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221B1 - 커브벨트컨베어 - Google Patents

커브벨트컨베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221B1
KR100572221B1 KR1019980014001A KR19980014001A KR100572221B1 KR 100572221 B1 KR100572221 B1 KR 100572221B1 KR 1019980014001 A KR1019980014001 A KR 1019980014001A KR 19980014001 A KR19980014001 A KR 19980014001A KR 100572221 B1 KR100572221 B1 KR 100572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oller
curve
rollers
curv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0615A (ko
Inventor
하지메 오사카
마사히로 코바야시
카즈에 요다
Original Assignee
마루야스 키카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루야스 키카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루야스 키카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80014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2221B1/ko
Publication of KR19990080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2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6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for 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arriers movable in curved p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2Rails or the like engaging sliding elements or rollers attached to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커브벨트 컨베이어(curve belt conveyer)에 관한 것이고, 벨트 폭이 넓고 컨베이어 양단부에 있어서 단차를 작게 할 수 있는 커브벨트 컨베이어를 간소한 구동기구에 의해 실현하는 동시에 커브벨트의 장착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롤러(2a, 2b)사이에 가설한 커브벨트(1), 커브벨트(1)의 내주 에지부를 지지연결하는 가이드롤러(3a, 3b)와 커브벨트(1)의 외주부에 설치한 구동롤러(4), 커브벨트(1)의 왕로측(往路側)을 사이에 두고 구동롤러(4)를 누르는 핀치롤러(5), 및 커브벨트(1)의 복로측(復路側)을 사이에 두고 구동롤러(4)를 누르는 핀치롤러(6)를 구비하고, 양 핀치롤러(5, 6)는 각각의 축중심(5', 6')을 기준선(L)에 대해 기울어지게 하여 축지지하고, 이들 핀치롤러(5 ,6)의 접촉에 의해 커브벨트(1)의 외주부를 선회외측을 향해 가압하고, 커브벨트(1)의 팽창이나 사행(蛇行)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커브벨트 컨베이어
본 발명은 커브벨트 컨베이어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도 33은 종래의 커브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내고 있다. 이 커브벨트 컨베이어는 소정의 각도로 평면에서 보아 ∧형으로 배치한 롤러(101, 102)사이에, 원추형으로 형성된 무단상(無端狀) 커브벨트(100)를 가설함으로써, 평면에서 보아 원호 형상의 운반 궤도를 구성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커브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는, 벨트(100)의 구동에 따라, 벨트(100)의 선회중심(O)을 중심으로 하여 원의 접선방향으로 힘(F1)이 작용하는 동시에, 벨트(100)를 선회중심(O)을 향해 편향 시키려는 힘(F2)이 작용한다.
따라서, 종래의 커브벨트 컨베이어는, 벨트의 외주 에지를 따라 비드(bead)나 안내판, 체인, 롤러 등의 유지기구를 다수 구비하여 벨트의 외주부를 회전구동 가능하게 유지함으로써, 상기 바와 같이 벨트를 선회중심을 향해 편향시키는 힘(F2)을 받는 동시에,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벨트의 구동을 실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일본국 실개평 제 5-42211호, 일본국 실공소 제 58-34082호).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커브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벨트외주부를 따라 설치한 유지기구가 상당히 복잡한데다가, 유지보수의 번거로움, 소음의 증대, 비용 상승 등을 초래하기 때문에, 그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는, 원주속도의 관계로 커브벨트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롤러(101, 102)를 원추형상으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운반로 양단부의 형상도 원추형상으로 된다. 그 결과, 다른 컨베이어와의 접속부, 특히 운반로 외주측의 롤러 직경이 커지고, 동일 운반로 외주측에 대한 접속부분에 큰 단차를 만들게 된다. 그 결과, 특히 경량이고 작은 운반물이 상기 접속부를 타고 이송하는 경우에 이탈이나 전도가 발생하는 등, 운반물을 원할하게 이송함에 있어서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종래의 커브벨트 컨베이어 중에는 컨베이어 양단부에 롤러를 원통상의 소(小)롤러를 축중심 방향으로 다수 연속하여 설치함으로써, 컨베이어 양단부의 단차를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개발되어 있지만, 커브벨트의 원주속도가 다른 관계이기 때문에, 동(同)벨트가 선회중심으로 향해 편향되려는 힘(F2)은 보다 증대되어 버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일본국 특개평 제 7-277436호의 커브벨트 컨베이어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의 외주 에지부를 유지하는 유지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그 커브벨트의 내주에지를 가이드롤러에 의해 내측으로부터 지지연결함으로써, 선회중심을 향해 편향시키는 힘(F2)을 받도록 구성한 것이 개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브벨트는 벨트의 두께 내에 벨트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강인한 골재를 내측에 설치함으로써, 벨트폭 방향의 강도를 증대시킨 것을 사용하고, 이로 인하여 벨트폭 방향의 굽힘변형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커브벨트를 선회중심을 향해 편향시키는 힘(F2)은 벨트 폭이 넓어질수록 증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벨트폭이 좁은 범위에서는 지장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벨트폭이 넓어질수록 상기 벨트가 견뎌낼 수 없게 벨트 중간부가 부풀어 오르는 변형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양단부의 단차를 작게 하여 경량이고 간소한 운반물을 운반하는 것은 가능해도 상기 벨트가 부풀어 올라 운반물에 악영향을 준다. 즉,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는 벨트폭이 좁을 것만 유효하다고 말할 수 있다.
한편, 식품업계는 0-157 등의 병원균의 위험에 대해, 미국에서 제안된 위해분석(危害分析), 중요관리점(HACCP)의 도입이 가속되고 있지만, 식품가공 생산설비에 사용되는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도, 상기 HACCP에 준하는 위생관리가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벨트 컨베이어의 위생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계 본체나 벨트자체를 정기적으로 떼어내어 주위를 기울여 세정, 살균하는 것이 잡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의미에서 바람직하다. 종래, 직선이동의 벨트 컨베이어 중에는, 컨베이어의 단부를 튀어오르게 함으로써, 벨트의 긴장을 간단히 이완시키도록 구성한 것이 개발되어 있지만(일본국 실공평 제 5-33459호), 커브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는, 상술 한 바와 같이 유지기구 등의 극단(極端)이 복잡하기 때문에, 커브벨트를 이완시키는데에는 숙련된 작업자도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고, 세정, 살균작업시 번거롭고 시간이 걸리는 작업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를 사용하여 구성한 컨베이어 라인 중에는 커브벨트 컨베이어에 의한 운반물의 운반방향을 일정방향으로 한정하지 않고, 역방향으로 운반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도 있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도 용이하게 역회전구동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커브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고, 벨트 폭이 넓고, 컨베이어 양단부에 대한 단차를 작게 억제할 수 있는 커브벨트 컨베이어를 간소한 구동기구에 의해 실현하는 동시에 커브벨트의 부착, 제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시키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커브벨트 컨베이어는 컨베이어의 양단부에 설치한 롤러 혹은 나이프에지(knife edge)사이에 가설하여, 평면에서 보아 원호 형상의 운반궤도를 구성하는 무단상의 커브벨트와 상기 커브벨트의 내주측 에지부를 선회내측으로부터 지지연결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커브벨트의 외주부에 있어서 왕로측(往路側)과 복로측(復路側) 사이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동시에, 평면에서 보아 동 커브벨트의 선회중심으로부터 벨트 외주를 향해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축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회전구동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시킨 구동롤러와, 상기 커브벨트 외주부의 왕로면 상에 설치하고, 동 커브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한 구동롤러와 외주면에 누르는 핀치롤러와, 상기 커브벨트 외주부의 복로면 아래에 설치하고, 동 커브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롤러의 외주면에 누르는 핀치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왕로측 및 복로측의 양 핀치롤러는 각각의 축중심을 평면에서 보아 기준선에 대해서 소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이들 핀치롤러의 회전시 접촉에 의해 상기 커브벨트의 외주부를 선회외측으로 향해 가압하는 것이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컨베이어 양단부에 설치한 롤러 또는 나이프에지 사이에는 무단상의 커브벨트가 가설되고, 그 커브벨트에 의해, 평면에서 보아 원호 형상의 운반궤도가 구성된다.
상기 커브벨트의 내주측에는 가이드롤러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롤러가 커브벨트의 내주 에지를 내측으로부터 지지연결하는 형상으로 지지함으로써, 커브벨트가 선회중심으로 향해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고 있다.
상기 커브벨트 외주부에 있어서 왕로측과 복로측의 사이에는 구동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롤러는 선회중심에서 벨트 외주를 향해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축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회전구동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커브벨트의 왕로면 위와 복로면 아래에는 각각 핀치롤러를 설치한다. 핀치롤러는 커브벨트를 사이에 둔 형상으로, 구동롤러의 외주면에 대해서 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커브벨트의 왕로 및 복로 양면은 구동롤러와 핀치롤러에 의해 끼워진 상태로 되고, 상기 핀치롤러에 의한 누르는 힘에 의해 구동롤러 외주면과 커브벨트 내면 및 동 커브벨트 외주면과 핀치롤러의 사이에 마찰력을 일으킨다.
또한,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구동에 의해 커브벨트가 회전구동하고, 또한, 커브벨트의 회전에 따라서, 왕로측 및 복로측의 양 핀치롤러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왕로 및 복로 양 핀치롤러는 각각의 축중심을, 평면에서 보아 기준선에 대해서 소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축으로 지지하고 있고, 상기 경사각을 통해 커브벨트와 접촉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왕로 및 복로 양 핀치롤러의 접촉력은, 상기 경사각만큼, 선회외측을 향해 작용하게 되고, 그 결과, 상기 커브벨트의 왕로측 및 복로측 외주부는, 각각 선회 외측을 향해 가압된다. 이 가압력은 커브벨트를 폭방향으로의 장력으로서 작용하고, 동 벨트의 중앙부가 팽창되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청구항 2기재의 커브벨트 컨베이어는 짧은 원통상으로 형성한 다수의 소롤러를 같은 중심상에 병렬시켜 외형을 장축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각 소롤러가 각각 자유 회전하도록 구성한 한 쌍의 롤러, 컨베이어 양단부에 설치한 상기 양 롤러 또는 나이프에지 사이에 가설하여, 평면에서 보아 원호 형상의 운반궤도를 구성하는 무단상이고 평탄한 커브벨트, 상기 커브벨트의 내주측 에지부를 선회내측으로부 터 지지연결하는 가이드롤러, 상기 커브벨트의 외주부에 있어서 왕로측과 복로측의 사이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동시에, 평면에서 보아 동 커브벨트의 선회중심으로부터 벨트 외주를 향해 연정하는 기준선 상에 축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정역(正逆)회전구동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시킨 구동롤러, 상기 커브벨트 외주부의 왕로면 상에 설치하고, 동 커브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롤러의 외주면을 누르는 핀치롤러, 및 상기 거브벨트 외주면의 복로면 아래에 설치하고, 동 커브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롤러의 외주면을 누르면 핀치롤러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왕로측 및 복로측 양 핀치롤러의 지지축을 상기 커브벨트의 선회외측을 향해 돌출시키고, 이들 지지축 돌출부의 중간부에 추축(樞軸)을 수직으로 관통시켜 상기 양 핀치롤러를 상기 평면에서 보아 기준선을 중립으로 하여 커브벨트의 왕로면 및 복로면을 따라서 요동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상기 구동롤러의 축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는 전환레버를 설치하고, 그 전환레버의 일단부를 상기 왕로측 핀치롤러의 지지축 돌출부에 걸어 맞추는 동시에 동 전환레버의 타단부를 상기 복로측 핀치롤러의 지축 돌출부에 걸어 맞추고, 상기 구동롤러의 구동회전방향의 전환과 연계하여, 상기 전환레버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왕로측 핀치롤러와 복로측 핀치롤러가 동시에 요동하여, 이들 양 핀치롤러의 축중심이 상기 기준선을 초과하여 각각 상반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각각의 핀치롤러가 상기 기준선에 대해서 소정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구동롤러의 정회전시 및 역회전시에 있어서, 이들 양 핀치롤러의 회전접촉에 의해, 상기 커브벨트의 외주부를 항상 선회외측으로 향해 가압하게 된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컨베이어 양단부에 설치한 양 롤러의 사이에는 무단상의 커브벨트가 가설되고, 그 커브벨트에 의해 평면에서 보아 원호 형상의 운반궤도가 구성된다.
상기 양 롤러는 짧은 원통형상으로 형성한 다수의 소롤러를 같은 중심상에 병렬시켜 외형을 장축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각 소롤러가 각각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같은 중심상에 병렬시킨 각 소롤러는 각각이 독립하여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양 롤러의 사이에 가설된 커브벨트는 회전구동 중에 있어서 내측측과 외주측에서 원주속도가 다른 상태로 되지만, 각각의 소롤러가 각각의 위치의 원주속도로 회전함으로써 각 소롤러 사이에서 발생하는 원주속도의 차이에 대응한다.
상기 커브벨트는 외주부를 평탄형상으로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동 커브벨트의 외주부에 아무런 돌출물도 없게 되고, 운반면이 되는 왕로측의 외주부가 평탄하여 원활한 상태로 된다.
또한, 상기 커브벨트의 내주측에는 가이드롤러를 설치하고, 이 가이드롤러에 의해, 커브벨트의 내주 에지를 내측으로부터 지지연결하여, 상기 커브벨트가 선회중심을 향해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고있다.
상기 커브벨트는 상기 청구항 1기재의 커브벨트와 마찬가지로, 구동롤러, 커브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롤러의 외주면을 누르는 핀치롤러, 및 상기 커브벨트 외주부의 복로면 아래에 설치하고, 동 커브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롤러의 외주면에 누르는 핀치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커브벨트의 왕로 및 복로 양면은 구동롤러와 핀치롤러에 의해 끼워진 상태로 된다.
상기 왕로측 및 복로측의 양 핀치롤러의 지지축은, 상기 커브벨트의 외주부 보다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이들 지지축돌출부의 중간부에 추축을 거의 수직으로 관통시킴으로써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양 핀치롤러는 상기 추축을 요동중심으로 하여 커브벨트 왕로측 및 복로측을 따라서 요동한다. 또한, 이때 양 핀치롤러는 평면에서 보아 커브벨트의 선회중심으로부터 벨트 외주를 향해 연장하는 기준선을 중립으로 하여 요동한다.
상기 양 핀치롤러의 요동은, 전환레버의 전환조작에 의해 실행된다. 전환레버는 상기 구동롤러의 축중심과 같은 축중심이고, 그 축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동 전환레버의 일단부를 상기 왕로측 핀치롤러의 지지축 돌출부에 걸어 맞추는 동시에, 동 전환레버의 타단부를 상기 복로측 핀치롤러의 지지축 돌출부에 걸어맞춘다.
따라서, 상기 전환레버를 상기 요동중심을 지점으로 하여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전환 요동시킴으로써 동 레버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동 레버의 요동중심을 통과하는 수선을 중립기준으로하여 상반하는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전환레버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걸어맞추는 상기 복로측 및 왕로측 양 핀치롤러의 지지축이 요동하고, 이들 양 지지축에 의해 축지지되는 양 핀치롤러를 동시에 요동시킨다.
이때, 상기 왕로측 핀치롤러와 복로측 핀치롤러의 축중심은 상기 기준선을 넘어 각각 상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각각이 상기 기준선에 대해서 소정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작동한다. 즉, 상기 전환레버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요동한 경우에도, 양 핀치롤러는 상기 기준선을 경계로하여 각각 상반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전환레버의 정,역 전환조작에 따라 구동롤러의 구동회전방향이 전환되어 정회전/역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왕로 및 복로 양 핀치롤러는 상기 전환레버의 요동방향에 따라서, 각각의 축중심이 평면에서 보아 기준선에 대해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에서 지지됨으로써,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경사각으로 커브벨트와 접촉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왕로 및 복로 양 핀치롤러의 접촉력은, 상기 경사각만큼, 구동롤러의 정, 역회전시에 있어서도, 항상 선회외측을 향해 작용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커브벨트의 왕로측 및 복로측 외주부는 정회전시 및 역회전시에 있어서도 각각 선회외측으로 향해 가압된다. 이 가압력은 커브벨트를 폭방향으로의 장력으로 작용하고, 동 벨트의 중앙부가 팽창되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청구항 3, 청구항 4 기재의 커브벨트 컨베이어는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커브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가이드롤러를 기재 상에 축장착하고, 그 기재를 커브벨트 내주측 고정부재의 정위치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롤러를 커브벨트 내주 에지에 지지연결위치에 설치한 것이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가이드롤러는 기재 상에 대해서 축장착되고, 이 기재를커브벨트 내주측의 고정부재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정위치시킴으로써, 가이드롤러가 커브벨트 내주 에지의 지지연결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기재를 고정부재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양 롤러나 나이프에지 사이에 가설된 커브벨트를 내주측으로부터 지지연결하는 부재, 즉, 가이드롤러가 없어 지기 때문에, 컨베이어 양단부의 롤러나 나이프에지 사이에 가설된 무단상의 커브벨트를 내주측을 향해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반대로, 제거한 커브벨트를 컨베이어 양단부의 롤러나 나이프에지 사이에 벨트 외주측을 컨베이어 내주측으로부터 장착한 후에 가이드롤러의 기재를 고정부재에 정위치시킴으로써 커브벨트를 장착할 수 있다.
청구항 5기재의 커브벨트 컨베이어는 짧은 원통형상으로 형성한 다수의 소롤러를 같은 중심 상에 병렬시켜 외형을 장축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각 소롤러가 각각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구성한 한 쌍의 롤러를 컨베이어 본체 상의 양단부에 설치하고, 이들 양 롤러 또는 나이프에지 사이에 평면에서 보아 원호 형상의 운반궤도를 구성하는 무단상이고 평탄한 커브벨트를 가설하고, 동 컨베이어 본체에 있어서 상기 커브벨트의 외주부를 따라 복수개의 벨트끼움유닛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 벨트끼움유닛는 상기 커브벨트의 외주부에 있어서 왕로측과 복로측의 사이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동시에 평면에서 보아 동 커브벨트의 선회중심에서 벨트외주를 향해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축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시킨 중롤러, 상기 커브벨트 외주부의 왕로면 상에 설치하고, 동 커브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중롤러의 외주면을 누르는 핀치롤러, 및 상기 커브벨트 외주부의 복로면 아래에 설치하고, 동 커브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중롤러의 외주면을 누르는 핀치롤러로 구성하고, 또한, 상기 각 벨트끼움유닛 내의 적어도 1개의 중롤러에 구동기구를 접속하여 동 중롤러를 구동회전 가능하게 구성하고, 그 중롤러의 외주면과 왕로측 및 복로측 양 핀치롤러의 사이에 끼운 커브벨트를 회전구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각 벨트끼움유닛의 왕로측 및 복로측 양 핀치롤러의 축중심을 평면에서 보아 기준선에 대해서 소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양 핀치롤러의 회전시의 접촉에 의해 상기 커브벨트의 외주부를 선회외측을 향해 가압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컨베이어 양단부에 설치한 양 롤러의 사이에는, 무단상의 커브벨트가 가설되고, 그 커브벨트에 의해 평면에서 보아 원호형상의 운반궤도가 구성된다.
컨베이어 본체 상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양 롤러는, 짧은 원통형으로 형성한 다수의 소롤러를 같은 중심상에 병렬시켜 외형을 장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각 소롤러가 각각 자유롭게 회전한다.
상기 양 롤러사이에는, 무단상으로 외주부를 평탄하게 형성한 커브벨트를 가설하고, 그 커브벨트에 의해 평면에서 보아 원호 상의 운반궤도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본체에 있어서 커브벨트의 외주부를 따라서 복수개의 벨트끼움유닛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벨트끼움유닛는 중롤러와, 왕로측 및 복로측 양 핀치롤러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롤러는 커브벨트 외주부에 있어서 왕로측과 복로측의 사이에 삽입하는 형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양 핀치롤러는 상기 커브벨트의 왕로면 위와 복로면 아래에 설치하고 각각 중롤러의 외주면에 대해 눌려 있다.
따라서, 상기 커브벨트의 왕로 및 복로 양면은, 중롤러와 핀치롤러에 의해 끼워진 상태로 되고, 상기 핀치롤러에 의한 누르는 힘에 의해 중롤러의 외주면과 커브벨트내면 및 동커브벨트 외주면과 핀치롤러의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한다. 또한, 상기 각 벨트끼움유닛 내에 적어도 1개의 중롤러에는 구동기구가 접속되고, 그 중롤러가 구동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중롤러의 회전구동에 의해 커브벨트가 회전구동하고, 또한, 커브벨트의 회전에 추종하여 왕로측 및 복로측 양 핀치롤러가 회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회전하는 중롤러에 대응하는 왕로측 및 복로측 양 핀치롤러는 각각의 축중심을 평면에서 보아 기준선에 대해서 소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축지지하고, 상기 경사각으로 커브벨트와 접촉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왕로측 및 복로측 양 핀치롤러의 접촉력은, 상기 경사각만큼 선회외측을 향해 작용하도록 하고, 그 결과, 상기 커브벨트의 왕로측 및 복로측 외주부는 각각 선회외측으로 향해 가압한다.
이 가압력은, 커브벨트가 선회중심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억지하는 동시에, 동 벨트를 폭방향으로의 장력으로서 작용하고, 동 벨트 중앙부가 팽창되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중롤러에 구동기구가 접속되지 않은 벨트끼움유닛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롤러가 스스로 구동회전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커브벨트가 회전구동함으로써 그 커브벨트의 왕로측과 복로측을 끼워지는 중롤러와 양 핀치롤러가 그 끼워지는 부분의 접촉력을 받아서 동 커브벨트에 추종하는 형상으로 회전한다.
또한, 양 벨트끼움유닛의 왕로측 및 복로측 양 핀치롤러는, 상술한 바와 같은 경사각으로 각각 커브벨트와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양 핀치롤러는 상기 중앙부 벨트끼움유닛의 양 핀치롤러와 마찬가지로, 상기 경사각만큼, 커브벨트와의 접촉력이 선회외측을 향해 작용한다. 그리고 이 가압력은, 양측의 벨트끼움유닛의 설치 부분에 있어서, 커브벨트의 왕로측 및 복로측 외주부를 각각 선회외측을 향해가압한다.
즉, 상기 커브벨트는 각 벨트끼움유닛가 설치된 각 부분에 있어서, 선회외측을 향해 가압력이 작용하고, 동 커브벨트에 장력을 주어 팽창되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청구항 6기재의 커브벨트 컨베이어는, 상기 청구항 5기재의 커브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커브벨트의 왕로측을 하면측으로부터 평면형상으로 지지연결하는 기 반을 구비하고, 그 기반의 선회중심측의 부위를 컨베이어 본체 부재 상에 있어서 소정의 높이로 유지하는 유지재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는 한편, 동 기반의 선회중심측의 부위의 아래면에 상부 지지연결롤러를 설치하는 동시에 그 상부 지지연결롤러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본체부재에, 하부 지지연결롤러를 설치하고, 그 하부 지지연결롤러와 상기 상부 지지연결롤로의 외주면 끼리를 부합시켜 이루어 진 것이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커브벨트의 왕로측은 기판에 의해 하면측으로부터 평면 형상으로 지지연결된다. 상기 기반의 선회중심측의 부위는 착탁가능한 유지재에 의해 컨베이어 본체부재 상에 있어서 소정의 높이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기반의 선회중심축의 부위의 아래면에는 상부 지지연결롤러가 설치되고, 그 지지연결롤러와 컨베이어 본체부재의 설치한 하부 지지연결롤러의 외주면 끼리를 부함시킴으로써 상기 기반을 밑에서 지지연결시킨다.
즉, 상기 기반의 선회중심측부위는 상기 유지재와 외주면끼리가 부합되는 상하부의 양측 지지연결롤러와 쌍방에 의해 지지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지부재를 제거해도 기반의 선회중심측부위는 상하 양측 지지연결롤러에 의해 밑에서 지지연결되고, 기반자체는 원래의 장착상태를 유지한다. 덧붙여서, 상기 상하 양 롤러에 의한 지지력이 제거되면, 기반의 선회중심부측은 지지하는 부재가 없게 되고, 자중에 의해 매달리게 되도록 변형된다. 커브벨트를 제거할 때에는 각 끼움유닛에서 벨트를 해방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부재를 기반으로부터 제거한 후, 컨베이어 본체 양단부의 롤러 사이에 가설된 무단상의 커브벨트를 내주측을 향해 빼내고, 동 커브벨트의 복로측(하면측)을 상기 상하 양측 지지연결롤러의 사이로 통과시켜 빼내면 좋다. 이때, 외주면끼리 부합된 상하 양측 지지연결롤러는 커브벨트의 통과에 의해 회전하고, 동 커브벨트의 통과를 원활하게 한다.
반대로, 제거한 커브벨트의 복로측을 상기 상하 양측 지지연결로러의 사이로 삽입 관통시켜 컨베이어 본체 양단부의 롤러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원래의 같이 장착할 수 있다.
이하 본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 에서 나타내는 커브벨트 컨베이어(A1)는 컨베이어 시단에 반입된 운반물을 원호 형상으로 선회하는 운반로 상을 따라서 운반되고 상기 반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반출하게 되고, 그 커브벨트 컨베이어(A1)를 통상의 컨베이어라인의 접속부에 설치하여 운반물을 직각방향으로 운반하는 물류라인을 구성한다.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1)는 프레임이 되는 컨베이어 본체(a) 상에 컨베이어 시단부의 롤러(2a)와 컨베이어 종단부의 롤러(2b)를 평면에서 보아 90˚의 각도로 하여 설치하는 동시에 이들 양 롤러(2a, 2b)사이에 무단상의 커브벨트(1)를 가설하여 평면에서 보아 원호 형상의 운반궤도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커브벨트(1)의 내주측에는, 상기 커브벨트(1)의 내주측 에지부를 선회내측으로부터 지지연결하는 가이드롤러(3a, 3b)를 설치하는 동시에 동 커브벨트(1)의 외주부에는 구동롤러(4)와, 핀치롤러(5, 6)를 설치하고, 그 구동롤러(4)와 핀치롤러(5, 6) 사이에 커브벨트(1)의 외주측 에지부를 끼운 상태에서 회전 구동하여 상기 커브벨트(1)를 운반방향으로 향해 회전 구동시키는 구성이다.
롤러(2a, 2b)는 짧은 원통형상으로 구성한 다수의 소롤러(20)를 지지축(21)의 외주를 따라서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만들고 상기 각 롤러(20)의 같은 중심 상에 병렬시켜, 전체 길이에 걸쳐 같은 직경인 장축 형상 롤러로서 구성한다.
상기 롤러(2a, 2b)는 각각의 지지축(21)을, 컨베이어 본체(a)의 외주부와 내주부에 설치한 축받이부재(22, 22') 및 (23, 23')사이에 걸쳐서 수평으로 가설하여 지지하고, 양 축중심사이에 평면에서 보아 90˚의 열리는 각도로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서, 상기 양 롤러(2a, 2b) 외경의 연장선 상에는 커브벨트(1)의 선회중심(O)이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도 1).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축(21)을 따라 병렬시킨 각 소롤러(20)는 각각 독립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커브벨트 컨베이어(A1)는 커브벨트(1)의 내주측과 외주측에서 원주속도가 다르지만, 상기 커브벨트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롤러(2a, 2b)를 같은 축 상에 다수의 소롤러(20)를 병렬설치하여 구성하여 각각의 소롤러(20)가 각각의 위치의 원주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롤러(2a, 2b)는 그 외형을 충분히 작게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본 출원의 커브벨트 컨베이어(A1)의 시단부 및 종단부에 접속되는 다른 컨베이어와 접속부에 발생하는 단차도 극히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2a, 2b)는 나이프에지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롤러(2a, 2b)사이에 가설된 커브벨트(1)는 우산모양의 원추형으로 전개되는 도넛(doughunt) 형상의 시트로서 구성되고, 2개 접힌 상태로서, 상기 롤러(2a, 2b)사이에, 외주부가 되는 대경측에서 사이에 두어, 평면에서 보아 부채형의 원호형상이 되는 운반궤도를 구성한다(도 1), 또한, 상기 커브벨트(1)의 외주부는 평탄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종래의 커브벨트와 같이 비드나 가교는 일절 돌출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2a, 2b) 사이에 가설한 커브벨트(1)의 왕로측은 수평인 한편 평면형상의 기반(8)에 의해 밑에서 지지연결되어 있다(도 2).
기반(8)은, 상기 커브벨트(1)의 평면형상과 같고 부채꼴형상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반(8)은 내주측의 지지재(81)와 외주를 따라서 간극을 두고 설치한 지지재(85)를 통해 컨베이어 본체부재(a1) 및 (a2)에 대해서 부착 고정하여 상기 커브벨트(1)의 왕로측 바로 아래면을 따라서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반(8)은, 커브벨트(1) 왕로측의 전체면을 하면측에서 평면적으로 지지연결하는 것이고, 그 양끝 에지부는 상기 롤러(2a, 2b)의 바로 앞까지 도달하여 있다.
상기 커브벨트(1)의 내주부에는 가이드롤러(3a, 3b)를 설치하고, 커브벨트(1)의 내주 에지를 선회내측으로부터 지지연결하고 있다(도 2, 도 4).
가이드롤러(3a, 3b)는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2a, 2b)사이에 걸쳐 가설한 커브벨트(1)가 회전 구동에 따라서 내주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것이고, 커브벨트(1)내주부 왕로측 및 내주부 복로측에 각각 필요한 개수씩, 본 실시예의 경우, 5개씩의 가이드롤러(3a, 3b)를 부채형상의 기재(30)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부착 지지되어 있다(도 3).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3a, 3b)의 설치개수는 임의로 변경해도 좋다.
도 4에 나태난 바와 같이, 가이드롤러(3a, 3b)는 외주부를 따라서 V형의 홈을 둘레에 설치한 풀리형의 롤러이고, 부채형상으로 형성한 기재(30)에 대해서 부착 지지되어 있다.
기재(30)는 왕로측 가이드롤러(3a)를 부착 지지하는 기판(30a)과 복로측 가이드롤러(3b)를 부착 지지하는 기판(30b)으로 되어 있고, 각 기재(30a, 30b)의 원주를 따라서 5개씩의 가이드롤러(3a, 3b)를 일정 간극을 두고 축으로 지지하여, 상기 기판(30a, 30b)을 설치한 형태에서, 각 가이드롤러(3a, 3b)가 커브벨트(1)내주에지에 있어서 왕로측과 복로측에 각각 선회내측에서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 기판(30a, 30b)의 이면에는, 2개의 돌기(31a, 31b)를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있고, 동 기판(30a, 30b)을 기반(8)의 내주부의 지지재(81)를 사이에 둔 형상으로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돌기(31a, 31b)가 지지재(81)에 형성한 위치결정구멍(82)에 삽입하고, 정위치에 위치맞춤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3).
또한, 양 기판(30a, 30b)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재(81)를 사이에 두고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지지재(81)에 형성한 관통구멍(33c)과 나사구멍(33a, 33b)이 설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에 나사구멍(33a, 33b) 및 관통구멍(33c)에, 핸들(9a)부착 장착볼트(9)를 삽입 관통하고, 그 장착볼트(9)의 선단부를 선회내주측으로 돌출시켜 설치한 본체부재(a1)의 나사구멍(a1')에 나사 맞춤하여 체결하고, 양 기판(30a, 30b)을 정위치에서 유지한 상태에서와 같이 체결하는 동시에 기반(8) 내주측의 지지재(81)를 상기 본체부재(a1) 상에 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30a, 30b) 및 지지재(81)를 핸들(9a)부착 장착볼트(9)를 사용하여 본체부재(a1)에 나사 결합하여 체결하고 양 기판(30a, 30b)이 선회내주측의 소정위치에 정치된다. 그리고 양 기판(30a, 30b)에 부착 지지된 각 가이드롤러(3a, 3b)가 커브벨트(1)내주 에지에 있어서 왕로측과 복로측에 각각 선회내측에서 맞닿는 상태로 된다(도 4).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롤러(3a, 3b)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는 커브벨트(1) 내주 에지의 왕로측과 복로측이 각각 가이드롤러(3a, 3b)에 의해 선회내측으로 부터 지지연결된 상태로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커브벨트(1)가 회전하는 것에 따라서, 선회내측을 향해 벗어나려고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커브벨트(1)가 헝상 롤러(2a, 2b)의 소정위치에서 회전하도록 유지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된 커브벨트(1)는 장착볼트(9)를 풀어서 기판(30a, 30b)과 동시에, 가이드롤러(3a, 3b)를 전부 제거하여 선회내측을 향해 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커브벨트(1)는 장착볼트(9)를 1개 제거하는 것 만으로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브벨트(1)의 외주측에는 구동롤러(4)를 설치하고 있다.
구동롤러(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된 커브벨트(1)의 외주부에 접촉하여 회전구동되어 동 커브벨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고, 평면에서 보아, 상기 커브벨트(1)의 선회중심(O)에서 커브벨트(1) 외주를 향해 연장된 기준선(L)상에 축중심(4')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회전 구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도 1).
상기 구동롤러(4)는 상기 기준선(L)이 통과하는 커브벨트(1) 외주의 중앙에 설치하고, 동 커브벨트(1)의 왕로측과 복로측의 사이에 축중심(4')을 수평으로 하여 삽입하는 형상으로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도 2).
구동롤러(4)는 외주면에 미끄럼방지재(41)를 끼워 부착한 원통체이고, 지지축(4a)의 일단에 끼워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동롤러(4)는 커브벨트(1) 외주부의 구멍내에 삽입하는 동시에, 커브벨트(1)의 외측을 향해 수평으로 돌출시킨 지지축(4a)을 기어박스(7a)내에 삽입하여 고정 부착하여 회전구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롤러(4)는, 외주면의 최상부를 기반(8)의 외주부에 형성한 개구부(83)로 돌출시키고, 상기 기반(8)상을 따라서 미끄럼 운동하는 커브벨트(1)의 왕로측 내면에 맞닿게 한다(도 2).
상기 기어박스(7a)는 컨베이어 본체부재(a2)에 설치한 부착기판(70)에 부착고정되어 있고, 그 하부에 설치한 구동모터(7b)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4)의 지지축(4a)을 소정 회전에서 회전 구동한다.
상기 구동롤러(4)의 설치위치에 대응하는 커브벨트(1) 왕로면의 바로 위 및 복로면의 바로 아래에는 각각 핀치롤러(5, 6)를 설치하고, 이들 핀치롤러(5, 6)와 상기 구동롤러(4)의 외주면 사이에, 커브벨트(1)의 왕로측 외주부와 복로측 외주부를 각각 끼우고 있다.
양 핀치롤러(5, 6)는 지지축(5a, 6a)의 외주에 베어링(51)을 통해 끼워서 고정하여 자유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핀치롤러(5, 6)는 지지축(5a, 6a)을 회동아암(71a, 71b)에서 지지하고 있다.
왕로측 회동아암(71a)은, 일단부를 상기 기어박스(7a)의 부착기반(70)에 축 고정하여, 암(71a)의 타단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핀치롤러(5)의 지지축(5a)은 상기 회동아암(71a)의 중간부에 대해서 수평으로 부착고정하고, 그 지지축(5a) 및 핀치롤러(5)가 상기 회동아암(71a)에서 수평으로 돌출하고, 핀치롤러(5)가 구동롤러(4)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지지되어 있다(도 5, 도 6).
한편, 복로측 회동아암(71b)은 일단부를 부착기반(70)에 있어서 구동롤러(4)의 하측에 축으로 고정하여, 상기 회동아암(71a)과 같게 회전운동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핀치롤러(6)의 지지축(6a)을 상기 회동아암(71b)중간부에 부착 고정하여 동 지지축(6a) 및 핀치롤러(6)가 상기 회동아암(71b)에서 수평으로 돌출하고, 핀치롤러(6)가 구동롤러(4)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시킨 양 회동아암(71a, 71b)의 선단부 사이에는 각각 코일스프링(72)을 가설하고 그 코일스프링(72)의 장력에 의해 양 회동아암(71a, 71b)의 선단부끼리를 끌어 당기고, 이로 인하여 양 회동아암(71a, 71b)의 중간부에 축으로 지지시킨 양 핀치롤러(5, 6)를 구동롤러(4)의 외주면에 대해서 항상 압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72)에 의해 가압된 양 핀치롤러(5, 6)는 커브벨트(1)의 왕로측 외주부와 복로측 외주부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각각 구동롤러(4)의 외주면을 누른다.
또한, 상기 양 핀치롤러(5, 6)의 구동롤러(4)에 대한 누르는 힘은, 상기 코일스프링(72) 자체를 교환하거나, 또는 나사등에 의해 코일의 인장스트로크를 변경하여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롤러(4)를 정회전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면, 그 구동롤러(4)의 외주가 접촉하는 커브벨트(1)의 왕로측이 컨베이어 시단에서 종단을 향해 회전 운동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커브벨트(1)의 복로측이 컨베이어 종단에서 시단을 향해 회전운동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커브벨트의 왕로측 및 복로측과 접촉하는 양 핀치롤러(5, 6)가 상기 커브벨트(1)의 회전에 추종하는 형상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왕로측 및 복로측 양 핀치롤러(5, 6)는 각각 축중심(5', 6')을 평면에서 보아 기준선(L)에 대해서 소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시키고, 이로 인하여 양 핀치롤러(5, 6)의 접촉력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하는 커브벨트(1)의 외주부를 선회외측을 향해 가압하도록 구성한다.
양 핀치롤러(5, 6)를 부착 지지하는 회동아암(71a, 71b)은 일단부의 축 지지부에서 〈 형상으로 굴곡시켜서, 핀치롤러(5, 6)의 축중심(5', 6')을 소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한다(도 6, 도 7).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왕로측 회동아암(71a)은 회전운동 선단측을 커브벨트(1) 외측을 향해 굴곡시켜서 핀치롤러(5)의 축중심(5')을 기준선(L)에 대해서 α˚만큼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축지지하고 있다. 또한 핀치롤러(5) 축중심(5')의 경사방향은, 선회내측으로 향한 지지축(5a)의 선단이 컨베이어 종단측을 향해 전진하는 방향이고, 본 실시예의 경우, 그 경사각(α˚)을 7.5˚로 설정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로측 회동아암(71b)은 컨베이어 회전운동 선단측을 커브벨트(1)의 내측을 향해 굴곡시켜서 핀치롤러(6)의 축중심(6')을 기준선(L)에 대해서α˚만큼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축으로 지지하고 있다. 또한, 핀치롤러(6) 축중심(6')의 경사방향은 선회내측을 향해 지지축(6a)의 선단이 컨베이어시단측을 향해 전진하는 방향으로 그 경사각(α˚)을 왕로측 핀치롤러(5)와 같게 7.5˚로 설정하고 있다.
이어서, 도 8 및 도 9에 기초하여 커브벨트(1)를 회전 구동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각 부에 작용하는 역학적 밸런스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커브벨트 컨베이어(A1)는 구동롤러(4)를 회전구동시키면, 그 구동롤러(4) 상부외주와 접촉하는 커브벨트(1)의 왕로측이 컨베이어 시단에서 컨베이어 종단을 향해 이동하는 동시에 구동롤러(4)의 하부외주와 접촉하는 커브벨트(1)의 복로측이 컨베이어 종단에서 컨베이어 시단을 향해 이동하고, 그 결과 롤러(2a, 2b)사이에 가설된 커브벨트(1)가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8에 있어서, 구동롤러(4)의 회전구동에 의해 커브벨트(1)가 정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커브벨트(1)와 접촉하여 추종 회전하는 왕로측의 핀치롤러(5)는 그 축중심(5')에 경사각(α˚)을 부여하여 커브벨트(1) 외주부를 선회외측을 향해 밀어내는 접촉력(F4)을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접촉력(F4)에는 커브벨트(1)의 접선방향으로 작용하는 구동롤러(4)의 구동력(F1)이 더해지고, 합력(F5)으로서 작용한다. 이 합력(F5)은 커브벨트(1)를 정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커브벨트(1)의 외주부를 선회외측을 향해인장력(F6)으로서 작용한다.
커브벨트(1)는 구동력(F1)에 의해 회전하지만 이것과 동시에 선회내측을 향해 이동하려고 하는 힘(F2)이 작용하기 때문에 F1과 F2의 합력(F3)방향을 향해 나아가게 된다. 덧붙이면 상기 합력(F3)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은, 커브벨트(1)의 사행(蛇行)을 의미하고, 컨베이어의 회전구동이 원할하게 실시되지 않고 벨트의 수명이 단축된다.
따라서, 커브벨트(1)의 왕로측이 선회내측을 향해 이동하려는 힘(F2)이 커브벨트(1)의 내주 에지를 따라서 설치된 각 가이드롤러(3a)에 의해 받아져서, 커브벨트(1)가 선회내측을 향해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회전하는 커브벨트(1)와 접촉하여 추종 회전하는 복로측 핀치롤러(6)는 그 축중심(6')에 경사각(α˚)을 주어 커브벨트(1)외주부를 선회외측으로 향해 밀어 내는 접촉력(F4')를 발생한다.
상기 접촉력(F4')에는 커브벨트(1)의 접선방향으로 작용하는 구동롤러(4)의 구동력(F1')이 더해지고, 합력(F5')으로서 작용한다. 이 합력(F5')은 커브벨트(1)를 정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커브벨트(1)의 외주부를 선회외측을 향해 인장력(F6')으로서 작용한다.
즉, 커브벨트(1)는 왕로측과 복로측에서 같은 힘이 작용한다.
또한, 커브벨트(1)의 복로측이 선회내측을 향해 이동하려는 힘(F2')도 커브벨트(1) 복로측의 내주 에지를 따라서 설치한 각 가이드롤러(3b)에 의해 막아지고, 상술한 바와 같이 같이 커브벨트(1)가 선회내측을 향해 편향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롤러(3a, 3b)와 커브벨트(1)내주 에지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은 상기 F2, F2'의 반력(F7, F7')이 작용한다. 여기에서 F2=F7, F2'=F7'이면, 커브벨트(1)의 주행상태는 안정적이다.
그러나 상기 F2에 대한 반력(F7)에 커브벨트(1)의 폭방향 강성을 견뎌낼 수없고, 커브벨트(1) 왕로측의 중앙부가 팽창되거나 느슨해지는 변형 현상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커브벨트 컨베이어(A1)에 있어서 상기 핀치롤러(5, 6)의 접촉력에 의해 작용하는 F4, F4'에 의해 커브벨트(1)의 강성부족 만큼을 선회외측을 향해 인장력(F6, F6')에 의해 보정하고, F2≤F6+F7, F2'≤F6'+F7'의 조건을 유지하여 안정한 주행상태를 실현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이 구동롤러(4)의 구동기구로서 기어박스(7a)와 구동모터(7b)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컨베이어 본체부재(a2)의 외주부에서 외측에 기어박스와 구동모터가 크게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롤러(4)의 구동기구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도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기구는 구동롤러(4)의 지지축(4a)을 부착기판(70)에 설치한 축받이(75)에 관통하고 동 축받이(75)의 외측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축으로 지지된 스프라켓(76a)에 연결한다.
한편, 상기 구동롤러(4)의 바로 아래의 본체부재(a3)에는 구동모터(79) 및 기어박스(78)를 설치하고, 상기 기어박스(78)에서 돌출한 출력축(78a)에 스프라켓(76b)을 부착한다. 상기 스프라켓(76a, 76b)은 무단상의 체인(77)으로 연결하고, 상기 구동모터(79)의 구동력을 구동롤러(4)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기구를 구성하면, 본체부재(a3)에서 외측으로 돌출치수를 대폭으로 절감하고, 장치의 설치공간을 축소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무단상체인에 의해 구동전달을 실행했지만, 구동전달수단은 무단벨트, 기어 등을 사용해도 좋고, 체인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커브벨트 컨베이어(A1)는 컨베이어 양단부 롤러(2a, 2b의 사이의 각도를 90˚로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의 커브벨트 컨베이어는 상기 각도를 90˚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90˚이하로 설정해도 90˚이상으로 설정해도 좋다. 예들 들면 도 11에서 나타내는 커버벨트 컨베이어(A1')와 같이 컨베이어 시단의 롤러(2a)와 컨베이어종단의 롤러(2b) 사이의 각도를 180˚로 구성해도 좋다.
이어서, 청구항 2 및 4에 대응하는 커브벨트 컨베이어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2내지 도 20a 및 도 20b 에서 나타내는 커브벨트 컨베이어(A2)는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커브벨트 컨베이어(A1)와 같고, 컨베이어 일단부에 반입된 운반물을 원호 형상으로 선회하는 운반로 상을 따라서 운반하여 상기 운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반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2)는 후술하는 전환레버(210)의 전환조작에 의해 역회전구동도 가능하고, 상기 정회전구동의 경우와는 역으로 컨베이어 타단에 반입한 운반물을 동 컨베이어의 일단을 향해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2)는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브벨트 컨베이어(A1)와 같고, 프레임이 되는 컨베이어 본체(200a) 상에, 다수의 소롤러(220)를 같은 중심 상에 병렬시켜 구성하는 컨베이어 일단측의 롤러(202a)와 컨베이어 타단측의 롤러(202b)를 평면에서 보아 90˚각도로 설치하는 동시에 양 롤러(202a, 202b)사이에 무단상의 커브벨트(201)를 가설하여 평면에서 보아 원호 형상의 운반궤도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2)의 일단은 상기 롤러(202a)측이고, 타단은 상기 롤러(202b)측이다. 또한,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2)에 있어서 정회전구동은 운반물을 상기 롤러(202a)측에서 (202b)측을 향해 운반하는 형태이면 좋고 역회전구동은 그것과 반대의 경우를 말한다.
롤러(202a, 202b)는 짧은 원통형상으로 구성한 다수의 소롤러(220)을 지지축(221) 외주를 따라서 회전 가능하게 끼워서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같은 직경인 장축형상 롤러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202a, 202b)는 각각의 지지축(221)을 컨베이어 본체(200a)의 외주부와 내주부에 설치한 지지재(222, 222') 및 (223, 223') 사이에 걸쳐 수평으로 가설하여 지지하고, 양 축중심사이에 평면에서 보아 90˚각도로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축(221)을 따라서 병렬된 각 소롤러(220)는 각각 독립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각각의 소롤러(220)가 각각 위치의 원주속도로 회전하여 커브벨트(201)의 내주와 외주에서 다른 원주속도에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롤러(202a, 202b)사이에는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1)의 커브벨트(1)와 같은 커브벨트(1)를 사이에 두고 평면에서 보아 부채형상의 원호 형상으로 되는 운반궤도를 구성한다(도 12). 또한, 상기 커브벨트(201)의 외주부는 평탄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종래의 커브벨트같은 비드나 가교는 돌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커브벨트(201)의 내주측에는 상기 커브벨트(201)의 내주측 에지를 선회내측으로부터 지지연결하는 가이드롤러(203a, 203b)를 설치하는 동시에 동 커브벨트(201)의 외주부에는 구동롤러(204)와 핀치롤러(205, 206)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롤러(204)와 핀치롤러(205, 206) 사이에 커브벨트(201)의 외주 에지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구동롤러(204)를 구동회전하여 상기 커브벨트(201)를 정회전 및 역회전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2). 즉,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의 기본구성인 롤러(202a, 202b), 커브벨트(201), 기판(208)등은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1)와 같은 구성이다.
양 롤러(202a, 202b)사이에 가설한 커브벨트(201)의 왕로측은 수평인 한편 평면상의 기반(208)에 의해 밑에서 지지연결되어 있다(도 13a, 13b).
기반(208)은, 상기 커브벨트(201)의 평면형보다도 소형인 부채모양으로 형성한다. 기반(208)은 컨베이어 본체(200a)의 내주측에 돌출한 지지부재(a5)와 동 컨베이어 본체(200a)의 외주부의 부착기판(a4) 사이에 부착 지지하여 상기 커브벨트(201)의 왕로측면을 밑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설치된다. 또한 기반(208)의 양단 에지부는 상기 롤러(202a, 202b)의 바로 앞까지 도달하여 있다.
커브벨트(201)의 내주부에는 도 1, 도 2에 나타내듯이 커브벨트 컨베이어(A1)와 같고, 가이드롤러(203a, 203b)를 설치하고, 커브벨트(201)의 내주 에지를 선회내측으로부터 지지연결되어 있다(도 13a, 도 13b, 도 14).
상기 가이드롤러(203a, 203b)는 베어링을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왕로면측의 각 가이드롤러(203a)는 부채형상으로 형성한 기판(230a) 하면의 외주부를 따라서 같은 간격을 두고 끼워져 축으로 지지한다.
한편, 복로면측의 각 가이드롤러(203b)는 부채형상으로 형성한 2개의 기판(230b, 230b') 사이에 끼운 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어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기판(230a, 230b, 및 230b')을 설치한 상태에서 각 가이드롤러(203a, 203b)가 커브벨트(201)내주 에지에 있어서 왕로측과 복로측에 각각 선회내측에서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 기판(230b, 230b')에는 2개의 위치결정핀(231b)을 관통시켜서 상면측으로 돌출시키고, 이들 양 위치결정핀(231b)을 기반(208)의 내주부에 형성한 관통구멍(282)에 끼워서 동 기반(208)의 상면에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면측의 기판(230a)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반(208)내주부의 상면에 돌출한 양 위치결정핀(231b)을 끼워 넣는 2개의 위치결정구멍(28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230a) 및 기판(230b, 230b')에 의해 기반(208) 내주부를 사이에 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핀(231b)을 기반(208)에 형성한 위치결정구멍(282) 및 기판(230a)의 위치결정구멍(284)에 삽입하여, 상기 각 기판(230a, 230b, 230b')과 기반(208)이 각각 소정 위치관계에서 장치되도록 구성하고 있다(도13a, 도 13b, 도 14).
또한, 상기 각 기판(230a, 230b, 230b')의 외주 에지부는 단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기판(230a, 230b, 230b')을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기판(230a) 외주 에지부와 기판(208) 상면 사이, 및 하면측의 양 기판(230b, 230b')의 외주 에지부끼리 사이에 단면이 V자 형상인 홈이 형성되고, 이 홈내에 커브벨트(201)의 내주 에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13a, 13b).
상기 양 기판(230a, 230b, 230b')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 위치결정핀(231b)을 사이에 끼워 각 기판(230a, 230b, 230b')과 기판(208)을 정위치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기반(208)의 각 부 부근에 형성한 관통구멍(233c) 볼트구멍(233a,233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반(208)의 관통구멍(233c)을 사이에 두고 볼트구멍(233a, 233b)에 핸들(209)부착 장착볼트(209a)를 끼우고, 그 장착볼트(209)를 스페이서(209b)에 끼워서, 상기 컨베이어 본체(200a)의 저면부에 나사 체결하여 각 기판(230a, 230b, 230b')을 정위치에 유지한 상태에서 같이 체결함과 아울러, 기반(208)의 내주측을 상기 컨베이어 본체(200a) 상에 적재하도록 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반(208) 및 기판(230a, 230b, 230b')을 중첩하여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핸들(209a)부착 장착볼트(209)를 사용하여 컨베이어 본체(200a)에 나사 체결하여 각 기판(230a, 230b, 230b')이 선회내주측의 소정위치에 정치된다. 그리고 양 기판(230a, 230b)에 설치된 각 가이드롤러(203a, 203b)가 커브벨트(201) 내주 에지에 있어서 왕로측과 복로측에 각각 선회내측에서 맞닿는 상태로 된다(도 13a, 13b). 즉, 각 가이드롤러(203a, 203b)는 도 1,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커브벨트 컨베이어(A1)의 가이드롤러(3a, 3b)와 같은 기능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되는 커브벨트(201)는 장착볼트(209)를 풀어서 각 가이드롤러(203a, 203b)를 설치한 기판(230a, 230b, 230b')을 제거하여 선회내측을 향해 제거 가능하게 된다. 즉, 커브벨트(201)는 1개의 장착볼트(209)를 제거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브벨트(201)의 외주측에는 구동롤러(204)를 설치한다. 동 구동롤러(204)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커브벨트(201)의 선회중심(O)에서 커브벨트(201)외주로 향해 연장하는 기준선(L)상에 축중심(204')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구동 회전가능하게 축으로 지지시킨다(도 12, 도 18b).
상기 구동롤러(204)는 평면에서 보아 기준선(L)이 통과하는 커브벨트(201) 외주의 중앙에 축중심(204')을 일치시킨 상태로 설치하고, 동 커브벨트(201)의 왕로측과 복로측의 사이에 축중심(204')을 수평으로 하여서 삽입하는 형상으로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도 12,도 13a).
구동롤러(204)는 커브벨트(201)의 외주부의 구내(口內)에 삽입하는 동시에 커브벨트(201)의 외측으로 향해 수평으로 돌출시킨 지지축(204a)을 컨베이어 본체(200a)의 부착기판(a4)에 관통시킨, 부착기판(a4)의 배면에 설치한 기어박스(207a)내에 삽입하고, 동 기어박스(207a)의 출력측(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여 정회전구동 및 역회전구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구동롤러(204)는 외주면의 최상부를 기반(208)의 외주부에 개설한 개구부(283)에서 돌출시키고, 상기 기반(208)상을 따라서 미끄럼 운동하는 커브벨트(201)의 왕로측내면에 맞닿도록 설치되어 있다(도 13a).
상기 기어박스(207a)는 컨베이어 본체(200a)에 설치한 부착기판(a4)에 부착 고정되어 있고, 그 측부에 설치한 구동모터(207b)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204)의 지지축(204a)을 소정 회전에서 정회전구동 및 역회전구동한다.
상기 구동롤러(204)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커브벨트(201)왕로면 바로 위 및 복로면의 바로 아래에는 각각 핀치롤러(205, 206)를 설치하고, 이들 핀치롤러(205, 206)와, 상기 구동롤러(204)의 외주면 사이에, 커브벨트(201)의 왕로측외주부와 복로측외주부를 각각 끼우고 있다(도 13a, 도 15).
상기 핀치롤러(205, 206)는 지지축(205a, 206a)을 회동아암(271a, 271b)에서 지지하고 있다(도 15).
왕로측 회동아암(271a)은, 추축이 되는 볼트(271a')에 의해 아암(271a) 일단부를 상기 기어박스(207a)의 부착기판(a4)에 축으로 고정하여, 동 회동아암(271a)의 타단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정 운동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핀치롤러(205)의 지지축(205a)은, 상기 회동아암(271a)의 중간부에 삽입하는 형상으로 부착고정하고, 그 지지축(205a)및 핀치롤러(205)가 상기 회동아암(271a)의 중간부에서 수평으로 돌출하고, 핀치롤러(205)가 구동롤러(204)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지지하고 있다(도 16, 도 17).
한편, 복로측 회동아암(271b)은, 상기 왕로측 회동아암(271a)과 같고, 추축이되는 볼트(271b')에 의해 아암의 일단부를 부착기판(a4)에 있어서 구동롤러(204)의 하측에 축으로 고정하여 상기 회동아암(271a)과 같게 회전 운동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핀치롤러(206)의 지지축(206a)을 상기 회동아암(271b)의 중간부에 부착고정하여, 동 지지축(206a)및 핀치롤러(206)가 상기 회동아암(271b)에서 수평으로 돌출시켜 핀치롤러(206)가 구동롤러(204)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도 1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동아암(271a, 271b)은 2개의 아암부재(273a, 273b)로 구성하고, 이들 양 아암부재(273a, 273b)를 상하 2장의 접속판(274)에 의해 끼우고, 이 끼움부에 2개의 볼트(275)를 관통시키는 너트(275a)로 고정하여 1개형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 아암부재(273a, 273b)의 접속부측의 단면은 평면에서 보아 V형상으로 형성하고, 이들 양 단면을 양 핀치롤러(205, 206)의 지지축(205a, 206a)을 삽입하는 만큼의 거리를 두고 대향시켜, 동 부분을 상기 지지축(205a, 206a)을 관통하는 부분으로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양 접속판(274)의 중앙부에는 관통구멍(276b)을 관통하여 설치하고, 그 관통구멍(276b) 사이에는 핀치롤러(205, 206)의 추축이 되는 볼트(276)를 관통시켜서 너트(276c)를 결합하여 체결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핀치롤러(205, 206)의 지지축(205a, 206a) 돌출부 중간부에는 축구멍(276a)을 관통하여 설치하고, 그 지지축(205a, 206a)을 상기 회동아암(271a, 271b)중간의 관통부에 관통시키고, 상기 축구멍(276a)에 추축이 되는 볼트(276)를 상기 지지축(205a, 206a)과 직교하도록 관통시킨다.
따라서, 상기 핀치롤러(205, 206)의 지지축(205a, 206a)은 추축이 되는 볼트(276)에 의해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고, 그 지지축(205a, 206a)이 상기 아암부재(273a, 273b)의 접속부 양 단면에 맞닿는 범위에서 미끄럼 운동하고, 이에 따라 양 지지축(205a, 206a)에 의해 축으로 지지된 양 핀치롤러(205, 206)가 미끄럼 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핀치롤러(205, 206)는 평면에서 보아 구동롤러(204)의 축중심(204')(즉, 기준선L)을 중립으로 하고, 그 양 측에 소정 각도씩 미끄럼 운동하도록 지지되는 것이고, 본 실시예의 경우, 축중심(204')을 중립으로 하여 양 측에 7.5˚씩 미끄럼 운동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아암부재(273a, 273b)의 접속부의 단면을 각각 V형상으로 형성하여 동 단면을 지지축(205a, 206a)의 스토퍼(stopper)면으로 하고, 이로 인하여 양 핀치롤러(205, 206)를 소정의 각도로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시킨 양 회동아암(271a, 271b) 선단부 사이에는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1)의 경우와 같고, 각각 코일스프링(272)을 가설하고, 그 코일스프링(272)의 장력에 의해 양 회동아암(271a, 271b)의 선단부끼리를 끌어 당기고, 이로 인하여 양 회동아암(271a, 271b) 중간부에 축으로 지지시킨 양 핀치롤러(205, 206)를 구동롤러(204)의 외주면에 대해서 항상 압착한다(도 15).
상기 구동롤러(204)의 지지축(204a)에는 전환레버(21)가 요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전환레버(210)는 상기 양 핀치롤러(205, 206)의 요동방향(기준선(L)에 대한 경사방향)을 정회전방향 혹은 역회전방향으로 전환조작하기 위한 것이고, 상하방향으로 긴 판형상으로하여 구성하고, 그 중간부에 설치한 통형상의 축받이부(210a)에 구동롤러(204)의 지지축(204a)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축(204a)과 같은 중심으로한 상태에서 요동하도록 부착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전환레버(210)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걸어맞춤홈(211a, 211b)을 설치하고, 이 상부측의 걸어맞춤홈(211a)을 왕로측핀치롤러(205)의 지지축(205a)후단부에 또는 하부측의 걸어맞춤홈(211b)을 복로측 핀치롤러(206)의 지지축(206a)의 후단부에 대해서 걸어 맞추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양 핀치롤러(205, 206)의 지지축(205a, 206b) 돌출단부는 상기 전환레버의 걸어맞춤홈(211a, 211b)에 의해 끼워진 상태로 되고, 상기 전환레버(210)를 정회전방향 혹은 역회전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원호를 그리며 회전 운동하는 동 레버(210)의 걸어맞춤홈(211a, 211b)에 의해 지지축(205a, 206a)가 상반하는 방향을 향해 요동되고, 그 결과, 양 핀치롤러(205, 206)가 기준선(L)을 경계로 하여 상반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또한, 상기 전환레버(210)의 상부에는 상부 걸어맞춤홈(211a)에서 상방으로 연장하는 연장부(210b)를 형성하고, 그 연장부(210b)에 손잡이(210c)를 부착하고 있다. 즉, 상기 전환레버(210)는 상기 손잡이(210c)를 조작하여, 레버의 요동방향을 간단하게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브벨트(201)를 정회전시킬 때에는 도 18a와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레버(210)상부의 손잡이(210c)를 좌측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때 전환레버(21)의 상부 걸어맞춤홈(211a)은 좌측을 향해 이동하고 이로 인하여 왕로측핀치롤러(205)와 그 지지축(205a)은 추축이 되는 볼트(276)보다도 선단측이 우측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에서 유지된다. 이것과 동시에 전환레버(210)의 하부 걸어맞춤홈홈(211b)은 우측을 향해 이동하고, 이로 인하여 복로측핀치롤러(206)와 그 지지축(206a)은 추축이 되는 볼트(276)보다도 선단측이 좌측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반대로, 커브벨트(201)를 역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도 19a, 19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레버(210)상부 손잡이(210c)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전환레버(210)의 상부 걸어맞춤홈(211a)은 우측을 향해 이동하고, 이로 인하여 왕로측핀치롤러(205)와 그 지지축(205a)은, 추축이 되는 볼트(276)보다도 선단측이 좌로 향해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것과 동시에 동 전환레버(210)의 하부 걸어맞춤홈(211b)은 좌측을 향해 이동하고, 이로 인하여 복로측핀치롤러(206)와 그 지지축(206a)은 상기 볼트(276)보다도 선단측이 우로 향해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된다(도19b).
*****
또한, 상기 전환레버(210)와 구동롤러(204)와 구동롤러(204)의 구둥원이 되는 구동모터(207b)와는 연계시키고, 도 18a와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레버(210)를 정회전방향으로 요동한 상태에 있어서 구동롤러(204)가 정회전구동하고, 반대로 도 19a,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레버(210)를 역회전방향으로 요동시킨 경우에는 구동롤러(204)가 역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전환레버(210)를 수동으로 전환조작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상기 전환레버의 전환은 공유압실린더나 솔레노이드등을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실행해도 좋다, 물론,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전환레버의 전환에 따라서, 구동롤러의 구동회전방향을 전활할 수 있도록 연계한다.
따라서, 도 18a와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환레버(210)를 정회전방향으로 요동시켜서 구동롤러(204)를 정회전방향으로 구동회전시키면,(즉, 커브벨트 컨베이어A2를 정회전구동 시키면), 상기 구동롤러(204)의 외주가 접촉하는 커브벨트(201)의 왕로측이 컨베이어 일단측에서 타단측을 향해 회전운동하고, 이것과 동시에 동 커브벨트(201)의 복로측이 컨베이어 타단측에서 일단측을 향해 회전 운동한다.
또한, 상기 커브벨트(201)의 왕로측및 복로측과 접촉하는 양 핀치롤러(205, 206)가 상기 커브벨트(201)의 회전에 추종하는 형상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왕로측 및 복로측 양 핀치롤러(205, 206)는 각각의 축중심(205', 206')을 평면에서 보아 기준선(L)에 대해서 정회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고, 이로 인하여 양 핀치롤러(205, 206)의 접촉력에 의해, 상술한 바와같이 회전하는 커브벨트(201)의 외주부를 선회외측을 향해 가압한다.
상기 정회전구동 상태에 있어서, 왕로측의 핀치롤러(205)는 전환레버(201)상부의 걸어맞춤홈(211a)의 유지력에 의해 지지축(205a)의 돌출단부를 정회전방향의 요동위치에서 유지하여 동 지지축(205a)의 추축이 되는 볼트(276)보다도 선단측이 커브벨트(201)의 타단측을 향해 요동된 상태로 되고, 그 축중심(205')이 기준선(L)에 대해서 α˚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핀치롤러(205)의 축중심(205')의 경사각도는 커브벨트(201)를 선회외측을 향해 효율적으로 가압하여 얻도록 적절한 각도로 설정하지만, 본실시예의 경우, 그 경사각(α˚)을 7.5。로 설정하고 있다(도 18b).
한편 복로측의 핀치롤러(206)는 전환레버(210) 하부의 걸어맞춤홈(211b)의 유지력에 의해, 지지축(206a)의 돌출단부를 정회전방향으로 요동위치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왕로측핀치롤러(205)와는 역방향, 즉, 커브벨트(201)의 일단측을 향해 요동하고, 그 축중심(206')이 기준선(L)에 대해서 α˚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핀치롤러(206)의 축중심(206') 경사각도는 상기 왕로측 핀치롤러(205)와 같은 7.5˚로 설정되어 있다(도 18b).
이어서, 커브벨트(201)를 정회전 구동시킨 상태에 있어서, 각 부에 작용하는 역학적 밸런스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커브벨트 컨베이어(2A)는 구동롤러(204)를 정회전 구동시키면, 그 구동롤러(204)의 상부 외주와 접촉하는 커브벨트(201)의 왕로측이 ,컨베이어 일단에서 컨베이어 타단을 향해 이동하는 동시에 ,구동롤러(204)의 하부 외주와 접촉하는 커브벨트(201)의 복로측이 컨베이어 타단에서 컨베이어 일단을 향해 이동하고, 그 결과, 롤러(202a, 202b)사이에 가설된 커브벨트(201)가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도 18a, 도 18b).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커브벨트 컨베이어(A2)를 정회전 구동시키는 경우는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브벨트 컨베이어(A1)를 정회전 구동시키는 경우의 역학적 밸런스, 즉 도 8 및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 역학적밸런스와 모두 같은 밸런스로서 구동한다. 따라서, 본실시예의 커브벨트 컨베이어(A2)를 정회전 구동시키는 경우의 역학적밸런스의 설명 및 도시는 상기 도 8 및 도 9와 그 설명을 대체하는 것으로 생략한다.
한편, 커브벨트 컨베이어(A2)를 역회전 구동키려면 도 19a,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레버(210)를 역회전방향, 즉, 동 레버(210)의 상부를 커브벨트(201)타단측으로 요동하는 동시에 구동롤러(204)를 역방향으로 구동회전한다.
역회전구동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롤러(204)의 외주가 접촉하는 커브벨트(201)의 왕로측이 컨베이어 타단에서 일단을 향해 회전 운동하고 이것과 동시에 동 커브벨트(201)의 복로측이 컨베이어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회전운동한다. 또한, 상기 커브벨트(201)의 왕로측 및 복로측과 접촉하는 양 핀치롤러(205, 206)가 상기 커브벨트(201)의 회전에 추종하는 형상으로 회전한다. 이때, 양 핀치롤러(205, 206)의 회전방향은 정회전구동의 경우와는 반대로 된다.
상기 역회전 구동상태에 있어서는 왕로측 핀치롤러(205)와 전환레버(210)상부의 걸어맞춤홈(211a)에 의한 유지력에 의해 지지축(205a) 돌출단부를 역회전 방향으로 요동위치에서 유지하여 동 지지축205a)의 추축이 되는 볼트(276)보다도 선단측이 커브벨트(201)의 일단측을 향해 요동하고 그 축중심(205')이 기준선(L)에 대해서 7.5˚만큼 기울어진 상태에서 유지된다(도 19b).
한편 복로측의 핀치롤러(206)는 전환레버(210)하부의 걸어맞춤홈(211b)에 의한 유지력에 의해 지지축(206a) 돌출단부를 역회전방향의 요동위치에서 유지하는 것으로 상기 왕로측 핀치롤러(205)와는 역방향, 즉, 커브벨트(201)의 타단측을 향해 요동하고, 그 축중심(205')이 기준선(L)에 대해서 7.5˚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된다(도 19b).
도 20a와 도 20b는 역회전 구동시에 있어서, 각 부에 작용하는 역학적 밸런스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그 역학적 밸런스는 도 8,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 정회전구동시의 역학적 밸런스와(기준선(L)을 기준으로 하여)전체 좌우 대칭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커브벨트(201)와 구동롤러(204) 및 양 핀치롤러(205, 206)에 의해 작용하는 힘의 관계는 그 방향이 정회전구동시와 반대로 되는 만큼이기 때문에 도 20a과 도 20b에서 나타낸 벡터에 의한 표기에 끝으로, 역회전 구동시에 있어서 힘 관계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핀치롤러(205, 206)의 경사각(α˚)은 크게 할수록 커브벨트(201)의 외주부를 외측으로 인장력(F6, F6')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안정한 주행상태를 유지하려면 F2≤F6+F7, F2'≤F6'+F7'의 관계를 유지하면 충분하고, 필요 이상으로 증대해도 양호한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또한, 본원 출원인은 많은 시험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 상기 핀치롤러(205, 206)의 경사각(α˚)은 5˚∼10˚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러나 핀치롤러(205, 206)의 경사각(α˚)은 상기 값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면 어떤 각도로도 설정해도 좋다.
또한, 상기 양 핀치롤러의 경사각도(α˚)의 설정값에 관한 것은, 상기 도 1, 도 2에서 나타낸 커브벨트 컨베이어(A1)에 대해서도 같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롤러(204) 및 양 핀치롤러(205, 206)의 구동유닛을 커브벨트(201)의 외주부 중앙에 설치했지만, 구동유닛은 구동롤러(204)의 축중심(204')이 선회중심(O)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축선상에 있으면 커브벨트(201)의 일단측, 또는 타단측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구동롤러(204)와 핀치롤러(205, 206)의 구동유닛을 커브벨트(201)에 대해서 1개 설치했지만, 상기 구동유닛은 2개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조비용은 늘어나지만, 커브벨트(201)의 회전구동을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선회내측을 향한 커브벨트(201)의 편향 방지효과를 향상 시킬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의 설치위치와 설치개수에 관한 사항은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1)에 대해서도 같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커브벨트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양단부의 롤러(202a, 202b) 사이의 각도를 90˚로하여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의 커브벨트 컨베이어는 상기 각도를 90˚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90˚이하로 설정해도 90˚이상으로 설정해도 좋다(도시하지 않음).
이어서, 청구항 5 및 청구항6에 대응하는 커브벨트 컨베이어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1 내지 도 2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커브벨트 컨베이어(A3)는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1, A2)와 같은 커브벨트 컨베이어이지만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1, A2)의 구동롤러(4, 204)에 상당하는 중롤러(304)와 양 핀치롤러(305, 306)를 구비한 벨트끼움유닛(b1∼b3)를 상기 커브벨트(301)의 외주부를 따라서 복수개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3)는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1, A2)와 같고, 프레임이 되는 컨베이어 본체(300a)상에, 다수의 소롤러(320) 동 중심상에 병설하여 구성한 컨베이어 시단측의 롤러(302a)와 컨베이어 종단측의 롤러(302b)를 평면에서 보아 90˚각도로 설치하는 동시에, 이들 양 롤러(302a, 302b)사이에 무단상의 커브벨트(301)를 가설하여 평면에서 보아 원호 형상의 운반궤도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롤러(302a, 302b)는 나이프에지로 하는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3)는 커브벨트(301)의 유효폭이 1m 정도가 되는 비교적 폭이 넓은 대형의 것이다.
상기 벨트(301)의 외주부에는 각각 중 롤러(304)와 2개의 핀치롤러(305, 306)를 구비한 3개의 벨트끼움유닛(b1∼b3)을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롤러(304)는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1, A2)의 구동롤러(4, 204)에 상당하는 것이다.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3)는 각 벨트끼움유닛(b1∼b3)의 각 중롤러(304)와 양 핀치롤러(305, 306)의 사이에 커브벨트(301)의 외주 에지를 끼운 상태에서 회전 구동하여 상기 커브벨트(301)를 운반 방향을 향해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한다. 또한, 커브벨트 컨베이어(A3)는 상기 커브벨트(A1, A2)같은 커브벨트를 내주측에서 지지하는 가이드 롤러는 필요하지 않다.
상기 롤러(302a, 302b) 사이에 가설된 커브벨트(301)는 우산같은 원추형으로 전개되는 도넛 형상의 시이트로 구성되고, 2개의 굽은 상태로 하여 상기 롤러(302a, 302b)사이에 외주부가 되는 대경측에서 끼워서 평면에서 보아 부채형상의 원호형상이 되는 운반궤도를 구성한다(도 21).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302a, 302b)사이에 가설한 커브벨트(301)의 왕로측은 평면상에서 수평으로 설치된 기반(308)에 의해 밑에서 지지연결되어 있다(도 22). 기반(308)은 상기 커브벨트(301)의 평면형과 같은 부채형상의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 에지부가 커브벨트(301)의 외주부 보다 내측에 넣어진 위치를 따라서 설치한다.
상기 기반(308)은 커브벨트(301)의 선회중심측의 부위의 하면에 설치된 상부지지연결롤러(391)와 컨베이어 본체(300a)에 부착고정된 하부지지연결롤러(302)를 맞춤에 의한 지지와, 관형상(管形狀)의 유지재(393)에 의한 지지를 겸용하여 동 기반(308)의 선회중심측의 부위를 지지한다. 또한, 기반(308)은 외주부의 양단에 형성한 지지부(382a, 382b) 및 중앙부 벨트유지유닛본체(300a)에 대해서 부착고정하여 상기 커브벨트(301)의 왕로측의 바로 밑면을 따라서 수평으로 배치한다.
즉, 상기 기반(308)은 커브벨트(301)의 왕로측의 전면을 하면측에서 평면적인 동시에 수평으로 지지연결하는 것이고, 그 양단에지부는 상기 롤러(302a, 302b)의 바로 앞까지 도달하여 있다.
상기 기반(308)의 선회내주측의 하면에는 보강판(381)을 고정하고, 그 보강판(381) 및 기반(308)을 관통하는 볼트관통구멍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볼트관통구멍(308a)에는 핸들(309a) 부착장착볼트(309)를 관통하고 또한, 이 장착볼트(309)를 상기 기반(308) 및 컨베이어 본체(300a) 사이에 끼운 관상의 유지재(393)내에 관통하고, 컨베이어 본체(300a)에 나사구멍(309b)에 체결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유지재(393)는 장착볼트(309)의 체결에 의해 기반(308)과 컨베이어 본체(300a) 사이에 스페이서로서 끼워지고, 상기 기반(308)의 내주측부위가 소정 높이에서 유지되는 동시에 컨베이어 본체(300a)에 대해서 확실하게 고정된다(도22).
상기 기반(308)의 내주측 하면에 설치된 보강판(381)에는 롤러지지재(391a)를 통한 상부 지지연결롤러(391)를 회전 가능하게 부착 지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연결롤러(391)은 평면에서 보아 동 커브벨트(301)의 선회중심(O)에서 벨트 외주 중앙부를 향해 연장하는 기준선(L1)(도 21, 도 22)을 따라 회전하도록 부착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연결롤러(39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본체(300a)에는 롤러지지재(392a)를 통해 하부 지지연결롤러(392)를 회전 가능하게 부착 지지하고 그 하부 지지연결롤러(392)와 상기 상부 지지연결롤러(391)의 외주끼리를 맞닿게 한다(도 22, 도 25). 또한, 상기 상하 양측 지지연결롤러(391, 392)의 외주면끼리를 맞닿게 하는 상태는 외주면끼리를 약간의 간극을 두어 근접시키거나 또는 양 롤러(391, 392)의 외주면끼리를 가볍게 접속시키는 상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반(308)은 상기 유지재(393)에 의한 지지와 상하 양측 지지연결롤러(391, 392)를 서로 맞닿게 하는 지지를 겸용하는 형상으로 지지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기반(308)의 내주측부위는 고정용 장착볼트(309)를 제거해도 상하 양측 지지연결롤러(391, 392)의 외주면끼리 접촉하고, 동 롤러(391, 392)에 의해 밑에서 지지연결되기 때문에 기반(308)의 내주측부위가 자중에 의해 늘어지게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볼트(309)를 제거한 상태에 있어서는 도 28 및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롤러(302a, 302b)사이에 가설한 커브벨트(301)를 상기 상하 양측 지지연결롤러(301, 392)사이로 관통시키고, 그대로 빼내어 제거할 수 있다. 즉, 커브벨트(301)는 장착볼트(309)를 1개 제거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 양측 지장롤러(391, 392)가 없는 상태는 기반(308)의 내주측부위가 자중에 의해 늘어지듯이 변형하고, 커브벨트(301)의 맞대기 및 장착작업이 곤란하게 된다.
한편, 컨베이어 본체(300a)의 커브벨트(301)의 외주측에는 3개의 벨트끼움유닛(b1∼b3)가 원주방향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벨트끼움유닛(b1∼b3)는 커브벨트(301)를 회전구동시키는 동시에 동 커브벨트(301)의 외주 에지부를 선회외측을 향해 물러나도록 가압하여 구동회전 중의 커브벨트(301)에 적절한 장력을 주고 선회내주측을 향해 편향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1, A2)의 구동롤러(4, 204)에 상당하는 중롤러(304)와 2개의 핀치롤러(305, 30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커브벨트 컨베이어(A3)에 있어서는 3개의 벨트끼움유닛(b1∼b3)내, 중앙부에 설치하는 벨트끼움유닛(b1)만으로 구동기구(c)를 설치하고 그 유닛(b1)의 양측에 설치하는 벨트끼움유닛(b2, b3)는 상기 중롤러(304) 및 핀치롤러(305, 306)가 커브벨트(301)의 회전구동에 추종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컨베이어 본체(300a)의 커브벨트(301) 외주부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한 벨트끼움유닛(b1)는 컨베이어 본체(300a) 상에 부착 고정하는 유닛기판(b1')에 중롤러(304)와 핀치롤러(305, 306)을 축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22).
중앙부벨트끼움유닛(b1)의 중롤러(30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된 커브벨트(301)의 외주부에 접촉하여 회전구동하여 동 커브벨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고, 평면에서 보아 상기 커브벨트(301)의 선회중심(O)에서 커브벨트(301) 외주 중앙을 향해 연장된 기준선(L1) 상에 축중심(304')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회전 구동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도 21, 도 26b). 또한, 상기 중롤러(304)는 상기 기준선(L1)이 통과하는 커브벨트(301)외주의 중앙에 설치하고, 동 커브벨트(301)의 왕로측과 복로측의 사이에 축중심(304')를 수평으로 하여 삽입하는 형상으로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도 22).
상기 중롤러(304)는 외주면에 미끌어지지 않도록 굄가공하거나 미끌어지지 않는 재질을 한 원통체이고, 지지축(304a)의 일단에 끼워져 정착되어 있다. 상기 중롤러(304)는 커브벨트(301)의 외주부의 입구내에 끼워 넣는 동시에 커브벨트(301)의 외측을 향해 수평으로 돌출시킨 지지축(304a)을 상기 유닛기판(b1')의 내주측에서 외측을 향해 관통하고, 동 기판(b1')의 배면에 설치한 구동기구(c)의 기어박스(c1)내에 끼워 넣고, 구동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롤러(304)는 외주면의 최상부를 기반(308)의 외주 에지부보다선회외측으로 늘려진 커브벨트(301)외주부의 왕로측내면과 동 커브벨트(301)외주부의 왕로측내면에 맞닿아 있다(도 22).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기구(c)의 기어박스(c1)는 컨베이어 본체(300a)상에 부착고정한 유닛기판(b1')의 외측면에 부착고정되어 있고 그 하부에 설치된 구동모터(c2)에 의해 상기 중롤러(304)의 지지축(304a)을 소정의 회전수에서 회전구동시킨다.
상기 중롤러(304)의 설치위치에 대응하는 커브벨트(301)왕로면 바로위, 및 복로면의 바로 아래에는 각각 핀치롤러(305, 306)를 설치하고, 이들 핀치롤러(305, 306)와 상기 중롤러(304)의 외주면 사이에 커브벨트(301) 외주부의 왕로측 외주부와 복로측 외주부를 각각 끼우고 있다.
양 핀치롤러(305, 306)은 지지축(305a, 306a)의 외주에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끼워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 핀치롤러(305, 306)는 각각의 지지축(305a, 306a)을 회동아암(371a, 371b)의 중간부에 형성한 축끼움부(373)에 각각 사이에 두고 고정하여 동 회동아암(371a, 371b)의 중간부에 형성한 축중심(305', 306')이 수평으로 돌출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왕로측의 회동아암(371a)은 일단부를 상기 기어박스(c1)의 유닛기판(b1')에 축으로 고정하여 아암(371a)의 타단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핀치롤러(305)의 지지축(305a)은 상기 회동아암(371a)의 축끼움부(373)에 끼워 넣여 수평으로 부착고정하고, 그 지지축(335a) 및 핀치롤러(305)가 상기 회동아암(371a)에서 수평으로 돌출시켜 핀치롤러(335)가 중롤러(304)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지지하고 있다(도 23, 도 26a, 도 26b).
한편, 복로측의 회동아암(371b)은 일단부를 유닛기판(b1')에 있어서 중롤러(304)의 하측에 축으로 고정하여 상기 회동아암(371a)과 같게 회동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핀치롤러(306)의 지지축(306a)을 상기 회동아암(371b)의 축끼움부(373)에 끼워 넣고 부착고정하여 동 지지축(306a) 및 핀치롤러(306)가 상기 회동아암(371b)에서 수평으로 돌출하고, 핀치롤러(306)가 중롤러(304)의 바로 밑에 위치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된 양 회동아암(371a, 371b)의 선단부 중간에는 각각 코일스프링(372)를 가설하고, 그 코일스프링(372)의 장력에 의해 양 회동아암(371a, 371b)선단부끼리를 당기고, 이로 인하여 양 회동아암(371a, 371b)중간부에 축으로 지지된 양 핀치롤러(305, 306)를 중롤러(304)의 외주면에 대해서 상시 압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372)에 의해 가압된 양 핀치롤러(305, 306)는 커브벨트(301)의 왕로측외주부와, 복로측외주부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각각 중롤러(304)의 외주면에 대해서 누르게 된다.
따라서, 중롤러(304)를 정회전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면, 그 중롤러(304)의 외주가 접촉하는 커브벨트(301)의 왕로측이 컨베이어 시단측에서 종단측을 향해 회전 운동하고, 이것과 동시에 동 커브벨트(301)의 복로측이 컨베이어 종단측에서 시단측을 향해 회전 운동한다. 이것과 동시에 상기 커브벨트(301)의 왕로측 및 복로측과 접촉하는 양 핀치롤러(305, 306)가 상기 커브벨트(301)의 회전에 추종하는 형상으로 회전한다.
그렇지만, 상기 왕로측 및 복로측 양 핀치롤러(305, 306)는 회동아암(371a, 371b)의 축끼움부(373)에 대해서 기울어진 상태에서 사이에 두고 각각의 축중심(305', 306')을 평면에서 보아 기준선(L1)에 대해서 소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어 있고, 이로 인하여 양 핀치롤러(305, 306)의 접촉력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하는 커브벨트(301)의 외주부를 선회외측을 향해 힘을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23, 도 26b).
도 2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왕로측 회동어암(371a)에서 축으로 지지된 핀치롤러(305)는 축중심(305')을 기준선(L1)에 대해서 α˚만큼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 또한, 핀치롤러(305)의 축중심(305')의 경사방향은 선회내측을 향해 지지축(305a)의 선단이 컨베이어 종단측을 향해 전진하는 방향이고, 본실시예의 경우, 그 경사각(α˚)을 7.5˚에 설정하고 있다.
또한, 도 2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로측의 회동아암(371b)에서 축으로 지지한 핀치롤러(306)는 축중심(306')을 기준선(L1)에 대해서 α˚만큼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핀치롤러(306)의 축중심(306')의 경사방향은, 선회 내측을 향해 지지축(306a)의 선단이 컨베이어 시단측을 향해 전진하는 방향에서, 그 경사각(α˚)을 왕로측 핀치롤러(305)와 같게 7.5˚로 설정한다. 즉, 핀치롤러(305, 306)은 기준선(L1)을 경계로 하여 상반하는 방향으로 경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양 회동아암(371a, 371b)는 완전히 같은 형상으로 성형하고, 복로측의 회동아암(371b)은 왕로측의 회동아암(371a)의 장착 상태와는 반대로, 배면측을 정면측으로 향한 상태(반전된 상태)에서 사용하여 핀치롤러(306)의 축중심(306')을 역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양 회동아암(371a, 371b)의 부품을 공통화하여 부품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고, 제조비용의 저감에 기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브벨트(301) 외주의 중앙에 설치한 벨트끼움유닛(b1)의 양측에는 구동원을 구비하지 않은 벨트끼움유닛(b2, b3)를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극을 두고 설치한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양 벨트끼움유닛(b2, b3)는 상기 중앙부벨트끼움유닛(b1)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유닛기판(b2', b3')의 외측면에 구동기구(c)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점이 다르다. 따라서, 상기 양 벨트끼움유닛(b2, b3)는 유닛기판(b2', b3')에 끼워 고정한 축지부(374)에 중롤러(304)의 지지축(304a)을 사이에 두고 회전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벨트끼움유닛(b2, b3)과는 완전히 같은 구조이다.
상기 벨트끼움유닛(b2, b3)의 중롤러(304)는 중앙부 벨트끼움유닛(b1)의 그것과 같고, 평면에서 보아서 선회중심과 커브벨트(301) 외주와 연결하는(L2, L3)에 축중심(304')이 일치하도록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롤러(304)는 중앙부 벨트끼움유닛(b1)의 중롤러(304)와 비교하여 직경이 약간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양 벨트유닛(b2, b3)의 중롤러(304)에 대해서, 중앙부 벨트끼움유닛(b1)의 중롤러 직경을 크게하는 것은 커브벨트(301)를 회전 구동시키서 필요한 발생토크와 구동회전속도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각 벨트끼움유닛(b1)∼(b3)의 중롤러(304) 및 핀치롤러(305, 306)의 직경은 임의로 변경해도 좋다. 또한, 각 벨트끼움유닛(b1 , b2, b3)의 설치간극은 평면에서 보아서 선회중심(O)과 중앙벨트끼움유닛(b1)를 연결하는 기준선(L1)과, 선회중심(O)과 양 측벨트끼움유닛(b2)를 연결한 기준선(L2) 사이의 각도 (α2) 및 상기 벨트끼움유닛(b3)와 선회중심(O)과 연결된 기준선(L3) 사이의 각도
(α3)를 각각 15˚∼22.5˚정도의 범위로 설정하면 바람직한 작동상태를 얻을 수 있다.
덧붙여서, 본실시예의 커브벨트 컨베이어(A3)의 경우, 상기 각도(α2),(α3)가 각각 15˚가 되도록 설정한다(도 21). 그러나 상기 각도는 15˚∼22.5˚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범위에서 벗어나는 각도로 설정하는 것도 임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양 벨트끼움유닛(b2, b3)는 중앙부 벨트끼움유닛(b1) 같은 구동기구(c)를 구비하고 있지 않지만, 동 벨트끼움유닛(b1)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커브벨트(301)를 중롤러(304)와 양 핀치롤러(305, 306)에 의해 끼워져, 이들(305, 306)은 상기 커브벨트(301)에 추종하는 형상으로 회전한다.
상기 양 벨트끼움유닛(b2, b3)의 각 핀치롤러(305, 306)도 중앙부벨트끼움유닛(b1)의 핀치롤러(305, 306)와 같고 기준선(L2, L3)에 대해서 소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도 24). 따라서 상기 커브벨트(301)의 회전구동에 따라서 동 커브벨트(301)의 왕로측 및 복로측과 접촉하는 양 핀치롤러(305, 306)가 상기 커브벨트(301)의 회전에 추종하는 형상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양 핀치롤러(305, 306)의 접촉력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하는 커브벨트(301)의 외주부와 선회외측을 향해 힘을 가압한다.
이어서, 도 26a, 도 26b, 도 27a, 도 27b에 기초하여 커브벨트 컨베이어(301)를 회전구동시키는 상태에 있어서, 중앙부벨트끼움유닛(b1)의 각 부에 작용하는 역학적 밸런스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커브벨트 컨베이어(A3)는 중앙부벨트끼움유닛(b1)의 중롤러(304)를 회전구동시키면, 그 중롤러(304)의 상부외주와 접촉하는 커브벨트(301)의 왕로측이 컨베이어 시단측에서 컨베이어종단측을 향해 이동하는 동시에 중롤러(304)의 하부외주와 접촉하는 커브벨트(301)의 복로측이 컨베이어종단에서 컨베이어 시단을 향해 이동하고 그 결과, 롤러(302a, 302b)사이에 가설된 커브벨트(301)가 정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도 26a, 도 26b).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커브벨트 컨베이어(A3)를 정회전구동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중롤러(304)와 양 핀치롤러(305, 306)와 사이에 발생하는 역학적 밸런스는,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1)를 정회전구동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그 구동롤러(4)와 양 핀치롤러(5, 6)와 사이에 발생하는 역학적 밸런스, 즉, 도 8 및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 역학적 밸런스와 완전히 같은 밸런스에서 구동한다(도 27a, 도27b).
즉, 회전구동하는 커브벨트(301)의 왕로측에 대한 핀치롤러(305)의 접촉력(F4) 및 상기 중롤러(304)의 구동력(F1)이 구동력(F1)과 상기 접촉력(F4)과의 합력(F5), 이 합력(F5)에 있어서 선회외측으로 가압하는 성분(F6)은 도 8에서 나타내는 경우와 완전히 같게 작용하고, 커브벨트(301)의 왕로측이 선회내측을 향해 이동하려고하는 힘(F2)을 상기 가압하는 성분(F6)에 의해 막아내어 커브벨트(301)가 선회내측을 향해 편향되는 것을 방지한다(도 27a).
한편, 상기 커브벨트(301)의 복로측에 대한 핀치롤러(306)의 접촉력(F4') 및 상기 중롤러(304)의 구동력(F1'), 이 구동력(F1')과 상기 접촉력(F4')과의 합력인(F5'), 이 합력(F5')에 있어서 선회외측으로의 가압하는 성분(F6')은 도 9에서 나타내는 경우와 완전히 같게 작용하고, 커브벨트(301)의 왕로측이 선회내측을 향해 이동하려고 하는 힘(F2')을 상기 가압하는 성분(F6')에 의해 막아 내어 커브벨트(301)가 선회내측을 향해 편향되는 것을 방지한다(도 27b).
또한, 좌우 양측의 벨트끼움유닛(b2, b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커브벨트(301)의 회전구동에 추종하는 형상으로 중롤러(304) 및 핀치롤러(305, 306)가 회전한다. 이때, 양 벨트끼움유닛(b2, b3)의 각 핀치롤러(305, 306)의 접촉력은 상기 중앙부 벨트끼움유닛(b2, b3)의 핀치롤러(305, 306)와 완전히 같은 역학적 밸런스가 성립한다.
따라서, 상기 커브벨트(301)는 중앙부 1부분의 벨트끼움유닛(b1)에 의해서 회전구동하는 동시에 각 벨트끼움유닛(b1)∼(b3)를 설치한 커브벨트(301) 외주부의 3부분에 있어서 선회외측을 향해 가압하는 작용이 된다.
따라서,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3)에 있어서 커브벨트(301)의 외주부를 3부분의 각 끼움유닛(b1)∼(b3)에 각각 발생하는 가압력(F6, F6')에 의해 선회외측을 향해 가압한다. 이 가압력의 합계는 강력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커브벨트(301)가 선회내측을 향한 편향력(F2, F2')을 상쇄하려는 것을 제거하기 때문에,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1, A2)같은 커브벨트(1, 201)를 내주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가이드롤러(3a, 3b, 203a, 203b)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3)는 3개의 벨트끼움 유닛(b1)∼(b3)를 구비하는 것도, 구동기구(c)는 중앙부 벨트끼움유닛(b1)에 1개 설치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구조의 간소화와 부품수의 절감에 의해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벨트끼움유닛(b1)∼(b3)가 구비된 핀치롤러(305, 306)의 경사각(α˚)은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1, A2)와 동일하게 5˚∼10˚의 범위가 매우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핀치롤러의 경사각(α˚)은, 상기 값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면 다른 각도로 설정해도 좋다.
이어서, 도 30에 나타내는 커브벨트 컨베이어(A4)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커브벨트 컨베이어(A4)는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3)와 같은 구성이지만 각각 구동원(c)을 구비한 2개의 벨트끼움유닛(b4, b5)을 커브벨트(301)의 그 외주부에 간극을 두고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양 벨트끼움유닛(b4, b5)는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3)의 중앙부 벨트끼움유닛(b1)와 완전히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그 구조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양 벨트끼움유닛(b4, b5)는 동 유닛(b4, b5)와 커브벨트(301)의 선회중심(O)을 연결하는 기준선(L4, L5)과 중앙의 기준선(L1)사이의 각도(α4, α5)가 각각 15˚로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양 벨트끼움유닛(b4, b5)는 각각 구동기구(c)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유닛(b4, b5)가 구비된 양 중롤러(304)가 동시에 구동회전하고 이들 양 중롤러(304)의 접촉에 의해 커브벨트(301)가 회전구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기커브벨트 컨베이어(A4)는 커브벨트(301) 외주의 두 부분에서 구동회전력을 가하기 때문에 ,커브벨트(301)의 회전구동이 보다 확실하게 실시된다.
이와 동시에 커브벨트(301)를 선회외측을 향해 끌어 들이는 가압력도 상기 벨트끼움유닛(b4, b5)가 설치된 2부분에 작용하고, 동 커브벨트(301)가 선회내측을 향해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는 충분한 장력을 얻는다.
또한, 상기 양 벨트끼움유닛(b4, b5)의 각 부에 작용하는 역학적 밸런스는 상기 커브벨트(A3)의 벨트끼움유닛(b1)의 경우(도 27a, 도 27b)와 완전히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양 벨트끼움유닛(b4, b5)의 설치위치는 동 유닛(b4, b5)와 커브벨트(301)의 선회중심(O)을 연결하는 기준선(L4, L5)과 중앙의 기준선(L1) 사이의 각도(α4, α5)를 각각 15˚∼30˚정도의 범위내에 설치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는 15˚∼30˚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범위에서 벗어나는 각도로 설정하는 것은 임의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커브벨트 컨베이어(A4)에 있어서, 각각에 구동기구(c)를 접속한 2개의 벨트끼움유닛(b4, b5)에 의해 커브벨트(301)외주부를 넓은 범위에서 끼우고, 구동회전하는 양 중롤러(304)에 의해 커브벨트(301)를 보다 확실하게 회전 구동시키는 동시에 선회외측을 향해 가압력을 폭넓은 범위에서 균등하게 할 수 있고, 이 폭넓고 균등하게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선회내측으로 벗어나려는 커브벨트의 편향력에 대향하고, 커브벨트(301)의 폭방향에 충분한 장력을 줄 수 있다.
이어서, 도 31에 나타내는 커브벨트 컨베이어(A5)에 대해서 설명한다.
커브벨트 컨베이어(A5)는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4)와 같게 구성되어 있지만, 2개의 벨트끼움유닛(b6, b7)내, 컨베이어 시단측의 유닛(b6)에만 구동기구(c)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벨트끼움유닛(b6)는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3)의 중앙부 벨트끼움유닛(b1)과 완전히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컨베이어 종단측의 벨트끼움유닛(b7)는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3)의 양측 벨트끼움유닛(b2, b3)과 완전히 같은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양 유닛(b6, b7)의 구조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양 벨트끼움유닛(b6, b7)는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4)의 벨트끼움유닛(b4, b5)와 같고, 커브벨트(301)의 선회중심(O)과 각 벨트끼움유닛(b6, b7)을 연결하는 기준선(L6, L7)과 중앙의 기준선(L1) 사이의 각도(α6, α7)이 각각 15˚가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5)는 컨베이어 시단측 벨트끼움유닛(b6)에만 구동기구(c)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그 벨트끼움유닛(b6)의 중롤러(304)가 구동회전하고, 그 중롤러(304)의 회전접촉에 의해 커브벨트(301)가 회전구동하게 된다. 또한, 종단측의 벨트끼움유닛(b7)의 중롤러(304) 및 양 핀치롤러(305, 306)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구동하는 커브벨트(301)에 추종하는 형상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기구(c)를 벨트끼움유닛의 한쪽에만 구비시킨 경우에는 커브벨트(301)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기구(c)는 반드시 커브벨트(301)의 시단측에 구비시키는 것이 좋다.
한편 커브벨트(301)를 선회외측을 향해 끌어들어는 가압력은, 상기 벨트끼움유닛(b6, b7)이 설치된 두 부분에 동일하게 작용하고, 각 핀치롤러(305, 306)의 접촉력에 의해 동 커브벨트(301)가 선회내측을 향해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는 충분한 장력을 얻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벨트끼움유닛(b6, b7)의 한쪽에만 구동기구(c)를 구비시킨 것에 있어서 2개의 벨트끼움 유닛(b6, b7)에 의해 커브벨트(301)에 충분한 구동회전력과 장력을 가할 수 있는 동시에, 구동기구(c)가 1개이기 때문에 부품수의 절감을 실현하고, 제조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5)도,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A4)와 같고, 양 벨트끼움유닛(b6, b7)의 설치위치를 기준선(L6, L67)의 중앙기준선(L1) 사이에 각도가 각각 15˚∼30˚정도의 범위내로 설치한 위치가 적합하다. 그러나 벨트끼움유닛(b6, b7)의 설치위치를 결정하는 상기 각도는 15˚∼30˚의 범위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이 범위에서 벗어나는 각도에 설정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커브벨트 컨베이어(A3)∼(A5)는 컨베이어 양단부의 롤러(302a, 302b) 사이의 각도를 90˚로하여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의 커브벨트 컨베이어는 상기 각도를 90˚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90˚이하로 설정해도 90˚이상으로 설정해도 좋다(도시하지 않음).
또한, 상술한 각 커브벨트 컨베이어(A3)∼(A5)는 커브벨트(301)를 컨베이어롤러(302a) 측단부에서 롤러(302b) 측단부로 향해 정회전 구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각 컨베이어(A3)∼(A5)는 도 23 중의 2점쇄선 및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핀치롤러(305, 306)을 축으로 지지한 회동아암(371a) 및 (371b)의 추축을 중롤러(304)의 축중심(304')을 사이에 두고서 반대측으로 추지지하고, 평면에서 보아서 양 핀치롤러(305, 306)의 경사를 반대로 향해 설정하는 동시에, 구동용롤러가 되는 중롤러(304)를 역구동 회전시킴으로써 커브벨트(301)를 역회전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명의 취지에 의하면, 벨트끼움유닛의 설치수는 복수이면 몇 개 설치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의 커브벨트 컨베이어(A3)∼(A5)는 2개 또는 3개의 벨트끼움유닛(b1)∼(b7)를 설치하였지만, 벨트끼움유닛의 설치수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2개 또는 3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4개 이상의 벨트끼움유닛를 설치해도 좋다. 그 경우에도 구동기구의 설치는 상기 벨트끼움유닛 내에 적어도 1대 설치하면 좋고, 2대 이상 또는 전부의 유닛에 구동기구를 설치하는 것은 임의이다.
1.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커브벨트와 이 커브벨트 내주 에지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가이드롤러와 동 커브벨트의 외주부에 설치한 구동롤러와 상기 커브벨트를 사이에 두고 구동롤러를 누르는 왕로 및 복로의 양 핀치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왕로측 복로측 양 핀치롤러의 축중심을, 기준선에 대해서 소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축으로 지지시킨 구성이기 때문에 종래의 커브벨트 컨베이어와 같이 커브벨트의 외주 에지부를 안내 가교나 체인등의 유지기구에 의해 유지한 것과 비교하면, 커브벨트의 구동기구를 상당히 간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유지기구에 의한 소음을 발생하는 일 없이 커브벨트를 확실하게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1.2 또한, 핀치롤러의 축중심을 기준선에 대해서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축으로 지지하고, 커브벨트의 왕로 및 복로의 외주부를 각각 선회외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간소한 구성을 가지고, 선회내주측으로 벗어나려고 작용하는 커브벨트의 편향력에 대향하고, 커브벨트의 폭방향으로 충분한 장력을 줄 수 있다.
그 결과, 커브벨트의 폭을 넓힌 경우에 커브벨트의 운반면에 발생하는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종래, 운전에 지장을 초래하던 폭넓은 커브벨트를 원할하게 운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의 유지에 의해 커브벨트가 벗어나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벨트 양단부 롤러의 직경을 억제하는 컨베이어접속부의 단차를 충분히 작게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고, 경량단소한 운반물을 원할하게 운반할 수 있다.
청구항 2기재의 커브벨트 컨베이어는 전환레버를 전환조작하고, 구동롤러의 구동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왕로측 및 복로측 양 핀치롤러가 각각 기준선에 대해서 정회전방향 및 역회전방향으로 요동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구동롤러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과 동시에 상기 양 핀치롤러가 커브벨트에 회전접촉하여, 동 커브벨트의 외주부를 항상 선회외측을 향해 가압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2.1 따라서 상기 1.1 및 1.2와 같은 효과를 얻는 동시에, 상기 전환레버를 전환하는 것만으로 커브벨트의 회전방향을 상당히 간소하고 확실하게 변경할 수 있는 동시에 종래의 커브벨트 컨베이어같은 커브벨트의 외주 에지부를 비드나 안내 가교, 체인, 롤러등의 유지기구에 의해 유지한 것과 비교하면, 커브벨트 외주를 따라서 다수의 부속품을 정리하고, 구동기구를 상당히 간소화할 수 있고, 유지기구에 의한 소음을 발생하는 일없이 커브벨트를 확실하게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2.2 또한, 구동롤러의 구동회전방향의 전환과 동시에 전환레버를 전환조작에 의해 왕로측 및 복로측 양 핀치롤러의 축중심을 기준선에 대해서 정 및 역의 소정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한 상태로 지지하고, 커브벨트의 왕로 및 복로의 외주부를 각각 선회외측으로 항상 가압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간소한 구성을 갖고, 선회내주측으로 벗어나려고 작용하는 커브벨트의 편향력에 대해서 효율적으로 대향하고, 정회전시에 있어서도, 역회전시에 있어서도, 커브벨트의 폭방향에 충분이 강한 장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커브벨트의 폭을 넓힌 경우에, 커브벨트의 운반면에 발생하는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종래 구조의 커브벨트는 운전에 지장이 발생한 폭넓은 커브벨트를 지지연결하지 않는 원할하게 운전할 수 있다.
2.3 커브벨트를 가설한 양 롤러를 짧은 원통 모양으로 형성한 다수의 소롤러를 같은 중심 상에 병렬하여 구성하고, 이들 소롤러가 각각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브벨트의 회전구동 중에 있어서, 같은 축상에 병렬시킨 각 소롤러가 각각에 독립하여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에 의해 양 롤러 사이에 가설된 커브벨트의 내주측과 외주측 사이에 발생한 원주속도의 차를 상기 각각의 소롤러가 각각의 위치의 원주속도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흡수하고, 커브벨트의 원할한 회전구동에 기여한다.
또한, 상기 소롤러는 그 외형을 충분히 작게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본원의 커브벨트 컨베이어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접속되는 다른 컨베이어와의 접속부에 발생하는 단차도 상당히 작게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운반물이 컨베이어 단부 접속부를 원할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2.5 또한,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는 상기 커브벨트를 평탄한 모양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커브벨트같이 커브벨트의 외주부에 비드나 가교등의 돌출부의 필요를 없앨 수 있고, 그 결과, 커브벨트 외주부의 굴곡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커브벨트 자체의 형태를 간소화하고, 제조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3.1/4.1 청구항 3, 청구항 4 기재의 커브벨트 컨베이어는 청구항 1 또는 2기재의 커브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가이드롤러를 축으로 고정한 기재를 커브벨트 내주측의 컨베이어 본체측 부재에 정치하고, 착탈가능하게 부착고정하여, 상기 가이드롤러를 커브벨트 내주 에지의 지지연결하는 위치에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기재를 고정부재에서 제거하는 것으로 인하여 커브벨트의 내주 에지를 지지연결하는 가이드롤러를 제거하고, 양 롤러나 나이프에지사이에 가설한 무단상 커브벨트를 선회내주측으로 뽑아내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하고, 또한, 그 반대의 수순에 의해 커브벨트를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기재의 착탈작업만으로 커브벨트의 제거작업, 및 부착작업을 상당히 간소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보수점검이나 위생관리를 위한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벨트나 기체의 세정작업의 번거로움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5기재의 커브벨트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본체에 있어서 상기 커브벨트의 외주부를 따라서 복수개의 벨트끼움유닛를 설치하게 되고, 상기 각 벨트끼움유닛는 상기 커브벨트의 외주부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중롤러와 상기 커브벨트의 외주부의 왕로측과 복로측을 사이에 두고 상기 중롤러의 외주면을 각각 누르는 왕로측및 복로측 양 핀치롤러로 구성하고, 상기 각 벨트끼움유닛내의 적어도 1개의 중롤러에 구동기구를 접속하고, 그 중롤러의 구동회전에 의해 커브벨트를 회전 구동하는 동시에 상기 각 벨트끼움유닛의 왕로측 및 복로측 양 핀치롤러의 축중심을 소정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축으로 지지시키고, 양 핀치롤러의 회전시 접촉에 의해 상기 커브벨트의 외주부를 선회외측을 향해 가압하는 것이다.
5.1 따라서, 본원의 커브벨트 컨베이어는 복수의 벨트끼움유닛만으로 커브벨트의 회전구동과 유지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것과 동시에 상기 2.1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5.2 또한, 본원 커브벨트 컨베이어는 복수의 벨트끼움유닛를 구비하고, 커브벨트의 외주부를 이들 각 벨트끼움유닛의 설치위치에 있어서, 각각 선회외측을 향해 가압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커브벨트의 외주부를 넓은 범위에서 선회외측을 향해 균등하게 가압할 수 있고 이 폭넓고 균등하게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선회내주측으로 벗어나려고 작용하는 커브벨트의 편향력에 대향하고, 커브벨트의 폭방향에 균등하고 충분한 장력을 줄 수 있다.
그 결과, 커브벨트의 폭을 큰 폭으로 넓혀서 커브벨트 컨베이어를 대형화할 수 있고, 실제로 1m 이상의 폭넓은 커브벨트를 구비한 경우에라도 운반면이 팽창되거나 선회중심으로의 편향 등의 지장을 발생하지 않는 원할하게 운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5.3 복수의 벨트끼움유닛에 의해 커브벨트의 장력을 폭넓고 균등하게 유지하여 커브벨트의 벗어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나이프에지나 벨트 양단부의 롤러 직경을 늘러서 컨베이어접속부의 단차를 충분히 작게할 수도 있고 경량이고 간소한 운반물을 원할하게 운반할 수 있다.
5.4 상기 커브벨트를 가설한 양 롤러는 짧은 원통형상으로 형성한 다수의 소롤러를 같은 중심상에 병렬하여 구성하고, 이들 소롤러가 각각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2.4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5.5 또한, 상기 커브벨트 컨베이어는 상기 커브벨트의 외주부를 평탄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2.5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6.1 청구항 6 기재의 커브벨트 컨베이어는 기반의 선회중심측의 부위를 유지하는 유지재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동 기반의 선회중심측의 아래 면에 상부 지지연결롤러를 설치하고, 그 상부 지지연결롤러의 바로 아래에 컨베이어 본체부재에 하부 지지연결롤러를 설치하고, 또한, 상하 양측 지지연결롤러와 외주면끼리를 맞대로록 구성한 것이다.
6.2 따라서, 커브벨트 컨베이어를 제거할 때에, 상기 유지부재를 기반에서 제거해도, 동 기반의 선회중심부 부근을 유지부재에 대신해서 상하 양측 지지연결롤러에 의해 지지연결하고, 원래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유지부재를 제거하고, 커브벨트를 제거하고, 부착작업을 행할 때에, 상기 기반의 선회중심부측이 자중에 의해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3 또한, 상기 유지부재를 제거한 후, 컨베이어 본체 양단부의 롤러사이에 가설된 무단상의 커브벨트를 선회내측을 향해 빼낼 때에, 동 커브벨트의 복로측을 상기 상하 양측 지지연결롤러의 사이로 빼내서, 커브벨트의 제거작업을 상당히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커브벨트는 반대의 순서로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6.4 유지부재의 착탈작업만으로 커브벨트의 제거작업, 부착작업을 상당히 간소하고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보수점검이나 위생관리를 위해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벨트나 기체의 세정작업의 번거로움을 대폭으로 저감하고 기기의 위생화에 기여할 수 있다.
11.4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커브벨트를 제거할 때, 외주면끼리를 맞대는 상하 양측 지지연결롤러가 커브벨트의 통과에 따라서 회전하기 때문에 동 커브벨트의 제거를 원할하게 실시할 수 있고, 또한, 마찰이나 걸림이 없어서 커브벨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청구항1에 대응하는 커브벨트 컨베이어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대한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가이드롤러 부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1에 대한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구동롤러와 핀치롤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왕로측(往路側) 핀치롤러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복로측(復路側) 핀치롤러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왕로측의 각 부분의 역학적 밸런스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복로측의 각 부분의 역학적 밸런스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체인을 사용하여 구동롤러와 구동모터를 연결한 커브벨트 컨베이어의 종단면도;
도 11은 180˚선회형 커브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청구항 2에 대응하는 커브벨트 컨베이어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a는 도 12에 대한 ⅩⅢA-ⅩⅢA선 종단면도;
도 13b는 13a에 대한 원으로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
도 14는 가이드롤러부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5는 구동롤러와 핀치롤러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핀치롤러와 회동 아암(arm)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7은 구동롤러와 핀치롤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8a는 정회전 구동시에 대한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구동롤러와 핀치롤러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8b는 정회전 구동시에 대한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구동롤러와 핀치롤러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9a는 역회전 구동시에 있어서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구동롤러와 핀치롤러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9b는 역회전 구동시에 대한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구동롤러와 핀치롤러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0a는 역회전 구동시에 대한 각 부의 역학적 밸런스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왕로측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b는 역회전 구동시에 대한 각 부의 역학적 밸런스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복로측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청구항 5에 대응하는 커브벨트 컨베이어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2는 도 21에 대한 ⅩⅩⅡ-ⅩⅩⅡ선 단면도;
도 23은 중앙부의 벨트끼움유닛트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4는 도 21에 대한 ⅩⅩⅣ-ⅩⅩⅣ선 단면도;
도 25는 커브벨트의 내측둘레부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6a는 정회전구동시에 대한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구동롤러와 핀치롤러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6b는 정회전구동시에 대한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구동롤러와 핀치롤러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7a는 정회전구동시에 대한 각부의 역학적 밸런스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왕로측을 나타내는 도면;
도 27b는 정회전구동시에 대한 각부의 역학적 밸런스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복로측을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커브벨트를 제거한 상태의 기반내주부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9는 커브벨트를 제거한 상태의 기반내주부위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0은 2개의 벨트끼움유닛를 구비하고, 그 양쪽에 구동기구를 설치한 커브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1은 2개의 벨트끼움유닛을 구비하고, 그 한쪽에 구동기구를 설치한 커브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2는 역회전사용상태의 중앙부의 벨트끼움유닛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33은 종래의 커브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1∼A5: 커브벨트 컨베이어
a, 200a, 300a : 컨베이어 본체
b1∼b7 :벨트끼움유닛
c : 구동기구
L, L1∼L7 : 기준선
O : 선회중심
1, 201, 301 : 커브벨트
4, 204 : 구동롤러
304 : 중롤러
2a, 202a, 302a :컨베이어 시단측롤러
2b,202b,302b : 컨베이어종단측롤러
3a, 3b, 203a, 203b : 가이드롤러
4', 204', 304' : 축중심
5, 205, 305 ~핀치롤러(왕로측)
5', 205', 305' : 축중심
6, 206, 306 : 핀치롤러(복로측)
6', 206', 306' : 축중심
20, 220, 320 ; 소롤러
30 :기재
6a, 206a, 306a : 지지축
210 :전환레버
211a : 상부걸어맞춤홈
211b : 하부걸어맞춤홈
230a, 230b : 기판(기재)
276 : 볼트(추축(樞軸))
308 : 기반
391 : 상부지지연결롤러
392 : 하부지지연결롤러
393 : 유지재

Claims (6)

  1. 컨베이어의 양단부에 설치한 롤러 또는 나이프에지 사이에 가설하여 평면에서 보아 원호형상의 운반궤도를 구성하는 무단상의 커브벨트;
    상기 커브벨트의 내주 에지부를 선회 내측으로부터 지지연결하는 가이드롤러;
    상기 커브벨트의 외주부에 있어서 왕로측과 복로측의 사이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동시에, 평면에서 보아 상기 커브벨트의 선회중심으로부터 벨트 외주를 향해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축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회전구동 가능하게 축지지시킨 구동롤러;
    상기 커브벨트 외주부의 왕로면 상에 설치하고, 상기 커브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롤러의 외주면을 누르는 핀치롤러; 및
    상기 커브벨트 외주부의 복로면 아래에 설치하고, 상기 커브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롤러의 외주면을 누르는 핀치롤러(6)를 구비하고,
    상기 왕로측 및 복로측 양 핀치롤러는 각각의 축중심을 평면에서 보아 기준선에 대해서 소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이들 핀치롤러의 회전시의 접촉에 의해, 상기 커브벨트의 외주부를 선회외측을 향해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벨트 컨베이어.
  2. 짧은 원통형으로 형성한 다수의 소롤러를 같은 중심상에 병렬시켜 외형을 장축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각 소롤러가 각각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구성한 한 쌍의 롤러;
    컨베이어 양단부에 설치한 상기 롤러 또는 나이프에지 사이에 가설하여 평면에서 보아 원호 형상의 운반궤도를 구성하는 무단상이고 평탄한 커브벨트;
    상기 커브벨트의 내주측 에지부를 선회내측으로부터 지지연결하는 가이드롤러;
    상기 커브벨트의 외주부에 있어서 왕로측과 복로측의 사이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동시에, 평면에서 보아 상기 커브벨트의 선회중심으로부터 벨트 외주를 향해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축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정역회전구동 가능하게 축지지 시킨 구동롤러;
    상기 커브벨트 외주부의 왕로면 상에 설치하고, 상기 커브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롤러의 외주면을 누르는 핀치롤러; 및
    상기 커브벨트 외주부의 복로면 아래에 설치하고, 상기 커브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롤러의 외주면을 누르는 핀치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왕로측 및 복로측의 양 핀치롤러의 지지축을 상기 커브벨트의 선회외측을 향해 돌출시키고, 이들 지지축 돌출부의 중간부에 추축을 거의 수직으로 관통시켜 상기 양 핀치롤러를 상기 평면에서 보아 기준선을 중립으로 하여 커브벨트의 왕로면 및 복로면을 따라 요동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상기 구동롤러의 축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는 전환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전환레버의 일단부를 상기 왕로측 핀치롤러의 지지축 돌출단부에 걸어 맞추는 동시에, 상기 전환레버의 타단부를 상기 복로측 핀치롤러의 지지축의 돌출단부에 걸어 맞추고,
    상기 구동롤러의 구동회전방향의 전환과 연계하여, 상기 전환레버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왕로측 핀치롤러와 복로측 핀치롤러가 동시에 요동하고, 이들 양 핀치롤러의 축중심이 상기 기준선을 넘어 각각 상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각각의 핀치롤러가 상기 기준선에 대해서 소정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구동롤러의 정회전시 및 역회전시에 있어서, 이들 양 핀치롤러의 회전접촉에 의해, 상기 커브벨트의 외주부를 항상 선회외측을 향해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벨트 컨베이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를 기재 상에 축 장착하고, 상기 기재를 커브벨트 내주측의 컨베이어 본체측 부재에 정위치시키고, 착탈가능하게 부착 고정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롤러를 커브벨트 내주 에지의 지지연결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벨트 컨베이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를 기재 상에 축 장착하고, 상기 기재를 커브벨트 내주측의 컨베이어 본체측 부재에 정위치시키고, 착탈가능하게 부착고정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롤러를 커브벨트 내주 에지의 지지연결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벨트 컨베이어.
  5. 짧은 원통형상으로 형성한 다수의 소롤러를 같은 중심상에 병렬시켜 외형을 장축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각 소롤러가 각각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구성한 한 쌍의 롤러를 컨베이어 본체 상의 양단부에 설치하고,
    이들 양 롤러 또는 나이프에지 사이에 평면에서 보아 원호 형상의 운반궤도를 구성하는 무단상이고 평탄한 커브벨트를 가설하고,
    상기 컨베이어 본체에 있어서 상기 커브벨트의 외주부를 따라 복수개의 벨트끼움유닛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 벨트끼움유닛은, 상기 커브벨트의 외주부에 있어서 왕로측과 복로측 의 사이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동시에 평면에서 보아 상기 커브벨트의 선회중심으로 부터 벨트외주를 향해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축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시킨 중롤러, 상기 커브벨트 외주부의 왕로면 상에 설치하고, 상기 커브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중롤러의 외주면을 누르는 핀치롤러, 및 상기 커브벨트외주부의 복로면 아래에 설치하고, 상기 커브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중롤러의 외주면을 누르는 핀치롤러로 구성하고,
    또한, 상기 각 벨트끼움유닛 내의 1개 이상의 중롤러에 구동기구를 접속하여 상기 중롤러를 구동회전 가능하게 만들고, 상기 중롤러의 외주면과 왕로측 및 복로측 양 핀치롤러 사이에 둔 커브벨트를 회전구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각 벨트끼움유닛의 왕로측 및 복로측 양 핀치롤러의 축중심을 평면에서 보아 기준선에 대해 소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양 핀치롤러의 회전시 접촉에 의해 상기 커브벨트의 외주부를 선회외측을 향해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벨트 컨베이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브벨트의 왕로측을 하면측으로부터 평면형상으로 지지연결하는 기반을 구비하고, 상기 기반의 선회중심측의 부위를 컨베이어 본체 부재 상에 있어서 소정의 높이로 유지하는 유지재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기반의 선회중심측의 부위 하면에 상부 지지연결롤러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 지지연결롤러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본체 부재에 하부 지지연결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 지지연결롤러와 상기 상부 지지연결롤러의 외주면끼리 맞붙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벨트 컨베이어.
KR1019980014001A 1998-04-20 1998-04-20 커브벨트컨베어 KR100572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001A KR100572221B1 (ko) 1998-04-20 1998-04-20 커브벨트컨베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001A KR100572221B1 (ko) 1998-04-20 1998-04-20 커브벨트컨베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615A KR19990080615A (ko) 1999-11-15
KR100572221B1 true KR100572221B1 (ko) 2006-10-24

Family

ID=4174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001A KR100572221B1 (ko) 1998-04-20 1998-04-20 커브벨트컨베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222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11962A1 (en) * 1978-11-28 1980-06-11 Portec (U.K.) Limited A belt conveyor with a curved travel path
JPS57509U (ko) * 1980-05-28 1982-01-05
JPH03264415A (ja) * 1990-03-13 1991-11-25 Daifuku Co Ltd 回転体駆動装置
JPH07323908A (ja) * 1994-06-02 1995-12-12 Nitta Ind Corp ベルト保持装置
US5984084A (en) * 1997-08-08 1999-11-16 Maruyasu Kikai Co., Ltd. Curved belt convey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11962A1 (en) * 1978-11-28 1980-06-11 Portec (U.K.) Limited A belt conveyor with a curved travel path
JPS57509U (ko) * 1980-05-28 1982-01-05
JPH03264415A (ja) * 1990-03-13 1991-11-25 Daifuku Co Ltd 回転体駆動装置
JPH07323908A (ja) * 1994-06-02 1995-12-12 Nitta Ind Corp ベルト保持装置
US5984084A (en) * 1997-08-08 1999-11-16 Maruyasu Kikai Co., Ltd. Curved belt convey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615A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9803B1 (en) Self-tensioning conveyor
US5984084A (en) Curved belt conveyor
JP6315554B2 (ja) ベルトコンベヤ装置用の駆動装置
KR100572221B1 (ko) 커브벨트컨베어
JP3227114B2 (ja) カーブベルトコンベア
TWI764722B (zh) 用於切割織造薄片材料之網狀物之設備及方法
KR20030010792A (ko) 가역벨트콘베어의 사행조정장치
JP3227121B2 (ja) カーブベルトコンベア
JP2003054725A (ja) 物品の搬送装置
JP3899232B2 (ja) ベルトコンベア
EP0637556A1 (en) Tubular belt conveyor
JP3227122B2 (ja) カーブベルトコンベア
JP3227126B2 (ja) カーブベルトコンベア
EP1245517B1 (en) Paper roll driving apparatus
US5649617A (en) Torque transmitting drive for a live roller conveyor system
JP3058637B1 (ja) ベルトコンベヤ
JP3227125B2 (ja) カーブベルトコンベア
JP3388326B2 (ja) カーブコンベア
JP3045297B1 (ja) カーブベルトコンベヤ
KR100560545B1 (ko) 기판 정렬 장치
JP4472047B2 (ja) アキュムレーションローラコンベヤ
JPH04144814A (ja) ベルトコンベヤのベルト案内装置
JPH09208023A (ja) カーブドコンベヤ
JPH08143120A (ja) コンベヤ装置
JP3252134B2 (ja) カーブベルトコンベ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