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9423B1 - 카드리더기용 부품의 상하간격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카드리더기용 부품의 상하간격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9423B1
KR100579423B1 KR1020040089073A KR20040089073A KR100579423B1 KR 100579423 B1 KR100579423 B1 KR 100579423B1 KR 1020040089073 A KR1020040089073 A KR 1020040089073A KR 20040089073 A KR20040089073 A KR 20040089073A KR 100579423 B1 KR100579423 B1 KR 100579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gap adjusting
moving member
card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8881A (ko
Inventor
박준규
Original Assignee
박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규 filed Critical 박준규
Priority to KR1020040089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9423B1/ko
Publication of KR20060038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8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18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being longitudinally extended, e.g. punched tape
    • G06K13/20Details
    • G06K13/22Capstans; Pinch roll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18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being longitudinally extended, e.g. punched tape
    • G06K13/24Guiding of record carriers; Recognising end of record carri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간격의 조정이 요구되는 부품의 상하 높낮이 조정이 상측에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성이 향상되고 사용상의 편의성이 제공되도록 한 카드리더기용 부품의 상하간격 조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른 카드리더기용 부품의 상하간격 조정장치는, 지지판(60)의 저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닥면상에 체결공(111)이 천공되며 일측 단부에 하부롤러(40)와 같은 부품이 구성되며 대략 단면 형상이 " U" 자로 형성된 일정 길이의 이동부재(110)와, 상기 이동부재(110)의 앞쪽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저면에 삽입공(127)이 천공되며 지지판(60)의 저면에 밀착되는 돌부(122)가 형성된 간격조정부재(120)와, 상기 간격조정부재(120)의 돌부(122)가 항상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게 설치되는 제1탄성부재(130)와, 상기 간격조정부재(120)의 동일 수직선상의 지지판(60)상에 천공된 홀(62)을 통해 십입공(127)에 삽입되어 이동부재(110)의 체결공(111)에 체결되는 조정스크류(140)가 구성된다.

Description

카드리더기용 부품의 상하간격 조정장치 {A HIGH AND LOW REGULATING APPARATUS FOR CARD-READER}
도 1은 종래 카드리더기용 부품의 상하간격 조정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 카드리더기용 부품의 상하간격 조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드리더기용 부품의 상하간격 조정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상부롤러 40:하부롤러,
60:지지판, 110:이동부재,
120:간격조정부재, 122:돌부,
130:제1탄성부재, 140:조정스크류,
150:제2탄성부재, 160:힌지핀.
본 발명은 카드리더기용 부품의 상하간격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드리더기 또는 카드프린터와 같이 피인쇄물이 이동되는 경로상에 대응되게 설치된 롤러와 같은 부품의 상하 높낮이를 간편하고 손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카드리더기용 부품의 상하간격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드리더기나 카드프린터에서는 피인쇄물인 카드의 이송과정이 롤러와 접촉되는 카드의 면과 롤러의 회전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이송되는 것이므로 예컨대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사이의 틈새로 카드가 진입되면 상부롤러가 회전되면서 카드 상면에 작용되는 마찰력에 의해 카드가 이송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사이로 통과되는 카드의 두께가 두꺼워지거나 얇아지게 되면 카드가 진입되지 않거나 정확한 마찰력이 작용되지 않으므로 틈새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상부 및 하부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의 이동 경로상에 설치되는 지지판(20)의 저부에 상하간격 조정장치(10)가 구성되고 이 상하간격 조정장치(10)상에 하부롤러(40)가 설치되어 상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게 되면서 상부롤러(30)와의 틈새 간격이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하 조정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0)의 저부에 설치되고 일측 단부에 하부롤러(40)가 설치되며 대략 단면 형상이 " U" 자로 형성된 일정 길이의 이동부재(12)와, 이 이동부재(12)의 후측 내부에 삽입되어 지지판(20)과의 사이에 탄설되는 압축스프링(14)과, 상기 이동부재의 저면 앞쪽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삽입되어 나사 단부가 지지판(20)의 저면상에 밀착되게 체결되는 스크류(16)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하간격 조정장치(10)의 작용을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12)의 앞쪽에 설치된 하부롤러(40)와 상부롤러(30) 사이에 형성된 틈새 간격을 줄이고자 할 경우에는 스크류(16)가 풀리는 방향으로 외력을 인가하게 되면 이동부재(12)가 상승되고 이에 따라 그 앞쪽에 설치된 하부롤러(40)가 상승되면서 틈새 간격이 줄어들게 되고, 반대로 상기 스크류(16)의 회전방향을 역방향으로 하게 되면 이동부재(12)의 앞쪽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틈새 간격이 증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12)의 앞쪽에 결합되는 부품은 하부롤러(40) 외에도 상하방향으로의 높낮이 조정이 요구되는 다양한 부품이 설치될 수 있는데, 예컨대 카드의 저면에 형성되는 자기테이프의 자기데이터를 읽기 위한 마그네트 헤드와 같은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상하간격 조정장치(10)는 이동부재(12)의 앞쪽에 결합된 부품의 높낮이를 조정하기 위해 작업자가 하방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삽입하여 스크류(16)를 체결 또는 해제시켜야 하는데 이때 드라이버가 삽입되기 위해서는 이동부재(12)의 하측에 위치되는 모든 부품을 해체하거나 분리시킨 상태에서 수행하여야 하는데 카드리더기나 프린터 구조의 특 성상 피인쇄물의 이동경로 하부에 수많은 장치 및 부품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요구되고 이와 같은 해체과정에서 불필요한 장치의 손상을 초래하여 고장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상하간격의 조정이 요구되는 부품의 상하 높낮이 조정이 상측에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성이 향상되고 사용상의 편의성이 제공되도록 한 카드리더기용 부품의 상하간격 조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판의 저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앞쪽 단부에 결합되는 부품의 높낮이를 조정하는 부품의 상하간격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바닥면상에 체결공이 형성되며 앞쪽에 부품이 설치되며 내부에 홈부가 형성된 일정 길이의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앞쪽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삽입공이 형성되며 지지판의 저면에 밀착되는 돌부가 형성된 간격조정부재와; 상기 간격조정부재의 돌부가 항상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게 설치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간격조정부재의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어 이동부재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조정스크류와; 상기 이동부재의 선단에 설치되는 부품에 일정한 탄성력이 작용되면서 유동되도록 이동부재의 후측과 지지판의 사이에 탄설되는 제2탄성부재가 포함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 및 간격조정부재는 대응되게 천공된 홀에 삽입되는 힌지핀에 의해 지지판상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훅에 설치되고, 상기 간격조정부재의 내부에 해당되는 힌지핀상에 일단이 이동부재의 저면에 걸림되고 타단이 간격조정부재상에 걸림되는 토션스프링으로 형성된 제1탄성부재가 삽입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간격조정부재는 판형부재가 대략 " ㄷ" 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앞쪽의 양쪽 상단에 돌부가 형성되며 후단 양 측면에 홀이 천공되며 중앙부에 제1탄성부재가 걸림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한편 이 걸림부상에 삽입공이 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드리더기용 부품의 상하간격 조정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카드리더기용 부품의 상하간격 조정장치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리더기에서 카드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되는 하부롤러에 적용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즉 이송되는 카드의 두께에 따라 원활한 이동을 위해 상하 롤러 사이의 틈새 조정이 요구되고 이에 따라 하부롤러의 상하로 움직여 그 높낮이의 조정을 위한 장치로서 지지판(60)의 저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닥면상에 체결공(111)이 천공되며 일측 단부에 하부롤러(40)와 같은 부품이 구성되며 대략 단면 형상이 " U" 자로 형성된 일정 길이의 이동부재(110)와, 상기 이동부재(110)의 앞쪽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저면에 삽입공(127)이 천공 되며 지지판(60)의 저면에 밀착되는 돌부(122)가 형성된 간격조정부재(120)와, 상기 간격조정부재(120)의 돌부(122)가 항상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게 설치되는 제1탄성부재(130)와, 상기 간격조정부재(120)의 동일 수직선상의 지지판(60)상에 천공된 홀(62)을 통해 삽입공(127)에 삽입되어 이동부재(110)의 체결공(111)에 체결되는 조정스크류(140)가 구성된다.
상기 이동부재(110)의 후측 내부에는 그 선단에 설치되는 부품(하부롤러,40)측에 일정한 탄성력이 작용되면서 유동되도록 함으로서 카드 등의 이동시에 일정한 유격을 형성되도록 지지판(60)과의 사이에 탄설되는 제2탄성부재(150)가 구성된다.
상기 이동부재(110) 및 간격조정부재(120)는 힌지핀(160)에 의해 지지판(60)상에 형성된 걸림훅(64)에 설치되는데,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 조정부재(120)가 이동부재(110) 내에 삽입되고 상기 간격조정부재(120)의 내부에 제1탄성부재(130)가 삽입되는 형태가 되도록 힌지핀(16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정부재(120)는 판형부재가 대략 " ㄷ" 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앞쪽의 양쪽 상단에 돌부(122)가 형성되며 후단 양 측면에 힌지핀(160)이 삽입되는 홀(124)이 천공되며 중앙부에 제1탄성부재(130)가 걸림되는 걸림부(126)가 형성되는 한편 이 걸림부(126)상에 삽입공(127)이 천공된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130)는 일단이 이동부재(110)의 저면에 걸림되고 타단이 걸림부(126)의 저면에 걸림되는 토션스프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110)의 측면상에는 상기 힌지핀(160)이 삽입되는 홀(112)이 형성되고 앞쪽 부분에는 하부롤러(40)가 설치되는 홈부(114)가 형성되는 것이지만,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110)의 앞쪽으로 카드상에 형성된 자기테이프의 신호를 읽기 위해 마그네트 헤드(80)가 설치된 경우 마그네트 헤드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부품이 설치될 수 잇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110)가 지지판(60)의 걸림훅(64)에 끼움 결합된 힌지핀(160)에 의해 상기 지지판(60)의 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동부재의 앞쪽에 결합된 하부롤러(40)가 후부에 설치된 제2탄성부재(150)의 수축 및 팽창 범위내에서 유동되면서 상부롤러(30)측으로 일정한 탄성력을 작용시켜 상부롤러(30)와의 틈새로 인입되는 카드상에 마찰력이 작용되도록 함으로서 카드가 이송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하부롤러(30)(40) 사이의 틈새로 통과되는 카드의 두께가 얇아지거나 두꺼워지게 되면 카드의 이송이 불가능하거나 불량해지게 되는 바, 즉 카드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면 카드가 상,하롤러(30)(40)의 외주면과 접촉되지 않게 되므로 카드상에 마찰력이 작용되지 않아 이송이 불가능하게 되고, 카드가 지나치게 두꺼울 경우에는 하부롤러(40)가 상부롤러(30) 사이의 틈새가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어 지나치게 큰 마찰력이 카드상에 작용되면서 카드의 손상이 초래되거나 심할 경우 카드의 진입 자체가 불가능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카드리더기나 프린터의 상부 케이스(미도시)를 개방시키고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하여 조정스크류(140)를 회전시키게 되면 조정스크류의 하단이 이동부재(110)상에 전진되는 방향이나 후진되는 방향으로 체결 또는 해제되면 간격조정부재(120)의 돌부(122)가 돌출되거나 삽입되므로 전체적으로 이동부재(110)를 상승방향 또는 하강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그 앞쪽에 결합된 하부롤러(40)의 높낮이를 조정하게 되어 대응되는 상부롤러(30)와의 간격을 조정하게 된다.
즉 상기 조정스크류(140)가 하강되는 방향(스크류가 조임되는 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조정스크류의 하단이 이동부재(110)의 체결공(111)에 체결되면서 하방으로 이동되므로 간격조정부재가 눌러져 힌지핀(160)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이 간격조정부재(120)에 형성된 돌부(122)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돌출 높이가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지지판(60)과 이동부재(110)와의 이격거리가 좁아지게 되면서 이동부재(110)는 반시계방향으로 상승되는 작용이 수반되므로 그 앞쪽의 하부롤러(40)가 상승되면서 상부롤러(30)와의 틈새가 좁아지게 된다.
반대로 조정스크류(140)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조작되어 제1탄성부재(130)의 탄성력이 걸림부(126)를 매개로 돌부(122)측을 들어 올리게 되면서 지지판(60)의 저면과 이동부재(110)와의 이격거리가 커지게 되면서 이동부재는 시계방향으로 하강되는 작용이 수반되므로 그 앞쪽의 하부롤러(40)가 하강되면서 상부롤러(30)와의 틈새가 증가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하부롤러(30)(40) 사이를 통과하는 카드의 두께에 따라 틈새의 간격을 손쉽게 조정할 수 있게 되는데 특히 사용자가 카드리더기와 같은 기기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공구를 삽입하여 조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복잡한 하부를 일일이 분해할 필요없이 부품의 상하간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리더기용 부품의 상하간격 조정장치는 그 구성 및 작용이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카드프린터 등과 같이 카드가 이송되는 장치에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리더기용 부품의 상하간격 조정장치에 의하면, 이동부재의 앞쪽에 결합된 부품의 높낮이를 조정하기 위해 작업자가 하방에서 복잡한 장치들을 해체하고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하부에서 삽입하여 힘들게 삽입하여 조정할 필요없이 상측에서 공구를 삽입하여 손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절감되고, 조정작업시에 발생되는 다른 부품의 불필요한 손상이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지지판의 저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앞쪽 단부에 결합되는 부품의 높낮이를 조정하는 부품의 상하간격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바닥면상에 체결공이 형성되며 앞쪽에 부품이 설치되며 내부에 홈부가 형성된 일정 길이의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앞쪽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삽입공이 형성되며 지지판의 저면에 밀착되는 돌부가 형성된 간격조정부재와;
    상기 간격조정부재의 돌부가 항상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게 설치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간격조정부재의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어 이동부재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조정스크류와;
    상기 이동부재의 선단에 설치되는 부품에 일정한 탄성력이 작용되면서 유동되도록 이동부재의 후측과 지지판의 사이에 탄설되는 제2탄성부재가 포함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리더기용 부품의 상하간격 조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 및 간격조정부재는 대응되게 천공된 홀에 삽입되는 힌지핀에 의해 지지판상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훅에 설치되고, 상기 간격조정부재의 내부에 해당되는 힌지핀상에 일단이 이동부재의 저면에 걸림되고 타단이 간격조정부재상에 걸림되는 토션스프링으로 형성된 제1탄성부재가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리더기용 부품의 상하간격 조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정부재는 판형부재가 대략 " ㄷ" 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앞쪽의 양쪽 상단에 돌부가 형성되며 후단 양 측면에 홀이 천공되며 중앙부에 제1탄성부재가 걸림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한편 이 걸림부상에 삽입공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리더기용 부품의 상하간격 조정장치.
KR1020040089073A 2004-11-01 2004-11-01 카드리더기용 부품의 상하간격 조정장치 KR100579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073A KR100579423B1 (ko) 2004-11-01 2004-11-01 카드리더기용 부품의 상하간격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073A KR100579423B1 (ko) 2004-11-01 2004-11-01 카드리더기용 부품의 상하간격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881A KR20060038881A (ko) 2006-05-04
KR100579423B1 true KR100579423B1 (ko) 2006-05-17

Family

ID=37146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073A KR100579423B1 (ko) 2004-11-01 2004-11-01 카드리더기용 부품의 상하간격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942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881A (ko) 200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7015B1 (en) Apparatus for docking a printed circuit board
US6485206B1 (en) Cassette and detecting device for installation thereof
KR940005321B1 (ko) 서어멀 프린터
US5157415A (en) Stationary thermal printer for using detachable cassette
CA2063065C (en) Gimbal card reader
KR100579423B1 (ko) 카드리더기용 부품의 상하간격 조정장치
US7057902B2 (en) Fastening unit for securing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cards in PCI slots in a housing of a computer
EP0274684A1 (en) IC card reader
CN110515428B (zh) 固定装置及计算机设备
US7185822B2 (en) IC card reader
EP1195747B1 (en) Support structure of a magnetic head and magnetic card reader
KR20180001371U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100503014B1 (ko) 아이씨 카드리더
US6217240B1 (en) Device for controlling head pressure in miniature printer
KR100444999B1 (ko) 용지가이드장치
JP4004384B2 (ja) 磁気カードリーダ
JP3549699B2 (ja) カードリーダ
KR900010236Y1 (ko) 복사기의 정착압력 조절장치
KR200378792Y1 (ko) 카드 리더라이터의 카드 이송장치
JP2002074272A (ja) Icカード処理装置
JP4237992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KR200162003Y1 (ko) 유니버설 카세트의 리어 가이드장치
KR100470860B1 (ko) 카드 리더라이터의 카드 로딩장치
JP2531312Y2 (ja) カード片寄せ搬送装置
KR0130880Y1 (ko) 일체형 개인용 컴퓨터의 드로워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