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3904B1 -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 - Google Patents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904B1
KR100573904B1 KR1020040032695A KR20040032695A KR100573904B1 KR 100573904 B1 KR100573904 B1 KR 100573904B1 KR 1020040032695 A KR1020040032695 A KR 1020040032695A KR 20040032695 A KR20040032695 A KR 20040032695A KR 100573904 B1 KR100573904 B1 KR 100573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st
duct
dust collector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7680A (ko
Inventor
최영렬
Original Assignee
씨케이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케이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케이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2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904B1/ko
Publication of KR20050107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with means for deliver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tape
    • B65H35/006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with means for deliver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tape this length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1Cam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3Articul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90Machine drive
    • B65H2403/94Other features of machine drive
    • B65H2403/941Manually powered hand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용 테이블에 집진기를 설치하여, 조립제품에 에어를 분사하여 발생되는 먼지,비산 등이 외부로 분산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이 먼지,비산 등을 필터링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함과 아울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저면에 설치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일단에 결합되는 댐퍼와; 상기 덕트의 전,후면에 설치되며, 내부 크리닝룸에서 조립제품의 에어세척이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에어세척부와; 상기 댐퍼에 결합되며 먼지,분진 등을 강제로 흡입,송풍하는 송풍팬이 설치되고, 이를 필터링하는 필터가 포함된 집진부로 구성된다.
테이블,집진기,댐퍼,에어세척부,크리닝룸

Description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bag filter for working tab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의 에어세척부를 보인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의 에어세척부를 보인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의 에어차단부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의 댐퍼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테이블 20: 덕트
30: 에어세척부 31: 관통구멍
32: 에어공급구멍 33: 망체
34: 크리닝룸 35: 감지센서
36: 에어차단부 37: 고정판
38: 밀착편 39: 셀리콘 패드
40: 댐퍼 50: 집진부
51: 공기유입구 52: 송풍팬
53: 가이드판 55 : 필터
56: 공기배출구 60: 진동흡수부재
70: 댐퍼
본 발명은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작업장용 테이블에 집진기를 설치하여 제품의 비산,먼지 등의 제거가 용이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시킴과 동시에 이렇게 발생된 비산,먼지 등을 다시 필터링하여 쾌적한 작업환경을 도모할 수 있는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기는 천정이나 벽면에 덕트를 설치하고 이 덕트가 집진기의 흡입구에 연결되어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에 의해 강제로 실내의 비산,먼지 등을 흡입되어 필터를 거쳐 청정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각각의 작업자의 위치에 따라 덕트에 연결되는 플랙시블한 자바라관이 설치하여, 제품조립시 발생되는 먼지,비산 등이 자바라관을 통해 흡입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제품조립시 에어를 분사하여 조립제품의 먼지,비산 등을 제거하는 경우 먼지, 비산 등이 자바라관을 통해 완전히 흡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부언하면, 조립제품에 에어를 분사하면 일부는 자바라관을 통해 흡입되고, 나머지는 주변으로 분산되어 비산,먼지 내재된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져 산업재해를 입을 염려가 있으며, 또 분산된 비산,먼지 등이 조립이 완성된 제품에 다시 안착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특히 전자제품인 경우 불량률이 증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용 테이블에 집진기를 설치하여, 조립제품에 에어를 분사하여 발생되는 먼지,비산 등이 외부로 분산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이 먼지,비산 등을 필터링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함과 아울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저면에 설치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일단에 결합되는 댐퍼와; 상기 덕트의 전,후면에 설치되며, 내부 크리닝룸에서 조립제품의 에어세척이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에어세척부와; 상기 댐퍼에 결합되며 먼지,분진 등을 강제로 흡입,송풍하는 송풍팬이 설치되고, 이를 필터링하는 필터가 포함된 집진부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세척부는 일단부가 덕트에 연통되게 결합되며, 전면에는 연통구멍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에어컴프레샤에 의해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공급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구멍을 통해 조립제품을 넣고 상기 에어공급구멍을 통해 에어세척이 이루어지며 하부에 망체가 형성된 크리닝룸과, 상기 크리닝룸의 하부에 설치된 댐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세척부의 전면에 결합되는 에어차단부는 양측에 고정판과, 이 고정판 사이에는 방사형상으로 절개된 복수의 밀착편이 형성된 복수의 실리콘 패드와, 상기 실리콘 패드의 밀착편은 서로 엇갈리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의 에어세척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의 에어세척부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의 에어차단부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의 댐퍼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조부품 등을 조립하기 위한 테이블(10)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10)의 저면에 에어세척된 에어,먼지,분진 등이 이송되는 덕트(20)와; 상기 덕트(20)의 전,후면에 설치되어 제품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제품을 넣고, 에어컴프레샤의 작동에 의해 공급된 에어에 의해 에어세척작업이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에어세척부(30)가 설치되며, 상기 덕트(2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댐퍼(70)와; 상기 댐퍼(70)에 연통되어 공기,먼지,분진 등을 강제로 흡입,송풍하는 송풍팬(52)이 설치되고, 이 송풍팬(52)에 의해 이송된 공기,먼지,분진 등을 걸러주는 필터(55)가 포함된 집진부(50)로 구성된다.
상기 덕트(20)는 플랜지(22)가 결합되고 타측은 막혀진 상태로 형성되고 전,후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통구멍(21)이 형성된다.
상기 덕트(20)와 댐퍼(70)는 플랜지(22)에 의해 볼트나 너트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70)의 타측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진동흡수부재(60)가 결합 된다.
상기 진동흡수부재(60)는 부직포, 합성수지재 등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측에 플랜지(22)가 형성되어 일측은 댐퍼(70)에 결합되고 타측은 집진부(50)의 공기유입구(51)측에 고정된다.
상기 집진부(50)에는 분진,먼지 등이 이송되는 공기유입구(51)가 형성되고, 이 공기유입구(51)의 배면에 강제로 흡입,송풍하는 송풍팬(52)이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52)의 강한 송풍력이 직접전달되는 것을 일차적으로 막아주는 가이드판(53)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판(53)의 일측에 고정부재(54)에 의해 고정된 필터(55)가 설치되고, 이 필터(55)의 배면 측벽에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구(56)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테이블(10)과 집진부(5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덕트(20)와 집진부(50) 사이에 진동흡수부재(60)가 설치되어 상기 집진부(50)의 진동이나 충격 등이 직접 테이블(10)에 전달되지 않는 것이다.
도 4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덕트(20)의 전,후면에 에어세척부(30)가 설치되는데, 상기 에어세척부(30)는 " ┛"자 형상으로 내부가 연통되며, 일단부가 덕트(20)의 연통구멍(21) 테두리에 결합되는 플랜지(22)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일부가 개방된 관통구멍(3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에어컴프레샤에 의해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공급구멍(3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31)을 통해 제품을 넣고 상기 에어공급구멍(32)을 통해 에어세척이 이루어지며 하부에 망체(33)를 갖는 크리닝룸(3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크리닝룸(34)의 하부에 댐퍼(40)가 설치된다.
상기 크리닝룸(34)에는 관통구멍(31)을 통해 제품을 넣은 상태를 확인하는 감지센서(35)가 설치된다.
상기 댐퍼(40)는 일측에 핸들(42)과, 이 핸들(42)에 의해 방향을 전환되는 회동축(41)과, 이 회동축(41)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날개(43)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세척부(30)의 관통구멍(31) 전면에는 에어차단부(36)가 결합되는데, 상기 에어차단부(36)는 양측에 중앙부가 관통된 고정판(37)과, 이 고정판(37) 사이에는 방사형상으로 절개된 복수의 밀착편(38)이 형성된 복수의 실리콘 패드(39)와, 상기 실리콘 패드(39)의 밀착편(38)은 서로 엇갈리게 고정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덕트(20)와 진동흡수부재(60)에 사이에 결합되는 댐퍼(70)는 볼트나 너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플랜지(22)가 형성되고, 일측에 핸들(71)과, 이 핸들(71)에 의해 방향을 전환하는 회동축(72)과, 이 회동축(72)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다수의 날개(73)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테이블(10)에 놓여진 조립제품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에어세척부(30)의 실리콘 패드(39)를 통해 크리닝룸(34)에 넣으면, 상기 감지센서(35)가 감지하여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은' 에어컴프레샤와 송풍팬(52)이 작동되고, 상기 에어컴프레샤의 에어가 에어공급구멍(32)으로 통해 크리닝룸(34)에 분사되어 조립제품에 세척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일정한 시간동안 세척한 다음 크리닝룸(34)에서 조립제품을 빼내어 작업 테이블(10)에서 조립을 진행하면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크리닝룸(34)에 분산된 에어에 의해 조립제품에 붙어 있던 비산,먼지 등이 떨어져 상기 에어세척부(30)의 내부를 통해 덕트(20)로 이송되어지고, 이어 상기 덕트(20)에 이송된 먼지,비산,공기 등이 상기 송풍팬(52)에 의해 강제로 흡입과 송풍이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판(53)을 따라 필터(55)를 거쳐 필터링된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구(56)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에어차단부(36)는 실리콘 패드(39)의 밀착편(38)이 서로 엇갈리게 결합되어, 상기 크리닝룸(34)에 손을 넣으면 상기 밀착편(38)에 위치되는 손이나 손목을 감싸도록 하여 조립제품의 먼지,비산 등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 크리닝룸(34)의 하부에 망체(33)가 형성되어 크리닝룸(34)에서 조립제품을 실수로 놓쳐 덕트(20)로 이동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댐퍼(40,70)는 덕트(20) 내부를 따라 송풍팬(52)에 의해 이송하는 비산,먼지,에어 등의 송풍력을 조절함과 동시에 실내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용 테이블에 집진기를 설치하여, 조립제품에 에어를 분사하여 발생되는 먼지,비산 등이 외부로 분산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이 먼지,비산 등을 필터링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함과 아울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덕트과 집진부 사이에 진동흡수부재가 결합되어 집진부에서 발생되 는 진동,충격 등이 테이블에 직접 전달되지 않아 조립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외로 배출하는 시스템에 비하여 실내조건을 형성시키기 위한 에너지 소비량이 현격히 줄어듦은 물론이고 실내압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테이블(10)과; 상기 테이블(10)의 저면에 설치되는 덕트(20)와; 상기 덕트(20)의 일단에 결합되는 댐퍼(70)와; 상기 덕트(20)의 전,후면에 설치되며, 내부 크리닝룸(34)에서 조립제품의 에어세척이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에어세척부(30)와; 상기 댐퍼(70)에 결합되며 먼지,분진 등을 강제로 흡입,송풍하는 송풍팬(52)이 설치되고, 이를 필터링하는 필터(55)가 포함된 집진부(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세척부(30)는 일단부가 덕트(20)에 연통되게 결합되며, 전면에는 연통구멍(2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에어컴프레샤에 의해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공급구멍(32)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구멍(21)을 통해 조립제품을 넣고 상기 에어공급구멍(32)을 통해 에어세척이 이루어지며 하부에 망체(33)가 형성된 크리닝룸(34)과, 상기 크리닝룸(34)의 하부에 설치된 댐퍼(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세척부(30)의 관통구멍(31) 전면에는 에어차단부(36)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차단부(36)는 양측에 고정판(37)과, 이 고정판(37) 사이에는 방사형상으로 절개된 복수의 밀착편(38)이 형성된 복수의 실리콘 패드(39)와, 상기 실리콘 패드(39)의 밀착편(38)은 서로 엇갈리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70)와 집진부(50) 사이에 진동흡수부재(6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
KR1020040032695A 2004-05-10 2004-05-10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 KR100573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695A KR100573904B1 (ko) 2004-05-10 2004-05-10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695A KR100573904B1 (ko) 2004-05-10 2004-05-10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927U Division KR200358200Y1 (ko) 2004-05-10 2004-05-10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680A KR20050107680A (ko) 2005-11-15
KR100573904B1 true KR100573904B1 (ko) 2006-04-28

Family

ID=37284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695A KR100573904B1 (ko) 2004-05-10 2004-05-10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39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674B1 (ko) 2009-11-16 2012-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이물질 비산방지장치
CN113547376A (zh) * 2021-09-22 2021-10-26 江苏力驰数控机床制造有限公司 一种数控机床制造用紧急保护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59168B (zh) * 2014-08-14 2017-09-05 江苏箭鹿毛纺股份有限公司 一种羊毛振动吸尘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674B1 (ko) 2009-11-16 2012-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이물질 비산방지장치
CN113547376A (zh) * 2021-09-22 2021-10-26 江苏力驰数控机床制造有限公司 一种数控机床制造用紧急保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680A (ko) 2005-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8061B1 (ko) 이중흡입장치가 구비된 청소용 로봇
KR100855012B1 (ko) 여과 집진기용 탈리장치
EP1535560B1 (en) Dust-collecting device and vacuum cleaner for both wet and dry cleaning using the same
CN208742136U (zh) 一种造粒塔塔顶除尘脱氨一体化装置
KR20090080228A (ko) 집진 테이블
KR100573904B1 (ko)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
JP4180643B1 (ja) 廃棄物処理における廃棄物削減方法
KR102130710B1 (ko) 바닥 전기청소차
KR20170025522A (ko) 제진 장치
KR200358200Y1 (ko)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
KR101149615B1 (ko) 휴대용 집진장치
KR101723516B1 (ko) 돔형 집진장치
JP2006289235A5 (ko)
KR20180109777A (ko) 덕트청소 시스템
KR100484266B1 (ko) 부스형 집진기
KR101358079B1 (ko) 송풍 장치
JP3187294U (ja) エアー洗浄装置
KR200310131Y1 (ko)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KR200230483Y1 (ko) 흡입하강기류를 이용한 고성능 집진장치
KR20040056194A (ko) 필터 교환이 용이한 이동형 집진장치
CN211358229U (zh) 一种塑料除漆用除尘装置
KR102210187B1 (ko) 산업용 집진 장치의 흡입 배출 구조
CN204109579U (zh) 一种组合式激光刻码机捕尘装置
KR200493316Y1 (ko) 개선된 집진물 배출구조 및 용이한 용량 증대 구조를 갖는 산업용 집진 장치
CN206869687U (zh) 一种可自动清理的打磨除尘工作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