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233B1 - 러기지 보드 스트랩 구조 - Google Patents

러기지 보드 스트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233B1
KR100569233B1 KR1020040025878A KR20040025878A KR100569233B1 KR 100569233 B1 KR100569233 B1 KR 100569233B1 KR 1020040025878 A KR1020040025878 A KR 1020040025878A KR 20040025878 A KR20040025878 A KR 20040025878A KR 100569233 B1 KR100569233 B1 KR 100569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gage board
strap
luggage
hook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0789A (ko
Inventor
임문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5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233B1/ko
Publication of KR20050100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2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separate 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러기지 보드에 구비되는 손잡이 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러기지보드가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후크 수단을 구비한 러기지 보드 스트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승용차의 트렁크 공간에서 스페어 타이어 수납 공간과 화물적재 공간을 구별하는 러기지 보드에 부착되는 스트랩에 있어서,
길다란 직사각형 형상의 끈부재와, 상기 끈부재를 러기지 보드의 일측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끈부재가 고리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끈부재의 양측에 구비된 한쌍의 탈부착 수단과, 상기 끈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끈부재를 트렁크 리드에 고정하기 위한 후크부재를 포함하여 손잡이의 역할과 후크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러기지 보드 스트랩 구조{Luggage board strap structure}
도 1a는 종래의 러기지 보드에 구비된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러기지 보드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후크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보드 스트랩 구조를 나타낸 전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보드 스트랩의 탈부착 수단이 연결되어 끈부재가 고리형태로 되어 손잡이 역할을 수행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보드 스트랩 구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보드 스트랩 구조의 후크 부재가 걸리는 걸림홈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T : 스페어 타이어 10 : 러기지 보드
10 : 스트랩 25 : 리벳
30 : 후크 부재 40 : 트렁크 리드
45 : 걸림홈 100 : 끈부재
110 : 고정수단 122, 124 : 탈부착수단
130 : 후크 부재
본 발명은 러기지 보드에 구비되는 손잡이 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러기지보드가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후크 수단을 구비한 러기지 보드 스트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의 트렁크 공간은 러기지 보드를 기준으로, 러기지 보드 아래쪽 공간에는 비상시 교체를 위한 스페어 타이어와 비상공구를 위한 수납공간으로 사용되고, 러기지 보드 상부 공간은 운전자나 승객을 위한 일반적인 화물 적재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러기지 보드에는 러기지 보드를 들어 올릴 때 사용하기 위한 손잡이를 구비하여, 상기 손잡이를 잡고 상방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러기지 보드를 개방하여 아래쪽에 위치한 스페어 타이어나 공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스페어 타이어의 교환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차체에 너트 등으로 부착되어 있는 스페어 타이어의 체결을 해제하고 스페어 타이어를 꺼내는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러기지 보드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시키거나 러기지 보드를 아예 탈거해야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러기지 보드 손잡이 구조는 별도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반드시 러기지 보드를 탈거한 후 스페어 타이어 교체작업을 하고 다시 러기지 보드를 끼워넣는 번거로운 작업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도 1a는 종래의 러기지 보드에 구비된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러기지 보드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후크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러기지 보드의 일측에 고리 형상을 가진 스트랩(10)을 부착하여, 러기지 보드(20)를 들어 올릴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스트랩(10)을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스트랩(10)은 합성섬유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러기지 보드(20)에 리벳(25)등의 고정수단으로 부착되어 있다. 다만, 이러한 스트랩(10)은 러기지 보드(20)를 들어 올릴 때 단순히 손잡이로만 사용할 수 있을 뿐이고 러기지 보드(20)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지는 않고 있다. 따라서 차종에 따라서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기지 보드(20) 뒷면에 별도의 후크 부재(30)를 추가하여 상기 후크 부재(30)를 트렁크 리드(40)의 웨더스트립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러기지 보드(20)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러기지 보드의 개방시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고, 또 러기지 보드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후크의 역할을 겸하는 러기지 보드 스트랩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관상 깔끔하며 사용이 편리하고, 제작원가도 저렴한 러기지 보드 스트랩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승용차의 트렁크 공간에서 스페어 타이어 수납 공간과 화물적재 공간을 구별하는 러기지 보드에 부착되는 스트랩에 있어서,
길다란 직사각형 형상의 끈부재와, 상기 끈부재를 러기지 보드의 일측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끈부재가 고리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끈부재의 양측에 구비된 한쌍의 탈부착 수단과, 상기 끈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끈부재를 트렁크 리드에 고정하기 위한 후크부재를 포함하여 손잡이의 역할과 후크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후크 부재는 대략 T자 형상을 가지고, 트렁크 리드에 상기 후크 부재가 끼워지는 걸림홈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보드 스트랩 구조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보드 스트랩의 탈부착 수단이 연결되어 끈부재가 고리형태로 되어 손잡이 역할을 수행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것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보드 스트랩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보드 스트랩 구조는 길다란 스트립 형상의 끈부재(100)와, 상기 끈부재(100)를 러기지 보드(1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110)과, 상기 끈부재(10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어 서로 부착시키면 끈부재(100)가 고리형상을 이루어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고, 탈착시에는 끈부재(100)가 길게 펼쳐져 그 단부에 구비된 후크 부재(130)를 트렁크 리드에 걸 수 있게 되는 한쌍의 탈부착 수단(122, 124)과, 상기 끈부재(100)에서 고정수단(110)으로 고정된 부분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끈부재(100)를 트렁크 리드(40)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후크 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트렁크 리드(4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 부재(130)가 걸릴 수 있도록 T자 형상의 걸림홈(45)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크 부재(130)가 본 실시예서와 같이 T자 형상을 가질 경우를 위한 것이고, 앞선 종래기술에서 살펴 보았듯이 후크 부재의 형상이 걸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별도의 걸림홈은 필요치 않게되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부재(130)를 직접 트렁크 리드(40)의 웨더 스트립 부분에 직접 걸어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끈부재(100)는 레자 등의 섬유재질로 이루어져 길다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일측 단부는 리벳 등의 고정수단(110)을 통하여 러기지 보드(20)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고 타측 단부에는 후크 부재(13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양측단부에 각각 암수의 똑딱 단추등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탈부착수단(122, 124)을 구비하여 이들의 결합시에는 끈부재(100)가 고리모양으로 형성되어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탈착시에는 끈부재의 탄력성을 이용하여 후크 부재(130)가 트렁크 리드를 향하게 하고, 상기 후크 부재(130)를 트렁크 리드(40)에 고정함으로써 러기지 보드(20)의 개방상태를 유지 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탈부착 수단으로 똑딱이 단추를 예시하고 있지만, 벨크로 테이프나 끼움 방식의 클립등 자유롭게 탈부착이 가능한 수단으로 대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보드 스트랩은 러기지보드를 들어 올리기 위한 손잡이 역할과, 러기지보드를 걸어 고정하는 후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 사용자의 사용상의 편리함과 외관품질의 향상을 가져온다.

Claims (2)

  1. 삭제
  2. 승용차의 트렁크 공간에서 스페어 타이어 수납 공간과 화물적재 공간을 구별하는 러기지 보드에 부착되는 스트랩에 있어서,
    길다란 직사각형 형상의 끈부재와,
    상기 끈부재를 러기지 보드의 일측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끈부재가 고리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끈부재의 양측에 구비된 한쌍의 탈부착 수단과,
    상기 끈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끈부재를 트렁크 리드에 고정하기 위한 후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 부재는 대략 T자 형상을 가지고, 트렁크 리드에 상기 후크 부재가 끼워지는 걸림홈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보드 스트랩 구조.
KR1020040025878A 2004-04-14 2004-04-14 러기지 보드 스트랩 구조 KR100569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878A KR100569233B1 (ko) 2004-04-14 2004-04-14 러기지 보드 스트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878A KR100569233B1 (ko) 2004-04-14 2004-04-14 러기지 보드 스트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789A KR20050100789A (ko) 2005-10-20
KR100569233B1 true KR100569233B1 (ko) 2006-04-10

Family

ID=37279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878A KR100569233B1 (ko) 2004-04-14 2004-04-14 러기지 보드 스트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2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236B1 (ko) * 2005-07-14 2006-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러기지 보드 스트랩
KR100811716B1 (ko) * 2006-11-28 2008-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 보드의 후크 개선 구조
KR200453248Y1 (ko) * 2009-05-13 2011-04-20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차량용 로드 플로어/러기지 보드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789A (ko)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74195A1 (en) Buckle and band with this buckle
KR100569233B1 (ko) 러기지 보드 스트랩 구조
US6354174B1 (en) Device for removing a tarp
CA1244065A (en) Boot assembly for vehicle convertible top
US3187859A (en) Handle for containers
JP4247384B2 (ja) 車両用ポケット構造
JP2002019532A (ja) 自動車用ルーフレール兼キャリア
JP4490360B2 (ja) 携帯バッグとして使用可能な車内装備ネット
JPH1014639A (ja) ベルト装着バッグ
JP3038067U (ja) リール付き釣竿用携帯ケース
JP3145690U (ja) 自動車用雨避け装置
CN215922090U (zh) 一种行李箱工具盒
JP2005170142A (ja) トラック車両の荷台に設ける雨水侵入防止屋根装置
KR20020083038A (ko) 자동차의 엔진후드 인슐레이션 패드 마운팅 클립
CN214874539U (zh) 一种收纳套
KR200180186Y1 (ko) 키홀더용 램프 조립구조
KR100449296B1 (ko) 자동차의 러기지 매트
JPH0431847Y2 (ko)
JP3115805U (ja) 傘袋携帯用具
KR960006787Y1 (ko) 양복커버용 손잡이의 결합구조
JP3617932B2 (ja) 車両用ポケット構造
JPH0318254Y2 (ko)
JP3063172U (ja) ティッシュボックスカバ―
JP3089036U (ja) 車両用簡易テント
KR0113243Y1 (ko) 트렁크리드에 장착된 우산꽂이(An umbrella stand mounted in a trunk l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