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265U - 화장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265U
KR20180003265U KR2020170002339U KR20170002339U KR20180003265U KR 20180003265 U KR20180003265 U KR 20180003265U KR 2020170002339 U KR2020170002339 U KR 2020170002339U KR 20170002339 U KR20170002339 U KR 20170002339U KR 20180003265 U KR20180003265 U KR 201800032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pencil
cosmetic material
cosmetic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3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860Y1 (ko
Inventor
정지희
김다민
최기환
김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700023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860Y1/ko
Publication of KR201800032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2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8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2040/201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용기는, 자 타입으로 이루어져 제1 화장료가 수용되는 제1 본체부; 및 바 형태의 제2 화장료가 수용되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1 본체부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 용기{Cosmetic vessel}
본 고안은 화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두 가지 형태의 화장료가 수용된 다른 형태의 복수의 보관 용기가 결합되어, 다양한 화장품을 선택적으로 이용하거나,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한 화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화장품을 바르고 매만져 곱게 꾸미는 행위로의 화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화장에 이용되는 화장품은 피부에 사용되는 기초 메이크업 화장품 및 눈ㆍ눈썹ㆍ입술 등에 사용되는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 등이 있다.
특히 메이크업 화장품은 분(粉)과 파운데이션ㆍ볼터치 등으로 얼굴 전체를 자연스러운 살빛으로 꾸미고 입체감ㆍ투명감 등을 연출하며,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은 아이섀도ㆍ마스카라ㆍ인조속눈썹ㆍ눈썹먹ㆍ아이라인ㆍ립스틱 등으로 그 인상으로 돋보이게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최근에는 별도의 화장품 수용도구가 필요 없도록 그 내부에 화장품이 수납되어 직접적으로 인체에 화장품을 도포할 수 있는 화장도구가 널리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도구 중에서, 여성이 입술을 보호하거나 입술을 건강하면서 아름답게 표현할 목적으로 고형의 립스틱을 사용하거나 겔 상의 립글로즈를 사용하고 있다.
고형의 립스틱은 널리 알려진 형태로서 소비자의 편리를 고려해 여러가지 구조의 립스틱 용기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그리고 립글로즈는 겔 상의 립스틱으로서 용기에 수용된 립글로즈를 입술에 도포하는 데 이용된다.
이러한 립 제품을 바를 때, 크림형, 고체형, 겔, 액상 등 다양한 점성의 화장료가 제품화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화장 용도 등에 따라 자(jar) 타입에 담긴 화장료를 이용하거나 펜슬 타입의 화장료를 이용하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립글로즈, 립스틱 등은 입술 화장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입술용 화장품으로, 스틱형상의 화장재(립스틱 화장품)를 용기 본체로부터 출몰시켜 사용하거나, 자(jar)의 용기에 담긴 액상 또는 겔 상의 화장재(립글로스 또는 밤)를 별도의 어플리케이터(브러시 등)를 사용하여 내용물을 도포한다.
이와 같이, 각기 다른 형태의 화장품은 자 타입 또는 펜슬 타입으로 구분되어 이용되는데, 사용자에 따라 2가지 타입의 화장품을 동시에 이용하거나, 2가지를 모두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바와 같이, 다른 형태의 화장품을 이용하기 위해 개별의 화장 용기를 구비하여야 함에 따라 보관 및 휴대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제품으로, 2가지 형태의 용기를 제공할 수 있어, 액상 및 고체 형태와 같이 2가지 타입의 화장료를 동시에 보관 및 사용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장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용기는, 자 타입으로 이루어져 제1 화장료가 수용되는 제1 본체부; 및 바 형태의 제2 화장료가 수용되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1 본체부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는 나사 물림 또는 돌기 걸림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1 본체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2 화장료가 수용되는 펜슬부; 및 상기 펜슬부가 수용되거나 분리되며, 상기 제1 본체부에 착탈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본체부를 커버하면서도, 상기 펜슬부를 커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펜슬부와 상기 연결부는, 자력으로 결합되거나 돌기의 걸림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본체부에 수용된 상기 제1 화장료에 대향하는 내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본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1 화장료는, 상기 펜슬부에 의해 사용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본체부의 주둥이 입구는, 상기 펜슬부의 단면보다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본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1 화장료는, 별도의 화장도구 또는 손가락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화장료는, 상기 제1 화장료와 동일 부위에 사용되며 상기 제1 화장료 이후 해당 부위에 사용되는 물질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장 용기는, 자 타입에 보관되는 화장료와 펜슬 타입으로 보관되는 화장료와 같이, 두 가지 형태의 화장료를 동시에 제공하는 보관 용기를 구성하여, 입술, 눈 등의 메이크업을 위한 내용물(화장료)의 사용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서로 형태가 다른 제1 본체부(자 타입 보관 용기)와 제2 본체부(펜슬 타입 보관 용기) 각각에 성질, 색상, 질감 또는 형태가 다른 2가지의 화장품을 수용함으로써, 다양한 화장법이 가능하여 메이크업 완성도, 화장품의 효용가치 및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화장료에 따라 보관 형태가 상이한 2가지 제품인 자 타입과 바(펜슬) 타입을 하나의 제품에 모두 구비하도록, 제2 본체부의 연결부가 제1 본체부를 커버하는 뚜껑으로 이용되면서도 펜슬부를 커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동시에 펜슬부와 제1 본체부를 연결하는 매개물로 이용될 수 있어, 형태가 다른 2가지의 보관 용기가 하나의 제품으로 간소화되어, 재료비 절감 및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품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나의 화장 용기(제1 화장 용기)에 수용되는 제1, 2 화장료가 모두 입술용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화장 용기(제1 화장 용기와 개별로 마련되는 제2 화장 용기)의 제1, 2 화장료가 모두 눈 전용으로 이루어지거나 제1 화장 용기에 보관되는 화장료와 색상이 달리 이루어지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제1 화장 용기와 제2 화장 용기의 결합 상태를 달리하도록, 제1, 2 화장 용기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1, 2 화장료가 동종의 화장품으로 구비되는 경우, 펜슬부의 제2 화장료를 돌출시킨 상태로 제1 화장료를 덜어내어 도포시킨 후, 펜슬부의 제2 화장료로 마무리하는 바와 같이, 제1 화장료를 도포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펜슬부를 이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용기에서 펜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 용기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용기에서 펜슬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 용기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용기(100)는 제1 본체부(110) 및 제2 본체부(120)를 포함하여, 사용 형태가 다른 2가지의 화장료가 수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한 가지 또는 2가지의 화장료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본체부(110)는 자(jar) 타입으로 이루어져 제1 화장료(도시하지 않음)가 수용되는 보관 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본체부(110)는 펜슬 형의 제2 본체부(120)와 대비될 수 있으며 높이가 낮은 병에 화장품이 수용되는 보관 용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화장 용기 형상의 다양한 실시예), 제1 본체부(110, 110A, 110B, 110C)는 단면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내부에 제1 화장료가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본체부(110, 110A, 110B, 110C)의 외관은 높이가 낮은 원뿔대, 원통형, 다각형, 항아리형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아울러, 제1 본체부(110)의 상단부에는 제2 본체부(120)가 결합되도록 주둥이(111)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의 결합 지점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제1 본체부(110)의 주둥이(111)는 외관에 대비하여 직경이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2 본체부(120)는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주둥이(111)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둥이(111)의 입구가 협소하게 형성되어 사용시 노출되는 화장품의 면적이 최소화되어 화장품의 변질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의 결합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나사결합 방식이 아닌 끼움방식(돌기와 돌기홈)으로 이루어지거나, 돌기와 돌기홈이 생략되고, 단순히 커버된 형태 즉 제1 본체부(110)의 외경과 제2 본체부(120)의 내경이 동일하게 이루어져 단순히 서로 간섭된 형태로 결합되고 사용자가 제1 본체부(110)로부터 제2 본체부(120)를 밀어 올려 개폐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는 자력으로 결합될 수 있어,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금속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본체부(110)의 주둥이 입구는, 후술되는 펜슬부(122)의 단면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제1 본체부(110)가 크림 타입의 화장품을 수용하고, 펜슬부(122)는 고체형 타입의 화장품을 수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제1 본체부(110)에 수용되는 제1 화장료는, 별도의 화장도구(립 전용 솔 등) 또는 손가락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본체부(110)에 수용되는 제1 화장료는 립, 눈 등 포인트 메이크업에 이용되는 화장품 등 겔, 액상 등의 화장품일 수 있으며, 일례로 립밤, 립글로즈, 아이라인, 아이섀도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핸드 크림 등 그 종류가 다양할 수 있다. 이는, 제1 본체부(110)가 자 타입의 용기로 이루어지고, 제1 본체부(110)의 주둥이 입구가 펜슬부(122)의 단면보다 크게 이루어짐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제1 화장료는 제2 본체부(120)에 수용되는 제2 화장료(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어, 제1 화장료와 제2 화장료(10) 모두 입술용 메이크업 화장품으로 이루어지거나 눈 전용 화장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제1 화장료와 제2 화장료(10) 중 어느 하나는 입술용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눈 전용 화장품으로 이루어지는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다만, 제1 화장료는 자 타입 보관용 화장품으로 이루어지고, 제2 화장료(10)는 스틱형 보관용 화장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제1 화장료와 제2 화장료(10)의 물성이 각기 달리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1 화장료는 겔, 크림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화장료(10)는 고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제1 화장료와 제2 화장료(10)가 동일한 피부 영역(예를 들어 입술)에 도포되는 화장품일 경우, 제1 본체부(110)에 수용되는 제1 화장료는 펜슬부(122)에 의해 사용 가능하여, 별도의 화장도구(립 전용 솔 등)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더욱 편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화장료는, 제1 화장료와 동일 부위에 사용되는 경우, 제1 화장료 이후 해당 부위에 사용되는 물질일 수 있는데, 일례로, 제1 화장료는 입술의 전체를 표현하도록 이루어지고, 제2 화장료는 입술의 외곽을 표현하도록 이루어 질 수 있다.
게다가, 제1 화장료는 밀폐가 필요없는 제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때,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는 밀폐가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울러, 제1 본체부(110)는 제조의 편의 및 재료비의 절감 등을 위해 플라스틱 또는 이에 준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에서 화장품의 사용 상태, 색상 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투명,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등 그 재질 및 색상이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본체부(120)는 제1 본체부(110)와 다른 형태의 화장료인 바(스틱) 형태의 제2 화장료(10)가 수용되면서도, 제2 본체부(120)는 제1 본체부(110)를 커버하는 뚜껑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제2 본체부(120)는 제1 본체부(110)와 다른 형태로 화장품을 보관하면서도 제1 본체부(110)를 커버하여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의 결합방법은, 앞서 언급한 주둥이(111)의 결합을 이루기 위해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 및 다른 하나의 내주면 각각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의 결합방법은,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가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돌기가 끼움되는 돌기홈이 마련되어 끼움 결합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결합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본체부(120)는 제1 화장료와 다른 형태로 제2 화장료(10)가 보관되도록, 일례로 수직 방향의 바 형태로 보관되게 제2 본체부(120)가 제1 본체부(110)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본체부(120)는 연결부(121) 및 펜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21)는 제1 본체부(110)에 착탈되어 뚜껑을 이룰 수 있으며, 동시에 펜슬부(122)가 수용되어 펜슬부(122)를 커버함으로써 제1 본체부(110)와 펜슬부(122)를 연결할 수 있다.
일례로, 연결부(121)의 하단부는 제1 본체부(110)에 착탈되고, 연결부(121)의 상단부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관통되는 관통홈(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펜슬부(122)가 상부로부터 하부로 인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21)는 제1 본체부(110)에 수용된 제1 화장료에 대향하는 내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연결부(121)는 제1 화장료를 커버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다른 구조물에 의해 제1 화장료가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21)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단부에 나사산 또는 돌기(돌기홈)가 형성되어 제1 본체부(1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단부는 펜슬부(122)와 결합되도록 자석이 구비되거나 별도의 끼움홈(돌기홈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펜슬부(122)의 내측에 펜슬부(122)가 고정되도록 펜슬부(122) 또는 연결부(121) 중 어느 하나에 자석이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자석 또는 금속재질(금속 판이 포함되거나, 펜슬부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이 마련되어, 자력에 의해 펜슬부(122)가 연결부(121)에 고정되거나 사용자가 펜슬부(122)를 연결부(121)로부터 잡아당겨 자력을 떨어트림으로써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펜슬부(122) 또는 연결부(121)에 돌기 또는 돌기가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펜슬부(122)가 수용되는 연결부(121)의 내측은 펜슬부(122)에 대응하여 펜슬부(122)의 외관에 상응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121)의 외관은 형상이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본체부(110)와 결합되어 심미관을 줄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21, 121A, 121B, 121C)는, 제1 본체부(110, 110A, 110B, 110C)로부터 연장되는 원뿔대 형상(도 4의 A), 드레스 형상(도 4의 B), 망치 형상(도 4의 C), 목이 긴 항아리 형상(도 4의 D)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펜슬부(122)는 제1 본체부(110)와 구분되어 종류가 달리 이루어지는 제2 화장료(10)가 수용되는 보관 용기로서, 바 타입의 제2 화장료(10)가 상하 슬라이딩되어 노출되거나 인입되어 사용 및 보관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펜슬부(122)가 연결부(121)에 보관시, 펜슬부(122)는 제2 화장료(10)가 돌출되는 일단부가 연결부(121)의 내측에 인입되어 제2 화장료(10)가 커버되는 상태로 보관될 수 있어, 제2 본체부(120)는 제1 본체부(110)를 커버하는 뚜껑으로 이용되면서도 펜슬부(122)를 보관하는 커버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제1 본체부(110)와 펜슬부(122)를 연결하는 매개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펜슬부(122)는 예를 들어 펜슬 형태로 구비되어 연필심(봉)과 같이 형성된 제2 화장료(10)가 수납된 상태에서, 제2 화장료(10)의 돌출길이가 조절되어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펜슬부(122)는 연결부(12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제2 화장료(10)의 반대편인 하단(1221)을 잡은 상태로 상단(1222)을 잡고 돌리면 돌리는 방향에 따라 제2 화장료(10)의 돌출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다이얼 펜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하단(1221)과 상단(1222)이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두 개의 통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두 개의 통체인 상단(1222)과 하단(1221)이 나사산의 맞물림으로 이루어져 상단(1222)의 회동에 따라 화장품이 축방향으로 진퇴하여 화장품의 돌출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특히,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의 펜슬부(122) 각각에 수용되는 제1 화장료와 제2 화장료(10)가 모두 입술용 또는 눈 화장을 위한 화장품으로 이루어지거나 하나는 입술용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눈 화장을 위한 화장품으로 이루어지는 바와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에 수용되는 화장품은 같은 용도 또는 다른 용도를 이루는 화장품으로 이루어져, 보관 용기의 형태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2가지의 보관 용기가 하나의 제품으로 간소화되어, 제품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다수의 화장 용기(100)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의 화장 용기(100)의 제1 본체부(110)와 제2의 화장 용기(100)의 제2 본체부(120)를 결합하여 이용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휴대시 사용하기 위한 목적의 화장품을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시켜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1 화장 용기(100)에 수용되는 제1, 2 화장료가 모두 입술용으로 이루어지고, 제2 화장 용기(100)의 제1, 2 화장료가 모두 눈 전용 또는 제1 화장 용기(100)에 보관되는 화장료와 색상이 달리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가 제1 화장 용기(100)와 제2 화장 용기(100)의 결합 상태를 달리하도록, 제1, 2 화장 용기(10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2 화장료가 동일한 종류의 화장품, 일례로 두 가지 모두 입술용으로 구비되는 경우, 펜슬부(122)의 제2 화장료를 돌출시킨 상태로 제1 화장료를 덜어내어 도포시킨 후, 펜슬부(122)의 제2 화장료로 마무리하는 바와 같이, 제1 화장료를 도포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지 않아,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부에는 다이얼에 의하여 내용물의 승강을 가능하게 하는 펜슬형의 제2 본체부(120)를 마련하고, 하부에는 제2 본체부(120)와의 분리 및 해체로 인해, 개폐 가능한 자 타입의 제1 본체부(110)를 하나의 화장 용기(100)로 이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제2 화장료 100: 화장 용기
110, 110A, 110B, 110C: 제1 본체부 111: 주둥이
120: 제2 본체부 121, 121A, 121B, 121C: 연결부
122: 펜슬부 1221: 펜슬부의 하단
1222: 펜슬부의 상단

Claims (11)

  1. 자 타입으로 이루어져 제1 화장료가 수용되는 제1 본체부; 및
    바 형태의 제2 화장료가 수용되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1 본체부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는 나사 물림 또는 돌기 걸림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1 본체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2 화장료가 수용되는 펜슬부; 및
    상기 펜슬부가 수용되거나 분리되며, 상기 제1 본체부에 착탈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본체부를 커버하면서도, 상기 펜슬부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펜슬부와 상기 연결부는,
    자력으로 결합되거나 돌기의 걸림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용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본체부에 수용된 상기 제1 화장료에 대향하는 내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용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1 화장료는,
    상기 펜슬부에 의해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용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의 주둥이 입구는, 상기 펜슬부의 단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1 화장료는, 별도의 화장도구 또는 손가락에 의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장료는,
    상기 제1 화장료와 동일 부위에 사용되며 상기 제1 화장료 이후 해당 부위에 사용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용기.
KR2020170002339U 2017-05-12 2017-05-12 화장 용기 KR200494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339U KR200494860Y1 (ko) 2017-05-12 2017-05-12 화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339U KR200494860Y1 (ko) 2017-05-12 2017-05-12 화장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265U true KR20180003265U (ko) 2018-11-21
KR200494860Y1 KR200494860Y1 (ko) 2022-01-12

Family

ID=64558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339U KR200494860Y1 (ko) 2017-05-12 2017-05-12 화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8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6063A (ko) 2021-07-02 2023-01-10 정현지 밀대가 포함된 제모 크림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2043A (ja) * 2001-03-23 2002-10-02 Kamaya Kagaku Kogyo Co Ltd 粉体化粧料容器
KR20110006239U (ko) * 2009-12-15 2011-06-22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KR200473941Y1 (ko) * 2013-07-04 2014-09-25 (주)아모레퍼시픽 고형내용물과 액상내용물을 분리 수용하는 퍼프 일체형 화장품 펌프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2043A (ja) * 2001-03-23 2002-10-02 Kamaya Kagaku Kogyo Co Ltd 粉体化粧料容器
KR20110006239U (ko) * 2009-12-15 2011-06-22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KR200473941Y1 (ko) * 2013-07-04 2014-09-25 (주)아모레퍼시픽 고형내용물과 액상내용물을 분리 수용하는 퍼프 일체형 화장품 펌프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6063A (ko) 2021-07-02 2023-01-10 정현지 밀대가 포함된 제모 크림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860Y1 (ko) 202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0989A (en) Makeup kit
US8156949B2 (en) Cosmetic storage and application device
EP3051976B1 (en) Packaging systems and methods
US20020071707A1 (en) Dual ended lip cosmetic applicator
JP2002253335A (ja) メークアップ製品等のアプリケータ装置
KR101855918B1 (ko) 도포부재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60121749A (ko) 화장품 용기
KR20090004156U (ko) 듀오형 화장품 용기
KR20180003265U (ko) 화장 용기
KR102060781B1 (ko)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CN110022719A (zh) 具有可更换容器和刷子的化妆品容器
CN203860653U (zh) 一种口红管
KR101906832B1 (ko) 화장품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207041181U (zh) 一种用于化妆品的包装
KR101971920B1 (ko) 두 가지 화장료를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KR102621891B1 (ko) 화장품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332271B1 (ko) 화장품 용기
KR200482822Y1 (ko) 화장품 용기
JP3224162U (ja) すぐに使える化粧品パッケージ
KR20210001803A (ko) 블러셔 용기
US201300797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Materials on Human Lips
KR102185917B1 (ko) 이종 내용물이 수용되고 이중 도포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80095459A (ko) 화장품용 패키징
WO2018209353A1 (en) Applicator and container apparatus
CN209950603U (zh) 一种棒棒糖型两用化妆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