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636B1 - 발광 다이오드를 위한 안정한 전자 주입 전극으로서의금속 산화물 박층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를 위한 안정한 전자 주입 전극으로서의금속 산화물 박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636B1
KR100591636B1 KR1020017004644A KR20017004644A KR100591636B1 KR 100591636 B1 KR100591636 B1 KR 100591636B1 KR 1020017004644 A KR1020017004644 A KR 1020017004644A KR 20017004644 A KR20017004644 A KR 20017004644A KR 100591636 B1 KR100591636 B1 KR 100591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elete delete
metal oxide
cathode
po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4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9298A (ko
Inventor
용 카오
Original Assignee
듀폰 디스플레이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폰 디스플레이즈, 인크. filed Critical 듀폰 디스플레이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010089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10K50/171Electron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0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material in which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s embedded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발광 다이오드(LED)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낮은 일 함수를 갖는 금속의 산화물 박층을 포함하는 전자 주입 음극을 사용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a) 호울 주입 양극층, (b) 전자 주입 음극층, 및 (c) 방출층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i) 상기 방출층은 상기 양극층과 상기 음극층 사이에 삽입되고, (ii) 상기 방출층은 전자발광성의 반도전성 유기 물질을 포함하고, (iii) 상기 음극층은 약 15 내지 약 200 Å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 산화물층을 포함하고, (iv) 상기 금속 산화물은 알칼리 금속 산화물,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란탄족 금속 산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LED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를 위한 안정한 전자 주입 전극으로서의 금속 산화물 박층{Thin Metal-Oxide Layer as Stable Electron-Injecting Electrode for Light Emitting Diod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발광 다이오드(LED)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낮은 일 함수를 갖는 금속 산화물 박층을 포함하는 전자 주입 음극을 사용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a) 호울 주입 양극층, (b) 전자 주입 음극층, 및 (c) 방출층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ⅰ) 상기 방출층은 상기 양극층과 상기 음극층 사이에 삽입되고, (ⅱ) 상기 방출층은 전자 발광성의 반도전성 유기 물질을 포함하고, (ⅲ) 상기 음극층은 약 15 내지 약 200 Å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 산화물층을 포함하고, (ⅳ) 상기 금속 산화물은 알칼리 금속 산화물,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란탄족 금속 산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LED에 관한 것이다.
원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다양한 간행물, 특허 및 공개된 특허 출원을 확인하는 정도의 인용으로 언급하고, 이러한 문서에 대한 완전한 인용은 청구범위 바로 전의 명세서 말미에서 발견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인용한 간행물, 특허 및 공개된 특허 명세서의 기재 내용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상태를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원 명세세에 참고로 포함시킨다.
콘쥬게이트된 유기 폴리머 층을 갖도록 제조된 다이오드 및 특히 발광 다이오드(LED)는 디스플레이 기술에 있어서의 사용 가능성 (브러프 등, 1990, 브라운 등, 1991) 때문에 관심을 끌었다. 폴리머 LED에 있어서 활성층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유망한 물질 중에는 폴리(페닐렌 비닐렌) (PPV), 및 ~ 2.1 eV의 에너지 갭 (Eg)을 가지는 반도전성 폴리머인 폴리(2-메톡시-5-(2'-에틸-헥실옥시)-1,4-페닐렌 비닐렌) (MEH-PPV)와 같은 PPV의 가용성 유도체가 있다. 이 물질은 울 등(Wudl et al, 1993a)에 더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본 출원에서 유용한 것으로 기재된 다른 물질은 ~ 2.2eV의 에너지 갭 (Eg)을 가지는 반도전성 폴리머인 폴리(2,5-비스(콜레스타녹시)-1,4-페닐렌 비닐렌) (BCHA-PPV)이다. 이 물질은 울 등(Wudl et al, 1993a, 1993b)에 더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기타 적합한 폴리머는 예를 들면, 브라운 등(Braun et al,1992)에 기재된 바와 같은 폴리(3-알킬티오펜) 및 베르그렌 등(Berggren et al, 1992)에 기재된 바와 같은 관련 유도체, 그렘 등(Grem et al, 1992)에 기재된 바와 같은 폴리(p-페닐렌) 및 양 등(Yang et al, 1993)에 기재된 바와 같은 이의 가용성 유도체, 및 파커 등(Parker et al, 1994a)에 기재된 바와 같은 폴리퀴놀린을 포함한다. 장 등(Zhang et al, 1994b)에 기재된 바와 같이 콘쥬게이트된 반도전성 폴리머와 비콘쥬게이트된 호스트 또는 담체 폴리머의 블렌드도 또한 폴리머 LED에서의 활성층으로서 유용하다. 또한, 유 등(Yu et al, 1997)에 기재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의 콘쥬게이트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블렌드도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폴리머 LED에서의 활성층으로서 유용한 물질은 반도전성의 콘 쥬게이트된 폴리머, 더 구체적으로는 광 발광성을 나타내는 반도전성의 콘쥬게이트된 폴리머 및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광 발광성을 나타내고 가용성이며 용액으로부터 균일한 박막으로 가공 가능한 반도전성의 콘쥬게이트된 폴리머를 포함한다.
유기 폴리머 기재 LED 분야에 있어서, 비교적 높은 일 함수를 갖는 금속을 반도전성의 전자 발광성 폴리머의 π - 밴드 (홀을 주입하지 않는다면 채워져 있음)로 호울을 주입하는 역할을 하는 양극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비교적 낮은 일 함수를 갖는 금속은 반도전성의 전자 발광성 폴리머의 π*- 밴드 (전자를 주입하지 않는다면 비어있음)로 전자를 주입하는 역할을 하는 음극 물질로서 바람직하다. 양극에서 주입되는 호울 및 음극에서 주입되는 전자가 활성층 내에서 발광적으로 재결합하여 발광된다. 적합한 전극에 대한 제안된 기준은 파커(Parker, 1994b)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양극 물질로서 유용한 전형적인 비교적 높은 일함수를 갖는 물질은 인듐/주석 산화물 (예를 들면, 부러프 등, 1990, 브라운 등, 1991 참조)의 투명한 전도성 박막을 포함한다. 택일적으로, 전도성 에메랄드염 형태의 폴리아닐린 박막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오 등, 1997, 구스타프슨 등, 1992, 양 등, 1994, 1995 및 양, 1998 참조). 인듐/주석 산화물의 박막 및 전도성 에메랄드염 형태의 폴리아닐린 박막은 투명 전극으로서 양자 모두가 LED로부터 방출된 빛이 유용한 양으로 장치로부터 발광하도록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음극 물질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전형적인 비교적 낮은 일함수를 갖는 금속은 칼슘, 마그네슘 및 바륨과 같은 금속이다. 알칼리 금속은 너무 이동성이어서 방출층 (예를 들면, 전자 발광성 폴리머)을 도핑하는 작용을 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단락을 초래하고 장치의 수명을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단축시킨다. 예를 들면, 은의 마그네슘 합금 및 알루미늄의 리튬 합금과 같은 이들 낮은 일 함수를 갖는 금속의 합금 또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반슬라이크, 1991a, 1991b, 히거 등, 1995 참조). 전자 주입 음극층의 두께는 전형적으로 약 200 내지 약 5000 Å의 범위이다 (예를 들면, 반슬라이크, 1992, 프렌드 등, 1993, 나가노 등, 1994, 키도 등, 1995 참조). 음극층을 위한 연속 필름 (완전 커버리지(coverage))을 형성하기 위해서 약 200 내지 약 500 Å의 하한치가 요구된다 (예를 들면, 홀미스 등, 1996, 우스기, 1998, 스캇 등, 1996, 파커 등, 1994c 참조). 양호한 커버리지와 더불어, 더 두꺼운 음극층은 산소 및 수증기를 장치의 활성 부분으로부터 격리시키는 자기 캡슐화를 제공한다고 믿어졌다. 미국 특허 제5,677,572는 양극(23) 및 비도전성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을 가지는 음극(27a)을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를 기재하고 있다.
불행하게도, 음극으로부터의 효율적인 전자 주입 및 만족스러운 장치 성능을 위해서 낮은 일 함수를 갖는 전극의 사용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낮은 일 함수를 갖는 금속은 전형적으로 불안정하고 실온에서 쉽게 산소 및(또는) 수증기와 반응하고 승온에서는 훨씬 더 격렬하게 반응한다. 환경 안정성을 향상시키려는 시도로 이러한 낮은 일 함수를 갖는 금속을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은과 같은 더 안정한 금속과 합금하는 것이 이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생성된 음극은 장치 제조 및 공정 과정에서 산소 및(또는) 수증기와의 반응에 있어서 여전히 불안정하다.
폴리머 LED 제조에 있어서의 향상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스트레스 특히 승온에서 스트레스 받는 동안, 장치의 효율 (및 광 방출량)이 급 속히 감소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특히 승온에서 산소 및 수증기와의 반응에 있어서 개선된 안정성을 가지고, 따라서 더 긴 장치 수명을 가지는, 유기 (예를 들면, 폴리머) LED에서의 전자 주입 콘택트(contact)로서 유용한 낮은 일 함수를 갖는 음극이 필요하다.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및 란탄족 금속은 낮은 일 함수를 갖는 금속이다. 이들은 고반응성임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면, 산소 및 수증기와 관련하여), 뛰어난 전자 주입 콘택트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폴리머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LED)에서 음극으로서 사용된다.
본원 발명자들은 금속 산화물 (금속 산화물은 알칼리 금속 산화물,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란탄족 금속 산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박층을 포함하는 음극이 통상적인 (예를 들면, 금속) 음극을 사용하는 유사한 LED와 비교시, 필적하거나 더 양호한 초기 성능 (예를 들면, 밝기 및 효율) 및 필적하거나 연장된 작동 수명을 제공하는 LED를 생성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한 측면은 (a) 호울 주입 양극층, (b) 전자 주입 음극층, 및 (c) 방출층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ⅰ) 상기 방출층은 상기 양극층과 상기 음극층 사이에 삽입되고, (ⅱ) 상기 방출층은 전자 발광성의 반도전성 유기 물질을 포함하고, (ⅲ) 상기 음극층은 약 5 내지 약 200 Å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 산화물층을 포함하고, (ⅳ) 상기 금속 산화물은 알칼리 금속 산화물,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란탄 족 금속 산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발광 다이오드(LED)에 관한 것이다.
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금속 산화물은 알칼리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금속 산화물은 리튬, 나트륨, 칼륨, 루비듐 및 세슘의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금속 산화물은 리튬 산화물이다. 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금속 산화물은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금속 산화물은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및 바륨의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금속 산화물은 마그네슘 및 바륨의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금속 산화물은 란탄족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금속 산화물은 네오디뮴, 사마륨 및 이테르븀의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금속 산화물층은 약 10 내지 약 100 Å의 두께를 가진다. 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금속 산화물층은 약 20 내지 약 60 Å의 두께를 가진다.
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음극층은 알루미늄, 은 또는 구리를 포함하는 덧층을 더 포함한다.
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전자발광성의 반도전성 유기 물질은 전자발광성의 반도전성 유기 폴리머이다. 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전자발광성의 반도전성 유기 물질은 폴리(p-페닐렌 비닐렌), 폴리(아릴렌 비닐렌), 폴리(p-페닐렌), 폴리(아릴렌) 및 폴리퀴놀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전자 발광성의 반도전성 유기 물질은 폴리(2-(3,7-디메틸옥틸옥시)-5-메톡시-1,4-페닐렌 비닐렌)이다.
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전자발광성의 반도전성 유기 물질은 전자발광성의 반도전성 유기 비폴리머 물질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a) 호울 주입 양극층, (b) 전자 주입 음극층, 및 (c) 방출층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ⅰ) 상기 방출층은 상기 양극층과 상기 음극층 사이에 삽입되고, (ⅱ) 상기 방출층은 전자발광성의 반도전성 유기 물질을 포함하고, (ⅲ) 상기 음극층은 약 15 Å 내지 약 200 Å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 산화물층을 포함하고, (ⅳ) 상기 금속 산화물은 알칼리 금속 산화물,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란탄족 금속 산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발광 다이오드(LED)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고상 LED의 횡단면도(실제 크기가 아님)가 도 1에 표시되어 있다. 전형적인 LED는 투명 기판(10), 투명 호울 주입 양극층(11), 방출층(12), 전자 주입 음극층(13) 및 덧층(14)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작동시 전원(16)은 도선(17 및 17')을 거쳐서 양극층(11) 및 덧층(14)에 연결되고, 방출된 광(18)은 투명 기판(10)으로부터 나온다.
본 발명의 LED는 금속 산화물 박층을 포함하는 전자 주입 음극층을 특징으로하며, 여기에서 금속 산화물은 알칼리 금속 산화물,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란탄족 금속 산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LED는 양극층과 음극층 사이에 샌드위치된 전자발광성의 반도전성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LED와 유사하다. "삽입된" 및 "샌드위치된" 이라는 용어는 방출층이 양극층과 음극층 사이에 위치한다는 의미이고, 하기에 논의되는 것과 같은 추가의 중개층이 방출층과 양극층 사이 및 방출층과 음극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LED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기타 층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면, 그린함 등(Greenham et al, 1993), 장 등(Zang et al, 1994a) 및 장 등(Zhang et al, 1998)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자 운송층 및(또는) 호울 운송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LED는 또한 통상적인 (예를 들면, 금속) 음극을 사용하는 유사한 LED와 비교시, 필적하는 또는 연장된 작동 수명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자들은 음극층에 이들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장치의 효율 및 광 방출량 감소를 지연시킨다고 믿는다. 본 발명의 LED는 또한 통상적인 (예를 들면, 금속) 음극을 사용하는 유사한 LED와 비교시, 필적하는 또는 더 양호한 초기 성능 (예를 들면, 밝기 및 효율)을 제공한다.
전자 주입 금속 산화물 음극층
본 발명의 LED는 약 15 Å 내지 약 200 Å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 산화물층을 포함하는 전자 주입 음극층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금속 산화물은 알칼리 금속 산화물,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란탄족 금속 산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 로부터 선택된다. 금속 산화물층은 전자를 방출층으로 효율적으로 주입하는 안정한 콘택트로서 기능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칼리 금속"은 주기율표의 1A 족의 원소를 지칭하는 통상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바람직한 알칼리 금속은 리튬 (즉, Li), 나트륨 (즉, Na), 칼륨 (즉, K), 루비듐 (즉, Rb) 및 세슘 (즉, Cs)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칼리 금속 산화물"은 하나 이상의 알칼리 금속 및 산소의 화합물을 지칭하는 통상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대응하는 간단한 산화물의 화학식(예를 들면, Li2O, Na2O, K2 O, Rb2O 및 Cs2O)으로 나타내지만, 간단한 산화물에 대한 지칭은 혼합된 산화물 및 비화학양론적 산화물 (예를 들면, LiXO, NaXO, KXO, RbXO 및 Cs XO (여기에서, X는 약 0.1 내지 약 2 임))을 포함한 기타 산화물들을 포괄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칼리 토금속"은 주기율표의 ⅡA 족의 원소를 지칭하는 통상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바람직한 알칼리 토금속은 마그네슘 (즉, Mg), 칼슘 (즉, Ca), 스트론튬 (즉, Sr) 및 바륨 (즉, Ba)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은 하나 이상의 알칼리 토금속 및 산소의 화합물을 지칭하는 통상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을 대응하는 간단한 산화물의 화학식 (예를 들면, MgO, BaO, CaO, SrO 및 BaO)으로 나타내지만, 간단한 산화물에 대한 지칭은 혼합된 산화물 및 비화학양론적 산화물의 화학식(예를 들면, MgXO, BaXO, CaXO, Sr XO 및 BaXO ( 여기에서, X는 약 0.1 내지 약 1 임))을 포함한 기타 산화물들을 포괄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란탄족 금속"은 주기율표의 란탄 계열의 원소, 세륨 (즉, Ce)부터 루테튬 (즉, Lu)을 지칭하는 통상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바람직한 란탄족 금속은 사마륨 (즉, Sm), 이테르븀 (즉, Yb) 및 네오디뮴 (즉, Nd)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란탄족 금속 산화물"은 하나 이상의 란탄족 금속 및 산소의 화합물을 지칭하는 통상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 란탄족 금속 산화물을 대응하는 +3가 상태의 간단한 산화물의 화학식 (예를 들면, Sm2O3, Yb2O3, 및 Nd2O3)으로 나타내지만, 간단한 산화물에 대한 지칭은 혼합된 산화물 및 비화학양론적 산화물(예를 들면, SmXO, YbXO, 및 NdXO (여기에서, X는 약 0.1 내지 약 1.5 임))을 포함한 기타 산화물들을 포괄하는 것이다.
금속 산화물층은 약 200 Å 미만, 전형적으로 약 5 내지 약 200 Å의 두께를 가진다.
한 실시태양에서, 금속 산화물층은 약 5 내지 약 100 Å의 두께를 가진다.
한 실시태양에서, 금속 산화물층은 약 10 내지 약 100 Å의 두께를 가진다.
한 실시태양에서, 금속 산화물층은 약 20 내지 약 100 Å의 두께를 가진다.
한 실시태양에서, 금속 산화물층은 약 30 내지 약 100 Å의 두께를 가진다.
한 실시태양에서, 금속 산화물층은 약 5 내지 약 80 Å의 두께를 가진다.
한 실시태양에서, 금속 산화물층은 약 10 내지 약 80 Å의 두께를 가진다.
한 실시태양에서, 금속 산화물층은 약 20 내지 약 80 Å의 두께를 가진다.
한 실시태양에서, 금속 산화물층은 약 30 내지 약 80 Å의 두께를 가진다.
한 실시태양에서, 금속 산화물층은 약 5 내지 약 60 Å의 두께를 가진다.
한 실시태양에서, 금속 산화물층은 약 10 내지 약 60 Å의 두께를 가진다.
한 실시태양에서, 금속 산화물층은 약 20 내지 약 60 Å의 두께를 가진다.
한 실시태양에서, 금속 산화물층은 약 30 내지 약 60 Å의 두께를 가진다.
금속 산화물 박층은 열 부착, 진공 증발, 스퍼터링 및 전자 비임 부착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닌 공지의 부착 기술, 및 순수 금속, 합금 및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닌 다양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 실시태양에서, 금속 산화물층은 조절된 산소 압력하에서 대응하는 금속의 열 부착에 의해 형성된다. 금속 산화물층의 두께는 증발/부착의 속도 및 시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증발/부착의 전형적인 속도는 초 당 약 0.2 내지 1 Å이다.
100 Å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 산화물 박층은 수 백 Å의 직경을 가지는 과립을 형성한다. 한 실시태양에서는, 높은 일 함수를 갖는 금속의 덧층을 금속 산화물 박층의 위에 부착시켜 금속 산화물의 단리된 과립에 연속적인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고, 제1 수준의 캡슐화를 제공한다. 따라서, 방출층의 표면은 금속 산화물층에 의해 완전히 덮힐 필요가 없고, 덮히지 않은 표면은 후속 덧층과 접촉한다. 적합한 높은 일 함수(및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갖는 덧층 금속의 예는 알루미늄, 은, 구리 등을 포함한다. 덧층의 두께는 전형적으로 수 백 Å 또는 그 이상이고, 종종 수 천 Å이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금속 산화물 박층이 향상된 전자 주입을 위해 사용될 때, 전류-전압(I-V) 곡선에서 약 1.6 V 에서 단지 하나의 "턴-온(turn-on)"이 관찰되고, 이는 금속 산화물 박층에 최소한의 불연속이 존재함을 지시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바륨 산화물 박층(전자 주입층)은 바륨 금속 박층에서 관찰되는 것과 유사한 턴-온 전압을 나타낸다. 이 결과는 바륨 산화물 박층의 유효 일 함수가 바륨 금속의 유효 일 함수에 매우 근접하다는 것을 지시한다. 단층 바륨 산화물은 음극선 관(CRT)에서 전자 방출을 위한 낮은 일 함수를 갖는 표면을 제공하는데 사용되었다 (예를 들면, 하스 등, 1976, 1977, 투마레바 등, 1989 참조). 바륨 산화물 및 바륨의 일 함수가 거의 동등하다는 것은 이미 보고 되었다 (예를 들면, 투마레바 등, 1989 참조). 이 관찰은 도너형 상태에 의해 형성된 표면 준위 밴드의 존재에 의해 설명되었다 (투마레바 등, 1989). 택일적으로, 이 관찰은 산소의 기판으로의 확산에 의한 산소-공간 격자의 형성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되었다 (하스 등, 1976, 1977).
하기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금속 산화물 박층을 포함하는 음극층을 가지는 LED는 통상적인 (예를 들면, 금속) 음극을 가지는 LED의 성능에 필적하는 또는 더 양호한 성능(밝기, 양자 효율 및 스트레스 수명)을 나타낸다. 높은 밝기 및 양자 효율은 n-형 반도전성 금속 산화물층에 의한 뛰어난 전자 주입에 기인할 수 있다. 택일적으로, 금속 산화물 박층은 실온 및 승온 모두에서 방출층의 도핑을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핑이 콘쥬게이트된 폴리머의 전자발광성을 소 멸시킨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낮은 일 함수를 갖는 금속의 더 두꺼운 층이 음극으로서 사용될 때, 스트레스로 유발된 도핑은 작동되는 동안에 도핑이 폴리머 벌크 내부로 더 깊숙이 확장되게 하고, 이는 작동되는 동안에 효율 및 광 방출량을 떨어뜨린다.)
방출층
본 발명의 LED에서, 방출층 (또한 활성층, 발광층 또는 전자발광층으로 언급됨)은 전자발광성의 반도전성 유기 물질을 포함한다. 한 실시태양에서, 물질은 폴리머이다. 한 실시태양에서, 물질은 비폴리머이다.
한 실시태양에서, 전자발광성 유기 물질은 폴리머가 π-콘쥬게이트된 폴리머 또는 π-콘쥬게이트된 부분의 세그먼트(segment)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인 전자 발광성의 반도전성 유기 폴리머이다. 콘쥬게이트된 폴리머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있다 (예를 들면, 브레다스 등, 1991 참조). 적합한 전자발광성의 반도전성 유기 폴리머의 예는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ⅰ) 폴리(p-페닐렌 비닐렌) 및 페닐렌 부분의 여러 위치에서 치환된 이의 유도체,
(ⅱ) 폴리(p-페닐렌 비닐렌) 및 비닐렌 부분의 여러 위치에서 치환된 이의 유도체,
(ⅲ) 폴리(p-페닐렌 비닐렌) 및 페닐렌 부분의 여러 위치 및 또한 비닐렌 부분의 여러 위치에서 치환된 이의 유도체,
(ⅳ) 폴리(아릴렌 비닐렌) (여기에서, 아릴렌은 나프탈렌, 안트라센, 푸릴 렌, 티에닐렌, 옥사디아졸 등과 같은 것일 수 있음),
(ⅴ) 폴리(아릴렌 비닐렌)의 유도체 (여기에서, 아릴렌은 상기 (ⅳ)와 같을 수 있고, 부가적으로 아릴렌의 여러 위치에서 치환체를 가짐),
(ⅵ) 폴리(아릴렌 비닐렌)의 유도체 (여기에서, 아릴렌은 상기 (ⅳ)와 같을 수 있고, 부가적으로 비닐렌의 여러 위치에서 치환체를 가짐),
(ⅶ) 폴리(아릴렌 비닐렌)의 유도체 (여기에서, 아릴렌은 상기 (ⅳ)와 같을 수 있고, 부가적으로 아릴렌의 여러 위치 및 비닐렌의 여러 위치에서 치환체를 가짐),
(ⅷ) (ⅳ),(ⅴ),(ⅵ) 및 (ⅶ)에서와 같은 아릴렌 비닐렌 올리고머의 비콘쥬게이트된 올리고머와의 공중합체,
(ⅸ) 폴리(p-페닐렌) 및 폴리(9,9-디알킬 플루오렌) 등과 같은 래더(ladder)형 폴리머 유도체를 포함한 페닐렌 부분의 여러 위치에서 치환된 이의 유도체,
(ⅹ) 폴리(아릴렌) (여기에서, 아릴렌은 나프탈렌, 안트라센, 푸릴렌, 티에닐렌, 옥사디아졸 등과 같은 부분일 수 있음), 및 아릴렌 부분의 여러 위치에서 치환된 이의 유도체,
(ⅹi) 상기 (ⅹ)에서와 같은 올리고아릴렌과 비콘쥬게이트된 올리고머와의 공중합체,
(ⅹii) 폴리퀴놀린 및 이의 유도체,
(ⅹiii) 가용성을 제공하기 위해 페닐렌이 예를 들면, 알킬 또는 알콕시 기로 치환된 p-페닐렌의 폴리퀴놀린과의 공중합체, 및
(ⅹⅳ) 폴리(p-페닐렌-2,6-벤조비스티아졸), 폴리(p-페닐렌-2,6-벤조비스옥사졸), 폴리(p-페닐렌-2,6-벤즈이미다졸) 및 이의 유도체와 같은 경직 막대 폴리머 등.
한 실시태양에서, 전자발광성 유기 물질은 저분자량이고, 접합되어 있거나 π-콘쥬게이트된 부분의 세그먼트를 함유하는 전자발광성의 반도전성 유기 비폴리머 물질이다. 용어 "저분자량"은 물질이 약 100 내지 약 5000의 분자량을 기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물질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반슬라이크 등, 1991a, 1991b, 1992 참조). 적합한 전자발광성의 반도전성 유기 비폴리머 물질의 예는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ⅰ) 트리스(8-히드록시퀴놀리네이토)알루미늄 (Alq),
(ii) 1,3-비스(N,N-디메틸아미노페닐)-1,3,4-옥시다졸 (OXD-8),
(iii) -옥소-비스(2-메틸-8-퀴놀리네이토)알루미늄,
(iv) 비스(2-메틸-8-히드록시퀴놀리네이토)알루미늄,
(v) 비스(히드록시벤조퀴놀리네이토)베릴륨 (BeQ2),
(vi) 비스(디페닐비닐)비페닐렌 (DPVBI), 및
(vii) 아릴아민 치환 디스티릴아릴렌 (DSA 아민) 등.
기타 전자발광성의 반도전성 유기 비폴리머 물질은 상기 열거한 것과 같은 매트릭스 물질 및 염료 도핑제를 포함하는 염료 도핑된 물질을 포함한다. 염료 도핑제의 예는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i) 쿠마린,
(ii) 퀴나크리돈,
(iii) 루브렌,
(iv) 4-디시아노메틸렌-2-메틸-6-(p-디메틸아미노스티릴)-4H-피란(DCM1),
(v) 테트라페닐포르피린(TPP), 및
(vi) 인디고 등.
방출층은 전형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기술, 특히 예를 들면, 용액으로부터 직접 주조하는 것 및 폴리머 전구체를 주조한 후 후속반응 (예, 가열)에 의하여 원하는 폴리머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종래 유기 폴리머 LED에서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호울-주입 양극층
본 발명의 LED의 방출층은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중개층이 삽입될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 양극층에 의해 한쪽 표면 상에 결합된다. 한 실시태양에서, 양극층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다. 기판이 존재할 때, 양극층은 전형적으로 기판 (예를 들면, 기판 상에 부착됨)과 방출층 사이에 위치한다.
양극층은 호울 주입 층의 역할을 하며 약 4.5 eV 보다 큰 일 함수를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는 전도층이다. 전형적인 양극 물질은 금속 (예, 알루미늄, 은, 백금, 금, 팔라듐, 텅스텐, 인듐, 구리, 철, 니켈, 아연, 납 등), 금속 산화물 (예, 납 산화물, 주석 산화물, 인듐/주석 산화물 등), 그래파이트, 도핑된 무기 반도체 (예, 규소, 게르마늄, 갈륨 비화물 등), 및 도핑된 전도성 폴리머 (예, 폴리아닐 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등)를 포함한다. 상기 열거한 것과 같은 금속을 사용할 때, 양극층은 전형적으로 방출층으로부터 방출된 광에 대해 반투명할 정도로 충분히 얇다. 인듐/주석 산화물와 같은 금속 산화물 및 폴리아닐린 및 폴리피롤과 같은 전도성 폴리머는 전형적으로 스펙트럼의 가시 부분에서 반투명하다.
양극층은 전형적으로 예를 들면, 진공 증발, 스퍼터링, 전자 비임 부착 또는 예를 들면, 순수 금속 또는 합금 또는 기타 필름 전구체를 사용하는 화학적 증착을 포함한 박막의 부착에 관한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앙극층은 약 300 내지 약 3000 Å의 두께를 가진다.
캡슐화
장기간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LED를 캡슐화하는 것이 전형적으로 바람직하다. 캡슐화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있다. 예를 들면, 장치를 유리판 사이 또는 배리어 폴리머 층 사이에서 밀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형적인 고상 LED의 횡단면도 (실제 크기가 아님).
도 2는 30 Å 두께의 바륨 산화물 및 30 Å 두께의 바륨 금속으로부터 제조된 음극을 가지는 LED 장치의 바이어스 전압에 대한 외부 양자 효율 및 광 강도 (광 방출량)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30 Å 두께의 바륨 금속층으로부터 제조된 음극을 가지고 그 밖에는 동일한 장치와 비교하여 30 Å 두께의 바륨 산화물 층으로부터 제조된 음극을 가지 는 LED 장치의 연속 스트레스 (85 ℃, 8.3 mA/cm2) 하에서의 시간에 대한 휘도 및 25 mA 에서의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30 Å 두께의 바륨 산화물층, 2000 Å 두께의 바륨 금속층 및 2000 Å 두께의 칼슘 금속층으로부터 제조된 음극을 가지는 LED 장치의 전자발광 방출(휘도) 감소를 연속 스트레스 시간 (85 ℃, 8.3 mA/cm2)의 함수로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리튬 금속층(10 Å 두께)으로부터 제조된 음극을 가지며 그 밖에는 동일한 장치와 비교하여 리튬 산화물 박층(7 Å 및 10 Å 두께)으로부터 제조된 음극을 가지는 LED 장치의 연속 스트레스 (85 ℃, 8.3 mA/cm2) 하에서의 시간에 대한 휘도 및 25 mA에서의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서 설명되나, 첨부한 청구범위에 나타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2-(3,7-디메틸옥틸옥시)-5-메톡시-1,4-페닐렌비닐렌)(MDMO-PPV)를 방출층에 전자발광성의 반도전성 유기 폴리머로 사용하여 발광 다이오드를 제조하였다. 1000 Å의 두께를 가지는 MDMO-PPV 필름을 사용하였다. 인듐/주석 산화물(ITO)을 양극으로 사용하였다. 장치 구조는 ITO/MDMO-PPV/음극이었다. 기판 (미국 콜로라도주 보울더 소재 Applied Films Corporation 으로부터 입수)으로 유리 상의 ITO를 사용하고, 또 기판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미국 캘리포리 아주 카노가 소재 Courtauld Performance Films 으로부터 입수)으로 플라스틱 상의 ITO를 사용하여 장치를 제조하였다. 두 경우에 있어서, ITO는 양극 및 호울 주입 콘택트였다.
바륨 산화물의 박층을 사용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약 1x10-6 토르 (~0.13 밀리바아)에서 진공 증착을 사용하여 MDMO-PPV 층 위에 금속 산화물 필름을 형성하여 3 cm2의 면적을 가지는 활성층을 제조하였다. STM-100 두께/속도 계측기(미국 뉴욕주 이스트 시라쿠스 소재 Sycon Instruments, Inc. 로부터 입수)로 부착을 모니터하였다. 표면 프로필러(알파-스텝 (Alpha-step) 500 표면 프로필러,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 소재 Tencor Instruments 로부터 입수)를 사용하여 1500 Å 알루미늄 필름을 측정함으로써 증발기 내에 위치한 기판의 실제 두께 및 두께 분포를 검정하였다. 바륨 산화물 층(BaO로 표시됨)의 두께는 15, 30, 45, 및 60 Å이었다. 바륨 산화물 부착 직후에 3000 내지 10000 Å의 알루미늄을 바륨 산화물층 위에 부착하였다.
비교를 위해서, 바륨 산화물 대신 바륨 금속의 박층을 사용하고 그 밖에는 동일한 장치를 제조하였다.
각 장치에 대해, 전류 대 전압 곡선, 광 방출량 대 전압(I-V)곡선 및 양자 효율을 측정하였다. 표 1에 초기 장치 성능 데이타를 요약하였다.
표1 바륨 산화물층으로부터 제조된 음극을 가지는 LED와 바륨 금속층으로부터 제조된 대응 장치의 초기 성능 및 스트레스 수명 비교
음극 두께 (Å) 스트레스 전 성능
양자 효율 (%) 전압 (V) 휘도 (cd/m2)
BaO 15 2.5 3.2 128
BaO 30 2.9 3.4 148
BaO 45 2.6 3.3 129
BaO 60 2.3 3.3 130
Ba 30 2.9 3.1 148
도 2는 30 Å 두께의 바륨 산화물 및 30 Å 두께의 바륨 금속으로부터 제조된 음극을 가지는 LED 장치의 바이어스 전압에 대한 외부 양자 효율 및 광 강도(광 방출량)의 그래프이다.
이 실시예는 바륨 산화물 박층을 사용한 음극을 사용하는 LED가 전자발광에 의해 빛을 방출하고, 전자발광 방출의 양자 효율 및 스트레스 수명이 바륨 금속 박층을 사용한 음극을 가지고 그 밖에는 동일한 LED에 대해 관찰된 것에 필적하다는 것을 예시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을 반복하되, 방출층인 MDMO-PPV(오렌지-레드 방출)를 더 좁은 밴드 갭 및 다른 피크 전자발광 파장을 가지는 다른 전자발광성의 반도전성 유기 폴리머로 대체하였다. 아래의 표 2에 사용한 폴리머를 기재하였다 (스프레이쩌 등, 1998 참조). 아래의 표 3에 초기 장치 성능 데이타를 요약하였다.
표 2 전자발광성 폴리머
λmax (nm) 전자발광성 폴리머
610 폴리(2-(3,7-디메틸옥틸옥시)-5-메톡시-1,4-페닐렌비닐렌 (MDMO-PPV)
590 폴리(2-(4'-(3,7-디메틸옥틸옥시)페닐)-p-페닐렌비닐렌) 코(2-(3,7-디메틸옥틸옥시)-5-메톡시-1,4-페닐렌비닐렌)
550 폴리(2-(4'-(3,7-디메틸옥틸옥시)페닐)-p-페닐렌비닐렌) 코(2-(3'-(3,7-디메틸옥틸옥시)페닐)-p-페닐렌비닐렌) 코(2,5-비스(3,7-디메틸옥틸옥시)-p-페닐렌비닐렌)

표 3 다른 전자발광성의 반도전성 유기 폴리머로부터 제조된 방출층 및 바륨 산화물로부터 제조된 음극을 가지는 LED의 초기 성능 및 스트레스 수명
λmax (nm) BaO 두께 (Å) 스트레스 전 성능*
양자 효율 (%) 전압 (v) 휘도 (cd/m2)
610 15 2.5 3.2 128
590 15 2.3 4.0 380
550 15 5.1 4.9 1080
*8.3 mA/cm2 의 전류 밀도임
이 실시예는 바륨 산화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음극이 다른 밴드-갭 및 따라서 다른 방출 색깔을 가지는 다양한 전자발광성의 반도전성 유기 폴리머에 대한 효과적인 전자 주입 전극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을 반복하되, 바륨 산화물을 리튬 산화물 (Li2O), 마그네슘 산화물 (MgO), 사마륨 산화물 (Sm2O3) 및 이테르븀 산화물 (Yb2O3)로 대체하였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음극으로서 대응 금속(Li, Mg, 및 Sm)을 가지는 장치를 비교용으로 제조하였다. 표 4에 초기 장치 성능 데이타를 요약하였다.
표 4 리튬 산화물, 마그네슘 산화물, 사마륨 산화물, 및 이테르븀 산화물층으로 부터 제조된 음극을 가지는 LED와 대응 금속층을 가지는 장치의 초기 성능 및 스트레스 수명 비교
음극 두께 (Å) 스트레스 전 성능*
양자 효율 (%) 전압 (V) 휘도 (cd/m2)
Li2O 5 2.2 3.6 115
Li2O 7 2.4 3.6 124
Li2O 10 2.4 3.5 124
Li2O 20 2.2 3.3 112
Li2O 30. 2.0 2.9 104
Li 10 2.3 3.7 117
MgO 40 1.3 3.6 64
Mg 200 0.007 3.9 0.3
Sm2O3 30 1.7 3.5 90
Sm2O3 45 1.2 3.5 63
Sm(15X15) 30 1.3 5.0 345**
Yb2O3 30 1.5 3.6 64
Yb2O3 200 0.5 3.8 24
Yb 200 1.5 3.7 76
*8.3 mA/cm2 의 전류 밀도임
**35 mA/cm2 의 전류 밀도임
이 실시예는 알칼리 금속 산화물,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또는 란탄족 금속 산화물 박층을 사용하여 제조한 음극을 가지는 폴리머 LED가 전자발광에 의해 빛을 방출하고, 초기 성능이 대응 금속 박층으로부터 제조된 음극을 가지고 그 밖에는 동일한 LED에 대해 관찰된 것보다 더 양호하지는 않더라도 그에 필적하다는 것을 다시 예시한다.
실시예 4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장치 몇 개를 커버 글래스 및 UV 경화형 에폭시(ELC-2500, 미국 코넥티컷트주 댄버리 소재 Electro-Lite Corporation 으로부터 입수)로 캡슐화하고, 대기하에서 오븐 내에서 85 ℃에서 25 mA (전류 밀도 8.33 mA/cm2)의 일정한 전류로 스트레스를 가하였다. 각 장치의 1 cm 위에 놓여진 포토다이오드로 광 방출량을 스트레스 시간의 함수로 기록하였다. 스트레스 동안 작동 전압 변화도 기록하였다.
아래의 표 5에 실시예 1의 캡슐화된 장치의 반감기(τ1/2)를 나타내었다.
표 5 바륨 산화물 층을 사용한 음극을 가지는 LED와 대응 바륨 금속층을 사용한 장치의 스트레스 수명 비교
음극 두께 (Å) 85 ℃, 8.3 mA/cm2 에서의τ1/2 (h)
BaO 15 222
BaO 30 211
BaO 45 204
BaO 60 169
Ba 30 237
도 3은 30 Å 두께의 바륨 산화물로부터 제조된 음극을 가지는 LED 장치와 30 Å 두께의 바륨 금속층으로부터 제조된 음극을 가지고 그 밖에는 동일한 장치의 연속 스트레스 (85 ℃ 에서 8.3 mA/cm2) 하에서의 시간에 대한 휘도 및 25 mA에서의 전압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30 Å 두께의 바륨 산화물층, 2000 Å 두께의 바륨 금속층 및 2000 Å 두께의 칼슘 금속층으로부터 제조된 음극을 가지는 LED 장치에 대한 전자발광 방출(휘도) 감소를 연속 스트레스 시간 (85 ℃ 및 8.3 mA/cm2)의 함수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바륨 산화물 박층으로부터 제조된 음극이 동일 전류 밀도에서 유의하게 더 긴 수명 및 훨씬 높은 휘도(즉, 훨씬 높은 효능)를 나타내었다 .
도 5는 리튬 산화물 박층(7 Å 및 10 Å)으로부터 제조된 음극을 가지는 LED 장치와 리튬 금속층(10 Å)으로부터 제조된 음극을 가지고 그 밖에는 동일한 장치의 연속 스트레스 (85 ℃에서 8.3 mA/cm2) 하에서의 시간에 대한 휘도 및 25 mA에서의 전압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 실시예는 알칼리 금속 산화물,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또는 란탄족 금속 산화물의 박층을 사용하여 만든 음극을 가지는 LED의 스트레스 수명이 대응하는 금속으로부터 제조된 음극을 가지고 그 밖에는 동일한 LED에 대해 관찰된 것보다 더 양호하지는 않더라도, 그에 필적하다는 것을 예시한다.












<참고문헌>
버그렌(Berggren, M.), 인가나스(Inganas, O.), 구스타프슨(Gustafsson, G.), 라스무슨(Rasmusson, J.), 앤더슨(Andersson, M.R.), 허트버그(Hjertberg T.), 웨너스트롬(Wennerstrom, O.),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에서 전압에 의한 색의 조정 (Controlling colour by voltage in polymer light emitting diodes)", Synthetic Metals., Vol. 71, pp. 2185-2186 (1995).
브라운(Braun. D.), 구스타프슨(Gustafsson, G.), 맥브란크(McBranch D.), 히거(Heeger, A.J.), "폴리(3-티오펜) 다이오드에서 전자발광 및 전기적 운송 (Electroluminescence and electrical transport in poly(3-thiophene) diodes)", J. Appl. Phys., Vol. 71, pp. 564-568 (1992).
브라운(Braun, D.), 및 히거(Heeger, A.J.), "반도전성 폴리머 다이오드로부터 가시광 방출 (Visible light emission from semiconducting polymer diodes)", Appl. Phys. Lett., Vol. 58, pp. 1982-1984 (1991).
브레다스(Bredas. ].-L.), 실베이(Silbey, R.), "콘쥬게이트된 폴리머 (Conjugated Polymers)", Kluwer Academic Press, Dordrecht (1991).
부러프(Burroughs. J.H.), 브라드리(Bradley, D.D.C.), 브라운(Brown. A.R.), 마크(Marks, R.N.), 맥케이(Mackay, K.), 프렌드(Friend. R.H.), 번스(Burns. P.L.), 홀미스(Holmes, A.B.), "콘쥬게이트된 폴리머 기재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s based on conjugated polymers)", Nature, Vol. 347, pp. 539-541 (1990).
카오(Cao, Y.), 스미스(Smith, P.), 히거(Heeger, A.J.), "광학적 품질 투명 전도체(Optical quality transparent conductors)", U.S. Patent No. 5,626,795 issued 06 May 1997.
프렌드(Friend. R.H.), 브러프즈(Burroughes. J.H.), 브라드리(Bradley, D.D.), "전자발광성 장치(Electroiuminescent devices)", U.S. Patent No. 5,247,1 9O issued 21 September 1993.
구스타프슨(G. Gustafsson. G.), 카오(Cao, Y.), 트리시(Treacy, G.M.), 클라베터(Klavetter, F.), 코라네리(Colaneri. N.), 히거(Heeger, A.J.), "가용성 전도성 폴리머로부터 만든 유연성 발광 다이오드(Flexible Light-emitting diodes made from soluble conducting polymers)", Nature, Vol. 357, pp. 477-479 (1992).
그린함(Greenham, N.C.), 모라티(Moratti. S.C.), 브라드리(Bradley, D.D.C.), 프렌드(Friend. R.H.), 홀미스(Holmes, A.B.), "높은 전자 친화성을 가지는 폴리머를 기재로 하는 효율적인 발광 다이오드(Efficient light-emitting diodes based on polymers with high electron affinities)", Nature, Vol. 65, pp. 628-630 (1993).
그렘(Grem. G.), 레디츠키(Leditzky, G.), 울리크(Ullrich, B.), 레이싱(Leising, G.), "폴리(p-페닐렌)을 사용한 청색 발광 장치의 실현(Realization of blue-light-emitting device using poly(-p-phenylene))", Adv. Mater., Vol. 4, pp. 36-37 (1992).
하스(Haas, G.A.), 사이(Shih, A.), 토마스(Thomas, R. E.), "Bao의 표면 전위 측정에서 전도성 밴드 및 전자 친화성의 결정(Determination of conduction band and electron affinity in surface potential measurements of BaO)", J. Appl. Phys., Vol. 47, pp. 5400-5404 (1976).
하스(Haas, G.A.), 사이(Shih, A.), 토마스(Thomas, R.E.), "Ir(100)상의 BaO 필름에서 산소의 전자적 및 화학적 행동(Electronic and chemical behavior of oxygen in BaO films on Ir(100))", Applications of Surface Sci., Vol. 1, pp. 59-80 (1977).
히거(Heeger, A.J.), 브라운(Braun, D.), "가용성 반도전성 폴리머로부터 제조된 가시광 발광 다이오드(Visible light emitting diodes fabricated from soluble semiconducting polymer)", U.S. Patent No. 5.408,109 issued 18 April 1995.
홀미스(Holmes. A.), 브라드리(Bradley. D.D.), 프렌드(Friend. R.H.), 크라프트(Kraft, A.), 번(Burn, P.), 브라운(Brown, A.), "발광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반도전성 공중합체(Semiconductive copolymer for use in luminescent devices)", U.S. Patent No. 5,512,654, issued 3O April 1996.
키도(Kido. J.), 시오노야(Shionoya, H.), 나가이(Nagai, K.), "염료가 분산된 폴리(N-비닐카바졸)을 기재로 한 단층 백색광 발광 유기 전자발광 장치(Single-layer white light-emitt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based on dye- dispersed poly(N-vinylcarbazole))", Appl. Phys. Lett., Vol. 67, No. 16, pp. 2281-2283 (1995).
나가노 등(Nakano et al.), "유기 전자발광 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 Patent No. 5,317,169, issued 31 May 1994.
파커(Parker, I.D.),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에서 캐리어 터넬링 및 장치 특성(Carrier tunneling and device characteristics in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J. Appl. Phys., Vol. 75. No. 3, pp. 1656-1666 (1994b).
파커(Parker. I.D.), 김(Kim, H.H.), "도핑된 규소 전극을 사용한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Fabrication of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using doped silicon electrodes)", Appl. Phys. Lett., Vol. 64, No. 14, pp. 1774-1 776 (1994c).
파커(Parker, I.D.), 페이(Pei, Q.), 마로코(Marrocco, M.), "불소화된 폴리퀴놀린으로부터의 효율적인 청색광 전자발광(Efficient blue electroluminescence from a fluorinated polyquinoline)", Appl. Phys. Lett., Vol. 65, No. IO, pp. 1272-1274 (1994a).
스캇(Scott. J.C.), 코프만(Kaufman. J.H.), 브록(Brock, P.J.), 디피에트로(DiPietro, R.), 사렘(Salem. J.), 고이샤(Goitia. J.A.), J. Appl. Phys., Vol. 79, No. 5, pp. 2745-2751 (1996).
스프레이쪄(Spreitzer, H.), 크루더(Kreuder, W.), 브레커(Becker, H.), 스쿠(Schoo. H.), 데만트(Demandt, R.), "아릴 치환 폴리(p-아릴렌 비닐렌), 그의 제조방법 및 전자발광 성분에서 그의 용도(Aryl-substituted poly(p-arylene vinylenes), method for the production and use thereof in electroluminescent components)", published International (PCT) Patent Application No. WO 98/271 36, published 25 June 1998.
투마레바(Tumareva, T.A.), 이바노프(Ivanov, V.A.), 카사노바(Kirsanova, T.S.), 바실레바(Vasil'eva. N.V.), "다양한 구조를 가진 바륨 산화물 필름의 전기장 분광학(Field-electron spectroscopy of barium oxide films with various structure)", Sov. Phys. Solid State., Vol. 31, No. 2., pp. 182-185 (1989).
우스기(Utsugi, K.), "유기 박막 전자발광 장치(Organic thin film electroluminescent device)", U.S. Patent No. 5,747,930, issued 05 May 1998.
반슬라이크(VanSlyke, S.A.), "청색광 방출 내부 접합 유기 전자발광 장치 (I) (Blue emitting internal junc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 U.S. Patent No. 5,151,629, issued 29 September 1992.
반슬라이크(VanSlyke, S.A.), "안정화된 음극을 가지는 유기 전자발광 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stabilized cathode)", U.S. Patent No. 5,047,687, issued 10 September 1991 (1991a).
반슬라이크(VanSlyke, S.A.), 탕(Tang, C.W.), "개선된 음극을 가진 전자발광 장치(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improved cathode)", U.S. Patent No. 5,059,862, issued 22 October 1991 (1991b).
울(Wudl. F.), 호고(Hoger, S.), 장(Zhang, C.), 파크바쯔(Pakbaz, K.), 히 거(Heeger A.J.), "유기 LED를 위한 콘쥬게이트된 폴리머: 폴리[2,5-비스(-3α-5β-콜레스타녹시)-페닐렌비닐렌] (BCHAPPV): 가공가능한 황색 광 방출기 (Conjugated Polymers for Organic LED; Poly[2,5-bis(-3α-5β-cholestanoxy)-phenylenevinylene] (BCHAPPV): A Processible Yellow Light Emitter)", Polymer Preprints. Vol. 34, No. 1, pp.197-198 (1993b).
울(Wudl, F.), 스다노프(Srdanov, G.), "폴리(2-메톡시-5-(2'-에틸-헥실옥시)-p-페닐렌비닐렌)으로 형성된 전도성 폴리머(Conducting polymer formed of poly(2-methoxy-5-(2'-ethyl-hexyloxy)-p-phenylenevinylene))", U.S. Patent No. 5,189,136, issued 23 May 1993 (1993a).
양(Yang, Y.), "다이오드를 위한 이중층 복합 전극 (Bilayer composite electrodes for diodes)", U.S. Patent No. 5,723,873, issued 03 March 1998.
양(Yang, Y.), 히거(Heeger, A.J.),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를 위한 투명 전극으로서의 폴리아닐린: 더 낮은 작동 전압 및 더 높은 효율 (Polyaniline as a transparent electrode f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lower operating voltage and higher efficiency)", Appl. Phys. Lett., Vol. 64, No. 10. pp. 1245-1247 (1994).
양(Yang, Y.), 웨스터윌(Westerweele, E.), 장(Zhang, C.), 스미스(Smith, P.), 히거(Heeger, A.J.), "고표면적 폴리아닐린 망상 전극을 사용한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의 향상된 성능 (Enhanced performance of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using high-surface area polyaniline network electrode)", J. Appl. Phys., Vol. 77, No. 2, pp. 694-698 (1995).
양(Yang, Z.), 소코릭(Sokolik, I.), 카라쯔(Karasz F.E.), "가용성의 청색광 방출 폴리머 (Soluble blue light-emitting polymer)", Macromolecules, Vol. 26, pp. 1188-1190 (1993).
유(Yu, G.), 히거(Heeger, A.J.), "반도전성 폴리머로 만든 고효율 광자 장치 (High Efficiency photonic devices made with semiconducting polymers), Synthetic Metals, Vol. 85, pp. 1183-1186 (1997).
장(Zhang, C.), 호거(Hoger, S.), 파크바쯔(Pakbaz, K.), 울(Wudl, F.), 히거( Heeger, A.J.), "대기에 안정한 전극을 가진 녹색광 방출 폴리머 다이오드에서의 향상된 효율 (Improved efficiency in green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with air-stable electrodes)", J. Electron. Mater., Vol. 23 No. 5, pp. 453-458 (1994a)
장(Zhang, C.), 본(von Seggern, H.), 파크바쯔(Pakbaz, K.), 크라벨(Kraabel, B.), 슈미트(Schmidt, H.-W.), 히거(Heeger, A.J.), "폴리(9-비닐카르바졸) 중의 폴리(p-페닐페닐렌비닐렌)의 블렌드를 사용한 청색광 전자발광 다이오드 (Blue electroluminescent diodes utilizing blends of poly(p-phenylphenylene vinylene) in poly(9-vinylcarbazole))", Synthetic Metals., Vol. 62, pp. 35-40 (1994b).
장(Zhang. C.), 유(Yu, G.), 카오(Cao, Y.),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를 위한 긴 작동 수명 (Long operating life for polymer light-emirting diodes)", U.S. Patent No. 5,798,170, issued 25 August 1998,

Claims (30)

  1. (a) 호울 주입 양극층, (b) 전자 주입 음극층, 및 (c) 방출층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i) 상기 방출층은 상기 양극층과 상기 음극층 사이에 삽입되고, (ii) 상기 방출층은 전자발광성의 반도전성 유기 물질을 포함하고, (iii) 상기 음극층은 약 5 내지 약 200 Å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 산화물층을 포함하고, (iv) 상기 금속 산화물은 알칼리 금속 산화물,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란탄족 금속 산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발광 다이오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이 리튬, 나트륨, 칼륨, 루비듐, 세슘,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바륨, 네오디뮴, 사마륨, 이테르븀의 산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발광 다이오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발광성의 반도전성 유기 물질이 폴리(p-페닐렌 비닐렌), 폴리(아릴렌 비닐렌), 폴리(p-페닐렌), 폴리(아릴렌), 및 폴리퀴놀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발광 다이오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017004644A 1998-10-14 1999-10-12 발광 다이오드를 위한 안정한 전자 주입 전극으로서의금속 산화물 박층 KR1005916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315798A 1998-10-14 1998-10-14
US09/173,157 1998-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298A KR20010089298A (ko) 2001-09-29
KR100591636B1 true KR100591636B1 (ko) 2006-06-20

Family

ID=2263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644A KR100591636B1 (ko) 1998-10-14 1999-10-12 발광 다이오드를 위한 안정한 전자 주입 전극으로서의금속 산화물 박층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63262B1 (ko)
EP (1) EP1133803A1 (ko)
JP (1) JP2002527872A (ko)
KR (1) KR100591636B1 (ko)
CN (1) CN1191644C (ko)
AU (1) AU1111200A (ko)
CA (1) CA2345781A1 (ko)
HK (1) HK1042777A1 (ko)
WO (1) WO20000226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0476A (ja) 2000-04-11 2003-10-14 デュポン ディスプレイ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可溶性ポリ(フルオレン−オキサジアゾール)共役ポリマー
JP4240961B2 (ja) * 2002-09-04 2009-03-18 チッソ株式会社 改質された導電性ポリマー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7224116B2 (en) 2002-09-11 2007-05-29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Encapsulation of active electronic devices
US6887733B2 (en) * 2002-09-11 2005-05-03 Osram Opto Semiconductors (Malaysia) Sdn. Bhd Method of fabricating electronic devices
US20040048033A1 (en) * 2002-09-11 2004-03-11 Osram Opto Semiconductors (Malaysia) Sdn. Bhd. Oled devices with improved encapsulation
US7193364B2 (en) * 2002-09-12 2007-03-20 Osram Opto Semiconductors (Malaysia) Sdn. Bhd Encapsulation for organic devices
US6936964B2 (en) * 2002-09-30 2005-08-30 Eastman Kodak Company OLED lamp
US6946319B2 (en) * 2003-05-29 2005-09-20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Electrode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040238846A1 (en) * 2003-05-30 2004-12-02 Georg Wittmann Organic electronic device
JP4997688B2 (ja) * 2003-08-19 2012-08-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極、薄膜トランジスタ、電子回路、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EP1521316B1 (en) * 2003-10-03 2016-05-2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a light emitting element
JP4628690B2 (ja) * 2004-03-24 2011-02-0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有機発光表示装置
US7270894B2 (en) * 2004-06-22 2007-09-1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al compound-metal multilayer electrodes for organic electronic devices
US20060040131A1 (en) * 2004-08-19 2006-02-23 Eastman Kodak Company OLEDs with improved operational lifetime
US20060141287A1 (en) * 2004-08-19 2006-06-29 Eastman Kodak Company OLEDs with improved operational lifetime
US7670506B1 (en) * 2004-12-30 2010-03-0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hotoactive compositions for liquid deposition
US20070126347A1 (en) * 2005-12-01 2007-06-07 Eastman Kodak Company OLEDS with improved efficiency
GB2434916A (en) * 2006-02-03 2007-08-08 Cdt Oxford Ltd OLED for full colour display
GB2434915A (en) * 2006-02-03 2007-08-08 Cdt Oxford Ltd Phosphoescent OLED for full colour display
CN100444426C (zh) * 2006-04-29 2008-12-17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901243B (zh) * 2006-07-25 2010-08-11 清华大学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
CN1937279B (zh) * 2006-10-30 2010-08-18 清华大学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电子注入层的制备方法
KR100796615B1 (ko) * 2006-12-22 2008-0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WO2009093873A2 (ko) * 2008-01-23 2009-07-30 Lg Chem, Ltd. 유기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작 방법
GB2459895B (en) 2008-05-09 2011-04-27 Cambridge Display Technology Limited Organic light emissive device
GB2461527B (en) * 2008-07-01 2011-08-03 Limited Cambridge Display Technology Organic electronic device
JP5760334B2 (ja) * 2009-06-19 2015-08-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有機電子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TWI440238B (zh) * 2010-03-22 2014-06-01 Univ Nat Cheng Kung 以四級va族離子型有機鹽類作為電子傳輸層的有機光電半導體元件及其製造方法
CN102110784B (zh) * 2011-01-17 2012-08-29 西安文景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全无机辅助层oled器件及其制备方法
EP2579313B1 (en) 2011-09-22 2021-10-27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668030B1 (ko) 2014-08-21 2016-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95641B1 (ko) 2015-03-02 2021-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5211A (en) * 1987-02-11 1989-12-05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improved cathode
JPH0240891A (ja) * 1988-07-29 1990-02-09 Toshiba Corp 薄膜型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素子
GB8909011D0 (en) 1989-04-20 1989-06-07 Friend Richard H Electroluminescent devices
EP0443861B2 (en) 1990-02-23 2008-05-28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5047687A (en) 1990-07-26 1991-09-10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stabilized cathode
US5059862A (en) 1990-07-26 1991-10-22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improved cathode
GB9018698D0 (en) 1990-08-24 1990-10-10 Lynxvale Ltd Semiconductive copolymers for use in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5189136A (en) 1990-12-12 1993-02-2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nducting polymer formed of poly(2-methoxy,5-(2'-ethyl-hexyloxy)-p-phenylenevinylene)
US5408109A (en) 1991-02-27 1995-04-1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Visible light emitting diodes fabricated from soluble semiconducting polymers
US5151629A (en) 1991-08-01 1992-09-29 Eastman Kodak Company Blue emitting internal junc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
US5626795A (en) 1991-11-27 1997-05-06 Uniax Corporation Optical quality transparent conductors
US5723873A (en) 1994-03-03 1998-03-03 Yang; Yang Bilayer composite electrodes for diodes
JP2701738B2 (ja) 1994-05-17 1998-01-21 日本電気株式会社 有機薄膜el素子
US5552678A (en) * 1994-09-23 1996-09-03 Eastman Kodak Company AC drive scheme for organic led
JP3529543B2 (ja) * 1995-04-27 2004-05-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5798170A (en) 1996-02-29 1998-08-25 Uniax Corporation Long operating life f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US5776623A (en) * 1996-07-29 1998-07-07 Eastman Kodak Company Transparent electron-injecting electrode for use in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US5677572A (en) * 1996-07-29 1997-10-14 Eastman Kodak Company Bilayer electrode on a n-type semiconductor
EP0946993B8 (en) * 1996-09-04 2007-09-12 Cambridge Display Technology Limited Electrode deposition for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DE19652261A1 (de) 1996-12-16 1998-06-18 Hoechst Ag Arylsubstituierte Poly(p-arylenvinylene),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in Elektroluminszenzbauelemen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28704A (zh) 2001-12-26
US6563262B1 (en) 2003-05-13
AU1111200A (en) 2000-05-01
WO2000022683A1 (en) 2000-04-20
EP1133803A1 (en) 2001-09-19
CA2345781A1 (en) 2000-04-20
WO2000022683A9 (en) 2002-08-22
JP2002527872A (ja) 2002-08-27
KR20010089298A (ko) 2001-09-29
CN1191644C (zh) 2005-03-02
HK1042777A1 (en) 200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1636B1 (ko) 발광 다이오드를 위한 안정한 전자 주입 전극으로서의금속 산화물 박층
US6452218B1 (en) Ultra-thin alkaline earth metals as stable electron-injecting electrodes for polymer light emitting diodes
Shi et al. Effects of postanneal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reliability of polyfluoren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Zhou et al. Low-voltage inverted transparent vacuum deposit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using electrical doping
Wu et al. Poly (p‐phenylene vinylene)/tris (8‐hydroxy) quinoline aluminum heterostructure light emitting diode
Zhang et al. Blue emission from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using non-conjugated polymer blends with air-stable electrodes
Yang et al. Polyaniline as a transparent electrode f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Lower operating voltage and higher efficiency
Yang et al. Electron injection polymer f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EP1164644B1 (en) Plastic substrates with improved barrier properties for devices sensitive to water and/or oxygen
US6849869B1 (en) Long lifetime polymer light-emitting devices with improved luminous efficiency and improved radiance
CA2377077A1 (en) Long-lifetime polymer light-emitting devices with improved luminous efficiency and radiance
US20060138656A1 (en) Electrode for an electronic device
EP0817538B1 (en) Organic EL device with dual doping layers
US20060078757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component with triplet emitter complex
US20120074398A1 (en) Organic el illuminant, organic el illuminat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organic el illuminant
US6995391B2 (en) Electrode structure for electronic and opto-electronic devices
Chen et al. Fuzzy-junctio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Yu et al. Light-emitting diodes based on an alternating copolymer containing triphenylamine and phenylene units
Li et al. Strong red emission in heterojunctions of conjugated polymer blends
Cacialli et al. Naphthalimide polymers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Nicolai et al. Charge transport in white-light-emitting polymers
Yang et al. Poly (1, 4‐phenylene‐1, 2‐diphenylvinylene) and tris (8‐quinolinolato) aluminum bilayer light‐emitting diodes
Jang et al. Mechanism of enhanced quantum efficiency in light-emitting diode based on a poly (p-phenylenevinylene) derivative
Cacialli et al. Light-emitting diodes with naphtalimide side-chain polymers: basic properties and role of polymer thickness in two-layer devices
Pal et al. Solution-processed light-emitting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