이송통로에는 각각의 순환통로를 내장하고 있으며, 상부 이송통로 (T
1)는 상부 유출부 (P1) 및 공통 배출부 (P12)를 가지고 있으며,
중간 이송통로 (T2)는 공통 유출부 (P23) 및 공통 배출부 (P12)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하부 이송통로 (T3)는 공통 유출부 (P23) 및 하부 배출부 (P3)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부호 1는 상부, 2는 중간, 3는 하부를 나타내며, 통로는 T, 순환통로는 P로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공통 유출부 (P23)는 순환 통로로서 중간과 하부가 공통으로 사용되는 통로가 되며, 공통 배출부 (P12)의 경우에는 순환통로로서 상부와 중간이 공통으로 사용되는 통로가 된다.
여기서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으며, H는 원적외선 히터를 나타 낸다.
원단 (5)이 원적외선 염착장치 (50)를 통과시 순차적으로 상부 이송통로 (T1), 중간 이송통로 (T2), 하부 이송통로 (T3)순으로 통과시, 원적외선 히터가 다수개 내장된 각각의 유출부에서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각각의 상,중,하에 설치된 유출부 및 배출부로 공기의 순환통로를 형성하여 원적외선 파장 및 복사열이 방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원단 (5)을 이송하는 이송벨트를 생략하고 있으나 이는 도 2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적외선 염착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로서, 이 도면에 의하여 도 1의 개념도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가 있다.
원적외선 염착장치 (50)내부 상,중,하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상,중,하 이송통로 (T1),(T2),(T3)가 설치되어 있고, 그 상부 이송통로 (T1)에는 상부 이송벨트 (C1)를 기준으로 상하에 상부 유출부 (P1) 및 공통 배출부 (P12)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상부 유출부 (P1) 및 공통 배출부 (P12)는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대칭으로 각각 구성하므로써 보다 긴 거리의 이송벨트의 길이에 해당하는 순환통로를 커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상부 유츨부 (P1)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원적외선 히터 (H)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에 다수개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에는 송풍용 모터 (M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공통 배출부 (P12)는 상부 및 하부에 다수개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으 며, 일측에 흡입용 모터 (M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유출부 (P1)와 공통배출부 (P12)는 서로 연결되어 상부 순환통로를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원단 (5)이 상부 이송벨트 (C1)를 통하여 상부 이송통로 (T1)를통과시 상부 유출부 (P1)의 다수개의 원적외선 히터에 의하여 방사되는 열과 복사열을 받는 동시에 상부 유출부 (P1)의 송풍용 모터 (M1)와 공통 배출부 (P12)의 흡입용 모터 (M2)가 구동하여 순환 통로를 형성하면서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원단에 일정한 온도가 가해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이 상부에서 가해지는 원적외선 파장은 상부 유출부 (P1)와 공통배출부 (P12)로 형성되는 순환통로에 의하여 위에서 아래로 통과하므로 원단의 내부 섬유를 통과하여 가해져 원단에 깊숙이 침투되는 동시에 고루고루 원단에 가해 질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종래에 원적외선이 가해지는 방식의 경우에는 원단에 공급되는 경우 원단에서 반사하는 비율이 높아 원단 전체에 고루고루 가해지지 아니하는 단점을 해소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송벨트 (C1)는 좌우에 회전용 로울러 (R11),(R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로울러 (R11),(R12)의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디수개의 소형 로울러가 배치될 수가 있다.
삭제
중간 이송통로 (T2)는 로울러 (R21),(R22)가 형성되어 원단의 이송로를 확보하고 있으며, 상부에 공통배출부 (P12) 하부에는 공통 유출부 (P23)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상술한 상부 이송통로 (T1)와 반대가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는 하부에 설치된 공통 유출부 (P23)에서 원적외선의 복사열과 순환공기를 보내고, 상부에 설치된 공통 배출부 (P12)로 순환공기가 흡입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공통 유츨부 (P23)의 상하부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뚫어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다수개의 원적외선 히터 및 송풍용 모터 (M3)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한 중앙 이송통로 (T2)의 순환통로는 송풍용 모터 및 흡입용 모터에 의하여 공통 유출부 (P23)에서 공통 배출부 (P12)쪽으로 순환하게 된다.
또한 하단에 설치되는 하부 이송통로 (T3)는 하부 이송벨트 (C3)를기준으로 상부에는 다수개의 원적외선 히터가 고정된 고정판 (7)과 하부에 하부 배출부 (P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하부 이송통로 (T3)에 형성되는 순환통로는 상기한 공통 유출부 (P23) 및 하부 배출부 (P3)로 형성된다. 내부에는 각각 송풍용 모터 및 흡입용 모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한 고정판 (7)은 공기가 흐르는 구멍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벨트 (C3)는 좌우에 회전용 로울러 (R31),(R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로울러 (R31),(R32)의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디수개의 소형 로울러가 배치될 수가 있다.
미설명 부호 8는 원적외선 염착장치 (50)내의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게 위하여 배기되는 배기통로이며, 로울러 (R3)는 원단 배출용 로울러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이송통로내에 설치되는 순환통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로서 상부 이송통로 (T)내에 형성되는 상부 순환통로를 이루는 상부 유출부 (P1) 및 공통배출부 (P12)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타 다른 유출부 및 배출부도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부 유출부 (P1)는 일측이 단면적이 넓고 다른측은 단면적이 적은 사다라꼴 구조를 가지고 있어 송풍모터 (여기에서는 도시 생략)에 의한 바람의 유속이 내부 일정하게 공급되게 하고 있다. 내부에는 다수개의 원적외선 히터 (H1),(H1),... 및 다수개의 구멍 (11)이 천공되어 있으며, 이 구멍으로 적외선 열선 및 공기가 순환된다.
공통 배출구 (P12)는 상하에 공기 순환용 구멍이 다수개 뚫어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흡입용 모터 (도시 생략)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유출부 (P1)와 공통 배출구 (P12)가 덕트로 서로 연결되어 순환통로를 형성한다.
덕트의 구성은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일반적인 냉조기에서 널리 사용되는 덕트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상부 유출부 (P1)와 공통 배출구 (P12)의 사이에는 이송벨트 (C1)가 구성되어 있으며, 그 벨트 내에는 공기순환용 구멍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전단에서 염색공정 순으로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즉, 원단공급공정, 프린트공정 다음에 건조 및 증열공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같이 건조 및 증열공정을 하나의 공정으로 수행한후 마직막으로 세척공정을 하게 된다.
이때 건조 및 증열공정을 하나의 공정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원적외선 염착장치 (50)를 사용한다.
이와같이 전단에서 공급되는 원단에는 프린트 작업이 완료된 상태로 넘어오게 되고. 이때에 원적외선 염착장치 (50)은 미리 가동되어 내부의 원적외선 히터 및 순환 통로를 위한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내부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한 상태가 된후 건조 및 증열공정을 행하게 된다.
즉, 도 2와 같이 원적외선 염착장치 (50)의 내부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원단 (1)이 입력측 (A)으로 공급되면, 상부 이송통로 (T1)의 상부 이송벨트 (C1)를 통하여 중간 이송통로 (T2)의 중간 로울러 (R),(R2)를 지나서 하부 이송 통로 (T3)의 하부 이송벨트 (C2)를 통과하여 출력측 (B)으로 원단이 인출되면, 한번의 공정으로 건조 및 증열처리가 완성된다.
상기 각각의 이송벨트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그물구조의 고무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밀착력이 좋고, 공기 순환에 도움을 준다.
먼저 도 1에서 각각의 이송통로내에 공기의 순환되는 순환과정을 살펴보면,
상부 이송통로 (T1)에는 순환통로가 상부 유출부 (P1)와 공통 배출부 (P12)로 형성되어 도면과 같이 화살표 아래방향으로 공기가 흐르게 되고, 중간 이송통로 (T2)에는 공통 유출부 (P23)에서 공통 배출부 (P12)쪽으로 공기의 흐름이 발생된다 (아래에서 위로 화살표).
또한 하부 이송통로 (T3)에서는 순환통로가 공통 유출부 (P23)에서 하부 배출부 (P3)쪽으로 공기의 흐름이 발생된다 (위에서 아래 화살표).
이와같이 순환통로를 형성하고 있어 내부에 장착된 원적외선 히터에서 나오는 파장의 공급과 열전도가 염착장치 내에 고루게 분배하게 된다.
여기서 상부 유출부 (P1) 및 공통 유출부 (P23)는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그 단면적이 사다리꼴이 되게 형성하여 송풍모터로 공기의 주입시 내부의 유속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도 2에서 원단이 이송벨트 (C1)를 통하여 상부 이송통로 (T1)의 통과시 위에서 아래로 부는 공기에 의하여 원단 (5)은 이송벨트 (C1)에 더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이동되고, 원단 (5)이 중간 이송통로 (T2)를 통과하는 경우에 180도 회전되면서 원단이 하중에 의하여 밑으로 쳐지는 것을 아래서 위로 부는 공기에 의하여 처짐을 방지하면서 계속적으로 원단의 표면에 원적외선의 조사 및 공기를 불어주게 된다.
다시 원단이 하부 이송통로 (T3)를 통과하면서 180도 회전되어 원단의 표면이 다시 위에 위치되고, 위에서 아래로 부는 순환기류에 의하여 밀착되면서 원적외선이 조사된후 원단이 출력측 (B)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염착장치 내에 다층의 이송통로를 구비하여 큰 면적을 차지하는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그리고 원적외선 히터에서 발산되는 파장과 열전도 가 원던에 고르게 분포되어 공급되도록 각각의 이송통로내 순환통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순환통로에 송풍용 모터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순환을 일정한 유속을 갖도록 하여 염색이 불균일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특히 원단의 상하에 순환통로를 구성하여 가해지는 원적외선 파장이 원단의 내부 섬유 속으로 침투하게 하여 염색이 불균일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층 구조의 이송통로를 구성함으로써 원단이 이송시 자체 자중에 의하여 쳐지는 현상을 상기한 순환통로에 의하여 해결하고 있는 것으로 건조공정 및 증열공정을 한번에 처리하는 장치로서 소형 경량화를 기할 수 있는 동시에 염색시 다량의 옷감을 대량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원단공급, 프린트, 건조, 증열, 세척 등의 공정에서 건조공정 및 증열공정을 하나의 공정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내부에 다수개의 원적외선 히터가 내장된 염착장치에 있어서,
    상부 이송벨트 (C1)를 기준으로 상부에 다수개의 원적외선 히터가 장착된 상부 유출부 (P1) 및 하부 공통 배출부 (P12)로 순환통로를 구성하고, 각각 송풍 및 흡입 모터가 내장되어 있는 상부 이송통로 (T1)와,
    중간 로울러 (R11),(R12)를 기준으로 상부에 공통배출부 (P12)) 및 다수개의 원적외선 히터가 내장된 하부 공통 유출부 (P23)로 순환통로를 구성하고, 각각 송풍 및 흡입 모터가 내장되어 있는 중간 이송통로 (T2)와.
    하부 이송벨트 (C2)를 기준으로 상부에 공동 유출부 (P23) 및 하부 배출부 (P3)로 순환통로를 구성하고, 고정판 (7)을 통하여 다수개의 원적외선 히터를 고정하며, 각각 송풍 및 흡입 모터가 내장되어 있는 하부 이송통로 (T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염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부 유출부 (P1) 및 공통 유출부 (P23)은 일단이 폭이 넓고, 타단은 폭이 좁은 사다리꼴 단면적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내부에 다수개의 순환용 구멍이 뚫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염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출부 (P1) 및 공통 배출부 (P12)는 덕트로 연결되어 순환통로를 형성하고, 상부 유출부 (P1)에는 송풍용 모터가 내장되고, 공통 배출부 (P12)에는 흡입용 모터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염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 (C1),(C3)는 고무벨트로서 다수개의 공기 순환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염착장치
KR20060019507A 2006-02-28 2006-02-28 원적외선 염착장치 KR100591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9507A KR100591794B1 (ko) 2006-02-28 2006-02-28 원적외선 염착장치
PCT/KR2006/001375 WO2007100171A1 (en) 2006-02-28 2006-04-13 Dyeing system for radiating far infrared 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9507A KR100591794B1 (ko) 2006-02-28 2006-02-28 원적외선 염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409A KR20060039409A (ko) 2006-05-08
KR100591794B1 true KR100591794B1 (ko) 2006-06-26

Family

ID=37146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19507A KR100591794B1 (ko) 2006-02-28 2006-02-28 원적외선 염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91794B1 (ko)
WO (1) WO200710017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942B1 (ko) 2007-02-05 2007-07-19 (주)정인텍스타일 원단의 염착방법 및 그 장치
KR101409442B1 (ko) 2013-11-21 2014-06-20 배응준 원적외선을 이용한 섬유 원단 열처리 및 건조 장치
KR101789228B1 (ko) * 2016-07-07 2017-10-26 아성기계 주식회사 날염 공정용 건조증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299B1 (ko) * 2007-03-05 2008-07-10 한국기계연구원 인쇄용 건조장치
KR100855581B1 (ko) * 2008-03-04 2008-09-03 류은정 염착기
KR101112523B1 (ko) * 2009-07-20 2012-02-16 주식회사 나노시스 원적외선 염착기
CN101818427A (zh) * 2010-04-08 2010-09-01 尹成元 全自动彩色罗拉印花、烘干、烂花设备
ES2378391B1 (es) * 2010-09-14 2013-02-05 Roberto Bravo García Túnel automático de secado de productos serigrafiados.
DE202014103343U1 (de) * 2014-07-18 2015-10-20 Autefa Solutions Germany Gmbh Behandlungseinrichtung, insbesondere Trocknungseinrichtung
DE202015106039U1 (de) 2015-11-10 2017-02-13 Autefa Solutions Germany Gmbh Behandlungseinrichtung
CN112020431B (zh) * 2018-04-30 2023-08-18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采用低温、高速空气的空气干燥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3417A (en) * 1973-06-06 1976-08-10 Burlington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thermosol dyeing of polyester fabrics
DE3142172A1 (de) * 1981-10-23 1983-05-05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Trockenanlage fuer faerbespulen in der textilindustrie
JPH0827659A (ja) * 1994-07-12 1996-01-30 Kanebo Ltd 撥水性を有するストーンウォッシュ調絹織編物の製造方法
JP2007520637A (ja) * 2003-08-08 2007-07-26 ジュン ホ キム 遠赤外線照射加熱機と遠赤外線染着装置及び遠赤外線を用いた染着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942B1 (ko) 2007-02-05 2007-07-19 (주)정인텍스타일 원단의 염착방법 및 그 장치
KR101409442B1 (ko) 2013-11-21 2014-06-20 배응준 원적외선을 이용한 섬유 원단 열처리 및 건조 장치
KR101789228B1 (ko) * 2016-07-07 2017-10-26 아성기계 주식회사 날염 공정용 건조증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409A (ko) 2006-05-08
WO2007100171A1 (en) 2007-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1794B1 (ko) 원적외선 염착장치
KR200456730Y1 (ko) 스크린 인쇄용 적외선 건조기
KR100613898B1 (ko)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
TWM562036U (zh) 具有空氣循環的節能的紅外線烘箱
KR20160014893A (ko)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
KR20170046414A (ko) 종횡 이송식 원단 플로팅 건조 시스템
KR102111724B1 (ko) 필름 시트용 텐터기
KR101301489B1 (ko) 의류건조기
KR101242649B1 (ko) 피혁자동도장장치의 건조기 시스템
KR100740942B1 (ko) 원단의 염착방법 및 그 장치
KR100467195B1 (ko) 원적외선 조사 가열기와 원적외선 염착장치 및 원적외선을이용한 염착방법
JP4382725B2 (ja) 食品の加熱装置
KR200419355Y1 (ko) 농수산물 건조기
KR101251035B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피혁 건조기
KR200459929Y1 (ko) 피그먼트 코팅장치
KR101108502B1 (ko) 원단 텀블러장치
KR102048344B1 (ko)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
KR102048345B1 (ko)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을 위한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방법
KR101083463B1 (ko) 원적외선 염착장치
KR100855581B1 (ko) 염착기
JP3753570B2 (ja) プレヒート装置およびプレヒート方法
KR101526167B1 (ko) 텐터기의 습윤건조를 위한 챔버기구
KR100357687B1 (ko) 섬유 건조용 열풍장치
JPH0339513Y2 (ko)
JPH08110629A (ja) 感光材料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Effective date: 201204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107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