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385B1 - 분말 흡입기 - Google Patents

분말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1385B1
KR100581385B1 KR1020047009651A KR20047009651A KR100581385B1 KR 100581385 B1 KR100581385 B1 KR 100581385B1 KR 1020047009651 A KR1020047009651 A KR 1020047009651A KR 20047009651 A KR20047009651 A KR 20047009651A KR 100581385 B1 KR100581385 B1 KR 100581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powder inhaler
housing
hole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9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1233A (ko
Inventor
니시바야시도루
아다치신타로
사토데츠야
Original Assignee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오오쯔까 테크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98726A external-priority patent/JP36168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32034A external-priority patent/JP3590848B1/ja
Application filed by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오오쯔까 테크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1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1Particle size control
    • A61M11/002Particle size control by flow deviation causing inertial separation of transported 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61M15/0025Mouthpieces therefor with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7Mechanical counters
    • A61M15/0071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 A61M15/0075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on a dis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33Conductive materials, e.g. antistatic coatings for spark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6/00Characteristics of a physical parameter; associated device therefor
    • A61M2206/10Flow characteristics
    • A61M2206/16Rotating swirling helical flow, e.g. by tangential inflows

Abstract

하우징, 다회 용량의 미분말상 약제를 수용하고, 하면에 약제 배출구멍이 개구된 공급체, 공급체의 약제 배출구멍으로부터 미분말상 약제가 공급되고, 1회 용량분의 용적을 갖는 계량구멍을 상면측에 포함하는 약제 반송체,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약제 반송체를 조작하는 조작체를 포함하고, 약제 반송체를 공급체의 하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써, 계량구멍에 충전된 미분말상 약제를 약제 배출구멍의 위치부터 흡기유로 안으로 이동시키는 분말 흡입기에 있어서, 약제 반송체는 요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약제 반송체의 요동에 의해 계량구멍이 원호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말, 약제, 방습, 정량성, 흡입기, 계량구멍, 반송체, 원호운동

Description

분말 흡입기{POWDER INHALATION DEVICE}
본 발명은 다회 용량의 미분말상(微粉末狀) 약제를 투여할 수 있는 분말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분말 흡입기는, 다회 용량의 미분말상 약제를 수용하는 공급체, 1회분의 용량에 대응하는 용적의 계량구멍을 갖는 약제 반송체, 및 약제 반송체를 조작하는 조작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미분말상 약제를 흡입하는 경우에는, 공급체의 약제 배출구멍으로부터 계량구멍내로 미분말상 약제를 충전하고, 공급체에 대하여 약제 반송체를 슬라이딩시켜 계량구멍을 직선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계량구멍내의 미분말상 약제는 약제 반송체의 슬라이딩에 의해 약제 배출구멍의 구멍 가장자리부에서 스크랩(scrap)되어 일정량의 미분말상 약제가 흡입유로(吸入流路) 속으로 반송된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제2000-501013호).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채용했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2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제1 문제점으로, 미분말상 약제를 스크랩하는 경우에, 도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량구멍(100)이 화살표와 같이 직선으로 이동함으로써, 미분말상 약제가 약제 배출구멍(101)의 구멍 가장자리부 근방의 사선부분으로 밀집하고, 이 결과, 미분말상 약제의 공급체와 약제 반송체의 사이에 미분말상 약제가 끼여져서 미분말상 약제의 계량성을 저하시키고, 또한, 약제 반송체의 조작성도 악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제2 문제점으로, 약제 반송체의 슬라이딩에 의한 마찰 대전으로 정전기가 발생하고, 미분말상 약제가 분말 흡입기내에 부착되어서 미분말상 약제의 정량성 및 미립자 비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제2 문제점에 대해서는, 계량구멍의 이동 거리를 짧게 하여 대전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고려되지만, 종래의 분말 흡입기는 보호 캡이 조작체를 겸하고, 또한 마우스피스를 노출시키는데 필요한 보호 캡의 이동 거리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계량구멍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적어도 분말 흡입기의 마우스피스로부터 보호 캡을 떼어 내는데 필요한 거리만큼 계량구멍을 이동시키지 않으면 안되었고, 대전량의 감소는 곤란했다.
또한, 전용의 조작체를 이용해서 약제 반송체를 조작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조작체를 조작했다라는 실감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조작체를 어느 정도의 거리만큼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즉, 분말 흡입기의 경우는, 계량구멍이 약제 흡기유로의 안쪽까지 이동해서 흡입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조작체의 조작 감각에 의해 흡입 가능 상태를 실감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분말 흡입기에서는 조작체를 가까이 이동시켜서 대전량을 감소시키는 것은 구조상 곤란하였다.
또한, 종래의 분말 흡입기는, 미분말상 약제를 흡입할 경우에는, 조작체에 의해 약제 반송체를 조작해서 계량구멍내에 충전된 미분말상 약제를 흡입구를 향해서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5-237189호).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분말 흡입기의 공급체나 약제 반송체 등은 하우징내에 수용되어 있지만, 조작체는 사용자가 수동조작을 하는 관계상,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여 있기 때문에, 조작체와 개구부와의 사이에는 간극(gap)이 형성되어, 간극으로부터 외부 공기가 침입해서 약제가 습기를 머금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에서, 분말 흡입기를 방습 케이스에 수납해서 휴대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사용할 때마다 분말 흡입기를 방습 케이스로부터 꺼내야만 하고, 미분말상 약제를 흡입할 때까지 시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분말 흡입기를 분말 흡입기보다도 더 큰 방습 케이스에 넣는 것에 의해 휴대성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미분말상 약제가 공급체와 약제 반송체의 사이에 끼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조작체의 이동 거리를 짧게 하지 않고 대전량의 감소가 가능한 분말 흡입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습 전용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 방습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분말 흡입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분말 흡입기는, 하우징, 다회 용량의 미분말상 약제를 수용하고, 하면에 약제 배출구멍이 개구된 공급체, 공급체의 약제 배출구멍으로부터 미분말상 약제가 공급되어, 1회 용량분의 용적을 갖는 계량구멍을 상면측에 포함하는 약제 반송체, 및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약제 반송체를 조작하는 조작체를 포함하고, 약제 반송체를 공급체의 하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동작함으로써, 계량구멍에 충전된 미분말상 약제를 약제 배출구멍의 위치부터 흡기유로 속으로 이동시키는 분말 흡입기에 있어서, 약제 반송체를 요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약제 반송체의 요동에 의해 계량구멍을 원호운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계량구멍은 약제 반송체의 요동 중심과 약제 반송체로의 조작체의 작용점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작체는 푸시버튼(pushbutton)이며, 조작체를 누르는 것에 의해 계량구멍을 약제 흡기유로 속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급체, 약제 반송체 및 조작체에 도전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계량구멍은 구면 오목 형상(spherical concave shape)의 바닥이 있는 구멍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분말 흡입기는, 앞측에 흡입구가 설치된 하우징, 복수회 용량분의 미분말상 약제를 수용하는 공급체, 공급체와 흡입구의 사이 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하여, 공급체의 미분말상 약제의 일회 용량분을 흡입구를 향해서 반송하는 약제 반송체, 하우징의 전부(前部)에 씌워지는 보호 캡, 및 약제 반송체를 조작하는 조작체를 포함하는 분말 흡입기에 있어서, 하우징의 후측에 개구부가 설치되고, 조작체를 캡 형상에 형성하는 동시에, 조작체를 전후로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하우징의 후부(後部)에 씌우고, 개구부에 삽입되는 연결체에 의해 조작체와 약제 반송체를 연결하고, 보호 캡을 하우징에 씌웠을 때에는, 보호 캡의 후단과 조작체 선단이 결합해서 하우징을 둘러싸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과 조작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공기의 유입을 저지하는 배플(baffle)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작체 선단 및 보호 캡의 후단의 적어도 한 쪽에 밀봉 재료(seal member)를 부착하고, 밀봉 재료를 통해 보호 캡과 조작체를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의 분말 흡입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실시형태1의 분말 흡입기의 세로 단면도.
도3은 실시형태1의 분말 흡입기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4는 실시형태1의 분말 흡입기의 상측 하우징의 평면도.
도5는 실시형태1의 분말 흡입기의 하측 하우징의 평면도.
도6은 실시형태1의 분말 흡입기 록킹체(lock member)의 평면도.
도7은 실시형태1의 분말 흡입기의 조작체의 평면도.
도8은 실시형태1의 분말 흡입기의 베이스체의 평면도.
도9의 (a)는 실시형태1의 분말 흡입기 약제 반송체의 평면도, (b)는 실시형태1의 약제 반송체의 측면도.
도10의 (a)는 실시형태1의 분말 흡입기의 프레스체(press member)의 평면도, (b)는 실시형태1의 베이스체로의 프레스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1은 실시형태1의 분말 흡입기의 카운터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12의 (a)는 실시형태1의 분말 흡입기의 공급체의 평면도, (b)는 실시형태1의 공급체의 저면도.
도13의 (a)는 실시형태1의 분말 흡입기의 마우스피스의 평면도, (b)는 실시형태1의 마우스피스의 측면도.
도14는 실시형태1의 분말 흡입기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15는 실시형태1의 분말 흡입기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16은 실시형태1의 분말 흡입기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17은 실시형태1의 분말 흡입기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18은 실시형태1의 분말 흡입기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19는 실시형태1의 분말 흡입기 약제 반송체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20은 실시형태1의 분말 흡입기의 조작체의 록킹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21은 실시형태1의 분말 흡입기에 의한 미분말상 약제의 스크래핑(scraping)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2의 분말 흡입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3은 실시형태2의 분말 흡입기의 세로 단면도.
도24는 실시형태2의 분말 흡입기의 연결체의 평면도.
도25는 실시형태2의 분말 흡입기의 베이스체의 평면도.
도26의 (a)는 실시형태2의 분말 흡입기 약제 반송체의 평면도, (b)는 실시형태2의 약제 반송체의 측면도.
도27의 (a)는 실시형태2의 분말 흡입기의 프레스체의 평면도, (b)는 실시형태2의 베이스체로의 프레스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28은 실시형태2의 분말 흡입기의 카운터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29의 (a)는 실시형태2의 분말 흡입기의 공급체의 평면도, (b)는 실시형태2의 공급체의 저면도.
도30의 (a)는 실시형태2의 분말 흡입기의 마우스피스의 평면도, (b)는 실시형태2의 마우스피스의 측면도.
도31은 실시형태2의 분말 흡입기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32는 실시형태2의 분말 흡입기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33은 실시형태2의 분말 흡입기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34는 실시형태2의 분말 흡입기에 의한 흡입 동작을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
도35의 (a)는 실시형태2의 분말 흡입기의 동작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b)는 실시형태2의 분말 흡입기의 동작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36의 (a)는 실시형태2의 분말 흡입기의 동작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b)는 실시형태2의 분말 흡입기의 동작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
도37은 분말 흡입기의 조작체의 록킹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3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3의 분말 흡입기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
도39는 실시형태3의 분말 흡입기의 카운터, 호퍼 및 연결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40은 실시형태3의 분말 흡입기의 카운터 및 래치트(ratchet)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41의 (a)는 실시형태3의 분말 흡입기의 동작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b)는 실시형태3의 분말 흡입기의 동작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42는 종래의 분말 흡입기에 의한 미분말상 약제의 스크래핑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1의 설명)
도1은 분말 흡입기의 사시도, 도2는 분말 흡입기의 세로 단면도, 도3은 분말 흡입기를 분해한 측면도이다. 분말 흡입기는, 도1 내지 도3과 같이, 하우징(1A), 미분말상 약제를 자력으로 흡입하기 위한 마우스피스(2), 다회 용량의 미분말상 약 제를 수용하는 공급체(3), 1회 용량의 미분말상 약제를 반송하는 약제 반송체(drug carrier)(4), 약제 반송체(4)를 조작하는 조작체(푸시버튼(pushbutton))(5), 조작체(5)를 록킹하는 록킹체(locking member)(6), 베이스체(7), 및 투약 회수를 표시하는 카운터(8)를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1A)은 상측 하우징(1a)과 하측 하우징(1b), 및 보호 캡(1c)을 포함한다. 상측 하우징(1a) 및 하측 하우징(1b)은 도3에 나타내는 래치 후크(latch hook)(1d) 및 래치 홈(latch groove)(1e)에 의해 스냅-인(snap-in) 방식으로 접합된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약제 반송체(4)는 요동하기 때문에, 약제 반송체(4)에 요동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하우징(1A)의 가로 폭은 넓게 되어 있다.
도2 및 도4와 같이, 상측 하우징(1a) 및 하측 하우징(1b)의 선단측에는 마우스피스(2)의 설치부(1f)가 형성되고, 설치부(1f)에는 마우스피스(2)를 핀칭(pinching)하기 위한 핀칭 돌기(pinching projection)(1g)가 설치되어 있다. 상측 하우징(1a) 및 하측 하우징(1b)의 기단측(基端側)에는 조작체(5)의 수납부(1h)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하우징(1a)의 마우스피스(2)의 부착부(1f)의 근방에는 장방형 슬릿 형상의 공기 취입구(1i)가 설치되고, 카운터(8)의 부착 위치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카운터(8)의 상태를 판독하기 위한 윈도우(1j)가 설치되어 있다.
도5와 같이, 하측 하우징(1b)의 내면측에는, 조작체(5)를 가이드하기 위한 선형 돌기(linear projection)(1k)와 가이드 축(1m), 돌출부(1n)로 둘러싸인 록킹체(6)를 수용하는 수납부(1u), 수납부(1u)내에 형성되는 록킹체(6)의 피봇축(pivot shaft)(1p), 스프링-래치 돌기(spring-latch projection)(1q), 베이스 리시버(base receiver)(1r), 및 결합 돌기(engagement projection)(1s)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마우스피스(2)는 본체부(2a)와 커버부(2b)로 구성되고, 본체부(2a)에는 미분말상 약제를 분산시키는 약제 흡기유로(流路)(2c)가 형성되고, 본체부(2a)의 외주부에는 결합 홈(2e)이 형성되고, 커버부(2b)에는 흡기구(2f)가 설치되어 있다.
공급체(3)는 약 200회분의 복용량의 미분말상 약제를 수용하는 호퍼(hopper)(3a)를 포함하고, 호퍼(3a)의 하단에는 약제 배출구멍(3b)이 설치되고, 공급체(3)의 호퍼(3a) 상단측의 개구부(3c)는 미분말상 약제를 습기로부터 보호하는 덮개(3d)로 폐쇄되며, 호퍼(3a)의 외벽면에는 공기 흡인 홈(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급체(3)에는 관통구(3f)가 형성되고, 카운터(8)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핀(3h)을 갖는 커버(3e)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약제 반송체(4)의 계량구멍(4c) 주위부와 접촉 면적을 작게 하기 위해서, 약제 배출구멍(3b)의 주변부 및 약제 반송체(4)의 슬라이딩부(4e)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두꺼운 벽부(thick-wall part)(3g)가 형성되고, 약제 반송체(4)는 두꺼운 벽부(3g)의 하면에만 접촉하게 되어 있다.
조작체(5)는 하우징(1A)에 평행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설치 되고, 조작 스프링(코일 스프링)(51)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눌려 들어가게 되어 있다. 조작체(5)는 가이드판(5a)을 포함하고, 가이드판(5a)에는 약제 반송체(4)의 래칭 슬롯(5b), 가이드 슬롯(5c), 및 하측 하우징(1b)의 스프링-래치 돌기(1q)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슬롯(5d)이 설치되고, 가이드판(5a)의 하면측에는 결합 핀(5e)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체(5)로부터는 조작 스프링(51)을 부착하기 위한 스프링 부착 축(5f)이 돌출되어 있다.
록킹체(6)에는 가이드 홈(6a), 제1 전환부(6b), 제2 전환부(6c), 상측 결합부(6d), 하측 결합부(6e), 피봇 구멍(6f) 및 탄성 아암(6g)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록킹체(6)는, 하측 하우징(1b)의 수용부(1u)에 수용되고, 피봇 구멍(6f)은 수용부(1u)내의 피봇 축(1p)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록킹체(6)상에는 조작체(5)가 위치되고, 조작체(5)의 결합 핀(5e)은 록킹체(6)의 가이드 홈(6a) 안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은 록킹체(6)는, 아래와 같이 동작한다. 즉, 조작체(5)를 손끝으로 누르면, 조작체(5)의 결합 핀(5e)은 록킹체(6)의 하측 결합부(6e)로부터 가이드 홈(6a)을 통해서 제1 전환부(6b)에 도달한다(도20(a)). 이 때, 록킹체(6)는 탄성 아암(6g)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요동한다. 그 후, 조작체(5)를 해제하면, 조작 스프링(51)의 탄성력에 의해 조작체(5)의 결합 핀(5e)이 상측 결합부(6d)에 결합되고, 조작체(5)는 눌려진 상태로 잠궈진다. 다음으로, 조작체(5)를 다시 누르면, 록킹체(6)의 탄성 아암(6g)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결합 핀(5e)은 하측 결합부(6e)로부터 해제되어 제2 전환부(6c)에 도달한다(도20(b)). 다음으로, 조작체(5)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면, 조작 스프링(51)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 핀(5e)은 가이드 홈(6a)을 통해서 하측 결합부(6e)로 이동하고, 조작체(5)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도20 (a)). 한편, 분말 흡입기 전체의 동작에 대해서 후술한다.
도9과 같이 약제 반송체(4)의 일단부에는 축 구멍(4a)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래치 핀(4b)이 설치되고, 축 구멍(4a)과 래치 핀(4b)의 중간 부분에는 1회분 용 량에 대응하는 용적을 소유하는 구면 오목 형상의 바닥이 있는 계량구멍(4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약제 반송체(4)에는 카운터(8)에 겹합된 카운터(8)를 회전시키는 래치트(ratchet)(4d)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계량구멍(4c)은 관통구이여도 좋다.
약제 반송체(4)의 상면의 일부는 고조되어 평면에서 볼 때 원호 형상의 슬라이딩부(4e)가 형성되고, 슬라이딩부(4e)의 일단부에 계량구멍(4c)이 위치하고 있다.이것에 의해, 계량구멍(4c)이 원호 형상으로 이동했을 경우에도 약제 반송체(4)의 슬라이딩부(4e)만이 공급체(3)의 약제 배출구멍(3b) 주위의 두꺼운 벽부(3g)의 하면과 접촉하게 된다.
약제 반송체(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체(7)의 피봇 핀(7i)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약제 반송체(4)의 래치 핀(4b)은 조작체(5)의 래칭 슬롯(5b)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약제 반송체(4)와 조작체(5)가 결합된다.
또한, 약제 반송체(4)는 후술하는 프레스체(9)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약제 반송체(4)의 슬라이딩부(4e)는 공급체(3)의 약제 배출구멍(3b) 주위의 두꺼운 벽부(3g)의 하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약제 반송체(4)의 슬라이딩부(4e)와 호퍼(3a)의 약제 배출구멍(3b) 주위부의 긴밀도가 향상되고, 약제 반송체(4)의 계량구멍(4c)으로부터 미분말상 약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베이스체(7)에는 결합구(7a) 및 카운터 지지 축(7b)이 설치되고, 이 카운터 지지 축(7b)의 주위에는 카운터 지지 환(7c)이 세워 설치된다. 또한, 약제 반송체 (4)가 요동해서 래치 핀(4b)이 이동하는 범위에는 노치(7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체(7)에는 프레스체(9)의 부착부(7e)가 형성되고, 부착부(7e)에는 결합구(7f)를 갖는 스프링 지지 축(7g)과 고정 핀(7h)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프레스체(9)의 하면측에는 결합 돌기(9a)와 결합구(9b)를 포함하는 보스부(boss)(9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10의 (b)와 같이 베이스체(7)의 고정 핀(7h)에 프레스체(9)의 결합구(9b)을 결합하고, 프레스 스프링(코일 스프링)(10)이 삽입된 베이스체(7)의 스프링 지지 축(7g)에 프레스체(9)의 결합 돌기(9a)를 결합함으로써, 프레스체(9)를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있다. 또한, 프레스체(9)의 부착부(7e)의 근방에는 피봇 핀(7i)이 형성되어 있다.
카운터(8)는 공지된 구조이며, 1의 자리를 나타내는 캠 부착 원반(8a)과 10의 자리를 나타내는 캠 부착 휠(8b)을 포함하고 있다. 캠 부착 원반(8a)은 베이스체(7)의 카운터 지지 축(7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캠 부착 원반(8a)에는 캠 부착 휠(8b)이 끼워지는 동시에 베이스체(7)의 카운터 지지 환(7c)에서 지지된다.
그리고, 약제 반송체(4)의 요동에 의해 래치트(4d)에 의해 1의 자리를 나타내는 캠 부착 원반(8a)은 1의 계수(計數) 위치만 회전시키고, 투약 회수가 10회째에서 캠 부착 휠(8b)이 1의 계수 위치만 회전시키고, 캠 부착 휠(8b)의 최대 눈금만큼 투약 회수를 표시한다.
공급체(3), 약제 반송체(4) 및 조작체(5)의 재료에 카본 등의 도전성 필러(filler)를 더해서 도전성을 부여하고, 정전기를 누설시켜도 좋다.
한편, 도전성을 부여하는 부품은, 공급체(3), 약제 반송체(4) 및 조작체(5)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분말 흡입기의 조립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전술한 바와 같이 하측 하우징(1b)의 수용부(1u)에 록킹체(8a)를 수용한 후, 조작체(5)를 하측 하우징(1b)에 부착하여 록킹체(6)상에 위치시킨다. 이 때, 조작체(5)의 가이드 슬롯(5c)내로 하측 하우징(1b)의 가이드 축(1m)을 삽입하고, 조작체(5)의 삽입 슬롯(5d)에 하측 하우징(1b)의 스프링-래치 돌기(1q)를 삽입한다. 또한, 조작체(5)의 스프링 부착 축(5f)에 조작 스프링(51)을 그 일단측으로부터 삽입하고, 조작 스프링(51)의 타단측을 하측 하우징(1b)의 스프링-래치 돌기(1q)에 래칭한다.
다음으로, 베이스체(7)를 하측 하우징(1b)의 베이스 리시버(1r)에 장착하고, 베이스체(7)의 결합구(7a)를 하측 하우징(1b)의 결합 돌기(1s)에 결합하여 베이스체(7)를 위치 결정한다(도16).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체(7)에 프레스체(9)를 장착한 후, 베이스체(7) 및 프레스체(9)상에 약제 반송체(4)를 놓는다. 이 때, 약제 반송체(4)의 피봇 구멍(4c)과 베이스체(7)의 피봇 핀(7i)이 결합하고, 약제 반송체(4)의 래치 핀(4b)을 조작체(5)의 래칭 슬롯(5b)에 삽입해서 약제 반송체(4)를 조작체(5)에 결합한다(도17).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해서 카운터(8)를 베이스체(7)에 장착한다.또한, 하측 하우징(1b)의 핀칭 돌기(1g)에 마우스피스(2)의 결합 홈(2e)을 결합한다.
다음으로, 약제 반송체(4)상에 공급체(3)를 위치시키고, 베이스체(7)의 피봇 핀(7i)에 공급체(3)의 관통구(3f) 및 약제 반송체(4)의 피봇 구멍(4a)을 통과시켜 약제 반송체(4)를 요동가능하게 지지하고, 공급체(3)의 커버(3e)로 카운터(8)를 위치 결정한다 (도18).
다음으로, 하측 하우징(1b)에 상측 하우징(1A)을 접합함으로써, 상측 하우징(1a)의 내면측에 형성된 위치 결정부에 의해 공급체(3)를 위치 결정하는 동시에, 상측 하우징(1a)의 핀칭 돌기(1g)를 마우스피스(2)의 결합 홈(2e)에 결합하고, 마지막으로, 마우스피스(2)의 본체부(2a)에 커버부(2b)를 결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말 흡입기는 부품을 아래에서부터 쌓아 올려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 순서가 명확해져서 생산성이 향상되고, 또한, 나사가 불필요하게 되는 것 만큼 생산성이 더욱 향상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분말 흡입기는, 이하의 동작에 의해 계량구멍(4c)에 의한 미분말상 약제의 계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조작체(5)를 누르기 전의 상태는, 도2와 같이 약제 반송체(4)는 약제 반송체(4)의 계량구멍(4c)이 공급체(3)의 약제 배출구멍(3b)과 결합하는 약제 충전 위치에 위치한다.
그리고, 조작체(5)를 눌러서 록킹하면, 약제 반송체(4)가 요동하고, 도2의 2점 쇄선과 같이 계량구멍(4c)은 약제 충전 위치로부터 호퍼(3a)의 공기 흡인 홈(32) 근방의 공간내로 이동한다. 이 때, 계량구멍(4c)내에 충전된 미분말상 약제는 약제 배출구멍(3b) 주위의 두꺼운 벽부(3g)에 의해 절단되고, 1회분 용량의 미분말 상 약제가 공기 흡인 홈(32)의 근방의 공간까지 반송된다.
다음으로, 환자의 흡기압으로 마우스피스(2)의 흡기구(2f)로부터 하우징(1A) 안의 공기를 흡인하면, 하우징(1A) 안은 부압(負壓)으로 되고, 도2의 화살표와 같이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A)의 공기 취입구(1i)로부터 하우징(1A) 안에 흡인되어, 마우스피스(2)의 공기 흡인 홈(32)을 통하여 마우스피스(2)의 약제 흡기유로(2c)에 도달한다. 이것에 의해, 약제 반송체(4)의 계량구멍(4c)내에 충전된 미분말상 약제에 공기 충격이 가해져서 미분말상 약제가 마우스피스(2)의 약제 흡기유로(2c)내로 비산(飛散)되고, 흡인된 공기와 함께 흡기구(2f)를 통해서 환자의 폐기관내로 도달한다.
다음으로, 조작체(5)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약제 반송체(4)가 스윙-백(swing back)하고, 계량구멍(4c)은 공급체(3)의 약제 배출구멍(3b)의 하측의 약제 충전 위치까지 복귀된다.
이와 같이, 조작체(5)의 눌림 동작 및 조작체(5)의 복귀 동작에 의해, 약제 반송체(4)의 슬라이딩부(4e)는, 공급체(3)의 약제 배출구멍(3b) 주위부에 대하여 슬라이딩하고, 약제 반송체(4)의 계량구멍(4c)은 약제 배출구멍(3b)과 결합하는 위치와 공기 흡인 홈(32) 근방의 공간 사이를 원호 왕복운동한다.
또한, 약제 반송체(4)의 계량구멍(4c)은, 약제 반송체(4)의 축 구멍(4a)(약제 반송체(4)의 요동 중심)과 약제 반송체(4)의 래치 핀(4b)(조작체(5)의 작용점)의 중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계량구멍(4c)의 이동 거리는 조작체(5)의 이동 거리보다 짧아지게 되고, 조작체(5)의 이동 거리와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는 종래의 것 과 비교하여, 계량구멍(4c) 주위의 슬라이딩거리가 짧아져서 정전기 발생량을 저감할 수 있고, 계량구멍(4c)에 의한 미분말상 약제의 계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21과 같이 계량구멍(4c)은 원호운동하기 때문에, 미분말상 약제를 스크랩(scrap)하는 경우에, 동도의 화살표와 같이 미분말상 약제는 호퍼(3a)의 약제 배출구멍(3b)의 구멍 벽(31c)을 따라 이동한다. 그 결과, 미분말상 약제가 약제 배출구멍(3b)의 구멍 벽(31c) 부근에 체류함으로써 공급체(3)와 약제 반송체(4)의 사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호퍼(3a) 안의 미분말상 약제를 완전히 소비하면, 분말 흡입기는 폐기된다.
(실시형태2의 설명)
도22는 분말 흡입기의 사시도, 도23은 분말 흡입기의 세로 단면도이다. 분말 흡입기는 하우징 본체(1) 및 마우스피스(2)를 갖는 하우징(1A), 보호 캡(1c), 다회 용량의 미분말상 약제를 수용하는 공급체(3), 1회분 용량의 미분말상 약제를 반송하는 약제 반송체(4), 약제 반송체(4)를 조작하는 조작체(5A), 약제 반송체(4) 및 조작체(5A)를 연결하는 연결체(5), 연결체(5)를 통해 조작체(5A)를 록킹하는 록킹체(6), 베이스체(7), 및 투약 회수를 표시하는 카운터(8)를 포함하고 있다.
도23과 같이, 하우징 본체(1)는 상측 하우징 본체(1a)와 하측 하우징 본체(1b)를 포함하고, 하우징 본체(1)의 후단에는 연결체(5)를 삽입하기 위한 조작용 개구부(10A)가 설치되어 있다.
상측 하우징 본체(1a) 및 하측 하우징 본체(1b)는, 도시하지 않은 래치 후크 및 래치 홈에 의해 스냅 결합으로 접합된다. 도22 및 도35와 같이, 상측 하우징 본체(1a) 앞측 중앙 및 좌우 양측에는 장방형 슬릿 형상의 공기 취입구(1i)가 설치되고, 카운터(8)의 부착 위치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카운터(8)의 상태를 판독하기 위한 윈도우(1j)가 설치되어 있다. 도31과 같이 하측 하우징 본체(1b)의 내면측에는, 연결체(5)를 가이드하기 위한 선형 돌기(1k)와 가이드 축(1m), 돌출부(1n)로 둘러싸인 록킹체(8a)를 수용하는 수납부(1t), 수납부(1t) 안에 형성되는 록킹체(6)의 피봇 축(1p), 스프링-래치 돌기(1q), 베이스 리시버(1r), 및 결합 돌기(1s)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23과 같이 마우스피스(2)는 본체부(2a)와 커버부(2b)로 구성되고, 본체부(2a)에는 미분말상 약제를 분산되게 하는 약제 흡기유로(2c)가 형성되고, 본체부(2a)의 외주부에는 결합 홈(2e)이 형성되고, 커버부(2b)에는 분말상 약제를 자력으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2f)가 설치되어 있다.
도23 및 도29와 같이 공급체(3)는, 약 200회분의 복용량의 미분말상 약제를 수용하는 호퍼(3a)를 포함하고, 호퍼(3a)의 하단에는 약제 배출구멍(3b)이 설치되고, 공급체(3)의 호퍼(3a)의 상단측의 개구부(3c)는 미분말상 약제를 습기로 보호하는 덮개(3d)로 폐쇄되고, 호퍼(3a)의 외벽면에는 공기 흡인 홈(32)이 형성되어 있다.또한, 공급체(3)에는 관통구(3f)가 형성되고, 카운터(8)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핀(3h)을 갖는 커버(3e)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약제 반송체(4)의 계량구멍(4c) 주위부와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하기 위해서, 약제 배출구멍 (3b)의 주변부 및 약제 반송체(4)의 슬라이딩부(4e)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두꺼운 벽부(3g)가 형성되고, 약제 반송체(4)는 두꺼운 벽부(3g)의 하면에만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도22 및 도23과 같이, 보호 캡(1c)은 마우스피스(2) 및 하우징 본체(1)의 앞 부분을 덮는 크기로 설정되고, 후단에는 엘라스토머(elastomer) 등으로 형성된 밀봉 재료(11c)가 부착된다.
연결체(5)는 하우징 본체(1)에 평행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설치 되고, 도37과 같이 조작 스프링(코일 스프링)(51)에 의해 하우징 본체(1)의 개구부(10A)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스프링 가압되어 있다. 연결체(5)는, 도24와 같이, 가이드판(5a)를 포함하고, 가이드판(5a)에는 약제 반송체(4)의 래칭 슬롯(5b), 가이드 슬롯(5c), 및 하측 하우징 본체(1b)의 스프링-래치 돌기(1q)를 삽입 하기 위한 삽입 슬롯(5d)이 설치되고, 가이드판(5a)의 하면측에는 결합 핀(5e)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체(5)로부터는 조작 스프링(51)을 부착하기 위한 스프링 부착 축(5f)이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판(5a)의 후단에는 조작체(5A)를 부착하기 위해서 문자 L형상의 부착부(5g)가 형성되고, 부착부(5g)에는 결합구(5h)가 형성되고, 부착부(5g)의 좌우 양측에는 래치용 탄성편(5i)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체(5A)는 캡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23 및 도34과 같이 하우징 본체(1)의 후부에 씌워져서 개구부(10A)를 덮는 동시에 하우징 본체의 후부에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조작체(5A)와 하우징 본체(1)의 사이에는 짧은 간극(10B)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의 후부 외주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배플 (10C)이 형성되고, 배플(10C)에 의해 간극(10B)으로부터 개구부(10A)를 통해서 하우징 본체(1)내로 외기가 유입하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조작체(5A)가 하우징 본체(1)의 후부에 덮여 있기 때문에, 간극(10B)의 입구로부터 하우징 본체(1a) 안의 분말상 약제에 돌달하기까지의 외기의 유입 경로가 길어져서, 외기가 유입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조작체(5A)의 후부 이면측에는 결합 돌기(51A) 및 래치 돌기(52A)가 형성되고, 결합 돌기(51A)는 연결체(5)의 결합구(5h)에 결합되고, 래치 돌기(52A)에는 연결체(5)의 래치용 탄성편(5i)이 조금 탄성변형한 상태로 래치되도록 되어 있다.
록킹체(6)에는, 도31과 같이, 가이드 홈(6a), 제1 전환부(6b), 제2 전환부(6c), 상측 결합부(6d), 하측 결합부(6e), 피봇 구멍(6f) 및 탄성 아암(6g)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록킹체(6)는, 하측 하우징 본체(1b)의 수용부(1t)에 수용되고, 피봇 구멍(6f)은 수용부(1t) 안의 피봇 축(1p)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록킹체(6)상에는 연결체(5)가 위치되고, 연결체(5)의 결합 핀(5e)은 록킹체(6)의 가이드 홈(6a)안으로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록킹체(6)는 아래와 같이 동작한다. 즉, 조작체(5A)를 통하여 연결체(5)를 누르면, 연결체(5)의 결합 핀(5e)은 록킹체(6) 하측 결합부(6e)로부터 가이드 홈(6a)을 통해서 제1 전환부(6b)에 도달한다(도37의 (a)). 이 때, 록킹체(6)는 탄성 아암(6g)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요동한다. 그 후, 조작체(5A)를 해제하면, 조작 스프링(51)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체(5)의 결합 핀(5e)이 상측 결합부(6d)에 결합되고, 연결체(5)는 눌려진 상태로 잠겨진다. 다음으로, 조작체(5A)를 통하 여 연결체(5)를 다시 누르면, 록킹체(6)의 탄성 아암(6g)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결합 핀(5e)은 하측 결합부(6e)로부터 해제되어서 제2 전환부(6c)에 도달한다(도37(b)). 다음으로, 조작체(5A)에 대한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조작 스프링(51)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 핀(5e)은 가이드 홈(6a)을 통해서 하측 결합부(6e)로 이동하고, 조작체(5A) 및 연결체(5)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도37의 (a)). 한편, 분말 흡입기 전체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25와 같이 약제 반송체(4)는, 일단부에 축 구멍(4a)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래치 핀(4b)이 설치되고, 축 구멍(4a)과 래치 핀(4b)의 중간 부분에는 1회분 용량에 대응하는 용적을 갖는 구면 오목 형상의 바닥이 있는 계량구멍(4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약제 반송체(4)에는 카운터(8)에 결합된 카운터(8)를 회전시키는 래치트(4d)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계량구멍(4c)은 관통구이여도 좋다.
약제 반송체(4)의 상면의 일부가 고조되어 평면에서 볼 때 원호 형상의 슬라이딩부(4e)가 형성되고, 슬라이딩부(4e)의 일단부에 계량구멍(4c)이 위치하고 있다.이것에 의해, 계량구멍(4c)이 원호 형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약제 반송체(4)의 슬라이딩부(4e)만이 공급체(3)의 약제 배출구멍(3b) 주위의 두꺼운 벽부(3g) 하면과 접촉하게 되고 있다.
약제 반송체(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체(7)의 피봇 핀(7i)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약제 반송체(4)의 래치 핀(4b)은 연결체(5)의 래칭 슬롯(5b)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약제 반송체(4)와 연결체(5)가 결합된다.
또한, 약제 반송체(4)는 후술하는 프레스체(9)에 의해 윗쪽으로 탄성 가압됨 으로써, 약제 반송체(4)의 슬라이딩부(4e)는 공급체(3)의 약제 배출구멍(3b) 주위의 두꺼운 벽부(3g)의 하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약제 반송체(4)의 슬라이딩부(4e)와 호퍼(3a)의 약제 배출구멍(3b) 주위부의 긴밀도가 향상되고, 약제 반송체(4)의 계량구멍(4c)으로부터 미분말상 약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24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체(7)에는, 결합구(7a) 및 카운터 지지 축(7b)이 설치되고, 이 카운터 지지 축(7b) 주위에는 카운터 지지 환(7c)이 세워 설치되고, 또한, 약제 반송체(4)가 요동해서 래치 핀(4b)이 이동하는 범위에는 노치(7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체(7)에는 프레스체(9)의 부착부(7e)가 형성되고, 부착부(7e)에는 결합구(7f)를 갖는 스프링 지지 축(7g)과 고정 핀(7h)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프레스체(9)의 하면측에는 결합 돌기(9a)와 결합구(9b)를 갖는 보스부(9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27의 (b)와 같이 베이스체(7)의 고정 핀(7h)에 프레스체(9)의 결합구(9b)을 결합하고, 프레스 스프링(코일 스프링)(10)이 삽입된 베이스체(7)의 스프링 지지 축(7g)에 프레스체(9)의 결합 돌기(9a)를 결합함으로써, 프레스체(9)를 상측으로 스프링 가압하고 있다. 또한, 프레스체(9)의 부착부(7e)의 근방에는 피봇 핀(7i)이 형성되어 있다.
카운터(8)는 공지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1의 자리를 나타내는 캠 부착 원반(8a)과 10의 자리를 나타내는 캠 부착 휠(8b)을 포함한다. 캠 부착 원반(8a)은 베이스체(7)의 카운터 지지 축(7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캠 부착 원반(8a) 에는 캠 부착 휠(8b)이 삽입되는 동시에 베이스체(7)의 카운터 지지 환(7c)으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약제 반송체(4)의 요동에 의해 래치트(4d)에 의해 1의 자리를 나타내는 캠 부착 원반(8a)은 1의 계수 위치만 회전시키고, 투약 회수가 10회째에서는 캠 부착 휠(8b)이 1의 계수 위치만 회전시키며, 캠 부착 휠(8b)의 최대 눈금만큼 투약 회수를 표시한다.
공급체(3), 약제 반송체(4) 및 연결체(5)의 재료에 카본 등의 도전성 필러를 더해서 도전성을 부여하고, 정전기를 누설시키도록 해도 좋다.
한편, 도전성을 부여하는 부품은, 공급체(3), 약제 반송체(4) 및 연결체(5)로 한정되지 않는다.
분말 흡입기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우선, 도31과 같이, 하측 하우징(1b)의 수용부(1t)에 록킹체(8a)를 수용한 후, 도32와 같이, 연결체(5)를 하측 하우징(1b)에 부착하여 록킹체(6)상에 위치시킨다. 이 때, 연결체(5)의 가이드 슬롯(5c)내로 하측 하우징(1b)의 가이드 축(1m)을 삽입하고, 연결체(5)의 삽입 슬롯(5d)에는 하측 하우징(1b)의 스프링-래치 돌기(1q)를 삽입한다. 또한, 연결체(5)의 스프링 부착 축(5f)에 조작 스프링(51)을 그 일단측에서 삽입하고, 조작 스프링(51)의 타단측을 하측 하우징(1b)의 스프링-래치 돌기(1q)에 결합한다.
다음으로, 도33과 같이, 베이스체(7)를 하측 하우징(1b)의 베이스 리시버(1r)에 장착하고, 베이스체(7)의 결합구(7a)를 하측 하우징(1b)의 결합 돌기(1s)에 결합하여 베이스체(7)를 위치 결정한다. 그 후, 전술한 바와 같이 해서 베이스체(7)에 프레스체(9)를 장착한 후, 베이스체(7) 및 프레스체(9)상에 약제 반송체(4)를 장착한다. 이 때, 약제 반송체(4)의 피봇 구멍(4c)과 베이스체(7)의 피봇 핀(7i)을 결합시키고, 약제 반송체(4)의 래치 핀(4b)을 연결체(5)의 래칭 슬롯(5b)에 삽입해서 약제 반송체(4)를 연결체(5)에 결합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해서 카운터(8)를 베이스체(7)에 설치하고, 하측 하우징(1b)의 핀칭 돌기(1g)에 마우스피스(2)의 결합 홈(2e)을 결합한다.
그리고, 도23과 같이, 약제 반송체(4)상에 공급체(3)를 위치시키고, 베이스체(7)의 피봇 핀(7i)에 공급체(3)의 관통구(3f) 및 약제 반송체(4)의 피봇 구멍(4a)을 삽입하여 약제 반송체(4)를 요동가능하게 지지하고, 공급체(3)의 커버(3e)로 카운터(8)를 위치 결정한다.
다음으로, 하측 하우징(1b)에 상측 하우징(1a)을 접합함으로써, 상측 하우징(1a)의 내면측에 형성된 위치 결정부에 의해 공급체(3)를 위치 결정하는 동시에, 상측 하우징(1a)의 핀칭 돌기(1g)를 마우스피스(2)의 결합 홈(2e)에 결합하고, 마우스피스(2)의 본체부(2a)에 커버부(2b)를 결합한다.
또한, 도33과 같이, 조작체(5A)를 하우징 본체(1)의 후부에 씌우고, 결합 돌기(51A)를 연결체(5)의 부착부(5g)의 결합구(5h)에 결합한다. 한편, 도33에서는 공급체(3)등이 생략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분말 흡입기는 이하의 동작을 한다.
우선, 도23과 같이 보호 캡(1c)을 부착한 상태에서는, 약제 반송체(4)는 약 제 반송체(4)의 계량구멍(4c)이 공급체(3)의 약제 배출구멍(3b)과 결합하는 약제 충전 위치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도34 내지 도36과 같이, 보호 캡(1c)을 떼어 낸 후, 하우징(1A)을 유지하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것 같이 조작체(5A)를 눌러서 연결체(5)를 잠그면, 약제 반송체(4)가 요동해서 계량구멍(4c)은 약제 충전 위치부터 호퍼(3a)의 공기 흡인 홈(32) 근방의 공간내로 이동한다.
이 때, 계량구멍(4c)내에 충전된 미분말상 약제는 약제 배출구멍(3b) 주위의 두꺼운 벽부(3g)에 의해 절단되고, 1회분 용량의 미분말상 약제가 공기 흡인 홈(32)의 근방의 공간까지 반송된다.
다음으로, 환자의 흡기압으로 마우스피스(2)의 흡입구(2f)로부터 하우징 본체(1)안의 공기를 흡인하면, 하우징 본체(1)안은 부압되고, 도34의 화살표와 같이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 본체(1)의 공기 취입구(1i)로부터 하우징 본체(1)안으로 흡인되고, 마우스피스(2)의 공기 흡인 홈(32)을 통해서 마우스피스(2)의 약제 흡기유로(2c)에 도달한다. 이것에 의해, 약제 반송체(4)의 계량구멍(4c)내에 충전된 미분말상 약제에 공기 충격이 가해져서 미분말상 약제가 마우스피스(2)의 약제 흡기유로(2c)내로 비산하고, 흡인된 공기와 함께 흡입구(2f)를 통해서 환자의 폐 기관내로 도달한다.
다음으로, 하우징(1A)을 유지하면서 조작체(5A)를 재차 눌러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약제 반송체(4)가 스윙 백하여 계량구멍(4c)은 공급체(3)의 약제 배출구멍(3b)의 하측에 위치하는 약제 충전 위치까지 복귀된다.
도35의 (b)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체(5A)를 누른 경우에는, 카운터(8)를 판독하는 윈도우(1j)는 조작체(5A)에 의해 덮여지고, 카운터(8)의 투약 회수 표시가 전환되는 상태는 사용자의 눈에 띄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윈도우(1j)에는 항상 전환된 후의 카운터(8)만이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투약 회수에 대하여 오해를 줄 수 있는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다.
도23과 같이 사용하지 않을 때(휴대시 등)에는, 보호 캡(1c)을 하우징(1A)의 앞 부분에 씌움으로써 보호 캡(1c)의 후단과 조작체(5A) 선단을 밀봉 재료(11c)를 통해 결합하여 하우징(1A) 전체가 둘러싸여진다.
한편, 호퍼(3a) 안의 미분말상 약제를 다 소비하면 분말 흡입기는 폐기된다.
또한, 분말 흡입기의 방습성을 높이기 위해서, 분말 흡입기의 내부를 타블렛 형상의 건조 약제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캡 형상 조작체(5A) 및 보호 캡(1c)에는, 그 목적으로부터,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습기 투과성이 낮은 재질의 물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재질을 채용했을 경우에는, 반드시 밀봉 재료(11c)를 채용할 필요가 없다.
(실시형태3의 설명)
도38은 분말 흡입기의 세로 단면도, 도39은 분말 흡입기의 카운터(8), 호퍼(3a) 및 연결체(5)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40은 분말 흡입기의 카운터(8) 및 래치트(4d)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분말 흡입기의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형태2의 구성과 같고, 하우징 본체(1) 및 마우스피스(2)를 포함하는 하우징(1A), 보호 캡(1c), 다회 용량의 미분말상 약제를 수용하는 공급체(3), 1회분 용량의 미분말상 약제를 반송하는 약제 반송체(4), 약제 반송체(4)를 조작하는 조작체(5A), 약제 반송체(4) 및 조작체(5A)를 연결하는 연결체(5), 연결체(5)를 통해 조작체(5A)를 록킹하는 록킹체(6), 베이스체(7), 투약 회수를 표시하는 카운터(8)를 포함하고 있다.
실시형태2와 다른 점은, 환형상의 카운터(8)를 호퍼(3a) 주위에 위치시키고, 호퍼(3a)의 둘레를 회전시켜서 투약 회수를 카운트 시키는 점이다. 이와 같이, 호퍼(3a) 주위의 공간을 카운터(8)의 수용 공간로서 이용함으로써 분말 흡입기의 길이를 짧게 해서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1A) 중 호퍼(3a)의 덮개(3d)에 대응하는 부위에 덮개(3d)를 개폐하기 위한 개구부(1v)를 설치함으로써, 하우징(1A)을 분해하지 않고 덮개(3d)를 개폐할 수 있게 한 점에서도 다른 실시형태와 다르다. 한편, 실시형태2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실시형태2에 첨부된 부호와 같은 부호를 도면에 첨부함으로써 그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는, 카운터(8)를 호퍼(3a) 주위에 위치시키기 위해서,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도38과 같이 베이스체(7)에 대직경 구멍(7j)를 설치하고, 대직경 구멍(7j)에 호퍼(3a)를 삽입한다. 베이스체(7)상에 장착되는 카운터(8)를 호퍼(3a) 주위에 위치시킨다. 호퍼(3a)에는 카운터(8)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외부 립(external rip)(3i)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체(7)에 카운터(8)를 위치 결정하기 위 한 커버(3e)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베이스체(7)에 카운터 지지 축(7b)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분말 흡입기를 조립할 경우에는, 베이스체(7)에 카운터(8)를 장착한다. 이 상태에서는 카운터(8)는 베이스체(7)의 대직경 구멍(7j) 주위에 위치하게 된다.다음으로, 베이스체(7)의 대직경 구멍(7j)에 호퍼(3a)를 삽입하여 호퍼(3a)의 외부 립(3i)에 의해 카운터(8)를 상측으로부터 누른다.
또한, 도40과 같이, 카운터(8)를 회전시키는 래치트(4d)는 연결체(5)에 형성되고, 조작체(5A)의 조작에 따라 래치트(4d)는 직선적으로 왕복운동하여 카운터(8)를 회전시킨다. 카운터(8) 부착 위치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카운터(8)의 상태를 판독하기 위한 윈도우(1j)가 설치되고, 공기 취입구(1i)는 상측 하우징 본체(1a) 앞측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다. 한편, 스프링-래치 돌기(1q)는 베이스체(7)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그 효과는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분말 흡입기에 따르면, 약제 반송체를 요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약제 반송체의 요동에 의해 계량구멍을 원호운동시키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계량구멍이 약제 흡기유로를 향해서 이동할 때에는, 미분말상 약제는 약제 배출구멍의 구멍 벽을 따라 유동하여 미분말상 약제의 스크래핑을 부드럽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공급체와 약제 반송체의 사이에 미분말상 약제가 끼이는 것에 의한 분말상 약제의 계량성 저하나 약제 반송체의 조작성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다. 또한, 공급체 의 약제 배출구멍과 흡기유로 사이를 계량구멍이 왕복하는 단순한 기구로 해결할 수 있고, 제조 가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계량구멍을 약제 반송체의 요동 중심과 약제 반송체로의 조작체의 작용점 사이에 위치시키면, 조작체의 이동 거리보다 약제 반송체의 계량구멍의 이동 거리를 짧게 할 수 있고, 축적되는 정전기량을 경감할 수 있어서 미분말상 약제의 정량성 및 미립자 비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체를 푸쉬 버튼으로 구성하고, 조작체를 눌러서 계량구멍을 충전 위치부터 비산위치까지 이동하도록 구성하면, 조작체가 보호 캡을 겸하는 종래의 분말 흡입기에 비교하여, 보호 캡을 흡인구으로부터 떼어 내는데 필요한 거리만큼 조작체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지고, 그 결과, 조작체의 조작 거리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할 필요가 없어져서 정전기량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공급체, 약제 반송체 및 조작체에 도전성을 부여하면, 마찰로 발생하는 정전기를 누출시킬 수 있고, 극히 미량의 미분말 약제의 정량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보다 높은 미립자 비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체의 약제 배출구멍과 흡기유로 사이를 계량구멍이 왕복하는 기구에서, 계량구멍을 구면 오목 형상의 바닥이 있는 구멍으로 하면, 환자가 흡기하지 않고 잘못하여 조작체를 복수회 조작하는 경우에도, 계량구멍내에 미분말상 약제가 새롭게 충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1회분 이상의 약제가 환자의 폐내로 흡입되는 일이 없고, 또한, 1회분 약제를 남김없이 환자의 폐내로 흡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말 흡입기에 따르면, 하우징의 후측에 조작용 개구부를 설치하고, 조작체를 캡 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조작체를 전후로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해서 하우징의 후부에 씌우고, 개구부에 삽입되는 연결체에 의해 조작체와 약제 반송체를 연결하고, 보호 캡을 하우징에 씌웠을 때에는, 보호 캡의 후단과 조작체 선단이 겹합하여 하우징을 둘러싸도록 했기 때문에, 분말 흡입기 구성 부품(조작체)을 방습 케이스로서 이용함으로써 높은 방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결과, 분말 흡입기를 방습 전용 케이스로부터 출납해야 할 수고를 제거할 수 있고, 휴대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체와 하우징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서 하우징내에 도달할 때까지의 외기의 유입 경로가 길어지므로, 보호 캡을 하우징으로부터 떼어 낸 경우에도, 외기가 하우징내로 유입하기 힘들어져, 방습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 캡을 하우징에 부착한 경우에는, 하우징을 유지하면서 조작체를 누를 수 없기 때문에, 보호 캡에 의해 조작체가 록킹되고, 오동작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과 조작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공기 유입을 저지하는 배플을 설치하면, 사용시의 방습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체의 후단 및 보호 캡 선단의 적어도 한 방향으로 밀봉 재료를 부착하고, 밀봉 재료를 통하여 보호 캡과 조작체를 접합하면, 비사용시의 방습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Claims (8)

  1. 하우징;
    다회 용량의 미분말상 약제를 수용하고, 하면에 약제 배출구멍이 개구된 공급체;
    상기 공급체의 약제 배출구멍으로부터 미분말상 약제가 공급되고, 1회 용량분의 용적을 갖는 계량구멍을 상면측에 갖는 약제 반송체; 및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약제 반송체를 조작하는 조작체
    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 반송체를 상기 공급체의 하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계량구멍에 충전된 미분말상 약제를 상기 약제 배출구멍의 위치부터 흡기유로 안으로 이동시키는 분말 흡입기에 있어서,
    상기 약제 반송체는 하우징내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약제 반송체의 요동에 의해 상기 계량구멍이 원호운동하도록 구성되는
    분말 흡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구멍은 상기 약제 반송체의 요동 중심과 상기 약제 반송체로의 상기 조작체의 작용점 사이에 위치되는
    분말 흡입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는 푸시버튼이고, 상기 조작체를 누름으로써 상기 계량구멍이 상기 약제 흡기유로 안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분말 흡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체, 상기 약제 반송체 및 상기 조작체에 도전성이 부여되는
    분말 흡입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구멍은 구면 오목 형상의 바닥이 있는 구멍인
    분말 흡입기.
  6. 앞측에 흡입구가 설치된 하우징;
    다수회 용량분의 미분말상 약제를 수용하는 공급체;
    상기 공급체와 상기 흡입구 사이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하고, 상기 공급체의 미분말상 약제의 일회 용량분을 상기 흡입구를 향해서 반송하는 약제 반송체;
    상기 하우징에 앞측으로부터 탈착가능하게 씌울 수 있는 보호 캡; 및
    전후로 왕복운동하여 상기 약제 반송체를 조작하는 조작체
    를 포함하는 분말 흡입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는 상기 하우징에 후측으로부터 씌워지는 캡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측에 조작용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연결체에 의해 상기 조작체와 상기 약제 반송체가 연결되고, 상기 보호 캡을 상기 하우징에 씌웠을 때에는, 상기 보호 캡의 후단과 상기 조작체 선단이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을 둘러싸는
    분말 흡입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조작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공기의 유입을 저지하는 배플(baffle)이 설치되는
    분말 흡입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 선단 및 상기 보호 캡의 후단 중 적어도 일측에 밀봉 재료가 부착되고, 상기 밀봉 재료를 통해 상기 보호 캡과 상기 조작체가 접합되는
    분말 흡입기.
KR1020047009651A 2002-10-11 2003-10-08 분말 흡입기 KR100581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98726A JP3616877B2 (ja) 2002-10-11 2002-10-11 粉末吸入器
JPJP-P-2002-00298726 2002-10-11
JP2003132034A JP3590848B1 (ja) 2003-05-09 2003-05-09 粉末吸入器
JPJP-P-2003-00132034 2003-05-09
PCT/JP2003/012866 WO2004033010A1 (ja) 2002-10-11 2003-10-08 粉末吸入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233A KR20040071233A (ko) 2004-08-11
KR100581385B1 true KR100581385B1 (ko) 2006-05-22

Family

ID=32095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9651A KR100581385B1 (ko) 2002-10-11 2003-10-08 분말 흡입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7387122B2 (ko)
EP (2) EP2065066A3 (ko)
KR (1) KR100581385B1 (ko)
CN (1) CN1684732B (ko)
AR (1) AR041582A1 (ko)
AU (1) AU2003272935C1 (ko)
BR (1) BR0306930A (ko)
CA (2) CA2694183C (ko)
EG (1) EG25378A (ko)
HK (1) HK1080401A1 (ko)
MX (1) MXPA04005500A (ko)
MY (1) MY135607A (ko)
SG (1) SG134169A1 (ko)
TW (1) TWI252763B (ko)
WO (1) WO20040330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6175B2 (en) 1999-06-29 2015-04-14 Mannkind Corporation Potentiation of glucose elimination
AU2003220125B2 (en) 2002-03-20 2006-06-15 Mannkind Corporation Inhalation apparatus
CA2562386C (en) 2004-04-21 2014-11-18 Innovata Biomed Limited Inhaler
BRPI0514263B8 (pt) 2004-08-20 2021-05-25 Mannkind Corp método para a síntese de bis-3,6-[4-aminobutil]-2,5-dicetopiperazina n-protegida
HUE026134T2 (en) 2004-08-23 2016-05-30 Mannkind Corp Microparticles containing diketopiperazine salts for drug delivery
JP4500280B2 (ja) * 2005-06-08 2010-07-1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粉末薬剤投与器
ES2640282T3 (es) 2005-09-14 2017-11-02 Mannkind Corporation Método de formulación de fármacos basado en el aumento de la afinidad de superficies de micropartículas cristalinas para agentes activos
GB0602897D0 (en) * 2006-02-13 2006-03-22 Jagotec A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ry Powder Inhaler Devices
CN104383546B (zh) 2006-02-22 2021-03-02 曼金德公司 用于改善包含二酮哌嗪和活性剂的微粒的药物性质的方法
US8037880B2 (en) * 2006-04-07 2011-10-18 The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Dry powder inhaler
WO2008001744A1 (en) * 2006-06-27 2008-01-03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Powder inhaler
FR2904229B1 (fr) * 2006-07-25 2008-10-10 Valois Sas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TWM329948U (en) * 2007-08-08 2008-04-01 Cooler Master Co Ltd Negative-pressure inhaling type computer heat-dissipating case
MY152647A (en) * 2008-05-23 2014-10-31 Otsuka Pharma Co Ltd Powder inhaler
US8485180B2 (en) 2008-06-13 2013-07-16 Mannkind Corporation Dry powder drug delivery system
IL279542B2 (en) 2008-06-13 2023-10-01 Mannkind Corp Dry powder inhaler and drug delivery system
CA2728523C (en) 2008-06-20 2020-03-10 Mannkind Corporation An interactive apparatus and method for real-time profiling of inhalation efforts
TWI614024B (zh) 2008-08-11 2018-02-11 曼凱公司 超快起作用胰島素之用途
US8314106B2 (en) 2008-12-29 2012-11-20 Mannkind Corporation Substituted diketopiperazine analogs for use as drug delivery agents
FR2940699B1 (fr) * 2008-12-30 2011-03-04 Valois Sas Compteur pou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ou pulverulent
FR2940698B1 (fr) * 2008-12-30 2011-06-10 Valois Sas Compteur pou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ou pulverulent
FR2940642B1 (fr) * 2008-12-30 2014-02-21 Valois Sas Compteur pou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ou pulverulent
EP2405963B1 (en) 2009-03-11 2013-11-06 MannKind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resistance of an inhaler
MY157166A (en) 2009-06-12 2016-05-13 Mankind Corp Diketopiperazine microparticles with defined specific surface areas
US9016147B2 (en) 2009-11-03 2015-04-28 Mannkind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ing inhalation efforts
BR112012033060A2 (pt) 2010-06-21 2018-02-27 Mannkind Corp métodos de sistema de liberação de fármaco em pó seco
FR2962338B1 (fr) * 2010-07-07 2012-08-03 Valois Sas Inhalateur de poudre seche.
CN105667994B (zh) 2011-04-01 2018-04-06 曼金德公司 用于药物药盒的泡罩包装
WO2012174472A1 (en) 2011-06-17 2012-12-20 Mannkind Corporation High capacity diketopiperazine microparticles
CN103945859A (zh) 2011-10-24 2014-07-23 曼金德公司 用于治疗疼痛的方法和组合物
EP2617448A1 (en) 2012-01-20 2013-07-24 Almirall S.A. Inhalation device for powdered drugs
MX354163B (es) 2012-07-12 2018-02-15 Mannkind Corp Sistemas y métodos de suministro de fármaco en polvo seco.
WO2014066856A1 (en) 2012-10-26 2014-05-01 Mannkind Corporation Inhalable influenza vaccine compositions and methods
USD733564S1 (en) * 2012-11-05 2015-07-07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Container
TWD161151S (zh) * 2013-02-22 2014-06-21 大塚製藥股份有限公司 包裝用容器
BR112015023168B1 (pt) 2013-03-15 2021-08-10 Mannkind Corporation Composição de 3,6-bis(n-fumaril-4-aminobutil)-2,5-dicetopiperazina cristalina, método de produção de partículas de 3,6-bis(n-fumaril-4-aminobutil)-2,5-dicetopiperazina e uso de uma composição de dicetopiperazina cristalina
KR102321339B1 (ko) 2013-07-18 2021-11-02 맨카인드 코포레이션 열-안정성 건조 분말 약제학적 조성물 및 방법
JP2016530930A (ja) 2013-08-05 2016-10-06 マンカインド コーポレイション 通気装置及び方法
CA157009S (en) * 2013-12-12 2015-11-06 Otsuka Pharma Co Ltd Container with lid
WO2015148905A1 (en) 2014-03-28 2015-10-01 Mannkind Corporation Use of ultrarapid acting insulin
US10561806B2 (en) 2014-10-02 2020-02-18 Mannkind Corporation Mouthpiece cover for an inhaler
CA173518S (en) 2016-02-08 2017-09-01 Nicoventures Holdings Ltd Cartridge for an electronic cigarette
GB201605101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GB201605105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Vapour provision apparatus
GB201605102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Mechanical connector for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GB201605100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Vapour provision system
CN105709349A (zh) * 2016-04-24 2016-06-29 唐淑华 一种吸气鼻罩
WO2018015712A1 (en) 2016-07-22 2018-01-25 Nicoventures Holdings Limited Case for a vapour provision device
CN106039496A (zh) * 2016-08-08 2016-10-26 中山市美捷时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干粉吸入装置的滑动托机构
CN106039497A (zh) * 2016-08-08 2016-10-26 中山市美捷时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干粉吸入装置的计数机构
CN110831647B (zh) * 2017-04-18 2022-02-01 励志私人有限公司 用于雾化器的间隔装置
CN110201280B (zh) * 2018-02-28 2021-07-30 张江 用于吸入给药装置的吸嘴和吸入给药装置
USD916361S1 (en) * 2019-06-25 2021-04-13 Altria Client Services Llc Aerosol-generating capsule
CN116747391A (zh) * 2023-07-07 2023-09-15 苏州新劢德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误操作机构的粉末吸入器装置及药剂盒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YU41046B (en) * 1974-08-22 1986-10-31 Schering Ag Medicine inholating device
NZ238489A (en) 1990-06-14 1995-09-26 Rhone Poulenc Rorer Ltd Inhaler with capsule in swirling chamber: capsule pierced in chamber
GB9015522D0 (en) * 1990-07-13 1990-08-29 Braithwaite Philip W Inhaler
GB9026025D0 (en) * 1990-11-29 1991-01-16 Boehringer Ingelheim Kg Inhalation device
AU650953B2 (en) 1991-03-21 1994-07-07 Novartis Ag Inhaler
GB9106648D0 (en) 1991-03-28 1991-05-15 Rhone Poulenc Rorer Ltd New inhaler
IT1248059B (it) 1991-06-14 1995-01-05 Miat Spa Insufflatore multidose per farmaci in polvere
US5211405A (en) 1991-10-03 1993-05-18 Valley Recreation Products Inc. Dart board game cabinet
CA2152088C (en) * 1992-12-18 1999-12-07 Thomas J. Ambrosio Inhaler for powdered medications
FI942196A (fi) 1994-05-11 1995-11-12 Orion Yhtymae Oy Jauheinhalaattori
HU219117B (hu) * 1994-09-16 2001-02-28 Laboratoire Glaxo Wellcome S.A. Inhalálóeszköz
US6672304B1 (en) * 1995-06-08 2004-01-06 Innovative Devices, Llc Inhalation actuated device for use with metered dose inhalers (MDIs)
DK0837710T3 (da) 1995-06-21 2002-04-02 Sofotec Gmbh & Co Kg Lægemiddelpulverpatron med integreret doseringsindretning og inhalator for lægemidler på pulverform
ATE193455T1 (de) 1995-12-07 2000-06-15 Jago Pharma Ag Inhalator zur mehrfachen dosisweisen abgabe eines pharmakologischen trockenpulvers
WO1997025086A2 (en) * 1996-01-03 1997-07-17 Glaxo Group Limited Inhalation device
SK287878B6 (sk) * 1996-02-21 2012-02-03 Schering Corporation Powdered medication inhaler
SE9700948D0 (sv) * 1997-03-14 1997-03-14 Astra Ab Powder inhaler X
IT238038Y1 (it) 1997-11-12 2000-09-29 Miat Spa Erogatore multidose di una sostanza in polvere o in grani,del tipo incui l'approntamento di una dose comporta la rotazione di un alberino
CN1301185A (zh) * 1997-12-02 2001-06-27 杜兰药品公司 干粉吸入器
US6164275A (en) * 1999-01-19 2000-12-26 Van Iderstine; Lois Inhaler carrier
FI107126B (fi) * 1999-04-23 2001-06-15 Orion Yhtymae Oyj Jauheinhalaattori yhdistelmälääkkeelle
CA2383425A1 (en) * 1999-09-17 2001-03-29 Orion Corporation Moisture protected powder inhaler
CA2390111C (en) * 1999-10-06 2007-08-07 Raul Goldemann Breathing-controlled inhalation device for dry powder and method for the even distribution of said dry powder in the air
US6926003B2 (en) * 1999-12-07 2005-08-09 Orion Corporation Multidose powder inhaler
FI20000810A0 (fi) * 2000-04-06 2000-04-06 Orion Yhtymae Oyj Jauheinhalaattori
TWI224512B (en) * 2000-06-23 2004-12-01 Norton Healthcare Ltd Reservoir pressure system for medicament inhaler
US20020148469A1 (en) * 2001-04-12 2002-10-17 O'leary David Inhaler
US6766799B2 (en) * 2001-04-16 2004-07-27 Advanced Inhalation Research, Inc. Inhalation device
EP1658872B2 (en) * 2002-07-31 2019-08-21 CHIESI FARMACEUTICI S.p.A. Powder inha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33010A1 (ja) 2004-04-22
TW200413042A (en) 2004-08-01
CN1684732B (zh) 2010-04-21
CA2694183C (en) 2013-06-25
MY135607A (en) 2008-05-30
CN1684732A (zh) 2005-10-19
CA2467975C (en) 2010-12-21
KR20040071233A (ko) 2004-08-11
TWI252763B (en) 2006-04-11
EG25378A (en) 2011-12-22
EP1452198A4 (en) 2006-11-02
CA2694183A1 (en) 2004-04-22
EP2065066A2 (en) 2009-06-03
US7387122B2 (en) 2008-06-17
CA2467975A1 (en) 2004-04-22
US20050103336A1 (en) 2005-05-19
US8235039B2 (en) 2012-08-07
HK1080401A1 (en) 2006-04-28
BR0306930A (pt) 2004-11-09
MXPA04005500A (es) 2005-09-08
SG134169A1 (en) 2007-08-29
EP1452198A1 (en) 2004-09-01
AU2003272935C1 (en) 2009-06-25
AR041582A1 (es) 2005-05-18
EP2065066A3 (en) 2009-07-08
US20060180144A1 (en) 2006-08-17
AU2003272935A1 (en) 2004-05-04
AU2003272935B2 (en) 200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1385B1 (ko) 분말 흡입기
KR101335333B1 (ko) 분말흡입기
EP1725287B1 (en) Inhaler for preparations in powder form
AU2009250438B2 (en) Powder inhaler
JP3974657B2 (ja) 粉体吸入器において使用されるカプセル開封構造
KR20160058976A (ko) 흡입기
JP3616877B2 (ja) 粉末吸入器
AU2008201239B2 (en) Powder inhalation
JP3590848B1 (ja) 粉末吸入器
CN117839005A (zh) 一种吸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