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968B1 - 해조의 유용성 성분 추출 방법 및 추출액의 용도 - Google Patents

해조의 유용성 성분 추출 방법 및 추출액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968B1
KR100576968B1 KR1020030046300A KR20030046300A KR100576968B1 KR 100576968 B1 KR100576968 B1 KR 100576968B1 KR 1020030046300 A KR1020030046300 A KR 1020030046300A KR 20030046300 A KR20030046300 A KR 20030046300A KR 100576968 B1 KR100576968 B1 KR 100576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eaweed
carotene
lutein
eicosapentaeno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6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5674A (ko
Inventor
히로시 하기노
시호 사또
Original Assignee
시라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라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라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5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5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9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7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해조류로부터 β-카로틴, 루테인 등의 유용성 성분, 혹은 이들 성분에 에이코사펜타엔산 함유물을 포함하는 유용성 성분을 안정적이면서 천연 상태에 가까운 상태로 추출하여, 건강 식품이나 화장품으로 제공한다.
해조류의 작은 조각 또는 분말에 유지, 납류 또는 탄화수소를 첨가하여 교반한 다음, 상온에서 필요에 따라 마쇄제를 첨가하여, 마쇄한다. 이에 따라, 해조류의 β-카로틴, 루테인, 에이코사펜타엔산 함유물 등의 유용성 성분은 상온에서도 높은 추출율로 유지, 납류 또는 탄화수소중에 추출되며, 또한 산화되지 않고 각 성분이 천연상태에 가까운 상태로 공존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진 추출액은 화장품 또는 건강 식품의 함유 성분으로서 유효하다.

Description

해조의 유용성 성분 추출 방법 및 추출액의 용도{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OIL-SOLUBLE INGREDIENTS OF SEAWEED AND THE USE OF THE EXTRACTED LIQUID}
본 발명은, 해조에 포함되어 있는 β-카로틴, 루테인 등의 유용성 유효성분, 혹은 이들 성분에 에이코사펜타엔산 함유물을 포함하는 유용성 유효 성분을, 천연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상태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추출하는 방법, 및 그 추출물을 배합한 화장품 및 건강 식품에 관한 것이다.
해조류는, 미네랄, 비타민, 식이섬유 등의 유용한 영양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건강 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해조팩과 같이 그 자체로서 피부 미용에도 이용되고 있다. 종래, 해조류의 수용성 성분 추출에 관한 여러 가지 방법이 검토된 바 있으나, 해조류에는 β-카로틴이나 루테인 등의 유용성 성분도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 유용성 성분은 영양 성분으로서, 혹은 화장품의 소재로서 유용하다. 뿐만아니라, 해조에는 에이코사펜타엔산 함유물도 포함되어 있는데, 이것도 영양 성분이나 화장품 소재로서 유용하다.
이러한 유용성 성분을 이용하는 종래의 기술로는, 예를 들면, 클로렐라 등의 단세포 조류(藻類)로부터 얻어낸 β-카로틴 추출액을 유지류에 용해시켜, 식품, 의 약품 및 화장품에 이용하는 것(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1989-43167호)이나, 해조로부터 에탄올 등의 함수 유기 용제를 이용하여 고온하에서 수용성, 유용성 성분을 추출해내어, 화장품의 재료로 이용하는 방법(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1987-286907호) 등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해조류의 에이코사펜타엔산 함유 성분을 이용하는 종래 기술로는, 클로렐라 등의 미세조류로부터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실리카 겔로 분획하는 방법(일본 공고 특허 공보 제1993-86796호), 학명이 그라텔로우피아 란세올라타(Grateloupia lanceolata)인 홍조류로부터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처리하는 방법(일본 공고 특허 공보 제1995-65066호) 등의 추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유용성 성분의 추출시, β-카로틴이나 루테인 등, 혹은 이것들에 에이코사펜타엔산 함유 성분 등의 복수의 항산화 유용성 성분이 동시에 효율적으로 추출된 예는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조로부터 에탄올 등의 함수 유기 용제를 이용하여 고온하에서 수용성, 유용성 성분을 추출하여, 화장품의 재료로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는데, 이와 같이 고온에서 추출하는 것은, 해조의 세포막이나 세포벽이 견고하여 상온에서의 추출 효율이 높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온에서 추출하면, β-카로틴, 루테인 등의 유용성 성분이 산화되기 쉽기 때문에, 반드시 안정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메틸알콜, 에틸알콜 등의 수용성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면, 용출후 용매를 제거해야 할 필요가 있어, 조작이 번잡하고 비용적으로도 문제가 있다. 또한, 안정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항산화제를 첨가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지만, 추출후의 용도를 고려하면, 이와 같은 첨가제가 함유되지 않는 편이 안전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 조작도 가능한 한 간단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이코사펜타엔산 함유물은, 유기 용매에는 가용성이지만, 유지류나 탄화수소에는 쉽게 추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면 김이나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로부터 β-카로틴, 루테인 등의 유용성 성분을, 혹은 이들 성분과 에이코사펜타엔산 함유물을, 건강 식품이나 화장품으로서 적합하도록, 안정적이면서도 각 성분이 공존하는 천연 상태에 가까운 상태로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추출 방법에 의해 천연 상태 그대로 공존하도록 추출한 유용성 성분을, 건강 식품이나 화장품으로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해조류에 포함되어 있는 β-카로틴, 루테인 등의 산화되기 쉬운 유용성 성분을 효율적이면서도, 건강 식품이나 피부용 화장품에 적합하도록 안전성있게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해조류의 작은 조각 또는 분말에 유지나 납류(蠟類), 또는 탄화수소를 첨가하여 습윤 상태에서 마쇄하면서 추출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해조류의 작은 조각이나 분말에 유지나 납류, 또는 탄화수소를 첨가하여 교반한 다음, 상온에서 마쇄함으로써 해조류의 유용성 성분을 유지, 납류 또는 탄화수소에 용해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로부터 유용성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해조류를 소정량 이상 사용함으로써, 에이코사펜타엔산 함유물이 β-카로틴, 루테인 등과 함께 추출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달성하였다.
즉, 상기 방법에서, 해조류의 양을, 유지, 납류 또는 탄화수소의 양에 대해 3w/v% 이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유용성 성분으로서 에이코사펜타엔산 함유물을 포함하는 β-카로틴 및 루테인을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 방법에 의해 얻어진 추출액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재료 및 건강 식품에 관한 것이다.
김, 미역, 다시마, 녹미채는 홍조류나 갈조류에 속하는 대형 해조로서, β-카로틴이나 루테인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김은 특히 이들 성분의 함유량이 높다. 전술한 바와 같이, β-카로틴이나 루테인은 모두 산화되기 쉬워, 추출중의 손실이 큰데, 본 발명에서는, 상온에서 습식 마쇄에 의해 추출하여, 이들 성분을 공존시키면서 동시에 추출하므로, 이들 성분이 서로 항산화적으로 작용하여 안정성이 높아진다. 이것은 β-카로틴 및 루테인이 모두 항산화 물질일 뿐만아니라, 서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원료인 해조류를 추출 매체인 유지, 납류 또는 탄화수소류 중에서 마쇄하여 추출하기 때문에 산소와의 접촉이 적어져, β-카로틴이나 루테인 등이 쉽게 산화되지 않게 된다. 또한, 마쇄에 의해 추출 효율을 높이므 로, 고온에서 처리할 필요없이, 상온 처리가 가능하다는 것도 산화로 인한 성분 손실을 방지하는 요인이다.
따라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떤 해조에 있어서도, 예를 들어 β-카로틴의 경우는 97∼100%의 추출율이 얻어졌다. 한편, 해조류를 미세한 분말로 분쇄한 다음, 유지류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법, 즉 분쇄와 추출을 별도의 조작에 의해 수행한 경우는, β-카로틴의 추출율이 75∼85%였다. 루테인의 경우도 동일한 경향이 있음이 인정되었다.
β-카로틴 및 루테인은 모두 항산화 작용을 하는 화합물이다. β-카로틴은 비타민 A의 전구물질이며, 비타민 A는 눈의 감광성 단백질인 로돕신의 구성성분이다. 루테인은 눈의 노인성 황반 변성증에 효과가 있음이 밝혀진 바 있으며, 녹내장이나 백내장에도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β-카로틴이나 루테인은 모두 암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추출한 해조의 유용성 성분 추출액은, β-카로틴 및 루테인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영양소의 보급원으로서 적합하며, 건강 식품으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성분과 혼합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예를 들면, 비타민 E의 함량이 높은 배아유와 혼합하면, β-카로틴, 루테인 및 비타민 E를 보급하는 건강 식품이 된다.
또한, 그 추출액을 화장품의 재료로서 이용하면, 피부의 신진대사를 양호하게 하여 피부가 거칠어지는 것을 방지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화장품 재료로서 이용하는 경우는, 통상의 각종 화장품의 기제(基劑; base), 예를 들면 크림용 기제, 오일 마사지용 기제, 미안용(美顔用) 팩 기제, 메이크업용 기제, 모발 화장품용 기제 등의 각종 기제로 이용되어, 각종 화장품 재료를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장품 재료에 통상 이용되는 배합 성분, 예를 들면 알콜류,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산화방지제, 미백제, 노화방지제, 계면활성제, 피막형제제, 납류, 산류 등과 함께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에이코사펜타엔산 함유물은 당초 추출물 중으로부터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해조류의 양을 많게 함으로써 β-카로틴, 루테인과 공존하여 추출됨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원래, 에이코사펜타엔산은 인지질, 당지질로서 존재하기 때문에, 분자내에 극성 부분과 지용성의 비극성 부분을 갖는 양친매성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유지류 등에 대한 용해성은 높지 않으나, 농도가 높아지면 유지류 등에도 분배 용출되어 나오는 것으로 여겨진다.
에이코사펜타엔산은 5개의 이중 결합을 갖는 고도 불포화산으로, 그 당지질, 인지질 화합물(본 명세서에서는, 이것을 「에이코사펜타엔산 함유물」이라 한다)은 에이코사펜타엔산이 유리된 타입에 비해 산화안정성은 훨씬 높지만, 역시 산화되기 쉬운 화합물이다. 따라서, β-카로틴, 루테인 등의 항산화물질과 공존함으로써, 그 산화 안정성은 높아진다. 따라서, 에이코사펜타엔산 함유물이 β-카로틴, 루테인과 공존하여 추출되는 본 발명의 유용성 성분은, 화장품 재료나 건강 식품으로서 사용하였을 때, 그 안정성이 높으며, 보다 높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에이코사펜타엔산 함유물도 β-카로틴, 루테인 등과 마찬가지로 해조류 중에서는 김의 경우가 가장 함량이 높다. 에이코사펜타엔산은 콜레스테롤 감소, 혈액 점도 저하, 면역 기능 항진(亢進) 등의 약리 작용이 알려져 있어, 본 발명의 추출물을 화장품 재료로서 이용하면, 피부의 신진대사를 양호하게 하여 피부가 거칠어지는 것을 방지 또는 개선한다. 또한, 항알레르기 작용, 멜라닌 생성 억제 작용, 항아토피 작용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화장품 재료로 사용하는 경우의 종류나 배합 성분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대로이다.
본 발명의 추출 방법은, 해조류의 작은 조각 또는 분말에 유지, 납류 또는 탄화수소를 첨가하여 균질해지도록 교반한 다음, 습식 마쇄하여 해조류의 유용성 성분을 유지, 납류 또는 탄화수소 중으로 추출해내는 것으로, 필요하다면 마쇄제(磨碎劑)를 첨가해도 된다. 추출 후, 해조 세포의 찌꺼기나 마쇄제를 원심분리 또는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상청액을 얻는다. 이 공정은 연속식, 배치식 모두 가능하지만, 공업적으로는 연속식으로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마쇄제로는, 예를 들면 바다 모래, 알루미나, 비즈 등, 일반적으로 화장품이나 식품의 제조에 적합한 것이 좋은데, 그라인더 방식(돌절구)의 분쇄기에서는 마쇄제를 반드시 첨가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해조는, β-카로틴, 루테인 등 지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이용해도 좋은데, 원료로서 입수가 용이한 김, 미역, 다시마를 주로 사용하였다.
해조 원료는 미리 작은 조각이나 분말 형상으로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별히 미세한 분말로 만들어 놓을 필요는 없다. 해조 원료는 추출처리전에 가열 살균, 고압 살균 등의 조작으로 살균처리를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쇄 추출 장치로는, 그라인더 방식의 마쇄기, 교반날개 방식의 습식 분산 분쇄기 등이 공업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미리 작은 조각 또는 분말 형상으로 만들어 놓은 해조를 유지, 납류 또는 탄화수소와 혼합하여, 균질해지도록 교반한다. 사용가능한 유지, 납류 또는 탄화수소로는, 식물성 오일로서 참기름, 올리브유, 동백기름, 피마자유, 야자유, 라놀린, 카카오 기름, 대두유, 낙화생유, 홍화유, 차조기 기름, 해바라기유, 각종 배아유, 이소프로필스테아레이트, 동물성 오일로서 마유(말기름), 밍크오일, 납류로서 호호바유, 탄화수소로서 스쿠알렌, 스쿠알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유지나 납류 또는 탄화수소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이하에서는, 추출방법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김 분말 1g에 올리브유 20ml를 넣고, 김에 오일이 충분히 침투하도록 교반한 다음, 바다 모래 8g을 넣고 자동 막자 사발(「니토 자동 막자 사발」, 니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마쇄하고, 올리브유 20ml를 추가로 넣고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이것을 원심분리하여 바다 모래 및 김의 세포단편을 제거함으로써, 김의 올리브유 추출액을 얻었다. 동일한 조작으로 올리브유 대신에 호호바유 및 스쿠알렌을 이용하여, 김의 호호바유 추출액 및 스쿠알렌 추출액을 얻었다.
(실시예 2)
김 대신에 미역 분말 및 다시마 분말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올리브유, 호호바유 및 스쿠알렌을 이용하여 각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한 실시예 1 및 2에서의 올리브유에 의한 β-카로틴의 추출율을 표 1에 나타내었다.
β-카로틴의 추출율
100%
미역 98%
다시마 97%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β-카로틴의 추출율은 97∼100%로 매우 높았다. 이에 반해, 원료가 되는 해조를 건조상태에서 미세하게 분쇄한 후, 마쇄를 하지 않고 유지를 이용하여 추출한 경우의 추출율은 75∼85%였다.
(실시예 3)
김 분말 1kg에 스쿠알렌 20리터를 넣고, 균질해지도록 교반한 다음, 그라인더 방식의 분쇄기를 이용하여 마쇄하고, 추가로 스쿠알렌 10리터를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이것을 필터로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실시예 4)
김 분말 5g에 올리브유 50ml를 넣고, 김에 올리브유가 충분히 침투하도록 교반한 다음, 바다 모래 10g을 첨가하여 자동 막자 사발(「니토 자동 막자 사발」, 니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면서 마쇄하였다. 그런 다음, 추가로 올리브유 50ml를 넣고 교반한 다음, 이것을 원심분리하여 바다모래와 김의 세포 단편을 제거하고, 김의 올리브유 추출액을 얻었다. 동 일한 조작으로, 올리브유 대신에 호호바유 및 스쿠알렌을 이용하여, 김의 호호바유 추출액 및 스쿠알렌 추출액을 얻었다.
각 추출액중 에이코사펜타엔산의 정량(定量)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에이코사펜타엔산의 정량은, 각 추출액을 수산화 나트륨으로 비누화시키고, 3불화붕소-메탄올 착체(錯體)로 메틸화시킨 다음, 헥산으로 추출하여 HPLC에 의해 에이코사펜타엔산의 양을 측정하여 수행하였다. 또한, 올리브유 추출액 중 β-카로틴의 농도는 24ppm, 루테인의 농도는 8.4ppm이었다.
에이코사펜타엔산(ppm)
올리브유 12
스쿠알렌 8
호호바유 25
(실시예 5)
미역 분말, 다시마 분말 및 녹미채 분말 각 10g에 각각 올리브유 50ml를 넣고, 각 해조 분말과 올리브유를 충분히 혼합한 후, 바다 모래 20g을 넣고, 자동 막자 사발에서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교반 마쇄하고, 추가로 올리브유 50ml를 넣고 교반한 후 원심분리하여 각각의 올리브유 추출액을 얻었다.
각각의 에이코사펜타엔산의 농도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에이코사펜타엔산(ppm)
미역 분말 5
다시마 분말 5
녹미채 분말 8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김 추출액을 화장품에 사용한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김의 스쿠알란 추출액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조성된 실험용 오일 팩을 조제하였다.
호호바유 65%
스쿠알란 25%
김의 스쿠알란 추출액 5%
히아론산 5%
(모두 w/w%)
이 오일 팩을 이용하여 관능 시험을 하였다. 우선, 수증기를 쐬어 얼굴 피부를 팽윤시키고 나서, 상기 오일 팩 5∼10ml를 손가락으로 얼굴 전체에 도포하고, 그 위로 수증기를 10분간 쐬면서 손가락으로 오일 팩을 잘 스며들게 하였다. 그리고나서, 뜨거운 타올로 얼굴 피부로부터 오일 팩을 닦아내고, 화장수를 이용하여 피부를 정리하였다.
20명의 패널(20대 8명, 30대 12명 ; 모두 여성)이 상기와 같은 조작을 하고, 육안으로 자신의 피부를 관찰, 평가하였다. 평가는, 주름, 잔주름, 당김, 처짐, 푸석거림에 대해 행하였다.
주름 및 잔주름에 대한 평가 기준은, 1)눈에 띄지 않게 되었다, 2)약간 개선되었다, 3)변화가 없다, 4)약간 늘었다, 5)늘었다, 의 5단계로 행하였다.
당김 및 처짐에 대한 평가 기준은, 1)대단히 개선되었다, 2)개선되었다, 3)변화가 없다, 4)약간 눈에 띄게 되었다, 5)눈에 띄게 되었다, 의 5단계로 행하였 다.
푸석거림에 대한 평가 기준은, 1)대단히 개선되었다, 2)개선되었다, 3)변화가 없다, 4)약간 눈에 띄게 되었다, 5)눈에 띄게 되었다, 의 5단계로 행하였다.
이에 대한 관능 시험의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 대상 주름·잔주름 당김·처짐 푸석거림
평가 기준 패널 수 패널 수 패널 수
1) 3 3 4
2) 15 13 16
3) 2 4 0
4) 0 0 0
5) 0 0 0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김의 올리브유 추출액을 이용하여, 화장용 크림을 제조하였다.
우선, 하기의 A조성물과 B조성물을 각각 조제하여 70℃까지 가온하고, B조성물에 A조성물을 교반하면서 서서히 넣은 다음, 천천히 교반하면서 30℃까지 냉각하였다.
A : 스쿠알란 20%, 김의 올리브유 추출액 3%, 밍크 오일 1%, 호호바유 5%, 밀랍 5%, 스테아릴알콜 2%,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1%,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2%
B : 정제수 47%, 폴리옥시에틸렌(20E.O)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2%, 폴리옥시에틸렌(60E.O) 경화 피마자유 1%, 글리세린 5%, 1% 히아론산나트륨수용액 6%, 파라옥시 안식향산 메틸 0.1%
(모두 w/w%)
(실시예 8)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미역의 올리브유 추출액을 이용하여, 로션을 제조하였다. 조성은 하기한 바와 같다.
미역의 올리브유 추출액 2%
올리브유 0.5%
폴리옥시에틸렌(20E.O)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2%
폴리옥시에틸렌(60E.O) 경화 피마자유 2%
에탄올 10%
10% 히아론산나트륨수용액 5%
정제수 78.5%
(모두 w/w%)
(실시예 9)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김의 호호바유 추출액을 이용하여, 팩을 제조하였다. 우선, 하기의 (1)∼(4)를 용해시키고, 이후 (6)∼(9)를 용해시킨 다음, 이것들을 혼합하였다. 여기에 (5)를 서서히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킨 다음 30℃로 가온하여 용해시켰다. 여기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김의 호호바유 추출액을 첨가하여, 가용화시켜 팩제로 하였다.
(1)에탄올 10%, (2)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15E.O) 1%, (3)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 (4) 향료 0.1%, (5)폴리비닐알콜 15%, (6)글리세린 5%, (7)1,3부틸렌글리콜 10%, (8)정제수 58.8%
(실시예 10)
실시예 4에서 제조한 김의 스쿠알란 추출액을 이용하여, 하기의 조성을 갖는 시험용 오일 팩을 조제하였다.
호호바유 65%
스쿠알란 20%
김의 스쿠알란 추출액 10%
히아론산 5%
(모두 w/w%)
이 오일 팩을 이용하여 관능 시험을 하였다. 우선, 수증기를 쐬어, 얼굴 피부를 팽윤시킨 다음, 상기한 오일 팩 5∼10ml를 손가락으로 얼굴 전체에 도포하고, 그 위에 수증기를 10분간 쐬면서, 손가락으로 오일 팩을 잘 스며들게 하였다. 그런 다음, 뜨거운 타올로 얼굴 피부로부터 오일 팩을 닦아내고, 화장수로 피부를 정리하였다.
20명의 패널(20대 8명, 30대 12명 ; 모두 여성)이 이러한 조작을 행하고, 육안에 의해 자신의 피부를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평가는, 주름, 잔주름, 당김, 처짐, 푸석거림에 대해 수행하였다.
주름 및 잔주름에 대한 평가 기준, 및 푸석거림에 대한 평가 기준은 실시예 6과 동일하며, 표 5와 같은 평가 결과가 얻어졌다.
평가 대상 주름·잔주름 당김·처짐 푸석거림
평가 기준 패널 수 패널 수 패널 수
1) 4 4 4
2) 14 14 15
3) 2 3 1
4) 0 0 0
5) 0 0 0
(실시예 11)
실시예 4에서 제조한 김의 올리브유 추출액을 이용하여 화장용 크림을 제조하였다.
우선, 하기의 A조성물과 B조성물을 각각 조제하여 70℃까지 가온하고, B조성물에 A조성물을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한 다음, 천천히 교반하면서 30℃까지 냉각하였다.
A : 스쿠알란 20%, 김의 올리브유 추출액 5%, 밍크 오일 1%, 호호바유 3%, 밀랍 5%, 스테아릴알콜 2%,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1%,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2%
B : 정제수 47%, 폴리옥시에틸렌(20E.O)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2%, 폴리옥시에틸렌(60E.O) 경화 피마자유 1%, 글리세린 5%, 1% 히아론산나트륨수용액 6%,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
(모두 w/w%)
(실시예 12)
실시예 5에서 제조한 미역의 올리브유 추출액을 이용하여 로션을 제조하였다.
미역의 올리브유 추출액 2%
올리브유 0.5%
폴리옥시에틸렌(20E.O)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2%
폴리옥시에틸렌(60E.O) 경화 피마자유 2%
에탄올 10%
10% 히아론산나트륨수용액 5%
정제수 78.5%
(모두 w/w%)
(실시예 13)
실시예 4에서 제조한 김의 호호바유 추출액을 이용하여, 팩을 제조하였다. 우선, 하기의 (1)∼(4)를 용해시키고, 이후 (6)∼(9)를 용해시켜, 이것들을 혼합하였다. 여기에 (5)를 서서히 첨가하고, 균일하게 분산시킨 다음 30℃로 가온하여 용해시켰다. 여기에, 실시예 4에서 제조한 김의 호호바유 추출액을 첨가하고, 가용화시켜 팩제로 하였다.
(1)에탄올 10%, (2)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15E.O) 1%, (3)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 (4)향료 0.1%, (5)폴리비닐알콜 15%, (6)글리세린 5%, (7)1,3부틸렌글리콜 10%, (8)정제수 58.8%
(실시예 14)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장용 크림을, 아토피성 피부염을 가진 지원자 20명의 염증 부위에 3주일 동안 적당히 도포하였다. 그 개선된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75%의 비율로의 개선이 인정되었다.
개선도 인원수
좋아짐 13
약간 좋아짐 4
변화없음 3
약간 나빠짐 0
나빠짐 0
(실시예 15)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김의 올리브유 추출액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미역의 올리브유 추출액, 다시마의 올리브유 추출액을 각각 젤라틴 소프트 캅셀에 담아 각각 건강 식품을 만들었다.
(실시예 16)
실시예 4에서 제조한 김의 올리브유 추출액 및 실시예 5에서 제조한 미역의 올리브유 추출액, 다시마의 올리브유 추출액을 각각 젤라틴 캅셀에 담아 건강 식품을 만들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김, 미역, 다시마, 녹미채 등의 해조류로부터 β-카로틴이나 루테인 등의 유용성 유효 성분, 혹은 에이코사펜타엔산 함유물을 포함하는 β-카로틴이나 루테인 등의 유용성 유효 성분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천연에 가까운 상태로, 산화 안정성이 양호하게, 높은 추출율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이 추출액은 화장품 및 건강 식품으로서 유효하다.

Claims (15)

  1. 해조류의 작은 조각 또는 분말에 유지, 납류 또는 탄화수소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상온에서 마쇄함으로써, 해조류의 유용성 성분인 β-카로틴 및 루테인, 또는 에이코사펜타엔산 함유물을 포함하는 β-카로틴 및 루테인을 유지, 납류 또는 탄화수소에 용해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로부터 해조류의 유용성 성분인 β-카로틴 및 루테인, 또는 에이코사펜타엔산 함유물을 포함하는 β-카로틴 및 루테인을 추출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온에서 마쇄하는 조작이 마쇄제를 첨가하지 않고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온에서 마쇄하는 조작이 마쇄제를 첨가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해조류의 유용성 성분이 β-카로틴 및 루테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해조류의 양이 유지, 납류 또는 탄화수소의 양에 대해 3w/v% 이상이며, 유용성 성분이 에이코사펜타엔산 함유물을 포함하는 β-카로틴 및 루테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유지는 참기름, 올리브유, 동백기름, 피마자유, 야자유, 라놀린, 카카오 기름, 대두유, 낙화생유, 홍화유, 차조기 기름, 해바라기유, 각종 배아유, 또는 이소프로필스테아레이트의 식물성 오일; 또는 마유(말기름), 또는 밍크오일의 동물성 오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탄화수소가 스쿠알렌 또는 스쿠알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납류는 호호바유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해조류가 김, 미역, 다시마 또는 녹미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해조류로서 김, 미역, 다시마 또는 녹미채의 작은 조각 또는 분말에 유지, 납류 또는 탄화수소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상온에서 마쇄함으로써 얻어진 해조류의 유용성 성분 추출액인 β-카로틴 및 루테인, 또는 에이코사펜타엔산 함유물을 포함하는 β-카로틴 및 루테인 추출액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재료.
  11. 제 10항에 있어서, 해조류의 유용성 성분 추출액이 β-카로틴 및 루테인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재료.
  12. 제 10항에 있어서, 해조류의 유용성 성분 추출액이 에이코사펜타엔산 함유물 을 포함하는 β-카로틴 및 루테인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재료.
  13. 해조류로서 김, 미역, 다시마 또는 녹미채의 작은 조각 또는 분말에 유지, 납류 또는 탄화수소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상온에서 마쇄함으로써 얻어진 해조류의 유용성 성분 추출액인 β-카로틴 및 루테인, 또는 에이코사펜타엔산 함유물을 포함하는 β-카로틴 및 루테인 추출액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식품.
  14. 제 13항에 있어서, 해조류의 유용성 성분 추출액이 β-카로틴 및 루테인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식품.
  15. 제 13항에 있어서, 해조류의 유용성 성분 추출액이 에이코사펜타엔산 함유물을 포함하는 β-카로틴 및 루테인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식품.
KR1020030046300A 2002-07-10 2003-07-09 해조의 유용성 성분 추출 방법 및 추출액의 용도 KR100576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00753 2002-07-10
JP2002200753 2002-07-10
JP2002280623A JP2004089158A (ja) 2002-07-10 2002-09-26 海藻油溶性成分の抽出方法および抽出液の用途
JPJP-P-2002-00280623 2002-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674A KR20040005674A (ko) 2004-01-16
KR100576968B1 true KR100576968B1 (ko) 2006-05-10

Family

ID=32072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300A KR100576968B1 (ko) 2002-07-10 2003-07-09 해조의 유용성 성분 추출 방법 및 추출액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4089158A (ko)
KR (1) KR10057696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2964A2 (ko) * 2008-09-18 2010-03-25 Hwa Sung Yong 에나활성미네랄 a 활성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손상 방지 또는 간기능 개선용 약학조성물
WO2012070835A2 (ko) * 2010-11-25 2012-05-31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모자반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2525868A (zh) * 2012-01-19 2012-07-04 广西还珠海洋生物科技有限公司 从珍珠母贝的珍珠胎囊中提取珍珠胎囊液的方法及产品
KR101233116B1 (ko) 2010-09-30 2013-02-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콩으로부터 루테인을 다량 수득하는 방법
KR20210086850A (ko) * 2019-12-31 2021-07-09 파이코일바이오텍코리아 (주) 큐보좀으로 나노캡슐화된 루테인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4272B2 (ja) * 2004-08-31 2012-05-16 富士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スタキサンチン含有抽出物の製法およびその製法によって得られたアスタキサンチン含有抽出物
JP6546578B2 (ja) * 2016-11-01 2019-07-17 日本粉末薬品株式会社 藻類から脂溶性成分を抽出する方法
KR101901859B1 (ko) 2018-03-09 2018-09-27 (주)아모레퍼시픽 모자반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2964A2 (ko) * 2008-09-18 2010-03-25 Hwa Sung Yong 에나활성미네랄 a 활성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손상 방지 또는 간기능 개선용 약학조성물
WO2010032964A3 (ko) * 2008-09-18 2010-06-24 Hwa Sung Yong 에나활성미네랄 a 활성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손상 방지 또는 간기능 개선용 약학조성물
GB2477236A (en) * 2008-09-18 2011-07-27 Sung Yong Hw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liver injury or improving liver function, containing activated water of ENA actimineral resource A as an ingredient
KR101233116B1 (ko) 2010-09-30 2013-02-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콩으로부터 루테인을 다량 수득하는 방법
WO2012070835A2 (ko) * 2010-11-25 2012-05-31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모자반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2070835A3 (ko) * 2010-11-25 2012-09-27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모자반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39013B1 (ko) * 2010-11-25 2018-03-15 (주)아모레퍼시픽 모자반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2525868A (zh) * 2012-01-19 2012-07-04 广西还珠海洋生物科技有限公司 从珍珠母贝的珍珠胎囊中提取珍珠胎囊液的方法及产品
KR20210086850A (ko) * 2019-12-31 2021-07-09 파이코일바이오텍코리아 (주) 큐보좀으로 나노캡슐화된 루테인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2310044B1 (ko) 2019-12-31 2021-10-08 파이코일바이오텍코리아(주) 큐보좀으로 나노캡슐화된 루테인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89158A (ja) 2004-03-25
KR20040005674A (ko) 200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6898B1 (ko) 유산균발효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피부 보습, 항산화, 항염, 피부장벽 강화 및 피부흡수 기능을 개선한 섭취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JP4425163B2 (ja) 抗老化化粧料
JP5253862B2 (ja) メラニン産性抑制剤・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100576968B1 (ko) 해조의 유용성 성분 추출 방법 및 추출액의 용도
JP2000044485A (ja) 活性酸素種消去剤及び皮膚化粧料
CN107648087B (zh) 一种美白抗氧化护肤霜及其制备方法
JP2002121112A (ja) 皮膚外用剤
JP2000212026A (ja) 皮膚外用剤
JP3742084B2 (ja) 特定の抽出法によるマンネンタケ抽出物とその製造方法
JPH0253705A (ja) 化粧料
CA2353071A1 (en) Oil bodies as topical delivery vehicles for active agents
JPH0532556A (ja) 皮膚外用剤
JP5138262B2 (ja) 皮膚外用剤
JP2002370961A (ja) 皮膚外用剤及びその使用方法
JPH09118612A (ja) 皮膚外用剤
KR20220118660A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2009197035A (ja) 皮膚外用剤
JP2009197038A (ja) 皮膚外用剤
JP2009269842A (ja) 皮膚外用剤
JP5415216B2 (ja) 皮膚外用剤
JP2002370960A (ja) 皮膚外用剤及びその使用方法
JP5468866B2 (ja) 皮膚外用剤
FR2829927A1 (fr) Nouvelles compositions cosmetiques et leur procede d'obtention
JP2003335628A (ja) 皮膚外用剤
JP2007191438A (ja) デスモソーム分解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