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344B1 -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344B1
KR102048344B1 KR1020190061203A KR20190061203A KR102048344B1 KR 102048344 B1 KR102048344 B1 KR 102048344B1 KR 1020190061203 A KR1020190061203 A KR 1020190061203A KR 20190061203 A KR20190061203 A KR 20190061203A KR 102048344 B1 KR102048344 B1 KR 102048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monofilament fabric
monofilament
fabric
co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현
Original Assignee
유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현 filed Critical 유지현
Priority to KR1020190061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Compound processes or apparatus, for finishing or dressing textile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06C3/06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by rotary disc, roller, or like apparatus
    • D06C3/062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by rotary disc, roller, or like apparatus acting on the selvedges of the material only
    • D06C3/065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by rotary disc, roller, or like apparatus acting on the selvedges of the material only with uncurling of the edges of the fabr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01Treatment with 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X-ray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03Treatment with radio-waves or microwa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4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D06M15/24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containing chlor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노필라멘트사로 직조된 망체 형상이되 롤에 감긴 호 형상으로 일그러진 상태의 모노필라멘트직물이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공급하는 상하 인접 배치된 2개의 입력롤러; 상기 2개의 입력롤러를 통해 공급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을 일정 속도로 이송 처리하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을 가열하여 모노필라멘트직물을 구성하는 모노필라멘트사가 직조된 형상을 유지하게 열 변형시키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를 경유하면서 열 변형된 모노필라멘트직물을 냉각시켜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변형된 형태를 유지되게 하는 냉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와 냉각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가열부를 통해 열 변형된 상태에 있는 모노필라멘트직물 측으로 PVC코팅재료를 분사하여 PVC코팅층을 형성되게 하는 PVC코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PVC코팅부는, 상기 가열부에 의해 열 변형된 상태로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 측으로 PVC코팅을 수행하기 위한 코팅공간을 갖는 코팅챔버; 상기 코팅챔버의 내부에 위치하여 고정 설치하되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 측 상하측에 각각 위치시키고, 모노필라멘트직물 측 폭방향으로 PVC코팅재료를 라인 분사하기 위한 상하 라인코팅노즐; 상기 라인코팅노즐로 PVC코팅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코팅재료저장탱크 및 재료공급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노필라멘트직물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재단이나 재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하는 가열에 의한 열처리공정과 열처리공정이 완료된 상태의 모노필라멘트직물에 PVC 코팅 처리하는 PVC 코팅공정을 하나의 장치 내에서 연속 처리할 수 있으며, 모노필라멘트직물에 대해 PVC 코팅작업을 포함하는 전반적인 후처리 공정을 수행시 그 후처리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작업효율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향상된 품질을 갖는 모노필라멘트 직물을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MONOFILAMENT FABRIC POST-PROCESSING EQUIPMENT}
본 발명은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노필라멘트 직물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재단이나 재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하는 가열에 의한 열처리공정과 열처리공정이 완료된 상태의 모노필라멘트 직물에 PVC 코팅 처리하는 PVC 코팅공정 및 냉각공정까지 하나의 장치 내에서 연속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은 방적사와 필라멘트사로 크게 분류되는데, 상기 필라멘트사는 한 올에 의한 모노 필라멘트와 여러 올에 의한 멀티 필라멘트로 다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모노 필라멘트 또는 멀티 필라멘트 등을 포함하는 원사를 이용하여 경사와 위사를 교차시키는 방법으로 직조한 것을 직물이라 하며, 평직, 능직, 주자직 등의 제직방법을 이용하여 직물을 생산하고 있다.
상기 모노필라멘트를 이용하여 직조된 직물은 통기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서, 운동화용 직물 및 가방용 직물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모노필라멘트 직물의 소재가 되는 모노필라멘트는 단독 필라멘트로서, 하나의 노즐에서 방사되는 섬유를 다른 섬유와 합치지 않은 단일 섬유이며, 탄성이 우수하여 이로 만들어진 직물은 땀의 배출이 용이하고 신축성 및 탄성이 우수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모노필라멘트는 자체 탄성이 우수하므로 인해 직조된 직물이 뒤틀리거나 직물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는데, 본원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등록특허 제10-1693559호에서와 같이, 가열에 의한 열처리를 통해 모노필라멘트로 만들어진 직물이 직물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단이나 재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하는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 및 후처리 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모노필라멘트 직물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후처리를 실시한 다음에는 형태 안정성을 유지하고 인장강도 등의 내구성 및 다양한 디자인 구현을 위해 PVC 코팅을 추가적으로 실시하는데, 상기 PVC 코팅은 별도의 코팅설비를 이용하여 개별로 다시 공정을 진행하고 있는 실정에 있으며, 이로 인해 모노필라멘트 직물에 대한 후처리공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열처리공정과 별개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므로 이중 작업을 실시하는데 따른 번거로움 및 불편함이 있으며 초기 설치비는 물론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3559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노필라멘트 직물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재단이나 재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하는 가열에 의한 열처리공정과 열처리공정이 완료된 상태의 모노필라멘트 직물에 PVC 코팅 처리하는 PVC 코팅공정 및 냉각공정까지 하나의 장치 내에서 연속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본원출원인이 제안하여 출원 및 등록한 국내등록특허 제10-1693559호를 개선함으로써 전반적인 후처리 공정시간을 절감함과 더불어 작업효율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향상된 품질을 갖는 모노필라멘트 직물을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는, 모노필라멘트사로 직조된 망체 형상이되 롤에 감긴 호 형상으로 일그러진 상태의 모노필라멘트직물이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공급하는 상하 인접 배치된 2개의 입력롤러; 상기 2개의 입력롤러를 통해 공급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을 일정 속도로 이송 처리하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을 가열하여 모노필라멘트직물을 구성하는 모노필라멘트사가 직조된 형상을 유지하게 열 변형시키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를 경유하면서 열 변형된 모노필라멘트직물을 냉각시켜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변형된 형태를 유지되게 하는 냉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와 냉각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가열부를 통해 열 변형된 상태에 있는 모노필라멘트직물 측으로 PVC코팅재료를 분사하여 PVC코팅층을 형성되게 하는 PVC코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PVC코팅부는, 상기 가열부에 의해 열 변형된 상태로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 측으로 PVC코팅을 수행하기 위한 코팅공간을 갖는 코팅챔버; 상기 코팅챔버의 내부에 위치하여 고정 설치하되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 측 상하측에 각각 위치시키고, 모노필라멘트직물 측 폭방향으로 PVC코팅재료를 라인 분사하기 위한 상하 라인코팅노즐; 상기 라인코팅노즐로 PVC코팅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코팅재료저장탱크 및 재료공급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라인코팅노즐은, 상기 모노필라멘트직물 측 폭방향을 커버하도록 일정 길이로 구비되고, 내부에 PVC코팅재료를 일시 저장하는 내부저장공간을 갖되 하단에 형성되는 재료분사구와 연결되는 노즐본체; 상기 노즐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삽입 고정되어 내부저장공간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펌프의 가동에 의해 코팅재료저장탱크로부터 PVC코팅재료를 공급받도록 연결 구비되는 원통형 관체로서, 공급되는 PVC코팅재료를 배출하기 위한 재료배출홀을 길이방향으로 간격 형성시킨 코팅재료공급관;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본체 측 내부저장공간은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지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코팅재료공급관 상에 간격 형성되는 재료배출홀은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되, PVC코팅재료의 공급 시작부분에서 끝부분으로 갈수록 직경을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하여 전체라인에 걸쳐 PVC코팅재료를 균일한 양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PVC코팅재료는, 형태 안정 및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폴리염화비닐(PVC)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색상 표출을 위한 안료 0.5~5중량부, 분산성과 유연성을 위한 가소제 20~60중량부, 안정제 1~5중량부가 혼합된 조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소제는 아세틸트리부틸시트레이트(acetyl tributyl citrate), 디프로필헵틸프탈레이트(di propylheptyl phthalate), 디에틸헥실사이클로헥산(di ethylhexyl cyclohexane), 트리아세틴과 에폭시화된 필수지방산이 혼합된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하고; 상기 안정제는 트리아졸, 아크릴로니트릴, 스테아린산칼슘, 스테아린산바륨, 스테라인산아연, 칼슘, 바륨, 아연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일정 속도로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을 가열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3개의 구획된 공간으로 분리 형성되는 가열챔버; 상기 가열챔버의 구획된 공간 상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 측 상하측에 각각 위치되어 모노필라멘트직물 측 열 변형을 유도하기 위한 가열을 수행하는 상하 배치된 가열체; 상기 각 가열체와 모노필라멘트직물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하측에 각각 설치하되 모노필라멘트직물 상에 근접 배치 및 길이방향으로 간격 배열되고, 좌우측 방향으로 회동(回動) 및 회동각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회동댐퍼;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열체는, 상기 3개의 구획된 공간으로 분리 형성되는 가열챔버 측 제1가열챔버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 측으로 적외선에 의한 복사열을 조사하여 1차 가열하기 위한 적외선히터; 상기 3개의 구획된 공간으로 분리 형성되는 가열챔버 측 제2가열챔버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가열챔버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을 2차 가열하되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에 의한 고주파 가열을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파발생기; 상기 3개의 구획된 공간으로 분리 형성되는 가열챔버 측 제3가열챔버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가열챔버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을 발열체에 의한 히팅 가열을 통해 3차 가열하기 위한 전기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3가열챔버 상에는 가열공기의 순환 처리를 위한 순환팬이 함께 설치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노필라멘트직물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재단이나 재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하는 가열에 의한 열처리공정과 열처리공정이 완료된 상태의 모노필라멘트직물에 PVC 코팅 처리하는 PVC 코팅공정 및 냉각공정까지 하나의 장치 내에서 연속 처리할 수 있는 모노필라멘트직물 후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노필라멘트직물에 대해 가열과 PVC 코팅 및 냉각을 포함하는 전반적인 후처리 공정을 수행시 그 후처리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작업효율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향상된 품질을 갖는 모노필라멘트 직물을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를 나타낸 개략적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를 나타낸 외형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에 있어 이송컨베이어의 입력단부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에 있어 이송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에 있어 롤러회동지지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에 있어 PVC코팅부 측 라인코팅노즐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는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노필라멘트사로 직조된 망체 형상의 모노필라멘트직물(MF)을 열처리하여 평평한 상태를 유지되게 함과 더불어 PVC코팅까지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롤에 감긴 호 형상으로 일그러진 상태의 모노필라멘트직물이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이송 방향으로 공급하는 상하 인접 배치된 2개의 입력롤러(10)와, 상기 2개의 입력롤러(10)를통해 공급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의 양 가장자리의 모노필라멘트직물의 망눈에 맞추어 끼워져 모노필라멘트직물을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핀(20p)이 설치되고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모노필라멘트직물을 이송시키도록 모노필라멘트직물의 폭에 대응되게 2개가 서로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이송컨베이어(2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20)를 통해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을 가열하여 모노필라멘트직물을 구성하는 모노필라멘트사가 직조된 형상을 유지하게 열 변형시키는 가열부(100)와, 상기 가열부(100)를 경유하면서 열 변형된 모노필라멘트직물 측에 PVC코팅재료를 분사하여 표면에 PVC코팅층을 형성되게 하는 PVC코팅부(200)와, 상기 PVC코팅부(200)를 경유한 모노필라멘트직물(MF)에 대해 냉각시켜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변형된 형태를 유지되게 하는 냉각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의 상부에서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이 이송컨베이어(20)에 설치된 다수의 고정핀(20p)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모노필라멘트직물을 눌러주는 부상방지롤러(5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의 하부에 설치되어 다양한 폭의 모노필라멘트직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양측 이송컨베이어(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컨베이어폭조절장치(6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롤러(10)는 2개의 롤러를 상하로 인접 배치하여 모노필라멘트직물(MF)을 후단의 이송컨베이어(20)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구동수단(미 도시)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모노필라멘트직물(MF)을 이송컨베이어 측으로 밀어낸다.
상기 이송컨베이어(20)는 망체 형상을 이루는 모노필라멘트직물(MF)을 후단에 설치된 가열부(100) 내지 냉각부(300)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2개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이격 설치되어 있으며, 모노필라멘트직물(MF)의 양 가장자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회동하여 이송시킨다.
상기 이송컨베이어(20)는 메쉬형 컨베이어로 구비된다.
이렇게 모노필라멘트직물(MF)의 양 가장자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송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20)에는 다수의 고정핀(20p)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핀(20p)은 모노필라멘트직물(MF)의 망눈에 맞추어 조림하게 설치된다.
상기 모노필라멘트직물(MF)은 직조 상태에서는 모노필라멘트사의 탄성에 의해 평평한 상태가 아니라 일그러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모노필라멘트사는 탄성을 갖는 실로, 직조하였을 때 서로 엮인 부분이 완만한 호 형상을 이루어 모노필라멘트사 사이에 공간이 생길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모노필라멘트직물(MF)은 평평하지 않고 울룩불룩하게 일그러진 형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는 본 발명의 후처리 과정 후 보다 폭이 좁고, 이 상태에서 그대로 열처리를 하면 울룩불룩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열처리 효과가 없다.
이에 따라 열처리를 하기 전에 모노필라멘트직물(MF)을 구성하는 모노필라멘트사의 서로 엮인 부분이 서로 긴밀하게 밀착될 뿐만 아니라 엮인 부분의 완만한 호 형상이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양 가장자리를 당겨 폭을 넓힌 후, 열처리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컨베이어(20)는 모노필라멘트직물의 폭에 대응되도록 두 개가 서로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모노필라멘트직물이 입력되는 입력 부분의 폭을 작게 형성하여 협폭입력부(21)를 형성하여 입력롤러에 의해 입력된 모노필라멘트직물이 협폭입력부(41)의 고정핀에 의해 걸린 상태에서 이송되면서 양측으로 펼쳐져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송컨베이어(20)의 하부에 가이드를 설치하여 이송컨베이어(20)의 입력 단부의 협폭입력부(21)는 다른 부분보다 폭이 좁게 하고, 하단으로 가면서 접착 폭이 넓어지되 일정 거리 이후에는 두 이송컨베이어가 평행한 상태로 이동되게 하여 모노필라멘트직물(MF)이 충분히 펼쳐진 상태에서 열처리와 PVC코팅 및 냉각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20)에 설치된 다수의 고정핀(20p)이 모노필라멘트직물(MF)의 망눈 사이에 끼인 상태에서 이동하고, 이렇게 이동하는 모노필라멘트직물(MF)이 이동 중간에 이송컨베이어(20)의 고정핀(20p)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이송컨베이어(20)의 상부에 다수의 부상방지롤러(50)를 구비한다.
상기 부상방지롤러(5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의 상부에서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이 이송컨베이어에 설치된 고정핀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모노필라멘트직물을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부상방지롤러(50)는 원형 형상의 외주면에 다수의 탄성핀(50p)이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 상에서 직선 이동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되면서 이송컨베이어에 설치된 다수의 고정핀(20p) 사이에 끼워져 모노필라멘트직물을 눌러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부상방지롤러(50)는 항상 이송컨베이어에 눌려져 있는 것이 아니라, 모노필라멘트직물(MF)을 처음 입력할 때에는 이송컨베이어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야 함으로 이를 위해 롤러회동지지수단(51)을 구비한다.
상기 롤러회동지지수단(51)은 상기 부상방지롤러(50)를 선택적으로 이송컨베이어(20)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부상방지롤러(5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지지수단(51c)과, 이 회전지지수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수단(51h)을 포함한다.
즉, 회전지지수단(51c)을 힌지수단(51h)을 중심으로 회동시킴에 의해 상기 롤러회동지지수단([0041] 51)이 회동하여 이송컨베이어(20)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상부면을 눌러주게 된다.
상기 회전지지수단(51c)을 보다 쉽게 회동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지지수단의 상부에는 회동손잡이(51r)를 더 설치하고, 상기 회동손잡이를 들어 올리면 회전지지수단이 힌지수단(51h)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부상방지롤러(50)가 상승하고, 회동손잡이를 아래로 내려놓으면 부상방지롤러(50)가 하강된다.
이때, 하강한 부상방지롤러(50)가 너무 강한 힘으로 이송컨베이어와 접촉되면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MF)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적당한 높이로 부상방지롤러(50)가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손잡이(51r)의 하부에는 손잡이지지대(51s)를 설치하여 회동손잡이(51r)의 높이를 제한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20)는 다수의 이송판(20b)를 서로 힌지 결합하여 롤러를 타고 이동될 수 있게 결합되며, 이송판의 외부면에 상기한 고정핀(20b)이 설치된다.
즉, 다수의 이송판(20b)을 관통하여 환형 띠를 매설하고, 환형띠에 이송판을 고정시켜 이송판들의 열이 환형 고리 형상을 이루게 한다.
상기 가열부(100)는 모노필라멘트직물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 즉, 모노필라멘트사의 엮인 부분이 충분히 엮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열처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모노필라멘트사에 직접 화염이 접촉될 경우, 모노필라멘트사가 녹거나 성질이 변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는 차원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빠른 시간에 가열할 경우, 모노필라멘트사의 성질이 변하거나, 탈 수 있으므로 서서히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길게 연장된 챔버를 통과시키면서 서서히 온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가열부(10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20)를 통해 일정 속도로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MF)을 가열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3개의 구획된 공간으로 분리 형성 및 연속적으로 배열시킨 제1가열챔버(100a) 내지 제3가열챔버(100c)를 갖는 가열챔버와, 상기 가열챔버의 각 구획된 공간 상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 측 상하측에 각각 위치되어 모노필라멘트직물 측 열 변형을 유도하기 위한 가열을 수행하는 상하 배치된 가열체(110)와, 상기 각 가열체(110)와 모노필라멘트직물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하측에 각각 설치하되 모노필라멘트직물 상에 근접 배치 및 길이방향으로 간격 배열되고, 좌우측 방향으로 회동(回動) 및 회동각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회동댐퍼(1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열부(100)는 상기 가열체(110) 및 회동댐퍼(120)를 모노필라멘트직물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명하였으나, 상측에만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상기 가열체(110)는 상기 3개의 구획된 공간으로 분리 형성되는 가열챔버 측 제1가열챔버(100a)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 측으로 적외선에 의한 복사열을 조사하여 1차 가열하기 위한 적외선히터(111)와, 상기 3개의 구획된 공간으로 분리 형성되는 가열챔버 측 제2가열챔버(100b)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가열챔버(100a)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을 2차 가열하되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에 의한 고주파 가열을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파발생기(112), 및 상기 3개의 구획된 공간으로 분리 형성되는 가열챔버 측 제3가열챔버(100c)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가열챔버(100b)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을 발열체에 의한 히팅 가열을 통해 3차 가열하기 위한 전기히터(11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3가열챔버(100c) 상에는 가열공기의 순환 처리를 위한 순환팬이(114) 함께 설치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적외선히터(111)는 적외선 조사를 통해 모노필라멘트직물 측 조직까지 깊숙하게 열이 스며들게 한다.
상기 마이크로파발생기(112)는 2450MHz 등의 고주파를 사용하여 마이크로파가 모노필라멘트직물 측에 미치게 함으로써 모노필라멘트사나 직물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변질의 위험없이 균일하게 가열 처리하는 등 열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고, 모노필라멘트 자체가 발열체가 되므로 가열에 의한 열처리 시간을 단축시킴과 더불어 모노필라멘트직물 측으로만 선택적으로 조사 및 흡수되므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전기히터(113)는 상기 적외선히터(111)와 마이크로파발생기(112)에 의해 1차 및 2차 가열까지 진행된 상태에 있는 모노필라멘트직물을 가열하므로 높은 히팅포인트를 발휘하지 않아도 가열에 의한 모노필라멘트 측 가벼운 열변형을 유도할 수 있어 모노필라멘트직물 측이 타거나 쉽게 변형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에너지를 절감하면서 보다 효율적인 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기히터(113)는 면상발열체로 대체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제3가열챔버(100c)의 내벽 전체면에 걸쳐 장착하는 형태로 하여 균일한 가열이 수행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회동댐퍼(120)는 제1가열챔버 내지 제3가열챔버의 각 공간 상에 위치하여 2개 이상의 다수를 설치하되, 모터나 실린더 등과의 결합을 통해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회동각도를 개별 조절 또는 동시 다발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회동댐퍼(120)는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가열에 따라 모노필라멘트사가 녹거나 성질이 변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가열되는 열이 모노필라멘트직물 측으로 균일하게 미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PVC코팅부(200)는 상기 가열부(200)를 통해 열 변형된 상태에 있는 모노필라멘트직물 측으로 PVC코팅재료를 분사하여 모노필라멘트직물 측 표면으로 PVC코팅층을 형성되게 한다.
상기 PVC코팅부(200)는 상기 가열부(100)에 의해 열 변형된 상태로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MF) 측으로 PVC코팅을 수행하기 위한 코팅공간을 갖는 코팅챔버(210)와, 상기 코팅챔버(210)의 내부에 위치하여 고정 설치하되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 측 상하측에 각각 위치시키고 모노필라멘트직물 측 폭방향으로 PVC코팅재료를 라인 분사하기 위한 상하 라인코팅노즐(220)와, 상기 라인코팅노즐(220)로 PVC코팅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코팅재료저장탱크(230) 및 재료공급펌프(240)를 포함한다.
상기 라인코팅노즐(220)은 상기 모노필라멘트직물 측 폭방향을 커버하도록 일정 길이로 구비되고 내부에 PVC코팅재료를 일시 저장하는 내부저장공간(221a)을 갖되 하단에 형성되는 재료분사구(221b)와 연결되는 노즐본체(221)와, 상기 노즐본체(221)의 길이방향으로 삽입 고정되어 내부저장공간(221a) 상에 배치되고 상기 재료공급펌프(240)의 가동에 의해 코팅재료저장탱크(230)로부터 PVC코팅재료를 공급받도록 연결 구비되는 원통형 관체로서 공급되는 PVC코팅재료를 내부저장공간(221a) 상에 배출하기 위한 재료배출홀(222a)을 길이방향으로 간격 형성시킨 코팅재료공급관(222)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본체(221) 측 내부저장공간(221a)은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지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코팅재료공급관(240) 상에 간격 형성되는 재료배출홀(222a)은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되 PVC코팅재료의 공급 시작부분에서 끝부분으로 갈수록 직경을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하여 전체라인에 걸쳐 PVC코팅재료를 균일한 양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노필라멘트직물 상에 PVC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PVC코팅재료는 형태 안정 및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폴리염화비닐(PVC)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색상 표출을 위한 안료 0.5~5중량부, 분산성과 유연성을 위한 가소제 20~60중량부, 안정제 1~5중량부가 혼합된 조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가소제는 친환경을 위해 아세틸트리부틸시트레이트(acetyl tributyl citrate), 디프로필헵틸프탈레이트(di propylheptyl phthalate), 디에틸헥실사이클로헥산(di ethylhexyl cyclohexane), 트리아세틴과 에폭시화된 필수지방산이 혼합된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정제는 PVC코팅재료에 대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트리아졸, 아크릴로니트릴, 스테아린산칼슘, 스테아린산바륨, 스테라인산아연, 칼슘, 바륨, 아연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성으로 이루어진 PVC코팅재료를 이용하여 PVC코팅을 수행하는 상기 PVC코팅부(200)에서는 모노필라멘트직물의 수축현상 및 주름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형태 안정성을 갖게 하면서 강도를 보강하여줄 수 있는 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라인코팅노즐(220)은 모노필라멘트직물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시 하측은 모노필라멘트직물에 근접 배치되게 하고 상측은 하측에 비해 모노필라멘트직물과 약간 더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게 하며, 상측과 하측에 대해 전후방향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하되 하측을 이송방향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하고 상측을 이송방향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함으로써 상하측에서 시간차 분사에 의한 PVC코팅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라인코팅노즐(220)에 대해 상하측에 각각 배치하여 PVC코팅을 수행할 시, 전후방향에 간격 배치함에 따라 모노필라멘트직물 측 상하면에 걸쳐 균일한 두께로 코팅층을 형성 및 상하방향에 걸쳐 매끈한 코팅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PVC코팅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PVC코팅재료가 저장된 코팅재료침지탱크를 구비하되, 모노필라멘트직물(MF)이 코팅재료침지탱크를 경유하여 지나가도록 설치함으로써 침지방식을 결합한 구성으로 PVC코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PVC코팅부(200)는 코팅챔버(210)와, 상기 코팅챔버의 내측에 설치되는 코팅재료침지탱크와, 상기 코팅재료침지탱크 상에 위치하는 라인코팅노즐(220)과, 상기 라인코팅노즐(220)로 PVC코팅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코팅재료저장탱크(230) 및 재료공급펌프(2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냉각부(300)는 상기 가열부(200)에 의해 열 변형된 모노필라멘트직물을 상온으로 냉각시켜 변형된 상태를 유지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급냉보다는 서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길게 설치된 냉각챔버(310) 및 상기 냉각챔버의 내부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기(3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PVC코팅부(200)는 PVC코팅 처리 이후에 건조를 실시하기 위한 건조챔버 및 상기 건조챔버 상에 설치되는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으며, PVC 코팅한 다음에 건조시킨 상태로 냉각부(300)로 이송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건조장치로는 적외선히터를 사용한 건조 처리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송컨베이어(20) 두 개가 한 쌍을 이루고 있고, 상기 두 개의 이송컨베이어 사이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컨베이어폭조절장치(60)를 활용한다.
상기 컨베이어폭조절장치(60)는 이송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61)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고, 이송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롤러가 설치된 받침대에 연결되며 내주면에 나선형 기어홈이 형성된 이동체(62)와, 상기 이동체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구동수단(64)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며 외주면에는 이동체에 형성된 나선형 기어홈에 치합되는 나선형 기어가 형성된 스크류축(6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64)은 수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축 회전을 위한 손잡이가 되거나, 구동모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폭조절장치(60)는 구동수단(64)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축이 회전하면 두 이송컨베이어 사이의 간격이 조절된다.
이렇게 스크류축(63)을 회전시킴에 의해 두 이송컨베이어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기 위해서는 상기 스크류축(63)이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나선형 기어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렇게 스크류축(63)에 형성된 나선형 기어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구동수단에 의해 스크류축이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두 이송컨베이어가 서로 접근하여 이송컨베이어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거나 반대로 멀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폭조절장치(60)는 적어도 이송컨베이어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 전체가 수평으로 이동되게 설치되고, 두 개의 컨베이어폭조절장치(60)를 동시에 동일하게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구동수단은 모터를 사용하고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모터의 속도 및 구동 시간을 제어하여 이송컨베이어 전체가 일정하게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조절장치(60)는 모노필라멘트사로 직조된 모노필라멘트직물은 후처리 전에 모노필라멘트사의 탄성에 의해 오그라든 상태가 되어 평평하게 펼쳐졌을 때보다 폭이 좁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모노필라멘트사의 탄성에 따라 신장되는 폭이 달라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폭의 모노필라멘트직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즉 후처리하기 위해 양측 이송컨베이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처리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의 폭이나 원하는 폭으로 두 이송컨베이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을 통해서는 모노필라멘트직물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재단이나 재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하는 가열에 의한 열처리공정과 열처리공정이 완료된 상태의 모노필라멘트직물에 PVC 코팅 처리하는 PVC 코팅공정까지 하나의 장치 내에서 연속 처리할 수 있으며, 모노필라멘트직물에 대해 PVC 코팅작업을 포함하는 전반적인 후처리 공정을 수행시 그 후처리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작업효율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향상된 품질을 갖는 모노필라멘트 직물을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가열부 100a: 제1가열챔버
100b: 제2가열챔버 100c: 제3가열챔버
110: 가열체 111: 적외선히터
112: 마이크로파발생기 113: 전기히터
120: 회동댐퍼 200: PVC코팅부
210: 코팅챔버 220: 라인코팅노즐
300: 냉각부

Claims (5)

  1. 모노필라멘트사로 직조된 망체 형상이되 롤에 감긴 호 형상으로 일그러진 상태의 모노필라멘트직물이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공급하는 상하 인접 배치된 2개의 입력롤러; 상기 2개의 입력롤러를 통해 공급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을 일정 속도로 이송 처리하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을 가열하여 모노필라멘트직물을 구성하는 모노필라멘트사가 직조된 형상을 유지하게 열 변형시키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를 경유하면서 열 변형된 모노필라멘트직물을 냉각시켜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변형된 형태를 유지되게 하는 냉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와 냉각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가열부를 통해 열 변형된 상태에 있는 모노필라멘트직물 측으로 PVC코팅재료를 분사하여 표면에 PVC코팅층을 형성되게 하는 PVC코팅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PVC코팅부는 상기 가열부에 의해 열 변형된 상태로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 측으로 PVC코팅을 수행하기 위한 코팅공간을 갖는 코팅챔버; 상기 코팅챔버의 내부에 위치하여 고정 설치하되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 측 상하측에 각각 위치시키고, 모노필라멘트직물 측 폭방향으로 PVC코팅재료를 라인 분사하기 위한 상하 라인코팅노즐; 상기 라인코팅노즐로 PVC코팅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코팅재료저장탱크 및 재료공급펌프; 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일정 속도로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을 가열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3개의 구획된 공간으로 분리 형성되는 가열챔버; 상기 가열챔버의 구획된 공간 상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 측 상하측에 각각 위치되어 모노필라멘트직물 측 열 변형을 유도하기 위한 가열을 수행하는 상하 배치된 가열체; 상기 각 가열체와 모노필라멘트직물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하측에 각각 설치하되 모노필라멘트직물 상에 근접 배치 및 길이방향으로 간격 배열되고, 좌우측 방향으로 회동(回動) 및 회동각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회동댐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코팅노즐은,
    상기 모노필라멘트직물 측 폭방향을 커버하도록 일정 길이로 구비되고, 내부에 PVC코팅재료를 일시 저장하는 내부저장공간을 갖되 하단에 형성되는 재료분사구와 연결되는 노즐본체;
    상기 노즐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삽입 고정되어 내부저장공간 상에 배치되고, 상기 재료공급펌프의 가동에 의해 코팅재료저장탱크로부터 PVC코팅재료를 공급받도록 연결 구비되는 원통형 관체로서, 공급되는 PVC코팅재료를 배출하기 위한 재료배출홀을 길이방향으로 간격 형성시킨 코팅재료공급관; 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본체 측 내부저장공간은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지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코팅재료공급관 상에 간격 형성되는 재료배출홀은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되, PVC코팅재료의 공급 시작부분에서 끝부분으로 갈수록 직경을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하여 전체라인에 걸쳐 PVC코팅재료를 균일한 양으로 공급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체는,
    상기 3개의 구획된 공간으로 분리 형성되는 가열챔버 측 제1가열챔버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 측으로 적외선에 의한 복사열을 조사하여 1차 가열하기 위한 적외선히터;
    상기 3개의 구획된 공간으로 분리 형성되는 가열챔버 측 제2가열챔버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가열챔버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을 2차 가열하되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에 의한 고주파 가열을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파발생기;
    상기 3개의 구획된 공간으로 분리 형성되는 가열챔버 측 제3가열챔버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가열챔버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모노필라멘트직물을 발열체에 의한 히팅 가열을 통해 3차 가열하기 위한 전기히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제3가열챔버 상에는 가열공기의 순환 처리를 위한 순환팬이 함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
KR1020190061203A 2019-05-24 2019-05-24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 KR102048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203A KR102048344B1 (ko) 2019-05-24 2019-05-24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203A KR102048344B1 (ko) 2019-05-24 2019-05-24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344B1 true KR102048344B1 (ko) 2019-11-25

Family

ID=68730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203A KR102048344B1 (ko) 2019-05-24 2019-05-24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3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68075A (zh) * 2022-12-26 2023-04-14 天津大学 一种用于文物照明的智能照明系统及其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9904A (ko) * 1993-02-02 1994-09-15 윤기룡 직물코팅장치
JP2006183165A (ja) * 2004-12-27 2006-07-13 Hiraoka & Co Ltd 寸法安定性に優れた防水膜材
KR101576800B1 (ko) * 2015-01-21 2015-12-11 주식회사 한영나염 디지탈프린팅 원단 코팅장치
KR101693559B1 (ko) 2016-03-21 2017-01-17 유지현 운동화용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 및 후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9904A (ko) * 1993-02-02 1994-09-15 윤기룡 직물코팅장치
JP2006183165A (ja) * 2004-12-27 2006-07-13 Hiraoka & Co Ltd 寸法安定性に優れた防水膜材
KR101576800B1 (ko) * 2015-01-21 2015-12-11 주식회사 한영나염 디지탈프린팅 원단 코팅장치
KR101693559B1 (ko) 2016-03-21 2017-01-17 유지현 운동화용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 및 후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68075A (zh) * 2022-12-26 2023-04-14 天津大学 一种用于文物照明的智能照明系统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344B1 (ko)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
KR102048345B1 (ko)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을 위한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방법
KR100981727B1 (ko) 모노필라멘트 원사의 제조방법 및 그 모노필라멘트 원사
US3235931A (en) Apparatus for the heat setting of cloth layers
KR101693559B1 (ko) 운동화용 모노필라멘트 직물 후처리 장치 및 후처리 방법
KR100467195B1 (ko) 원적외선 조사 가열기와 원적외선 염착장치 및 원적외선을이용한 염착방법
KR101242649B1 (ko) 피혁자동도장장치의 건조기 시스템
EP10579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setting a knitted fabric in tubular form
CN110725090A (zh) 双层拉幅定型装置及系统
CN109572175A (zh) 经纱转印机
KR101251035B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피혁 건조기
EP1876286B1 (en) Method of modifying organic fiber cord
KR101075353B1 (ko)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
CN211394933U (zh) 一种纺织布印染设备
KR100773946B1 (ko) 원단 건조방법 및 장치
CN208914781U (zh) 经纱转印机
WO2020107367A1 (zh) 经纱转印机
KR100855581B1 (ko) 염착기
CN105972966A (zh) 一种纺织布料的烘干机
KR101136526B1 (ko) 염직물의 건조기
KR200439629Y1 (ko) 섬유 건조장치
CN211772084U (zh) 一种新型定型机
KR101083463B1 (ko) 원적외선 염착장치
CN216998894U (zh) 一种定型机的上料机构
CN212299879U (zh) 一种涤锦棉布料用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