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8074B1 - 개량된 아플리케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개량된 아플리케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8074B1
KR100568074B1 KR1020047012673A KR20047012673A KR100568074B1 KR 100568074 B1 KR100568074 B1 KR 100568074B1 KR 1020047012673 A KR1020047012673 A KR 1020047012673A KR 20047012673 A KR20047012673 A KR 20047012673A KR 100568074 B1 KR100568074 B1 KR 100568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housing
sleeve member
sleev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3933A (ko
Inventor
리 제니퍼 펄슨
Original Assignee
리 제니퍼 펄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 제니퍼 펄슨 filed Critical 리 제니퍼 펄슨
Publication of KR20040103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40/267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45D40/268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with adjustable wip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a soft material and a rigid material, e.g. making articles with a sealing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마스카라 튜브와 같은 도포기(18)상의 아플리케의 소망하는 양을 보관하고 분배하기 위한 용기(10)는, 자체 지지되는, 변형 가능한 슬리브 부재(14)가 장착된 중간 아플리케 조장소(20), 도포기(18)가 저장소(20)의 하부에 인접할 때에 용기를 닫기위한 캡 부재(16)를 구비한다. 슬리브 부재(14)는 저장소(20)와 연통하는 열린 단부의 통로(22)를 구비하며, 저장소(20)의 하우징 부재(12)에 고정적이고 밀봉되어 장착된다. 한 구현예에서, 캡 부재(16)는 슬리브 부재(14)의 상부 및 둘레에서 결합되고, 저장소 하우징(12)의 외측 평면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된다. 고정되면, 슬리브 부재(14)는 캡 부재(16)의 내측 단부 평면과 밀봉하여 결합된다.

Description

개량된 아플리케 용기 및 그 제조 방법{Improved applique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e}
본 출원은 2002년 2월 15일에 출원된, "IMPROVED APPLIQUE PACKAGE AND MEHOD OF MANUFACTURE"로 명명되고,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 본 출원의 발명자에 의한 미국 가출원 씨리얼 번호 60/357,363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유체, 페이스트 및 정교하게 분말된 제품을 포함하여 잉크, 페이트 또는 마스카라, 또는 다른 유동성의 재료와 같은 아플리케 재료를 바르고 수용하는 물건에 일반적으로 관계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브러쉬 또는 면봉(swab)과 같은 도포기(applicator)로부터 과잉(excess) 아플리케를 제거하기 위한 새롭고 개선된 제품, 및 그러한 제품의 제조를 위한 새롭고 개선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플리케 재료를 수용하고 바르기 위한 그리고 가요성의 벽을 가진, 자체 지지되는 변형 가능한 슬리브 모양의 구획부를 사용하여 도포기로부터 과잉 아플리케를 제거하기 위한 개선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개시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 미국 특허 6,264,390에서 기술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부는 도포기에 대하여 지압에 의하여 압착되고 조절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플리케 재료를 수용하고 바르기 위한 개선된 상품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는 지압에 의하여 변형 가능한 가요성의 벽을 가진, 자체 지지되는, 슬리브 모양의 구획부의 사용을 허용하며, 또한 아플리케 재료의 사용 중간에, 또는 아플리케 용기가 비워지기 전에 가요성의 구획부 또는 아플리케 재료가 건조될(dry out)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과잉 아플리케의 최소한의 닦임을 제공하는 약한 지압으로부터 아플리케 재료의 도포기를 실질적으로 청소하게하는 최대 지압의 범위에서 수요자가 계속적으로 도포기상의 아플리케의 양을 가변시키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그 외부 표면에 지압을 적용하는 것에 의하여 변형 가능한 가요성의 벽을 지닌, 자체 지지되는, 변형 가능한 슬리브 부재의 사용을 허용하는 아플리케 재료를 수용하고 바르기 위한 개선된 상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잉크, 페인트, 폴리쉬(polish), 글리터(glitter) 또는 마스카라와 같은 아플리케 재료를 수용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그리고 아플리케 재료를 하우징하는 용기로부터의 도포기의 제거전에 도포기로부터의 과잉 아플리케 재료의 제거를 위한 지압에 의하여 변형 가능한 가요성의 벽을 가진, 자체 지지되는, 슬리브 형상의 구획부를 구비한 예컨대, 강모(剛毛:강모) 브러쉬 또는 스폰지 면봉과 같은 도포기에 의하여 그러한 물질을 바르는 신규의 그리고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미용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도포기 브러쉬 또는 강모의 압착 설계에 또는 도포기에 브러쉬 강모를 장착하는 기술 그리고/또는 마스카라 포뮬라(formula) 그 자체에 노력을 집중해왔다.
이러한 선행 시도의 표면적 목표는, 모든 소비자의 욕구 그리고/또는 미각적 취향을 풀어주거나 또는 대비할 수 있는 단일의 특정한 마스카라 상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것이었다.
더욱 상세하게는, 선행 마스카라 포뮬러는 용기로부터 제거되는 때에 마스카라 유체가 브러쉬상에 남는 것을 확보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두꺼웠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먼저 마스카라 저장소의 의 개방된 가장 자리에 대하여 닦고 비틀도록 그리고/또는, 가끔 그에 따라서, 마스카라를 속눈썹에 바르기 전에 부가적으로(additionally) 화장지(facial tissure) 또는 다른 종이 또는 천(cloth)에 브러쉬를 닦거나 지우도록 요구한다. 결과적으로, 건조된 마스카라가 마스카라 튜브의 단부상에 빨리 쌓이게되며, 건조된 마스카라 그리고/또는 마스카라 저장소에 떨어진 또는 브러쉬에 의해서 들여진 이질의 종이 또는 린트 천 조각로부터 형성된 마스카라 덩어리가 곧 마스카라 저장소에, 그리고 그곳으로부터 속눈썹상에 나타나고, 추한 외관과 눈에 자극을 야기한다. 이러한 난점과 괴로움 때문에, 마스카라 튜브는 가끔 그것이 비워지기 전에 버려져야 하며, 이는 종래 제품의 불리함을 증진시킨다.
또한, 속눈썹상에 마스카라의 가장 바람직한 도포를 제공하기 위하여 의도된 브러쉬 설계에 많은 노력이 집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노력은 지금까지 마스카라에 이물질을 도입하지 않고 브러쉬 강모로부터 과잉 마스카라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지 못했기 때문에 대부분 효력이 없게 되었다. 예를 들어, 브러쉬 강모의 전방의 그리고 말단의 단부는 전형적으로 최대 내측의 속눈썹에 마스카라를 도포하 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축소된 길이를 가지나, 이러한 짧은 강모는 가끔 더 긴 강모로부터 운반된 불필요한 과잉 마스카라로 귀결되며, 이러한 문제는 미용 산업에서는 "테일링(tailing)"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과잉 마스카라의 테일링은, 만일 티슈 등에서 닦거나 지우는 것에 의하여 제거되는 경우 낭비적이거나, 짧은 브러쉬 강모의 적절한 사용과 저촉된다. 이런 테일링의 또 다른 불필요한 결과는 사용자가 가장 내측의 속눈썹에 마스카라를 바르려고 시도하는 경우에 그것이 코의 측면으로 얼룩진 때에 나타난다.
이와 대비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마스카라 저장소의 개방된 단부에 장착된 가요성의 슬리브 부재의 제공은 마스카라 도포의 조절을 각각의 소비자의 손에 맡기고, 각 소비자가 주어진 브러쉬와 주어진 마스카라 포뮬러로 마스카라 적용의 무한대의 가변성 범위를 본질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다시, 더 적은 비용의 브러쉬 그리고/또는 마스카라 개발과 제조의 장점을 가진다. 예를 들면, 가요성의 조절 슬리브 부재가 과잉 마스카라를 다시 하우징(housing) 부재안으로 닦아서 배출될 수 있도록 계속적인 다양한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기 때문에 더 얇은 마스카라 포뮬러가 마스카라가 브러쉬로부터 똑똑 떨어질 염려없이 사용될 수 있다. 더 두꺼운 마스카라 포뮬러도 속눈썹에의 초기의 도포(initial application)에는 조절 슬리브에 약한, 또는 최소의 지압을, 최종의 도포을 위하여 강하고, 또는 최대의 지압을 적용해서 브러쉬에 더 적은 마스카라를 남기던지 또는 브러쉬를 본질적으로 깨끗이 닦음으로서 역시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속눈썹에 발라진 마스카라의 양은 사용자에 의하여 바라는대로 조절될 수 있다. 마스카라의 최종 도포중의 단단한 압착은 바람직하게는 브러쉬 강모가 속눈썹에 페더링(feathering) 또는 빗질(combing) 효과를 제공하게 하며, 이는 각 속눈썹을 다른 것으로부터 분리 그리고/또는 전개하게 하여 속눈썹에 풍부한(full-bodied) 외관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여기에서 구현된 가용성의 조절 슬리브는 미용 산업을 오래 괴롭혔던 테일링 문제를 푼다. 지압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슬리브 부재의 제공은 강모가 길거나 짧거나, 과잉 마스카라가 고르게, 또는 달리 소망하는 바에 따라, 브러쉬의 전 길이를 따라 제거된다. 실제로, 마스카라 브러쉬의 강모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가요성의 슬리브 부재의 벽을 통하여 촉감을 손가락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브러쉬의 위치를 느끼고, 브러쉬의 단부가 가요성 슬리브 부재를 통하여 인출됨에 따라 증가된 지압으로 마스카라 테일링을 제거(pinch off)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마스카라 브러쉬의 강모를 느낄 수 있는 이러한 능력은, 다시, 다양한 전문화된 강모 배치의 의도된 작업을 실현할 수 있게 하며, 이는 미용 산업에서 사용되는 마스카라 용기로서는 지금까지 가능하지 않았다. 더욱이, 가요성의 조절 슬리브 부재가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사용자는 그것이 조절 슬리브 부재를 통하여 인출되는 과정에 있는 때 도포기로부터 제거되는 마스카라 또는 다른 아플리케의 양을 볼 수 있게 되는 부가된 장점을 가지게 된다.
여기에서 구현된 가요성의 조절 슬리브 부재의 제공은 브러쉬로부터 닦아진 과잉 마스카라가 항상 저장소의 내부에 남아있으며, 이는 마스카라의 조기 건조 그리고/또는 응집을 방지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리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또한, 화장지 또는 다른 외부적인 천이 과잉 마스카라를 브러쉬로부터 제거할 것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이질의 재료는 마스카라 저장소의 외부에 남게되며, 마스카라 유체내 응집의 생성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완전히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사용중의 모든 과잉 마스카라가 저장소에 남기 때문에, 그리고 조기의 건조 그리고 응집이 방지되거나 또는 적어도 지연되기 때문에, 본 발명은 마스카라의 낭비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데 역시 유리하다.
본 발명이 제1차적으로 미용 산업에서의 이용을 위하여,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카라의 도포을 위하여 고안되었지만, 그 장점은 마스카라나 미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신, 마스카라 제품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전술된 목적 및 특정한 장점은 본 발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의 예시적인 것이며, 잉크, 페인트 또는 광택제와 같은 다른 유체, 페이스트 또는 정밀하게 분말된 제품 그리고 다른 산업에서 실현될 수 있는 가능한 장점을 소진시키거나(exhaustive) 또는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표와 장점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적시된 단계 및 과정 뿐만 아니라 부품, 구성, 고안 및 그 조합에 의하여 동일한 것이 실현되거나 달성되는 한, 여기서 구현되거나 또는 잉크, 페인트, 목공, 미용 그리고/또는 몰딩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수 있는 어떠한 변화의 관점에서 변형된 것도 여기의 기술로부터 명백하거나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으로부터 습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기서 도시되고 기술되는 신규한 부품, 구성, 배치, 조합, 단계 그리고 공정, 그리고 개량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마스카라와 같은 유체 아플리케 재료를 보관하고 브러쉬 강모와 같은 도포기상으로 분배하기 위하여 용기가 제공된다. 아플리케는 하우징 저장소에 수용되어 있으며, 도포기는 캡 부재 내에 내부적으로 장착된 로드(rod) 부재의 말단의 단부에 제공된다.
캡 부재가 용기를 닫기 위하여 하우징 부재에 고정되는 때에, 도포기가 저장소의 하부에 근접하여 안착될 수 있도록, 가용성의 변형 가능한 슬리브 부재는 몰딩 가능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며, 가요성 슬리브 부재와 저장소 하우징 부재 사이의 봉인된 연결을 제공하기 위하여 직접 하우징 부재에 몰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슬리브 부재는 독립한 장치로 몰딩되고 그 후 하우징 부재에 조립될 수 있으며, 이는 슬리브 부재를 하우징 부재에 조립하기 전에 하우징 저장소가 아플리케 재료로 채워지는 것을 허용하는 점에서 유리하다는 것이 발견될 수 있다.
가요성의 슬리브 부재는 개방된 단부를 가지며 일 단부에서 아플리케 저장소와 연통하는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통로는 슬리브 부재가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때에도 실질적으로 간섭없이 도포기를 수납하는데 적합화되어 있다. 이 구현예에서, 캡 부재는 슬리브 부재 상부 및 둘레에 결합되고 용기를 닫기 위하여 하우징 부재의 외부 표면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적합화된다. 닫게 되는 때에, 슬리브 부재의 고정되지 않은한 단부는 캡 부재의 내부 단부 표면과 밀봉되어 맞물린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슬리브 부재의 고정되지 않은 단부는 단단하고 상대적으로 얇은 판 부재에 직접적으로 몰딩 그리고/또는 접착되며, 캡 부재는 용기를 닫기 위하여 판 부재에 고정되도록 적합화된다. 이 구현예에서, 슬리브 부재는 캡 부재와 하우징 부재 사이에서 그 대향되는 단부 표면에서 봉인되는 용기의 중간 외측 표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슬리브 부재의 내부의 통로는 일련의 원형 나사 모양 홈과 융기부를 구비하며, 슬리브 부재의 외측 벽은 사용자가 도포기의 아플리케의 소망하는 양을 분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슬리브 부재 및 그에 따라 내부 통로를 도포기에 대하여 파지, 압착 그리고/또는 조작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중앙의 오목한 표면을 제공하도록 좁아진다. 또한, 가요성의 슬리브 부재는 몰딩후에 투명하며 자체 지지되며(self-supporting), 그리고 슬리브 부재의 비틀림 또는 다른 조작으로 인한 인열(찢어짐)을 견디기 위하여 충분한 인장 및 인열 강도(tensile and tear strength)를 가진 탄성 중합체 재료(elastomeric material)로부터 몰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특히 가요성의 슬리브 부재가 용기의 중간 외측 표면을 형성하는 경우, 슬리브 부재는 장식적으로 또는 용기의 내용물을 확인하도록 상이한 색조(tints of color), 안료(pigment), 글리터(glitter) 등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구성된 아플리케 하우징 부재, 가요성의 벽을 가진 변형 가능한 구획부, 캡 부재 그리고 도포기 브러쉬를 일반적으로 종축 단면에 따라 그린, 부분적으로 원근 화법에 의한, 그림이다.
도 1a는 도 1의 가요성 슬리브 부재의, 부분적으로 원근 화법에 의한, 종축 단면도로서, 나선 형상의 융기부가 슬리브 부재의 중앙 통로의 내측 벽에 형성되고, 플러그 부재와 함께 전술한 융기부를 형성하는,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b는 도 1a의 가요성 슬리브 부재의 사시도로서, 가요성 슬리브 부재의 단부에서 아플리케의 하우징 부재내에 형성된 칼라(collar)를 도시한다.
도 1c는 아플리케 하우징 용기의 평면도로서, 슬리브 부재가 몰딩되는 하우징 부재내의 공동부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의 그림으로서, 가요성 구획부를 아플리케 하우징 단면(section)에의 조립을 나타내며, 아플리케 하우징 부재의 벽을 따라 그리고 가요성 구획부의 내측 돌출부를 따라 연장되며 가요성 구획부의 외측 단부에 인접하여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랩(flap) 부재에서 끝나는 내측 라이닝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캡 부재와 브러쉬 부재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그림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에 따른 본 아플리케 용기의 가요성 구획부를 미리 몰딩된 아플리케 하우징 부재에 형성하고 접착하는 몰딩 공동부(mold cavity) 및 플러그 부재를 그린, 부분적으로 원근 화법에 의한, 그림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아플리케 용기 구현예의 가요성 구획부의 내측 형상을 형성하는 도 4a의 플러그 및 공동부 부재의 부분적으로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가요성 구획부를 미리 몰딩된 아플리케 하우징 부재의 개방된 단부에 형성된 일련의 노치(notch) 모양의 개구(notch-like opening) 또는 창에 오버 몰딩함(overmolding)에 의해 아플리케 하우징 부재에 부착된 본 발명의 가요성 구획부를 도시하는, 부분적으로 원근 화법에 의한, 그림이다.
도 5는, 가요성 슬리브 부재가 미리 몰딩되고 그 후 아플리케 하우징 부재에 스냅 끼움되고(snap-fit) 적절하게 접착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는 일반적으로 종축 단면에서 취해진, 부분적으로 원근 화법에 의한, 도면이다.
도 5a는 도5에 도시된 변형 가능한 가요성의 구획부의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의 파선도로서, 아플리케 용기의 가요성 구획부가 일 단부에서 아플리케 하우징 부재에, 그리고 또 다른 단부에서 판 또는 디스크 부재의 단단한 단부에 부착되어, 대응하는 나사 또는 대응하는 비드 및 홈 부재(mating bead and groove member)에 의한 걸쇄 고정에 의하여 캡 부재 및 브러쉬 부재가 부착될 수 있고, 아플리케 용기 제조의 완성을 관찰할 수 있도록 가요성의 구획부가 노출된 것을 도시한다.
도 7은 캡 부재와 하우징 부재가 인간 공학적 파지 표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라운딩되고 가요성의 벽을 가진 변형 가능한 구획부는 지압에 의하여 용이한 파지와 조작을 위하여 좁아진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의 종축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7에 도시된 아플리케 용기 하우징 부재의 종축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에 도시된 구현예의 종축 단면도로서, 하우징 부재에 부착된 내측 가요성의 조절 슬리브 부재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에 유사한 완전한 아플리케 용기의 평면도로서, 제1 단부에서의 아플리케 하우징 부재를 그리고 제 2 단부에서 제거 가능한 캡 부재를, 전술한 하우징 및 캡 부재에 그 대응하는 단부에 부착된 가요성의 변형 가능한 구획부에 의하여 분리되고, 따라서 가요성 구획부가 제조후에 보여질 수 있도록 노출된다. 또한, 이 구현예에서, 가요성 구획부의 외측 벽은 지압에 의한 용이한 파지 및 조작을 위하여 그 중안 부분을 따라 좁아진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아플리케 용기의 일 단부의 단부 상부에서 본 도면이다.
도 9a는 도 9의 9a-9a선을 따라 취해진, 부분적으로 원근 화법에 의한, 종축 단면도로서, 특히 가요성 구획부의 홈진 중앙 통로를 도시하고, 또한 캡 부재와 가요성 구획부가 접착된 외측 판 사이의 나사 연결을 도시한다.
도 10은, 도 8의 아플리케 용기의, 부분적으로 원근 화법에 의한, 종축 단면도로서, 아플리케 저장소, 가요성 중간 단면, 캡 부재 및 마스카라 도포기의 각각을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의 중간 가요성 부분의 분해된 확대도로서, 특히, 가요성 슬리브 통로의 테이퍼지고 홈진 내측 표면, 가요성 슬리브 부재의 각각의 용기 하우징 부재에 몰딩된 부착 및 캡 부재의 판 부재의 외측 표면에로의 나사 연결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구성된 아플리케 용기의 사시도로서, 아플리케의 소망하는 양을 도포기로 분배하기 위하여 도포기에 대하여 가요성 조절 슬리브 부재를 압착 및 조작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용기로부터 도포기를 인출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제 보다 상세하게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가 도 1에 나타나 있으며, 속눈썹 마스카라 제품의 보관과 그러한 제품의 속눈썹에의 도포를 위한 용기(container:10)가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구현되는 경우, 용기(10)는, 마스카라가 제품이 보관되는 일반적으로 관상의(tubular), 연장된 하우징 부재(12)과 하우징 부재(12)의 개방된 단부에 적절하게 고정되며 가요성 벽을 가진, 그러나 자기 자체 지지되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슬리브 부재(14) 및 슬리브 부재(14)의 상부 그리고 둘레에 결합하도록 적합화되며, 하우징 부재(12)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는 캡 부재(16)를 구비한다. 로드 부재(rod:19)의 말단 단부에 장착된 브러쉬, 면봉 등과 같은 도포기(18)는 캡 부재(16)의 닫혀진 단부 부분에 적절하게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구현된 경우로써, 하우징 부재(12)는 하우징 부재(12)내에 마스카라 제품의 축적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단부(20a,20b)에서 완화되게 경사지는 내측으로 연장된 챔버(20)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챔버(20)는 그 단부(20a)에서 좁아진 중앙 통로(20c)와 연통되며, 상기 통로는 다시 가요성 슬리브 부재(14)에 형성된 중앙 통로(22)와 연통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도포기(18)는 통로(22,20c)를 통해서, 그리고 하우징 부재(12)로 또는 하우징 부재로부터 캡 부재(16)를 고정하고 제거함에 따라 마스카라 챔버(20)의 안으로 그리고 밖으로 지나도록 적합화된다. 적어도 가용성 슬리브 부재(14)를 둘러싸는 캡 부재(16)의 그 부분은, 캡 부재가 하우징 부재에 고정되는 때에 가요성 슬리브 부재를 볼 수 있도록, 투명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구현되는 것과 같이, 하우징 부재(12)의 개방된 단부는 개구부(opening:20c)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방사상으로 배열된 공동부(空洞部:25)를 구비한다. 슬리브 부재(14)는 플라스틱 폼(plastic foam) 재료, 또는 탄성 중합 재료등과 같이 몰딩후에도 가용성이면서 자체 지지되는, 비틀림 그리고/또는 신장에 따른 찢어짐을 견디기 위한 충분한 인장 및 인열 강도를 갖는 몰딩 가능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슬리브 부재(14)는 따라서, 도 1a와 1b의 참조 번호(26)에서 가장 잘 나타내진 것과 같이 공동부(25)를 채울 수 있도록 사출 성형과 같은 적절한 몰딩 과정에 의하여 하우징 부재(12)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많은 적절한 플라스틱 또는 탄성 중합 재료가 몰딩 분야에서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알려진 것인바, 메사츄세츠(Massachusetts), 하노버(Hanover)의 HAPCO Company에 의해 제조된 "HAPFLEX Series 1021"로 알려진 재료가 만족스러운 성능을 내며, 이 경우, 슬리브 부재(14)에 대한 바람직한 재료라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캡 부재(16)의 내측 단부 표면은 도포기 장착 로드 부재(19) 주위에서 연장되며 캡 부재(16)가 하우징 부재(12)에 고정되는 때에 슬리브 부재(14)의 단부 표면(14a)과 기밀 봉인으로 맞물리도록 적합화된 가스켓 또는 와셔(27)과 같은 봉인 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구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요성의 벽을 가진, 자체 지지되는 슬리브 부재의 사용을 위해 제공되며, 상기 슬리브 부재는 도포기 브러쉬로부터 과잉 마스카라를 닦거나 또는 계측하기 위하여 손가락에 의하여 변형 가능하고, 내용물이 완전히 비워지기 전에 마스카라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밀된 봉인으로 가요성의 슬리브 부재와 마스카라 제품을 둘러싼다라는 것이 전술된 것으로부터 보일 것이다.
이제 더욱 상세하게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구현된 것처럼, 가요성 슬리브 부재(14')의 중앙 통로(22')에는 아플리케 제품용의 용기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도포기로부터 과잉 아플리케의 떼어냄 또는 닦음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련의 코르크 나사 또는 나사 모양의 나선 융기부 그리고/또는 홈(groove)이 제공된다.
이제 더욱 상세하게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예컨대 Saran과 같이 얇고, 증기가 투과되지 않으며 무독성인 플라스틱 라이너(liner:30)가 챔버(20)의 내부 표면과 슬리브 부재(14')의 통로(22')에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캡 부재(32)의 내부 단부(31a)와 짝을 이루는 경우 봉인을 형성하기 위하여 디스크 모양의 플랩(flap:31)으로 끝난다. 또한, 도 2에서 가장 잘 나타나는 것과 같이, 가용성 슬리브 부재(14')의 중앙 통로(22')는 도포기 브러쉬로부터 과잉 마스카라 제품을 닦는 것을 돕기 위하여 원형의 융기부 또는 치형(teeth)으로 형성이 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전술된 다른 각각의 구현예에서, 캡 부재(16 또는 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되는 나사(screw thread)에 의하여 또는 대응하는 비드(bead)와 홈(groove) 기구(미도시)로 형성된 스냅 끼움에 의하여 하우징 부재(12)에 고정될 수 있다.
이제 더욱 상세하게 도 4a-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구현된 바와 같이, 하우징 부재(12)는 상대적으로 단단한(hard)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미리 몰딩되고, 그 후, 가요성 슬리브 부재(14)를 형성하는 상대적으로 연한 플라스틱 또는 탄성 중합 재료는 하우징 부재(12)의 단부 벽에 사전에 형성된 공동부(25)를 채우는 것에 의하여 슬리브 부재(14)를 하우징 부재(12)에 부착하기 위하여 오버 몰딩된(over-molded), 쓰루우 몰딩된(through-molded) 또는 사출 성형된다.
통로(22')의 내부 표면에 제공된 융기부 또는 홈은, 도 1a 그리고 4b에서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절두 원추(frusco-conically) 형상의 "치형(tooth)" 부재(41)를 포함하는 플러그(plug:40)에 의한 슬리부 부재(14')의 몰딩과 함께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러그(40)는 하우징 부재(12)가 라이너(30)와같이 제공되는 때에 수납하는 플랩(31)의 구매를 창조하기 위하여 디스크 부재(42)를 또한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치형 부재(41)를 약간의 피치로 그리고/또는 하나의 단부에서 또 다른 단부까지 통로(22')를 테이핑함에 의해서(특히, 도 9a,10 그리고11을 참조) 제공함으로서, 슬리브 부재(14')가 하나의 단계에서 몰딩될 수 있으며 그 후 나사의 해제에 의한 것과 같이 회전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제 더욱 상세하게 도 5-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구현된 바와 같이, 하우징 부재(12)의 개방된 단부에는 작고 안쪽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링(ring) 또는 칼라(collar:50)가 제공되며, 슬리브 부재(14)는 낮은 유사하게 형성된 클립 링(clip ring:51)으로 미리 형성되어, 슬리브 부재(14)를 하우징 부재(12)에 장착하기 위하여 칼라(50)밑에서 걸쇄 고정하기에 적합화된다.
이제 더욱 상세하게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구현된 바와 같이, 슬리브 부재(14,14' 그리고/또는 14”)는 미리 형성되어 있으며, 그 후 공동부(25)안이나 칼라(50)밑에서 강제 결합(force fit)에 의하여 하우징 부재(12)에 조립된다. 여기에서 구현된 바와 같이, 조립후 고정된 밀봉 연결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우징 부재과 슬리브 부재의 한 쪽 또는 양쪽에 적절한 접착 재료가 적용될 수 있다.
이제 더욱 상세하게 도 6 그리고 도8-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구현된 바와 같이, 슬리브 부재(14”)는 하우징 부재(12)와, 그 반대 단부에서, 몰딩 작업중에 슬리브 부재(14”)가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개방된 공동부(61)를 역시 포함하는 단단한 디스크 부재에 몰딩에 의해 직접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다시, 적절한 접착 재료가 슬리브 부재와 판 부재 사이의 밀봉된 연결을 확보하기 위하여 공동부 벽면에 적용될 수 있다. 캡 부재(16)는 대응하는 나사(62)에 의하여 또는, 그 대신, 비드 및 홈 스냅 끼움에 의하여 디스크(60)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현예에서, 슬리브 부재(14”)의 외부 주변 표면은 제조의 완성과 동시에 노출된다. 따라서, 이 구현예는 아플리케 제품이 조기 건조를 방조하기 위한 부가적인 밀봉 또는 외부 커버를 필요하지 않는 때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9a 그리고 11에서 가장 잘 나타나는 것처럼, 슬리브 부재(14”)의 홈진 내측 통로(22”)는 가장 외측 단부로부터 하우징 부재(12)에 장착되는 단부를 향하여 테이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로(22”)의 가장 좁은 부분은 도포기(18)가 실질적으로 간섭없이 통과하도록 허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런 구성은 도포기가 슬리브 부재의 외측 단부에 도달하기 전에 마스카라의 덩어리 또는 다른 아플리케 재료가 도포기로부터 닦아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과잉 아플리케가 흘러 저장소로 다시 배출되어, 아플리케가 슬리브 통로의 개방된 단부에서 쌓이는 그리고/또는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라는 것이 보일 것이다.
본 발명이 아플리케 용기, 캡 부재 또는 가요성의 슬리브 부재의 어느 특정한 형상 또는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전술된 바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그 전체적인 형상은, 도 1 및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만년필의 그것과 매우 유사하게, 일반적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형상일 수 있다. 또는, 도 7 내지 7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아플리케 하우징 부재는 약간 볼록한 굴곡을 가질 수도 있고, 도 8 내지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에 의한 파지 그리고 조작의 편의를 위해 가요성의 슬리브 부재의 외측 벽이 오목한 또는 다른 소망하는 표면 굴곡을 형성하기 위하여 좁아질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캡 부재는 도포기 브러쉬의 파지와 조절의 편의를 위한 볼록한, 더욱 인간 공학적 핸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확대되고 라운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범위의 관점에서, 여기서 보여지고 기술된 특정한 구현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원리를 떠나지 않고 그리고 주요한 장점을 희생시키지 않고 변형이 만들어 질 수 있다는 것이 당해 분야에서 기술을 가진 사람에 의해서 이해되어져 있을 것이다.

Claims (17)

  1. 아플리케 재료를 보관하고 상기 재료의 원하는 양을 도포기로 배분하는 용기로서, 상기 용기는,
    일정량의 상기 아플리케 재료를 보관하기 위한 하우징 부재로서, 닫혀진 하부 단부 그리고 상부 개구부를 가지는 저장소 챔버, 상기 저장소 챔버의 상부 개구부와 연통하는 개방된 단부의 통로, 및 상기 통로에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 부재로 연장되는 개방된 단부의 공동부 수단를 구비하는 하우징 부재;
    상기 용기를 밀봉하여 닫기 위한 캡 부재로서, 상기 캡 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되지 않은 단부를 가진 로드 부재와, 상기 로드 부재의 일 단부를 상기 캡 부재에 장착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캡 부재;
    상기 로드 부재의 고정되지 않은 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캡 부재가 상기 용기를 밀봉되게 닫을 때에 상기 저장소의 하부에 근접하여 안착하도록 적합화된 도포기;
    대향하는 제1 및 제 2 개방된 단부와 연통하는 중앙 통로를 가지는 슬리브 부재로서, 상기 슬리브 부재가 그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통로는 상기 도포기를 실질적으로 간섭없이 수납하도록 적합화되며, 상기 통로는, 직접 상기 슬리브 부재의 외측 표면에 대하여 내측의 지압을 적용할 시에, 상기 저장소로부터 상기 통로를 통하여 상기 도포기를 동시에 인출하는 동안 상기 슬리브 부재를 압착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도포기의 아플리케의 원하는 양을 분배하는 상기 도포기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가변적인 간섭 표면을 제공하도록 역시 적합화되는, 개방된 단부의, 자체 지지되는, 변형 가능한 슬리브 부재;
    각각의 상기 슬리브 부재와 하우징 통로를 서로 맞춘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 부재의 상기 제1 개방된 단부를 상기 하우징 공동부 수단내에 고정되게 밀봉하여 장착시키는 수단; 및
    상기 도포기의 로드 부재가 상기 슬리브 부재를 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도포기가 상기 저장소의 하부에 인접하여 위치될 때에, 상기 슬리브 부재의 상기 제 2 개방된 단부를 캡 부재에 밀봉되게 장착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변형 가능한 슬리브 부재의 상기 통로는 상기 제2 개방된 단부로부터 상기 제1 개방된 단부를 향해 테이퍼지며, 상기 제1 개방된 단부는 상기 슬리브 부재가 그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실질적 간섭없이 상기 도포기를 그것을 통해 수납하도록 적합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가능한 상기 슬리브 부재의 상기 통로는 상기 도포기로부터 과잉 아플리케 재료를 제거하기 위한 내측 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가능한 슬리브 부재는 열성형 가능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 부재는 상기 하우징 부재에 상기 하우징 공동부 수단안으로 몰딩됨으로써 고정되게 밀봉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삭제
  5. 삭제
  6. 아플리케 재료를 보관하고 상기 재료의 원하는 양을 도포기로 배분하는 용기로서, 상기 용기는,
    일정량의 상기 아플리케 재료를 보관하기 위한 하우징 부재로서, 닫혀진 하부 단부 그리고 상부 개구부를 가지는 저장소 챔버, 상기 저장소 챔버의 상부 개구부와 연통하는 개방된 단부의 통로, 및 상기 통로에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 부재로 연장되는 개방된 단부의 공동부 수단를 구비하는 하우징 부재;
    상기 용기를 밀봉하여 닫기 위한 캡 부재로서, 상기 캡 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되지 않은 단부를 가진 로드 부재와, 상기 로드 부재의 일 단부를 상기 캡 부재에 장착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캡 부재;
    상기 로드 부재의 고정되지 않은 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캡 부재가 상기 용기를 밀봉되게 닫을 때에 상기 저장소의 하부에 근접하여 안착하도록 적합화된 도포기;
    대향하는 제1 및 제 2 개방된 단부와 연통하는 중앙 통로를 가지는 슬리브 부재로서, 상기 슬리브 부재가 그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통로는 상기 도포기를 실질적으로 간섭없이 수납하도록 적합화되며, 상기 통로는, 직접 상기 슬리브 부재의 외측 표면에 대하여 내측의 지압을 적용할 시에, 상기 저장소로부터 상기 통로를 통하여 상기 도포기를 동시에 인출하는 동안 상기 슬리브 부재를 압착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도포기의 아플리케의 원하는 양을 분배하는 상기 도포기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가변적인 간섭 표면을 제공하도록 역시 적합화되는, 개방된 단부의, 자체 지지되는, 변형 가능한 슬리브 부재;
    각각의 상기 슬리브 부재와 하우징 통로를 서로 맞춘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 부재의 상기 제1 개방된 단부를 상기 하우징 공동부 수단내에 고정되게 밀봉하여 장착시키는 수단; 및
    상기 도포기의 로드 부재가 상기 슬리브 부재를 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도포기가 상기 저장소의 하부에 인접하여 위치될 때에, 상기 슬리브 부재의 상기 제 2 개방된 단부를 캡 부재에 밀봉되게 장착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저장소의 내측 표면, 상기 하우징 통로와 상기 슬리브 통로를 코팅하며, 상기 변형 가능한 슬리브 부재의 상기 제2 단부의 단부 표면과 결합하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랩(flap)에서 끝나는 얇고, 가요성이 있으며 연속적인 라이너 재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의 개방된 단부는 직립의 내측으로 배향된 플랜지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슬리브 부재를 상기 하우징 부재에 고정되게 밀봉하여 장착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공동부 수단내에 그리고 상기 하우징 플랜지 수단 밑에서 스냅 결합되도록 적합화된 상보적이며 외측으로 배향된 플랜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아플리케 재료를 보관하고 상기 재료의 원하는 양을 도포기로 배분하는 용기로서, 상기 용기는,
    일정량의 상기 아플리케 재료를 보관하기 위한 하우징 부재로서, 닫혀진 하부 단부 그리고 상부 개구부를 가지는 저장소 챔버, 상기 저장소 챔버의 상부 개구부와 연통하는 개방된 단부의 통로, 및 상기 통로에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 부재로 연장되는 개방된 단부의 공동부 수단를 구비하는 하우징 부재;
    상기 용기를 밀봉하여 닫기 위한 캡 부재로서, 상기 캡 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되지 않은 단부를 가진 로드 부재와, 상기 로드 부재의 일 단부를 상기 캡 부재에 장착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캡 부재;
    상기 로드 부재의 고정되지 않은 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캡 부재가 상기 용기를 밀봉되게 닫을 때에 상기 저장소의 하부에 근접하여 안착하도록 적합화된 도포기;
    대향하는 제1 및 제 2 개방된 단부와 연통하는 중앙 통로를 가지는 슬리브 부재로서, 상기 슬리브 부재가 그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통로는 상기 도포기를 실질적으로 간섭없이 수납하도록 적합화되며, 상기 통로는, 직접 상기 슬리브 부재의 외측 표면에 대하여 내측의 지압을 적용할 시에, 상기 저장소로부터 상기 통로를 통하여 상기 도포기를 동시에 인출하는 동안 상기 슬리브 부재를 압착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도포기의 아플리케의 원하는 양을 분배하는 상기 도포기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가변적인 간섭 표면을 제공하도록 역시 적합화되는, 개방된 단부의, 자체 지지되는, 변형 가능한 슬리브 부재;
    각각의 상기 슬리브 부재와 하우징 통로를 서로 맞춘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 부재의 상기 제1 개방된 단부를 상기 하우징 공동부 수단내에 고정되게 밀봉하여 장착시키는 수단; 및
    상기 도포기의 로드 부재가 상기 슬리브 부재를 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도포기가 상기 저장소의 하부에 인접하여 위치될 때에, 상기 슬리브 부재의 상기 제 2 개방된 단부를 캡 부재에 밀봉되게 장착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캡 부재는 상기 변형 가능한 슬리브 부재와 상기 하우징 부재 각각의 상부와 둘레로 맞춰지도록 적합화되며;
    각각의 상기 캡 부재와 상기 하우징 부재는 그들을 서로 제거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캡 부재와 하우징 부재가 서로 고정되는 때에, 상기 변형 가능한 슬리브 부재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캡 부재와 밀봉되어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1 항에 있어서,
    중앙 통로 및 그 제 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중공형 나사 형성된 중앙 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핀 부재에 인접하는 공동부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견고하고 상대적으로 얇은 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 부재의 상기 제2 개방된 단부는 상기 판 공동부 수단안으로 몰딩되는 것에 의해 상기 핀 부재의 반대편에서 상기 판 부재의 표면에 고정되게 밀봉되어 장착되며, 상기 판 통로와 상기 핀 부재의 상기 중공형 부분은 상기 슬리브 부재와 하우징 통로와 맞춰지며,
    상기 캡 부재내의 기부 부재는 상기 나사 형성된 핀 부재를 수납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나사 형성된 보어를 구비하며,
    상기 도포기는 실질적으로 간섭없이 상기 판 통로와 상기 중공형 핀 부재를 통과하도록 적합화되며;
    상기 용기는 상기 캡 부재를 상기 판 부재에 나사 결합으로 장착시켜 밀봉되어 닫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가능한 슬리브 부재는 투명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플리케 재료는 마스카라이며, 그리고 상기 도포기는 상기 도포기 로드 부재로부터 측방향으로 그리고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브러쉬 강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2. 아플리케 유체 물질의 소망하는 양을 보관하고 도포기로 분배하기 위한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일정량의 상기 아플리케 재료를 보관하기 위한 하우징 부재를 미리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하우징 부재는 개방된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에 근접한 공동부 수단을 더 구비하는 단계;
    상기 용기를 밀봉하여 닫기 위한 캡 부재를 미리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캡 부재는 상기 캡 부재내에 장착된 로드 부재와 상기 로드 부재의 말단 단부에 장착된 도포기를 구비하며, 상기 도포기는 상기 캡 부재가 상기 용기를 닫을 때에 상기 하우징 부재의 하부에 근접하여 안착하도록 적합화되는 단계;
    상기 미리 형성된 하우징 부재를,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개방된 단부와 연통하는 중앙 통로를 가지는, 개방된 단부의, 자체 지지되는 슬리브 부재를 형성하기 적합화된 몰딩 다이와 플러그에 안에 배치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통로는 실질적으로 간섭없이 상기 도포기를 수납하기 적합화되는 단계; 및
    몰딩 가능한 재료를 상기 몰딩 다이와 플러그에 채우고, 그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 공동부 수단을 상기 몰딩 가능한 재료로 채워서, 상기 슬리브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캡 부재가 상기 용기를 닫을 때에 상기 슬리브 부재는 상기 하우징 부재와 상기 캡 부재의 각각에 밀봉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캡 부재는 각각의 상기 슬리브 부재와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부 및 둘레에 맞도록 적합화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캡 부재와 하우징 부재는 서로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는 수단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하우징 부재의 반대편의 상기 슬리브 부재 단부는 상기 캡 부재와 하우징 부재가 서로 고정되는 때에 상기 캡 부재의 내측 단부와 밀봉되어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 방법.
  13. 삭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의 개방된 단부와 이격된 관계에서 상기 다이내에 단단하고, 상대적으로 얇은 판 부재를 장착하는 단계로서, 상기 판 부재는 중앙 통로와 상기 중앙 통로와 인접한 공동부 수단을 구비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판 부재는 그 통로가 상기 하우징 부재의 개구부와 정렬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판 부재는 상기 캡 부재와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어지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몰딩 다이와 플러그에 몰딩 가능한 재료를 채우는 것은 각각의 상기 하우징 부재 및 판 공동부 수단을 채우며 그 사이에서 슬리브 부재를 형성하며, 그에 의해 상기 캡 부재가 상기 용기를 닫을 때에 상기 슬리브 부재를 각각의 상기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캡 부재에 밀봉되어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가능한 재료는 몰딩후에 투명하고 가요성이 유지되며,
    상기 슬리브 부재의 외부 표면에 대하여 직접 내측을 향한 지압을 가할 시에, 상기 슬리브 부재내의 상기 통로는 상기 도포기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가변적인 간섭 표면을 제공하여, 상기 도포기에 원하는 양의 아플리케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 방법.
  16. 삭제
  1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가능한 슬리브 부재안의 상기 통로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며, 상기 통로를 감싸는 슬리브 벽면의 외측 표면은 상기 제1 단부와 제 2 단부 사이의 중간 부분을 따라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047012673A 2002-02-15 2003-01-29 개량된 아플리케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0568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736302P 2002-02-15 2002-02-15
US60/357,363 2002-02-15
PCT/US2003/002619 WO2003070053A1 (en) 2002-02-15 2003-01-29 Improved applique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933A KR20040103933A (ko) 2004-12-09
KR100568074B1 true KR100568074B1 (ko) 2006-04-05

Family

ID=27757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673A KR100568074B1 (ko) 2002-02-15 2003-01-29 개량된 아플리케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722804B2 (ko)
EP (1) EP1474017B1 (ko)
JP (1) JP3977336B2 (ko)
KR (1) KR100568074B1 (ko)
CN (2) CN100450394C (ko)
AU (1) AU2003210711A1 (ko)
CA (1) CA2475908C (ko)
ES (1) ES2527116T3 (ko)
HK (2) HK1069748A1 (ko)
MX (2) MXPA04007889A (ko)
WO (1) WO20030700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13365A1 (de) * 2002-03-26 2003-10-09 Geka Brush Gmbh Haarfärbe-oder Kosmetik-Einheit
KR200341777Y1 (ko) * 2003-10-06 2004-02-14 김영육 승강기 마스카라
FR2878130B1 (fr) * 2004-11-25 2007-02-09 Lvmh Rech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 mascara, et son utilisation pour le maquillage
US20060235434A1 (en) * 2005-04-14 2006-10-19 Sheila Pavich Disposable skin marker method and apparatus
DE202006007492U1 (de) * 2005-06-24 2006-08-24 Jenner, Günter Verbindungsteil für Applikatoren
FR2935877A1 (fr) * 2008-09-18 2010-03-19 Ile M V R Soc Civ Dispositif d'essorage pour ensemble applicateur pour produit cosmetique liquide, pateux ou en poudre tel que du mascara ou de l'eye-liner
EP2202042B1 (en) * 2008-12-24 2013-02-20 Albéa Services A container and applicator arrangement for a cosmetic product, and associated method of manufacture
DE202009004528U1 (de) 2009-04-01 2010-08-19 Schwan-Stabilo Cosmetics Gmbh & Co. Kg Applikationsvorrichtung mit über eine Knautschzone einstellbarem Abstreifmittel
USD616608S1 (en) 2009-10-26 2010-05-25 Mary Kay Inc. Mascara container
CN101731821B (zh) * 2009-12-25 2011-12-21 藤兴工业有限公司 推启式化妆品容器
FR2959107B1 (fr) 2010-04-23 2015-03-27 Oreal Unite d'application d'un produit cosmetique
FR2983390B1 (fr) * 2011-12-01 2014-01-10 Oreal Preforme destinee a l'obtention d'au moins une piece d'un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ou d'application de produit cosmetique
US9320339B2 (en) * 2014-03-13 2016-04-26 Elc Management Llc Cosmetic applicator system comprising a magnifying cap for a non-functional applicator head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8146U (ko) * 1973-12-12 1975-07-26
US4433928A (en) * 1977-12-05 1984-02-28 Plough, Inc. Adjustable cosmetic wiper
FR2515941A1 (fr) * 1981-11-06 1983-05-13 Oreal Ensemble de maquillage a organe d'essorage reglable
JPS60151417U (ja) * 1984-03-16 1985-10-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マスカラ等の化粧料容器
GB8512801D0 (en) * 1985-05-21 1985-06-26 Cole R D Cosmetic applicator & wiper
FR2648686B1 (fr) * 1989-06-23 1993-06-04 Oreal Ensemble de maquillage mettant en oeuvre un produit fluide de maquillage susceptible de durcir par evaporation d'un solvant
FR2724296B1 (fr) * 1994-09-12 1997-06-20 Sanofi Sa Ensemble applicateur pour produit cosmetique, tel un mascara
JPH09103322A (ja) * 1995-05-15 1997-04-22 Kamaya Kagaku Kogyo Co Ltd 化粧料塗布具付き容器
US6264390B1 (en) * 1996-07-01 2001-07-24 Jennifer Paulson Lee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excess applique from an applicator
FR2752696B1 (fr) * 1996-09-02 1998-09-25 Oreal Applicateur de produit liquide ou semi-liquide et ensemble d'application utilisant un tel applicateur
DE19848471A1 (de) * 1998-10-21 2000-04-27 Geka Brush Georg Karl Gmbh Haarfärbe- oder Kosmetik-Einheit, insbesondere Mascara-Einheit
US6158912A (en) * 1999-05-24 2000-12-12 Color Access, Inc. Flexible wall cosmetic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933A (ko) 2004-12-09
ES2527116T3 (es) 2015-01-20
AU2003210711A1 (en) 2003-09-09
CN101268889A (zh) 2008-09-24
EP1474017A4 (en) 2008-08-13
HK1069748A1 (en) 2005-06-03
CN100450394C (zh) 2009-01-14
MXPA04007889A (es) 2005-06-17
EP1474017A1 (en) 2004-11-10
CN1642458A (zh) 2005-07-20
JP2005517480A (ja) 2005-06-16
WO2003070053A1 (en) 2003-08-28
JP3977336B2 (ja) 2007-09-19
CA2475908A1 (en) 2003-08-28
CA2475908C (en) 2008-03-11
US6722804B2 (en) 2004-04-20
CN101268889B (zh) 2010-06-02
EP1474017B1 (en) 2014-10-15
US20030156885A1 (en) 2003-08-21
HK1123463A1 (en) 2009-06-19
MX370844B (es)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8074B1 (ko) 개량된 아플리케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EP0991338B1 (en) Unidirectional cosmetic wiper
US20060207627A1 (en) Dispenser with applicator
JPH0681409U (ja) 化粧単位
JP3782979B2 (ja) 化粧品等のための包装および塗布装置
US20070235051A1 (en) Artificial nail kit and fluid dispenser
US6174099B1 (en) Device for applying liquid cosmetic products
KR20090004156U (ko) 듀오형 화장품 용기
JP4102645B2 (ja) 貯蔵・塗布ユニット
KR200438140Y1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JP7155428B2 (ja) 残量防止と同時にエアタイト機能を有する化粧品容器
JP3923673B2 (ja) 液状化粧料用容器
US4645366A (en) Container with superposed polishing and applicator devices
JP4565809B2 (ja) 注出具付きの液体容器
JP4397605B2 (ja) 注出具付きの液体容器
KR102185917B1 (ko) 이종 내용물이 수용되고 이중 도포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90027544A (ko)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US20240032672A1 (en) Applicator systems
KR20190000945U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