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821B1 - 웨빙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웨빙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821B1
KR100569821B1 KR1019990016270A KR19990016270A KR100569821B1 KR 100569821 B1 KR100569821 B1 KR 100569821B1 KR 1019990016270 A KR1019990016270 A KR 1019990016270A KR 19990016270 A KR19990016270 A KR 19990016270A KR 100569821 B1 KR100569821 B1 KR 100569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webbing
take
winding shaft
pin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6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6949A (ko
Inventor
나가타도모노리
호리세이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00056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6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04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for producing gas under pressure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의 압력으로 웨빙 벨트를 효율적으로 감을 수 있는 웨빙 권취장치를 얻는 것을 과제로 한다.
권취축(20)의 대경축부(28)를 지지하는 베어링 본체(52)의 내주부에는 복수의 돌출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54)는 대경축부(28)의 외주부와 선접촉함으로써, 베어링 본체(52)가 돌출부(54)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대경축부(28)를 지지한다. 돌출부(54)는 대경축부(28)에 대하여 선접촉하고 있으므로, 접촉면적은 매우 작아지며 돌출부(54)와 대경축부(28) 사이의 마찰저항으로 돌출부(54)가 용이하게 소성변형한다. 이로 인하여 대경축부(28)의 회전을 방해하는 저항이 작아져 가스 압력으로 권취축(20)의 회전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웨빙 권취장치{WEBBING RETRACTOR}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웨빙 권취장치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웨빙 권취장치의 요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웨빙 권취장치 20 : 권취축(卷取軸)
24 : 웨빙 벨트(webbing belt) 32 : 베어링부(bearing部 ; 축받이 수단)
40 : 프리텐셔너 54 : 돌출부
62 : 래크바(rack bar) 68 : 피니언 기어(pinion gear)
본 발명은 웨빙 벨트(webbing belt)로 차량의 탑승자를 잡아매는 안전벨트장치에 있어서의 웨빙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급제동 상태에서 강제적으로 웨빙 벨트를 소정량 감는 소위 프리텐셔너를 구비한 웨빙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차량에는 차량의 탑승자를 장척(長尺) 모양의 웨빙 벨트로 잡아매는 소위 안전벨트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안전벨트장치는 차량이 급감속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웨빙 벨트를 감는 방향으로 권취축(卷取軸)을 강제적으로 소정량 회전시켜 웨빙 벨트를 강제적으로 일정량 감는 것으로서, 일시적으로 웨빙 벨트에 의한 구속력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탑승자가 차량 전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소위 프리텐셔너를 구비한 타입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프리텐셔너는 착화(着火)됨으로써 급속도로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제나 이 가스 발생제를 착화시키기 위한 착화제 등의 약제(藥劑)를 수용한 실린더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이 실린더의 내부에는 피스톤이 수용되어 있다. 이 피스톤의 일단에는 래크바(rack bar)의 길이방향 일단이 고착되어 있다. 래크바의 길이방향 타단측 측방에는 권취축의 일단과 동축(同軸)으로 형성된 피니언 기어(pinion gear)가 위치해 있다. 래크바는 통상 피니언 기어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피니언 기어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피니언 기어와 맞물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차량의 급감속 상태를 가속도 센서 등의 검지수단이 검지하여 착화제에 의하여 가스 발생제가 착화되면 급속도로 가스가 발생하고, 이 가스에 의하여 피스톤이 실린더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된다. 피스톤이 슬라이딩됨으로써 래크바가 일체로 피니언 기어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킨다. 이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권취축이 회전하여 이 회전량에 따른 길이만큼 웨빙 벨트가 감겨지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의 권취축은, 통상 금속판 등으로 구성된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베어링부(bearing部)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베어링부는 권취축의 외주방향을 따라 그 외주면에 접촉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예를 들어 피니언 기어와 래크바가 맞물렸을 때에 권취축이 편심(偏心)하고 이 상태에서 권취축이 회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권취축은 베어링부의 내주부에 압력이 가해져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기 때문에 마찰저항이 커져 이 마찰저항에 의하여 래크바 및 피니언 기어를 통하여 강제적으로 권취축을 회전시키는 프리텐셔너의 힘이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실제로 권취축을 회전시키는 힘이 감소된다. 특히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베어링부로 권취축을 구성하는 금속재료보다도 강성이 낮은 합성수지재 등을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의 마찰저항에 의하여 베어링부의 내 주부가 소성변형되어 베어링부의 내주면이 거칠어져 마찰저항을 더욱 증가시켜 버린다.
이와 같이 종래의 프리텐셔너를 구비한 웨빙 권취장치는, 마찰저항에 의하여 생기는 프리텐셔너의 권취축을 회전시키는 힘의 감소를 사전에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되며, 그 만큼 많은 양의 가스를 발생시켜야 한다. 이로 인하여 장치가 대형화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웨빙 벨트를 강제적이며 효율적으로 감을 수 있는 웨빙 권취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1의 웨빙 권취장치는 탑승자의 신체를 잡아매는 긴 띠 모양의 웨빙 벨트의 기단부가 고착됨과 아울러 상기 웨빙 벨트가 감겨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권취축과, 소정의 조건하에서 상기 웨빙 벨트가 감겨지는 방향을 향하여 상기 권취축을 회전시키는 프리텐셔너와, 상기 권취축의 외경치수보다도 내경치수가 크게 형성되어 동축적으로 내측에 상기 권취축이 삽입되는 내주부를 갖는 축받이 수단과, 상기 축받이 수단의 내주부 및 상기 권취축의 외주부 중 어느 한쪽에 다른쪽을 향하여 형성되며, 상기 어느 한쪽의 면적에 대하여 매우 작은 접촉면으로 상기 다른쪽과 접촉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의 웨빙 권취장치에 의하면 권취축이 축받이 수단의 내주부 에 들어가, 축받이 수단의 내주부 및 상기 권취축의 외주부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돌출부가 다른쪽을 향하여 매우 작은 접촉면으로 접촉됨으로써 권취축이 축받이 수단에 지지된다.
권취축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권취축의 반경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외력이 권취축에 가해지면 권취축이 편심함으로써 해당 변위방향측에서 축받이 수단의 내주부와 권취축의 외주부 사이의 간격이 좁혀진다. 이 때 상기 어느 한쪽에 대하여 상기 다른쪽은 상대회전하면서 돌출부에 압력을 가하며 변형시키려고 한다. 그러나 상기 어느 한쪽의 면적에 비하여 돌출부의 상기 다른쪽에 대한 접촉면은 매우 작으므로, 압력이 돌출부에 집중함으로써 돌출부는 용이하게 소성변형한다. 이와 같이 돌출부가 용이하게 소성변형함으로써, 돌출부의 상기 다른쪽의 회전에 대한 저항은 비교적 작아지고 권취축의 회전을 방해하는 장애가 적어져 권취축이 편심하여도 권취축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축받이 수단의 내주부는 권취축의 외주부보다도 내경치수가 크므로, 권취축의 회전방향을 따른 돌출부의 측방에는 축받이 수단의 내주부와 권취축의 외주부간의 틈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권취축이 편심한 상태에서 회전하면 돌출부가 소성변형하는데, 돌출부의 소성변형된 부분은 상기 어느 한쪽에 대한 상기 다른쪽의 상대회전에 의하여 그 회전방향으로 끌어 당겨져 상기의 틈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소성변형된 부분이 권취축의 회전에 장애를 주는 일 없이 권취축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돌출부의 상기 어느 한쪽과 대향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면적에 대하여 상기 다른쪽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매우 작다면 기본적으로 상기의 작용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어느 한쪽에 대한 돌출부의 상기 다른쪽의 접촉은 면접촉, 선접촉 및 점접촉 어느 것이라도 무관하나, 접촉부분이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는 관점에서는 면접촉보다도 선접촉이 더 낫다.
청구항2의 웨빙 권취장치는 상기 축받이 수단의 내주부 및 상기 권취축의 외주부 중 강성이 낮은 쪽에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웨빙 권취장치에 의하면 축받이 수단의 내주부 및 상기 권취축의 외주부 중 강성이 낮은 쪽에 돌출부를 형성하므로, 권취축이 편심된 상태에서 회전하면 그 강성차에 의하여 돌출부가 반드시 소성변형되며,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아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은 돌출부에 대한 상대회전으로 인하여 소성변형되는 일이 기본적으로 없다. 이로 인하여 청구항1의 본 발명의 작용을 보다 확실하게 함으로써 권취축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청구항3의 웨빙 권취장치는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과 동축으로 일체가 되어 형성된 피니언 기어와, 상기 권취축의 외주에 대한 접선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정의 조건하에서 상기 접선방 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래크바를 포함하여 상기 프리텐셔너를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권취축을 중심으로 상기 래크바와는 반대측이고 상기 래크바와 상기 피니언 기어의 결합면 방향을 따라 상기 권취축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측의 상기 축받이 수단의 내주부에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웨빙 권취장치에서는 프리텐셔너를 구성하는 슬라이드 수단이 래크바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래크바가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권취축은 웨빙 벨트가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런데 래크바의 톱니가 피니언 기어의 톱니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피니언 기어가 회전되지만 래크바는 피니언 기어를 그 결합면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그 압력방향을 따라 피니언 기어가 편심한다. 여기서 웨빙 권취장치는 축받이 수단의 내주부 중 권취축을 중심으로 래크바와는 반대측이며 상기한 결합면 방향을 따라 권취축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 즉 래크바가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 피니언 기어가 편심하는 경우의 권취축의 편심방향과 대응하여 돌출부가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피니언 기어가 편심하면 권취축의 외주부가 돌출부에 압력을 가하며 소성변형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권취축은 회전할 때에 돌출부에 압력을 가하며 소성변형시킴으로써 권취축이 편심하여도 권취축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본 웨빙 권취장치는 프리텐셔너가 작동하였을 때에도 권취축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실시예)
도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웨빙 권취장치(10)의 분해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웨빙 권취장치(10)는 프레임(frame)(12)을 구비하고 있다. 스텐레스판 등의 금속판재에 의하여 판상으로 형성된 기부(基部)(14)와, 이 기부(14)의 폭방향 일단으로부터 기부(14)의 두께방향을 따라 대략 직각으로 굴곡되어 연장된 금속제의 측벽부(16) 및 도1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기부(14)의 폭방향 타단으로부터 측벽부(16)와 평행하게 연장된 측벽부로 구성된다.
기부(14)의 측벽부(16)에는 구멍(18)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부(14)의 폭방향(측벽부(16)의 두께방향)을 따라 축방향이 됨과 아울러 프레임(12)보다도 강성이 낮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권취축(20)이 관통하는 구성으로 배치된다. 이 권취축(20)의 축방향 일단은, 상기한 측벽부(16)의 두께방향을 따라 측벽부(16)와 대향하는 측벽부에 구멍(18)과 동축으로 형성된 베어링부(도시생략)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베어링부로 지지된 부분으로부터 권취축(20)의 축방향 타단측에는 구멍(18)보다도 작은 지름의 웨빙 결합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1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긴 띠 모양의 웨빙 벨트(24)의 기단부가 고착되어 있어, 권취축(20)을 도1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웨빙 벨트(24)가 권취축(20)의 웨빙 결합부(22) 주위에 감겨진다. 여기서 이 권취축(20)은 나선형 코일 스프링 등의 압력수단(도시생략)에 의하여 항시 도1의 화살표 A방향을 향하여 압력이 가해지고 있으며, 이 압력에 저항하는 외력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권취축(20)을 도1의 화살표 A방향을 향하여 회전시켜 강제적으로 권취축(20)의 웨빙 결합부(22) 주위에 웨빙 벨트(24)가 감겨지도록 한다.
또한 웨빙 결합부(22)의 축방향 타단측에는 웨빙 결합부(22)보다도 큰 지름이고 구멍(18)보다도 작은 지름의 플랜지부(flange部)(26)가 웨빙 결합부(22)와 동축으로 형성되어 있어, 웨빙 벨트(24)를 웨빙 결합부(22)에 감을 때에 웨빙 벨트(24)의 폭방향 단부에 닿게 하여 권취축(20)의 축방향에 따른 웨빙 벨트(24)의 엇갈림을 방지한다.
또한 이 플랜지부(26)의 축방향 타단측 측방에는 플랜지부(26)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간되어 구멍(18)보다도 큰 지름의 대경축부(大徑軸部)(28)가 동축으로 형성되어 있어, 플랜지부(26)와 대경축부(28) 사이에서 플랜지부(26) 또는 대경축부(28)와 동축으로 형성되고 웨빙 결합부(22)보다도 작은 지름의 소경축부(小徑軸部)(30)를 통하여 플랜지부(26)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 대경축부(28)는 후술하는 축받이 수단의 베어링부(32)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됨으로써, 권취축(20)의 양단측이 지지된다.
또한 웨빙 권취장치(10)는 프리텐셔너(40)를 구비한다. 프리텐셔너(40)는 나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측벽부(16)에 고정되는 금속제의 마개부(42)와, 마개부(42)나 측벽부(16)보다도 강성이 낮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케이싱 본체(44)로 구성된 케이싱(46)을 구비한다. 케이싱(46)의 케이싱 본체(44)는 두께 방향이 측벽부(16)의 두께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되어 있으며, 측벽부(16)의 두께방향 외측에서 측벽부(16)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바닥부(48)를 갖는다. 바닥부(48)에는 대경축부(28)보다도 큰 지름의 구멍(50)이 구멍(18)과 동축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16)의 폭방향을 따라 구멍(50)의 중심부로부터 일방측에는 그 내경 치수가 구멍(18)의 두께방향 외측 측면으로부터 구멍(18)과 동축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링 모양의 베어링 본체(52)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어, 케이싱 본체(44)를 구멍(18)에 부착시킨 상태에서는 베어링 본체(52)의 외주부가 구멍(50)의 내주부에 접촉된다.
여기서 베어링 본체(52)는 권취축(20)을 프레임(12)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그 반경방향을 따라 대경축부(28)의 외주부와 대향하도록 그 축방향 치수 등이 설정됨과 아울러 그 내경치수는 대경축부(28)의 외경치수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어, 대경축부(28)를 베어링 본체(52)와 동축으로 배치하였을 때에는 베어링 본체(52)의 내주부와 대경축부(28)의 외주부 사이에 틈(S)(도2참조)이 생긴다.
또한 웨빙 권취장치(10)에서는 베어링 본체(52)의 내주부에 복수의 돌출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54)는 베어링 본체(52)의 축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되어 있으며, 베어링 본체(52)의 축방향을 따라 보았을 경우(도2의 도시상태)는 반원형상 혹은 베어링 본체(52)의 반경방향 내측이 정점이 되는 삼각형(본 실시예에서는 삼각형)으로 형성되며, 베어링 본체(52)의 축방향을 따라 대략 똑같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54)는, 베어링 본체(52)의 내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형성되어 있지 않고 베어링 본체(52)의 중심둘레를 4개의 영역으로 등분한 경우(구체적으로는 도2의 일점쇄선으로 분할되는 제1영역 ∼ 제4영역으로 분할된 경우) 후술하는 래크바(62)의 톱니(64)와 피니언 기어(68)의 외측 기어 이(70)가 맞물린 상태에서 접하는 부분이 포함되는 영역(도2의 제3영역)에 대하여 축이동이 되는 영역(도2의 제1영역)에 주로 형성된다(즉 제2 ∼ 제4영역의 각 영역보다도 제1영역쪽에 형성되는 돌출부(54)가 많다).
구멍(50)의 내주부로부터 구멍(50)의 반경방향 내측에서의 돌출부(54) 단부까지의 치수는 상기한 틈(S)의 간격과 대체로 같다. 즉 구멍(50)의 중심을 축으로 이 축주위에 돌출부(54)의 단부를 연결한 가상원의 반경은 대경축부(28)의 외경치수와 거의 같으며, 웨빙 권취장치(10)의 조립상태에 있어서 돌출부(54)의 단부가 대경축부(28)의 외주부와 접촉하여 돌출부(54)를 통하여 베어링 본체(52)가 대경축부(28)(즉 권취축(20)의 길이방향 타단측)를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돌출부(54)는 베어링 본체(52)의 축방향을 따라 본 경우(도2의 도시상태), 반원형상 혹은 베어링 본체(52)의 반경방향 내측이 정점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이므로, 웨빙 권취장치(10)의 조립상태에 있어서 돌출부(54)의 단부와 대경축부(28)의 외주부와의 접촉상태는 돌출부(54)의 단부가 베어링 본체(52)의 축방향을 따라 똑같이 선접촉된 상태가 된다.
한편 프리텐셔너(40)는 가스압력 발생수단으로서의 실린더(56)를 구비한다. 이 실린더(56)는 축방향이 상기한 권취축(20)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 내부에는 피스톤(58)이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수용되어 있다. 실린더(56)의 내측에 있어서 피스톤(58)과 실린더(56)의 바닥부 사이에는 기동장치, 뇌관, 전폭제(傳爆劑), 가스 발생제(모두 도시생략)가 수납되어 있어, 기동장치가 작동하여 뇌관을 발화시키고 전폭제를 통하여 가스 발생제를 연소시킴으로써 실린더(56)의 바닥부와 피스톤(58) 사이에서 극히 단시간에 소정량의 가스가 발생하여, 이 가스의 압력으로 피스톤(58)이 실린더(56)의 개구단측을 향하여 강제적으로 슬라이딩된다.
피스톤(58)을 수용하는 실린더(56)는 웨빙 권취장치(10)가 탑재되는 차량(도시생략)의 소정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센서(60)에 직접 혹은 컴퓨터나 제어회로 등의 제어수단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어, 차량이 충돌한 경우 등과 같은 소정의 감속상태를 센서(60)가 검지한 경우에 실린더(56) 내의 기동장치를 기동시킨다.
한편 실린더(56)의 바닥부와는 반대측의 실린더(56) 단부에는 래크바(6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래크바(62)는 실린더(56)의 축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폭방향 일방의 단부에는 복수의 톱니(64)로 구성되는 기어부(6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어부(66)의 톱니(64)는, 소경축부(30)와 동축으로 일체가 되어 형성된 피니언 기어(68)의 외측 기어 이(70)와 맞물릴 수 있도록 대경축부(28)를 중심으로 소경축부(30)와는 반대측에 형성된다.
상기 구성의 래크바(62)는, 웨빙 권취장치(10)의 조립상태에 있어서 권취축(20)의 축방향을 따라 대경축부(28)와 대향하여 배치됨과 아울러 실린더(56)의 축방향을 따라 실린더(56)의 바닥부와는 반대방향으로 소정거리 만큼 슬라이딩 이동시킨 상태에서 피니언 기어(68)의 외측 기어 이(70)에 기어부(66)의 톱니(64)가 맞물릴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다음의 본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웨빙 권취장치(10)에 의하면 권취축(20)의 웨빙 결합부(22)에 감겨진 웨빙 벨트(24)가 인출되어 차량의 탑승자 신체에 장착되면, 권취축(20)에 가해지는 압력수단(도시생략)의 압력에 의하여 웨빙 벨트(24)가 탑승자의 신체를 잡아맨다.
또한 차량이 급감속 상태가 된 것을 센서(60)가 검지하면 실린더(56)내의 기동장치가 작동하여 전폭제를 통하여 가스 발생제가 연소함으로써 극히 단시간 동안에 실린더(56) 내에서 소정량의 가스가 발생한다. 이 가스의 압력으로 피스톤(58)이 실린더(56)의 바닥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래크바(62)가 실린더(56)의 바닥부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한다. 래크바(62)는 이 슬라이딩 이동에 의하여 톱니(64)의 기어부(66)가 피니언 기어(68)의 외측 기어 이(70)와 맞물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의 가스압력으로 실린더(56)의 바닥부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래크바(62)의 톱니(64)가 피니언 기어(68)의 외측 기어 이(70)를 도2의 화살표 F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피니언 기어(68)를 도2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피니언 기어(68)와 일체인 권취축(20)이 도2의 화살표 A방향으로 소정량 회전되어 권취축(20)의 회전량에 따른 길이만큼 웨빙 벨트(24)가 웨빙 결합부(22)에 감겨진다. 이 웨빙 결합부(22)에 감겨짐으로써 일시적으로 웨빙 벨트(24)에 의한 탑승자의 신체를 잡아매는 힘이 증가하여 차량의 급감속 상태에 있어서 탑승자가 차량 전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그런데 래크바(62)의 톱니(64)가 피니언 기어(68)의 외측 기어 이(70)에 압력을 가한 경우에는 피니언 기어(68)를 회전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그 면방향을 따라 기어부(66)의 톱니(64)는 그 힘방향(F)으로 피니언 기어(68)를 변위시켜 피니언 기어(68)와 동축으로 일체가 된 대경축부(28)를 그 힘방향으로 변위(편심)시킨다.
여기서 웨빙 권취장치(10)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베어링 본체(52)의 중심 둘레로 제1영역에서 제4영역까지 4개로 분할한 경우, 기어부(66)의 톱니(64)와 피니언 기어(68)의 외측 기어 이(70)와의 접촉부분이 포함되는 영역(제3영역)보다 축이동이 되는 영역(제1영역)측, 즉 외측 기어 이(70)와 톱니(64)의 접촉면 방향을 따라 베어링 본체(52)의 내주부와 대경축부(28)의 외주부가 대향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베어링 본체(52)의 내주부에 다른 영역 과 대응하는 내주부보다도 많은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대경축부(28)를 편심함으로써 이들 제1영역의 돌출부에 압력을 가한다. 대경축부(28)가 회전할 때에는 이 압력에 비례한 마찰저항이 발생하여 이 마찰저항에 의하여 돌출부(54)가 대경축부(28)의 회전을 방해한다. 그러나 돌출부(54)는 대경축부(28)보다도 강성이 낮고 또한 돌출부(54)는 대경축부(28)에 대하여 선접촉만 하고 있으므로 상기한 압력이 작용하는 상태로 권취축(20)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돌출부(54)가 대경축부(28)의 회전을 방해할 수 없어, 대경축부(28)의 외주부와의 마찰저항으로 돌출부(54)는 권취축(20)의 회전방향으로 끌어 당겨지면서 그 선단부로부터 권취축(20)의 회전방향으로 점차 소성변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대경축부(28)가 회전할 때에 돌출부(54)는 저항하지 않고 상기와 같이 소성변형하므로, 권취축(20)이 편심하여도 권취축(20)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베어링 본체(52)의 내경치수는 대경축부(28)의 외경치수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어, 베어링 본체(52)의 내주부와의 사이에 틈(S)(도2참조)이 생기므로 상기한 압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권취축(20)이 회전하여 권취축의 회전방향으로 끌어 당겨진 돌출부(54)의 소성 변형부분이 틈(S)에 들어가는 것 만으로 이 소성변형된 부분이 대경축부(28)가 회전할 때에 저항하는 일이 없으므로 권취축(20)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권취축(20)이 편심하여도 권취축 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실린더(56)내에서의 가스의 압력은 대경축부(28)와 돌출부(54) 사이의 마찰저항으로 소비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권취축(20)의 회전에 도움을 준다. 이렇게 함으로써 실린더(56)내에 수용된 가스 발생제나 전폭제 등도 소량으로 가능하며 실린더(56)의 소형화, 나아가서는 프리텐셔너(4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어, 원가절감에 기여한다.
또한 상기한 가스압력으로 래크바(62)가 실린더(56)의 바닥부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기어부(66)의 톱니(64)가 피니언 기어(68)의 외측 기어 이(70)와 맞물렸을 경우, 기어부(66)의 톱니(64)가 피니언 기어(68)의 외측 기어 이(70)와 접촉하여 그 접촉면의 면방향을 향하여 래크바(62)의 톱니(64)가 피니언 기어(68)의 외측 기어 이(70)를 밀므로써 피니언 기어(68)를 회전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베어링 본체(52)의 축방향을 따라 돌출부(54)를 본 경우 돌출부(54)의 형상은 삼각형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의 청구항1의 관점에서 본다면 돌출부(54) 단부는 권취축(20)의 외주부에 대한 접촉부분이 매우 작을수록 좋으며 따라서 점접촉이라도 무방하고 접촉부분이 매우 작다면 면접촉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54)를 베어링 본체(52)의 내주부에 형성한 것은 베어링 본체(52)의 강성이 대경축부(28)의 강성보다도 낮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청구항1의 관점에서 볼 경우 대경축부(28)의 강성이 베어링 본체(52)의 강성보다도 낮다면 대경축부(28)의 외주부에 돌출부(54)에 상당 하는 돌출부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프리텐셔너에서 발생한 힘이 권취축의 회전에 효율적으로 기여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3)

  1. 탑승자의 신체를 잡아매는 긴 띠 모양의 웨빙 벨트의 기단부가 고착됨과 아울러 상기 웨빙 벨트가 감기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권취축(卷取軸)과,
    차량이 급감속 상태가 되는 때에 상기 웨빙 벨트가 감겨지는 방향을 향하여 상기 권취축을 회전시키는 프리텐셔너와,
    상기 권취축의 외경치수보다도 내경치수가 크게 형성되어 동축적(同軸的)으로 내측에 상기 권취축이 삽입되는 내주부를 갖는 축받이 수단과,
    상기 축받이 수단의 내주부 및 상기 권취축의 외주부 중 어느 한쪽에 다른쪽을 향하여 형성되며, 한 쪽의 전체 면적보다 적은 접촉면으로 상기 다른쪽과 접촉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 수단의 내주부 및 상기 권취축의 외주부 중 강성이 낮은 쪽에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과 동축으로 일체가 되어 형성된 피니언 기어(pinion gear)와,
    상기 권취축의 외주에 대한 접선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차량이 급감속 상태가 되는 때에 상기 접선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래크바(rack bar)를
    포함하여 상기 프리텐셔너를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권취축을 중심으로 상기 래크바와는 반대측이고 상기 래크바와 상기 피니언 기어의 결합면 방향을 따라 상기 권취축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측의 상기 축받이 수단의 내주부에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장치.
KR1019990016270A 1999-02-16 1999-05-07 웨빙 권취장치 KR1005698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37090 1999-02-16
JP3709099 1999-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949A KR20000056949A (ko) 2000-09-15
KR100569821B1 true KR100569821B1 (ko) 2006-04-11

Family

ID=1248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270A KR100569821B1 (ko) 1999-02-16 1999-05-07 웨빙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8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949A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1824B2 (en) Webbing retracting device
EP1902911B1 (en) Webbing retractor device
WO2012165410A1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3437488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8596567B2 (en) Seatbelt retractor
JP6702805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4907761B2 (ja) プリテンショナ
US5489072A (en) Seat belt retractor with pre-tensioner
EP0600689A1 (en) Seat belt retractor with pre-tensioner
KR100569821B1 (ko) 웨빙 권취장치
JP2009184520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7126148A (ja) プリテンショナー付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0313314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EP1203704B1 (en) Seat belt retractor
JPH11208415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用プリテンショナ
JP3819189B2 (ja) プリテンショナ
JP3886687B2 (ja) シートベルトプリテンショナー
JP2013049401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01233176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249761B2 (ja) プリテンショナ
WO2023120103A1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23090294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4364235B2 (ja) プリテンショナー付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6739358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04001777A (ja) プリテンショ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