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8160B1 - 그릴장치 - Google Patents

그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8160B1
KR100588160B1 KR1020040105525A KR20040105525A KR100588160B1 KR 100588160 B1 KR100588160 B1 KR 100588160B1 KR 1020040105525 A KR1020040105525 A KR 1020040105525A KR 20040105525 A KR20040105525 A KR 20040105525A KR 100588160 B1 KR100588160 B1 KR 100588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cover
housing
hinge shaft
gril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한성
한대성
권용현
김철
이태욱
성한준
장성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5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81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릴하우징과, 상기 그릴하우징을 개폐하는 그릴커버를 갖는 그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그릴하우징과 상기 그릴커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그릴커버의 폐쇄 상태에서 단면 형상의 세로폭이 가로폭보다 큰 힌지축과; 상기 그릴하우징과 상기 그릴커버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힌지축을 수용하며, 상기 그릴커버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절취된 개방부를 갖는 축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회전 각도에 따라 착탈이 용이한 그릴커버가 제공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그릴장치, 그릴하우징, 그릴커버, 폐쇄, 힌지축, 축수용부, 개방부

Description

그릴장치{GRILL APPARATUS}
도 1은 커버가 분리된 종래의 그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커버가 고정된 종래의 그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그릴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그릴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그릴장치에 따른 작동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그릴장치 10 : 그릴커버
12 : 힌지축 20 : 그릴하우징
22 : 축수용부 22a : 개방부
30 : 그릴부 40 : 전열히터
50 : 그릴반사부재 60 : 유지수용부재
본 발명은 그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 각도에 따라 착탈이 가능한 그릴커버를 갖는 그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릴(GRILL)이란, 육류나 어패류 등을 석쇠에 올리거나 꼬치에 꿰어 직접 불에 굽는 방법을 말한다. 그러나 가전제품으로서의 그릴장치는 전기나 가스 등을 이용하여 육류나 어패류 등의 식품을 구울 수 있도록 하는 기구를 의미한다.
이러한 그릴장치에는 조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그릴커버가 사용된다. 그릴커버는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다.
종래의 그릴장치(10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형태의 그릴커버(110)를 갖는다. 또는 종래의 그릴장치(20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212)을 갖는 그릴커버(210)가 힌지축수용부(222)를 갖는 본체(220)에 장착되어 분리되지 않는 고정된 형태로 만들어진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그릴장치의 경우, 조리 중 그릴커버를 개방할 때, 뜨거워진 그릴커버를 놓을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뜨거운 그릴커버를 별도로 취급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그릴장치의 경우, 여러 사람이 그릴로부터 직접 음식을 덜어 먹을 때, 그릴커버에 의해 시야가 가려지는 등 공간상의 제약에 의한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 각도에 따라 착탈이 가능한 그릴커버를 갖는 그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릴하우징과, 상기 그릴하우징을 개폐하는 그릴커버를 갖는 그릴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릴하우징과 상기 그릴커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그릴커버의 폐쇄 상태에서 단면 형상의 세로폭이 가로폭보다 큰 힌지축과; 상기 그릴하우징과 상기 그릴커버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힌지축을 수용하며, 상기 그릴커버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절취된 개방부를 갖는 축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힌지축은, 상기 그릴커버의 폐쇄 상태에서 단면의 형상이 세로로 긴 장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축은 상기 그릴커버에 마련되고, 상기 축수용부는 상기 그릴하우징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그릴 중 전기그릴을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하고,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그릴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그릴에 따른 작동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그릴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그릴하우징(20)과, 그릴하우징(20)을 개폐하는 그릴커버(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릴하우징(20)의 내부에는 그릴장치(1)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각종 부품이 수용된다. 그릴하우징(20) 내부에는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열원인 전열히터(40)와, 전열히터(40)의 열을 반사하는 그릴반사부재(50)가 장착된다. 또한 그릴반사부재 (50)의 하부에는 식품으로부터 발생되는 기름 등을 수용하는 기름받이(60)가 설치된다.
전열히터(40)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 히터로, 장방형의 판상으로 만들어져 그릴하우징(20)의 측벽 내부에 장착된다. 전열히터(40)에서 발생된 열은 그릴반사부재(50)에 의해 반사되어 식품으로 조사된다.
그릴반사부재(50)는 단면이 대략 'W'자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그릴반사부재(50)는 전열히터(40)로부터 발생된 열을 반사에 의해 그릴부(30)에 전달하기 위해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그릴반사부재(50)는 중앙부 영역이 돌출된 제1경사면(52)을 갖는다. 이에 의해 전열히터(40)의 열을 효과적으로 반사할 수 있다. 제1경사면(52)에 각각 대향하여 제2경사면(54)이 형성된다. 제1경사면(52)과 제2경사면(54)의 사이에는 식품으로부터 발생되는 기름이나 찌꺼기 등이 모여 통과하는 기름홀(56)이 관통 형성된다. 기름홀(56)을 통과한 기름 등은 기름받이(60)에 수용된다.
기름받이(60)는 제2경사면(54)의 절곡된 단부에 결합되며, 단면의 형상이 대략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 만들어진다. 기름받이(60)는 그릴반사부재(50)의 하부 영역에 결합되어 식품으로부터 발생된 기름이나 찌꺼기 등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이 수용공간은 또한 그릴하우징(20) 내부에 설치된 냉각팬(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된 차가운 공기가 그릴반사부재(50)의 하부로 이송되는 통로가 된다. 즉, 기름 등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은 그릴반사부재(50)를 냉각시키는 유로의 역할도 수행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하우징(20) 후방의 일영역에는 후술할 그릴커버(10)의 힌지축(12)을 수용하기 위한 축수용부(22)가 형성된다.
축수용부(22)는 그릴커버(10)의 폐쇄 위치에서 힌지축(12)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힌지축(12)을 수용한다. 축수용부(22)는 힌지축(12)의 가로 방향 너비에 대응되도록 반경 방향으로 절취된 개방부(22a)를 갖는다. 개방부(22a)를 통해 힌지축(12)이 수용되어 그릴커버(10)가 그릴하우징(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릴커버(10)는 그릴하우징(20)의 상부에 결합되어 그릴하우징(20)을 개폐한다. 그릴커버(10)는 식품의 조리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릴커버(10)의 후방 일영역에는 그릴커버(10)를 그릴하우징(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한 쌍의 힌지축(12)이 마련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12)은 그릴커버(10)의 폐쇄 상태에서 단면의 형상이 세로로 긴 장방형으로 만들어진다. 힌지축(12)은 그릴커버(10)가 폐쇄된 위치에서 개방부(22a)를 통해 축수용부(22)로 출입이 가능하다. 힌지축(12)은 그릴커버(10)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회전 이동하면, 단면의 형상이 가로로 긴 장방형이 된다. 즉, 힌지축(12)의 너비가 개방부(22a)보다 커지므로 힌지축(12)은 축수용부(22)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릴장치에 있어서, 그릴커버의 작동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릴커버(10)가 그릴하우징(20)을 폐쇄하는 위치에서 그릴커버(10)는 그릴하우징(20)에 결합된다. 즉, 그릴커버(10)의 힌지축(12)이 그릴하우징(20)의 축수용 부(22)에 삽입됨으로써, 그릴커버(10)가 그릴하우징(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커버(10)의 힌지축(12)은 그릴커버(10)의 폐쇄 상태에서 단면의 형상이 세로로 긴 장방형을 갖도록 만들어진다. 또한 그릴하우징(20)의 축수용부(22)는 그릴커버(10)의 폐쇄 상태에서 힌지축(12)의 가로폭에 대응하여 개방부(22a)가 형성된다. 따라서 그릴커버(10)가 그릴하우징(20)을 폐쇄하는 위치에서만 그릴커버(10)가 그릴하우징(20)에 착탈 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커버(10)가 그릴하우징(20)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릴커버(10)를 그릴하우징(20)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그릴하우징(20)이 개방된다. 이 때 힌지축(12)은 그릴커버(10)가 개방된 상태에서 단면의 형상이 가로 방향으로 긴 장방형을 이루게 된다. 즉, 힌지축(12)이 그릴커버(10)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면, 힌지축(12)의 폭이 개방부(22a)의 폭보다 커진다. 이에 의해 힌지축(12)이 개방부(22a)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는다.
회전 방향에 따라 그릴커버(10)가 그릴하우징(20)으로부터 착탈되므로, 조리중 잠시 그릴커버(10)를 개방해야 하는 경우나 그릴커버(10)를 완전히 분리해야 하는 경우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힌지축은 그릴커버에 마련되고 축수용부는 그릴하우징에 마련된다고 하였으나, 힌지축이 그릴하우징에 마련되고 축수용부가 그릴커버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힌지축과 축수용부가 각각 그릴커버와 그릴하우징의 후방 영역에 마련된다고 하였으나, 측방 영역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릴장치에 있어서, 회전 각도에 따라 착탈이 용이한 그릴커버가 제공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Claims (3)

  1. 그릴하우징과, 상기 그릴하우징을 개폐하는 그릴커버를 갖는 그릴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릴하우징과 상기 그릴커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그릴커버의 폐쇄 상태에서 단면 형상의 세로폭이 가로폭보다 큰 힌지축과;
    상기 그릴하우징과 상기 그릴커버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힌지축을 수용하며, 상기 그릴커버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절취된 개방부를 갖는 축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그릴커버의 폐쇄 상태에서 단면의 형상이 세로로 긴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그릴커버에 마련되고, 상기 축수용부는 상기 그릴하우징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장치.
KR1020040105525A 2004-12-14 2004-12-14 그릴장치 KR100588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525A KR100588160B1 (ko) 2004-12-14 2004-12-14 그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525A KR100588160B1 (ko) 2004-12-14 2004-12-14 그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8160B1 true KR100588160B1 (ko) 2006-06-09

Family

ID=37182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525A KR100588160B1 (ko) 2004-12-14 2004-12-14 그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81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916U (ko) 1986-08-13 1988-02-29
JPH01157630U (ko) * 1988-04-18 1989-10-31
JPH0255838U (ko) * 1988-10-12 1990-04-23
JPH07255598A (ja) * 1994-03-16 1995-10-09 Takao Narita フリーサイズ鍋蓋スタン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916U (ko) 1986-08-13 1988-02-29
JPH01157630U (ko) * 1988-04-18 1989-10-31
JPH0255838U (ko) * 1988-10-12 1990-04-23
JPH07255598A (ja) * 1994-03-16 1995-10-09 Takao Narita フリーサイズ鍋蓋スタン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0402B2 (en) Cooking apparatus
US8607776B2 (en) Barbecue
JP2007075471A (ja) 加熱調理器
JP5080830B2 (ja) 蒸気発生機能付高周波調理器
KR100588160B1 (ko) 그릴장치
JP2005261613A (ja) ドアおよびこれを用いた加熱調理器
JP2010069201A (ja) 加熱調理器
JP2004077107A (ja) 電子レンジ
JP2004349041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8241219A (ja) 加熱調理器
JP3931685B2 (ja) グリル
EP3973828B1 (en) Cooking appliance
JP4994064B2 (ja) 高周波調理用グリル皿
JP2004237079A (ja) グリル及びこれを備えた調理装置
KR100654833B1 (ko) 조리장치
JP3927838B2 (ja) グリル
JP2008307235A (ja) 加熱調理器
JP6270773B2 (ja) 加熱調理器
JP3883188B2 (ja) グリル
KR100671569B1 (ko) 빌트인 타입의 냉각팬 흡입유로구조
JP2008224081A (ja) 加熱調理器
KR100588161B1 (ko) 그릴장치
KR100826706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JP2007205623A (ja) 電気加熱調理器
KR19990031175A (ko) 가스오븐렌지의 트레이 안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