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5453B1 - 액정주입구의 액정제거방법 및 액정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액정주입구의 액정제거방법 및 액정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5453B1
KR100575453B1 KR1019990040602A KR19990040602A KR100575453B1 KR 100575453 B1 KR100575453 B1 KR 100575453B1 KR 1019990040602 A KR1019990040602 A KR 1019990040602A KR 19990040602 A KR19990040602 A KR 19990040602A KR 100575453 B1 KR100575453 B1 KR 100575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inlet
suction
crystal panel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8385A (ko
Inventor
주효욱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0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453B1/ko
Publication of KR20010028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액정패널의 액정주입구 주변에 묻어있는 액정을 제거하는 방식은 진공으로 액정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비접촉 제거방식으로서, 접촉 제거방식에 비해 액정제거 수단에 의한 2 차오염이 없으며, 액정주입구 주변에 젖어있는 불필요한 액정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액정주입구의 봉지(封止)를 더욱 원활히 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접촉식 액정제거방식에 비해 제거효과가 더 좋으므로 작업자의 리페어율을 낮춤으로써, 작업능률을 높이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주입구의 액정제거방법 및 액정제거장치{The apparatus for removing LC and the method of remov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기술로서 와이퍼를 이용하여 액정주입구 주변의 액정을 제거하는 방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술로서 와이퍼를 롤러에 감아 액정주입구 주변의 액정을 제거하는 방식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제거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a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제거 장치의 흡입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제거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액정패널 205 : 액정흡입부
209 : 액정흡입관 301 : 진공장치
303 : 액정회수장치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의 제작공정 중, 액정주입구의 봉지(封止)기술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액정패널에 액정을 주입한 후, 상기 액정이 주입된 액정패널의 주입구를 봉지하는 과정에서 상기 액정주입구의 주변에 묻어있는 불필요한 액정을 제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패널은 수십만개의 스위칭소자(switching device)가 매트릭스(matrix)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한 상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과 상부기판의 사이에 충진되어 있는 액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하부기판과 상부기판을 하나의 단일장치인 액정패널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1) 씰(seal : 이하 "접착제"라 칭함)재료를 도포하는 과정, 2) 스페이서를 배치하는 과정, 3) 상·하로 2매의 기판을 합착시키는 조립과정, 3)액정을 주입하는 과정, 4) 액정주입구의 봉지과정 등을 거쳐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상기 접착제를 도포 하는 과정은 상기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을 합착하고 추후 액정주입공정에서 액정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정으로, 상기 하부기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에폭시(epoxy)와 같이 열 또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를 소정의 방법으로 인쇄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때, 접착제는 추후 액정을 주입하는 과정을 위해, 액정의 주입구를 제외 하고 인쇄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페이서를 배치하는 과정은 상기 접착제에 의해 조합된 상기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으로, 일정한 직경을 갖는 플라스틱 볼이나 실리카(silica)구를 하부기판의 전면에 고르게 산포하는 방식으로 행해지고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기판의 둘레에 접착제가 인쇄된 하부기판과 상부기판을 합착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때, 소정의 압력과 열 또는 자외선을 가해서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이 합착된 액정패널 중 접착제가 없는 부분인 액정주입구에 액정을 주입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액정이 주입된 액정패널의 액정주입구를 봉지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때, 액정이 충진된 액정패널의 주입구 주변은 불필요한 액정이 묻어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액정패널의 액정주입구를 봉지하기 위해서는 액정주입구 주변에 묻어 있는 액정을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도 1은 전술한 바와 같은 액정주입구 주변의 액정을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액정주입구(15)의 액정(17)을 제거하는 수단으로 와이퍼(wiper)(19)를 사용하여 액정(17)을 제거하였다.
상기 와이퍼(19)를 이용한 액정제거방법은 아래와 같다.
좀더 설명하면, 상/하기판(13)(11)이 합착되고 액정주입구(15)로 액정이 주입된 다수의 액정패널(10)을 일정간격으로 세워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퍼(19)를 액정주입구에 접촉하면서 상기 액정주입구(15)주변의 액정(17)을 제거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액정제거방식으로서, 액정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주입구(27)가 위치한 부분을 위로 향하게 하여 다수의 액정패널(21)을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 고정한다.
다음으로, 와이퍼(33)가 감겨져 있는 롤(31)을 돌려 상기 다수의 액정패널(21)의 액정주입구(27)위를 동시에 접촉하여 지나가게 함으로써, 상기 액정주입구(27)에 묻어있는 액정(29)을 제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방식에서 액정을 제거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와이퍼는 소모성이므로 비용의 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접촉식 제거방식은 액정주입구에 직접 접촉하는 와이퍼에 의해 상기 액정주입구 주변이 2차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액정패널의 오염은 액정패널의 시인성(視認性)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정패널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액정주입구 주변에 젖어 있는 액정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는 방법과 그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액정주입구 주변의 액정을 제거하는 방법은 액정이 주입된 액정패널의 액정주입구를 위로 향하도록 상기 액정패널을 배치하는 단계와; 진공장치를 이용하여 액정패널의 액정주입구 주변의 액정을 흡입하여 액정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액정제거장치는 액정 흡입부와; 진공상태를 만드는 진공장치와; 상기 흡입부에 동시에 연결된 흡입관과; 상기 진공장치의 일측에 연결된 액정회수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부는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는 연결관을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관은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부는 오목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형상의 흡입부는 유연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부는 삼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부는 다수의 흡입구를 갖는 멀티흡입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제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제거장치는 액정주입구(108)가까이에 위치하여 액정주입구(108)주변의 액정을 흡입하는 부분으로서, 흡입구(103)와 연결관(104)을 포함하는 흡입부(106)와; 진공장치(107)와; 상기 흡입부(106)와 진공장치(107)를 연결하는 흡입관(105)과, 상기 진공장치(107)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관(105)을 통해 흡입된 액정을 모아두는 액정회수장치(109)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흡입부(106)는 액정패널에 가까이 위치하여 액정을 직접흡입하는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관(105)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착탈의 방식은 너트식이나 강제끼워맞춤 방식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 는 상기 흡입구(103)의 변형 예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흡입구가 오목형태(113)이며, 오목한 부분에 액정주입구(도 3의 108)가 위치한 액정패널의 일부분이 상기 오목한 부분에 끼워지게 되어있으며, 상기 오목한 부분에 끼워진 액정패널의 액정주입구(도 3의 108)주변의 액정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흡입구의 단면이 주걱형태(115)로 구성되고 저면은 소정의 너비를 갖는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되 며,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흡입구를 갖는 멀티흡입부(117)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목형태의 흡입부(113)와 주걱형태(115)의 흡입부는 액정패널의 배열위치가 다소 불안할 때 사용하면 더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흡입구를 갖는 형태는 액정을 제거함에 있어서 제거능력을 더욱 향상시 킬 수 있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여러형태의 흡입부 중 오목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전술한 도 3을 참조로 상기 액정제거장치의 구성에 대해 연속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흡입부(106)와 상기 진공장치(107)에 연결된 흡입관(105)은 매우 유연한(flexible)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흡입구(103)를 통해 흡입된 액정이 진공장치까지 이동하는 경로가 된다.
상기 흡입관(105)이 연결된 상기 진공장치(107)는 진공을 만들어 주는 장치로서, 액정은 상기 진공장치(107)의 진공상태에 의해 상기 흡입부(106)와 흡입관(105)을 통해 빨려들어 가게 된다.
또한, 상기 진공장치(107)의 임의의 한 측에는 액정회수장치(109)가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흡입관(105)을 통해 흡입된 액정을 모아두는 곳이다.
전술한 구성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액정주입구의 액정제거 방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제거방법을 위한 액정제거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먼저, 다수의 액정패널(201)을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 고정한다.
다음으로, 가동된 진공장치(301)에 의해 진공상태 가된 액정흡입관(209)을 움직여 상기 액정흡입관(209)에 부착된 흡입부(205)를 상기 액정패널(201)의 액정주입구 주변에 위치시킨다 .
이때, 상기 흡입부(205)가 오목한 형태일 경우는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패널의 일부가 끼워지는 형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오목형태의 흡입부는 상기 액정패널의 위치 얼라인(align)이 다소 나쁠 경우에는 스테인레스 같은 딱딱한 재질보다는 유연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액정패널을 액정흡입부에 끼울 경우 상기 액정흡입부의 안쪽부분과 상기 액정패널의 모서리 부분이 접촉할 경우를 감안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액정패널의 위치 얼라인이 좋지 않을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주걱형의 액정흡입부를 사용하는 것도 좋다.
상기 주걱형 액정흡입부는 상기 액정패널에 가까이 위치시킨 후, 액정흡입부를 액정주입구를 따라 움직이면서 액정을 제거하면 된다.
또한, 액정제거 능력을 더욱 향상시켜야 할 경우에는 전술한 다수의 흡입구를 갖는 멀티흡입부를 사용하는 것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은 액정흡입부를 액정주입구 주변에 가까이 위치시키게 되면, 액정주입구 주변에 묻어있는 액정은 상기 액정흡입부의 액정주입구로 빨려 들어가 게 되고, 상기 흡입관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진공장치에 부착되어 있는 액정회수 장치에 모이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주입구 주변의 액정제거방식은 액정패널에 액정제거 수단을 직접 접촉하지 않고 진공을 이용하여 액정을 제거하는 방식이므로 기존의 접촉식 방식에 비해 액정패널의 오염가능성을 배제하였다.
따라서, 액정제거수단에 의한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완전한 액정제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액정을 제거하는데 소모품인 값비싼 제거용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 비용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의 리페어(repair)율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4)

  1. 액정이 주입된 액정패널의 액정주입구를 위로 향하도록 상기 액정패널을 배치하는 단계와;
    진공장치를 이용하여 액정패널의 액정주입구 주변의 액정을 흡입하여 액정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정패널의 액정주입구 주변의 액정제거방법.
  2. 액정 흡입부와;
    진공상태를 만드는 진공장치와;
    상기 흡입부와 상기 진공상태에 동시에 연결된 흡입관과;
    상기 진공장치의 일 측에 연결된 액정회수장치
    를 포함하는 액정패널의 액정주입구 주변에 묻어있는 액정을 제거하기 위한 액정제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액정제거장치.
  4. 제 2 항에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한 액정제거장치.
KR1019990040602A 1999-09-21 1999-09-21 액정주입구의 액정제거방법 및 액정제거장치 KR100575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602A KR100575453B1 (ko) 1999-09-21 1999-09-21 액정주입구의 액정제거방법 및 액정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602A KR100575453B1 (ko) 1999-09-21 1999-09-21 액정주입구의 액정제거방법 및 액정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385A KR20010028385A (ko) 2001-04-06
KR100575453B1 true KR100575453B1 (ko) 2006-05-03

Family

ID=19612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602A KR100575453B1 (ko) 1999-09-21 1999-09-21 액정주입구의 액정제거방법 및 액정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54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994A (ko) * 2003-02-12 200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제거방법 및 액정제거장치
KR100981681B1 (ko) * 2008-05-09 2010-09-10 이종철 Lcd패널용 봉지 제거장치
CN104199218B (zh) * 2014-08-18 2017-07-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滴注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0549A (ja) * 1995-02-17 1996-08-30 Chiyoushiyuu Sangyo Kk Lcd用パネルの液晶注入口を封止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9980018693A (ko) * 1996-08-16 1998-06-05 가따오까 마사따까 액정주입장치
KR20010025950A (ko) * 1999-09-02 2001-04-06 구본준 액정주입구의 액정제거 방법 및 액정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0549A (ja) * 1995-02-17 1996-08-30 Chiyoushiyuu Sangyo Kk Lcd用パネルの液晶注入口を封止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9980018693A (ko) * 1996-08-16 1998-06-05 가따오까 마사따까 액정주입장치
KR20010025950A (ko) * 1999-09-02 2001-04-06 구본준 액정주입구의 액정제거 방법 및 액정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385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9381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액정 셀 및 그 제조 방법
US6542215B2 (en) Method of forming a seal pattern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434002B1 (ko)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771949B1 (ko) 초박형 액정표시장치용 씰패턴
KR100575453B1 (ko) 액정주입구의 액정제거방법 및 액정제거장치
US6919949B2 (en) Seal pattern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inner seal with first and second openings
JP2007182052A (ja)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JP5172897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949503B1 (ko)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소자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정표시소자
TWI711897B (zh) 圖案化裝置以及圖案化方法
JPH11271704A (ja)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ダスト除去装置
KR100491020B1 (ko) 평면표시소자의 제조방법
JP2005238109A (ja) 基板洗浄装置、基板洗浄方法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20120069486A (ko) 패턴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패턴 형성방법 및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870658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607873B1 (ko) 액정주입구의 액정제거 방법 및 액정제거 장치.
JP4937708B2 (ja) 液晶素子の製造方法
JP2006276372A (ja) 液晶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78258B1 (ko) 액정적하장치 및 액정적하방법
KR100403832B1 (ko) 액정셀세정시스템
KR100669094B1 (ko) 액정표시패널의 봉지장치
JP2006251189A (ja) 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H09306360A (ja) 陰極線管パネルへのフィルム貼付方法および装置
KR930001831Y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494699B1 (ko) 액정표시장치의 칼라필터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