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0294B1 -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0294B1
KR100590294B1 KR1020050024880A KR20050024880A KR100590294B1 KR 100590294 B1 KR100590294 B1 KR 100590294B1 KR 1020050024880 A KR1020050024880 A KR 1020050024880A KR 20050024880 A KR20050024880 A KR 20050024880A KR 100590294 B1 KR100590294 B1 KR 100590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ypass
ventilation
room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티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티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티엔씨
Priority to KR1020050024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0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은 영화관람실과 부속실을 포함하는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화관람실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되는 환기구, 상기 환기구와 기류적으로 연결되는 환기덕트, 상기 환기덕트에 기류적으로 연결되며 동력장치를 구비한 환기팬 및 상기 환기덕트 내부에 결합되는 환기댐퍼를 포함하는 환기부와; 상기 환기부에 결합되며, 상기 영화관람실의 온도, 습도, CO2 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검출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와; 상기 영화관람실의 천장에 설치되는 취출구, 상기 취출구와 기류적으로 연결되는 급기덕트, 상기 급기덕트에 기류적으로 연결되며 동력장치를 구비한 급기팬 및 상기 급기덕트 내부에 결합되는 급기댐퍼를 포함하는 급기부와; 상기 환기덕트 및 상기 급기덕트와 기류적으로 연결되는 공기조화기와; 상기 영화관람실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흡입구, 상기 부속실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송출구, 상기 바이패스 흡입구와 상기 바이패스 송출구를 기류적으로 연결하는 바이패스덕트, 상기 바이패스덕트에 기류적으로 연결되며 동력장치를 구비한 바이패스팬 및 상기 바이패스덕트 내부에 결합되는 바이패스댐퍼를 포함하는 바이패스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환기팬, 상기 급기팬, 상기 바이패스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회전속도 또는 상기 환기댐퍼, 상기 급기댐퍼, 상기 바이패스댐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개폐정도 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 써, 별도의 공기조화장치의 설치 없이 영사실이나 전실 등의 공조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영화관, 공조시스템, 바이패스덕트, 배연기능

Description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for theat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의 공조흐름(Flow)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영화관 건물의 측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의 동작제어순서를 나타낸 제어 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취출구를 나타낸 절개측면도 및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화관람실내 난방시 취출기류의 형태를 나타낸 측면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화관람실내 냉방시 취출기류의 형태를 나타낸 측면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영화관람실 110 : 환기구 111 : 환기팬 112 : 환기덕트
113 : 제2댐퍼
120 : 가변취출구 121 : 급기팬 122 : 급기덕트 123 : 제1댐퍼
124 : 원형프레임 125 : 외부콘형프레임 126 : 내부콘형날개
127 : 원통형프레임 128 : 구동부 129 : 연결로드
130, 130' : 바이패스흡입구 131 : 바이패스팬 132, 132' : 바이패스덕트
200 : 영사실 210 : 바이패스송출구
300 : 전실(Hall) 310 : 바이패스송출구
400 : 실외 410 : 공조기 420 : 전열교환기
500 : 온도검출기 510 : 습도검출기 520 : CO2농도검출기
530 : 이온화 연감지기
600 : 제1차단댐퍼 610 : 제2차단댐퍼
700 : 제어부
800 : 수직형 취출기류 810 : 수평형 취출기류
본 발명은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영화관과 같은 층고가 높은 대공간의 공조시스템은 첫째로, 층고가 높은 대공간에 맞게 냉난방 취출기류의 형성시키는 데 미흡한 문제가 있다.
둘째로 냉방시 찬공기는 바닥에서부터 천장면까지 차오르고 더운 공기는 천장면부터 바닥면까지 하강해감에 따라 관람실의 냉/난방부하를 제거하는 데 시간이 걸리며 결국 필요한 냉/난방공기량을 초과한 양이 공급되고, 관람실을 제외한 영사 실이나 전실 등에는 별도의 공기조화가 공급되어 에너지 절약상의 문제가 있다.
셋째로, 영화관의 특성상 화재발생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될 수 있는 특성을 갖으므로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은 화재발생시 효율적인 배연기능을 겸하는 것이 요구되나, 종래의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은 별도의 배연덕트, 배연팬 등을 구비하는 등 추가적인 설치로 인한 경제성과 효율에 있어 문제가 있다.
영화관의 공조시스템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첫째로, 일본국 특허공보 제2758196호('공조설비를 이용한 배연방법 및 그 장치')를 들을 수 있다. 상기 발명은 공조설비를 이용한 배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건물의 천정내 공간 전체를 급기 챔버(chamber)로 하고, 평상시에는 공조기로부터 상기 급기 챔버 내에 공급되는 조화 공기를 천정에 설치한 팬(fan)부 취출구로부터 팬의 정회전에 의하여 실내에 송기하여 실내를 공기 조절하고, 화재발생시에는 상기 팬을 역전시키게 하여 실내의 연기를 상기 급기 챔버 내에 흡입하고 실내의 연기를 급속히 희박화하고, 상기 급기 챔버 내에 흡입되는 연기를 배연 수단에 의하여 옥외에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나, 상기 천장 내에 급기챔버로 활용하기 위한 공간을 두는 기술을 영화관과 같이 층고가 높은 대공간에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으며, 층고가 높은 대공간에 맞는 냉난방 취출기류의 형성과 관람실을 제외한 영사실이나 전실 등에는 별도의 공기조화가 공급되어 에너지 절약상의 문제가 있다.
둘째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0594호('대공간 공조용 디퓨저')를 들을 수 있다. 상기 발명은 대공간 공조용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써, 천장에 시공되고, 에어덕트의 단부에 고정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폴에 의하여 연결되 는 서포트와 콘이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와 콘 사이에 블레이드가 형성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에어덕트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입자를 산란 혼합시키는 믹서와, 서포트에 설치되어 콘을 승/하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나, 상기 발명을 영화관 건물에 적용하더라고 관람실을 제외한 영사실이나 전실 등에는 별도의 공기조화가 공급되어 에너지 절약상의 문제가 있으며,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으로써 화재발생시 효율적인 배연기능을 겸하기 위해 별도의 배연덕트, 배연팬 등을 구비하는 등 추가적인 설치로 인한 경제성과 효율에 있어 문제가 있다.
셋째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8449호('대공간 디퓨저')를 들을 수 있다. 상기 고안은 대공간 디퓨저로써, 상부에 에어덕트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외부에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경사로 상승하여 형성된 걸림턱이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다이어프램과, 상기 다이어프램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걸림턱 및 상기 본체의 경사부를 서로 연결하여 배출구를 이루며 일정한 각도를 이루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 내장되는 방사형 베인과, 상기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며 하부에 상기 방사형 베인이 이루는 각도로 홈이 형성되어 상기 방사형 베인들 사이로 상하 이동되는 가이드 링과, 상기 가이드 링을 회전시키면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서브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나, 상기 발명을 영화관 건물에 적용하더라고 관람실을 제외한 영사실이나 전실 등에는 별도의 공기조화가 공급되어 에너지 절약상의 문제가 있으며, 영화관 건 물의 공조시스템으로써 화재발생시 효율적인 배연기능을 겸하기 위해 별도의 배연덕트, 배연팬 등을 구비하는 등 추가적인 설치로 인한 경제성과 효율에 있어 문제가 있다.
네째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제2003-269776호('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 루버의 제어방법')를 들을 수 있다. 상기 발명은 천정면에 매설되는 실내측 유니트(Unit)로부터 실내 공간에 향하고 불기 시작하는 공기 조절 공기의 풍향을 제어하고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풍향 제어용의 루버(Louver)의 설정 위치 및 상기 공기 조절 공기의 풍량을 제어하는 천정 매입형 공기조화기의 루버 제어방법에 있어서, 설정한 루버 위치에 있어서 풍량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때, 상기 루버 위치를 상기 설정 위치로부터 소정 각도 수직 방향에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나, 상기 발명을 영화관 건물에 적용하더라고 관람실을 제외한 영사실이나 전실 등에는 별도의 공기조화가 공급되어 에너지 절약상의 문제가 있으며,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으로써 화재발생시 효율적인 배연기능을 겸하기 위해 별도의 배연덕트, 배연팬 등을 구비하는 등 추가적인 설치로 인한 경제성과 효율에 있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영화관의 관람실과 같이 층고가 높은 대공간의 특성에 맞게 냉난방 취출기류의 형성시키는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화관의 관람실과 같이 층고가 높은 대공간의 특성 에 따라 영화관람실에 필요한 냉/난방 공기량을 초과한 양이 공급되는 점을 이용하여 상기 초과량의 공기를 영사실이나 전실 등의 부속실에 공급/분배시킴으로써 별도의 공기조화장치의 설치 없이 영사실이나 전실 등의 부속실의 공조를 해결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의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발생시 별도의 배연덕트, 배연팬 등을 구비하는 등 추가적인 배연설비의 설치없이 효율적인 배연기능을 겸하여 경제성과 효율에 높은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태양에 따르면, 영화관람실과 부속실을 포함하는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화관람실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되는 환기구, 상기 환기구와 기류적으로 연결되는 환기덕트, 상기 환기덕트에 기류적으로 연결되며 동력장치를 구비한 환기팬 및 상기 환기덕트 내부에 결합되는 환기댐퍼를 포함하는 환기부와; 상기 환기부에 결합되며, 상기 영화관람실의 온도, 습도, CO2 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검출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와; 상기 영화관람실의 천장에 설치되는 취출구, 상기 취출구와 기류적으로 연결되는 급기덕트, 상기 급기덕트에 기류적으로 연결되며 동력장치를 구비한 급기팬 및 상기 급기덕트 내부에 결합되는 급기댐퍼를 포함하는 급기부와; 상기 환기덕트 및 상기 급기덕트와 기류적으로 연결되는 공기조화기와; 상기 영화관람실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흡입구, 상기 부속실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송출구, 상기 바이패스 흡입구와 상기 바이패스 송출구를 기류적으로 연결하는 바이패스덕트, 상기 바이패스덕트에 기류적으로 연결되며 동력장치를 구비한 바이패스팬 및 상기 바이패스덕트 내부에 결합되는 바이패스댐퍼를 포함하는 바이패스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환기팬, 상기 급기팬, 상기 바이패스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회전속도 또는 상기 환기댐퍼, 상기 급기댐퍼, 상기 바이패스댐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개폐정도 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부속실의 용도는 영사실 또는 전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화되어 설치되며 냉난방 자동전환이 가능한 루프탑(roof top)형 에어컨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취출구는 가변형으로서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취출기류를 형성하며, 천장면에서 하향으로 돌출되는 원형 프레임과; 상기 원형 프레임의 내측 테두리로부터 상향으로 내경이 줄어들면서 연장되는 외부콘형프레임과; 상기 원형 프레임과 상기 외부콘형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는 내부콘형날개와; 상기 외부콘형프레임의 상부 테두리에서 수직상방으로 연장되는 원통형프레임과; 상기 원통형프레임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내부콘형날개를 상하로 이동시키기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동력을 상기 내부콘형날개로 전달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
상기 센서부는 연기량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기량 감지센서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급기팬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상기 환기팬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며, 상기 급기댐퍼를 폐쇄하고 상기 환기댐퍼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영화관 건물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영화관람실(100), 환기구(110, 110'), 환기팬(111), 환기덕트(112), 제2댐퍼(113), 가변취출구(120), 급기팬(121), 급기덕트(122), 제1댐퍼(123), 바이패스흡입구(130, 130'), 바이패스팬(131), 바이패스덕트(132, 132'), 영사실(200), 바이패스송출구(210), 전실(300), 바이패스송출구(310), 실외(400), 공조기(410), 전열교환기(420)가 도시되어 있다.
본실시예에 따른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영화관 건물은 영화관람실(100), 영사실(200), 전실(300)로 구성되며, 영화관람실(100)의 천장 및 벽면에 설치된 환기구(110, 110')가 환기공기흐름통로를 형성하는 환기덕트(112)를 통해 동력장치를 구비한 환기팬(111)에 연결되고, 다시 환기덕트(112)는 공조기(121), 전열교환기(420), 실외배기구로 연결된다. 한편, 영화관람실(100) 내의 공기온도, 습도, CO2 농도를 검출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가 환기구(110, 110')에 가까운 환기덕트(112) 내에 설치되나,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영화관람실(100)의 천장에 설치되는 가변취출구(120)가 급기공기흐름통로를 형성하는 급기덕트(122)를 통해서 동력장치를 구비한 급기팬(121)에 연결되고, 다시 급기덕트(122)는 급기팬(121)을 수용하는 공조기(410)를 거쳐 전열교환기(420), 실외흡기구로 연결된다. 전열교환기(420)로는 수직교류형 전열교환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급기공기와 환기공기가 접촉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져 에너지 절감효과를 갖는다. 또한, 급기덕트(122)와 환기덕트(112) 내에는 급기댐퍼와 환기댐퍼의 역할을 하는 제1댐퍼(123)와 제2댐퍼(113)가 설치된다.
가변취출구(120)는 내부콘형 날개를 상하로 조정함으로써 취출기류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고, 난방 또는 냉방 시에 각각에 적당한 토출패턴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공조기(410)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화되어 실외(400)에 설치되며 냉난방 자동절환이 가능한 루프탑(roof top)형 패키지 히트 펌프 에어컨(Packaged Heat Pump Air Conditioner)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절기에도 실내(부하측)에 냉방이 필요한 경우, 자동적으로 난방에서 냉방으로 전환되고, 거꾸로 요구를 하더라도 자동적으로 응답할 뿐만 아니라, 이코노마이져에 의해 중간기 콤프래셔를 운전하지 아니하고 외기를 유입하는 것으로 냉방이 되어 에너지 절감을 꾀할 수 있 다. 또한 가습기장착이 가능하며, 적하침투기화식 가습기를 기기내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기 본체는 마이크로 프로세서(CPU)에 의한 제어로 정확한 컨트롤이 가능하다. 무엇보다도 실외형으로 옥상 등 실외(400)에 설치되어 기계실이 필요하지 않아 유지보수 시에 실내 출입이 불필요해 영업상의 장애가 없는 이점이 있다.
본실시예에 따른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은 영화관람실(100)과 영사실(200) 또는 영화관람실(100)과 전실(300)을 기류적으로 연결하는 바이패스덕트(132, 132')형성되고, 바이패스 흡입구(130, 130')는 바이패스덕트(132, 132')의 일 말단인 영화관람실(100)의 천장면에 설치된다. 바이패스 송출구(210, 310)는 바이패스덕트(132, 132')의 타 말단인 영사실(200) 또는 전실(300)의 천장면에 설치된다. 또한, 동력장치를 구비한 바이패스팬(131, 131')과 바이패스댐퍼가 바이패스덕트(132, 132') 내에 설치된다.
영화관람실(100) 내부에 공급된 공기중 일부분(영사기 냉각에 필요한 풍량)을 영화관람실(100)과 영사실(200) 사이의 바이패스팬(131') 및 바이패스댐퍼를 작동시켜 바이패스덕트(132')를 통해 영사실로 공급하고 영사기를 냉각하고 배기시킨다. 이때 영화관 내부와 영사실 간의 압력차이는 0.5-1mmAg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화상영 시에는 전실(300) 부분의 인체부하가 감소되므로, 영화관람실(100) 내부의 열량(풍량)을 영화관람실(100)과 전실(300) 사이의 바이패스팬(131) 및 바이패스댐퍼를 작동시켜 바이패스덕트(132)를 통해 전실(300)로 보 낸다.
영화관람실(100)의 층고가 높은 대공간의 특성에 기인하여 영화관람실(100)에 필요한 냉/난방 공기량을 초과한 풍량이 공급되는 점을 이용하여 상기 초과 풍량을 영사실(200)이나 전실(300) 등에 공급 및 분배 시킴으로써 별도의 공기조화장치의 설치 없이 영사실(200)이나 전실(300) 등의 공조를 해결할 수 있어 에너지가 절약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체적인 에너지 절감측면을 고려한 구성으로, 영화관 내부의 온도 분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즉 냉/난방시 두서족한의 불쾌감을 없애기 위한 방편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바이패스 구성은 화재발생시 배연용으로 작동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실시예에 따른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은 화재발생시 배연기능을 겸한다.
공조운전시에는 제1댐퍼(123)는 OPEN되고 제2댐퍼(113)는 CLOSED되나, 화재발생시에는 환기덕트(112)에 설치된 이온화 연감지기는 연기가 감지되면 급기팬(121)을 정지시키고 제어부에 화재 경보 신호를 보내고 반대로 제1댐퍼(123)는 CLOSED 되고 제2댐퍼(113)는 OPEN되어 연기를 배기한다. 동시에 바이패스팬(130, 131') 및 바이패스댐퍼를 작동시켜 바이패스덕트(132, 132')를 통해 영사실 또는 전실로 연기를 보내고 다시 배기시킴으로써 본실시예에 따른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의 배연기능이 향상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의 동작제어순서를 나타낸 제어 다이어그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환기팬(111), 환기덕 트(112), 가변취출구(120), 급기팬(121), 급기덕트(122), 공조기(410), 전열교환기(420), 온도검출기(500), 습도검출기(510), CO2농도검출기(520), 이온화 연감지기(530), 제1차단댐퍼(600), 제2차단댐퍼(610), 제어부(700)가 도시되어 있다.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의 동작제어순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제어부(700)에서 급기팬(121)을 가동시키면 공조가 시작된다.
2. 공조기(410)내 밸브제어는 도 2에 나타나 있으며, 외기 및 환기덕트에 설치된 습도검출기(510)의 검출습도에 의해 가습밸브를 비례제어하여 실내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3. 댐퍼 제어는 다음과 같다.
(1) 환절기시 : 외기, 배기, 환기 댐퍼는 엔탈피 제어에 의한 상호 연동 비례제어한다. ( 제1차단댐퍼(600)는 CLOSE, 제2차단댐퍼(610)는 OPEN)
(2) 동하절기시 : 외기, 배기 댐퍼는 최소개소치, 환기댐퍼는 역동작된다.(제1차단댐퍼(600)는 OPEN, 제2차단댐퍼(610)는 CLOSE)
(3) 워밍업시 : 외기, 배기 댐퍼는 FULLY CLOSED, 환기 댐퍼는 FULLY OPEN 되어 실내 일정온도에 도달 시까지 유지 후 동절기 동작을 취한다.
1. 환기덕트(112)에 설치된 이온화 연감지기(530)는 연기가 감지되면 급기팬(121)을 정지시키고 제어부(700)에 화재 경보 신호를 보낸다.
1. 현장 휴대용 조작터미널에 의해서 공조실 등 현장에서 댐퍼조작기(MOD)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1. 화재시 인버터를 100% 운전하여 배연풍량을 확보한다.
1. 가변취출구(120)의 풍향 패턴을 냉방과 난방시즌에 따라 조절하여 적절한 기류를 형성한다.
1. 환절기시 환기덕트(112)에 설치된 온,습도 검출기(500, 510)로부터 검출된 값과 외기 온,습도 값으로 엔탈피를 계산하여, 실내의 엔탈피보다 외기의 엔탈피가 낮은 경우 공조기(410)내에 설치된 온도검출기(500)에 의한 설정 값에 따라 외기. 배기 및 환기댐퍼를 작동/제어시켜 외기냉방을 한다. 환절기시 외기냉방 시즌에는 제1차단댐퍼(600)는 CLOSE시키고 제2차단댐퍼(610)를 OPEN한다.
1. 환기덕트(112)에 설치된 CO2농도검출기(520)에 의해 검출된 실내의 이산화탄소농도가 설정치 이하이면 외기도입량을 최소외기도입량으로 유지시켜 외기도입에 따른 불필요한 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한다.
1. 제어부(700)에서는 아래와 같은 사항을 관제한다.
(1) 급기팬(121) 또는 환기팬(111) 가동/정지 및 운전상태 감시
(2) 공조기(410)의 가동/정지 및 상태, 경보 감시
(3) 필터차압 경보, 화재경보 감시
(4) 급기, 환기, 외기 온.습도 감시
(5) 혼합온도, 환기 이산화탄소 농도 감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취출구를 나타낸 절개측면 도 및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화관람실내 난방시 취출기류의 형태를 나타낸 측면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화관람실내 냉방시 취출기류의 형태를 나타낸 측면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영화관람실(100), 가변취출구(120), 원형 프레임(124), 외부콘형프레임(125), 내부콘형날개(126), 원통형프레임(127), 구동부(128), 연결로드(129), 영사실(200), 전실(Hall)(300), 수직형 취출기류(800), 수평형 취출기류(810)가 도시되어 있다.
영화관람실의 천장에 설치되는 취출구는 가변취출구(120)로써, 천장면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원형 프레임(124)의 내측 테두리로부터 상향으로 내경이 줄어들연서 외부콘형프레임(125)이 연장되고, 원형 프레임(124)과 외부콘형프레임(125) 내측에 내부콘형날개(126)이 위치한다. 또한, 외부콘형프레임(125)의 상부 테두리에서부터 수직상방으로 연장되는 원통형프레임(127) 내부에 도3에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내부콘형날개(126)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등의 구동수단이 수용되고, 구동수단의 회전운동을 상하 수직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수단(예를 들어, 캠구조, 크랭크구조, 래크 및 피니언)을 포함하며, 이러한 수단과 내부콘형날개(126)를 연결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가변취출구(120) 내에 온도검출기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가변취출구(120)의 내부콘형날개(126)를 상하로 조정함으로써 취출기류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변화하도록 하여, 냉/난방 시, 각각에 적당한 토출패턴을 선택할 수 있다. 본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제어부나 가 변취출구(120)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기기가 환기덕트 내 또는 가변취출구 내에 설치된 온도검출기에서 감지된 온도를 수신하여 냉방시 냉방시 16℃이하이면 수직형 취출기류(800)를 , 난방시 26℃이상이면 수평형 취출기류(810)를 형성시키도록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자동전환이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방시에는 도4에서 처럼 가변취출구(120)의 내부콘형날개(126)를 하방으로 이동시키 수직형 취출기류(800)를 형성케하고, 냉방시에는 도5에서 처럼 가변취출구(120)의 내부콘형날개(126)를 상방으로 이동시키 수평형 취출기류(810)를 형성케함으로써, 드래프트감을 억제하고 실내의 온도차의 불균일를 최소화하여 쾌적한 공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는 내부의 유인성능이 높고, 처리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는 구성으로 환기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실시예에 따른 영화관건물의 공조시스템은 가변취출구와 동시에 바이패스팬 및 바이패스팬댐퍼를 작동시켜 실내의 영화관람실 내의 상하의 온도차이가 보통은 1-1.5℃, 적어도 3℃ 이하를 유지케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쾌적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영화관람실과 영사실 또는 전실 을 기류적으로 연결하는 바이패스덕트, 상기 바이패스덕트와 상기 영화관람실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흡입구, 상기 바이패스덕트에 결합되는 바이패스팬, 상기 바이패스덕트와 상기 영사실 또는 상기 전실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송출구, 상기 바이패스덕트 내에 결합되는 바이패스댐퍼를 포함하는 바이패스부를 구비하여 영화관의 관람실과 같이 층고가 높은 대공간의 특성에 따라 영화관람실에 공급된 필요한 냉/난방 공기량을 초과한 양을 영사실이나 전실 등에 공급/분배시킴으로써 별도의 공기조화장치의 설치 없이 영사실이나 전실 등의 공조를 해결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의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센서부에 연기량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상기 연기량 감지센서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수신하여 급기팬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급기댐퍼를 폐쇄하고 환기댐퍼를 개방하며, 환기팬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화재발생시 별도의 배연덕트, 배연팬 등을 구비하는 등 추가적인 배연설비의 설치없이 효율적인 배연기능을 겸하여 경제성과 효율에 높은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영화관람실의 천장에 설치되는 취출구로 내부콘형날개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는 가변취출구로 하여 냉/난방특성과 영화관의 관람실과 같이 층고가 높은 대공간의 특성에 맞는 냉/난방 취출기류의 형성시켜 드래프트감을 억제하고 쾌적한 공조가 가능한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영화관람실과 부속실을 포함하는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화관람실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되는 환기구, 상기 환기구와 기류적으로 연결되는 환기덕트, 상기 환기덕트에 기류적으로 연결되며 동력장치를 구비한 환기팬 및 상기 환기덕트 내부에 결합되는 환기댐퍼를 포함하는 환기부와;
    상기 환기부에 결합되며, 상기 영화관람실의 온도, 습도, CO2 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검출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와;
    상기 영화관람실의 천장에 설치되는 취출구, 상기 취출구와 기류적으로 연결되는 급기덕트, 상기 급기덕트에 기류적으로 연결되며 동력장치를 구비한 급기팬 및 상기 급기덕트 내부에 결합되는 급기댐퍼를 포함하는 급기부와;
    상기 환기덕트 및 상기 급기덕트와 기류적으로 연결되는 공기조화기와;
    상기 영화관람실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흡입구, 상기 부속실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송출구, 상기 바이패스 흡입구와 상기 바이패스 송출구를 기류적으로 연결하는 바이패스덕트, 상기 바이패스덕트에 기류적으로 연결되며 동력장치를 구비한 바이패스팬 및 상기 바이패스덕트 내부에 결합되는 바이패스댐퍼를 포함하는 바이패스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환기팬, 상기 급기팬, 상기 바이패스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회전속도 또는 상기 환기댐퍼, 상기 급기댐퍼, 상 기 바이패스댐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개폐정도 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실의 용도는 영사실 또는 전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화되어 설치되며 냉난방 자동전환이 가능한 루프탑(roof top)형 에어컨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는 가변형으로서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취출기류를 형성하며,
    천장면에서 하향으로 돌출되는 원형 프레임과;
    상기 원형 프레임의 내측 테두리로부터 상향으로 내경이 줄어들면서 연장되는 외부콘형프레임과;
    상기 원형 프레임과 상기 외부콘형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는 내부콘형날개와;
    상기 외부콘형프레임의 상부 테두리에서 수직상방으로 연장되는 원통형프레임과;
    상기 원통형프레임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내부콘형날개를 상하로 이동시키기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동력을 상기 내부콘형날개로 전달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연기량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기량 감지센서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급기팬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상기 환기팬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며, 상기 급기댐퍼를 폐쇄하고 상기 환기댐퍼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
KR1020050024880A 2005-03-25 2005-03-25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 KR100590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880A KR100590294B1 (ko) 2005-03-25 2005-03-25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880A KR100590294B1 (ko) 2005-03-25 2005-03-25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0294B1 true KR100590294B1 (ko) 2006-06-19

Family

ID=3718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880A KR100590294B1 (ko) 2005-03-25 2005-03-25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02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04544A (zh) * 2024-02-04 2024-03-15 中国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建筑大空间的自然通风节能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04544A (zh) * 2024-02-04 2024-03-15 中国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建筑大空间的自然通风节能系统
CN117704544B (zh) * 2024-02-04 2024-05-28 中国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建筑大空间的自然通风节能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1329B2 (ja) 換気空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5564980A (en) Room air quality conditioning system
JP3731397B2 (ja) 送風機、空気調和装置、送風機の送風方法
JP7142969B2 (ja) 空調システム
KR20210106836A (ko) 건물 환기 시스템
WO2001094854A1 (fr) Procede et dispositif permettant d&#39;economiser l&#39;energie dans un appareil de chauffage et de climatisation de salle
KR20110128009A (ko) 천장형 제트공조장치
KR100590294B1 (ko) 영화관 건물의 공조시스템
JP3670771B2 (ja) 空調装置
JP2018123999A (ja) 風路切替ダンパ、ファンコイル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システム
JP2010196997A (ja) 建物
JPH09280604A (ja) 空気調和装置
JP2001108271A (ja) 換気装置、それを用いた空調換気システム及び建物
KR20060064521A (ko) 공기 조화 장치
KR20180035291A (ko) 공기조화 시스템
JP2010101600A (ja) 空調システム
JPH0781725B2 (ja) 換気空調装置
JPH0828902A (ja) 空気調和機
JP2001235197A (ja) 室内冷暖房における省エネルギー方法及び装置並びにシステム
KR20060055326A (ko) 공기 조화 장치
JP2004003837A (ja) 空気調和装置
JP7281616B2 (ja) 換気システム
KR20050055105A (ko) 환기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및 그 운용 방법
KR20180035081A (ko) 공조 유닛
JP2011190968A (ja) 送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