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9976B1 - 차량의 공압 제동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공압 제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9976B1
KR100589976B1 KR1020017015495A KR20017015495A KR100589976B1 KR 100589976 B1 KR100589976 B1 KR 100589976B1 KR 1020017015495 A KR1020017015495 A KR 1020017015495A KR 20017015495 A KR20017015495 A KR 20017015495A KR 100589976 B1 KR100589976 B1 KR 100589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vehicle
target pressure
control system
thr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1114A (ko
Inventor
이안리차드죠셉 바테스
Original Assignee
왑코 오토모티브 유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085451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8997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왑코 오토모티브 유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왑코 오토모티브 유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21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2Arrangements of pumps or compressor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차량용 공압 제동시스템의 압축기를 위한 제어시스템은 차량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하나이상의 입력과, 압축기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출력을 포함하며, 제어시스템은 압축기 하부의 저장조에 대한 목표압력을 연산하기 위한 목표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며, 출력은 목표수단에 응답한다. 목표압력은 차량의 작동상태에 적합하도록 변화될 수 있으며, 차량이 타성으로 주행하거나 서행할 때 압축기를 구동함으로써 차량의 연료소모를 상당히 경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공압 제동시스템 {Vehicle air braking systems}
본 발명은 차량의 공압 제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러한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공기압축기의 전자제어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공압 제동시스템은 압축기와, 압축공기를 위한 저장조와, 운전자에 의해 작동되는 디멘드밸브(demand valve)와, 차량의 휘일브레이크를 위한 다수의 공기작동기(air actuator)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압축기출구의 공기를 위한 건조기와, 저장조의 압력이 최대이고 디멘드밸브가 폐쇄되었을 때 압축기를 무부하상태로 작동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압축기는 전형적으로 그 출력을 일시적으로 대기와 연결시키면 무부하상태로 되기 때문에, 압축기는 휘일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압축기는 통상적으로 차량엔진인 구동원과도 연결될 수 있는 클러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압축기는 상당한 에너지를 흡수하므로, 충분한 양의 압축공기가 요구사항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하면서 그 동작시간을 최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디멘드밸브의 고압측에서 "데드량(dead volume)"을 최소한으로 유지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현존의 압축기 제어시스템은 감지된 하나이상의 작동조건에 응답하여 압축기 를 제어하고 있다. 이러한 제어시스템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동시스템의 상부 공압과 하부 공압 사이에서 작동된다.
따라서, 차량의 실시간 작동상태와 필요로 하는 요구사항에 따라, 압축기 작동시간을 양호하게 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르면, 차량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입력들, 및 압축기가 무부하 상태 또는 유부하 상태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출력을 포함하며, 제어시스템은 압축기 하부의 저장조에 대한 목표압력을 연산하기 위한 목표수단(target means)을 부가로 포함하고, 출력은 목표수단에 응답하는 제어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목표압력이 차량의 작동상태에 적합하도록 실시간으로 변화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목표압력은 트로틀 개방모드동안 보다 트로틀 폐쇄모드동안에서 높아질 수 있다. 목표압력은 차량 제동시스템의 예측가능한 요구사항에 직접적으로 좌우되거나, 또는 압축기로부터 분배된 공기온도와 같은 그 관련의 요소에 간접적으로 좌우되고 있다.
제어시스템의 입력은 다음과 같은 하나이상의 변수 즉, 엔진속도, 차량속도, 차량의 트로틀개방, 제동시스템 저장조에서의 공기압력, 공기압축기 출구에서의 공기온도, 대기중의 습도에 대한 압축기 하부의 공기건조기내의 건조제의 건조도, 공기건조기 하부에서의 공기건조도 등과 같은 변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시스템은 차량의 엔진속도를 표시하는 제1입력, 차량속도를 표시하는 제2입력, 차량의 트로틀개방도를 표시하는 제3입력, 및 압축기 하부의 저장조내의 공기압력을 표시하는 제4입력을 포함하며, 목표압력은 트로틀 개방모드동안 보다 트로틀 폐쇄모드 동안에서 더 높다.
본 발명에 사용된 "트로틀" 이란 용어는 차량엔진으로의 연료 유입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차량의 가속기페달이나 기타 다른 수단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차량이 타성주행(coasting)하거나 서행할 때, 트로틀 폐쇄모드에서 높은 목표압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환경하에서는 가속기페달을 해제하는 운전자에 의해 연료공급이 정상적으로 폐쇄되며, 이에 따라 차량의 모멘텀에 의해 엔진과 압축기가 구동된다. 이러한 모드에서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에너지는 "자유롭게(free)"되며, 이 상태에서는 연료가 연소되지 않는다. 차량이 계속 서행하게 되면 압축기가 유부하상태로 작동되지만, 이러한 상태는 트로틀 폐쇄모드가 제동동작과 함께 실행되거나, 또는 제동동작에 이어서 트로틀이 폐쇄되는 모드에서는 유용하지 않다. 트로틀 폐쇄모드중 최대한의 장점을 취하기 위해, 공기저장조내의 목표압력은 정상적인 레벨 보다 높이 상승하게 되며, 그 결과 트로틀 작동모드중 압축기의 작동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소모를 상당히 감소시키는 반면, 이를 위해 내장되어 있는 전자제어시스템은 최소한으로 사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목표압력은 정상적인 목표압력 보다 8% 내지 10% 높다. 이러한 시스템은 공기 스프링(air suspension)와 같은 관련의 공기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높은 압력에 부응하기 위해, 고압의 제3목표압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엔진이 정지되기 전 최종 제동동작시, 제동모드(트로틀 폐쇄모드)에서 높은 목표압력이 존재하며, 저장조는 통상의 공기건조기에 최종적인 퍼지를 제공하기 위해 여분의 공기 과급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는 작업일의 종료시에 공압 제동시스템이 습기가 없고 깨끗한 상태로 유지된다는 점에서 특히 유용하다. 또한 다음날의 작업시작시에 공압 제동시스템은 습기가 없고 깨끗한 상태로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압축기의 독립적인 제어 및 퍼지 밸브(purge valve)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퍼지밸브가 작동될 때마다, 압축기와 퍼지 밸브/저장조를 연결하는 공기라인(air line)에서 배출이 발생되지 않는다. 만일 이러한 공기라인에서의 배출이 발생된다면, 압축기는 유부하상태가 되었을 때 상당한 시간동안 작동되어야만 한다.
이와는 달리, 정상적인 목표압력은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압축기로부터의 출력이 고온상태의 대기와 상당한 공기요구량(이에 따라 압축기 작동시간도 상당하게 된다) 등에 의해 상당히 고온으로 된다면, 압축공기는 통상적인 공기건조기내의 건조제가 손상되는 온도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환경하에서는 정상적인 목표압력을 감소시켜 압축기의 작동시간을 감소시키고, 압축기를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시스템은 예를 들어 비상제동시처럼 최대의 공기량을 필요로 할 때, 저압의 목표압력이 부여되지 않도록 보조수동장치(overrid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따르면, 차량의 공압 제동시스템의 압축기를 위한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압축기는 설정된 목표압력에서 무부하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제어시스템은 차량의 트로틀위치를 표시하는 입력을 가지며, 트로틀 개방도가 제로일 때 목표압력을 증가시키도록 적응된다.
본 발명의 제3특징에 따르면, 차량의 공압 제동시스템의 압축기를 위한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시스템은 차량의 엔진속도를 표시하는 제1입력과, 차량속도를 표시하는 제2입력과, 차량의 트로틀 개방도를 표시하는 제3입력과, 압축기의 하부의 저장조내의 공기압력을 표시하는 제4입력과, 압축기를 무부하상태 또는 유부하상태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출력을 포함하며, 제어시스템은 저장조를 위한 목표압력을 실시간으로 연산하는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며, 목표압력은 트로틀 개방모드동안 보다 트로틀 폐쇄모드에서 더 높다.
본 발명의 제4특징에 따르면, 차량의 공압 제동시스템의 압축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차량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하나이상의 입력을 갖는 압축기용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차량의 작동상태에 따라 압축기를 유부하상태나 무부하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제어시스템으로부터의 출력을 제공하는 단계; 및 압축기의 하부의 저장조를 위한 목표압력을 실시간으로 연산하는 목표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어시스템으로부터의 출력은 목표수단에 응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입력은 차량 엔진속도를 표시하는 제1입력, 차량속도를 표시하는 제2입력, 차량의 트로틀 개방도를 표시하는 제3입력, 및 저장조내의 공기압력을 표시하는 제4입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특징은 첨부의 도면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X축은 차량의 작동모드를 표시하며, Y축은 압력을 표시한다. 목표압력은 협소한 실선대역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의 아이들상태는 실선으로 도시되었으며, 점선은 퍼지처리를 도시하며, 쇄선은 압축기의 토출을 도시하고 있다.
전형적인 공압 제동시스템에 있어서, 압축기 출력은 비복귀밸브 및 공기건조기를 통해 저장조로 유입된다. 대부분의 습기를 퍼지처리하기 위해, 저장조에서의 건조한 공기는 공기건조기(전형적으로, 건조제 베드를 포함한다)를 통해 주기적으로 재유입된다. 퍼지처리는 예를 들어 타이머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때로는 압축기가 설정시간동안 유부하상태로 된 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시스템에서 필요한 공기는 공기의 품질에 우선하기 때문에, 퍼지처리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제동모드시에는 이루어지지 않으며, 제동동작은 통상적으로는 짧은 시간동안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은 처음에는 정지모드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엔진은 작동되지 않고 있다. 잔류의 시스템압력은 저압이며, 압축기는 아이들상태(실제로는, 정지상태) 이다.
이어서, 엔진이 작동개시되어 아이들링 상태로 된다. 목표압력은 정상레벨로 즉시 설정되며,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압력은 9바아(bar)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는 2가지 상태로 토출되며, 그 사이에는 시간형 퍼지(timed purge)가 존재하며; 압축기는 필요에 따라 다소 많은 상태로, 또는 다소 적은 상태로 토출될 수도 있다. 안전한 작동압력에 도달될 때까지, 기타 다른 제어시스템에 의해 차량의 구동이 방지된다.
목표치에 도달되었을 때, 압축기는 무부하상태로 유지되며, 공기 스프링 또는 차량 앞유리의 와이퍼동작 등과 같은 시스템에서의 공기사용이나 그 누설에 따라, 시스템압력이 감소될 수도 있으며, 감소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압력목표는 압축기가 유부하상태와 무부하상태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절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적인 히스테리시스를 가지며, 이것은 목표압력의 대역폭으로 표시된다.
운전모드중, 필요에 따라 압축기는 유부하상태로 이동될 수도 있으며, 퍼지처리도 이루어질 수 있다. 압력목표는 퍼지처리가 실행될 수 있도록 아이들링 모드 및 운전모드에서 미세하게 진동한다.
이어서 과속모드에서, 도시된 목표압력은 거의 10바(bar)까지 증가된다. 시스템의 요구사항에 따라 목표압력은 10바보다 크게, 또는 이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드에서는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해 연료가 사용되지 않는다. 토출 및 퍼지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행된다. 제동모드에서도 이와 같은 처리가 이루어지지만, 퍼지처리는 제외된다.
이어지는 아이들링 모드에 있어서, 압력목표는 다시 정상적인 레벨로 감소된다. 압축기는 저장조압력이 정상적인 레벨대역의 바닥으로 강하될 때까지는 유부하상태로 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동후의 퍼지사이클이 표시되는데, 이것은 제동동작중 퍼지처리가 실행되지 않은 것을 보상하기 위해 제어시스템에 의해 표시된 정상적인 동작을 의미한다.
또 다른 주기의 운전모드에서 저압의 압력목표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어서, ECAS동작이 실행된다. 이러한 동작은 예를 들어 차량의 공기 스프링와 같은 관련의 공압시스템이 정상적인 작동레벨 보다 높은 압력을 요구할 때 발생된다. 압축기는 도시되지 않은 새로운 목표에 도달하려고 시도할 것이며; 이에 따라 공기의 공급과 소모가 중단되어, ECAS동작이 종료되기 전에 미세한 압력증가가 달성될 수 있다.
ECAS동작중 퍼지처리의 감소에 따른 퍼지사이클에 의해, 또 다른 아이들링 모드가 시작된다.
마지막으로, 차량과 엔진이 정지된다. 목표압력은 제어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설정된,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최소값으로 강하된다. 남아있는 고압의 압력을 이용한 최종 동력강하퍼지(power-down purge) 처리에 의해 비작동 시스템이 세정 및 건조된다. 시스템내에는 아직 잔류 압력이 존재하고 있는데, 이것은 세정되지 않은 그리고 건조되지 않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상술한 바는 전형적인 운전동작의 범주를 참조로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트로틀 폐쇄모드중 보다 높은 압력목표가 달성된다는 점이다.

Claims (13)

  1. 차량용 공압 제동시스템의 압축기를 위한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입력들과,
    압축기가 무부하상태 또는 유부하 상태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출력을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압축기 하부의 저장조에 대한 목표압력을 연산하기 위한 목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은 상기 목표수단에 응답하는,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시스템 입력은 상기 차량의 트로틀 위치인, 제어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압력은 트로틀 개방모드동안 보다 트로틀 폐쇄모드동안에서 더 높은, 제어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더 높은 목표압력은 정상적인 상기 목표압력을 8% 내지 10% 초과하는, 제어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제3의 더 높은 목표압력을 더 포함하는, 제어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제어 시스템 입력은 상기 압축기 출구에서의 온도인, 제어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압력은 상승된 압축기 출구의 온도에 응답하여 감소되는, 제어시스템.
  8. 차량용 공압 제동시스템의 압축기를 위한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설정된 목표압력에서 무부하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시스템은 차량의 트로틀 위치를 표시하는 입력을 가지며, 트로틀 개방도가 제로일 때 상기 목표압력을 증가시키도록 적응되는, 제어시스템.
  9. 차량용 공압 제동시스템의 압축기를 위한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시스템은,
    차량의 엔진속도를 표시하는 제1입력과,
    차량속도를 표시하는 제2입력과,
    차량의 트로틀개방도를 표시하는 제3입력과,
    상기 압축기의 하부의 저장조내의 공기압력을 표시하는 제4입력과,
    압축기를 무부하상태 또는 유부하상태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출력을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저장조를 위한 목표압력을 연산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목표압력은 트로틀 개방모드동안 보다 트로틀 폐쇄모드동안에서 더 높은, 제어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더 높은 목표압력은 정상적인 상기 목표압력을 8% 내지 10% 초과하는, 제어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제3의 더 높은 목표압력을 더 포함하는, 제어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독립적인 제어 및 상기 압축기를 위한 퍼지 밸브를 제공하도록 적응되는, 제어시스템.
  13. 차량의 공압 제동시스템의 압축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입력들을 갖는 압축기용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작동상태에 따라 압축기를 유부하상태나 무부하상태로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시스템으로부터의 출력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압축기의 하부의 저장조를 위한 목표압력을 실시간으로 연산하는 목표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시스템으로부터의 상기 출력은 상기 목표수단에 응답하는, 압축기 제어방법.
KR1020017015495A 1999-06-02 2000-06-02 차량의 공압 제동시스템 KR100589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912681.5A GB9912681D0 (en) 1999-06-02 1999-06-02 Vehicle air braking systems
GB9912681.5 1999-06-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114A KR20020021114A (ko) 2002-03-18
KR100589976B1 true KR100589976B1 (ko) 2006-06-15

Family

ID=10854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495A KR100589976B1 (ko) 1999-06-02 2000-06-02 차량의 공압 제동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344201B1 (ko)
EP (1) EP1183172B2 (ko)
JP (1) JP2003501311A (ko)
KR (1) KR100589976B1 (ko)
CN (1) CN1188309C (ko)
AT (1) ATE314235T1 (ko)
BR (1) BR0011124B1 (ko)
DE (1) DE60025199T3 (ko)
GB (1) GB9912681D0 (ko)
WO (1) WO20000749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2459B1 (en) 2000-08-08 2004-01-27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Electronic air charge controller for vehicular compressed air system
FR2835787B1 (fr) * 2002-02-14 2004-10-22 Renault Vehicules Ind Procede de pilotage d'un compresseur entraine par le moteur d'un vehicule
FR2839693B1 (fr) * 2002-05-14 2004-12-03 Renault Vehicules Ind Dispositif de freinage d'un essieu de vehicule industriel
US7976285B2 (en) * 2006-06-05 2011-07-12 Paccar Inc Electronic control for heavy duty truck compressed air charging system
DE102007026249B4 (de) * 2007-06-04 2009-04-23 Voith Patent Gmbh Steuerungsverfahren für ein Kraftfahrzeugdruckluftsytem und Kraftfahrzeugdruckluftsystem
DE102007032963A1 (de) * 2007-07-16 2009-01-29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ystem mit einer Luftaufbereitungsanlage
DE102008006860A1 (de) 2008-01-31 2009-08-06 Haldex Brake Products Gmbh Kraftfahrzeug mit einer von einem Kompressor versorgten Druckluftanlage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s Luftstroms in einer Druckluftanlage
DE102008056322A1 (de) 2008-11-07 2010-05-12 Wabco Gmbh Steuereinrichtung für eine Druckluftaufbereitungseinrichtung eines Fahrzeuges, Druckluftaufbereitungs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 deren Steuerung
US9688260B2 (en) * 2008-11-28 2017-06-27 Volvo Truck Corporation Vehicle comprising an air compresso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air compressor system
DE102008064490A1 (de) * 2008-12-23 2010-06-24 Kaeser Kompressoren Gmbh Verfahren zum Steuern einer Kompressoranlage
WO2010095754A1 (ja) * 2009-02-23 2010-08-26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圧縮空気供給システム、車両用圧縮空気供給装置、及び、空気圧縮機の制御方法
DE102009017903A1 (de) * 2009-04-17 2010-10-21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Druckluftversorgung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2012001032A (ja) * 2010-06-15 2012-01-05 Isuzu Motors Ltd 内燃機関のエアコンプレッサの制御方法及び内燃機関のエアシステム
DE102010038064B4 (de) 2010-10-08 2013-02-21 Haldex Brake Products Gmbh Lufttrocknungskartusche
DE102011013440A1 (de) * 2011-03-09 2012-09-13 Wabco Gmbh Verfahren zur Drucksteuerung in einem Fahrzeug sowie Drucksteuereinrichtung
US8467950B1 (en) 2012-02-08 2013-06-18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Air demand adjusted compressor control
US20130204490A1 (en) * 2012-02-08 2013-08-08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Uphill vehicle orientation adjusted compressor control
EP2708429B1 (en) 2012-09-12 2015-08-26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Compressed air system for a motor vehicle
DE102013000275A1 (de) 2013-01-09 2014-07-10 Wabco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Druckluft-Bremsanlage eines Fahrzeuggespanns
DE102013109476A1 (de) 2013-08-30 2015-03-05 Knorr-Bremse Systeme für Schienenfahrzeuge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Regeneration eines Zweikammer-Lufttrockners
DE102013113556A1 (de) * 2013-12-05 2015-06-11 Knorr-Bremse Systeme für Schienenfahrzeuge GmbH Kompressorsystem und Verfahren zum Betrieb des Kompressorsystems in Abhängigkeit der aktuellen Situation des Schienenfahrzeugs
GB201518409D0 (en) * 2015-10-18 2015-12-02 Alexander Dennis Ltd Compressed air systems and methods
US10436226B2 (en) * 2016-02-24 2019-10-08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sound control system
US11370405B2 (en) * 2019-11-19 2022-06-28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System, controller and method for air charging
CN114060259B (zh) * 2020-08-04 2024-03-19 北京福田康明斯发动机有限公司 一种车辆制动系统中空气压缩机的控制方法、控制器
DE102021134382A1 (de) 2021-12-22 2023-06-22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Drucklufterzeugungseinrichtung eines pneumatischen Brems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20685A1 (de) 1979-05-22 1980-12-04 Bosch Gmbh Robert Drucklufterzeugungsanlage
US4361204A (en) 1980-02-11 1982-11-30 Earle John L Hot gas vehicular power system with regeneration
JPS5812861A (ja) * 1981-07-17 1983-01-25 Diesel Kiki Co Ltd 自動車用エア配管系の圧力制御装置
DE3324477A1 (de) 1983-03-05 1984-09-06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ruckluftanlage von fahrzeugen, insbesondere druckluftbremsanlage
DE3525107A1 (de) 1984-07-26 1986-02-20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Antriebs- und betriebsbremsanlage von kraftfahrzeugen
DE3810340A1 (de) 1988-03-26 1989-10-05 Man Nutzfahrzeuge Gmbh Kraftfahrzeug mit einrichtung zur schubzuschaltung von nebenverbrauchern
JP2910380B2 (ja) 1992-02-26 1999-06-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制御装置
DE19515895A1 (de) * 1995-04-29 1996-10-31 Bosch Gmbh Robert Druckluft-Versorgungseinrichtung für Fahrzeug-Druckluftanlagen sowie Verfahren zum Steuern der Druckluft-Versorgungseinrichtung
SE9503287L (sv) 1995-09-22 1997-02-03 Volvo Ab Lufttorkningsanordning i ett tryckluftsystem samt metod för regenerering av ett i lufttorkningsanordningen ingående torkmedel
DE19627403A1 (de) * 1996-07-06 1998-01-08 Wabco Gmbh Druckgasanlage
SE507152C2 (sv) * 1996-08-22 1998-04-06 Volvo Lastvagnar Ab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reglering av luftkompressor
SE508156C2 (sv) * 1996-10-18 1998-09-07 Volvo Lastvagnar Ab System och metod för reglering av inkopplingen av hjälputrustning driven av en motor
US5894881A (en) * 1997-03-31 1999-04-20 Westinghouse Air Brake Company Fan powered aftercooler and control circuit for locomotive compressors having no integral aftercooler
DE19714513A1 (de) 1997-04-08 1998-10-15 Knorr Bremse Systeme Druckluftbeschaffungsanlage für Fahrzeuge mit einer Einrichtung zum Erkennen von Schubphasen
US5951260A (en) * 1997-05-01 1999-09-14 Cummins Engine Company, Inc.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air compressor control
SE517520C2 (sv) 1997-06-19 2002-06-11 Haldex Brake Prod Ab Anordning för lufttorkning försedd med omkopplingsventil i luftledning mellan luftkompressor och lufttorkare
US6036449A (en) 1998-03-24 2000-03-14 Cummins Engine Company, Inc. Air compressor control
US6120107A (en) * 1998-04-21 2000-09-19 Meritor Heavy Vehicle Systems, Llc Compressor and air dryer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912681D0 (en) 1999-07-28
ATE314235T1 (de) 2006-01-15
DE60025199D1 (de) 2006-02-02
WO2000074990A1 (en) 2000-12-14
BR0011124A (pt) 2002-02-26
KR20020021114A (ko) 2002-03-18
EP1183172B2 (en) 2009-09-09
CN1353654A (zh) 2002-06-12
BR0011124B1 (pt) 2009-01-13
EP1183172B1 (en) 2005-12-28
DE60025199T3 (de) 2009-12-17
EP1183172A1 (en) 2002-03-06
JP2003501311A (ja) 2003-01-14
CN1188309C (zh) 2005-02-09
US7344201B1 (en) 2008-03-18
DE60025199T2 (de) 200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9976B1 (ko) 차량의 공압 제동시스템
EP0523194B2 (en) Charge/purge control system for air dryer with humidity control
JP2795944B2 (ja) 空気乾燥器をパージする圧縮空気系統
US7552932B2 (en) Vehicle air-suspens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4549888A (en) Automatic control for an external air supply
CN1329232C (zh) 车辆供气系统
EP1763637B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a compressed air system
EP1218231B1 (en) Vehicle air braking systems
JP2529962Y2 (ja) 車両用圧縮空気圧力源システム
JPH0660425U (ja) 車両用空気貯蔵装置
KR20220075785A (ko) 연비 향상을 위한 차량용 eapu 모듈 제어 방법
JP5430969B2 (ja) 圧縮空気供給システム、及び、空気圧縮機の制御方法
JPH08301100A (ja) 車両のエア供給システム
JP7483672B2 (ja) 空気供給システム、空気供給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空気供給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
KR100589151B1 (ko) 차량의 머플러 탄매 제거장치 및 방법
JPH029191B2 (ko)
JPS6199730A (ja) エアサスペンシヨン回路におけるデシケ−タ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