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079B1 - 송풍 장치 - Google Patents

송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079B1
KR101358079B1 KR1020130133110A KR20130133110A KR101358079B1 KR 101358079 B1 KR101358079 B1 KR 101358079B1 KR 1020130133110 A KR1020130133110 A KR 1020130133110A KR 20130133110 A KR20130133110 A KR 20130133110A KR 101358079 B1 KR101358079 B1 KR 101358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air
housing
flow path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순호
Original Assignee
차순호
동부산업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순호, 동부산업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차순호
Priority to KR1020130133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06Cooling the driv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3Sound attenuation
    • F04D29/664Sound attenuation by means of sound absorb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송풍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 장치는, 일면에 외부의 공기가 출입가능한 홀이 형성되고 홀을 제외하고 외부와 기밀이 유지되는 하우징과, 홀에 결합되어 공기를 정화시키는 제1필터와, 하우징 내에 제공되어, 임펠러의 구동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어와, 블로어의 흡입구에 결합되어 블로어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제2필터와, 하우징 내에 제공되며, 블로어의 임펠러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하우징 내에 제공되며, 모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는 냉각팬과, 블로어의 배출구에 결합되며 하우징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되어 블로어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연결부재, 연결부재의 끝단에 결합되며, 연결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흐르는 유로관과, 유로관을 이격되게 둘러싸는 외관, 및 유로관의 유로와 연동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포함하는 노즐, 및 외관에 결합되며 끝단은 분사구의 반대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풍 장치{BLOWER}
본 발명은 송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 또는작업 기구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 사용하는 송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정 구역은 먼지가 전혀 없으며 외부와 차단 또는 격리된 공간으로서, 초고밀도집적회로를 제조하는 클린 룸이나 유전자 조작 등과 같이 세포 속의 미소한 유전자를 다루는 실험실에서와 같이 환경 조건이 품질에 큰 영향을 끼치는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청정 구역을 형성하기 위한 환경 조건의 하나로 먼지의 유무가 문제되는데,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의 미세한 것도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청정 구역은 외부로부터 먼지가 들어오지 않도록 격리되어야 하며, 구역 내부로 들어오는 인체 또는 작업 기구의 이물질을 문 밖에서 제거하는 장치를 설비해야 한다. 또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많은 작업장에서, 작업이 완료된 후에 작업자 또는 작업기구에 붙은 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비가 필요할 수 있다.
인체 또는 작업 기구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대형 공조 장치가 사용되며, 이러한 공조 장치는 벽이나 천정에 부착되어 일정 공간을 통해 송풍 기류가 대상물 전체에 분사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대적으로 강한 송풍 기류가 대상물 전체분사되어 이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인체 또는 작업 기기에 해가 될 수 있다.
이에, 국부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콤프레서와 같은 송풍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출력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소음이 심하여 작업자의 고막을 손상시키는 등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블로어에 연결호스나 노즐을 연결하여 국부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나, 이 때,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노즐의 손잡이 부분이 가열되어 작업자가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거된 이물질이 노즐이 있는 방향으로 튈 수 있으며, 이로인해 배출되는 공기와 이물질이 섞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9598호, (2006.11.0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기 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정화된 공기를 이용하여 인체 또는 작업 도구의 이물질을 제거하며, 블로어의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는 송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노즐 주변이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차단하는 송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장치는, 일면에 외부의 공기가 출입가능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제외하고 외부와 기밀이 유지되는 하우징과, 상기 홀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를 정화시키는 제1필터와, 상기 하우징 내에 제공되어, 임펠러의 구동으로 상기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어와, 상기 블로어의 흡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블로어로 흡입되는 상기 공기를 정화시키는 제2필터와, 상기 하우징 내에 제공되며, 상기 블로어의 임펠러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하우징 내에 제공되며, 상기 모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는 냉각팬과, 상기 블로어의 배출구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되어 상기 블로어에서 배출되는 상기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끝단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공기가 흐르는 유로관과, 상기 유로관을 이격되게 둘러싸는 외관, 및 상기 유로관의 유로와 연동되어 상기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포함하는 노즐, 및 상기 외관에 결합되며 끝단은 상기 분사구의 반대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은 상기 분사구를 이격되게 둘러싸며 상기 공기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직경이 점차 커지는 보호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구는 상기 공기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유로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일부 내면을 둘러싸어 상기 냉각팬, 상기 모터 및 상기 블로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제거하는 흡음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음재는 다공성 재질로 다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는 공기 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정화된 공기를 이용하여 인체 또는 작업 도구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는 송풍을 일으키는 블로어의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는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노즐 주변이 가열되는 것을 차단하여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본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연결부재와 노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노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본체 내부에서 흐르는 공기의 방향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노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주로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송풍 장치는 본체(100), 연결부재(200) 및 노즐(300)을 포함한다. 송풍 장치는 본체(100)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입된 공기를 냉각 및 정화시키고, 연결부재(200) 및 노즐(300)을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1)의 본체(100)를 분해하여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0)는 하우징(도 1의 110 참조), 제1필터(120), 블로어(160), 모터(140), 냉각팬(150), 제2필터(130) 및 흡음재(18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하우징(110) 내에 설치된 블로어(160), 제1필터(120) 및 제2필터(130)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킨 후 배출한다.
하우징(110)은 외부의 공기를 정화시켜 연결부재(200) 및 노즐(300)을 통해 송풍하는 통로가 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필터(120), 블로어(160), 모터(140), 냉각팬(150) 및 제2필터(130)는 하우징(110) 내에 제공된다.
하우징(110)은 상부 플레이트(112), 측부 플레이트(116) 및 하부 플레이트(114)를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112), 측부 플레이트(116) 및 하부 플레이트(114)는 서로 결합되어 육면체와 같은 형상을 만들며, 내부 공간 내에 제1필터(120), 블로어(160), 모터(140), 냉각팬(150) 및 제2필터(130)가 설치되는 공간 외에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간도 형성된다.
상부 플레이트(112)는 외부의 공기가 출입하는 홀(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113)에 제1필터(120)가 결합된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홀(113)은 상부 플레이트(112)의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필터(120)는 상부 플레이트(112)의 내측면에 인접하여 결합된다.
하부 플레이트(114)에도 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115)은 블로어(16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흐르는 연결부재(200)가 통과한다.
측부 플레이트(116)는 상부 플레이트(112)와 하부 플레이트(114)를 연결하며,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외부로부터 폐쇄된 공간을 형성한다. 하부 플레이트(114)와 상부 플레이트(112)는 측부 플레이트(116)에 암수결합형태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부 플레이트(112), 하부 플레이트(114) 및 측부 플레이트(116)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110) 내에는, 상부 플레이트(112)에 결합된 제1필터(120)로부터 냉각팬(150), 모터(140), 블로어(160) 및 제2필터(130)가 하부 플레이트(114)를 향해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필터(120)와 제2필터(130) 사이가 상당한 정도로 떨어지게 배치하고, 그 사이에 블로어(160), 모터(140) 및 냉각팬(150)을 배치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12)에 형성된 홀(113)을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은 밀폐되어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즉,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부 플레이트(112)에 형성된 홀(113)을 통하여서만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전체가 블로어(160)의 유입관 역할을 하며, 냉각팬(150), 모터(140), 블로어(160) 및 제2 필터(130)는 블로어(160)의 유입관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하우징(110) 내부의 강한 공기의 흐름으로 인해 모터(140)의 냉각 성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제1필터(120) 및 제2필터(130)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정화 필터로서,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이중으로 정화시켜 송풍시 탁월한 이물질 제거 효과가 있다. 제1필터(120)는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10)내로 유입되는 홀(113)에 결합되어 1차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고, 제2필터(130)는 블로어(160)의 흡입구(164)에 결합되어 2차적으로 블로어(160)에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블로어(16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장치로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임펠러(162)를 포함한다. 임펠러는 모터(140)에 결합되어 구동된다. 임펠러(162)가 회전하면서 블로어(160)의 흡입구(164)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며, 공기는 임펠러(162)를 따라 회전하면서 임펠러(162)의 외측방향으로 유동하고 배출구(166)를 통해 블로어(160) 밖으로 배출된다.
냉각팬(150)은 임펠러를 구동시키는 모터(140)를 냉각시킨다. 냉각팬(150)은 모터(140)를 향하여 강제로 공기를 불어넣어 모터(140)를 냉각시키는 공냉식으로형성된 것으로서, 제1 필터(120)를 통과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모터(140)에 주입한다. 따라서, 모터(140)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모터(140)의 유지 및 보수를 유리하게 한다.
한편, 모터(140)는 블로어(160)에 의해 강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는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됨으로 인해 냉각팬(150)이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냉각이 가능하나, 냉각팬(150)이 부가됨으로 인하여 냉각 성능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2필터(130)와 블로어(160) 사이에 배치되어 제2필터(130)를 고정하는 고정 플레이트(170)가 제공될 수 있다. 제2필터(130)가 블로어(160)의 흡입구(164)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으나, 고정 플레이트(170)에 임펠러(162)의 센터부분과 직접 연통되도록 제1홀(172)을 형성하여 제2필터(130)를 상기 제1홀(172)에 결합시킨다.
고정 플레이트(170)는 하우징(110) 내의 공간이 블로어(160), 모터(140) 등이 배치된 공간과 제2필터(130)가 설치된 공간으로 나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70) 일 측에는 블로어(160)와 연결된 연결부재(200) 및 제1필터(120)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제2홀(174)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1)는 하우징(110) 내에 모터(140)와 블로어(160)의 소음을 제거하는 흡음재(180)를 설치할 수 있다. 측부 플레이트(116)의 내측면에 흡음재(180)를 감싸 하우징(110) 내의 소음을 차단한다. 흡음재(180)는 다공성 재질로 올록볼록한 형태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뿐만 아니라 하우징(1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의 전도를 방지하는 역할을 함께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1)의 연결부재(200)와 노즐(3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재(200)는 블로어(160)의 분사구(166)에 결합되어 하우징(도 1의 110 참조)의 외부까지 연장되어 제공된다. 연결부재(200)는 공기가 블로어(160)를 통해 노즐(300)로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인체 또는 기기에 공기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분사되도록 연결 부재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다.
노즐(300)은 연결부재(200)의 끝단에 제공되며, 외관(310), 유로관(320), 분사구(330) 및 보호캡을 포함한다. 또한, 노즐(300)은 외관(310)에 결합된 손잡이(350)와 걸이용 고리(360)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1)의 노즐(3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노즐(300)은 연결부재(200)와 분사구(330)를 잇는 관이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노즐(300)은 연결부재(200)의 유로와 연통되어 공기가 흐르는 유로관(320)과, 유로관(320)을 이격되게 둘러싸고 있는 외관(310)으로 형성된다. 즉, 외관(310)이 유로관(320)과 직접 닿지 않고 그 사이에 빈공간이 있어, 유로관(320)을 따라 흐르는 공기에 의한 마찰열에 의해 외관(310)이 가열되지 않는 것이다.
분사구(330)는 외관(310)과 유로관(320)의 끝단에 제공되며, 유로관(320)과 연통된다. 또한, 분사구(330)는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진 형태를 가진다. 이는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의 크기를 작게 하여 송풍의 속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보호캡(340)은 분사구(330)를 이격되게 둘러싸며,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직경이 커지는 형태를 가진다. 이에, 보호캡(340)은 분사구(330)로부분사된 공기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이 분사구(330)방향으로 비산하여 다시 공기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보호캡(340)은 투명 재질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물질이 보호캡(340)에 부착되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노즐(300)의 외관(310)에는 손잡이(350) 및 걸이용 고리(360)가 제공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것처럼, 손잡이(350)의 끝단은 분사구(330)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다. 걸이용 고리(360)는 송풍장치(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연결부재(200) 및 노즐(300)을 걸어놓을 수 있도록 제공된다. 걸이용 고리(36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걸이용 고리(360)는 외관(310)의 직경방향으로 돌출된 플레이트에 홀(362)을 형성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1)는 하우징(도 1의 110 참조) 내에 제1필터(120) 및 제2필터(130)를 설치하여 2중으로 정화시키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어(160)와 블로어(160) 내의 임펠러(162)를 구동시키는 모터(140)를 설치하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하우징(110) 내에 고정 플레이트(170)를 설치하여 제 1필터, 블로어(160) 및 모터(140)가 설치된 공간과 제2필터(130)가 설치된 공간을 나뉘고 이로부터 공기의 흐름을 더 빠르게 하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본체(100)에서 강한 압력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더 높이도록 연결부재(200) 끝단에 노즐(300)을 설치하고, 노즐(300)의 관 형태가 2중 구조로 제공되어, 공기가 흐르는 유로관(320)으로부터 외관(310)이 이격된다. 따라서, 노즐(300) 외주부에 열전달이 되지 않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진 송풍장치(1)가 작동되면, 다음과 같은 공기의 흐름이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1)의 본체(100) 내부에서 흐르는 공기의 방향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블로어(160)의 임펠러(162)가 모터(140)에 의해 회전하면 임펠러(162)의 회전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상부 플레이트(112)의 홀(113)에 결합된 제1필터(120)를 통해 하우징(도 1의 110 참조) 내에 유입된다. 블로어(160)의 강한 흡입력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빠르게 고정 플레이트(170)의 제2홀(174)을 지나 제2필터(130)를 통해 블로어(160)의 흡입구(164)로 유입된다. 블로어(160)로 유입된 공기는 임펠러(162)를 거쳐 블로어(160)의 유로를 통해 배출구(166)로 배출된다.
이때, 하우징(110) 내에 설치된 모터(140)는 하우징(110) 내에서 흐르는 공기의 빠른 흐름에 의해 냉각된다. 즉, 모터(140)는 냉각팬(150)에 의해 냉각될 뿐만 아니라 블로어(160)에 의해 하우징(11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도 냉각된다. 이에 하우징(110) 내에 설치된 모터(140)는 외부에 설치된 모터(140) 보다 더 빠르게 냉각되므로 모터(140)의 부하를 막고 블로어(160)의 성능을 더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1)의 노즐(30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체(1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연결부재(200)와 노즐(30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특히, 상기 설명과 같이, 노즐(300)의 외관(310) 내에 설치된 유로관(320)을 통해 공기가 빠르게 배출되며 분사구(330)의 좁아진 출구를 통해 빠르게 분사된다.
노즐(300)은 이중 구조, 특히 외관(310)과 유로관(320)이 이격되게 제공됨으로써, 유로관(320)으로부터 외관(310)을 향해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설명과 같이, 보호캡(340)은 분사구(330)로부터 분사된 공기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이 분사구(330) 방향으로 튈 때, 이물질이 분사되는 공기에 혼입되지 않도록 이를 차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장치는 2중 필터 구조로 되어 분사되는 공기 내에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블로어(160)를 구동하는 모터(140)가 하우징(도 1의 110 참조) 내에 설치되어 하우징(110) 내의 빠른 공기흐름으로 모터(140)를 냉각시켜 블로어(160)의 성능을 높인다. 또한, 하우징(110) 내에 흡음재(180)를 설치하여 모터(140) 및 냉각팬(150)으로부터 소음을 제거한다. 또한, 노즐(300) 내의 유로관(320)을 이격되게 둘러싼 외관(310)으로 인해, 노즐(300)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노즐(300)의 외주부 즉, 외관(310)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 송풍장치
100: 본체
110: 하우징
120: 제1필터
130: 제2필터
140: 모터
150; 냉각팬
160: 블로어
200: 연결부재
300: 노즐

Claims (5)

  1. 일면에 외부의 공기가 출입가능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제외하고 외부와 기밀이 유지되는 하우징;
    상기 홀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를 정화시키는 제1필터;
    상기 하우징 내에 제공되어, 임펠러의 구동으로 상기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어;
    상기 블로어의 흡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블로어로 흡입되는 상기 공기를 정화시키는 제2필터;
    상기 하우징 내에 제공되며, 상기 블로어의 임펠러를 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하우징 내에 제공되며, 상기 모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는 냉각팬;
    상기 블로어의 배출구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되어 상기 블로어에서 배출되는 상기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끝단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공기가 흐르는 유로관과, 상기 유로관을 이격되게 둘러싸는 외관, 및 상기 유로관의 유로와 연동되어 상기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포함하는 노즐; 및
    상기 외관에 결합되며 끝단은 상기 분사구의 반대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송풍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분사구를 이격되게 둘러싸며 상기 공기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직경이 점차 커지는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송풍 장치.
  3. 제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상기 공기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유로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부 내면을 둘러싸어 상기 냉각팬, 상기 모터 및 상기 블로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제거하는 흡음재를 더 포함하는 송풍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는 다공성 재질로 다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KR1020130133110A 2013-11-04 2013-11-04 송풍 장치 KR101358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110A KR101358079B1 (ko) 2013-11-04 2013-11-04 송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110A KR101358079B1 (ko) 2013-11-04 2013-11-04 송풍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619A Division KR101333811B1 (ko) 2013-06-18 2013-06-18 송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8079B1 true KR101358079B1 (ko) 2014-02-04

Family

ID=50269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110A KR101358079B1 (ko) 2013-11-04 2013-11-04 송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0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419B1 (ko) 2015-10-22 2016-03-03 주식회사 오리온햄프로 먼지털이기
CN106267608A (zh) * 2016-10-14 2017-01-04 梁奕冰 一种压力分布式空气净化穿戴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995U (ko) * 1996-10-30 1998-07-25 최병용 직류형 송풍기
JP2000500419A (ja) 1995-11-21 2000-01-18 ノザッド(ユーケー)リミテッド 燃料供給装置用カラー
JP2001500419A (ja) 1997-02-21 2001-01-16 ライカ マイクロシステムズ インク. 軸外れ流体パルスシステムを有する非接触式眼圧計
JP2007275836A (ja) 2006-04-11 2007-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出入り口払い落とし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0419A (ja) 1995-11-21 2000-01-18 ノザッド(ユーケー)リミテッド 燃料供給装置用カラー
KR19980022995U (ko) * 1996-10-30 1998-07-25 최병용 직류형 송풍기
JP2001500419A (ja) 1997-02-21 2001-01-16 ライカ マイクロシステムズ インク. 軸外れ流体パルスシステムを有する非接触式眼圧計
JP2007275836A (ja) 2006-04-11 2007-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出入り口払い落とし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419B1 (ko) 2015-10-22 2016-03-03 주식회사 오리온햄프로 먼지털이기
CN106267608A (zh) * 2016-10-14 2017-01-04 梁奕冰 一种压力分布式空气净化穿戴设备
CN106267608B (zh) * 2016-10-14 2022-04-19 梁奕冰 一种压力分布式空气净化穿戴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0946B2 (en) Accessory for a fan
JP5318138B2 (ja) 送風機
US8882451B2 (en) Fan
EP2014365A2 (en) Air curtain-isolated biosafety cabinet
KR200491534Y1 (ko) 핸디형 진공청소기
WO2017045577A1 (zh) 吹风装置
KR101358079B1 (ko) 송풍 장치
KR102038907B1 (ko) 에어커튼을 갖춘 산업용 후드 장치
TWI641025B (zh) 腔室清潔系統
TWI609156B (zh) 清淨空氣吹出裝置
JP2016176634A (ja) 熱交換気装置
KR101333811B1 (ko) 송풍 장치
JP2000346418A5 (ko)
CN205980504U (zh) 工件冷却装置
JP3187294U (ja) エアー洗浄装置
CN113560302A (zh) 玻璃屑及玻璃粉尘收集装置
JP3210757U (ja) 湿式クリーナーの吸引ヘッド
CN205815353U (zh) 一种工业吸尘器
KR100821330B1 (ko) 오염물질 흡입장치
KR100573904B1 (ko)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
RU2805650C2 (ru) Система отсоса пыли шлифовального станка с оптической системой визуального контроля области обработки в проходящем свете
CN210990837U (zh) 一种降尘的义齿加工装置
JP7187153B2 (ja) 排気装置
KR200358200Y1 (ko) 작업 테이블용 집진기
TWI609158B (zh) 局部空氣清淨化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