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792Y1 - 카드 리더라이터의 카드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카드 리더라이터의 카드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792Y1
KR200378792Y1 KR20-2004-0037416U KR20040037416U KR200378792Y1 KR 200378792 Y1 KR200378792 Y1 KR 200378792Y1 KR 20040037416 U KR20040037416 U KR 20040037416U KR 200378792 Y1 KR200378792 Y1 KR 2003787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upport piece
frame
driving
wri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진
Original Assignee
(주)키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키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키트로닉스
Priority to KR20-2004-0037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7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7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7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6Guiding cards; Checking correct operation of card-conveying mechan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Abstract

본 고안은 카드 리더라이터의 카드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이송장치는, 카드를 이송시키면서 상기 카드의 데이터를 읽거나 카드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카드 리더라이터에 있어서, 상기 카드 리더라이터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카드를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에 인접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편과, 소정의 유격을 가지면서 상기 지지편이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고정축과, 상기 지지편에 설치되어 상기 각 구동롤러와 쌍을 이루며 접촉하여 회전하는 복수개의 종동롤러와, 상기 고정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편을 상기 구동롤러를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복수개의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카드 이송장치에 의하면, 카드를 더욱 안정적으로 이송하여 카드 데이터를 읽거나 기록하는 경우에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드 리더라이터의 카드 이송장치 {Card transferring apparatus of card reader-writer}
본 고안은 카드 리더라이터의 카드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드를 안정적으로 이송하여 카드의 데이터를 읽거나 카드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카드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드는 IC모듈이 구비된 IC카드와 마그네틱면이 구비된 마그네틱카드가 널리 사용된다. 사용자가 이러한 카드들을 카드 리더라이터의 카드 투입부로 투입하면, 구동모터가 회전하게 되고, 구동모터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은 여러 쌍의 상하부 롤러에 의해 카드가 이송된다. 이송된 카드는 판독부에 이르러 카드의 데이터가 읽혀지거나, 또는 기록부에 이르러 카드에 데이터가 기록된다.
일반적인 카드 리더라이터의 카드 이송장치에서는, 카드의 이송속도가 일정하지 않고, 카드가 이송되는 중에 흔들림이 발생하여 카드 데이터를 읽거나 기록하는 경우에 오류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 20-0160866호에 의한 카드 이송장치가 개시되었는데, 도 1에 그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카드 이송장치(1)는 여러 쌍의 상하부 롤러(2)(2′)(3)(3′)(4)(4′)를 구비한다. 상부 롤러(2)(3)(4)들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하부 롤러(2′)(3′)(4′)들은 지지편(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편(5)은 스프링(6)이 삽입된 볼트(7)에 의해 프레임(미도시)에 일체로 고정된 고정판(8)에 체결된다. 카드(미도시)가 상하부 롤러(2)(2′)(3)(3′)(4)(4′) 사이에 삽입되면, 지지편(5)이 스프링(6)을 압축하면서 하부로 벌려지고, 지지편(5)에 설치된 하부 롤러(2′)(3′)(4′)도 카드의 두께만큼 상부 롤러(2)(3)(4)와 떨어지게 되어, 구동모터와 연결된 각 상부 롤러(2)(3)(4) 및 하부 롤러(2′)(3′)(4′)들에 의해 카드가 이송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카드 이송장치에서는, 지지편(5)에 의해 스프링(6)이 장기간동안 수축·팽창을 반복하게 되면 볼트(7)가 풀려 지지편(5)으로부터 이탈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지지편(5)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지지편을 고정하는 고정축에 비틀림스프링을 설치하여 지지편을 가압함으로써, 카드 이송장치를 장기간 사용하여도 지지편이 분리될 염려가 없고, 또한 카드를 안정적으로 이송하여 카드 데이터를 읽거나 기록하는 경우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이송장치는, 카드를 이송시키면서 상기 카드의 데이터를 읽거나 카드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카드 리더라이터에 있어서, 상기 카드 리더라이터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카드를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에 인접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편; 소정의 유격을 가지면서 상기 지지편이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고정축; 상기 지지편에 설치되어, 상기 각 구동롤러와 쌍을 이루며 접촉하여 회전하는 복수개의 종동롤러; 및 상기 고정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편을 상기 구동롤러를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복수개의 스프링;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프링은 비틀림스프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지지편 사이의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카드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이송장치(10)가 구비된 카드 리더라이터(10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드 리더라이터(100)는 골격을 형성하며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되는 프레임(11)을 구비한다. 프레임(11)은 좌우플레이트(12)(14)를 구비하며, 복수개의 스페이서(16)에 의해 좌우플레이트(12)(14)는 소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된다. 카드 리더라이터(100)의 전면부에는 카드 투입부(18)가 설치된다. 카드 투입부(18)에는 카드(미도시)가 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카드가 카드 리더라이터(100)의 내부의 카드 이송장치(10)로 삽입된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카드 투입부(18)에는 카드가 삽입되는 경우에만 개방되는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수단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와 연결되고, 제어부는 다시 후술하는 구동모터(20)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는 카드가 카드 투입부(18)로 투입되는 경우에만 구동모터(2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카드 이송장치(10)는 카드 투입부(18)를 통해 삽입된 카드(미도시)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카드 이송장치(10)는 카드 리더라이터(100)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11)에 설치된다. 카드 이송장치(10)는, 프레임(1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0), 프레임(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모터(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카드(미도시)를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구동롤러(31)(34)(37), 구동롤러(31)(34)(37)에 인접하도록 프레임(11)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편(40), 소정의 유격을 가지면서 지지편(40)이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고정축(42)(도 3참조), 지지편(40)에 설치되어 각 구동롤러(31)(34)(37)와 쌍을 이루면서 구동롤러(31)(34)(37)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복수개의 종동롤러(31′)(34′)(37′), 및 고정축(42) 상에 설치되어 지지편(40)을 구동롤러(31)(34)(37)를 향해 탄성바이어스시키는 복수개의 스프링(46)을 구비한다.
상기 구동모터(20)는 프레임(11)의 내부에 설치되며, 구동축(21)이 프레임(11)의 일측면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위치한다. 구동모터(20)의 회전력은 구동롤러(31)(34)(37)로 전달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구동롤러(31)(34)(37)는 본 고안에서는 3개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카드 리더라이터(100)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개수가 설치될 수 있다. 각 구동롤러(31)(34)(37)는 회전축(32)(35)(38)에 의해 프레임(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구동롤러(31)(34)(37)들은 일렬로 배치되어 카드(미도시)를 더욱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프레임(11)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설치된 회전축(32)(38)은 프레임(11)의 일측면으로 돌출되며, 그 단부에 각각 구동풀리(33)(39)가 설치된다. 프레임(11)의 중앙에 설치된 회전축(35)은 그 단부에 메인풀리(36)가 설치된다.
메인풀리(36)는 메인벨트(22)에 의해 전술한 구동모터(20)의 구동축(21)과 연결되어, 구동축(21)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이렇게 전달된 회전력은 메인풀리(36)와 각 구동풀리(33)(39)를 연결하는 각 구동벨트(23)(24)에 의해 각 회전축(32)(38)으로 전달되고, 각 회전축(32)(35)(38) 및 이와 연동하는 구동롤러(31)(34)(37)가 회전하게 된다.
메인풀리(36)의 일측에는 엔코더(encoder)(26)가 설치된다. 엔코더(26)는 메인풀리(36)와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메인풀리(36)의 회전에 의한 카드의 이송거리를 측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엔코더(26)는 전술한 제어부와 연결되어, 카드의 데이터를 읽거나 카드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 구동모터(20)의 속력을 제어하여 카드가 정확한 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는 복수개의 풀리(33)(36)(39)와 벨트(22)(23)(24)에 의해 구동모터(20)의 회전력이 각 구동롤러(31)(34)(37)로 전달되는 구조를 채택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기어가 서로 맞물려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조도 가능하며, 이러한 구조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이송장치(10)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롤러(31)(34)(37)와 인접한 하부에는 지지편(40)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지지편(40)은 구동롤러(31)(34)(37)가 배치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 ㄷ자형 채널형상을 가지며, 개방된 면이 하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지지편(40)의 양측부에는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구멍(43)이 다수 형성되며, 복수개의 고정축(42)이 상기 구멍(43)을 관통하여 프레임(11)(도 2참조)과 연결됨으로써 지지편(40)이 지지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멍(43)은 고정축(42)의 직경과 비교하여 수직방향으로 좀더 연장되어 소정의 틈을 갖도록 형성되어, 지지편(40)이 고정축(42)에 대하여 상기 틈만큼 상하로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편(40)에는 구동롤러(31)(34)(37)와 동일한 개수의 종동롤러(31′)(34′)(37′)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각 종동롤러(31′)(34′)(37′)는 구동롤러(31)(34)(37)와 쌍을 이루도록 각 구동롤러(31)(34)(37)의 하부에 설치되며, 구동롤러(31)(34)(37)와 접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고정축(42) 상에는 비틀림스프링(46)이 설치되어 지지편(40)을 구동롤러(31)(34)(37)를 향해 탄성바이어스시킨다. 비틀림스프링(46)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지지편(40)의 양측부의 하단에 걸어지고 고정축(42)을 감싸면서 비틀림스프링(46)의 중앙부가 지지편(40)을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비틀림스프링(46)은 지지편(40)과 고정축(46)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편(40)은 고정축(42)에 의해 프레임(11)에 시소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카드의 선단부가 첫 번째 구동롤러(31)와 종동롤러(31′)사이에 삽입되는 경우에, 첫 종동롤러(31′)가 설치된 지지편(40)의 일단부는 비틀림스프링(46)에 하중을 가하면서 상기 구멍(43)의 여유부만큼 하부로 시소운동하게 된다. 지지편(40)과 연동하는 종동롤러(31′)도 하부로 움직이게 되어, 종동롤러(31′)와 구동롤러(31)사이에 간격을 형성하고, 카드가 그 간격을 통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에, 지지편(40)의 타단부에 설치된 롤러 쌍(37)(37′)은 계속해서 접촉한 상태가 된다.
카드가 첫 롤러 쌍(31)(31′) 사이를 지나가게 되면, 비틀림스프링(46)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편(40)의 일단부는 다시 상부로 시소운동을 하고, 종동롤러(31′)는 구동롤러(31)와 접하게 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바람직하게 구동롤러(31)(34)(37)와 지지편(40) 사이에는 가이드 플레이트(50)가 설치된다. 가이드 플레이트(50)는 구동롤러(31)(34)(37)와 종동롤러(31′)(34′)(37′)에 의해 이송되는 카드가 평형을 유지하면서 이송되도록 가이드한다. 카드가 평형을 유지하면서 이송되면, 카드의 데이터를 읽거나 카드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이드 플레이트(50)가 카드와 접하는 일면에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표면을 코팅하여, 이송되는 도중에 카드 표면이 손상받는 것을 방지하며, 보다 부드럽게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드 이송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카드투입부(18)의 개폐수단을 통해 카드를 카드 리더라이터(100)의 내부로 삽입한다. 카드삽입과 동시에 상기 개폐수단과 연결된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구동모터(20)가 구동하게 된다. 구동모터(20)의 회전력은 카드 리더라이터(100)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롤러(31)(34)(37)에 전달되어 구동롤러(31)(34)(37)가 회전을 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60)의 선단부가 첫 번째 구동롤러(31)와 종동롤러(31′) 사이에 삽입되면, 첫 번째 종동롤러(31′)가 설치된 지지편(40)의 일단부는 고정축(42)에 설치된 비틀림스프링(46)을 하부로 누르면서 카드의 두께만큼 하부로 시송운동을 한다. 이경우, 지지편(40)의 타단부에 설치된 롤러 쌍(37)(37′)은 여전히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시소운동에 의해 구동롤러(31))와 종동롤러(31′)사이에 카드가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이 형성되고, 구동롤러(31)의 회전에 의해 카드가 이송되게 된다.
카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두 번째 롤러쌍(34)(34′), 및 세 번째 롤러쌍(37)(37′)을 통하여 이송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60)가 세 번째 롤러 쌍(37)(37′)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지지편(40)의 타단부가 시소운동을 하고, 첫 번째 롤러 쌍(31)(31′)이 다시 접촉한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카드가 이송되는 도중에는 가이드 플레이트(50)에 의해 카드가 평행하게 이송되도록 하여, 카드의 데이터를 읽거나 카드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이송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카드 이송장치에서는 스프링이 지지편에 직접 고정됨으로써 지지편이 장기간동안 반복적으로 상하로 시소운동을 하게 되면, 압축스프링이 삽입된 볼트가 풀려서 지지편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하면, 지지편이 고정축에 의해 프레임에 시소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비틀림 스프링은 고정축 상에 설치되어 지지편을 상측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종래 기술처럼 장기간 사용하여도 지지편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카드의 이송을 가이드함으로써, 카드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송되며, 카드를 읽거나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 오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카드 리더라이터의 카드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발췌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드 이송장치를 구비한 리더 라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카드 이송장치의 발췌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이송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 3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카드 이송장치 11...프레임
20...구동모터 31,34,37...구동롤러
31′,34′,37′...종동롤러 40...지지편
46...비틀림스프링 60...카드
100...카드 리더라이터

Claims (3)

  1. 카드를 이송시키면서 상기 카드의 데이터를 읽거나 카드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카드 리더라이터에 있어서,
    상기 카드 리더라이터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카드를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에 인접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편;
    소정의 유격을 가지면서 상기 지지편이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고정축;
    상기 지지편에 설치되며 상기 각 구동롤러와 쌍을 이루며 접촉하여 회전하는 복수개의 종동롤러; 및
    상기 고정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편을 상기 구동롤러를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복수개의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리더라이터의 카드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비틀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리더라이터의 카드 이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지지편 사이의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카드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리더라이터의 카드 이송장치.
KR20-2004-0037416U 2004-12-30 2004-12-30 카드 리더라이터의 카드 이송장치 KR2003787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416U KR200378792Y1 (ko) 2004-12-30 2004-12-30 카드 리더라이터의 카드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416U KR200378792Y1 (ko) 2004-12-30 2004-12-30 카드 리더라이터의 카드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792Y1 true KR200378792Y1 (ko) 2005-03-18

Family

ID=43680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416U KR200378792Y1 (ko) 2004-12-30 2004-12-30 카드 리더라이터의 카드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7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112B1 (ko) * 2007-02-26 2007-08-29 (주)고려다이나믹스 카드 발권 시스템
KR101063664B1 (ko) 2009-11-03 2011-09-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카드 리더기 및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카드 회수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112B1 (ko) * 2007-02-26 2007-08-29 (주)고려다이나믹스 카드 발권 시스템
KR101063664B1 (ko) 2009-11-03 2011-09-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카드 리더기 및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카드 회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5122B2 (en) Card processing unit
US4476507A (en) Magnetic card transporting apparatus
KR20010073158A (ko) 카드 프린터 및 엔코더
GB2319375A (en) Card reader
US5206489A (en) Magnetic encoding device for cards
KR200378792Y1 (ko) 카드 리더라이터의 카드 이송장치
WO2010004748A1 (ja) カード処理ユニットおよびカード発行装置
JP5303314B2 (ja) カードリーダ
KR100897791B1 (ko) 카드 리더
JP5613753B2 (ja) 媒体処理装置
JP3976622B2 (ja) 非接触icカード処理装置
JPH049644Y2 (ko)
JP2583457Y2 (ja) 磁気カ−ドリ−ダ
KR950008487Y1 (ko) 카드기록/판독기의 카드 이송장치
CN216561793U (zh) 卡片读写设备
JP3582154B2 (ja) 磁気カードリーダライタ
JP3547598B2 (ja) 記録装置
JP5215134B2 (ja) カードリーダのカード搬送機構およびカードリーダ
KR0129047Y1 (ko) 마그네틱카드 리더라이터의 카드이송장치
JP3004933B2 (ja) カード搬送装置
JP4034659B2 (ja) カード搬送装置
JP5384048B2 (ja) カード処理ユニット
JP4648795B2 (ja) カードリーダ
JP2937764B2 (ja) カード搬送装置
KR19990014139A (ko) 카드 또는 티켓 전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