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6905B1 - 차량용 탑승자 무릎부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탑승자 무릎부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6905B1
KR100586905B1 KR1020047013553A KR20047013553A KR100586905B1 KR 100586905 B1 KR100586905 B1 KR 100586905B1 KR 1020047013553 A KR1020047013553 A KR 1020047013553A KR 20047013553 A KR20047013553 A KR 20047013553A KR 100586905 B1 KR100586905 B1 KR 100586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occupant
panel
vehicle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4950A (ko
Inventor
하야카와다츠야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4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4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60R21/20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in the lower part of dashboards, e.g. for protecting the 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6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kne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탑승자 무릎부 보호장치에 있어서는, 탑승자의 무릎부(B1, B2) 앞쪽에 배치된 니에어백(11)이 차량의 충돌시에 탑승자의 무릎부(B1, B2)를 향하여 팽창 전개되어 탑승자의 무릎부(B1, B2)를 보호한다. 니에어백(11)은 에너지 흡수 가능한 패널(21)에 조립되어 에너지 흡수 가능한 브래킷(22)을 거쳐 차체의 지지부재, 즉 인스트러먼트 패널 리인포스먼트(23)에 연결되어 있다. 패널(21)은 표준체격보다 몸집이 작은 탑승자의 무릎부(B1) 위치 앞쪽에 상기 무릎부(B1)와 맞닿음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브래킷(22)은 표준체격 및 표준체격보다 몸집이 큰 탑승자의 무릎부(B2)와 맞닿음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탑승자 무릎부 보호장치{OCCUPANT KNEE PART PROTECTIVE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장비되는 에어백장치, 특히 탑승자의 무릎부 앞쪽에 배치된 니에어백이 차량의 충돌시(전방 충돌시)에 탑승자의 무릎부를 향하여 팽창 전개되어 탑승자의 무릎부를 보호하도록 한 차량용 탑승자 무릎부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차량용 탑승자 무릎부 보호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9-123863호 공보에 표시되어 있고, 상기 공보에는 충격력을 변형에 의하여 흡수하는 약점부를 설치한 브래킷에 의하여 니에어백 모듈을 차내 보강부재에 연결하는 다리부 보호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공보의 다리부 보호장치에 있어서는 니에어백이 차량의 충돌시에 탑승자의 무릎부를 향하여 팽창 전개됨으로써 탑승자의 무릎부의 충격 하중을 받아낼 수 있고, 또 니에어백으로 받아내지지 않았던 하중을 브래킷으로 받아낼 수 있다. 그러나 탑승자의 체격차에 의한 무릎부의 위치나 하중의 상위에 대해서는 충분히 대응할 수 없어 적당하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없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무릎부 앞쪽에 배치된 니에어백이 차량의 충돌시에 탑승자의 무릎부를 향하여 팽창 전개되어 탑승자의 무릎부를 보호하도록 한 차량용 탑승자 무릎부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니에어백을 에너지 흡수 가능한 패널에 조립하여 에너지 흡수 가능한 브래킷을 거쳐 차체의 지지부재에 연결하고, 상기 패널을 표준체격보다 몸집이 작은 탑승자의 무릎부 위치 앞쪽에 상기 무릎부와 맞닿음 가능하게 배치하고, 상기 브래킷을 표준체격 및 표준체격보다 몸집이 큰 탑승자의 무릎부 위치 앞쪽에 상기 무릎부와 맞닿음 가능하게 배치하여 상기 브래킷의 에너지 흡수 하중을 상기 패널의 에너지 흡수 하중보다 크게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니에어백이 차량의 충돌시에 탑승자의 무릎부를 향하여 팽창 전개됨으로써 탑승자의 무릎부의 충격 하중을 받아 낼 수 있고, 또 니에어백으로 받아 내지지 않았던 하중을 표준체격보다 몸집이 작은 탑승자의 경우에는 상기 탑승자의 무릎부 위치 앞쪽에 배치되어 있는 패널로 받아낼 수 있고, 또 표준체격 및 표준체격보다 몸집이 큰 탑승자의 경우에는 상기 탑승자의 무릎부 위치 앞쪽에 배치되어 있는 브래킷으로 받아낼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의 체격차에 의한 무릎부의 위치나 하중의 상위에 대하여 충분히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여 최적으로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경우에는 브래킷의 에너지 흡수 하중이 패널의 에너지 흡수 하중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표준체격보다 몸집이 작은 탑승자(질량이 작아서 인체 내성값이 낮은 탑승자)의 경우에는 낮은 하중으로 변형되는 패널로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음과 동시에, 표준체격 및 표준체격보다 몸집이 큰 탑승자(질량이 커서 인체 내성값이 높은 탑승자)의 경우에는 높은 하중으로 변형되는 브래킷으로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어, 차량의 한정된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탑승자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니에어백은 에어백 케이스를 거쳐 상기 패널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차체형상이 다른 차량에 상기 장치를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패널이나 브래킷의 형상을 의장이나 탑승자 위치에 따라 변경하는 일이 있어도 니에어백과 에어백 케이스를 공통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케이스는 상기 패널에 설치한 개구부에 조립되어 있어, 상기 에어백 케이스의 상벽부는 상기 패널의 개구 가장자리 상부의 차량 아래쪽에 겹쳐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장치가 운전석에 적용되어 차량의 충돌시에 앞쪽으로 스트로크되는 스티어링 컬럼이 패널이나 에어백 케이스에 접촉하는 일이 있어도 에어백 케이스의 상벽부에 걸리기 어려워 스티어링 컬럼을 원활하게 스트로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탑승자 무릎부 보호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차량용 탑승자 무릎부 보호장치와 표준체격보다 몸집이 작은 탑승자의 무릎부 및 표준체격 또는 몸집이 큰 탑승자의 무릎부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패널, 브래킷, 인스트러먼트 패널 리인포스먼트 및 차량용 탑승자 무릎부 보호장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니에어백 모듈과 패널의 조립공정의 하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탑승자 무릎부 보호장치를 운전석에 적용한 경우의 패널과 에어백 케이스와 스티어링 컬럼의 관계를 나타내는 주요부 종단 측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차량용 탑승자 무릎부 보호장치는,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실시 가능하다. 이 차량용 탑승자 무릎부 보호장치에서는 니에어백 모듈(10)이, 탑승자(A)의 무릎부 (B)와 대략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서 패널(21)과 좌우 한 쌍의 브래킷(22)을 거쳐 인스트러먼트 패널 리인포스먼트(23)에 조립되어 있고, 탑승자(A) 무릎부(B)의 앞쪽에서 팽창 전개 가능한 니에어백(11)과, 이 니에어백(11)에 차량의 충돌시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12)와, 이들을 수용하는 에어백 케이스(13)를 구비하고 있다.
니에어백(11)은 직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어 에어백 케이스(13) 내에 접어서 수납하도록 되어 있고, 팽창 전개시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승자(A)의 무릎부(B)를 향하여 팽창 전개하여 탑승자(A)의 무릎부(B)를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인플레이터(12)는 차량의 충돌시에 가스를 니에어백(11) 내에 분출 공급하 는 것으로, 에어백 케이스(13) 내에 니에어백(11)과 함께 조립되어 있다. 에어백 케이스(13)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21)의 하단부에 설치한 개구부(21a)에 조립되어 있고, 그 상벽부(13a)가 패널(21)의 개구 가장자리 상부의 차량 아래쪽에 겹쳐져 있다.
패널(21)은 박판으로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에너지 흡수 하중(F1)에 의한 소성변형에 의하여 에너지 흡수 가능하고,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준체격보다 몸집이 작은 탑승자, 예를 들면 공적평가의 AF05, 즉 미국 성인여성의 5%를 커버하는 체형 상당의 몸집이 작은 사람의 무릎부(B1) 위치 앞쪽에 상기 무릎부(B1)와 맞닿음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패널(21)은 상단 설치부(21b)에서 각 브래킷(22)의 후단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하단 설치부(21c)에서 인스트러먼트 패널 (24)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패널(21)의 좌우 양 끝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비드(돌출 보강부)(21d)가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22)은, 두꺼운 판으로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에너지 흡수 하중(F2)[패널(21)의 에너지 흡수 하중(F1)보다 큰 하중]에 의한 소성변형에 의하여 에너지 흡수 가능하고,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준체격 및 표준체격보다 몸집이 큰 탑승자, 예를 들면 공적평가의 AM50, 즉 미국 성인남성의 50%를 커버하는 체형상당의 몸집이 큰 사람의 무릎부(B2) 위치 앞쪽에 상기 무릎부(B2)와 맞닿음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브래킷(22)은 선단부에서 인스트러먼트 패널 리인포스먼트(23)에 고정되어 있고, 중간부에는 아래쪽을 향하여 굴곡되는 2개의 굴곡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이 실시형태의 탑승자 무릎부 보호장치에 있어서는, 통상시 니에어백(11)이 다중으로 접힌 상태에서 에어백 케이스(13) 내에 수납되어 있고, 인스트러먼트 패널(24)의 파단 가능한 아래쪽 부위에 의하여 덮여져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량의 충돌시에 있어서 해당하는 센서(도시 생략)가 검지하는 가속도가 설정값 이상으로 접혀져 수납되어 있는 니에어백(11) 내에 인플레이터(12)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면, 공급가스에 의하여 니에어백(11)이 팽창 전개됨에 따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21) 및 브래킷(22)과 탑승자(A)의 무릎부(B) 사이에 개재한다.
그런데,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니에어백(11)이 차량의 충돌시에 탑승자(A)의 무릎부(B)를 향하여 팽창 전개됨으로써 탑승자(A) 무릎부(B)의 충격 하중을 받아낼 수 있고, 또 니에어백(11)으로 받아내지지 않았던 하중을 표준체격보다 몸집이 작은 탑승자의 경우에는 상기 탑승자의 무릎부(B1) 위치 앞쪽에 배치되어 있는 패널(21)로 받아낸 후에 브래킷(22)으로 받아낼 수 있고, 또 표준체격 및 표준체격보다 몸집이 큰 탑승자의 경우에는 상기 탑승자의 무릎부(B2) 위치 앞쪽에 배치되어 있는 브래킷(22)으로 받아 낼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의 체격차에 의한 무릎부(B1, B2)의 위치나 하중의 상위에 대하여 충분히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고, 최적으로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니에어백(11)이 탑승자(A)의 무릎부(B)의 충격 하중을 받아내고 있을 때의 반력은, 패널(21)과 브래킷(22)을 거쳐 인스트러먼트 패널 리인포스먼트(23)로 받아내진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브래킷(22)의 에너지 흡수 하중(F2)이 패널(21) 의 에너지 흡수 하중(F1)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표준체격보다 몸집이 작은 탑승자(질량이 작아 인체 내성값이 낮은 탑승자)의 경우에는 낮은 하중(F1)으로 변형되는 패널(21)로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음과 동시에, 표준체격 및 표준체격보다 몸집이 큰 탑승자(질량이 커서 인체 내성값이 높은 탑승자)의 경우에는 높은 하중(F2)으로 변형되는 브래킷(22)으로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어 차량이 한정된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탑승자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니에어백(11)이 에어백 케이스(13)를 거쳐 패널(21)에 조립되도록 하였다. 이 때문에 차체형상이 다른 차량에 상기 장치를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패널(21)이나 브래킷(22)의 형상을 의장이나 탑승자 위치에 따라변경하는 일이 있어도 니에어백(11)과 에어백 케이스(13)를 공통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니에어백 모듈(10)의 공용화가 가능하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에어백 케이스(13)가 패널(21)에 설치한 개구부(21a)에 조립되어 있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 케이스(13)의 상벽부(13a)가 패널(21)의 개구 가장자리 상부의 차량 아래쪽에 겹쳐져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장치가 운전석에 적용되어 차량의 충돌시에 앞쪽으로 스트로크하는 스티어링 컬럼(31)(도 5의 가상선 참조)이 패널(21)이나 에어백 케이스(13)에 접촉하는 일이 있어도 에어백 케이스(13)의 상벽부(13a)에 걸리기 어려워 스티어링 컬럼(31)을 원활하게 스트로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에어백 케이스(13)를 패널(21)과는 다른 부재로 구성하여 실시하였으나, 패널(21) 자체에 에어백 케이스를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실 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니에어백(11) 내에 인플레이터(12)가 설치되는 실시형태에 본 발명을 실시하였으나, 니에어백 밖에 인플레이터가 설치되는 실시형태에도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또는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4)

  1. 탑승자의 무릎부 앞쪽에 배치된 니에어백이 차량의 충돌시에 탑승자의 무릎부를 향하여 팽창 전개되어 탑승자의 무릎부를 보호하도록 한 차량용 탑승자 무릎부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니에어백을 에너지 흡수 가능한 패널에 조립하여 에너지 흡수 가능한 브래킷을 거쳐 차체의 지지부재에 연결하고,
    상기 패널을 표준체격보다 몸집이 작은 탑승자의 무릎부 위치 앞쪽에 상기 무릎부와 맞닿음 가능하게 배치하고,
    상기브래킷을 표준체격 및 표준체격보다 몸집이 큰 탑승자의 무릎부 위치 앞쪽에 상기 무릎부와 맞닿음 가능하게 배치하여 상기 브래킷의 에너지 흡수 하중을 상기 패널의 에너지 흡수 하중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탑승자 무릎부 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니에어백은 에어백 케이스를 거쳐 상기 패널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탑승자 무릎부 보호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케이스는 상기 패널에 설치한 개구부에 조립되어 있고, 상기 에어백 케이스의 상벽부는 상기 패널의 개구 가장자리 상부의 차량 아래쪽에 겹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탑승자 무릎부 보호장치.
  4. 삭제
KR1020047013553A 2002-03-01 2003-02-19 차량용 탑승자 무릎부 보호장치 KR100586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56363 2002-03-01
JP2002056363A JP3767497B2 (ja) 2002-03-01 2002-03-01 車両用乗員膝部保護装置
PCT/JP2003/001747 WO2003074332A1 (en) 2002-03-01 2003-02-19 Occupant knee part protective device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950A KR20040084950A (ko) 2004-10-06
KR100586905B1 true KR100586905B1 (ko) 2006-06-08

Family

ID=2778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553A KR100586905B1 (ko) 2002-03-01 2003-02-19 차량용 탑승자 무릎부 보호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290787B2 (ko)
EP (1) EP1481857B1 (ko)
JP (1) JP3767497B2 (ko)
KR (1) KR100586905B1 (ko)
CN (1) CN1319785C (ko)
AU (1) AU2003211234A1 (ko)
DE (1) DE60307991T2 (ko)
WO (1) WO20030743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8239A (en) * 2003-11-19 2005-05-25 Autoliv Dev Safety arrangement actuated to restrain forward movement of a vehicle occupant's knees
JP4553577B2 (ja) * 2003-12-12 2010-09-29 タカタ株式会社 ニーバッグ及び乗員脚部保護装置
JP4710862B2 (ja) * 2007-04-02 2011-06-29 豊田合成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4935959B2 (ja) * 2009-03-10 2012-05-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EP2445763A2 (en) * 2009-06-24 2012-05-02 Shape Corp. Energy absorber with double-acting crush lobes
JP5310689B2 (ja) * 2010-09-30 2013-10-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膝保護装置
JP5310688B2 (ja) * 2010-09-30 2013-10-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ペダル後退抑制構造
MY189721A (en) * 2013-09-27 2022-02-28 Calsonic Kansei Corp Knee protector structure for vehicle
JP6446908B2 (ja) * 2014-08-20 2019-01-09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乗員脚部拘束装置
US10457240B2 (en) * 2016-11-04 2019-10-29 Magnesium Products Of America Glove box rail with integrated airbag support
JP7087814B2 (ja) * 2018-08-10 2022-06-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室前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18385A (en) * 1988-03-29 1989-11-15 Trw Repa Gmbh Vehicle passive restraint system with gas bag and knee cushion
JPH0256053A (ja) 1988-08-22 1990-02-26 Toshiba Corp 文書作成装置
JPH0256053U (ko) * 1988-10-18 1990-04-23
US4978136A (en) * 1988-12-19 1990-12-18 Mazda Motor Corporation Automotive knee protector
JPH0632195A (ja) 1992-07-17 1994-02-08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ニープロテクタ装置
JPH0732962A (ja) * 1993-07-15 1995-02-03 Nissan Motor Co Ltd 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
JPH09123863A (ja) * 1995-10-27 1997-05-13 Mitsubishi Motors Corp 脚部保護装置
JPH09123857A (ja) 1995-10-27 1997-05-13 Mitsubishi Motors Corp 脚部用エアバッグ装置
DE29702797U1 (de) * 1997-02-18 1997-06-12 Trw Repa Gmbh Knie-Rückhalteeinrichtung für Fahrzeuge
JP3411480B2 (ja) 1997-08-22 2003-06-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衝撃吸収装置
JP3838464B2 (ja) 1997-12-25 2006-10-25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のニーボルスター構造
JP2002521257A (ja) * 1998-07-20 2002-07-16 ティーアールダブリュー・オキュパント・リストレイント・システムズ・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コンパニー・カーゲー 車両用膝拘束装置
DE19950944A1 (de) * 1999-10-22 2001-04-26 Bayerische Motoren Werke Ag Knierückhalteeinrichtung
JP3772748B2 (ja) * 2001-05-21 2006-05-10 豊田合成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67497B2 (ja) 2006-04-19
US20050107729A1 (en) 2005-05-19
CN1319785C (zh) 2007-06-06
EP1481857B1 (en) 2006-08-30
DE60307991T2 (de) 2007-05-10
EP1481857A4 (en) 2005-04-27
US7290787B2 (en) 2007-11-06
WO2003074332A1 (en) 2003-09-12
KR20040084950A (ko) 2004-10-06
CN1638990A (zh) 2005-07-13
JP2003252162A (ja) 2003-09-10
AU2003211234A1 (en) 2003-09-16
DE60307991D1 (de) 2006-10-12
EP1481857A1 (en) 200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26777B (zh) 用于车辆的中央帘式气囊
JP6299477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EP1632405B1 (en) Airbag device
EP2799292B1 (en) Airbag system for automobile
US6302437B1 (en) Vehicle glove box assembly having knee restraint capabilities
KR101509780B1 (ko) 차량용 사이드에어백 유닛
KR20190019195A (ko)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및 에어백 장치용 에어백 쿠션
US20060197324A1 (en) Advanced protection driver area bag
JPH09123863A (ja) 脚部保護装置
KR100586905B1 (ko) 차량용 탑승자 무릎부 보호장치
US7967327B2 (en) Knee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US20060138763A1 (en) Airbag and sensor-equipped roll bar for open vehicles
JP4336250B2 (ja) エアバッグ装置
EP1431131B1 (en) Vehicle with occupant's leg protection system
JP2014141194A (ja) 膝側面拘束用エアバッグ装置
JP3392811B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KR100517705B1 (ko) 무릎보호용 에어백 시스템
JP2018062212A (ja) 乗員保護装置
JP5725046B2 (ja) 膝側面拘束用エアバッグ装置
KR200147871Y1 (ko) 사이드 에어백 장착 가능한 자동차 시이트 프레임
KR200141885Y1 (ko) 자동차의 조수석에 구비되는 에어백의 충격흡수구조
KR100336363B1 (ko) 차량용 에어백 하우징
KR101088293B1 (ko) 전방유리 에어백을 갖춘 차량 안전 시스템
KR20220029133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1337804B1 (ko) 자동차용 에어백 브라켓의 충격 흡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