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0291B1 - 기능성 신발 - Google Patents

기능성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0291B1
KR100580291B1 KR1020040032293A KR20040032293A KR100580291B1 KR 100580291 B1 KR100580291 B1 KR 100580291B1 KR 1020040032293 A KR1020040032293 A KR 1020040032293A KR 20040032293 A KR20040032293 A KR 20040032293A KR 100580291 B1 KR100580291 B1 KR 100580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arc
foot
shaped protrus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7103A (ko
Inventor
윤길홍
현후길
Original Assignee
윤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길홍 filed Critical 윤길홍
Priority to KR1020040032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0291B1/ko
Publication of KR20050107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중 또는 정지 중에 발바닥의 전면을 골고루 자극함으로써 발의 건강뿐 아니라 신체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개발된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신발 밑창의 하면에 호형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호형 돌출부 상부의 상기 밑창에는 발바닥에 지나치게 큰 하중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밑창의 양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이 제공된다.
기능성 신발, 밑창, 갑피, 호형 돌출부, 관통공, 관통공 보강편, 절개홈, 절개홈 보강편

Description

기능성 신발 {FUNCTIONAL SHOES}
도 1은 인간의 정상적인 보행습관을 보이기 위한 보행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능성 신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능성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의 보행 상태도,
도 4는 사용자가 정지 중에 본 발명의 기능성 신발을 사용하는 방법을 보인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기능성 신발 110 : 밑창
115: 절개홈 117 : 절개홈 보강편
120 : 갑피 130 : 호형 돌출부
135 : 관통공 보강편 140 : 관통공
본 발명은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 중이나 정지 중에 사용자의 발바닥을 골고루 자극함으로써 발바닥의 피로감을 덜어주고 사용자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기능성이 향상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신체기관 중에서 발은 인체의 모든 중량을 떠받치는 기관으로서 몸에 가해지는 각종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기능을 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인간의 발에는 전체의 약 1/4 에 해당되는 52개의 뼈가 있으며, 64 개의 근육과 건, 76개의 관절 및 214개의 인대가 있어서 이것들이 서로 복잡하게 얽혀서 인간이 바로 서서 걷거나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인간의 발바닥에는 인체의 여러 내부 장기들의 기능과 연관되는 각종 신경들이 모여 있는 매우 중요한 기관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발은 원시적 자연환경에서와 같이 직접 흙과 접촉하는 것이 건강에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대에는 여러 가지 주변 여건상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동안 신발을 신고 생활을 하는 것이 현실이다. 인체의 기관 중에서 발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술한 것처럼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이 실외 중심에서 실내 중심으로 바뀜에 따라 적당한 보행 등으로 발에 적당한 운동량을 부여하는 것이 점차 용이하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현대인들은 운동부족으로 인한 각종 질병 및 스트레스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대인들의 질병은 올바른 자세로 걷는 운동만 꾸준히 잘해도 상당 부분 해소될 수 있다는 것이 현재 많은 전문가들의 견해이다.
도 1은 인간의 정상적인 보행습관을 보이기 위한 보행 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인간의 정상적인 보행은 한쪽 발의 뒤꿈치가 먼저 지면에 닿고(1), 그 다음에는 앞꿈치가 지면에 닿고(2) 마지막으로 뒤꿈치가 지면에서 떨어지면서 엄지발가락 및 앞꿈치를 이용하여 바닥을 차면서 전진함(3)과 동시에 다른 한쪽 발의 뒤꿈치가 지면에 닿는(4) 순서로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바닥에는 신체의 각 기관들과 연관되는 각종 신경이나 혈들이 모여 있으며, 발바닥의 부위에 따라 연관되는 신체기관이 서로 상이하다. 그런데, 전술한 정상적인 보행에서는 발바닥의 중간에 오목한 부분은 지면에 닿지 않아 걷는 운동을 하더라도 그 부분에는 지압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현대인들이 주로 실내에서 생활하는 점을 감안하면 실내에서 또는 정지 중에도 손쉽게 발바닥 전체에 고르게 지압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외에서 보행 중이나 또는 정지 중에도 간편하게 발바닥 전체를 고르게 지압하여 신체를 보다 건강하게 단련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기능성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밑창과 갑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밑창의 전·후 양단 사이의 하면에 호형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호형 돌출부 상부의 상기 밑창에는 상기 밑창의 양 측단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이 제공된다.
상기에서 상기 밑창의 후면에는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상기 관통공에는 별도의 보강편이 삽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과 작용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능성 신발의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신발(100)은 크게 밑창(110), 갑피(120), 호형 돌출부(130) 및 관통공(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통공(140)은 상기 밑창(110) 중 상기 호형 돌출부(13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밑창(110)의 양 측단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공(140)의 형상은 도시한 것처럼 그 하면은 상기 호형 돌출부(130)의 곡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면은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14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형상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상기 밑창(110)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공(140)은 상기 호형 돌출부(130)에 인체의 하중이 모두 집중됨으로써 상기 호형 돌출부(130)에 대응하는 위치의 발바닥에 지나치게 높은 하중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밑창(110)에 상기 호형 돌출부(130)만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능선 신발(100)의 착용자의 신체하중이 모두 상기 호형 돌출부(130)에 집중 됨으로써 착용자의 발바닥 중간 부가 심한 압력을 받아 쉽게 발의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상기 호형 돌출부(130)의 상부에 상기 관통공(140)을 형성함으로써 발바닥의 중간부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어느정도 탄성력을 부여하여 발이 편안함을 느끼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관통공(140)의 크기 및 모양은 착용자의 신체하중이나 기타 다른 사정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140)은 필요에 따라 여러개가 형성될 수 도 있는데, 예를들어 착용자의 신체하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에는 상기 관통공(140)을 여러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사이즈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호형 돌출부(130)는 상기 밑창(110)과 같은 재질로 상기 밑창(1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밑창(110)은 일반적으로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 등의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호형 돌출부(130)에 일정 정도의 강도와 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고무 등의 밑창 재질에 보강제(Reinforcing filler)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밑창(110)의 재질인 고무 등에 카본블랙이나 그 밖에 화이트 카본, 산화아연, 특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또는 라그닌 등의 보강제를 첨가하여 배합함으로써 상기 밑창(110)의 강도 및 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밑창(110)에 상기 관통공(140)을 형성하므로 상기 호형 돌출부(130) 부분이 우수한 탄성력을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신체 하중이 커서 상기 보강제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 높은 강도와 탄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관통공(140)에 일정 정도의 탄성력을 가지는 플라스틱소재나 금속재의 보강편(135)을 별도로 삽입할 수 도 있다. 상기 관통공 보 강편(135)은 상기 관통공(140)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140)에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밑창(110)의 후면에는 도시한 바와 같은 쐐기모양을 닮은 절개홈(11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보행시나 정지 중에 본 발명의 기능성 신발을 사용하는 경우 신체의 하중에 의하여 뒤꿈치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절개홈(115)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밑창(110)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밑창(110)과 동일한 재질로 상기 밑창(1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홈(115)은 착용자의 하중으로 인한 충격이 발에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착용자의 신체하중에 따라 어느 정도 강도와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밑창(110)의 재질인 고무 등에 전술한 보강제를 첨가하여 배합함으로써 상기 절개홈(115)이 강도와 탄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절개홈(115)에도 상기 절개홈(115)의 강도와 탄성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일정 정도의 탄성력을 가지는 플라스틱소재나 금속재의 보강편(135)을 별도로 삽입할 수 도 있다. 상기 절개홈 보강편(117)은 상기 절개홈(117)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삽입되므로 그 단면 형상은 상기 절개홈(115)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홈(115)은 종래의 농구화 등에 도입되는 에이큐션과 유사한 기능을 가지나 그 형태가 단순하고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완성품의 제 조단가를 줄일수 있어 비용면에서 유리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능성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의 보행 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신발(100)을 착용하고 보행을 하는 경우에는 보행 중에 앞꿈치 및 뒤꿈치뿐만 아니라 발바닥의 중간부도 상기 호형 돌출부(130)에 의하여 지면에 닿아 압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종전과는 달리 발바닥의 중간부에도 지압효과가 미쳐서 결국 발바닥 전체가 고르게 자극을 받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발바닥의 앞꿈치 부분은 신체의 기관 중 폐, 기관지 등의 호흡기계, 대뇌, 소뇌, 뇌간 등의 뇌 및 신경계, 눈, 귀 등의 감각기계, 승모근 등의 근 및 골격계 및 갑상선, 부갑상선 등의 내분비계와 연관되고, 발바닥의 중간부는 심장, 비장 등의 순환기계, 간, 담낭, 위, 췌장, 십이지장 등의 소화기계 및 신장 등의 비뇨기 등과 연관되며, 발바닥의 뒤꿈치 부분은 직장 등의 소화기계 및 생식선, 난관, 고환 등의 생식기계 등에 연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호형 돌출부(130)에 의하여 보행 중에도 상기 발바닥의 중간부가 지속적으로 자극을 받게 됨에 따라 심장, 비장, 간, 십이지장, 및 신장 등을 튼튼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성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올바른 보행동작을 준수하면서 꾸준히 걷는 운동을 하면 신체 각 기관의 고른 발달을 이룰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4는 사용자가 정지 중에 본 발명의 기능성 신발을 사용하는 방법을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신발(100)의 착용자가 실내의 의자 등에 앉아 있거나 보행을 일시 중단하고 정지하여 있는 경우에는 그 상태에서 상기 호형 돌출부(130)를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여 발을 건강하게 할 수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밑창(110)에서 돌출 되어 형성되는 상기 호형 돌출부(130)로 인하여 상기 기능성 신발(100)의 상기 밑창(110)은 전체가 동시에 바닥에 닿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는 발목에 힘을 주어 상기 호형 돌출부(130)를 중심으로 상기 밑창(110)의 전방부와 후방부가 번갈아 바닥에 닿도록 시소운동을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간의 발에는 수많은 근육과 아킬레스 건 등의 건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시소운동을 인위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아킬레스건 등을 강화할 수 있으며 기타 발에 연결된 관절 및 인대 등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발바닥을 고르게 지압하는 효과도 아울러 거둘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능성 신발에 의하여 신체의 각 기관을 튼튼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응용이 가능하다 할 것이며 그러한 것들이 모두 본 발명의 요지를 채택하고 있다면 그러한 것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제까지 기술한 본 발명의 기능성 신발은 밑창에 호형 돌출부를 형성함으로 써 운동이 부족한 현대인들이 보행중 또는 정지시에도 간편하게 발바닥의 지압 및 발의 관절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강을 증진시키도록 하였으며, 아울러 상기 밑창 중 상기 호형 돌출부의 상부에 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신체의 하중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신발은 그 밑창의 후면에 쐐기형상 등을 가지는 절개홈을 형성하여 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게다가 상기 관통공 및/또는 상기 절개홈에 보강편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호형 돌출부 및/또는 상기 절개홈의 강도 및 탄성을 한층 더 증가시킬 수 있게 되었다.

Claims (2)

  1. 밑창과 갑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밑창의 전·후 양단 사이의 하면에 호형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호형 돌출부 상부의 상기 밑창에는 상기 밑창의 양 측단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의 후면에는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KR1020040032293A 2004-05-07 2004-05-07 기능성 신발 KR100580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293A KR100580291B1 (ko) 2004-05-07 2004-05-07 기능성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293A KR100580291B1 (ko) 2004-05-07 2004-05-07 기능성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103A KR20050107103A (ko) 2005-11-11
KR100580291B1 true KR100580291B1 (ko) 2006-05-15

Family

ID=37283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293A KR100580291B1 (ko) 2004-05-07 2004-05-07 기능성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02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254B1 (ko) 2008-10-07 2010-11-22 서정주 기능성 신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875B1 (ko) * 2005-12-28 2006-05-02 박종화 전후방이 상향 경사진 신발창
KR102131980B1 (ko) * 2019-01-10 2020-07-08 노건우 발목 운동치료용 신발
KR20210103141A (ko) 2020-02-13 2021-08-23 권상덕 당뇨 예방 및 치유를 위한 기능성신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4240B1 (ko) * 1995-09-12 1998-07-15 박영설 통공의 쿠션부가 형성되는 경량화되는 신발밑창구조
JPH11318506A (ja) * 1998-05-14 1999-11-24 Yasuji Irisawa リズムシュ−ズ
KR20010000211U (ko) * 1999-06-04 2001-01-05 박영설 큐션 기능이 강화된 뒷굽 없는 신발 밑창
KR200259679Y1 (ko) * 2001-09-21 2002-01-09 정순천 신발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4240B1 (ko) * 1995-09-12 1998-07-15 박영설 통공의 쿠션부가 형성되는 경량화되는 신발밑창구조
JPH11318506A (ja) * 1998-05-14 1999-11-24 Yasuji Irisawa リズムシュ−ズ
KR20010000211U (ko) * 1999-06-04 2001-01-05 박영설 큐션 기능이 강화된 뒷굽 없는 신발 밑창
KR200259679Y1 (ko) * 2001-09-21 2002-01-09 정순천 신발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254B1 (ko) 2008-10-07 2010-11-22 서정주 기능성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103A (ko) 200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1647A (en) ACU-pressure massaging insoles
US20150223566A1 (en) High heel for exercising achilles tendons while walking
MX2010009143A (es) Conjunto de calzado estratificado con superficie inferior arqueada.
KR20120101776A (ko)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 밑창
US20030187372A1 (en) Foot stimulating healthy tool
JP4896221B2 (ja)
CN104366896A (zh) 一种基于生物力学的童鞋鞋底
KR100627678B1 (ko) 신발의 솔 구조
KR100580291B1 (ko) 기능성 신발
JP3195381U (ja) サンダル基板及びサンダル
JP2009533132A (ja) 機能性履物
JP5895302B2 (ja) 健康履物
US20120000093A1 (en) Perfect Gait Shoe
KR200362908Y1 (ko) 고도의 등산자세를 재현할 수 있는 신발
KR200341150Y1 (ko) 헬스 신발
KR100639503B1 (ko) 원형신발바닥에 에어백이 내장된 건강 흔들 신발
JPH03131201A (ja) 踵を支えない履物
JP3168694U (ja) 履物
JP2003304904A (ja) 健康用靴等の履物
KR100575138B1 (ko) 건강신발
KR200210414Y1 (ko) 관절운동용 슬리퍼
JP2006230802A (ja) 履物
JP3148642U (ja) 靴中底体
JP3120819U (ja) 健康用履物
JP3200983U (ja) 履物の底板及び履物、靴の中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