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7836B1 - 차량의 백테이블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백테이블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7836B1
KR100587836B1 KR1020040055018A KR20040055018A KR100587836B1 KR 100587836 B1 KR100587836 B1 KR 100587836B1 KR 1020040055018 A KR1020040055018 A KR 1020040055018A KR 20040055018 A KR20040055018 A KR 20040055018A KR 100587836 B1 KR100587836 B1 KR 100587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table
vehicle
locking device
sensor unit
guid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6146A (ko
Inventor
조영진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5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836B1/ko
Publication of KR20060006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86Electronic contro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백 후단에 장착된 백테이블이 전개된 상태에서 차량 충돌 사고가 발생 시에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백테이블을 폴딩하기 위한 차량의 백테이블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백(100) 후단에 폴드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백테이블(110)과; 상기 시트백(100) 후단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120)과; 일측 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타측 단부가 상기 백테이블(110)에 체결되는 가이드암(130)과; 상기 가이드암(130)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체(140)와; 상기 가이드암(130)을 고정하기 위한 록킹장치(150)와; 차량에 장착되어 충격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160)와; 상기 센서부(16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록킹장치(1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70)로 구성되어, 차량 충돌 시에 백테이블이 접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가 수평 상태로 전개된 백테이블과 충돌하여 탑승자의 상해가 가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시트백, 백테이블, 충돌 사고, 센서부, 록킹장치, 제어부.

Description

차량의 백테이블 제어장치{Device for controlling a back table for a vehicle}
도 1은 종래의 백테이블이 장착된 차량의 시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백테이블 제어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백테이블 제어장치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백테이블 제어장치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백테이블 120 : 가이드레일
130 : 가이드암 140 : 인장 스프링
150 : 록킹장치 160 : 센서부
170 : 제어부
본 발명은 차량의 백테이블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백테이블이 전개된 상태에서 차량 충돌 사고가 발생 시에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백테이블을 폴딩하기 위한 차량의 백테이블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승용차에 설치되는 차량의 백테이블은 프론트시트의 시트백 후면에 수납되게 설치되어 리어시트에 탑승한 승객이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백테이블이 장착된 차량의 시트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시트(10)의 시트백(11)에는 백테이블(20)이 폴드업(foldup)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백테이블(20)을 아래로 내려서 접거나 위로 올려서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의 백테이블은 테이블은 높이가 승객의 가슴 높이에 해당되어 자동차 충돌 사고 발생 시에 탑승자가 테이블과 충돌하여 상해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충돌 사고 시에는 백테이블과 탑승자가 충돌하여 탑승자의 상해가 가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 량의 백테이블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의 백테이블 제어장치는 시트백 후단에 폴드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백테이블과; 상기 시트백 후단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과; 일측 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타측 단부가 상기 백테이블에 체결되는 가이드암과; 상기 가이드암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체와; 상기 가이드암을 고정하기 위한 록킹장치와; 차량에 장착되어 충격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록킹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의 백테이블 제어장치는 시트백 후단에 폴드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백테이블과;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백테이블이 접히도록 구비되는 탄성체와; 상기 백테이블을 전개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록킹장치와; 차량에 장착되어 충격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록킹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써 달성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의 백테이블 제어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백테이블 제어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백테이블 제어장치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의 백테이블 제어장치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차량의 백테이블 제어장치는 시트백(100) 후단에 폴드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백테이블(110)과; 상기 시트백(100) 후단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120)과; 일측 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타측 단부가 상기 백테이블(110)에 체결되는 가이드암(130)과; 상기 가이드암(130)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체(140)와; 상기 가이드암(130)을 고정하기 위한 록킹장치(150)와; 차량에 장착되어 충격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160)와; 상기 센서부(16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록킹장치(1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센서부(160)는 차량의 충돌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 차량에 장착되어 에어백의 작동을 결정하기 위한 충돌 감지센서가 사용될 수가 있다.
제어부(170)는 센서부(160)의 신호를 감지하여 차량의 충돌 여부에 따라 백테이블(1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170)에 의해 출력된 신호는 트랜지스터(171)의 베이스 전류로 인가되어, 록킹장치(150)의 구동 전류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있어, 록킹장치(150)는 백테이블이 전개되어 수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백테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에는 스프링(153)이 탄성 지지된 가동편(151)을 선형 구동하기 위한 솔레노이드(152)에 의해 제공될 수가 있다.
솔레노이드(152)에 제어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에 가동편(151)은 스프링(153)을 압축하면서 안으로 잡아당겨지며, 솔레노이드(152)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에는 스프링(153)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편(151)은 바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록킹장치는 백테이블에 장착되어 제어부에 의해 백테이블의 폴딩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백테이블 제어장치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시트백(100)에는 백테이블(110)이 폴드업 가능하도록 힌지 체결한다.
한편, 시트백(100) 후단에는 가이드레일(120)이 구비되며, 이 가이드레일(120)은 백테이블(110)과 체결되는 가이드암(130)의 하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한다.
즉, 가이드암(130)의 하측 단부는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측 단부는 백테이블(110)과 체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이드암에는 록킹장치가 구비되어 백테이블이 전개된 경우에 백테이블이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사이드레일(120)과 체결되는 가이드암(130)에는 별도의 가이드블록(131)이 힌지(130a) 체결되며, 이 가이드블록(131)에는 걸림돌기(132)가 구비되어, 록킹장치(150)의 가동편(151)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가이드블록(131)의 하단에는 인장 스프링(140)이 구비되어, 록킹장치(150)가 해제된 경우에는 백테이블(110)이 폴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의 백테이블 제어장치는 백테이블(110)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센서부(160)를 통해 차량의 충돌이 감지되면, 제어부(170)는 록킹장치(150)에 신호를 보내 백테이블(11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한다.
백테이블(110)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면, 가이드암(130)이 원위치로 리턴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인장 스프링(140)의 복원력에 의해 백테이블(110)은 접히게 되므로, 탑승자의 상체가 백테이블과 직접 충돌하는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한다.
<제2실시예>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차량의 백테이블 제어장치는 시트백(200) 후단에 폴드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백테이블(210)과;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백테이블(210)이 접히도록 구비되는 탄성체(220)와; 상기 백테이블(210)을 전개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록킹장치(230)와; 차량에 장착되어 충격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240)와; 상기 센서부(26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록킹장치(2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백테이블(210)은 폴드업 가능하도록 시트백(200)의 후단에 힌지 체결되는 것 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백테이블(210)의 힌지부에 리턴스프링(220)이 구비된다.
즉, 시트백(200)에는 제1지지핀(201)이 구비되며, 백테이블(210)의 힌지부에는 제2지지핀(211)이 돌출 구비되어, 리턴스프링(220)은 제1지지핀(201)과 제2지지핀(211)에 걸려 백테이블(210)을 탄성 지지한다.
한편, 백테이블(210)의 힌지부에는 백테이블(210)을 전개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록킹장치(230)가 구비된다.
록킹장치(23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260)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제공될 수가 있다.
센서부(240)와 제어부(26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충돌 유무를 감지하여 록킹장치(230)의 작동 여부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의 백테이블 제어장치는 백테이블(210)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센서부(240)를 통해 차량의 충돌이 감지되면, 제어부(260)는 록킹장치(230)에 신호를 보내 백테이블(21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장치(230)의 가동편(231)이 당겨지면서 백테이블(210)의 록킹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백테이블(210)은 시트백(200) 측으로 접히게 되며, 탑승자의 상체가 백테이블과 직접 충돌하는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차량의 백테이블 제어장치는 차량의 충돌 발생 시에 시트백에 구비된 백테이블이 접히도록 구성하여, 차량 충돌 시에 백테이블과 탑승가 충돌하여 탑승자의 상해가 가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시트백 후단에 폴드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백테이블과;
    상기 시트백 후단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과;
    일측 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타측 단부가 상기 백테이블에 체결되는 가이드암과;
    상기 가이드암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체와;
    상기 가이드암을 고정하도록 전기적인 신호의 입력에 의해 선형 구동되는 가동편이 구비된 록킹장치와;
    차량에 장착되어 충격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록킹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백테이블 제어장치.
  2. 시트백 후단에 폴드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백테이블과;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백테이블이 접히도록 구비되는 탄성체와;
    상기 백테이블을 전개 위치에서 고정하도록 전기적인 신호의 입력에 의해 선형 구동되는 가동편이 구비된 록킹장치와;
    차량에 장착되어 충격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록킹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백테이블 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전 류신호에 따라 가동편을 직선 구동하는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백테이블 제어장치.
KR1020040055018A 2004-07-15 2004-07-15 차량의 백테이블 제어장치 KR100587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018A KR100587836B1 (ko) 2004-07-15 2004-07-15 차량의 백테이블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018A KR100587836B1 (ko) 2004-07-15 2004-07-15 차량의 백테이블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146A KR20060006146A (ko) 2006-01-19
KR100587836B1 true KR100587836B1 (ko) 2006-06-12

Family

ID=3711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018A KR100587836B1 (ko) 2004-07-15 2004-07-15 차량의 백테이블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78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83184A (zh) * 2022-09-29 2023-01-10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安全折叠桌及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146A (ko)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6638B2 (en) Airbag for a vehicle
US5476283A (en) Selectively deployable vehicle knee restraint
JP3614068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検知装置
US6854782B2 (en) Seat position sensing device for use in occupant restraint
EP0961720A1 (en) Control system for vehicle occupant restraint devices
US20050006884A1 (en) Occupant safety protection system
JP2006504563A (ja) 分離ユニットの形態の乗員室を備えた自動車
JP2010013096A (ja) 自動車のシート用の安全装置
KR101199715B1 (ko) 자동차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
KR100587836B1 (ko) 차량의 백테이블 제어장치
US7325831B2 (en) Active impact protection system
JP2014184855A (ja) ファーサイド乗員拘束装置
JP2001071855A (ja) 自動車の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CN112009417A (zh) 车辆及其乘员保护系统
CN111823985B (zh) 乘员保护装置及具有该装置的系统、汽车扶手箱和汽车
JPH11334436A (ja) 自動車用シート装置
JPH10119823A (ja) フード跳ね上げ装置
CN108657107B (zh) 乘员保护装置
KR200166686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당김장치
JP2006335140A (ja) 車両の後突用乗員保護装置
JP2006015855A (ja) 乗員保護装置
KR0174019B1 (ko) 충격유형에 따라 동작하는 에어백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56543B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구조
KR0161185B1 (ko) 급정차시 트렁크 화물의 차내 유입 차단장치
KR930002010Y1 (ko) 자동차용 인명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