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924B1 - 실외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실외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924B1
KR100584924B1 KR1020040049233A KR20040049233A KR100584924B1 KR 100584924 B1 KR100584924 B1 KR 100584924B1 KR 1020040049233 A KR1020040049233 A KR 1020040049233A KR 20040049233 A KR20040049233 A KR 20040049233A KR 100584924 B1 KR100584924 B1 KR 100584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reinforcing member
outdoor unit
support pillar
horizon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5255A (ko
Inventor
김기진
스즈키가쯔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산요 이렉트릭 캄파니 리미티드
산요 에어컨디셔너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산요 이렉트릭 캄파니 리미티드, 산요 에어컨디셔너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65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8Fan details of outdoor units, e.g. bell-mouth shaped inlets or fan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벽면등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함께 실내공기의 온도조절에 사용되는 실외기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지지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송풍기를 냉매압축기, 열교환기등과 함께 하우징 내에 구비한 실외기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은 상기 하우징의 저판에 세워져 설치되도록 전방으로 굴곡형성된 전측수평판부가 마련되되, 상기 지지기둥의 고정을 보강하기 위해 상부는 상기 지지기둥에 고정되며 하부는 상기 저판의 프레스성형가공에 의해 형성된 저판경사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판에 나사결합되는 경사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외기를 갖는 공기조화기{REFRIGERATOR HAVING AN OUTDOOR UNIT}
도 1은 본발명에 의한 실외기의 요부 설명도이다..
도 2는 본발명에 의한 실외기의 요부를 확대한 설명도이다.
도 3은 송풍기를 지지하는 지지기둥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본발명실외기의 전면판과 배면판과 상면판을 제외하고 보인 내부 설명도이다.
도 5는 본발명에 의한 실외기의 외견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기술을 보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하우징, 2: 압축기,
3: 열교환기, 4: 송풍기,
5: 저판, 5A: 저판저부,
5B: 저판선반부, 5C: 저판경사부,
6: 지지기둥, 7: 연결편,
8, 9: 기립편, 10, 11: 코너부,
12: 플랩, 12A: 전측수평판부,
12B: 나사구멍, 12C: 하향경사부,
13: 플랩, 13A: 횡측수평판부,
13B: 나사구멍, 14: 플랩,
14A: 횡측수평판부, 14B: 나사구멍,
15: 플랩, 15A: 경사보강부재,
15B: 선단, 15C: 개구부,
16: 플랩, 16A: 플랩,
16B: 나사구멍, 17: 송풍기설치구멍,
20: 나사, 100: 실외기.
본 발명은 실내 벽면등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함께 실내공기의 온도조절에 사용되는 실외기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실외기의 예는 일본공개특허2003-14877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에 의한 실외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가에 강도가 우수한 동제의 하우징 내에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 냉방운전 시에는 냉매가 주위의 공기에 방열하여 응축되고, 난방운전시에는 냉매가 주위의 공기로부터 흡열하여 증발되는 열교환기(3), 외기를 하우징 내에 흡입하여 열교환기의 전열핀에 배출하는 송풍기(4)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송풍기(4)는 일단이 하우징의 저판(5)에 고정되고, 타단이 열교환기(3)에 걸리는 지지기둥(6)에 지지되어 수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 의한 실외기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송풍기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기둥은 일단이 하우징의 저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열교환기의 상단부에 걸리도록 설치되므로, 열교환기의 보수점검을 위해 열교환기를 제거할 필요가 생기면 송풍기를 지지하는 지지기둥까지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지기둥의 하단은 하우징의 저판에 타단은 열교환기의 상단에까지 도달하여야 하므로 지지기둥의 길이가 필요이상으로 길어져 재료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송풍기를 열교환기와 별도로 지지함으로써 열교환기의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한 실외기를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송풍기가 짧은 부재로도 확실히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하도록 한 실외기를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지지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송풍기를 냉매압축기, 열교환기등과 함께 하우징 내에 구비한 실외기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은 상기 하우징의 저판에 세워져 설치되도록 전방으로 굴곡형성된 전측수평판부가 마련되되, 상기 지지기둥의 고정을 보강하기 위해 상부는 상기 지지기둥에 고정되며 하부는 상기 저판의 프레스성형가공에 의해 형성된 저판경사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판에 나사결합되는 경사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기둥은 상기 전측수평판부를 이용하여 상기 저판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경사보강부재는 전방에 굴곡형성된 전측수평판부를 이용하여 저판선반부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열교환기는 그 주요부분이 경사보강부재의 후방에 설치되어 송풍기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기둥의 평판부분에 대한 절곡가공에 의해 경사보강부재가 형성되고, 경사보강부재의 평판부분에 대한 절곡가공에 의해 경사보강부재의 전측수평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경사보강부재의 전측수평판부의 나사구멍은, 절곡가공에 의해 경사보강부재의 전측수평판부를 형성한 경우에 경사보강부재의 평판부분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들 도면에 있어서도 상기 도 6에 의해 설명한 부분과 같은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본발명에 의한 실외기(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제의 하우징(1)의 내부에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2)와 열교환기(3)와, 송풍기(4)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열교환기(3)는 위에서 내려다 본 형태가 대략 'ㄱ'자형으로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열교환기(3)의 전열관 내를 흐르는 냉매와 송풍기(4)에 의해 기기 외 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와의 열교환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송풍기(4)는 하우징(1)의 저판(5)에 하부측이 나사결합 고정된 지지기둥(6)의 상부측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기둥(6)은 단면이 ㄷ 자형을 하며 적절한 고강도부재, 예를 들어 동판 등을 가공하여 제작한다.
즉, 예를들어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연결편(7)과 그 연결편(7)의 장변을 따라 직각으로 절곡함으로써 평행하게 대향되도록 연결편(7)의 양측에 형성되는 기립편(8, 9)으로 이루어지는 단면 ㄷ 자형의 동판을 이용하여 일단의 코너부(10, 11)를 절단함으로써 플랩(12, 13, 14)을 형성한다.
그리고, 각플랩(12, 13, 14)을 외측(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단면 ㄷ 자형에 둘러져 있는 측을 내측, 그 반대측을 외측으로 한다.) 방향으로 90도 절곡가공하여 전측수평판부(12A), 횡측수평판부(13A, 14A)를 형성한다.
또한, 전측수평판부(12A)로서 기능하는 플랩(12)의 선단에는 하향경사부(12C)를 설치하고, 하향경사부(12C), 횡측수평판부(13A, 14A)에는 나사(20)의 수나사부가 체결될수 있는 나사구멍(12B, 13B, 14B)를 형성한다.
또한, 연결편(7)의 중앙부분에 대략 ㄷ 자형의 절단가공을 실시하여 플랩(15)을 형성하고 그 플랩(15)을 연결편(7)의 내측으로 절곡하고, 연결편(7)의 일단의 측과 40-60도 정도 예를 들면 50도를 이루도록 회동시켜 경사보강부재(15A)를 형성한다.
또한, 플랩(15)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보강부재(15A)에도 대략 ㄷ 자형의 절단가공을 실시하고, 경사보강부재(15A)의 선단(15B)의 측에 경사보강부재(15A)의 나 머지 부분과 연결되는 플랩(16)을 형성하고, 연결편(7)의 측으로 그 플랩(16)을 전측수평판부(12A)등과 평행이 될때까지 절곡하여 전측수평판부(16A)를 형성한다. 전측수평판부(16A)에는 나사(20)의 수나사부가 체결될 수 있는 나사구멍(16B)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측수평판부(16A)에 형성된 나사구멍(16B)은, 플랩(16)을 절곡하여 전측수평판부(16A)를 형성할 때 경사보강부재(15A)에 형성되는 개구부(15C)를 통해, 조립자가 연결편(7)의 타단부로부터 확인하면서 나사(20)를 체결하거나 해체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연결편(7)의 타단측에 송풍기(4)를 설치하기 위한 송풍기설치구멍(17)을 형성함으로써 지지기둥(6)이 완성된다. 또한, 지지기둥(6)을 실제로 제조하는 때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15)의 형성시에 연결편(7)에 형성된 개구부(7A)의 주위에 플랩(7B)을 형성하고, 경사보강부재(15A)에 돌출부(15D)를 형성함으로써 부재의 강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의 저판(5)에는 기기를 설치하기 위한 복수개의 선반부가 프레스가공에 의해 분산설치되며 이러한 복수개의 선반부를 분산설치함으로써 저판(5)의 휨강성이 개선된다. 즉, 저판(5)에는 가장 저면에 형성되는 저판저부(5A)와 저판저부(5A)보다 높게 형성된 저판선반부(5B)와 경사진 저판경사부(5C)가 형성된다.
그리고, 저판선반부(5B1)에는 열교환기(3)가 설치된다. 저판선반부(5B2)와, 저판선반부(5B2)의 전단부분과 저판저부(5A)를 연결하는 저판경사부(5C1)에는 지지 기둥(6)이 나사결합 고정된다. 경사보강부재(15A)의 하단부는 경사보강부재(15A)의 단부와 동일한 경사로 형성된 저판경사부(5C2) 및 저판선반부(5B1) 의 전단부분에 접하게 되고, 저판선반부(5B1)보다 일단 높게 형성된 저판선반부(5B3)에는 경사보강부재(15A)가 나사결합 고정된다.
즉, 저판(5)에는, 지지기둥(6)(경사보강부재(15A)를 포함)의 각부에 설치된 나사구멍에 대응하여 나사(20)의 수나사부가 나사결합가능한 암나사부를 내면에 갖는 미도시한 나사구멍이 소정부위에 구비된다.
더욱이, 경사보강부재(15A)의 선단(15B)을 같은 경사를 가진 저판경사부(5C2)에 인접하게 하면, 전측수평판부(12A)의 전단의 하향경사부(12C)가 저판경사부(5C1)에 인접하며, 하향경사부(12C), 횡측수평판부(13A, 14A), 전측수평판부(16A) 각각의 나사구멍과 저판(5) 측에 설치된 나사구멍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지지기둥(6)을 수직하게 세운 상태에서, 경사보강부재(15A)의 선단(15B)이 저판경사부(5C2)와 맞닿도록 하고 하향경사부(12C)가 저판경사부(5C1)와 맞닿도록 설치하면, 하향경사부(12C), 횡측수평판부(13A, 14A), 전측수평판부(16A) 각각의 나사구멍(12B, 13B, 14B, 16B)이 저판(5) 측에 설치된 나사구멍에 대응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나사(20)의 수나사부를 지지기둥(6)(경사보강부재(15A)포함)의 나사구멍 측으로부터 저판(5)측의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도록 하면 지지기둥(6)은 저판(5)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기둥(6)은 하향경사부(12C)가 저판경사부(5C1)에 인접한 상태에 서, 전측수평판부(12A), 횡측수평판부(13A, 14A)를 이용하여 저판(5)에 나사결합 고정되는 동시에 경사보강부재(15A)의 선단(15B)이, 하향경사부(12C)에 접하게된 저판경사부(5C1)와는 역방향 경사의 저판경사부(5C2)에 접하며, 플랩(16)으로 이루어지는 전측수평판부(16A)가 저판선반부(5B3)에 나사결합 고정되므로, 송풍기(4)가 지지되는 지지기둥(6)의 상부측이 열교환기(3)등에 맞물리지 않아도 운반시나 운전중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전측수평판부(16A)에 형성된 나사구멍(16B)은 상방으로부터 개구부(15C)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므로 열교환기(3)가 장착되어 있어도, 상방으로부터 나사(20)를 결합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본발명은 상기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취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각종의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측수평판부(12A)의 전방에 설치된 하향경사부(12C), 횡측수평판부(13A, 14A)등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경사보강부재(15A)를 지지기둥(6)과는 별도로 제작하고, 지지기둥(6)에 용접등으로 결합하여 일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발명에 의하면, 하단측만이 하우징의 저판에 고정된 짧은 지지기둥을 사용하여 송풍기를 열교환기로부터 독립적으로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부재의 감소에 의해 제조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열교환기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기둥이 저판에 고정되는 경사보강부재에 의해 보강되므로, 운반시나 운전중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Claims (4)

  1. 지지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송풍기를 냉매압축기, 열교환기등과 함께 하우징 내에 구비한 실외기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은 상기 하우징의 저판에 세워져 설치되도록 전방으로 굴곡형성된 전측수평판부가 마련되되,
    상기 지지기둥의 고정을 보강하기 위해 상부는 상기 지지기둥에 고정되며 하부는 상기 저판의 프레스성형가공에 의해 형성된 저판경사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판에 나사결합되는 경사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은 상기 전측수평판부를 통하여 상기 저판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경사보강부재는 전방에 굴곡형성된 전측수평판부를 이용하여 저판선반부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열교환기는 그 주요부분이 경사보강부재의 후방에 설치되어 송풍기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의 평판부분에 대한 절곡가공에 의해 경사보강부재가 형성되고, 경사보강부재의 평판부분에 대한 절곡가공에 의해 경사보강부재의 전측수평판 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경사보강부재의 전측수평판부의 나사구멍은, 절곡가공에 의해 경사보강부재의 전측수평판부를 형성한 경우에 경사보강부재의 평판부분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0040049233A 2003-12-25 2004-06-29 실외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0584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31230 2003-12-25
JP2003431230A JP4516745B2 (ja) 2003-12-25 2003-12-25 空気調和機の室外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255A KR20050065255A (ko) 2005-06-29
KR100584924B1 true KR100584924B1 (ko) 2006-05-30

Family

ID=34789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233A KR100584924B1 (ko) 2003-12-25 2004-06-29 실외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516745B2 (ko)
KR (1) KR1005849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0550A (ko) 2005-07-19 200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통 전극 표시판,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제조 방법
JP4835585B2 (ja) * 2007-11-28 2011-12-1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5720563B2 (ja) * 2011-12-28 2015-05-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CN103375903B (zh) * 2013-05-03 2015-12-0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防倾倒的落地式箱体和空调器
JP2019032093A (ja) * 2015-12-26 2019-02-28 日本電産テクノモータ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827U (ja) * 1991-08-22 1993-03-1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室外機のフアン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5679U (ja) * 1983-03-18 1984-09-28 三洋電機株式会社 熱交換ユニツト
JPS629030U (ko) * 1985-06-29 1987-01-20
JPH029729U (ko) * 1988-06-30 1990-01-22
JPH0289230U (ko) * 1988-12-23 1990-07-16
JPH0566433U (ja) * 1992-02-14 1993-09-03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H08178361A (ja) * 1994-12-20 1996-07-12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3637818B2 (ja) * 1999-09-14 2005-04-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モータ台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827U (ja) * 1991-08-22 1993-03-1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室外機のフアン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16745B2 (ja) 2010-08-04
JP2005188835A (ja) 2005-07-14
KR20050065255A (ko) 200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345066B2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US7210305B2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102022892B (zh) 冰箱
KR101901302B1 (ko) 공기조화기
JP2009127991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0584924B1 (ko) 실외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JP3903888B2 (ja) 熱交換器
US20180135882A1 (en) In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JP5516387B2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17053577A (ja) 室外機
KR20070069772A (ko) 공기조화기
JP2007187434A (ja) コンデンシングユニットとコンデンシングユニットを備えた冷却機器
JP4428507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5522021B2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WO2024071383A1 (ja) ヒートポンプサイクル装置の室外機、及び、ヒートポンプサイクル装置
KR10044110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
KR200159033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플레이트 고정구조
KR100680619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30043048A (ko) 공기 조화기용 열교환기 지지대
KR200142493Y1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제어박스 결합구조
JP5609624B2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200211714Y1 (ko) 공조기기용실내기
KR20070017707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0120748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468920B1 (ko) 캐비닛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