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014B1 - 아이씨 카드리더 - Google Patents

아이씨 카드리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014B1
KR100503014B1 KR10-2002-0058647A KR20020058647A KR100503014B1 KR 100503014 B1 KR100503014 B1 KR 100503014B1 KR 20020058647 A KR20020058647 A KR 20020058647A KR 100503014 B1 KR100503014 B1 KR 100503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ntact
contact block
sliding body
oper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7779A (ko
Inventor
야마나카노부유키
히라사와켄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30027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0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접점블록이 착탈용이한 IC카드리더 접점블록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IC카드(11)가 접동체(20)를 카드스토퍼(33)까지 밀면, 작동축(18)은 안내홈(22)의 경사부(22a)에 규제되어 U자홈(21b)을 따라 하강하고, 수평부(22b)에서 접점스프링(13)(14)의 곡부(13a)(14a)가 IC칩의 입출력 접점(15)에 정합하여 적정히 접촉한다. 압축코일스프링(23)을 수동조작으로 압축하여 말단(22c)을 작동축(18)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작동축(18)은 절개부(34)로부터 꺼내 접점블록기구(10)를 분해하지 않고 접점곡부(13a)(14a)가 마모나 부식으로 문제가 된 접점블록(12)을 단독으로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이씨 카드리더{IC CARD READER}
본 발명은 카드에 매설된 IC칩에 정보를 입출력하는 접점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접점블록기구의 교환에 관한 것이다.
도 5(a)에 IC카드 삽입전, 도 5(b)에 IC카드 삽입시를 도시하는 종래의 접점접촉식 IC카드리더에 있어 접점블록기구(100)에서는 접점블록(101)을 탑재한 상가이드판(102)과 정보입출력 위치를 확정하는 하가이드판(104) 사이에 IC카드(103)를 삽입한다. 접점블록(101)은 상가이드판(102)에 고설된 브라켓(105)의 U자홈(106)과, 상가이드판(102)상의 접동체(107)에 천설된 안내홈(108)이 제어하는 작동축(109)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접동체(107)는 접동판(107a)이 식설(植設)핀(112)에 감착한 멈춤륜(112a)이 규제하는 상가이드판(102) 윗면에 미끄럼 접촉하고, 인장코일스프링(113)의 수축력에 의해 초기위치를 향해 가압된다. 접동판(107a)의 양측면을 절곡하여 세워 올린 측판(114)의 안내홈(108)에 캠접속되는 작동축(109)은 멈춤륜(109a)에 의해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U자홈(106)에서(도시), 상하방향으로 안내된다. 작동축(109)을 제어하는 안내홈(108)은 경사부(108a)와 수평부(108b)로 구성되고, 경사부(108a)에서 작동축(109)을 U자홈(106)을 따라 하강시켜 접점블록(101)을 수평으로 한다. 수평부(108b)에서는 수평이 된 접점블록(101)의 양 접점(110)(111) 선단의 접점곡부(110a)(111a)를 IC카드(103)에 매설된 IC칩(103a)에 압착한다.
상하가이드판(102)(104) 사이에 삽입된 IC카드(103)는 접동체(107) 앞테두리의 결합부(107b)를 눌러 이동하여 인장코일 스프링(113)의 수축력에 맞서 접동체(107)를 이동한다. IC카드(103)가 접동체(107)를 밀어가면 접점블록(101)의 작동축(109)이 안내홈에 형성된 경사부(108a)를 따라 U자홈(106)을 따라서 하강하고, IC카드(103)가 규정위치에 도달하면 작동축(109)이 안내홈 수평부(108b)에 이르며, 작동축(109)의 양 측에 균등하게 접점스프링 선단의 접점곡부(110a)(111a)를 배치한 접점블록(101)은 안내홈 수평부(108b)에 규제되는 작동축(109)과 일체로 스프링 선단의 접점곡부(110a)(111a)를 IC칩(103a)의 소정위치에 압착하며 IC칩(103a)과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리더 사이에서 통신을 행한다. IC카드(103)를 잡아 빼면 접동체(107)는 인장코일 스프링(113)의 수축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하고, 접점블록(101)은 자유가 된다.
그러나 최근 시장에 IC카드의 보급은 현저하여 당연 IC카드리더의 사용빈도는 증가하며, 여러가지 사용매체 및 사용환경과 겹쳐 접점스프링이 열화하여 접점은 마멸이나 오손(汚損)을 받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열화에 의한 접점의 전기적 접촉불량이 발생하면 정보에 버그가 혼입하여 정확성을 잃은 정보가 중대한 신용문제로 발전하는 위험성이 예측된다. 따라서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는 접점스프링부의 교환이나 메인터넌스가 현장에서 간단히 행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IC카드리더의 구조는 부품교환의 작업성에 관해 배려가 행해졌다고는 할 수 없으며 예를들어 멈춤륜(109a)을 빼 작동축(109)을 잡아빼지 않으면 접점블록(101)을 빼낼 수 없는 것과 같이 현장에서의 부품교환작업이 용이하지 않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목적은 접점스프링의 접점블록의 기구를 메인터넌스 부품으로서 현장에서의 교환작업이 용이한 IC카드리더의 구조의 제공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IC카드리더는 삽입되는 카드의 선단과 결합하여 상기 카드와 함께 이동하는 접동체와, 고정 U자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작동축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고, 상기 접동체에 연동하여 상기 카드를 향해 회동하는 접점블록과, 상기 카드의 배출에 따라 상기 접동체와 함께 상기 접점블록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가압수단과, 상기 카드와 탄접하는 여러개의 접점스프링을 구비하는 접점블록 기구를 갖는 IC카드리더에 있어서, 상기 접동체에 배치되고, 카드삽입측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경사부와, 그 경사부로부터 카드삽입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재하는 수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축과 결합하여 상기 접점블록을 회동제어하는 안내홈에 상기 작동축을 해방하는 개구부를 형상하고 또한 상기 카드의 판독위치를 규제하는 카드스토퍼를 배치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접동체가 상기 카드스토퍼의 기능에 의해 이동을 정지하는 범위밖에 연재시킨 상기 안내홈 수평부위의 말단에 배치했다. 또 상기 가압부재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했다. 또한 상기 안내홈의 외측에 상기 작동축의 축방향 이동방향에 대한 저지수단을 배치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IC카드리더의 실시예를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IC카드리더의 실시예에서의 접점블록 기구(10)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로 부분적으로 단면을 도시했다. 도 3은 IC카드 삽입시의 양태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3과 같이 접점블록기구(10)에 있어서 접점블록(12)은 식설한 접점스프링(13)(14)을 IC카드(11)에 매설된 IC칩의 입출력 접점(15)에 소정의 압착력으로 압접하도록 구성된다.
즉 접점블록(12)은 양 측면에 IC카드(11)의 삽입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돌출시키고, 상가이드판(21)에 천설한 브라켓(21c)의 U자홈(21b)과 접동체(20)의 안내홈(22)에 규제되는 작동축(18)의 둘레에 자유롭게 회동시키고, 자유단(12a)은 계지훅(16)과 접동체의 접동면(20d) 윗면사이에 얕게 끼워지며, 작동축(18)의 이동에 따라 직선이동한다. 상가이드판(21)에 고설된 계지훅(16)은 또한 작동축(18)을 규제하는 안내홈의 수평부(22b)와 협동으로 접점스프링(13)(14)의 탄성력을 지지하고, 접점곡부(13a)(14a)가 균등한 압착력으로 IC칩의 입출력 접점(15)에 압접하도록 기능한다.
접동체(20)는 상부가이드판(21)에 지지되고, IC카드(11)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접동이 자유롭다. 접동체(20)는 또 접점블록(12)의 양측에 돌출시킨 작동축(18)과 결합하는 안내홈(22)을 구비하고, 접점블록(12)은 접동체(20)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동한다. 부호 23은 접동체(20)를 초기위치(도 2참조)로 복귀시키는 가압부재로서 사용되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상가이드판(21)에 고설한 돌기(21d)와 접동체 절곡부(20a) 앞테두리 사이에 끼워져 장착된다.
접점블록기구(10)는 상·하가이드판(21)(31)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반송로(24)를 포함하고, 개략 도시한 반송롤러쌍(25)에 연설된다. 반송롤러쌍(25)은 도시하지 않은 정역가능한 구동모터에 의해 적시 구동되고, 가이드반송로(24)에 대해 IC가이드(11)의 반입·반출을 행한다. 접동체(20)의 카드반송로(24)의 폭방향 B에 위치하는 양테두리에는 위쪽을 향해 세워져 올라가 절곡부(20a)(20b)가 각각 형성된다. 단 절곡부(20b)의 측면도는 절곡부(20a)와 겹치므로 생략한다.
절곡부(20a)(20b)에는 경사부(22a)와 수평부(22b)로 이루어지는 안내홈(22)이 경상(鏡像)관계로 대향배치된다. 접동체(20)의 진행방향(화살표 A)의 앞테두리에서 절곡부(20a)(20b)의 중간부를 가이드반송로(24)를 향해 절곡하고, IC카드(11)의 앞테두리와 결합가능한 돌편(26)을 형성한다. 또 절곡부(20b)의 근방에서 폭방향 B에 센서암(20g)이 연재한다.
접동체(20)의 접동면(20d)에는 상가이드판(21)에 식설된 핀(27)과 결합하는 3개의 장공(20c)이 천설되고, 가이드(11)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연재한다. 접동체(20)는 접동면(20d)이 핀(27)에 와셔(28)를 통해 끼워장착한 멈춤륜(29)으로 빼 멈추어져 상가이드판 윗면(21a)에 지지되고, 장공(20c)의 범위내에서 접동이 자유롭다. 접동체(20)의 접동면(20d)에 배치한 개구부(20e)내에 위치하는 상가이드판 윗면(21a)에는 윗쪽에 개구하는 U자홈(21b)을 수직으로 형성한 한쌍의 브라켓(21c)이 천설되고, U자홈(21b)은 접동체 절곡부(20a)(20b)에 천설한 안내홈(22)을 관통하는 작동축(18)과 결합한다.
접점블록(12)은 브라켓(21c) 사이에 여유있게 끼워져 축방향 이동이 규제된다. 접동체 절곡부(20a)(20b)의 상부를 외측으로 되접어 안내홈(22)의 외측면을 향하게 한 벽판(20f)으로 작동축(18)의 축방향 이동의 저지수단을 형성한다. 이 때문에 작동축(18)을 접점블록(12)에 고착하는 가공이나 고정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가이드판 윗면(21a)에서 한쪽의 접동체 절곡부(20a)의 연장선을 따른 앞단부 위쪽에 돌기(21d)를 배치하고, 접동체 절곡부(20a) 앞테두리 사이에 복귀용 가압부재의 압축코일 스프링(23)을 끼워 장착한다. 압축코일 스프링(23)은 탄성한게를 넘는 취급을 받는 경우는 없어 교환의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인장코일스프링과 같이 접점블록(12)을 교환할 때마다 분리하지 않아 그 만큼 접점 블록(12)의 교환은 용이하게 된다.
접점스프링(13)(14)은 전기접점재의 판스프링을 대략 L자모양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작동축(18)의 축선방향으로 여러개 병렬로 배치되고 또한 작동축(18)보다도 가이드 삽입측 근처에 직렬로 배설하여, 접촉부가 되는 접점곡부(13a)(14a)가 IC칩의 입출력 접점(15)과 소정의 가압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작동축(18)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균등한 거리 s에 위치하도록 작동축(18)을 향해 경사지게 한 형상으로 접점블록(12)에 식설된다(도 3참조). 접동체(20)가 압접코일 스프링(23)의 가압력으로 자유롭게 눌려 이동되고, 작동축(18)이 접동체(20)의 안내홈(22)에서의 경사부(22a) 상단에 위치할 때 접점블록(12)은 초기위치에 있어 접점스프링(13)(14)은 가이드 반송로(24)에서 이간하고, IC카드(11)의 반입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대기한다(도 2참조).
접동체(20)가 IC카드(11)의 반입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방향(화살표 A)으로 옆쪽에 연재시킨 센서암(20g)의 앞쪽에는 가이드센서(30)가 배치되고, 센서암(20g)이 카드센서(30)에 접촉 또는 자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검지되면 송출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터를 정지하여 IC카드(11)의 반입을 정지한다.
상가이드판(21)의 밑면(21e)에서 접동체(20) 앞테두리에 천설한 IC카드(11)와의 결합돌편(26)에서 폭방향(화살표 B) 외측에, IC카드(11)의 정지와 동기하여 IC카드(11) 앞테두리의 일부에 접촉하고, 판독위치를 규제하는 가이드 스토퍼(33)를 천설한다. 즉 반입된 IC카드(11)는 앞테두리가 카드스토퍼(33)에 접촉했을 때 접점스프링의 접점곡부(13a)(14a)가 IC칩의 입출력 단자(15)의 적정위치에 정합하고, 카드센서(30)가 센서암(20g)을 검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정된다.
이 때 작동축(18)은 접동체(20)의 안내홈(22)에 있어 수평부(22b)에 위치하고 있다. 접동체(20)는 카드스토퍼(33)에 의한 IC카드(11)의 정지위치에 관계 없이 압축코일스프링(23)의 가압력에 맞서 조작력에 의해 더욱 압축코일스프링(23)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작동축(18)의 위치에 안내홈 말단(22c)을 가지고 올 수 있다.
안내홈 말단(22c)은 접동부의 절곡부(20a)(20b)가 위쪽을 향해 폭이 넓어지는 절개부(34)에 의해 개구되고, 작동축(18)을 절개부(34)에서 안내홈(22)의 밖으로 꺼낼 수 있다(도 4 화살표 C). 접점블록(12)을 구속하는 것은 안내홈(22)에 결합하는 작동축(18)만이기 때문에 작동축(18)이 착탈할 수 있는 절개부(34)는 접점블록 착탈용 개구부로서 기능한다.
다음에 이와같이 구성된 입출력 접점블록 기구(10)의 동작을 설명한다. IC카드(11)가 삽입되면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터가 기동하여 반송롤러쌍(25)을 구동하고, IC카드(11)를 카드반송로(24)안에 반입한다. IC카드(11)는 진행하여 앞테두리가 초기위치에 대기하는 접동체(20) 앞테두리의 돌편(26)에 결합하고, 압축코일스프링(23)의 가압력에 맞서 접동체(20)는 IC카드(11)와 일체로 이동한다. 접동체(20)의 초기위치에 있어서 안내홈의 경사부(22a) 상단에 위치하는 작동축(18)은 접동체(20)의 이동에 따라 경사부(22a)를 따라 서서히 브라켓(21c)의 U자홈(21b)안을 수직으로 하강하여 수평부(22b)를 향해 이동한다. 이 동작에 연동하여 접점블록(12)은 카드반송로(24)를 향해 선회하고, 접점스프링(13)(14)의 접점곡부(13a)(14a)가 IC카드(11)면에 압착된다.
그리고 작동축(18)이 안내홈(22)의 수평부(22b)에 달하면 작동축(18)의 U자홈(21b)안의 하강은 규제되어 접점블록(12)의 회동은 정지하고, IC카드(11)의 앞테두리의 카드스토퍼(33)에 접촉한다. 이 때 접점곡부(13a)(14a)는 거의 균등한 압착력으로 IC칩의 입출력 접점(15)에 압접하고, 카드센서(30)가 센서암(20g)을 검출하여 반송롤러쌍(25)의 구동모터를 정지한다.
반송롤러쌍(25)의 정지에 의해 IC카드(11)는 입출력 접점(15)이 접점곡부(13a)(14a)와 대향하는 소정위치에 정지하여 카드리더와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접점곡부(13a)(14a)는 입출력 접점(15)에 일정한 압착력으로 양호한 접촉상태로 유지되고, 데이터의 읽고 쓰는 것을 안정된 상태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데이터의 읽고쓰기가 종료하면 구동모터를 역회전시켜 카드반송로(24)로부터 IC카드(11)를 반출한다.
IC카드(11) 앞테두리는 접동체(20)의 돌편(26)과의 결합을 해제하므로 접동체(20)는 압축코일스프링(23)의 가압력으로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작동축(18)은 수평부(22b)로부터 경사부(22a)로 안내되면서 U자홈(21b)을 상승하고, 접점블록(12)은 초기위치를 향해 회동하므로 접점스프링(13)(14)은 IC카드(11)로부터 이간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와같이 접점스프링(13)(14)은 회동만으로 접동에 의한 마찰작용이 거의 없기 때문에 접점곡부(13a)(14a)에 마모가 적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IC카드(11)의 유무에 관계없이 접동체(20)는 수동조작으로 압축코일스프링(23)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장공(20c)의 범위내에서 자유로이 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동체(20)를 카드스토퍼(33)에 의한 정지위치로부터 더욱 안내홈 말단(22c)이 작동축(18)의 위치에 이를때 까지 장공(20c) 안까지 이동시키고, 압축코일스프링(23)의 가압력에 맞서 일시적으로 접동체(20)를 고정함으로써 작동축(18)은 절개부(34)에 의해 안내홈(22)에서 해방되어 자유롭게 된다. 거기서 접점블록(12)은 자유단(12a)을 계지훅(16)의 얕은 끼워넣는부분에서 이탈시켜 작동축(18)을 U자홈(21b)으로부터도 위쪽으로 잡아빼는 것으로 단독으로 간단히 접점블록기구(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와같이 접점블록기구(10)를 분해하지 않고 접점곡부(13a)(14a)가 마모나 부식으로 문제가 된 접점블록(12)을 단독으로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형상이나 구성 등에 대해 본 발명의 구성요건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세부에 관한 다양한 변경이나 부품의 재구성 등의 개변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들어 접점스프링의 복귀에 압축스프링을 사용했지만 접동부에 스프링 거는 부를 배치하여 인장코일스프링을 작동축 사이에 장설하여 접점블록과 함께 교환할 수 있도록 하면 인장코일스프링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 작업성 향상을 위해 교환시에 접동부재를 교환위치로 이동한 위치에서 양손이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도록 복귀스프링의 가압력을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계지핀 꽂아넣는 구멍을 배치해도 좋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청구항 1에 기재한 본 발명에 관한 IC카드에 의하면 접점블록기구를 갖는 IC카드리더에 있어서 안내홈에 작동축을 해방하는 개구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접점블록과 작동축 둘레를 분해하지 않고 또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가락 끝 조작만으로 접점블록만을 단독으로 간단히 탈착할 수 있다. 따라서 시장에 있어서도 현장에 있어서도 접점블록기구의 교환이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카드의 판독위치를 규제하는 카드스토퍼를 배치했기 때문에 접점블록교환에 관계없이 카드판독위치는 안정되어 조정의 필요는 없다. 이 때문에 수동으로 행하는 IC카드리더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며 또 반송회로가 좋지 않은 경우의 수동조작에 의해서도 판독정밀도가 영향받지 않는다. 따라서 IC카드리더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한 본 발명에 관한 IC카드에 의하면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접동체가 상기 카드스토퍼의 기능에 의해 이동을 정지하는 범위밖에 연재시킨 상기 안내홈 수평부위의 말단에 배치했기 때문에 IC카드의 정지위치에 관계없이 접동체를 정지위치에서 더욱 이동시킴으로써 접점블록의 착탈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접점블록이 IC카드의 정지위치에서 벗어날 염려는 없고 접점스프링과 IC칩 입출력 단자와의 접촉도 정지위치에서 안정되게 재현되어 신뢰성이 있는 정보의 입출력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한 본 발명에 관한 IC카드에 의하면 상기 가압부재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했기 때문에 인장코일스프링이면 필요로 되는 스프링 거는부 형성을 위한 가공이 없이 재료의 감축과 콤팩트한 구성이 가능하게 되며 또 인장코일스프링에 필요한 착탕릉 위한 분해작업이 없어지기 때문에 교환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4에 기재한 본 발명에 관한 IC카드에 의하면 안내홈의 외측에 작동축의 축방향 이동에 대한 저지수단을 배치했기 때문에 접점블록은 작동축을 고정하여 장착한 채 착탈용 개구부로부터 장착할 수 있고, 작동축은 안내홈을 통해 접점블록에 삽통할 필요가 없어 작동축의 축방향의 이동을 저지하는 멈춘륜이 배제되며, 작동축 양단의 멈춤륜 홈가공을 생략할 수 있어 가공조립이 용이하게 되어 제조시간이 단축되고, 또 현장에서는 멈춤륜을 착탈하는 공구가 불필요하여 착탈작업의 생략에 의해 교환작업시간이 단축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IC카드리더의 일 실시예에 있어 접점블록기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IC카드리더에 있어서 IC카드가 입출력 위치에 셋트된 상태를 설명하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IC카드리더에서의 접점블록 취출조작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5는 종래의 IC카드리더의 접점블록기구의 일 실시예를 일부단면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a)는 대기위치에 있는 초기상태를 도시하고, (b)는 카드가 입출력위치에 셋트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접점 블록기구 11: IC카드
12: 접점블록 13,14: 접점스프링
15: 입출력 접점 18: 작동축
20: 접동체 21: 상가이드 판
21b: U자홈 22: 안내홈
23: 압축코일스프링 24: 카드반송로
26: 계지돌편 33: 카드스토퍼
34: 절개부(접점블록 착탈용 개구부)

Claims (4)

  1. 삽입되는 카드의 선단과 결합하여 상기 카드와 함께 이동하는 접동체와,
    고정 U자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작동축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고, 상기 접동체에 연동하여 상기 카드를 향해 회동하는 접점블록과,
    상기 카드의 배출에 따라 상기 접동체와 함께 상기 접점블록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가압수단과,
    상기 카드와 탄접하는 여러개의 접점스프링을 구비하는 접점블록 기구를 갖는 IC카드리더에 있어서,
    상기 접동체에 배치되고, 카드삽입측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경사부와, 그 경사부로부터 카드삽입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재하는 수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축과 결합하여 상기 접점블록을 회동제어하는 안내홈에 상기 작동축을 해방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카드의 판독위치를 규제하는 카드스토퍼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카드리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접동체가 상기 카드스토퍼의 기능에 의해 이동을 정지하는 범위밖에 연재시킨 상기 안내홈 수평부위의 말단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카드리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카드리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의 외측에 상기 작동축의 축방향 이동방향에 대한 저지수단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카드리더.
KR10-2002-0058647A 2001-09-28 2002-09-27 아이씨 카드리더 KR100503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00180 2001-09-28
JP2001300180A JP4080192B2 (ja) 2001-09-28 2001-09-28 Icカードリー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779A KR20030027779A (ko) 2003-04-07
KR100503014B1 true KR100503014B1 (ko) 2005-07-21

Family

ID=19120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647A KR100503014B1 (ko) 2001-09-28 2002-09-27 아이씨 카드리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080192B2 (ko)
KR (1) KR100503014B1 (ko)
CN (1) CN14109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0289B2 (ja) * 2003-05-13 2008-09-1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Icカードリーダ
JP5430495B2 (ja) * 2010-05-27 2014-02-26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カードリーダ
CN107408213B (zh) * 2015-08-19 2020-04-17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读卡器以及磁信息记录介质处理装置
JP6408967B2 (ja) * 2015-08-19 2018-10-1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カードリーダ
CN111128935B (zh) * 2020-01-07 2021-06-18 顺德职业技术学院 芯片读脚器
CN112488267A (zh) * 2020-12-22 2021-03-12 楚天龙股份有限公司 一种多用智能卡读卡器及其读写方法
CN113850959B (zh) * 2021-09-06 2023-07-04 南京源码盛晟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物流用信息获取的应用系统及其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9513A (ja) * 1993-04-23 1994-11-04 Omron Corp Icカード用コネクタ
JPH0728960A (ja) * 1993-07-09 1995-01-31 Toshiba Corp Icカードの情報処理装置
JPH11282973A (ja) * 1998-03-30 1999-10-15 Anritsu Corp Icカード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9513A (ja) * 1993-04-23 1994-11-04 Omron Corp Icカード用コネクタ
JPH0728960A (ja) * 1993-07-09 1995-01-31 Toshiba Corp Icカードの情報処理装置
JPH11282973A (ja) * 1998-03-30 1999-10-15 Anritsu Corp Icカード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80192B2 (ja) 2008-04-23
JP2003108937A (ja) 2003-04-11
KR20030027779A (ko) 2003-04-07
CN1410936A (zh) 200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0552B1 (en) Card reader having means for reducing the size of the card reader
KR100503014B1 (ko) 아이씨 카드리더
JPS6320782A (ja) オプティカルディスクのカ−トリッジ
CN111581995B (zh) 磁信息记录介质处理装置
JP2016091107A (ja) カードリーダ
EP1195747B1 (en) Support structure of a magnetic head and magnetic card reader
EP1115084B1 (en) Contacts block mechanism for IC card reader
US6776338B2 (en) IC card reader
EP1083551B1 (en) Head support mechanism in magnetic card reader
US20020153420A1 (en) Ic card handling device
JP4877479B2 (ja) 磁気ヘッド用ガイド
KR101909407B1 (ko) Ic 접점 유닛, ic 카드 처리 장치 및 자동 거래 장치
JP2750070B2 (ja) 接点の上下装置
JPH08315088A (ja) Icカードリーダ
EP1037161A3 (de) Lese-/Schreibaggregat für Datenkarten
JPS61134915A (ja) 磁気ヘツド保持装置
KR19990014139A (ko) 카드 또는 티켓 전달 장치
JP4111230B2 (ja) カードリーダの挿入口遮断機構
KR200368820Y1 (ko) 카드를 이송하기 위한 슬립방지용 롤러 구동장치
JPS5969881A (ja) カ−ドリ−ダ装置
KR200209736Y1 (ko) 카드리더라이트의 스프링을 이용한 유동형 엔코더장치
JP3369045B2 (ja) Icカードリーダ
JP2005258560A (ja) 磁気カードリーダ用アダプタ装置
JP2529717Y2 (ja) 異巾カード兼用磁気カードリーダ
JPH10171937A (ja) Icカードリ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