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8720B1 - 범퍼의 빔 충돌시 타부품 파손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범퍼의 빔 충돌시 타부품 파손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8720B1
KR100568720B1 KR1020040035595A KR20040035595A KR100568720B1 KR 100568720 B1 KR100568720 B1 KR 100568720B1 KR 1020040035595 A KR1020040035595 A KR 1020040035595A KR 20040035595 A KR20040035595 A KR 20040035595A KR 100568720 B1 KR100568720 B1 KR 100568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impact
beam rail
mounting plate
s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0778A (ko
Inventor
정성훈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5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8720B1/ko
Publication of KR20050110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퍼의 빔 충돌시 타부품 파손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범퍼내부에서 범퍼의 충격을 지탱하는 빔레일과; 상기 빔레일의 후방에 결합되어 범퍼의 충격을 전달받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가 소정변위 미끄럼 이동되도록 결합부를 이루며 차체의 사이드프레임에 고정되는 마운팅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범퍼, 빔레일, 고정플레이트, 결합부, 마운팅플레이트

Description

범퍼의 빔 충돌시 타부품 파손방지 구조{Structure for preventing other part from damage during the impact of bumper}
도 1은 종래의 고정플레이트와 마운팅플레이트로 결합된 범퍼의 빔레일과 사이드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빔레일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사이드프레임의 후단부가 결합되는 캐리어의 부분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퍼의 빔 충돌시 타부품 파손방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의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퍼의 빔 충돌시 타부품 파손방지 구조의 고정플레이트와 마운팅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의 빔레일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른 본 발명의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 빔레일 2, 12 : 고정플레이트
3, 13 : 마운팅플레이트 4, 14 : 사이드프레임
15 : 결합부 16 : 볼트
17 : 너트 19 : 슬롯홀
20 : 경사면
본 발명은 범퍼의 빔 충돌시 타부품 파손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범퍼의 충돌시 범퍼의 빔레일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가 사이드프레임에 결합된 마운팅플레이트에서 미끄럼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부를 형성하여, 빔레일이 벌어질 때 사이드프레임이 결합되는 캐리어 등 타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빔 충돌시 타부품 파손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범퍼는 자동차의 전후방에서 저속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품으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범퍼는 후방에 고정된 백빔이라는 빔레일(1)에 의해 지지되고, 빔레일(1)의 양측은 사이드프레임 장착부(5)에서 사이드프레임(4)에 결합되며, 사이드프레임(4)은 운전자의 전면내부에 설치된 캐리어(7)의 측면에 고정된다.
특히, 자동차의 운행 중에는 가벼운 접촉사고가 많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는 데, 이때 범퍼가 받은 충격은 빔레일(1)에 전달되고, 빔레일(1)에 전달된 충격은 빔레일(1)의 후방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2)에서 마운팅플레이트(3)를 통해 사이드프레임(4)에 전달된다.
그런데, 상기 빔레일(1)은 충격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프레임(4)에 축력과 횡력을 전달하며, 사이드프레임(4)에 전달된 횡력은 사이드프레임(4)의 후단부가 결합되는 캐리어 장착부(6)에 가해져 손상이 일어나게 하고, 사이드프레임(4)의 변형 등 주변부품의 손상이 발생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범퍼의 충돌시 범퍼의 빔레일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가 사이드프레임에 결합된 마운팅플레이트에서 미끄럼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부를 형성하여, 범퍼에 저속충돌이 가해지더라도 사이드프레임 및 사이드프레임에 결합된 캐리어 등 타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범퍼의 빔 충돌시 타부품 파손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범퍼의 빔 충돌시 타부품 파손방지 구조는, 자동차의 범퍼내부에서 범퍼의 충격을 지탱하는 빔레일과; 상기 빔레일의 후방에 결합되어 범퍼의 충격을 전달받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가 소정변위 미끄럼이동되도록 결합부를 형성하고, 차체의 사이드프레임에 고정되는 마운팅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본 기술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퍼의 빔 충돌시 타부품 파손방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의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퍼의 빔 충돌시 타부품 파손방지 구조의 고정플레이트와 마운팅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의 빔레일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른 본 발명의 작동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자동차의 범퍼내부에서 범퍼의 충격을 지탱하는 빔레일(11)과; 상기 빔레의(11)의 후방에 결합되어 범퍼의 충격을 전달받는 고정플레이트(12)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2)가 소정변위 미끄럼이동되도록 결합부(15)를 형성하고, 차체의 사이드프레임(14)에 고정되는 마운팅플레이트(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2)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3)는 자동차의 저속충돌로 인해 상기 빔레일(11)에 가해진 충격력으로 서로 용이하게 미끄럼되도록 경사면(20)을 형성하며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15)는 고정플레이트(12)에 볼트(16) 또는 너트(17)를 용 접하고,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3)에는 슬롯홀(19)을 형성하여 마운팅 플레이트의 후면에서 너트(17) 또는 볼트(16)를 결합함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범퍼의 빔 충돌시 타부품 파손방지 구조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본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자동차의 운행 중 저속충돌이 일어나고 범퍼에 충격이 가해진다고 설정한다.
상기 저속충돌로 인해 범퍼에 가해진 충격은 빔레일(11)에 전달되고, 횡방향으로 설치된 빔레일(11)은 굽힘이 일어나 양단부가 양측으로 벌어지는 소정변위가 발생한다.
이때, 상기 빔레일(11)의 양측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12)도 같은 변위를 갖게 되며, 고정플레이트(12)에 결합된 볼트(16)는 마운팅플레이트(13)의 슬롯홀(19)에서 이동된다.
즉, 고정플레이트(12)에 결합된 볼트(16)는 마운팅플레이트(13)의 슬롯홀(19)에서 너트(17)로 고정되어 있으며, 빔레일(11)의 횡방향 변위로 인한 고정플레이트(12)의 변위는 마운팅플레이트(13)를 통해 사이드프레임(14)에 전달되지 못하고, 슬롯홀(19)에서만 변위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12)와 마운팅플레이트(13)가 접촉을 이루는 경사면(20)은 빔레일(11)의 변위방향과 일정오차범위 내에서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고정플레이트(12)는 마운팅플레이트(13)에서 구조적인 저항 없이 용이하게 미끄럼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범퍼의 빔 충돌시 타부품 파손방지 구조를 사용하게 되면, 범퍼에 저속충돌이 가해지더라도 사이드프레임 및 사이드프레임에 결합된 캐리어 등 타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삭제
  2. 자동차의 범퍼내부에서 범퍼의 충격을 지탱하는 빔레일과;
    상기 빔레일의 후방에 결합되어 범퍼의 충격을 전달받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가 소정변위 미끄럼이동되도록 결합부를 형성하고, 차체의 사이드프레임에 고정되는 마운팅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범퍼의 빔 충돌시 타부품 파손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는 자동차의 저속충돌로 인해 상기 빔레일에 가해진 충격력으로 서로 용이하게 미끄럼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의 빔 충돌시 타부품 파손방지 구조.
  3. 삭제
KR1020040035595A 2004-05-19 2004-05-19 범퍼의 빔 충돌시 타부품 파손방지 구조 KR100568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595A KR100568720B1 (ko) 2004-05-19 2004-05-19 범퍼의 빔 충돌시 타부품 파손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595A KR100568720B1 (ko) 2004-05-19 2004-05-19 범퍼의 빔 충돌시 타부품 파손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778A KR20050110778A (ko) 2005-11-24
KR100568720B1 true KR100568720B1 (ko) 2006-04-07

Family

ID=37286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595A KR100568720B1 (ko) 2004-05-19 2004-05-19 범퍼의 빔 충돌시 타부품 파손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87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869B1 (ko) 2007-06-12 2008-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슬라이딩 범퍼
KR101244947B1 (ko) 2006-06-26 2013-03-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캐리어의 파손방지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947B1 (ko) 2006-06-26 2013-03-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캐리어의 파손방지구조
KR100850869B1 (ko) 2007-06-12 2008-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슬라이딩 범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778A (ko) 200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8936B1 (en) Shock absorbing stopper
JP4308573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アクスルに用いられるサブフレーム
JP3979016B2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4207904B2 (ja) 車両端部構造
JP2010000866A5 (ko)
KR100837980B1 (ko) 차량의 프론트 앤드 모듈구조
KR100568720B1 (ko) 범퍼의 빔 충돌시 타부품 파손방지 구조
JP6136845B2 (ja) 車両前部構造
JP2003327063A (ja) 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
JP2008213518A (ja) ランプ装置取付構造
JP4810250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100747282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지지구조
JP2003276535A (ja) プロテクタ部材の取付構造
KR100242054B1 (ko) 차량용 범퍼 지지장치
KR100589267B1 (ko) 캐리어의 파손방지구조
KR101393826B1 (ko) 프런트 엔드 모듈 캐리어 조립구조
JP2006056404A (ja) 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構造
JP4797085B2 (ja) エンジンルームにおける衝撃吸収構造
KR100634624B1 (ko) 트럭용 사이드 가이드 레일 유닛
JP7338647B2 (ja) アンダランプロテクタ固定構造
JP2842107B2 (ja) 車両用バンパーの取付構造
KR100560858B1 (ko) 캐리어의 파손방지구조
KR100440856B1 (ko) 자동차의 범퍼
KR101244947B1 (ko) 캐리어의 파손방지구조
KR20080027073A (ko) 자동차용 프론트엔드모듈의 범퍼백빔 설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