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7573B1 -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 - Google Patents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7573B1
KR100587573B1 KR1020047005843A KR20047005843A KR100587573B1 KR 100587573 B1 KR100587573 B1 KR 100587573B1 KR 1020047005843 A KR1020047005843 A KR 1020047005843A KR 20047005843 A KR20047005843 A KR 20047005843A KR 100587573 B1 KR100587573 B1 KR 100587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folded
right directions
knee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1126A (ko
Inventor
다키모토마사히로
하야카와다츠야
Original Assignee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1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60R21/20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in the lower part of dashboards, e.g. for protecting the 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1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6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kne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1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specially adapted for elongated cylindrical or bottle-like inflators with a symmetry axis perpendicular to the main direction of bag deployment, e.g. extruded reaction canisters

Abstract

본 발명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S1)는, 접혀져 수납된 에어백(40)이 팽창용 가스의 유입시, 수납부위의 돌출용 개구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위쪽으로 전개 팽창하여 차체측과 탑승원 사이에 있어서의 탑승원의 무릎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에어백(40)은 탑승원측 벽부(41)와 차체측 벽부(42)를 구비하고, 벽부 (41, 42)를 겹쳐서 평평하게 전개한 상태의 하단(48)측을 팽창용 가스의 상류측 부위로 한다. 에어백(40)은 접기 당초, 탑승원측 벽부(41)와 차체측 벽부(42)를 겹쳐서 평평하게 전개한 상태로부터, 상단(47)측을 하단(48)측에 접근시키도록 접고, 그 다음에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좁히도록 접어 수납된다.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S1)의 에어백(40)은 전개 팽창의 개시로부터 완료까지 효율적으로 전개 팽창하여 탑승원의 무릎을 적확하게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AIR BAG DEVICE FOR KNEE PROTECTION}
본 발명은, 팽창용 가스를 유입시켜 전개 팽창되는 에어백이, 운전자나 조수석 탑승자 등의 탑승원의 무릎을 보호하는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운전자 등의 탑승원의 무릎을 보호하는 장치로서는, 일본국 특개평8-80797호 공보, 특개평10-315894호 공보 등에 기재된 것이 있었다. 전자의 에어백장치는, 대시보드의 하측 커버의 아래쪽 부위에 배치되어 작동시에 운전자의 정강이에서 무릎까지를 보호하도록 전개 팽창되는 에어백을 구비한다. 후자의 에어백장치는, 스티어링 휠 아래쪽의 컬럼 커버 부근에 배치되어 작동시에 운전자의 무릎 하부에서 발끝 부근까지를 보호하도록 전개 팽창되는 에어백을 구비한다.
그러나 이들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에서는, 에어백의 전개 팽창의 개시로부터 완료까지의 시간경과에 따라 에어백을 효율적으로 팽창시켜 운전자 등의 탑승원의 무릎을 보호하는 점에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에어백의 전개 팽창의 개시로부터 완료까지의 시간경과에 따라, 효율적으로 에어백을 전개 팽창시켜, 탑승원의 무릎을 적확(的確)하게 보호 가능한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 1번째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는, 착석한 탑승원의 무릎의 앞쪽에 있어서의 차체측에 에어백이 접혀져 수납된다. 에어백은 팽창용 가스의 유입시, 수납부위의 돌출용 개구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위쪽으로 전개 팽창되어 차체측과 탑승원 사이에 있어서의 탑승원 무릎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탑승원의 무릎을 보호한다. 에어백은, 팽창 완료시의 탑승원측에 배치되는 탑승원측벽부와, 팽창 완료시의 차체측에 배치되는 차체측 벽부를 구비한다. 또 에어백은, 탑승원측 벽부와 차체측 벽부를 겹쳐서 평평하게 전개한 상태의 하단측을, 팽창용 가스의 상류측 부위로서 구성한다. 또한 에어백은 접기 당초 탑승원측 벽부와 차체측 벽부를 겹쳐서 평평하게 전개한 상태로부터 상단측을 하단측에 접근시키도록 접고, 그 다음에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좁히도록 접어 수납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1번째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에서는, 에어백 내에 팽창용 가스가 유입되면, 에어백은 접기공정과 거의 반대로 전개 팽창된다. 즉, 에어백은 수납부위의 돌출용 개구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돌출하여 먼저 좌우방향으로 좁혀진 접기를 해소하고,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넓혀 돌출용 개구와 그 둘레 가장자리를 덮도록 전개된다.
이어서, 에어백은 접기 당초에 상단측을 하단측에 접근시키도록 접혀진 접기를 해소한다. 그때 상단측을 하단측에 접근시키도록 접혀진 접기를 해소하기 전에 이미 에어백은 돌출용 개구와 그 둘레 가장자리를 덮도록 좌우방향으로 폭 넓게 전개되고 있다. 그 때문에 에어백은 그 상태에서 위쪽으로 전개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 1 번째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에서는 에어백이 전개 팽 창의 초기단계에서, 먼저 수납부위의 돌출용 개구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돌출하여 무릎의 전방측을 덮기 가능하게 돌출용 개구와 그 둘레 가장자리, 특히 좌우방향의 둘레 가장자리를 덮도록, 좌우방향으로 폭 넓게 퍼져 전개 팽창된다. 그리고 이 시점은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의 작동 직후이고, 차량이 전면충돌을 하고 있기 때문에 탑승원의 무릎이 차량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진한다. 그 때문에 돌출용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퍼져 에어백이 전개 팽창되어 있으면, 가령 브레이크조작이나 관성력 등에 의해서 무릎이 좌우로 어긋나 있어도, 에어백은 그 탑승원의 양 무릎을 적확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에어백의 전개 팽창의 초기단계를 거친 후에는, 무릎이 에어백에 접촉하고 있어도, 또는 무릎이 에어백에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탑승원의 발끝이 플로어 패널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 등에서 차량에 대한 상대적인 탑승원의 전진이 있으면, 무릎이 굴곡되어 상승하는 사태를 초래한다. 그때 에어백은 이미 전개 팽창의 초기단계를 거쳐 돌출용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폭 치수를 넓게 한 상태에서 위쪽으로 전개 팽창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승 이동하는 무릎은, 위쪽으로 전개 팽창을 완료시킨 에어백의 부위로 적확하게 보호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제 1번째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에서는 에어백의 전개 팽창의 개시로부터 완료까지의 시간경과에 따라, 효율적으로 에어백을 전개 팽창시켜, 탑승원의 무릎을 적확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제 1번째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에서는, 전개 팽창의 개시로부터 완료까지의 시간경과에 따라 에어백의 팽창형태를 적확하게 설정할 수 있기 때 문에 팽창 당초부터 에어백의 보호 영역을 크게 하도록 전개 팽창시키지 않아도 좋다. 그 때문에 에어백에 팽창용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로서 출력이 큰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용적이 큰 에어백을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에서는 탑승원의 양 무릎을 적확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접기 당초의 에어백의 상단측을 하단측에 접근시킬 때는, 상단측을 차체측 벽부측으로 감는 말아 접기에 의하여 접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서는, 전개 팽창시에 있어서의 말아 접기의 접음부위의 접기의 해소시, 그 접음부위는, 감김을 풀도록 접기를 해소한다. 그리고 그 접음부위는 탑승원과 간섭하여도, 반대로 감김의 풀림을 촉진시키도록 탑승원과 접촉하면서 감김을 풀어 위쪽으로 전개된다. 그 결과, 이러한 구성에서는 탑승원에게 불필요한 가압력을 주는 일 없이, 원활하게 에어백의 전개 팽창을 완료시킬 수 있다.
또, 에어백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좁힐 때는, 에어백의 상단측을 하단측에 접근시키도록 접은 접음부위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양 끝부측을, 탑승원측 벽부의 측에서, 접음부위의 좌우방향의 중앙부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키도록 접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에는, 에어백의 상단측을 하단측에 접근시키도록 접은 접음부위(상하방향 접음부위라 한다)의 좌우 양 끝부가, 탑승원측 벽부의 측에서 상하방향 접음부위의 좌우방향의 중앙부보다 아래쪽에 수납된다. 그 때문에 에어백의 전개 팽창 당초, 상하방향 접음부위의 좌우 양 끝부가 위쪽으로 회전하여 상하방향 접음부위의 중앙부와 좌우방향에서 대략 일치하도록 접기를 해소하고, 그 리고 접기 전의 상태로 복원된다. 그리고 이 복원시까지 상하방향 접음부위의 중앙부측은 탑승원측 벽부측에 위치하는 좌우 양 끝부에 의하여 접기의 해소가 규제되는 상태가 되어 상하방향 접음부위의 중앙부측은 부분적으로 위쪽으로 팽창하는 것이 극력(極力) 억제된다. 즉, 상하방향 접음부위의 접기의 해소는, 좌우 양 끝부가 중앙부측과 좌우방향을 따라 대략 일치한 후에, 에어백의 좌우방향의 대략 전역에서 대략 균등하게 행하여지게 된다. 그 결과, 이러한 구성에서는 차체측과 탑승원과의 간극이 좁아도 에어백은 더 한층 지장없이 위쪽으로 전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점을 고려하지 않으면 접음부위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양 끝부측을 접음부위의 좌우방향의 중앙부보다 위쪽에 위치시켜도 좋다. 또는 접음부위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양 끝부측을 탑승원측 벽부쪽이나 차체측 벽부측에서 접음부위의 좌우방향의 중앙부보다 뒤쪽 또는 앞쪽에 위치시켜도 좋다.
또, 에어백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좁힐 때, 상기 에어백의 상단측을 하단측에 접근시키도록 접은 접음부위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양 끝부쪽을 서로 접근시키 도록 접음부위의 좌우방향의 중앙부측으로 말아 접기로 접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탑승원측 벽부와 차체측 벽부를 겹쳐서 평평하게 전개하였을 때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가 큰 에어백의 경우에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콤팩트하게 접을 수 있어 적합하게 된다.
또한 에어백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좁히도록 접을 때에는 접음 후의 에어백의 좌우방향의 양 끝부가 각각 탑승원의 좌우 양 무릎에 있어서의 각각의 좌우방향을 따른 무릎중심보다 바깥쪽에 배치되도록 접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에는 에어백이 수납상태의 당초부터 탑승원의 양 무릎의 전방측을 보호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에어백은 전개 팽창 초기에 수납부위의 돌출용 개구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돌출하면, 탑승원의 양 무릎에 있어서의 각 무릎 중심을 적확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구성에서는 상하방향 접음부위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끝부측의 접음부위가 적기 때문에 에어백의 실질적인 수납 공간의 안 길이 치수를 얇게 좁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또한 에어백에는 차체측 벽부와 탑승원측 벽부를 연결하여 팽창시의 에어백의 두께를 규제하는 테저(tether)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 테저는 에어백 내에있어서의 상류측 부위로부터 흐르는 팽창용 가스를 에어백의 좌우방향의 양측으로 흘리기 가능하게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에어백 내의 상류측 부위로부터 하류측 부위로 흐를 때, 팽창용 가스의 방향이 에어백의 좌우방향의 양측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이 된다. 그 때문에 에어백은 전개 팽창의 초기단계에 좌우방향으로의 전개를, 한층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2번째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는, 제 1번째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에 있어서의 에어백이, 탑승원측 벽부와 차체측 벽부를 겹쳐서 평평하게 전개한 상태로부터, 상단측을 하단측에 접근시키도록 접는 것만으로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 2번째에 관한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에서는, 에어백 내 에 팽창용 가스가 유입되면 수납부위의 돌출용 개구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돌출하여 즉시 위쪽으로 전개되게 된다.
즉, 이 제 2번째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에서는 수납부위의 돌출용 개구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돌출한 당초부터 탑승원의 양 무릎을 보호 가능한 폭 치수로 탑승원의 양 무릎의 전방측에 에어백을 배치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양 무릎이 좌우로 이동하여 있어도 전개 팽창 초기의 에어백이 그들 무릎을 넓은 범위에서 적확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그후 무릎이 굴곡되어 상승하는 사태를 초래하여도 에어백은 이미 전개 팽창의 초기단계를 거쳐 돌출용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위쪽으로 전개 팽창되어 있다. 그 결과, 상승 이동하는 무릎은 위쪽으로 전개 팽창을 완료시킨 에어백의 부위에서 적확하게 보호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제 2번째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에서도 에어백의 전개 팽창의 개시로부터 완료까지의 시간경과에 따라 효율적으로 에어백을 전개 팽창시켜 탑승원의 무릎을 적확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 이 제 2번째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에서는 제 1번째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에 있어서의 에어백과 같이,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좁히도록 접혀져 있지 않기 때문에 에어백의 전개 팽창을 민첩하게 완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제 2번째의 에어백장치에서도 에어백은 접음 후의 에어백의 좌우방향의 양 끝부를 각각 탑승원의 좌우 양 무릎에 있어서의 각각의 좌우방향을 따른 무릎중심보다 바깥쪽에 위치시키도록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에어백이 수납상태의 당초부터 탑승원의 양 무릎의 전 방측을 보호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에어백은 전개 팽창 초기에 수납부위의 돌출용 개구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돌출하면 탑승원의 양 무릎에 있어서의 각 무릎중심을 적확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서는 상하방향 접음부위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끝부측이 접혀져 있지 않다. 그 때문에 한층 에어백의 실질적인 수납공간의 안 길이 치수를 얇게 좁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상하, 좌우 및 전후는,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를 차량에 탑재시켰을 때의 차량의 상하·좌우·전후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전후방향의 개략 종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인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의 차량 전후방향의 개략 확대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 부위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후방측에서 본 개략 정면도,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에어백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VI-VI 부위의 개략 단면도,
도 7은 제 1 실시형태의 에어백의 접기공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8은 제 1 실시형태의 에어백이 전개 팽창을 완료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것 으로, 차량 전후방향을 따른 상태의 개략 종단면도,
도 9는 제 1 실시형태의 에어백의 전개 팽창을 설명하는 차량 후방측에서 본 개략 정면도,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에어백의 접기공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를 나타내는 차량 전후방향의 개략 확대 종단면도,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에어백의 접기공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13은 제 3 실시형태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를 나타내는 차량 전후방향의 개략 확대 종단면도,
도 14는 다른 실시형태의 에어백 접기공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15는 제 4 실시형태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에 있어서의 차량 전후방향의 개략 확대 종단면도,
도 16은 제 4 실시형태의 에어백 접기공정도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17은 제 4 실시형태의 에어백의 전개 팽창을 설명하는 차량 후방측에서 본 개략 정면도,
도 18은 다른 실시형태의 에어백의 접기공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19는 제 5 실시형태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에 있어서의 차량 전후방향의 개략 확대 종단면도,
도 20은 제 5 실시형태의 에어백의 접기공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21은 제 6 실시형태인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차 량 전후방향의 개략 종단면도,
도 22는 제 6 실시형태인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의 차량 전후방향의 개략 확대 종단면도,
도 23은 제 6 실시형태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후방측에서 본 개략 정면도,
도 24는 제 6 실시형태의 에어백의 접기공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25는 제 6 실시형태의 에어백의 전개 팽창을 나타내는 개략 횡단면도,
도 26은 제 7 실시형태인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전후방향의 개략 종단면도,
도 27은 제 7 실시형태인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의 차량 전후방향의 개략 확대 종단면도,
도 28은 제 7 실시형태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후방측에서 본 개략 정면도,
도 29는 제 7 실시형태의 에어백의 접기공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30은 제 7 실시형태의 에어백의 전개 팽창을 나타내는 개략 횡단면도,
도 31은 제 8 실시형태인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를 조수석의 차량 전방측에 배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후방측에서 본 개략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S1)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승원(M)으로서의 운전자(MD)의 무릎(K)을 보호할 수 있도록 운전자(MD)의 차량 전방측인 스티어링 컬럼(3)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컬럼(3)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컬럼 커버(7)에 덮여져 있다. 스티어링 컬럼(3)은 스티어링 휠(1)에 연결되는 메인 샤프트(4)와, 메인 샤프트 (4)의 주위를 덮는 컬럼 튜브(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메인 샤프트(4)와 컬럼 튜브(5) 사이에는 스티어링 휠(1)의 링면의 각도를 조정 가능한 도시 생략한 틸트기구나, 스티어링 휠(1)을 샤프트(4)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정지 가능한 도시 생략한 텔레스코픽기구 등이 설치되어 있다.
컬럼 커버(7)는 대략 4각 통형상 등의 합성수지제로서 스티어링 휠(1)의 아래쪽 스티어링 컬럼(3)을 덮도록 스티어링 컬럼(3)의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즉 컬럼 커버(7)는 차량 전방측을 아래쪽에 배치시키고, 차량 후방측을 위쪽에 배치시키도록 뒤쪽이 들리게 경사져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컬럼 커버(7)에 있어서의 인스트루먼트패널(9)로부터 돌출하는 부위의 하면(7a)은, 대략 장방형 형상으로 하고, 차량 전후방향에서 뒤쪽 들림의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S1)는, 접혀진 에어백(40), 에어백(40)에 팽창용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34), 접혀진 에어백(40)을 덮는 에어백 커버(26) 및 수납 케이스(13)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차체(바디)측의 컬럼 커버(7)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실시형태의 에어백장치(S1)에서는 에어백(40), 인플레이터(34) 및 에어백 커버(26)가 수납 케이스(13)에 조립되어 에어백 조립체(SA)를 형성하고, 각 부재를 조립하여 일체화한 에어백 조립체(SA)를 차량에 설치하여 에어백장치(S1)를 차량에 탑재하고 있다.
수납 케이스(13)는 판금제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형상의 판형상부(14)와, 접은 에어백(40)과 인플레이터(34)를 수납하는 수납부(1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수납부(17)는 차량 후방측을 향한 개구(17a)를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박스형상으로 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경우 수납부(17)는 대략 장방형 형상의 바닥 벽부 (22)와 대략 4각 통형상의 둘레 벽부(18)를 구비한 대략 직육면체의 박스형상으로서, 개구(17a)를 둘러 싸는 둘레 벽부(18)에는 차량의 좌우방향에서 대향하는 벽부(18a, 18b)에 각각 인플레이터(34)를 설치하기 위한 대소의 원형으로 개구한 설치구멍(20, 21)이 배치되어 있다. 설치구멍(20)은, 인플레이터(34)의 후술하는 원주형상의 본체부(34a)를 끼워 넣어 안 둘레면에서 본체부(34a)의 바깥 둘레면을 지지 가능하게 형성되고, 설치구멍(21)은, 인플레이터(34)의 본체부(34a)를 삽입 불가능하게 하여 인플레이터(34)의 후술하는 수 나사부(34c)를 돌출 가능한 내경치수로 하고 있다. 수납부(17)에의 인플레이터(34)의 설치는, 수납부(17)의 바깥쪽으로부터 설치구멍(20)에 인플레이터(34)의 수 나사부(34c)측을 삽입시켜 수 나사부(34c)를 설치구멍 (21)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수 나사부(34c)에 너트(35)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행하고 있다.
그리고 둘레 벽부(18)의 바깥 둘레면에는, 선단을 개구(17a)로부터 떨어지도록 바닥 벽부(22)측으로 반전시킨 복수의 단면 약 J자형상의 후크(19)가 고정되어 있다. 후크(19)는 에어백 커버(26)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힌지부(30)측이 되는 부 위[수납부 둘레 벽부(18)의 하면측 부위]에 4개 배치되고, 에어백 커버(26)의 후술하는 도어부(31)의 선단(31a)측 부위[수납부 둘레 벽부(18)의 상면측 부위]에 3개 배치되고, 차량의 좌우방향 양쪽 부위에 각각, 1개씩 배치되어 있다.
판형상부(14)는, 수납부(17)의 개구(17a)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착석한 운전자(MD)의 좌우 양 무릎(K)(KL, KR)의 전방측을 넓게 덮도록 대략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둘레 가장자리의 4 모서리에 각각 차량의 몸체측에 연결시키기 위한 설치편부(15)를 배치시키고 있다. 또한 판형상부(14)에 있어서의 개구(17a)의 윗 가장자리측 부근은, 컬럼 커버(7)의 하면(7a)측을 차량 후방측으로 돌출시키도록 아래쪽측으로 오목해져 있고, 또한 그 하면(7a)의 만곡상태에 대응시켜 차량 후방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17a)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판형상부 (14)의 바깥 둘레 가장자리까지의 사이에는 판형상부(14)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리브(14a)가 형성되고, 이들 리브(14a)는 그 차량 후방측의 면에서 에어백 커버(26)의 후술하는 일반부(27)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판형상부(14)의 수납부 개구(17a)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표리를 관통하 도록 대략 장방형 형상으로 개구하는 복수의 관통구멍(14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관통구멍(14b)은, 에어백 커버(26)에 있어서의 각 후크(19)에 걸어 멈추게 하는 설치편(28)을 삽입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판형상부(14)에 있어서의 수납부(17)로부터 떨어진 좌우 양측에는 표리를 관통하도록 복수의 설치구멍(14c)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설치구멍(14c)은 열코킹을 이용하여 에어백 커버(26)를 수납 케이스(13)에 설치하는 부위가 된다. 즉 에어백 커버(26)의 후술하는 설치다리부(27a)를 각 설치구멍(14c)에 삽입시켜 각 설치다리부 (27a)의 선단을 용융시키면서 지름을 넓히게 한다. 그리고 각 다리부(27a)의 고화시킨 선단을 설치구멍(14c)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하고, 또한 후크(19)와 병용하여 에어백 커버(26)는 수납 케이스(13)에 설치되게 된다.
또한 수납 케이스(13)의 각 설치편부(15)에는 차량의 몸체측에 볼트(24)(도 4 참조) 고정하기 위한 연결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설치편부(15)는 몸체측의 인스트루먼트패널리 인포스먼트 · 센터 브레이스 · 프론트바디 필러 등에 고정되어 있는 소정의 브래킷에 볼트(24)고정되어 있다. 이들 브래킷은 소성 변형하여 충격력을 흡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판형상부(14)와 수납부(17)를 구비한 수납 케이스(13)를 프레스가공하여 일체적으로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수납 케이스(13)는 적절하게 판금을 용접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에어백 커버(26)는 폴리올레핀계 등의 열가소성 일래스토머로 형성되고,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13)의 외형형상보다 큰 외형형상으로서 수납 케이스(13)의 차량 후방측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에어백 커버(26)는 인스트루먼트패널(9)에 있어서의 컬럼 커버(7)의 둘레 가장자리의 하측 패널(9b)측에 배치되어, 인스트루먼트패널(9)로부터 돌출하는 컬럼 커버(7)의 아래쪽 둘레 가장자리를 덮는다. 그 때문에 에어백 커버(26)는 차량 후방측에서 보아 윗 가장자리 중앙 부근을, 컬럼 커버(7)를 후방으로 돌출시키도록 아래쪽으로 오목해져 있다. 또 커버(26)는 그 오목부의 아래쪽의 윗 가장자 리를 컬럼 커버 하면(7a)측의 곡면에 대응시켜 차량 후방측으로 만곡시키도록 융기시키고 있다. 인스트루먼트패널(9)은 상측 패널(l9a)과 하측 패널(19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에어백 커버(26)는, 수납부(17)의 개구(17a)를 덮는 도어부(31)와, 판형상부(14)의 차량 후방측을 덮는 일반부(2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어부(31)는, 개구(17a)보다 약간 큰 대략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어부(31)의 바깥 둘레 가장자리의 역 U자형상의 부위에는 도어부(31)가 아래쪽 트임으로 열리도록 일반부(27)와 연결된 두께가 얇은 파단 예정부(29)가 형성되어 있다. 파단 예정부(29)는, 도어부(31)가 팽창하는 에어백(40)에 눌러질 때에 용이하게 파단되도록 차량 전방측의 면에 연속적 또는 단속적인 오목홈을 설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도어부(31)의 밑 가장자리측에는 파단 예정부(29)가 파단되어 도어부(31)가 열릴 때, 도어부(31)의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힌지부 (30)는 인테그럴 힌지로 되어 있고, 파단되지 않는 범위 내의 두께로 일반부(27)나 도어부(31)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파단 예정부(29)를 파단시키고, 또한 힌지부(30)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도어부(31)가 열렸을 때의 개구가, 돌출용 개구(32)가 된다. 이 돌출용 개구(32)는 접혀진 에어백(40)이 전개 팽창할 때에 에어백(40)의 수납부위인 수납부(17)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돌출하기 위한 개구가 된다.
또, 일반부(27)에 있어서의 수납부 개구(17a)의 둘레 가장자리 전체 주위의 근방에는 복수의 설치편(28)이 차량 전방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각 설치편(28)은 대략 장방형 형상의 판형상으로서 수납 케이스(13)의 판형상부(14)에 있어서의 각 관통구멍(14b)을 관통한다. 각 설치편(28)에는 둘레 가장자리를 후크(19)에 걸어 멈추게 하기 위한 걸어멈춤 구멍(28a)이 형성되어 있다. 각 걸어멈춤 구멍(28a)은, 장방형 형상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 일반부(27)의 소정위치에는, 수납 케이스(13)의 판형상부(14)에 있어서의 각 설치구멍(14c)의 둘레 가장자리에 열코킹하여 걸어멈추게 하는 복수의 설치다리부 (27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설치다리부(27a)는 열코킹전의 상태에서는 설치구멍 (14c)을 관통 가능한 둥근 막대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설치다리부(27a)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코킹후에는 선단측이 압착되게 된다.
인플레이터(34)는, 도 1 내지 도 3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신호를 입력시켜 팽창용 가스(G)를 토출 가능하게 구성된 실린더타입으로 하고 있다. 인플레이터(34)는 가스 토출구(34b)를 가진 원주형상의 본체부(34a)를 구비한다. 본체부(34a)의 한쪽 끝에는 수 나사부(34c)가 돌출되어 있다. 이 인플레이터(34)의 수납 케이스(13)에의 수납은 인플레이터(34)를 설치구멍(20)으로부터 수납부(17) 내에 삽입시키고, 수 나사부(34c)를 설치구멍(21)으로부터 돌출시킨다. 그리고 케이스(13)로부터 돌출한 수 나사부(34c)에 너트(35)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본체부(34a)에 있어서의 수 나사부(34c)측의 끝면을 수납부(17)의 설치구멍(21) 둘레 가장자리측에 압접시키고, 또 본체부(34a)에 있어서의 수 나사부(34c)로부터 떨어진 바깥 둘레면을 설치구멍(20)의 안 둘레면에 지지시킨다. 이때 인플레이터(34)는 수납부(17) 내에 수납되어 수납 케이스(13)에 유지된다. 또한 수납부(17) 내에의 수납시에는 인플레이터(34)는 에어백 (40)의 후술하는 설치구멍(42a, 42b)을 관통한다.
또, 이 인플레이터(34)는 도시 생략한 제어장치로부터의 전기신호를 입력시켜 작동한다. 제어장치는 스티어링 휠(1)에 탑재된 도시 생략한 에어백장치도 작동시킨다. 그리고 제어장치는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장치와 동시에 인플레이터(34)에 작동용 전기신호를 입력시킨다. 본체부(34a)의 수납부(17)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측의 끝면에는 커넥터(36)가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36)에는 에어백 작동회로에 접속되는 리드선(37)이 결선되어 있다.
에어백(40)은 가요성을 가진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아미드 등의 직포로 형성되어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 팽창 완료시의 형상을 대략 장방형 판형상으로 하고 있다. 에어백(40)은 하단측의 설치부(40B)와 설치부(40B)의 위쪽측에 배치되는 본체부(40a)를 구비한다. 설치부(40B)는 설치구멍(42a, 42b)을 구비한다. 에어백(40)은 설치부(40B)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작게 하고, 본체부(40a)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크게 하고 있다. 또 에어백(40)은 각각 대략 장방형 형상의 운전자 (MD)측의 탑승원측 벽부(41)와 컬럼 커버(7)측의 차체측 벽부(42)와의 2매의 직포로구성되고, 벽부(41, 42)의 둘레 가장자리 상호를 봉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차체측 벽부(42)의 하부측에는 2개의 설치구멍(42a, 42b)이 형성되어 있다. 설치구멍(42a)은 인플레이터(34)의 본체부(34a)를 삽입 가능하게 본체부(34a)의 외경치수와 대략 동일한 내경 치수로서 구성되어 있다. 설치구멍(42b)은 본체부(34a)의 외경 치수보다 내경 치수를 작게 하여 수 나사부(34c)를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에어백(40)은 설치구멍(42a)에 인플레이터 본체부(34a)가 삽입되고, 설치구멍 (42b)에 수 나사부(34c)가 삽입되고, 그리고 설치구멍(42a, 42b)의 안 둘레면이 인플레이터(34)의 본체부(34a)나 수 나사부(34c)에 지지된다. 즉, 에어백(40)은 수납부 (17)에 수납된 인플레이터(34)를 이용하여 수납 케이스(13)에 설치되어 있다.
이 에어백(40) 내에는 상하 2단으로 좌우방향을 따르는 띠형상의 테저(43, 44)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테저(43, 44)는 팽창시의 에어백(40)의 두께를 전역에 걸쳐 대략 균등하게 하여 운전자(MD)의 무릎(K)과 컬럼 커버 하면(7a) 사이에 에어백 (40)을 원활하게 침입시키기 위한 두께 규제수단이다. 이들 테저(43, 44)는 탑승원측벽부(41)와 차체측 벽부(42)를 연결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들 테저(43, 44)는 좌우의 양쪽 끝(43a, 43b, 44a, 44b)이 에어백(40)의 좌우의 둘레 가장자리(49, 50)로부터 떨어져 있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의 에어백(40)에서는 전개 팽창시, 본체부(40a)가 도어부(31)가 열린 후에 형성되는 돌출용 개구(32)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돌출하여 개구(32) 좌우방향의 둘레 가장자리를 포함한 에어백 커버(26)에 있어서의 일반부(27)의 차량 후방측의 면으로부터 적어도 컬럼 커버 하면(7a)측의 상단(7b) 부근까지를 덮고, 또한 운전자(MD)의 무릎(K)(KL, KR) 전방측을 덮기 가능하게 하 고 있다.
이 에어백(40)의 접기공정은, 도 7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탑승원측 벽부(41)와 차체측 벽부(42)를 겹쳐서 평평하게 전개한 상태로부터 에어백(40)의 상단(47)측을 하단(48)측에 접근하도록 접는다.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상단(47)측을 차체측 벽부(42)의 측에서 감도록 말아 접는다. 이때 에어백(40)의 상하방향의 치수를 좁힌 상하방향 접음부위(51)가 형성된다.
이어서 도 7의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백(40)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수납하는 수납부(17)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에 대응하도록 좁히기 위하여 말아 접은 접음부위(51)의 좌우 양 끝부(52, 53)측을 되접는다.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좌우 양 끝부(52, 53)를 상방측[상세하게는 차체측 벽부(42)측의 위쪽이며, 비스듬하게 윗 전방측(도 2 참조)]으로 접혀져 있다.
그리고 에어백(40)의 접음 후에는 접음 풀림방지용 파단 가능한 랩핑 필름(도시 생략)에 의하여 에어백(40)을 둘러 싼다. 이어서 설치구멍(20, 42a) 상호와 설치구멍(21, 42b) 상호를 각각 일치시키도록 에어백(40)을 수납부(17) 내에 수납시킨다. 또한 설치구멍(42a, 42b) 부위의 랩핑 필름은 파단시켜 둔다.
그후 수 나사부(34c)를 설치구멍(20, 42a)측으로부터 수납부(17) 내에 수납시킨 에어백(40) 내에 삽입시키고, 다시 설치구멍(42b, 21)으로부터 돌출시킨다. 그리고 돌출한 수 나사부(34c)에 너트(35)를 조여 본체부(34a)에 있어서의 수 나사부 (34c)측의 끝면을 에어백(40)의 설치구멍(42a) 둘레 가장자리를 개재시켜 수납부(17) [벽부(18b)]의 안 둘레면에 압접시킨다. 그러면 인플레이터(34)와 에어백(40)을 수납부(17)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수납 케이스(13)에 에어백 커버(26)를 설치한다. 이 설치는 먼저 수납 케이스(13)의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각 관통구멍(14b)에 대하여 대응하는 설치편 (28)을 삽입시킴과 동시에, 각 설치구멍(14c)에 대하여 대응하는 둥근 막대형상의 설치 다리부(27a)를 삽입시킨다. 이때 각 설치편(28)은 후크(19)에 간섭하여 수납부 (17)로부터 떨어지도록 탄성 변형한 후, 복원하고, 그리고 걸어멈춤구멍(28a) 내에 후크(19)가 삽입된다. 그 결과, 걸어멈춤구멍(28a)의 둘레 가장자리가 후크(19)에 걸어 멈춰지게 된다.
이어서, 각 설치구멍(14c)으로부터 돌출한 설치다리부(27a)의 선단을 열코킹하여 각 설치다리부(27a)를 판형상부(14)의 차량 전방측의 면에 있어서의 설치구멍 (14c)의 둘레 가장자리에 걸어멈추게 한다. 그렇게 하면 에어백 커버(26)를 수납 케이스(13)에 설치할 수 있어 에어백 조립체(SA)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백 조립체(SA)에 있어서의 판형상부(14)의 각 설치편부(15)를 바디측의 소정의 브래킷에 볼트(24)로 고정하여 바디측에 연결시키면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S1)를 차량에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에어백장치(S1)의 차량 탑재후에는 리드선(37)을 에어백 작동회로에 결선함과 동시에, 인스트루먼트패널(9)의 상측 패널(9a)이나 하측 패널(9b), 또한 언더커버(11)(도 1, 도 2 참조)를 차량에 탑재하게 된다.
차량에의 에어백장치(S1)의 탑재후, 인플레이터(34)에 소정의 전기신호가 입력되면, 가스 토출구(34b)로부터 팽창용 가스(G)가 토출된다. 그리고 에어백(40) 은 팽창하여 도시 생략한 랩핑 필름을 파단함과 동시에 에어백 커버(26)의 도어부(31)를 눌러 파단 예정부(29)를 파단시키고, 힌지부(30)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도어부(31)를 아래쪽 트임으로 열리게 한다. 그 결과, 에어백(40)은 수납부(17)의 개구(17a)로부터 도어부(31)가 열려 형성된 에어백 커버(26)의 돌출용 개구(32)를 거쳐 차량 후방측으로 돌출하고, 다시 컬럼 커버 하면(7a)을 따르도록 위쪽을 향하여 크게 전개 팽창된다(도 8, 도 9의 a, b 참조).
그리고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S1)에서는 에어백(40) 내에 팽창용 가스(G)가 유입되면 에어백(40)은 접기공정과 대략 반대로 전개 팽창된다. 즉, 에어백(40)은 돌출용 개구(32)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돌출하고, 먼저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백(40)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좁힌 좌우 양 끝부(52, 53)측의 접기를 해소하고,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넓혀 돌출용 개구(32)와 그 둘레 가장자리를 덮도록 전개된다.
이어서, 도 8이나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기 당초에 상단(47)측을 하단(48)측에 접근시키도록 접은 접음을 해소한다. 그때 상단(47)측을 하단(48)측에 접근시키도록 접은 접음을 해소하기 전에 에어백(40)은 이미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용 개구(32)와 그 둘레 가장자리를 덮도록 좌우방향으로 폭 넓게 전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에어백(40)은 그 상태에서 위쪽으로 전개된다.
즉, 제 1 실시형태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S1)에서는 에어백(40)이 전개 팽창의 초기단계에서, 먼저 도 8이나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위(17)의 돌출용 개구(32)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돌출하여 무릎(K)(KL, KR)의 전방측을 덮 기 가능하게 돌출용 개구(32)와 그 둘레 가장자리, 특히 좌우방향의 둘레 가장자리를 덮 도록 좌우방향으로 폭 넓게 퍼져 전개 팽창된다. 그리고 이 시점은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S1)의 작동 직후이고, 차량이 전면충돌을 하고 있기 때문에, 탑승원(MD)의 무릎(K)이 차량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진한다(도 1 참조). 그 때문에 돌출용 개구 (32)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퍼져 에어백(40)이 전개 팽창되어 있으면, 가령 브레이크조작이나 관성력 등에 의해 무릎(K)[KL, KR(도 4참조)]이 좌우로 어긋나 있어도 에어백(40)이 그 탑승원(MD)의 양 무릎(KL, KR)을 적확하게 보호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에어백(40)의 전개 팽창의 초기단계를 거친 후에는, 무릎(K)이 에어백 (40)에 접촉하고 있어도, 또는 무릎(K)이 에어백(40)에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탑승원 (MD)의 발끝이 플로워 패널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 등에서, 차량에 대한 상대적인 탑승원(MD)의 전진이 있으면 무릎(K)이 굴곡되어 상승하는 사태를 초래한다(도 8 참조). 그때 에어백(40)은 이미 전개 팽창의 초기단계를 거쳐 돌출용 개구(32)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폭을 넓게 한 상태에서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으로 전개 팽창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에어백(40)은 상승 이동하는 무릎(K)을 위쪽으로 전개 팽창을 완료시킨 에어백(40)의 부위에 의해 적확하게 보호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S1)에서는, 에어백(40)의 전개 팽창의 개시로부터 완료까지의 시간경과에 따라 효율적으로 에어백(40)을 전개 팽창시켜 탑승원(MD)의 무릎(K)(KL, KR)을 적확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형태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S1)에서는, 전개 팽창의 전개로부터 완료까지의 시간경과에 따라, 에어백(40)의 팽창형태를 적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팽창 당초부터 에어백(40)의 보호 영역을 크게 하도록 전개 팽창시키지 않아도 된다. 그 때문에 에어백(40)에 팽창용 가스(G)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34)로서 출력이 큰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용적이 큰 에어백(40)을 사용하지 않고 에어백장치(S1)에서는 탑승원(MD)의 양 무릎(KL, KR)을 적확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에어백(40)의 접음 당초에, 에어백(40)의 상단(47)측을 하단(48)측에 접근시키도록 차체측 벽부(42)측으로 말아 접고 있다. 그 때문에 전개 팽창시에 있어서의 말아 접기의 접음부위(51)의 접기 해소시, 접음부위(51)는 감김을 풀도록 접기를 해소한다. 그리고 접음부위(51)는 탑승원(MD)과 간섭하여도 반대로 감김의 풀림을 촉진시키도록 탑승원(MD)과 접촉하면서 감김을 풀어 위쪽으로 전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탑승원(MD)에게 불필요한 가압력을 주는 일 없이 에어백 (40)은 원활하게 전개 팽창을 완료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에어백(40)에서는, 팽창용 가스(G)의 상류측이 되는 설치부(40B)측으로부터 본체부(40a)측을 향하는 팽창용 가스(G)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쪽측의 좌우방향에 배치되는 테저(44)에 의해 좌우방향의 양측으로 흐른다. 그리고 다시 가스(G)가 좌우 양 가장자리(49, 50)의 에어백(40)의 안 둘레면측의 부위와 테저(44)의 좌우의 끝부(44a, 44b) 사이를 가스유통구멍(45)으로 하여 테저(44)보다 위쪽측의 부위로 유입한다. 즉, 팽창용 가스(G)의 상류측 부위인 설치부 (40B) 근방의 본체부(40a)의 부위에서는 팽창용 가스(G)의 방향이 좌우 방향의 양측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이 된다. 그 때문에 본체부(40a)는 전개 팽창의 초기단계에 좌우방향으로의 전개를 한층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점을 고려하지 않으면 에어백(40)의 접음 당초, 상단(47)측을 탑승원측 벽부(41)의 측으로 감는 것 처럼 말아 접어 하단(48)측에 접근시키도록 접거나, 또는 주름접기하여 상단(47)측을 하단(48)측에 접근시키도록 접어도 좋다. 또한 상단(47)측을 에어백(40)내에 집어 넣어 하단(48)측에 접근시키도록 캑터스접기 (cactus-folding)로 하여도 좋다. 다시 또 테저(44) 등은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하는 외에, 차량 후방측에서 보아 V자형상이나 U자형상으로 배치시켜도 좋다.
또, 에어백(40) 접기 시, 에어백(40)을 수납하는 수납부(17)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가 넓은 경우에는 접음부위(51)의 좌우 양 끝부(52, 53)의 한쪽만을 접어도 좋다.
또한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좁히도록 접음부위(51)의 좌우 양 끝부(52, 53)를 접는 경우에는 먼저 도 10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평하게 전개시킨 에어백 (40a)의 상단(47)측을 하단(48)측에 접근시키도록 차체측 벽부(42)의 측에서 말아 접기한다. 그후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음부위(51)의 좌우 양 끝부(52, 53)를 주름접기한다. 또는 도 10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음부위(51)의 좌우 양 끝부(52, 53)를 접음부위(51)의 좌우방향의 중앙부(51a)측이 되는 안쪽을 향해 말아 접기한다. 다시 또는 도 10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양 끝부(52, 53)를 역방향의 바깥쪽을 향하여 말아 접어도 좋다. 그리고 끝부(52, 53) 상호를 접근시켜 접기작업을 종료시켜도 좋다. 이와 같은 접기는 탑승원측 벽부(41)와 차체측 벽부(42)를 겹쳐서 평평하게 전개하였을 때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가 큰 에어백(40a)의 경우에 좌우의 폭 치수를 콤팩트하게 접을 수 있어 적합하게 된다. 그리고 접음부위(51)의 좌우 양 끝부(52, 53)의 상호를 좌우 비대칭으로 접어도 좋다. 예를 들면 좌단부 (52)측을 주름접기하여 우단부(53)측을 안쪽을 향하여 또는 바깥쪽을 향하여 말아 접기로 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접어도 좋다.
또한 접음부위(51)의 좌우 양 끝부(52, 53)측은 접음부위(51)의 중앙부(51a)를 기준으로 위쪽측 이외에 접어 배치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S2)에서는 말아 접은 접음부위(51)의 좌우 양 끝부(52, 53)측을 접음부위(51)의 중앙부 (51a)의 후방측에 배치시키고 있다. 이 에어백(40B)에서는 먼저 도 12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평하게 전개시킨 에어백(40B)의 상단(47)측을 하단(48)측에 접근시키도록 차체측 벽부(42)의 측에서 말아 접는다. 그후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음부위(51)의 좌우 양 끝부(52, 53)를 후방측으로 되접어 에어백(40B)의 접기 작업을 종료시키고 있다. 그후는 에어백(40)과 마찬가지로 수납 케이스(13)에 수납하고, 에어백 조립체(SA)를 형성하여 차량에 탑재하게 된다.
물론, 도 12c에 있어서 좌우 양 끝부(52, 53)측을 접음부위(51)의 중앙부 (51a)에 대하여 전방측이나 아래쪽측 등으로 접어 접기작업을 종료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제 3 실시형태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S3)에서는 에어백(40C)이 접기의 최종공정에 있어서 좌우 양 끝부(52, 53)를 전방측(상세하게는, 전방 아래쪽)으로 접어, 수납부(17)에 수납되어 있다.
또 접기의 최종공정에서, 다시 말아 접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4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평하게 전개시킨 에어백(40D)의 상단(47)측을 하단(48)측에 접근시키도록 차체측 벽부(42)의 측에서 말아 접는다. 그후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음부위(51)의 좌우 양 끝부(52, 53)를 전방측(또는 후방측이나 상방측 등이어도 좋다)으로 되접어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수납부(17)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에 대응시킨다. 이어서 도 14의 c,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음부위(55)를 차체측 벽부(42)의 측으로 되접으면 에어백(40D)의 접기작업을 종료시킬 수 있다. 그후는 에어백(40)과 마찬가지로 수납 케이스(13)에 수납하여 에어백 조립체(SA)를 형성하여 차량에 탑재하게 된다.
그리고 도 15, 도 16에 나타내는 제 4 실시형태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 (S4)와 같이, 에어백(40E)에 있어서의 접음부위(51)의 좌우 양 끝부(52, 53)측을, 접음부위(51)의 중앙부(51a)를 기준으로 탑승원측 벽부(41)의 측에서 아래쪽측으로 되접어도 좋다.
즉, 이 에어백(40E)의 접기공정은, 도 16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탑승원측 벽부(41)와 차체측 벽부(42)를 겹쳐서 평평하게 전개한 상태로부터 에어백(40E)의 상단(47)측을 차체측 벽부(42)의 측에서 감도록 접는 말아 접기에 의하여 하단(48)측에 접근시킨다.
이어서 도 16의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백(40E)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수납하는 수납부(17)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에 대응하도록 좁히기 위하여 말아 접은 접음부위(51)의 좌우 양 끝부(52, 53)측을 되접는다. 이때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좌우 양 끝부(52, 53)를 탑승원측 벽부(41)의 측에서 말아 접기의 접음부위(51)의 좌우방향의 중앙부(51a)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키도록 접는다. 그리고 접은 후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공정으로 차량에 탑재한다.
이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에어백(40E)의 전개 팽창 당초, 접음부위(51)의 좌우 양 끝부(52, 53)가 위쪽으로 회전하여 접음부위(51)의 중앙부(51a)와, 좌우방향에서 대략 일치하도록 접기를 해소하고, 그리고 접기 전의 상태로 복원된다. 그리고 접음부위(51)의 중앙부(51a)측은 끝부(52, 53)가 복원될 때까지 탑승원측 벽부(41)의 측에 위치하는 좌우 양 끝부(52, 53)에 의해 접기의 해소가 규제된다. 즉, 끝부 (52, 53)가 접기를 해소하여 복원될 때까지 접음부위(51)의 중앙부(51a)측은 부분적으로 위쪽으로 팽창하는 것이 적극 억제된다. 그 결과, 접음부위(51)의 접기의 해소는 먼저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51a)측이 부분적으로 위쪽으로 팽창하는 것이 억제된 상태에서, 좌우 양 끝부(52, 53)가 위쪽으로 회전하여 중앙부 (51a)와 좌우방향에서 대략 일치한다. 그후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음부위 (51)의 접기의 해소가, 좌우방향의 대략 전역에서 거의 균등하게 행하여지게 된다.
따라서, 제 4 실시형태의 에어백(40E)에서는 부분적으로 두꺼워지는 것이 억제된 상태에서 위쪽으로 전개 팽창되기 때문에, 차체측의 컬럼 커버 하면(7a)과 운전자(MD)와의 간극이 좁아도 더 한층 지장없이 위쪽으로 전개할 수 있다.
또 접음부위(51)의 좌우 양 끝부(52, 53)를 탑승원측 벽부(41)의 측에서 중앙부(51a)의 아래쪽측으로 접는 경우에 있어서, 좌우방향의 폭 치수가 긴 에어백 (40A)에서는 도 18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행하여도 좋다. 즉, 먼저 평평하게 전개시킨 에어백(40A)의 상단(47)측을 하단(48)측에 접근시키도록 차체측 벽부(42)의 측에서 말아 접는다. 그후 도 1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음부위(51)의 좌우 양 끝부(52, 53)를 승무원측 벽부(41)의 측에서 주름접기하여 끝부(52, 53) 상호를 접근시켜 접기작업을 종료시켜도 좋다. 물론 도 18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음부위 (51)의 좌우 양 끝부(52, 53)를 중앙부(51a)측이 되는 안쪽을 향하여 말아 접거나 또는 도 1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양 끝부(52, 53)를 역방향의 바깥쪽을 향하여 말아 접어 끝부(52, 53) 상호를 접근시켜, 접기작업을 종료시켜도 좋다. 이들 말아 접기는, 탑승원측 벽부(41)와 차체측 벽부(42)를 겹쳐서 평평하게 전개하였을 때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가 큰 에어백(40A)의 경우에 적합하게 된다. 그리고 접음부위 (51)의 좌우 양 끝부(52, 53)의 상호를 도 18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비대칭으로 접어도 좋다. 예를 들면 좌단부(52)측을 바깥쪽을 향하여 말아 접기로 하고, 우단부(53)측을 안쪽을 향하여 말아 접거나 또는 그 반대나 한쪽측을 주름접기하여도 좋다.
또 접음부위(51)의 좌우 양 끝부(52, 53)측은 접음부위(51)의 중앙부(51a)의 바로 밑의 아래쪽측 뿐만 아니라, 비스듬하게 아래쪽 후방측 등으로 접어 배치시켜도 좋다.
또한 도 19에 나타내는 제 5 실시형태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S5)와 같이 에어백(40F)의 말아 접은 접음부위(51)의 좌우 양 끝부(52, 53)측을 탑승원측 벽부 (41)측에 있어서의 접음부위(51)의 중앙부(51a)의 아래쪽에서, 또한 인플레이터(34)의 본체부(34a)의 아래쪽측에 배치시켜도 좋다. 이 에어백(40F)에서는 먼저 도 20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평하게 전개시킨 에어백(40F)의 상단(47)측을 하단(48)측에 접근시키도록 차체측 벽부(42)의 측에서 말아 접는다. 그후 도 2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음부위(51)의 좌우 양 끝부(52, 53)를 탑승원측 벽부(41)의 측에서 인플레이터 본체부(34a)의 아래쪽측으로 되접어 에어백(40f)의 접기작업을 종료시키고 있다. 그후는 에어백(40)과 마찬가지로 수납 케이스(13)에 수납하고, 에어백 조립체 (SA)를 형성하여 차량에 탑재하게 된다.
또, 에어백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좁히도록 접었을 때, 도 21 내지 도 24에 나타내는 제 6 실시형태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M6)에 있어서의 에어백(40G)과 같이 접어도 좋다. 또한 이 에어백장치(M6)에서는 수납 케이스(13A)가 상부측의 좌우의 설치편부(15A)를 인스루먼트패널리 인포스먼트(IF)에 연결 고정시켜 수납 케이스 (13A)의 수납부(17A)가 인플레이터((34A)나 에어백(40G)의 설치부(40B)와 함께 좌우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에어백 커버(26A)의 도어부(31)가 폭이 넓은 수납부(17A)의 개구(17a)에 대응시켜져 좌우방향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제 6 실시형태에서는 이들의 점이 상위하고, 또 에어백(40G)의 접기가 상위하고 있다. 그러나 제 6 실시형태의 다른 부분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에어백(40G)의 접기는, 먼저 도 24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평하게 전개시킨 에어백(40G)의 상단(47)측을 하단(48)측에 접근시키도록 차체측 벽부(42)의 측에서 말아 접는다. 그후 도 2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음부위(51) 의 좌우 양 끝부(52, 53)를 탑승원측 벽부(41)의 측에서 인플레이터 본체부(34a)의 아래쪽측으로 접어 에어백(40G)의 접기작업을 종료시키고 있다. 그리고 접음 후에 있어서의 에어백(40G)의 좌우방향의 양 끝부(56, 57)가 차량탑재시에 각각 운전자(MD)의 좌우 양 무릎(KL, KR)에 있어서의 각각의 좌우방향을 따른 무릎 중심(LC·RC)(도 23, 도 25 참조)보다 바깥쪽에 배치되도록 접혀져 있다.
에어백(40G)의 접음 후는, 에어백(40)과 마찬가지로 수납 케이스(13A)에 수납하고, 에어백 조립체(SA)를 형성하여 차량에 탑재한다.
이 제 6 실시형태에서는 에어백(40G)이 수납상태의 당초부터 운전자(MD)의 양 무릎(KL, KR)의 전방측을 보호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백(40G)이 전개 팽창 초기에 수납부위(17A)의 돌출용 개구(32)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돌출하면 운전자(MD)의 양 무릎(KL, KR)의 각 무릎 중심(LC, RC)을 적확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 제 6 실시형태에서는 접음부위(51)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끝부(52, 53)측의 접음부위가, 다른 실시형태에 비하여 적다. 그 때문에 제 6 실시형태에서는 에어백(40G)의 실질적인 수납공간의 안 길이 치수를 얇게 좁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제 6 실시형태에서도 접음부위(51)의 좌우 양 끝부(52, 53)는 접음부위(51)의 중앙부(51a)측을 기준으로, 상방측, 후방측, 전방측 등으로 되접어도 좋다. 또 좌우 양 끝부(52, 53)의 한쪽만을 되접어도 좋다. 또한 상단(47)측을 하단 (48)측에 접근시키는 접기는, 탑승원측 벽부(41)의 측으로 감도록 말아 접거나 또는 주름접기나 캑터스접기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 26 내지 도 28에 나타내는 제 7 실시형태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 (S7)와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이 에어백장치(S7)는 에어백장치(S6)에 비하여 수납 케이스(13B)의 수납부(17B)가 인플레이터(34B)나 에어백(40H)의 설치부(40B)와 함께 좌우방향으로 더욱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에어백 커버(26B)의 도어부 (31)가 폭이 넓은 수납부(17B)의 개구(17a)에 대응시켜져 좌우방향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7 실시형태에서는 에어백(40H)의 접기가 상위하고 있다. 그러나 그 밖의 구성에서는 제 7 실시형태는 제 6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에어백(40H)의 접기는, 도 29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승원측 벽부 (41)와 차체측 벽부(42)를 겹쳐서 평평하게 전개한 상태로부터, 상단(47)측을 하단 (48)측에 접근시키도록 접는다. 그리고 에어백(40H)은 이 공정만으로 수납 케이스 (13B)의 수납부(17B)에 수납되어 에어백 조립체(SA)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에어백 조립체(SA)가 차량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에어백(40H)의 전개 팽창 완료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는, 에어백(40) 등과 마찬가지로 운전자(MD)의 양 무릎(KL, KR)의 전방을 넓게 덮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접음 후의 에어백(40H)은, 좌우 양 끝부(52, 53)를 각각 운전자(MD)의 좌우 양 무릎(KL, KR)에 있어서의 각각의 좌우방향을 따른 무릎중심(LC, RC)보다 바깥쪽에 위치시키도록 수납부(17B)에 수납되어 있다.
이 제 7 실시형태에서는 에어백(40H) 내에 팽창용 가스가 유입되면, 수납부 위 (17B)의 돌출용 개구(32)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돌출하여 즉시 위쪽으로 전개되게 된다.
즉,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백(40H)이 수납부위(17B)의 돌출용 개구(32)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돌출한 당초부터, 운전자(MD)의 양 무릎(K)(KL, KR)을 보호 가능한 폭 치수로 운전자(MD)의 양 무릎(K)(KL, KR)의 전방측에 에어백(40H)을 배치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양 무릎(KL, KR)이 좌우로 이동하고 있어도 전개 팽창초기의 에어백(40H)이 그들 무릎(KL, KR)을 넓은 범위에서 적확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다음에 각 무릎(K)이 굴곡되어 상승하는 사태를 초래하여도 에어백(40H)은 이미 도 26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 팽창의 초기단계를 거쳐 돌출용 개구(32)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위쪽으로 전개 팽창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에어백 (40H)은 상승 이동하는 무릎(K)을 위쪽으로 전개 팽창을 완료시킨 에어백(40H)의 부위(40a)에서 적확하게 보호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 7 실시형태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S7)에서도 에어백(40H)의 전개 팽창의 개시로부터 완료까지의 시간경과에 따라 효율적으로 에어백(40H)을 전개 팽창시켜 운전자(MD)의 무릎(K)을 적확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 이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S7)에서는 제 1 실시형태의 에어백(40) 등과 같이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좁히도록 접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에어백장치(S7)에서는 에어백(40H)의 전개 팽창을 신속하게 완료시킬 수 있다.
또한 제 7 실시형태에서는 접음부위(51)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끝부(52, 53)측이 접혀 있지 않기 때문에, 각 실시형태에 비하여 한층 에어백(40H)의 실질적 인 수납공간의 안 길이 치수를 얇게 좁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 제 7 실시형태에서도 에어백(40H)이, 좌우 양 끝부(52, 53)를 각각 운전자(MD)의 좌우 양 무릎(KL, KR)에 있어서의 각각의 좌우방향을 따른 무릎중심 (LC, RC)보다 바깥쪽에 위치시키도록 수납부위(17B)에 수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에어백(40H)은 전개 팽창 초기에 수납부위(17B)의 돌출용 개구(17a)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돌출하면 운전자(MD)의 양 무릎(KL, KR)에 있어서의 각 무릎중심(LC, RC)을 적확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 7 실시형태의 에어백(40H)에서도 상단(47)측을 하단(48)측에 접근시키는 접기는, 탑승원측 벽부(41)측으로 감도록 말아 접거나 또는 주름접기나 캑터스접기로 하여도 좋다.
또 각 실시형태에서는 운전자(MD)의 무릎(K)을 보호하기 위하여 운전자(MD)의 차량 전방측의 차체측에 배치되는 에어백장치(S1, S2, S3, S4, S5, S6, S7)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수석에 착석한 조수석 탑승자(MP)의 양 무릎(K)(KL, KR)을 보호하도록 조수석에 착석한 탑승원(MP)의 차량 전방측이 되는 차체측[인스트루먼트패널(9)측]에 에어백장치(S8)를 배치시켜도 좋다. 또한 이 에어백장치(S8)는 사용하는 에어백(40A)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백장치(S1)의 에어백(40)에 비하여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넓게 하여 도 10의 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혀져 수납되어 있다. 또 에어백장치(S8)에서는 수납 케이스(13)의 판형상부(14)나 에어백 커버(26)가 인스트루먼트패널(9)의 조수석 앞쪽의 부위에 대응하여 평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점을 제외 하고 에어백장치 (S8)의 다른 부품은 에어백장치(S1)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Claims (12)

  1. 착석한 탑승원의 무릎의 앞쪽에 있어서의 차체측에, 에어백이 접혀져 수납되고, 팽창용 가스의 유입시, 상기 에어백이 수납부위의 돌출용 개구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위쪽으로 전개 팽창되어 차체측과 탑승원 사이에 있어서의 탑승원의 무릎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탑승원의 무릎을 보호 가능한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팽창 완료시의 탑승원측에 배치되는 탑승원측 벽부와, 팽창 완료시의 차체측에 배치되는 차체측 벽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탑승원측 벽부와 상기 차체측 벽부를 겹쳐서 평평하게 전개한 상태의 하단측을, 상기 팽창용 가스의 상류측 부위로서 구성되고,
    팽창 완료시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탑승원의 좌우 양 무릎의 전방측을 덮기 가능한 치수로 하여 상기 수납 부위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보다 크게 하고,
    상기 에어백을 접을 때, 상기 탑승원측 벽부와 상기 차체측 벽부를 겹쳐서 평평하게 전개한 상태로부터 상단측을 하단측에 접근시키도록 접고, 그 다음에 상기 수납 부위에 수납 가능하게, 상기 수납 부위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에 대응시켜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좁히도록 접어 상기 수납 부위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상단측을 하단측에 접근시킬 때, 상단측을 상기 차체측 벽부측으로 감는 말아 접기에 의해 접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좁힐 때, 상기 에어백의 상단측을 하단측에 접근시키도록 접은 접음부위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양 끝부측을 상기 탑승원측 벽부의 측에서 상기 접음부위의 좌우방향의 중앙부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키도록 접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좁힐 때, 상기 에어백의 상단측을 하단측에 접근시키도록 접은 접음부위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양 끝부측을, 상기 접음부위의 좌우방향의 중앙부보다 위쪽에 위치시키도록 접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좁힐 때, 상기 에어백의 상단측을 하단측에 접근시키도록 접은 접음부위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양 끝부측을, 상기 탑승원측 벽부의 측에서 상기 접음부위의 좌우방향의 중앙부보다 뒤쪽에 위치시키도록 접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좁힐 때, 상기 에어백의 상단측을 하단측에 접근시키도록 접은 접음부위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양 끝부측을, 상기 차체측벽부의 측에서, 상기 접음부위의 좌우방향의 중앙부보다 앞쪽에 위치시키도록 접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좁힐 때, 상기 에어백의 상단측을 하단측에 접근시키도록 접은 접음부위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양 끝부측을, 서로 접근시키도록 상기 접음부위의 좌우방향의 중앙부측으로 말아 접어 접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좁혔을 때, 접음 후의 상기 에어백의 좌우방향의 양 끝부가, 각각 상기 탑승원의 좌우 양 무릎에 있어서의 각각의 좌우방향을 따른 무릎중심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접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이, 상기 차체측 벽부와 상기 탑승원측 벽부를 연결하여 팽창시의 상기 에어백의 두께를 규제하는 테저를 구비하고,
    상기 테저가, 상기 에어백 내에 있어서의 상기 상류측 부위로부터 흐르는 팽창용 가스를, 상기 에어백의 좌우방향의 양측으로 흘리기 가능하게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좁힐 때, 상기 에어백의 상단 측을 하단 측에 접근시키도록 접은 접음부위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양쪽 끝부 측을,
    상기 접음부위의 좌우방향의 중앙부보다 위쪽에, 또는
    상기 탑승원 측 벽부의 측에서 상기 접음부위의 좌우방향의 중앙부보다 아래쪽에 배치시켜 접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호용 에어백장치.
KR1020047005843A 2001-12-06 2002-12-02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 KR100587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73253 2001-12-06
JP2001373253A JP3743360B2 (ja) 2001-12-06 2001-12-06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の収納方法
PCT/JP2002/012593 WO2003047920A1 (en) 2001-12-06 2002-12-02 Air bag device for knee prot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126A KR20040071126A (ko) 2004-08-11
KR100587573B1 true KR100587573B1 (ko) 2006-06-08

Family

ID=19182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843A KR100587573B1 (ko) 2001-12-06 2002-12-02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84065B2 (ko)
EP (1) EP1452407B1 (ko)
JP (1) JP3743360B2 (ko)
KR (1) KR100587573B1 (ko)
CN (1) CN1275807C (ko)
DE (1) DE60212698T2 (ko)
WO (1) WO20030479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5858B2 (en) 2002-04-01 2006-06-06 Toyoda Gosei Co., Ltd. Airbag device
DE102004023853A1 (de) * 2003-05-14 2005-01-20 Toyoda Gosei Co., Ltd., Nishikasugai Faltverfahren für einen Airbag für eine Heckkollision und Airbagvorrichtung für eine Heckkollision
JP2005104269A (ja) * 2003-09-30 2005-04-21 Toyoda Gosei Co Ltd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DE202004009450U1 (de) * 2004-06-15 2004-10-28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Schutzvorrichtung für den Fahrer eines Kraftfahrzeugs
US20060197324A1 (en) * 2005-03-07 2006-09-07 Takata Restraint Systems, Inc. Advanced protection driver area bag
JP4466470B2 (ja) * 2005-05-18 2010-05-26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4379433B2 (ja) * 2006-05-15 2009-12-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DE102006050310A1 (de) * 2006-10-25 2008-04-30 Trw Automotive Gmbh Gassackmodul
JP4408884B2 (ja) * 2006-10-31 2010-02-03 豊田合成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4235221B2 (ja) * 2006-11-02 2009-03-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ラム付け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4235224B2 (ja) * 2006-11-09 2009-03-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ラム付け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4231520B2 (ja) 2006-11-24 2009-03-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ラム付け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4488007B2 (ja) 2007-01-15 2010-06-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4260190B2 (ja) * 2007-03-01 2009-04-30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を有したステアリングコラム
JP4710862B2 (ja) * 2007-04-02 2011-06-29 豊田合成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5053717B2 (ja) * 2007-05-31 2012-10-17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
JP4952450B2 (ja) * 2007-08-31 2012-06-13 豊田合成株式会社 ラッピングシート
JP5196530B2 (ja) * 2007-10-22 2013-05-15 芦森工業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8231137B2 (en) * 2007-11-09 2012-07-3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Knee airbag housing assembly
JP2009120071A (ja) * 2007-11-15 2009-06-04 Toyoda Gosei Co Ltd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EP2072348B1 (en) * 2007-12-18 2016-10-05 Autoliv Development AB Knee airbag and method of folding the same
DE102008014209A1 (de) * 2008-03-14 2009-09-24 Autoliv Development Ab Knieairbag
JP5368779B2 (ja) * 2008-03-31 2013-12-18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DE102008061693A1 (de) * 2008-12-10 2010-06-17 Takata-Petri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alten eines Gassackes für ein Airbagmodul
US8083254B2 (en) * 2009-04-27 2011-12-27 Autoliv Asp, Inc. Knee airbag assemblies configured for inflator insertion and inflator-mediated coupling to an airbag housing
US20100270782A1 (en) * 2009-04-27 2010-10-28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assemblies with bag straps for wrapping the airbags and optimizing deployment
US8118325B2 (en) * 2009-04-27 2012-02-21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s and internal tethers produced from single panels of material
US8777262B2 (en) 2009-04-27 2014-07-15 Autoliv Asp, Inc. Airbag assemblies with stabilizer straps
US8500157B2 (en) 2009-04-27 2013-08-06 Autoliv Asp, Inc. Knee airbag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KR101561470B1 (ko) 2009-06-18 2015-10-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무릎에어백의 폴딩방법
US8297649B2 (en) * 2009-07-16 2012-10-30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having two chambers separated by an internal tether
US8272667B2 (en) * 2009-11-03 2012-09-25 Autoliv Asp, Inc. Low-mount inflatable knee airbags having serial chambers
US8500155B2 (en) * 2009-12-22 2013-08-06 Autoliv Asp, Inc. Inflatable airbag assembly with an integral cover
WO2011102225A1 (ja) * 2010-02-17 2011-08-2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ニーエアバッグ
DE102010030194B4 (de) * 2010-06-17 2018-06-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nieairbaganordnung für Fahrzeuge
US8297650B2 (en) 2010-08-31 2012-10-30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assemblies with articulating housings
US8360464B2 (en) 2010-08-31 2013-01-29 Autoliv Asp, Inc. Covers for inflatable knee airbag housings
DE202011002778U1 (de) * 2011-02-16 2011-09-26 Autoliv Development Ab Kniegassackmodul
US8696019B2 (en) * 2011-03-21 2014-04-15 Tk Holdings Inc. Knee airbag module
US8540276B2 (en) 2011-11-07 2013-09-24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assemblies with cushion fold pattern
US8505963B1 (en) 2012-02-24 2013-08-13 Autoliv Asp, Inc. Airbag assemblies with strap clamps
US9010804B2 (en) 2013-03-15 2015-04-21 Autoliv Asp, Inc. Airbag assemblies with constrained stabilizer straps
JP6252406B2 (ja) * 2013-10-31 2017-12-27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CN105128809B (zh) * 2015-08-31 2018-07-17 延锋百利得(上海)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安全气囊及安全气囊袋的折叠方法
JP6488968B2 (ja) * 2015-09-30 2019-03-27 豊田合成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6834828B2 (ja) 2017-07-24 2021-0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保護装置、エアバッグの制御方法、及び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US10696266B2 (en) 2017-11-10 2020-06-30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assemblies
US10814820B2 (en) * 2017-12-28 2020-10-27 Toyoda Gosei Co., Ltd. Airbag device
JP7087814B2 (ja) * 2018-08-10 2022-06-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室前部構造
US11400881B2 (en) 2019-06-26 2022-08-02 Toyoda Gosei Co., Ltd. Knee protection airbag device
JP7215452B2 (ja) * 2019-06-26 2023-01-31 豊田合成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7243602B2 (ja) * 2019-11-29 2023-03-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ニーエアバッグ装置
US11884230B1 (en) 2022-07-29 2024-01-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strument panel mounted knee airbag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8978A (en) * 1970-05-11 1971-11-09 Gen Motors Corp Inflatable restraint for vehicle occupant
JPS53147341A (en) 1977-05-25 1978-12-22 Nissan Motor Co Ltd Method of folding air cushion
JPS58110338A (ja) 1981-12-23 1983-06-30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エアバツグ格納部構造
JPH0256053A (ja) 1988-08-22 1990-02-26 Toshiba Corp 文書作成装置
JPH0256053U (ko) * 1988-10-18 1990-04-23
GB2263669B (en) * 1992-01-31 1995-07-05 Takata Corp Air bag device for the knees of an occupant
JP3186163B2 (ja) 1992-01-31 2001-07-11 タカタ株式会社 車両乗員の保護装置
JP3431307B2 (ja) 1994-09-12 2003-07-2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5513877A (en) * 1994-12-02 1996-05-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body/supplemental inflation restraint arrangement
JPH09123862A (ja) * 1995-10-27 1997-05-13 Mitsubishi Motors Corp 脚部用エアバッグ装置
JPH09207701A (ja) 1996-02-07 1997-08-12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3340018B2 (ja) 1996-03-25 2002-10-28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とその折畳み方法及びその取付け方法
GB2322337B (en) * 1997-02-20 2001-03-14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method of folding an air-bag
DE19714174C2 (de) 1997-03-21 2003-09-11 Takata Petri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altung eines Gassackes
JP3798506B2 (ja) * 1997-05-15 2006-07-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H1120587A (ja) * 1997-07-08 1999-01-26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DE29807424U1 (de) * 1998-04-23 1998-08-27 Trw Repa Gmbh Knieschutzeinrichtung für Fahrzeuginsassen
JPH11321511A (ja) * 1998-05-11 1999-11-24 Takata Kk 助手席用エアバッグ及びその折り畳み方法
JP3407678B2 (ja) 1998-12-28 2003-05-19 豊田合成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3858821B2 (ja) 2000-07-07 2006-12-20 豊田合成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AU2001269455A1 (en) 2000-07-07 2002-01-21 Toyoda Gosei Co. Ltd. Air bag device for knee protection
US7182365B2 (en) * 2000-07-07 2007-02-27 Toyoda Gosei Co., Ltd. Air bag device for knee protection
JP2002249016A (ja) * 2000-12-19 2002-09-03 Toyoda Gosei Co Ltd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6715789B2 (en) * 2001-05-21 2004-04-06 Toyoda Gosei Co., Ltd. Knee protecting airbag device
JP3807252B2 (ja) 2001-05-21 2006-08-09 豊田合成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6752417B2 (en) * 2001-05-21 2004-06-22 Toyoda Gosei Co., Ltd. Knee protecting airbag device
US6945557B2 (en) * 2001-11-09 2005-09-20 Toyoda Gosei Co., Ltd. Knee protecting airbag device
US7055851B2 (en) * 2001-11-22 2006-06-06 Toyoda Gosei Co., Ltd. Knee protecting airbag device
DE60314189T2 (de) * 2002-01-11 2008-02-07 Toyoda Gosei Co., Ltd. Knieschutzairbagvorrichtung
JP4270794B2 (ja) * 2002-02-18 2009-06-03 タカタ株式会社 乗員脚部保護装置
US7055858B2 (en) * 2002-04-01 2006-06-06 Toyoda Gosei Co., Ltd. Airbag device
JP3900051B2 (ja) * 2002-09-13 2007-04-04 豊田合成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12698T2 (de) 2007-01-11
JP3743360B2 (ja) 2006-02-08
EP1452407A1 (en) 2004-09-01
EP1452407A4 (en) 2005-03-30
US7384065B2 (en) 2008-06-10
CN1275807C (zh) 2006-09-20
KR20040071126A (ko) 2004-08-11
JP2003170801A (ja) 2003-06-17
DE60212698D1 (de) 2006-08-03
CN1547536A (zh) 2004-11-17
WO2003047920A1 (en) 2003-06-12
US20040245750A1 (en) 2004-12-09
EP1452407B1 (en)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7573B1 (ko) 무릎 보호용 에어백장치
EP1705074B1 (en) Knee protecting airbag device
JP4606467B2 (ja) 車両乗員の膝領域を保護するためのガスサック
EP1262378B1 (en) Knee protecting airbag device
JP4332183B2 (ja) コラム付けニーエアバッグ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車両への組付方法
JP3900051B2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7819420B2 (en) Knee-protecting airbag apparatus
JP2014184805A (ja) 自動車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7230396A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102584407B1 (ko) 무릎 에어백 조립체
JP2006224776A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3772742B2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3868226B2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4023212B2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4453493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5053520B2 (ja) エアバッグ
JPH10119702A (ja) 側部用エアバッグ装置とその組立方法
JP3870831B2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3702830B2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3780892B2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2337652A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4160892B2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3226215A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5725046B2 (ja) 膝側面拘束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5088680A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