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523B1 - 유지보수가 용이한 음이온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유지보수가 용이한 음이온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523B1
KR100582523B1 KR1020030063077A KR20030063077A KR100582523B1 KR 100582523 B1 KR100582523 B1 KR 100582523B1 KR 1020030063077 A KR1020030063077 A KR 1020030063077A KR 20030063077 A KR20030063077 A KR 20030063077A KR 100582523 B1 KR100582523 B1 KR 100582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t
water
reservoir
mist generat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4506A (ko
Inventor
마사야수히라야마
타츄노리야마지
Original Assignee
에코트로닉스(주)
택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트로닉스(주), 택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트로닉스(주)
Publication of KR20040024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3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by direct contact with liquid, e.g. with sprayed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음이온 발생장치, 특히 가정용으로 적합한 음이온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와 저수조를 갖춘 제 1 함체와, 상기 제1 함체에 탈착이 가능하게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저수조를 씌운 제2 함체를 갖춘 음이온 발생장치로서, 상기 저수조의 내부는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미스트를 생성하는 미스트 생성기구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음이온 발생장치의 내부로 흡입한 공기를 상기 미스트 생성기구에 공급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공기 공급기구와, 상기 제2 함체와 일체화됨과 동시에 상기 미스트 생성기구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기액 분리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기액 분리수단과 상기 저수조의 벽면에 의해, 상기 미스트 생성기구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미스트와 그 미스트 이외의 물방울을 분리하는 기액 분리기구와, 상기 기액 분리기구에서 분리된 상기 미스트를 방출하는 미스트 공급기구를 구비해, 상기 제2 함체를 상기 제1 함체로부터 빼는 것에 의해, 상기 저수조를 외부로 꺼낼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음이온 발생장치. 유지보수, 미스트, 함체.

Description

유지보수가 용이한 음이온 발생장치{Anion geneator with easy maintenanc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음이온발생장치의 제1 실시 형태의 상면도(a), 정면도(b) 및 측면도(c)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에 있어서 선 A-A'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에 있어서 선 D-D'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에 있어서 선 B-B'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b)에 있어서 선 C-C'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상부 함체, 칸막이 판, 제1 바닥판, 제2 바닥판 및 기액 분리판을 자유롭게 탈착할 때의 정면도(a) 및 측면도 (b)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에 관련한 음이온발생장치에 사용가능한 미스트 생성기구의 제1 예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선E-E'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에 관련한 음이온발생장치에 사용가능한 미스트 생성기구의 제2 예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선F-F'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에 관련한 음이온발생장치에 사용가능한 미스트 생성기구의 제2 예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선F-F'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에 관련한 음이온발생장치에 사용가능한 센서를 위해 전기접점의 제2 예를 나타낸 정면단면도이고 (b)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11의 (a)는 본 발명에 관련한 음이온발생장치에 사용가능한 센서를 위해 전기접점의 제3의 예를 나타낸 정면단면도이고 (b)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에 관련한 음이온발생장치에 사용가능한 미스트 생성기구의 제3 예를 나타낸 것이고 (b)는 그 일부를 단면으로 표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의 (a)는 도 12에 도시된 제3 예에 관한 부착부제를 모터축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 및 (c)는 선G-G'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음이온 발생장치의 제2 실시형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있어서, 배출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배출구, 2 …뚜껑,
3 …상부 함체, 4 …흡기구,
5 …하부 함체, 6 …중간판,
7 …모터, 8 …공기 유입구,
9 …바닥면, 10 …제어기판,
11 …저수조, 12 …플랜지,
13 …상판, 14 …개구,
15 …모터축, 16 …슬리브,
17 …부착너트, 18 …미스트 생성기구,
19 …시로코 팬, 20 …미스트 생성부,
21 …물 공급체, 22 …흡입체,
23 …칸막이 판, 24 …제1 밑판,
25 …제2 밑판, 26 …개구,
27 …흡입구, 28 …미스트 출구,
29 …공기 유입실, 30 …미스트 유입실,
31 …함체, 32 …기액 분리판,
33 …와류방지용 날개, 41 …물 진입구,
42 …물 흡입봉, 43 …슬릿,
51 …제1 부분, 52 …제2 부분,
53 …물 진입구, 54 …물 흡입봉,
55 …함체, 56 …구멍,
57 …슬릿, 61, 62 …전극,
63, 64 …단자, 65, 66 …리드선,
67, 68 …단자봉, 69, 70 …리드선,
71, 72 …단자, 73, 74 …단자봉,
75, 76 …판 스프링식 단자판, 81 …흡입체,
82 …함체, 83 …시로코 팬,
84 …부착부재, 85 …물 흡입봉,
86 …물 진입구, 89 …슬릿,
92 …아암, 151 …회전 방지부,
901 …결합부, 100 …배출기구,
101 …도수판, 102 … 물막이 부재.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음이온 발생장치, 특히 가정용으로 적합한 음이온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이온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 일상생활을 보내면, 피로회복, 정신안정효과, 혈액정화효과, 저항력증진효과 등의 뛰어난 의료효과가 기대되는 것이 알려져 있으므로, 인위적으로 음이온의 농도를 높이는 다양한 장치가 이미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물이 부셔져 생성된 미세한 물방울(이하, 미스트(Mist)라 칭함)이 서로 마찰할 때 정전기가 발생되고, 그것에 따라 공기중의 음이온의 농도가 높아진다는, 이른바 레나드 효과를 이용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음이온 발생장치는, 저수조에 비축해 둔 물을 빨아올려 미스트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미스트와 혼합하여 외부에 뿜어내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음이온 발생장치를 가동시키면, 흡입한 공기를 물로 필터링한다. 즉 세정하는 것이 되므로, 공기 중의 오염물이 물 속으로 취합된다. 그 결과, 저수조내의 물은 혼합된 공기 중의 먼지나 티끌에 의해 더러워져, 저수조 내에 물때와 미끈거리는 찌꺼기가 생긴다. 그래서 저수조내의 물을 정기적으로 교환하거나, 저수조를 세정하는 등의 유지보수를 정기적으로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의 음이온 발생장치에는, 저수조에서 급수하기 위한 탱크가 본체와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많다. 이 경우, 저수조의 물을 교환하는 것은, 먼저 저수조의 바닥면에 만들어진 배수코크를 열어 저수조내의 물을 배출한 후, 본체로부터 탱크를 빼내어 부엌이나 세면장등에서 탱크내의 더러워진 물을 폐기하고, 이어 탱크에 물을 넣고 본체로 되돌려 탱크내의 물을 저수조에 넣었다.
저수조만을 본체로부터 빼내어 물의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한 음이온 발생장치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러한 음이온 발생장치는, 기액 분리부나 미스트 생성부를 동시에 세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세정하기 위해서는 본체의 대부분을 분해해야만 한다. 게다가, 분해되었다고 하더라도 세정에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 이것은 탱크나 저수조에 그 내부의 물의 양을 감시하기 위한 수위센서가 부착되어 있고, 그것을 위해 전기배선을 하여, 본체의 내부에는 여러 가지의 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돌기가 튀어나와 있을 뿐만 아니라, 손이 들어가기 힘들게 형성되어 있는 곳도 있기 때문이다.
청소나 세정을 위해 전용의 브러시나 천이 첨부되어 있는 음이온 발생장치도 시판되고 있지만, 이것에 의해 청소나 세정할 수 있는 장소는 한정되어 있고, 무리해서 손을 집어넣거나 하면 상처를 입을 수 있다.
업무용의 대출력 음이온 발생장치와 비교해서, 가정용의 음이온 발생장치는 소형이므로, 운반이 비교적 용이하다. 때문에, 장치본체를 부엌이나 세면장으로 가지고 가서 저수조내의 물을 교환하거나 청소할 수 있고, 또한, 장치를 운반하는 대신 바가지 등으로 물을 퍼서 저수조에 급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점에서 가정용 음이온 발생장치의 최대 과제는, 저수조로의 급배수와 청소를 더 한층 용이하게 실현한 것이다.
게다가, 음이온 발생장치는 미스트와 그것보다 무거운 물방울을 분리하기 위한 기액 분리부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분리는, 종래는 사이클론탑에 의해(예를 들면, 특허문헌 2참조) 또는 사행통로(蛇行通路)에 의해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참조) 행하고 있다. 사행통로에 따라 기액분리를 행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통상 기액분리탑을 사용해, 그 내부에 통로를 사행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더러움이나 물때가 쌓이기 쉬워 불결하게 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내부를 청소하려고 해도 전용 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한 청소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특개 2001-304636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평 5-58755호 공보
[특허문헌 3]
특개평 5-192418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이온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구조가 간단한 음이온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모터와 저수조를 갖춘 제 1 함체와, 상기 제1 함체에 탈착이 가능하게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저수조를 둘러싸는 제2 함체를 갖춘 음이온 발생장치로서,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미스트를 생성하는 미스트 생성기구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음이온 발생장치의 내부로 흡입한 공기를 상기 미스트 생성기구에 공급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공기 공급기구와, 상기 제2 함체와 일체화됨과 동시에 상기 미스트 생성기구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기액 분리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기액 분리수단과 상기 저수조의 벽면에 의해, 상기 미스트 생성기구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미스트와 그 미스트 이외의 물방울을 분리하는 기액 분리기구와, 상기 기액 분리기구에서 분리된 상기 미스트를 방출하는 미스트 공급기구를 구비해, 상기 제2 함체를 상기 제1 함체로부터 빼는 것에 의해, 상기 저수조를 외부로 꺼낼 수 있는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미스트 생성기구가, 일단이 상기 저수조 내의 물에 투입되고, 상기 미스트 생성기구의 회전에 의해 물을 흡입하는 원통형의 흡입체와, 상기 흡입체에 연결되며, 수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는 깔때기형의 물 공급체와, 상기 물 공급체의 내면을 타고 온 물에서 미스트를 생성하는 미스트 생성부와, 상기 미스트 생성부에 재치되고, 상기 미스트 생성기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음이온 발생장치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의 공기흐름을 생성하는 시로코 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미스트 생성기구가, 수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는 깔때기 형의 물 공급체이고, 그 일단이 상기 저수조 내의 물에 투입되고, 상기 미스트 생성기구의 회전에 의해 물을 흡입하는 물 공급체와, 상기 물 공급체의 내면을 타고 올라온 물로부터 미스트를 생성하는 미스트 생성부와, 상기 미스트 생성부에 재치되고, 상기 미스트 생성기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음이온 발생장치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의 공기흐름을 생성하는 시로코 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모터가 공기의 유로에 배치되어, 동작시에 공기에 의해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저수조의 내부의 물이 소정의 레벨보다도 낮아지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2 함체에, 상기 저수조에 대향하는 유지보수용 뚜껑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저수조가 상기 모터의 축을 통과시키기 위한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축과 함께 회전가능하며, 상기 축으로부터 자유롭게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축과 상기 슬리브 사이의 사이에서 진입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음이온 발생장치의 2개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의 (a), (b) 및 (c)는, 본 발명에 의한 음이온 발생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상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상기 음이온 발생장치는 일측면에 분출구(1)를 가짐과 동시에 윗면에 유지보수용 뚜껑(2)을 가진 상부 함체(3)와, 일 측면에 흡기구(4)를 가짐과 동시에 다수의 기구부품을 수납한 하부 함체(5)를 갖추고 있다. 상부 함체(3)에 설치된 뚜껑(2)은 유지보수 등의 필요한 때에는 탈착할 수 있고, 상부 함체(3)와 하부 함체(5)는 자유롭게 탈착하여 조립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음이온 발생장치가 수평한 대 위에 놓여져 있는 것으로 하여 그 구조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하부 함체(5)의 내부는 중간판(6)에 의해 상하로 분리되어 있다. 중간판(6)의 하면에는, 물 공급체(후술한다)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7)가 부착되고, 또, 중간판(6)의 흡기구(4)로부터 먼 방향 측으로는, 흡기구(4)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공기 유입구(8)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흡기구(4)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모터(7)를 거쳐 공기 유입구(8)를 통과하여 중간판(6)의 상부 공간에 유입된다. 모터(7)의 시동, 정지, 속도 조절 등의 제어는, 하부 함체(5)의 바닥면(9)에 부착되어진 제어기판(10) 상의 회로에 의해 행해진다.
중간판(6)의 위쪽 공간에는 저수조(11)가 탈착이 자유롭게 부착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저수조(11)의 상단은 바깥쪽으로 절곡된 플랜지(12)를 형성하고 이것에 대응하여 하부 함체(5)의 상부에는, 저수조(11)가 통과 가능한 한편 플랜지(12)가 끼워질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상판(13)이 중간판(6)과 평행으로 부착된다. 저수조(11)의 횡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거의 타원형이지만,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판(13)에는 중간판(6)의 공기 유입구(8)에 대응해서 개구(14)가 형성되며, 이것에 의해, 흡기구(4)로부터 공기 유입구(8)를 통해 중간판(6)의 위쪽 공간으로 들어간 공기는 하부 함체(5)와 저수조(11)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개구(14)를 통해 상부 함체(3)의 내부공간으로 들어간다. 도 2의 흰색 화살표는 공기 흐름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저수조(11)의 바닥면으로부터, 중간판(6)의 하면에 부착된 모터(7)의 모터축(15)을 통과시키기 위한 슬리브(16)가 세로로 삽입된다. 상기 슬리브(16)는 저수조(11)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위쪽으로 소정 거리만큼 돌출되어 있다. 이는 물이 슬리브(16)의 내부를 통해 저수조(11)의 외부로 새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모터축(15)에는 부착나사(17)에 의해 미스트 생성기구(18) 및 시로코 팬(sirocco fan, 19)이 자유롭게 탈착됨과 동시에, 슬리브(16)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미스트 생성기구(18)는 미스트 생성부(20)와, 상단이 미스트 생성부(20)에 고착된 깔때기 형태의 물 공급체(21)와, 물 공급체(21)의 하단에 고 착된 흡입체(22)로 이루어진다. 미스트 생성기구(18)에 대해서는 도 6 및 7을 사용하여 후술한다.
한편, 상부 함체(3)의 내부공간은 수직 칸막이 판(23)에 의해 좌우로 이분되어, 칸막이 판(23)과 상부 함체(3)의 하단에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돌출부와의 사이에, 제1 바닥판(24) 및 제2 바닥판(25)이 설치된다. 상부 함체(3), 칸막이 판(23), 제1 바닥판(24) 및 제2 바닥판(25)은 일체로 되어 있다. 제1 바닥판(24)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13)의 개구(14)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26)가 형성되어, 시로코 팬(19)에 대응하는 위치에 공기입구(27)가 형성된다. 또한 제2 바닥판(25)에는 도 4에 나타난 것처럼, 미스트 출구(28)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 함체(3)의 내벽, 제1 바닥판(24) 및 칸막이 판(23)을 둘러싼 공간은, 개구(26)로부터 유입한 공기를 공기입구(27)를 통하여 저수조(11)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유입실(29)을 형성하고, 상부 함체(3)의 내벽과 제2 바닥판(25)과 칸막이 판(23)이 둘러싸는 공간은, 저수조(11)내에서 생성된 미스트를 빼내어 분출구(1)에 공급하기 위한 미스트 유입실(30)이 된다.
칸막이 판(23)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지보수용 뚜껑(2)으로부터 시로코 팬(19)의 상면 근처에 다다르는 길이를 가지고 있고, 제1 바닥판(24) 및 제2 바닥판(25)의 하면에는, 상부 함체(3)를 하부 함체(5)에 부착했을 때 저수조(11)의 상부내면의 오목부와 결합하는 함체(31)가 형성되어 있다.
저수조(11)의 내부공간은 기액 분리판(32)에 의해 이분된다. 기액 분리판(32)은 제2 바닥판(25)의 하면에 일체로 부착되어,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 이, 시로코 팬(19)의 주위 3/4정도를 감싸는 형상으로 한다. 기액 분리판(32)의 하단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흡입체(22)보다도 저수조(11)의 바닥면에 가깝게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흡입체(22), 물 공급체(21), 미스트 생성부(20) 및 시로코 팬(19)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미스트와 미스트보다도 무거운 물방울은, 기액 분리판(32)과 하부 함체(5)의 내벽 사이 공간을 도 5의 화살표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흐르는 과정에서 분리되어, 미스트를 포함하는 공기가 미스트 출구(28)를 통해 미스트 유입실(30)로 유입한다. 이처럼, 저수조(11)의 내부에서는 미스트 생성과 기액분리 양방의 기능이 행해진다.
음이온 발생장치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의 구조를 하고 있기 때문에, 전원 스위치(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음)를 켜서 모터(7)를 회전시키면, 모터축(15)에 고착된 시로코 팬(19)이 미스트 생성부(20), 물 공급체(21) 및 흡입체(22)와 함께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장치 내에 공기가 흡기구(4)로부터 빨아들여져, 모터(7)를 통과해 공기 유입구(8), 개구(14, 26) 및 공기입구(27)를 지나 저수조(11)내의 공기가 빨아들여진다.
흡입체(22)의 회전에 의해 흡입체(22)는 물을 빨아올린다. 빨아올려진 물은, 물 공급체(21)의 내벽을 따라 원심력에 의해 윗방향으로 이동하고, 미스트 생성부(20)의 내부로 방출된다. 이 결과, 방출된 물이 미스트 생성부(20)의 내벽과 충돌해 미스트나 미스트보다도 무거운 물방울을 방출한다. 방출된 미스트나 물방울은, 시로코 팬(19)이 일으키는 바람에 밀려 하부 함체(5)와 기액 분리판(32)과의 사이를 선회한다. 선회 과정에서, 미스트보다도 무거운 물방울은 원심력에 의해 하 부 함체(5)의 내벽으로 눌려지기 때문에, 음이온과 미스트가 공기와 함께 미스트 출구(28)부터 미스트 유입실(30)을 지나, 분출구(1)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또, 흡입체(22)에 의한 흡입을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슬리브(16)의 흡입체(22)와 저수조(11)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와류방지용 날개(33)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공기의 유로에 모터(7)를 배치하였기에 동작 중에는 모터(7)를 강제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C모터는 2600rpm정도의 회전수로 작동하면, 모터 표면에서의 발열이 격렬하게 되어 장시간의 운전이 불가능하게 될 수도 있으나, 도 2에 표시하듯이 공기의 유로에 모터(7)를 배치한 것에 의해, 모터(7)의 온도를 45도 정도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저수조(11)내의 물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상부 함체(3)를 들어올려 하부 함체(5)로부터 탈착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상부 함체(3)와 함께 칸막이 판(23), 제1 바닥판(24), 제2 바닥판(25) 및 기액 분리판(32)이 일체로 되어 하부 함체(5)로부터 탈착하므로, 다음에 부착된 나사(17)를 모터축(15)으로부터 빼는 것에 의해 시로코 팬(19). 미스트 생성부(20), 물 공급체(21) 및 흡입체(22)를 슬리브(16)에 부착한 상태로 저수조(11)를 하부 함체(5)의 외부로 꺼낼 수 있다. 이렇게 저수조(11)내의 물을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이 때는 저수조(11) 및 미스트 생성기구(18)의 청소뿐만 아니라, 공기 유입실(29), 미스트 유입실(30), 칸막이 판(23), 기액 분리판(32)의 청소도 행할 수 있다.
유지보수 시에는, 뚜껑(2)을 상부 함체(3)로부터 탈착하면 좋다. 이에 따라, 상부 함체(3) 상면의 개구로부터 청소용구 또는 손을 넣어서 저수조(11), 공기 유입실(27) 및 미스트 유입실(28)의 내부와 칸막이 판(21), 기액 분리판(30), 미스트 생성기구(18)를 청소할 수 있고 공기 중의 먼지와 티끌에 의해 장치내부가 더러워질 가능성이 있는 모든 곳의 청소가 가능하다.
또한 위의 설명에는 상부 함체(3), 칸막이 판(23), 제1 바닥판(24), 제2 바닥판(25) 및 기액 분리판(32)이 일체로 되어 하부 함체(5)로부터 분리되는 구조이고, 유지보수 시에는 이러한 일체화된 부분을 하부 함체(5)로부터 분리하면 되므로, 뚜껑(2)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부 함체측의 요소를 2개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상부 함체 측의 청소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6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함체(3)와 칸막이 판(23)을 일체로 하여 윗쪽을 구성함과 동시에 제1 바닥판(24), 제2 바닥판(25)과 기액 분리판(32)을 일체화하여 아랫쪽 부분을 구성하고, 이러한 윗쪽과 아랫쪽을 적당한 고정수단에 의해 자유롭게 탈착하게 결합되면 좋다. 예를 들어 상부 함체(3)의 내면에 돌출부분을 설치하고, 이것이 끼워지는 오목부를 제1 바닥판(24) 및 제2 바닥판(25)의 바깥주위에 설치하면 좋다.
여기서 미스트 생성기구(18)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의 (a)는 미스트 생성기구(18)의 제1 예를 나타내며, (b)는 선 E-E'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체(22)의 밑면은 중앙에 물 진입구(41)가 형성된 비드 형태로 하여두고, 흡입체(22)의 내벽에는 물 흡입봉(42)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흡입체(22)의 상단은 깔때기 형상으로, 중공의 물 공급체(21)의 하단에 접속되어 모 터(7)에 의해 미스트 생성기구(18)가 회전될 때에 흡입체(22)에 의해 빨아올려진 물은 원심력에 의해 물 공급체(21)의 내벽을 따라 미스트 생성부(20)쪽으로 타고 간다.
물 공급체(21)의 상단은 미스트 생성부(20)에 접속되어 미스트 생성부(20)의 위에 시로코 팬(19)이 고착된다. 미스트 생성부(20)는 동심형의 내통과 외통을 가지며, 이 내통과 외통에는 간격을 두고 가늘고 긴 슬릿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a)에는 외통에 형성된 복수의 슬릿(43)이 나타내어져 있다. 미스트 생성기구(18)의 회전에 의해 물 공급체(21)의 내면을 따라 타고 온 물은 미스트 생성부(20)의 내통 내부로 방출된 후 미스트 생성기구(18)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내통의 슬릿을 통과하여 외통을 향하여 방출되고 외통의 내벽과 충돌하여 미스트를 머금은 미세한 물방울이 된다. 이러한 미세한 물방울이 외통의 슬릿(43)을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도 8의 (a)는 미스트 생성기구(18)의 제2 예를 나타내고 있고, (b)는 선F-F'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 예에서 물 공급체(21)는 깔때기 형상의 제1 부분(51)과 원통형의 제2 부분(52)으로 이루어진다. 제1 부분(51)의 하부는 흡입체(22)를 겸용으로 하며, 제1 부분(51)의 바닥면은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을 빨아올리기 위한 물 진입구(53)가 중앙에 형성된 비드형태이며, 바닥면에 연결된 내벽에는 물 흡입봉(54)아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미스트 생성부(20)는 제2 부분(52)의 주위를 감싸는 함체(55)를 구비하며, 함체(55)의 윗부분에 시로코 팬(19)이 부착된다. 물 공급체(21)의 제2 부분(52)에 는 물 공급체(21)의 내벽을 회전하며 올라온 물을 방출하기 위한 구멍(56)이 적당한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미스트 생성부(20)의 함체(55)에는 가늘고 긴 슬릿(57)이 적당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구멍(56)으로부터 방출된 물은 함체(55)의 내벽에 충돌하여 미스트를 머금은 미세한 물방울이 되어 슬릿(57)을 통하여 외부에 방출된다.
음이온발생 장치를 동작시켜서 공기 중에 음이온을 방사해 가면 서서히 저수조(11)내의 물의 수위가 내려가지만, 음이온을 방사하기 위해서는 유효한 물 수위범위가 존재한다. 저수조(11)내에 소정의 높이까지 물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지만, 수위가 소정의 하한까지 도달하는 것을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경고를 발하도록 하여 물의 추가 또는 교환을 지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특정 형태의 센서를 저수조(11)나 하부 함체(5)에 부착하여야만 하지만, 저수조(11)의 탈착과 내부청소에 방해가 되지 않는 센서일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센서의 일례는 저수조(11)내의 물의 저항치를 이용한 것이다.
물의 저항치를 이용한 센서를 실현하는 것은 저수조(11)의 내벽에 물의 하한위치에 대응하여 2개의 전극을 떨어트려 설치하고, 그 한편의 전극을 접지하고 다른 쪽의 전극을 고저항 또는 전류계를 통하여 저전압원에 접속하면 좋다. 이로 인해 전류계의 눈금치는 저수조(11)내에 물이 하한위치보다도 위로 올라갈 때와 물이 하한 위치보다도 낮은 위치로 도달할 때에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를 검출하여 경보를 발하도록 하고 물의 보급 또는 교환을 재촉한다. 경보의 일례는 램프의 점등 또는 소등 혹은 부저의 울림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저수조(11)의 내벽에 설치된 전극과 외부의 회로를 접속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a) 및 (b)는 자석식 접점을 이용하는 것이고, 저수조(11)의 내벽의 하부에 수위의 하한위치에 대응하여 2개의 전극(61, 62)이 설치되어 저수조(11)의 바닥면의 외부표면의 적당한 곳에 도전성을 가짐과 동시에 자화된 자성체의 단자(63, 64)가 설치되며, 전극(61)과 단자(63)의 사이 및 전극(62)과 단자(64)의 사이에는 리드선(65, 66)으로 각각 접속된다. 리드선(65, 66)은 도 8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수조(11)의 외벽을 따라 설치된다. 한편 하부 함체(5) 내의 중간판(6)에는 단자(63, 64)에 대응하는 위치에 중간판(6)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한편 도전성을 가진 자성체의 단자봉(67, 68)이 설치되며, 단자봉(67)은 리드선(69)을 통해 고저항과 접속되고, 단자봉(68)은 리드선(70)을 통해서 접지된다. 따라서, 저수조(11)가 하부 함체(5) 내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면, 단자봉(67, 68)은 단자(63, 64)로 자력에 의해 끌어당겨져 단자(63, 64)와 접촉한 상태로 되므로 전극(61, 62)은 외부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도 10의 (a) 및 (b)는 스프링식 접점을 이용하는 것으로 저수조(11)에는 리드선(65)을 통하여 전극(61)과 접속된 도전성의 단자(71)와, 리드선(66)을 통하여 전극(62)과 접속된 도전성의 단자(72)가 설치되고, 중간판(6)에는 단자(71, 72)에 대응하여 스프링에 의해 단자(71, 72)쪽으로 눌려지고 있는 단자(73, 74)가 설치된다. 단자봉(73)은 리드선(69)을 통하여 고저항과 접속되며 단자봉(74)은 리드선(70)을 통하여 접지된다. 따라서 저수조(11)를 하부 함체(5)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면 단자(71)와 단자봉(73)이 접촉하고, 단자(72)와 단자봉(74)이 접촉하 여 전기회로를 형성한다.
도 11의 (a) 및 (b)는 판 스프링식 접접을 이용하는 것으로 저수조(11)에는 리드선(65)을 통하여 전극(61)과 접속된 도전성의 단자(71)와, 리드선(66)을 통하여 전극(65)과 접속된 도전성의 단자(72)가 설치되고 중간판(6)에는 단자(71, 72)에 대응하여 중간판(6)의 위쪽으로 돌출한 판 스프링식의 단자판(75, 76)이 설치되어 있다. 단자판(75)은 리드선(69)을 통하여 고저항과 접속되고, 단자판(76)은 리드선(70)을 통하여 접지된다. 따라서 저수조(11)를 하부 함체(5)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면 단자(71)는 단자판(75)과, 단자(72)는 단자판(76)과 각각 접촉하여 전기회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도 12를 사용하여 미스트 생성기구(18)의 제3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의 (a)는 상면도, (b)는 모터축(15)의 중심선을 포함한 면에 있어서 미스트 생성기구(18)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있어서 미스트 생성기구(18)는 흡입체(81), 함체(82), 시로코 팬(83) 및 부착부재(84)를 가진다. 흡입체(81)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 시에 그 하부가 저수조(11)(도 2)내의 가라앉도록 모터축(15)에 부착되어 수면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열린다. 즉, 지름이 커지는 깔때기 형을 하고 있다. 흡입체(81)의 하부의 내면에는 복수의 물 흡입봉(85)이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고착되어 있고, 흡입체(81)의 바닥면에는 물 진입구(8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흡입체(81)의 윗면은 내면을 타고 올라온 물을 방출하기 위해 개구되어 있다.
함체(82)는 원형의 밑면(87)과 그것을 감싸는 측면(88)을 가지고 있고, 상기 측면(88)에는 함체(82)의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슬릿(8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밑면(87)의 중앙부는 적당한 방법에 의해 흡입체(81)의 외면에 고정되어 이러한 흡입체(81)와 함체(82)는 일체로 된다.
부착부재(84)는 미스트 생성기구(18)를 모터축(15)에 고정하여 모터축(15)과 함께 회전시키기 위한 부재로, 모터축(15)의 상단에 부착부재(84)를 부착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원통부(90)를 갖춘다. 원통부(90)의 중간에는 원통부(90)의 전 주위에 걸쳐 소정폭의 제1 테두리부(91)가 설치되어 제1 테두리부(91)의 외주를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함체(82)의 밑면(87) 쪽을 향하여 복수의 아암(92)이 형성된다. 더욱이 아암(92)의 하단으로부터 함체(82)의 측면(88)을 향하여 도너츠형의 제2 테두리부(93)가 설치된다. 제2 테두리부(93)는 적당한 방법으로 함체(82)의 밑면(87)에 고착된다. 이렇게 해서 흡입체(81)와 함체(82)와 부착부재(84)가 일체로 된다. 즉 아암(92)과 제2 테두리부(93)를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각 아암에 보강부재를 설치하여도 좋다.
부착부재(84)의 제2 테두리부(93)의 위에 시로코 팬(83)이 재치되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시로코 팬(83)을 형성하는 다수의 날개(94)가 제2 테두리부(93)의 위에 소정의 간격으로 부착한다. 이 결과 흡입체(81), 함체(82), 시로코 팬(83) 및 부착부재(84)가 일체로 된다.
따라서 모터(7)(도 2)가 회전하면 모터축(15)과 함께 미스트 생성기구(18)가 회전하여 흡입체(81)의 내면을 따라 나선상으로 밀어올려간다. 밀어올려진 물은 흡입체(81)의 상단에 도달하면 회전에 따라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방출되고, 이 어서 복수의 아암(92)에 의해 때려져(쪼개어져) 조대립자가 된다. 이러한 물의 조대립자는 더욱이 시로코 팬(83)의 날개(94)로 부서짐과 동시에 공기입구(27)(도 2)를 통하여 시로코 팬(83)의 중심부로부터 흡입된 공기와 혼합된다. 이렇게 공기와 혼합된 조대립자는 더욱이 함체(82)와 충돌하여 미세한 미스트로 됨과 동시에 음이온을 발생시킨다. 생성된 미스트 및 음이온은 흡입된 공기와 함께 함체(82)의 슬릿(89)으로부터 방출된다.
이처럼 미스트 생성기구(18)의 제3 예에 있어서도 흡입체(81)로부터 방출된 물은 우선 복수의 아암(92)에서 때려지고 이어서 시로코 팬(83)의 날개(94)에서 부서져 최후에 함체(82)의 벽면과 충돌하므로 흡입체(81)로부터 방출된 물은 효과적으로 순차 미세화되어 미스트를 생성한다. 또한 아암(92)에 의해 조대립자화된 물은 흡입된 공기와 시로코 팬(83)의 날개에 의해 혼합되므로 미스트 생성효율을 높일 수 있다.
부착부재(84)를 모터축(15)에 부착하는 것은, 예를 들어 도 13의 (a), (b) 및(c)에 나타낸 것처럼 하면 좋다. 도 13의 (a)는 부착부재(84)를 모터축(15)에 부착한 상태를, 부착부재(84)의 요부를 단면의 상태로 나타내고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축(15)의 상단부에는 단면이 예를 들어 다각형 등의 비원형의 회전연결부(151)와 그 쪽으로 연장되는 소정 길이의 연장부(152)가 형성되어져 있다. 연장부(152)의 상부에는 원주방향의 홈(153)이 형성되어져 있다. 이에 대응하여 부착부재(84)의 원통부(90)의 하부에는 회전연결부(151)의 외형에 합치하는 형상의 구멍 이 형성된 결합부(901)가 설치되어 원통부(90)의 상단에는 홈(153)에 결합한 부착부재(84)가 모터축(15)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 방지부(902)가 설치되어져 있다.
회전 연결부(151)의 단면형상은 예를 들어 도 13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브 형태이어도 좋다. 이것에 대응하여 결합부(901)의 구멍의 형상도 리브형상다. 또한 동도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 연결부(151)의 단면형상을 육각형으로 해도 좋다. 이 때에는 결합부(901)에는 회전 연결부(151)의 형상에 합치하는 육각형의 구멍을 형성해도 좋고, (C)에 나타난 것처럼 회전 연결부(151)의 바깥면과 결합부(901)의 내면의 사이에 작은 공간이 형성되어도 좋다. 어떠한 형태이던 간에 부착부재(84)를 모터축(15)과 함께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모터축(15)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부착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계된 음이온발생장치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동도에 있어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요소는 동일의 참조숫자가 제시되며 따라서 양 실시의 형태의 공통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실시 형태가 제1 실시의 형태와 상이한 점은 모터축(15)과 슬리브(16)의 사이 틈새로 진입한 물이 모터(7)의 베어링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을 장치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배출기구(100)를 설치한 것이다. 배출기구(100)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진입한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중간판(6)에 고정된 도수판(101)과, 상기 도수판(101)의 위에 재치되어 물이 모터(7)의 베어링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물막이 부재(102)를 갖는다. 즉, 하부 함체(5)의 내면에 고정된 중간판(6)은 일측에 시로코 팬(19)의 회전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음이온발생장치의 한 측면을 따라 융기한 부분(61)을 보유한다. 도 14에 있어서 일점쇄선은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음이온과 함께 유출될 때까지의 흐름의 경로를 나타낸다.
한편, 도수판(101)은 단면이 거의 L자형이 되도록 2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제1 부재(1011)은 중간판(6)의 융기한 부분(61)에 대하여 고정된다. 도수판(101)의 제2 부재(1012)는 중간판(6)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고, 그 도중에 모터축(15)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원통부재(1013)가 설치된다. 제2 부재(1012)는 원통부재(1013)의 근방에서 중간판(6)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중간판(6)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부재(1014)가 설치된다. 배출부재(1015)를 통하여 배출된 물은 물받이(103)에 저장된다.
도수판(101)의 원통부재(1013)의 위쪽에 예를 들어 고무로 된 물막이 부재(102)가 모터축(15)에 고정된다. 물막이 부재(102)는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수판(101)의 원통부재(1013)의 위쪽에 모터축(15)에 고정된 원판형의 제1 부재(1021)와 제1 부재(1021)의 외부 테두리에 원통부재(1013)를 감싸도록 설치된 제2 부재(1012)를 보유한다.
이처럼 물막이 부재(102)를 모터축(15)과 일체화함에 의해 모터축(15)과 슬리브(16) 사이의 간격으로 진입한 물은 슬리브(16)의 하단으로부터 물막이 부재(102) 위로 방울져 떨어져 물막이 부재(102)를 타고 도수판(101)의 경사부재(1014)에 떨어진다. 그 후 물은 경사부재(1014) 위를 흘러 배출부재(1015 )에 이르러 그곳에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모터(7)의 베어링에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2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 14에는 바닥판(6)과 도수판(101)이 별개로 된 구조가 나타나 있지만 바닥판(6)과 도수판(101)은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도 4에는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 제3 예의 미스트 생성기구가 나타나 있지만, 상기 제2 실시 형태는 이러한 미스트 생성기구 뿐만 아니라, 제1 예 및 제2 예의 미스트 생성기구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도 9 ~ 도 11에서 설명한 센서를 제2 실시 형태에 설치하는 가능하다. 역으로 도 14 및 도 15에서 설명한 물 배출기구를 도 1 ~ 도 8에서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관한 음이온 발생장치에 일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칸막이 판이나 기액 분리판의 형상은 도면에 나타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저수조의 횡단면 형상도 기액 분리효율을 높이도록 기액 분리막의 형상에 맞추어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1) 저수조를 통째로 장치 바깥으로 꺼낼 수 있으므로, 지금까지 필요했던 배수코트나 급배수탱크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제조코스트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수조의 청소 그 외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2) 미스트의 생성과 기액의 분리를 저수조의 안에서 행하므로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제조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으며 게다가 유지보수도 용이하게 된다.
(3) 빨아들인 공기에 의해 모터를 냉각하는 구조로 할 수 있는 등과 같이 각별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Claims (8)

  1. 모터와 저수조를 구비한 제1 함체와, 상기 제1 함체에 탈착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한편 상기 저수조를 덮는 제2 함체를 구비한 음이온발생장치로서,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미스트를 생성하는 미스트 생성기구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음이온 발생장치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미스트 생성기구에 공급하는 공기공급기구와,
    상기 제2 함체와 일체화되는 한편 상기 미스트 생성기구를 감싸도록 설치된 기액(氣液) 분리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기액분리수단과 상기 저수조의 벽면에 의해, 상기 미스트 생성기구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미스트와 그 미스트 이외의 물방울을 분리하는 기액 분리기구와,
    상기 기액 분리기구로 분리된 상기 미스트를 방출하는 미스트 공급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함체를 상기 제1 함체로부터 탈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저수조를 외부로 꺼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생성기구가, 일단이 상기 저수조 내의 물에 투입되고, 상기 미스트 생성기구의 회전에 의해 물을 흡입하는 원통형의 흡입체와,
    상기 흡입체에 연결되며, 수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는 깔때기형의 물 공급체와,
    상기 물 공급체의 내면을 타고 온 물에서 미스트를 생성하는 미스트 생성부와,
    상기 미스트 생성부에 재치되고, 상기 미스트 생성기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음이온 발생장치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의 공기흐름을 생성하는 시로코 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생성기구가 수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는 깔때기 형의 물 공급체이고, 그 일단이 상기 저수조 내의 물에 투입되고, 상기 미스트 생성기구의 회전에 의해 물을 흡입하는 물 공급체와,
    상기 물 공급체의 내면을 타고 올라온 물로부터 미스트를 생성하는 미스트 생성부와,
    상기 미스트 생성부에 재치되고, 상기 미스트 생성기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음이온 발생장치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의 공기흐름을 생성하는 시로코 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공기의 유로에 배치되어, 동작시에 공기에 의해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내부의 물이 소정의 레벨보다도 낮게 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함체에, 상기 저수조에 대향하는 유지보수용 뚜껑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가 상기 모터의 축을 통과시키기 위한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축과 함께 회전가능하며, 상기 축으로부터 자유롭게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축과 상기 슬리브 사이의 사이에서 진입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장치.
KR1020030063077A 2002-09-12 2003-09-09 유지보수가 용이한 음이온 발생장치 KR1005825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66851 2002-09-12
JP2002266851 2002-09-12
JPJP-P-2003-00076092 2003-03-19
JP2003076092A JP2004154535A (ja) 2002-09-12 2003-03-19 メンテナンスの容易な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506A KR20040024506A (ko) 2004-03-20
KR100582523B1 true KR100582523B1 (ko) 2006-05-23

Family

ID=32827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077A KR100582523B1 (ko) 2002-09-12 2003-09-09 유지보수가 용이한 음이온 발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4154535A (ko)
KR (1) KR1005825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904A (ko) 2017-12-11 2019-06-19 서한나 3차원 이동구조를 갖는 이온 발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58162A (en) * 2008-03-07 2009-09-09 Reckitt Benckiser Air cleaner
JP5272477B2 (ja) * 2008-04-01 2013-08-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水微粒化装置とそれを用いた加湿装置
JP5032389B2 (ja) * 2008-05-09 2012-09-26 株式会社コロナ マイナスイオン及びナノミスト発生装置
JP5058877B2 (ja) * 2008-05-15 2012-10-24 株式会社コロナ サウナ用ナノミスト及び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
JP5006258B2 (ja) * 2008-05-26 2012-08-22 株式会社コロナ サウナ用ナノミスト及び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
JP5259532B2 (ja) * 2009-08-27 2013-08-07 株式会社コロナ サウナ装置
JP5335624B2 (ja) * 2009-09-01 2013-11-06 株式会社コロナ サウナ装置
CN113959027A (zh) * 2015-10-30 2022-01-21 Lg电子株式会社 加湿净化装置
KR101931708B1 (ko) * 2015-10-30 2018-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KR101931706B1 (ko) * 2015-10-30 2019-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KR101859960B1 (ko) * 2015-10-30 201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EP3163197B1 (en) * 2015-10-30 2020-02-26 LG Electronics Inc.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US10113759B2 (en) 2015-10-30 2018-10-30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94582B2 (en) 2015-10-30 2018-10-0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US10054323B2 (en) 2015-10-30 2018-08-2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EP3163092B1 (en) * 2015-10-30 2020-12-02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2043924B1 (ko) * 2019-02-22 2019-11-12 최영진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
JP7157007B2 (ja) * 2019-05-30 2022-10-19 株式会社コロナ 加湿装置
CN115076844A (zh) * 2022-07-06 2022-09-20 厉亚 一种水负离子康养机
CN115446033B (zh) * 2022-08-17 2023-12-12 苏州晶洲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带过滤机构的等离子清洗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904A (ko) 2017-12-11 2019-06-19 서한나 3차원 이동구조를 갖는 이온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54535A (ja) 2004-06-03
KR20040024506A (ko) 200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523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음이온 발생장치
KR100605735B1 (ko)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습식 공기 청정기
KR20170051141A (ko) 공기조화기
US20160059175A1 (en) Air washer
CN113455975A (zh) 一种表面清洁设备
KR101766023B1 (ko) 가습량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KR101931444B1 (ko) 습식형 공기정화장치
EP1827653A1 (en) Wet type air cleaner
CN110168287A (zh) 超声波加湿器
KR20130026172A (ko) 습식 공기 청정장치
KR20110010728U (ko) 가습기
WO2006090966A1 (en) Wet type air cleaner
KR20170008992A (ko) 가습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KR100945071B1 (ko) 수위감지형 습식 공기청정기
CN217817290U (zh) 水幕空气净化器
JP2000033216A (ja) ミスト発生装置
CN108050587B (zh) 一种空气净化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694035B1 (ko) 습식 공기청정기용 워터펌프
CN115111686A (zh) 水洗空气净化器
WO2018105792A1 (ko) 소음 및 진동 흡수형 공기청정기
WO2018105796A1 (ko) 가습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KR0144749B1 (ko) 물 분사식 공기 청정기
WO2018105795A1 (ko) 효율적인 공기흐름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CN218074827U (zh) 一种湿式清洁设备
CN221105736U (zh) 污水箱及洗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