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544A -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544A
KR20190027544A KR1020170114458A KR20170114458A KR20190027544A KR 20190027544 A KR20190027544 A KR 20190027544A KR 1020170114458 A KR1020170114458 A KR 1020170114458A KR 20170114458 A KR20170114458 A KR 20170114458A KR 20190027544 A KR20190027544 A KR 20190027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application tip
tip
stem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0781B1 (ko
Inventor
김다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70114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781B1/ko
Priority to PCT/KR2018/005450 priority patent/WO2019050126A1/ko
Publication of KR20190027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005Bristle carriers and bristles moulded as a uni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8Supports or guides for bristles
    • A46B9/10Adjust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 A46B2200/1053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 A46B2200/106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including comb like element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는, 제1 도포팁을 포함하는 제1 도포부; 및 상기 제1 도포부와 이웃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도포팁에 의해 외측 일부가 가려지고, 나머지 일부가 노출되는 제2 도포팁을 구비하는 제2 도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Cosmetic tool and Cosmetic vessel}
본 발명은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 솔대를 구비하여 다양한 화장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도포팁을 이용하여 2가지의 사용감을 가질 수 있는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 화장품은 분(粉)과 파운데이션ㆍ볼터치 등으로 얼굴 전체를 자연스러운 살빛으로 꾸미고 입체감ㆍ투명감 등을 연출하며,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은 아이섀도ㆍ마스카라ㆍ인조속눈썹ㆍ눈썹먹ㆍ아이라인ㆍ립스틱(립글로즈, 틴트) 등으로 그 인상을 돋보이게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마스카라, 아이 프라이머, 립글로즈 등과 같이 국소 부위에 화장을 수행하는 경우, 에센스, 로션 등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가 이용된다. 여기서, 립글로즈 제품은 겔 상의 립스틱으로서 입술에 도포하는 데 이용되고, 마스카라는 속 눈썹 등과 같이 눈을 도드라지게 표현하기 이용된다.
이러한 립글로즈와 마스카라는 화장품을 손에 묻히지 않고 화장용 도구를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화장품 용기에 어플리케이터가 일체로 이루어져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어플리케이터는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를 커버하는 뚜껑을 겸하도록 이루어지고, 용기의 내측에 삽입된 하나의 도구로 마련되어, 사용자는 용기에 결합된 어플리케이터와 다른 형태의 도구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로 어플리케이터를 구비/보관하여야 함에 따라 불편함이 따른다.
즉 사용자에 따라 동일한 내용물이더라도 다양한 화장효과를 연출하기 위해 여러 형태의 어플리케이터를 필요로 하나, 하나의 어플리케이터가 뚜껑에 고정된 형태를 가질 뿐이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화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형상이나 크기의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둘 이상의 화장품 용기 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어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화장품 용기에 서로 다른 형태 및 재질의 어플리케이터가 적용될 수 있어, 다양한 방식의 화장이 가능할 수 있는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는, 제1 도포팁을 포함하는 제1 도포부; 및 상기 제1 도포부와 이웃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도포팁에 의해 외측 일부가 가려지고, 나머지 일부가 노출되는 제2 도포팁을 구비하는 제2 도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상기 화장용 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도포부는, 상기 제1 도포부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도포부에 장착시 상기 제1 도포팁에 의해 외측 일부가 커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도포팁은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2 도포팁은, 상기 제1 도포부와 결합시 상기 안착홈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 도포부와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1 도포부와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도포부는, 상기 제1 도포팁을 지지하는 제1 솔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은 상기 제1 솔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도포부는, 상기 제1 도포팁을 지지하는 제1 솔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포부는, 상기 제2 도포팁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솔대를 관통하는 제2 솔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도포팁은, 일단부에서 사선방향으로 커팅처리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도포팁은, 일단부가 상기 경사면으로 일부가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도포팁은, 상기 제2 도포팁에 대비하여 곡률반경 또는 표면적이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도포팁의 일단부에는 내용물이 머금어지도록, 오목하게 이루어지는 수용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도포팁은, 상기 제2 도포팁이 안착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홈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제2 도포팁이 상기 안착홈의 단부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제2 도포팁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안착홈의 일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도포팁은, 상기 제1 도포팁과 동일 재질 또는 이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도포팁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도포부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를 커버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도포부는, 상기 제2 도포팁을 지지하는 제2 솔대; 및 상기 제2 솔대가 마련되며, 상기 캡에 장착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도포부는, 상기 제1 도포팁을 지지하는 제1 솔대를 포함하고, 상기 캡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솔대와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는, 내측이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되고, 외측이 상기 제2 도포부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와 연결되는 하부단; 및 상기 하부단과 상하 일렬로 마련되며, 상기 제2 도포부와 연결되는 상부단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캡에 대비하여 폭이 좁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캡에 수용되거나, 상기 캡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도포부는, 상기 제1 도포팁을 지지하는 제1 솔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포부는, 상기 제2 도포팁을 지지하는 제2 솔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솔대 또는 상기 제1 도포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2 도포팁의 외측을 두르되, 상기 제2 도포팁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제2 솔대 또는 상기 제2 도포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봉 또는 막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도포부는, 상기 제1 도포팁을 지지하는 제1 솔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포부는, 상기 제2 도포팁을 지지하는 제2 솔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솔대 또는 상기 제1 도포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 솔대 또는 상기 제2 도포팁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수평 단면이 원호의 형태를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는,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는 2개의 도포부를 구비하며, 2개의 도포부를 개별로 이용하거나 함께 이용할 수도 있어, 화장품을 전달하는 도포면적의 변화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 화장의 두께를 달리 적용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의 화장을 이룰 수 있고, 2개의 도포부의 재질이 상이하게 이루어져 내용물 전달의 용이성과 쿨링감/마시지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가 포함되는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가 포함되는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가 포함되는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가 포함되는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가 화장품 용기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가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가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안착홈과 수용홈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가 포함되는 화장품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가 화장품 용기로부터 분리되어 사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안착홈과 수용홈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용기 본체(110), 화장용 도구(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화장품 용기(100) 내의 내용물(화장품)은 립제품으로서 겔 또는 젤 상의 립 전용 에센스, 틴트, 립글로즈와 같이 얼굴, 손 이외에 입술을 위한 전용 화장품 용기(1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화장품 용기(100) 내의 내용물은 눈을 강조하기 위해 수용되는 겔 상의 마스카라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점, 흉터, 여드름 등과 같이 좁은 면적을 커버하는 컨실러, 또는 눈 주변을 꾸미기 위한 아이 프라이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다만, 화장용 도구(200)를 통해 내용물이 묻어 나올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점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기 본체(110)는 화장품을 이루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구성으로서, 용기 본체(110)의 형상은 원통 또는 다각면체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한 손으로 잡고 움켜질 수 있도록 상하 길이 방향(도 1 기준)으로 연장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 폭이 상하 길이에 대비하여 크게 이루어지는 자(jar)형태를 이룰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실시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더불어, 용기 본체(110)는 휴대성을 위해 소량의 내용물 일례로 5ml 내지 30ml, 바람직하게는 10ml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에 수용된 내용물은 주둥이(111)의 출입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주둥이(111)의 둘레에는 나사 방식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홈과 돌기의 결합 또는 자석 결합 방식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어, 나사산이 생략될 수도 있다.
그리고 무게, 사용의 편의성 등을 위해, 용기 본체(110)는 플라스틱, 합성수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ETG 재질 등으로 성형될 수 있음은 물론, 이와 달리 탄성을 갖는 재질이거나 형상의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재질이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용기 본체(110)는 일정한 색상을 갖는 립글로즈 또는 마스카라 등의 화장품이 담기는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가시적으로 화장품의 잔여 용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이와 달리 화장품의 고형화 또는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투명한 재질에 스티커 등이 감싸지는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이 립글로즈나 마스카라와 같이 색을 포함하며 입술이나 속눈썹 이외의 피부에 사용하지 않는 제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얼굴, 손 등 이외의 곳에 묻어나면, 입술 또는 눈썹에 바르는 립글로즈나 마스카라 등의 특성상, 손에 묻은 내용물을 닦아내야 하므로(화장품을 손으로 덜어내어 이용하는 경우), 화장품을 손으로 묻힐 필요 없이 용기 본체(110)에 착탈되는 화장용 도구(200)를 신체인 입술, 속 눈썹 또는 여드름 자국 등과 같은 국소 부위에 묻히는 동작만으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화장용 도구(200)는, 용기 본체(110)와 결합하여 뚜껑으로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 화장품을 전달하는 어플리케이터로 이용될 수 있는데, 용기 본체(110)와 개별로 제작/판매될 수도 있어, 사용자는 기존에 이용하던 용기 본체(110)에 화장용 도구(200)를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화장용 도구(200)가 용기 본체(110)와 함께 구비되어 판매/사용될 수 있으며, 형태를 달리 이루는 2가지의 어플리케이터로서 제1 도포부(210), 제2 도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포부(210)는 캡(211), 제1 솔대(212), 제1 도포팁(213)을 포함한다.
캡(211)은 용기 본체(110)를 개폐하는 구성으로서, 주둥이(111)에 결합되기 위해, 주둥이(11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례로 주둥이(111)와 나사 결합되는 경우 주둥이(111)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른 방식으로 결합을 이루는 경우 나사산이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캡(211)은 주둥이(111)에 직접 결합 되지 않고, 주둥이(111)를 커버는 하되, 후술되는 연결부재(2112)가 캡(211)의 내측에 마련되고, 연결부재(2112)와 주둥이(111)가 결합되어, 연결부재(2112)에 의해 캡(211)이 용기 본체(110)와 결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변형예는 다양하다.
그리고 캡(211) 또는 연결부재(2112)가 주둥이(111)와 결합시, 캡(211)은 주둥이(111)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이때 캡(211)과 용기 본체(110) 외측의 연결면은 단턱이 형성되지 않도록 동일한 두께를 이루어, 용기 본체(110)와 캡(211)은 일자 형태를 이루어 외관이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솔대(212)는, 제1 도포팁(213)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캡(211) 또는 연결부재(2112)의 하단(도1, 도 2 기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솔대(212)는 제2 도포부(220)의 제2 솔대(222)가 관통되어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제1 솔대(21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안착홈(2131)이 마련될 수 있고, 안착홈(2131)은 제1 도포팁(213)까지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솔대(212)는 수평 단면이 원호(호)의 형태를 이룰 수 있고, 내주면에 안착홈(2131)이 마련되어, 즉 제2 솔대(222)가 폐쇄형의 봉 또는 바 형태를 이루는 것과 달리, 제1 솔대(212)는 안착홈(2131)이 개방된 형태를 이룰 수 있어, 제1 솔대(212)의 안착홈(2131)을 제2 도포부(220)가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후술되는 제2 도포팁(223)에 묻어난 내용물이 안착홈(2131) 주변에 묻어나더라도 안착홈(2131) 주변을 제2 도포팁(223)으로 직접 쓸어내어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솔대(212)의 상단에 연결부재(2112)가 마련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2112)는 매개물로서 제1 도포팁(213)이 캡(211)에 고정되도록 제1 솔대(212)를 캡(211)에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 제2 도포부(220)가 캡(211)과 결합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2112)는 접착, 열 융착 등의 방식으로 캡(211)에 고정된 형태로 이용될 수 있어, 캡(211)에 고정된 연결부재(2112)는 제1 솔대(212)를 항시 캡(211)에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2112)의 내측면은 주둥이(111)와 연결될 수 있고, 연결부재(2112)의 외측면은 제2 도포부(220)의 손잡이부(221)와 연결될 수 있는데, 연결부재(2112)의 내측면과 외측면은 각각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높이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연결부재(2112)는 2단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어, 하부단은 주둥이(111)와 결합되어 캡(211)을 용기 본체(110)와 연결할 수 있고, 상부단은 후술되는 손잡이부(221)와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2112)는 하부단과 상부단이 상하 일렬로 마련되어, 하부단과 상부단 각각이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을 이룰 수 있는데, 연결부재(2112)의 하부단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주둥이(111)와 나사 결합될 수 있고, 연결부재(2112)의 상부단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손잡이부(221)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2112)는 제1 솔대(212)와 일체로 사출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연결부재(2112)는 제1 솔대(212)와 개별로 사출되어 접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더불어, 연결부재(2112)는 캡(211)의 내측에 마련되어 외관으로 노출 되지 않을 수 있으며, 캡(211)의 내측에는 연결부재(2112)의 하부단과 상부단을 구획하도록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되는 절곡부(2111)가 마련될 수 있고, 절곡부(2111)는 연결부재(2112)의 상부단과 하부단 사이의 단턱에 밀착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캡(211)의 내주면과 절곡부(2111) 및 연결부재(2112)의 상부단 외주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손잡이부(221)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절곡부(2111)의 상면에 손잡이부(221)의 하단이 맞닿아 손잡이부(221)의 진입이 제한될 수 있다.
제1 도포팁(213)은, 내용물을 덜어내어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제2 도포팁(223)에 대비하여 곡률반경 또는 표면적이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포팁(213)은 제1 솔대(212)의 형상이 연장된 형태를 이루어 내주면에 안착홈(2131)이 마련될 수 있고, 수평 단면이 원호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안착홈(2131)에 제2 도포팁(223)이 안착될 수 있어, 제1 도포팁(213)은 제2 도포팁(223)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게다가, 제1 도포팁(213)은, 일단부에서 사선방향으로 커팅처리되는 경사면(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어,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선접촉이 가능하여, 예를 들어 내용물을 입술에 도포하는 경우, 입술의 양끝 지점과 같이 협소한 면적에 내용물을 도포시 주변으로 내용물이 이탈할 우려가 없어 깔끔한 화장이 가능하여, 입술주변으로 번진 화장품을 지울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도 5 참조, '표시 D'인 경우이며, 제1 도포팁의 사용에 대하여 후술하도록 함).
더불어, 제1 도포팁(213)의 일단부에는 내용물이 머금어지도록, 오목하게 이루어지는 수용홈(2132)이 마련될 수 있는데, 수용홈(2132)은 제2 도포팁(223)이 안착홈(2131)의 단부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어 제2 도포팁(223)에 의해 노출되는 안착홈(2131)의 일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용홈(2132)이 경사면에 마련될 수 있어, 제2 도포팁(223)이 제1 도포팁(213)에 장착된 상태로, 즉 제1 도포팁(213)과 제2 도포팁(223)을 동시에 함께 이용하는 경우 제2 도포팁(223)의 단부에서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홈(2132)에 의해 내용물이 머금어질 수 있어, 여러 번 제1 도포부(210)를 용기 본체(110)에 넣었다 빼는 동작을 수행할 필요없이 1번의 동작으로 필요한 내용물을 배출시켜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도포팁(213)은 표면적에 대비하여 내용물이 많이 머금어질 수 있는 재질로서 표면 거칠기가 크게 이루어지도록 울퉁불퉁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내용물이 일부 흡수될 수 있는 스펀지, 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례로 후로킹 팁(flocking tip)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도포부(220)는, 제1 도포부(210)와 다른 형태의 화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2 도포부(220)를 개별로 보관 및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제1 도포부(210)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손잡이부(221), 제2 솔대(222), 제2 도포팁(223)을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부(221)는 제2 도포부(220)를 제1 도포부(2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캡(211)의 내측에 마련된 연결부재(2112)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부(221)는, 상단부와 하단부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단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맞닿아 제1 도포부(210)에 결합시 회전을 이룰 수 있고, 이러한 상단부의 하부에 연장된 하단부는 연결부재(2112)의 상단부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자력에 의한 결합 등 다른 결합방식을 이루는 경우 나사산이 생략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손잡이부(221)의 상단부는 적어도 일부가 캡(211)에 대비하여 폭이 좁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손가락이 맞닿는 영역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판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221)의 하단부는 연결부재(2112)의 상단부에 끼워지도록(나사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원통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221)는, 캡(211)에 수용될 수 있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손잡이부(221)의 상단부가 캡(211)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어, 캡(211)과 손잡이부(221)를 상하로 각각 잡고 손잡이부(221)를 회전시켜 제2 도포부(220)를 분리/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부(221)는 제1 도포부(210)와 분리시 제2 솔대(222)를 함께 분리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221)의 하단(도 1, 도 2 기준)에 제2 솔대(222)가 마련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221)와 제2 솔대(222)의 결합은 접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손잡이부(221)와 제2 솔대(222)가 일체로 사출되어 별도로 결합을 이룰 필요가 없을 수도 있는 바와 같이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솔대(222) 손잡이부(221)로부터 연장되어, 제1 솔대(212)를 관통함으로써 제1 도포부(210)에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고, 제2 도포팁(223)을 지지한다. 여기서, 제2 솔대(222)는 제1 솔대(212)와 달리, 봉 또는 막대의 형태를 이룰 수 있고, 제2 도포팁(223)의 결합을 위해 하단에 오목하게 홀이 형성되거나, 또는 하단이 개구된 중공의 형태를 이룰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물론, 제2 솔대(222)의 중공은 하단이 제2 도포팁(223)에 의해 폐쇄되고, 상단은 손잡이부(221)에 연결되어 폐쇄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제2 도포팁(223)은 안착홈(2131)에 배치되거나 제2 도포부(220)와 분리될 수 있는데, 제2 도포팁(223)이 제1 도포부(210)에 장착시 제1 도포팁(213)에 의해 외측(둘레면)이 일부 커버되되, 나머지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도포팁(223)은, 일단부가 제1 도포팁(213)의 경사면 및 경사면에서 연장되는 방향에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도포팁(213)의 경사면에서 제2 도포팁(223)의 일부가 돌출되게 마련되어, 수용홈(2132)의 일부를 제2 도포팁(223)이 간섭함으로써, 수용홈(2132)의 일부가 제2 도포팁(223)에 의해 제1 솔대(212)의 방향으로 가로막혀 내용물의 흐름을 방지할 수도 있다. 다만, 제1 도포팁(213)의 돌출 여부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도 5에 도시된 제1 도포팁(213)의 길이에 대한 제2 도포팁(223)의 상대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도포팁(223)은, 제1 도포팁(213)과 동일 재질 또는 이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도포팁(213)과 제2 도포팁(223)이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져, 내용물을 전달하는 양태, 사용감 등을 달리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포팁(213)은 후로킹 팁(flocking tip)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달리, 제2 도포팁(223)은 내용물이 흡수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도포팁(223)은 제1 도포팁(213)과 달리 내용물을 전달하는 목적이 아닌 마사지 효과와 쿨링감을 이룰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도포팁(223)은 내용물이 흡수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피부에 내용물이 과도하게 전달된 경우 이를 덜어낼 수도 있고, 또는 내용물이 머금어진 제1 도포팁(213)으로 내용물을 펴 바르는 경우 제1 도포팁(213)에 머금어진 내용물이 계속 전달되어 내용물의 두께가 점차 두껍게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제2 도포팁(223)은 이미 전달된 내용물을 사용자의 피부에서 고르게 펴 바르게 하여, 제1 도포팁(213)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제2 도포팁(223)을 이용하는 경우 내용물이 발라진 두께가 얇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내용물의 도포 정도를 달리 이룰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화장용 도구(200)는, 제1 도포부(210)와 제2 도포부(220)를 개별로 이용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제1 도포부(210)에 제2 도포부(220)가 결합된 상태로 함께 이용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제1 도포부와 제2 도포부가 결합된 측면도 및 정면도), 도 5의 '표시 A'와 같이, 화장용 도구(200)의 좌측을 이용하는 경우 제1 도포부(210)의 좌측면을 이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이룰 수 있으나, 도 5의 '표시 B'와 같이, 화장용 도구(200)의 우측을 이용하는 경우 제1 도포팁(213)의 좌측과 동일/유사한 폭을 이용하면서 동시에 제2 도포팁(223)의 메탈로 인해 쿨링감을 느낄 수 있다. 물론, 제1 도포부(210)로부터 제2 도포부(220)를 분리하여 제2 도포부(220)만을 이용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도 5의 '표시 C'와 같이, 화장용 도구(200)의 경사면을 이용하는 경우, 제1 도포팁(213)과 제2 도포팁(223) 사이에 머금어진 즉 수용홈(2132)에 머금어진 내용물을 전달받을 수 있음은 물론, 경사면을 통해 피부에 닿는 면적을 짧게 이룰 수 있어 좁은 공간에 내용물을 도포하기 용이할 수 있다. 이는 도 5의 '표시 D'와 같이, 경사면의 단부 만을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내용물의 전달을 협소하게 이룰 수 있어, 즉 제1 도포팁(213)의 뾰족한 영역을 통해 '표시 B'보다 협소한 영역에 화장을 전달하기 용이할 수 있다. 물론, 도 5의 '표시 C'를 통한 화장은, '표시 B'와 동일, 유사하게 제2 도포팁(223)을 함께 이용하므로 쿨링감을 느낄 수 있다.
여기서, 표시 A, B, C, D 각각은 화장용 도구(200)로부터 벗어나 도시되었으나, 화장용 도구(200)가 이용되는 면을 설명하기 위한 부호로서, 실질적으로 화장용 도구(200)의 둘레면을 의미하는 것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화장용 도구(200)의 이용하는 면 또는 제1 도포부(210), 제2 도포부(220)의 사용에 따라 도포면적은 물론 사용감, 화장의 두께 등이 달리 이루어질 수 있어, 다양한 화장법을 이룰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10)로부터 화장용 도구(200)를 분리하여, 제1 도포부(210)와 제2 도포부(220)를 함께 이용하거나, 또는 제1 도포부(210)와 제2 도포부(220)를 서로 분리하여 개별로 이용할 수 있다.
이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화장용 도구의 단계별 분리 도면), 먼저,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화장용 도구(200)는 제1 도포부(210)와 제2 도포부(220)가 결합된 상태를 이룰 수 있고, 용기 본체(110)에 대하여 캡(211)을 상대 회전시켜 분리함으로써, 화장용 도구(200) 전체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선택에 따라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5의 표시 A, B, C, D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영역을 이용하여 화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화장의 두께를 두껍게 이루고 싶은 경우, 화장용 도구(200)의 전체 면을 모두 이용할 수 있고, 화장의 두께를 얇게 이루고 싶은 경우 어느 하나의 면을 이용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면을 이용한 이후, 또는 어느 하나의 면을 통해 화장품을 사용자의 피부 일부에 전달한 후 제2 도포부(220)의 제2 도포팁(223)으로 펴 바르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1 도포부(210)와 제2 도포부(220)의 분리가 필요할 수 있으며, 제1 도포부(210)에 대하여 제2 도포부(220)가 상대 회전으로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진 후, 제1 도포부(210)로부터 제2 도포부(220)를 빼내고, 도 9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1 도포부(210)와 제2 도포부(220)가 분리되면 제2 도포부(220) 만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도포부(210)는 용기 본체(110)에 다시 결합된 상태를 이룰 수도 있다.
한편, 용기 본체(110)에서 제1 도포부(210)와 제2 도포부(220)를 차례로 분리하는 것과 달리, 용기 본체(110)에 결합된 화장용 도구(200)에서 제2 도포부(220)의 손잡이부(221)를 돌려 제2 도포부(220)만을 분리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분리/사용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설명되지 않은 제1 와이퍼(1111)와 제2 와이퍼(2113)는 제1 솔대(212) 및 제2 솔대(222) 각각의 둘레면에 묻어나는 내용물을 쓸어내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 와이퍼(1111)는 주둥이(111)의 내측에 마련되고, 제2 와이퍼(2113)는 연결부재(2112)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와이퍼(1111) 및 제1 와이퍼(1111) 각각은 내용물을 쓸어내리기 위해 제1 솔대(212) 및 제2 솔대(222) 각각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솔대(212) 내에 제2 솔대(222)가 관통되어, 제2 솔대(222)가 제1 솔대(212)의 안착홈(213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1 도포부(210)와 제2 도포부(220)는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제1 솔대(212)와 제2 솔대(222)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좌우 나란히 배치되되, 캡(211)과 손잡이부(221)가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2112)에 의해 연결되어, 제1 도포팁(213)과 제2 도포팁(223)이 동시에 이용될 수도 있고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제1 도포팁(213)과 제2 도포팁(223)이 개별로 이용되거나 동시에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고,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서로 다른 형태 제1 도포부(210)와 제2 도포부(220)를 구비하며, 이들을 함께 또는 개별로 이용할 수 있어, 화장품을 전달하는 도포면적의 변화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 화장의 두께를 달리 적용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의 화장을 수행할 수 있고, 제1 도포부(210)와 제2 도포부(220)부의 재질이 상이하게 이루어져 내용물 전달의 용이성과 쿨링감/마시지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화장품 용기 110: 용기 본체
111: 주둥이 1111: 제1 와이퍼
200: 화장용 도구 210: 제1 도포부
211: 캡 2111: 절곡부
2112: 연결부재 2113: 제2 와이퍼
212: 제1 솔대 213: 제1 도포팁
2131: 안착홈 2132: 수용홈
220: 제2 도포부 221: 손잡이부
222: 제2 솔대 223: 제2 도포팁

Claims (21)

  1. 제1 도포팁을 포함하는 제1 도포부; 및
    상기 제1 도포부와 이웃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도포팁에 의해 외측 일부가 가려지고, 나머지 일부가 노출되는 제2 도포팁을 구비하는 제2 도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포부는,
    상기 제1 도포부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도포부에 장착시 상기 제1 도포팁에 의해 외측 일부가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포팁은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2 도포팁은, 상기 제1 도포부와 결합시 상기 안착홈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 도포부와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1 도포부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포부는, 상기 제1 도포팁을 지지하는 제1 솔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은 상기 제1 솔대를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포부는, 상기 제1 도포팁을 지지하는 제1 솔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포부는, 상기 제2 도포팁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솔대를 관통하는 제2 솔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포팁은,
    일단부에서 사선방향으로 커팅처리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포팁은,
    일단부가 상기 경사면으로 일부가 돌출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포팁은,
    상기 제2 도포팁에 대비하여 곡률반경 또는 표면적이 크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포팁의 일단부에는 내용물이 머금어지도록, 오목하게 이루어지는 수용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도포팁은, 상기 제2 도포팁이 안착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홈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제2 도포팁이 상기 안착홈의 단부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제2 도포팁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안착홈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포팁은,
    상기 제1 도포팁과 동일 재질 또는 이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포팁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포부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를 커버하는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포부는,
    상기 제2 도포팁을 지지하는 제2 솔대; 및
    상기 제2 솔대가 마련되며, 상기 캡에 장착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포부는, 상기 제1 도포팁을 지지하는 제1 솔대를 포함하고,
    상기 캡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솔대와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내측이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되고, 외측이 상기 제2 도포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와 연결되는 하부단; 및
    상기 하부단과 상하 일렬로 마련되며, 상기 제2 도포부와 연결되는 상부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캡에 대비하여 폭이 좁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캡에 수용되거나, 상기 캡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포부는, 상기 제1 도포팁을 지지하는 제1 솔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포부는, 상기 제2 도포팁을 지지하는 제2 솔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솔대 또는 상기 제1 도포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2 도포팁의 외측을 두르되, 상기 제2 도포팁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제2 솔대 또는 상기 제2 도포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봉 또는 막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포부는, 상기 제1 도포팁을 지지하는 제1 솔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포부는, 상기 제2 도포팁을 지지하는 제2 솔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솔대 또는 상기 제1 도포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 솔대 또는 상기 제2 도포팁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수평 단면이 원호의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화장용 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170114458A 2017-09-07 2017-09-07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KR102060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458A KR102060781B1 (ko) 2017-09-07 2017-09-07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PCT/KR2018/005450 WO2019050126A1 (ko) 2017-09-07 2018-05-11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458A KR102060781B1 (ko) 2017-09-07 2017-09-07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544A true KR20190027544A (ko) 2019-03-15
KR102060781B1 KR102060781B1 (ko) 2019-12-30

Family

ID=6563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458A KR102060781B1 (ko) 2017-09-07 2017-09-07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0781B1 (ko)
WO (1) WO20190501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16597S1 (en) * 2019-08-12 2021-04-20 Design Pac International, Inc.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245B1 (ko) * 2008-02-28 2010-01-29 김태진 듀얼형 화장품용기
KR102084393B1 (ko) * 2013-07-12 2020-03-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장치
KR101518449B1 (ko) * 2014-11-28 2015-05-11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이중 솔대 타입 마스카라 화장용기
KR101775100B1 (ko) * 2015-07-23 2017-09-05 (주)장업시스템 이중 어플리케이터 립메이크업 용기
JP6696064B2 (ja) * 2015-12-22 2020-05-20 株式会社トキワ 塗布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781B1 (ko) 2019-12-30
WO2019050126A1 (ko)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47925B (zh) 用于将化妆品组合物涂抹到双唇上的封装及涂抹器装置
CN100490700C (zh) 改进的嘴唇产品涂抹器
US20060207627A1 (en) Dispenser with applicator
US10575620B2 (en) Applicator with interchangeable wands
US20040234321A1 (en) Dual cosmetic container
US6488427B1 (en) Cosmetic applicator
US9826815B2 (en) Application device
US8156949B2 (en) Cosmetic storage and application device
US20020071707A1 (en) Dual ended lip cosmetic applicator
US7487784B2 (en) Applicator including a stem connected to a handle member via a hinge
KR101744387B1 (ko) 화장용 도구
KR102324556B1 (ko) 화장품 용기
CN111372487B (zh) 用于施加两种化妆品的帽和小瓶施加器系统
US10244847B2 (en) Cosmetic applicator with aligning cap
KR20190101499A (ko) 코스메틱 또는 케어 제품을 적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
KR20190027544A (ko)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KR102351643B1 (ko) 마스카라
US11213110B1 (en) Cosmetic applicator
KR20190053539A (ko) 마사지볼이 결합된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화장품 용기
US20190335876A1 (en) Compact Cosmetics Container
KR102185917B1 (ko) 이종 내용물이 수용되고 이중 도포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80003265U (ko) 화장 용기
JP3224162U (ja) すぐに使える化粧品パッケージ
US20200154871A1 (en) Nail brush system
KR101906832B1 (ko) 화장품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