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952B1 -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의 비탈면 낙석방지책 - Google Patents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의 비탈면 낙석방지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952B1
KR100566952B1 KR1020060001972A KR20060001972A KR100566952B1 KR 100566952 B1 KR100566952 B1 KR 100566952B1 KR 1020060001972 A KR1020060001972 A KR 1020060001972A KR 20060001972 A KR20060001972 A KR 20060001972A KR 100566952 B1 KR100566952 B1 KR 100566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post
shock absorbing
twisted stee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001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9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가장자리에 위치한 비탈면에서 발생하는 낙석에 의한 통행 차량의 파손이나 교통사고를 방지하는데 이용하는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의 비탈면 낙석방지책에 관한 것으로, 포스트(30)에 형성된 강선삽입구멍(32)에 꼬임강선(40)을 안내하기 위한 강선안내부싱(50)을 설치하고, 예압너트(60) 및 로크너트(61)와 나사결합되는 볼트슬리브(62)를 상기 꼬임강선(40)의 양단에 압착하며, 꼬임강선(40)을 인장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는 완충스프링(64)을 예압너트(60)와 포스트(30) 사이에서 반발하도록 설치하고, 그 완충스프링(64)의 외측에서 동심을 이루는 충격흡수용주름관(70)을 예압너트(60)와 포스트(30) 사이에 설치하되 상기 완충스프링(64)보다 약한 탄성을 갖는 보조스프링(72)을 충격흡수용주름관(70)의 길이방향으로 개재하여 예압너트(60)와 포스트(30) 사이에 완충스프링(64)에 의한 완충구간(S1)과 충격흡수용주름관(70)에 의한 충격흡수구간(S2)을 형성하며, 꼬임강선(40)의 중간 중간에 철망(34)에 구름접촉하는 회전링(74)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도로,낙석방지,포스트,완충스프링,강선,와이어,충격흡수,주름관,링

Description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의 비탈면 낙석방지책{If the slope of the road where the shock absorption is possible the falling rock prevention rail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의 비탈면 낙석방지책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의 비탈면 낙석방지책을 보인 요부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의 비탈면 낙석방지책을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30 : 포스트 32 : 강선삽입구멍
34 : 철망 40 : 꼬임강선
50 : 강선안내부싱 60 : 예압너트
61 : 로크너트 62 : 볼트슬리브
64 : 완충스프링 70 : 충격흡수용주름관
72 : 보조스프링 74 : 회전링
S1 : 완충구간 S2 : 충격흡수구간
본 발명은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의 비탈면 낙석방지책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가장자리에 위치한 비탈면에서 발생하는 낙석에 의한 통행 차량의 파손이나 교통사고를 방지하는데 이용하는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의 비탈면 낙석방지책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낙석방지책은 도로 옆에 설치된 옹벽의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입설된 포스트에 가로방향으로 와이어를 삽입한 다음 와이어의 양단을 포스트에 고정하고, 그 포스트와 와이어 배후에 철망을 설치하여 비탈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낙석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 낙석방지책은 비탈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낙석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포스트가 낙석에 의해 휘거나 와이어가 파단되면서 낙석이 도로로 유입되어 통행을 지연시키는 것은 물론 낙석에 의한 교통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도로의 비탈면에서 떨어지는 낙석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의 비탈면 낙석방지책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포스트에 형성된 강선삽입구멍에 꼬임강선을 안내하기 위한 강선안내부싱을 설치하고, 예압너트 및 로크너트와 나사 결합되는 볼트슬리브를 상기 꼬임강선의 양단에 압착하며, 꼬임강선을 인장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는 완충스프링을 예압너트와 포스트 사이에서 반발하도록 설치하고, 그 완충스프링의 외측에서 동심을 이루는 충격흡수용주름관을 예압너트와 포스트 사이에 설치하되 상기 완충스프링보다 약한 탄성을 갖는 보조스프링을 충격흡수용주름관의 길이방향으로 개재하여 예압너트와 포스트 사이에 완충스프링에 의한 완충구간과 충격흡수용주름관에 의한 충격흡수구간을 형성하며, 꼬임강선의 중간 중간에 철망에 구름접촉하는 링을 설치하여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의 비탈면 낙석방지책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30)에 형성된 강선삽입구멍(32)에 꼬임강선(40)을 안내하기 위한 강선안내부싱(50)을 설치하고, 예압너트(60) 및 로크너트(61)와 나사결합되는 볼트슬리브(62)를 상기 꼬임강선(40)의 양단에 압착하며, 꼬임강선(40)을 인장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는 완충스프링(64)을 예압너트(60)와 포스트(30) 사이에서 반발하도록 설치하고, 그 완충스프링(64)의 외측에서 동심을 이루는 충격흡수용주름관(70)을 예압너트(60)와 포스트(30) 사이에 설치하되 상기 완충스프링(64)보다 약한 탄성을 갖는 보조스프링(72)을 충격흡수용주름관(70)의 길이방향으로 개재하여 예압너트(60)와 포스트(30) 사이에 완충스프링(64)에 의한 완충구간(S1)과 충격흡수용주름관(70)에 의한 충격흡수구간(S2)을 형성하며, 꼬임강선(40)의 중간 중간에 철망(34)에 구름접촉하는 회 전링(74)을 설치한다.
상기 충격흡수용주름관(70)은 예컨대, 알루미늄관이나 강관을 유압에 의해 주름관 형태로 성형한 것이며, 일측단에는 상기 보조스프링(72)이 자리하는 원반형의 스프링시트(71)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링(74)은 꼬임강선(40)의 중간에 양측으로 분할된 두 개의 분할스풀(80)(82)중 하나를 먼저 꼬임강선(40)에 압착한 다음 고정된 한쪽의 분할스풀(80)에 회전링(74)을 끼운 후 나머지 분할스풀(82)을 길이방향으로 밀어서 고정된 분할스풀(8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꼬임강선(40)에 압착하여 회전링(74)이 꼬임강선(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회전링(74)이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강선안내부싱(50)은 오일이 함침된 청동이나 황동 또는 테프론수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단에 포스트(30)의 좌우측면에 밀착되는 플랜지(52)(54)가 형성되며, 조립하기 전에는 일측에만 플랜지(52)가 형성되고, 조립 후에 망치나 공구에 의해 나머지 플랜지(54)를 성형하도록 한다.
또한, 예압너트(6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따라 예압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완충스프링(64) 및 보조스프링(72)과 예압너트(60) 사이에 와셔(90)를 개재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0은 비탈면을 나타낸 것이며, 102는 도로를 나타낸 것이고, 104는 도로(102)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포스트(30)의 기초가 되는 기초옹벽을 나타낸 것이며, 106은 낙석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102)의 비탈면(100)에 낙석방지책을 시공하는 과정은 도로(102) 가장자리에 기초옹벽(104)을 타설한 다음 기초옹벽(104)의 상단에 매입된 기초앵커에 포스트(30)를 결합하여 세운 후 포스트(30)에 형성된 강선삽입구멍(32)에 강선안내부싱(50)을 삽입하고, 강선안내부싱(50)에 꼬임강선(40)을 가로방향으로 삽입하여 꼬임강선(40)의 양단을 포스트(30)의 좌우측으로 인출한 다음 꼬임강선(40)의 양단에 볼트슬리브(62)를 압착하여 결합하게 되면, 꼬임강선(40)의 양단에 볼트슬리브(62)가 영구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강선안내부싱(50)에 꼬임강선(40)을 삽입하면서 포스트(30) 사이사이로 인출되는 꼬임강선(40)에 회전링(74)과 분할스풀(80)(82)을 삽입하여 둔다.
이후 완충스프링(64)과 충격흡수용주름관(70)을 꼬임강선(40)의 양단에 삽입한 다음 보조스프링(72)과 와셔(90)를 삽입한 후 예압너트(60)를 볼트슬리브(62)에 나사결합하여 조이게 되면, 보조스프링(72)과 완충스프링(64)이 가압되면서 반력에 의해 꼬임강선(40)에 인장력이 부여 되어 꼬임강선(40)이 팽팽하게 된다.
그 다음 꼬임강선(40)에 적당한 예압이 부여된 후 볼트슬리브(62)에 로크너트(61)를 결합하게 되면, 예압너트(60)의 풀림이 방지된다.
이때 예압너트(60)와 로크너트(61)에 풀림방지접착제를 주입하게 되면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은 상태에서 꼬임강선(40)의 중간중간에 삽입되어 있던 두 개의 분할스풀(80)(82) 중 하나를 먼저 꼬임강선(40)에 압착한 다음 회전링(74)을 고정된 한쪽 분할스풀(80)에 끼운 후 나머지 분할스풀(82)을 길 이방향으로 밀어서 고정된 분할스풀(8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꼬임강선(40)에 압착하게 되면, 회전링(74)이 꼬임강선(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포스트(30)와 꼬임강선(40)의 배후에 철망(34)을 덮고 철망(34)의 상하좌우측가장자리를 고강도와이어와 같은 선재를 이용 일부의 꼬임강선(40)과 포스트(30)에 결속하게 되면, 철망(34)의 움직임을 방지하게 된다.
위와 같이 시공된 상태에서 비탈면(100)으로부터 철망(34)을 향해 낙석(106)이 떨어지게 되면, 철망(34)의 국부에 압력이 작용되는데, 이때 철망(34)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꼬임강선(40)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링(74)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철망(34)이 도로(102)를 향해 돌출될 때 회전링(74)으로부터 미끄러져 충격을 분산시키게 된다.
또한, 낙석(106)에 의해 돌출되는 철망(34) 때문에 꼬임강선(40)에 인장력이 작용되면서 꼬임강선(40)이 철망(34)과 함께 돌출되는데, 이때 꼬임강선(40)의 양단이 당겨지면서 완충스프링(64)과 보조스프링(72)이 압축되어 충격이 완화된다.
즉, 포스트(30)와 예압너트(6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완충구간(S1)을 예압너트(60)가 이동하는 동안은 보조스프링(72)과 예압너트(60)만이 압축되어 충격이 완화되며, 꼬임강선(40)에 큰 하중이 작용되면서 예압너트(60)가 완충구간(S1)을 지나 충격흡수구간(S2)에 이르게 되면, 포스트(30)와 예압너트(60) 사이에 위치되어 있던 충격흡수용주름관(70)이 압축되면서 꼬임강선(40)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충격에너지를 소멸시키게 된다.
이때 충격흡수용주름관(70)이 영구적으로 변형되면서 꼬임강선(40)에 전달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꼬임강선(40)이 인장력을 받을 때 포스트(30)의 강선삽입구멍(32)에 설치되어 있는 강선안내부싱(50)은 꼬임강선(40)을 부드럽게 안내하는 역할을 하여 꼬임강선(40)이 강선삽입구멍(32)에 걸리면서 파단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 꼬임강선(40)에 작용되는 충격에너지가 완충구간(S1) 내에서 완충스프링(64)과 보조스프링(72)을 압축하는 정도에 불과한 경우에는 충격흡수용주름관(70)은 영향을 받지 않아 형태를 유지하게 되며, 떨어진 낙석(106)을 제거하여 꼬임강선(40)에 작용하는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꼬임강선(40)은 완충스프링(64)과 보조스프링(7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큰 충격에 의해 영구적으로 변형된 충격흡수용주름관(70)을 제거하고 새로운 충격흡수용주름관(70)으로 교체하여야 되는 경우에는 로크너트(61)와 예압너트(60)를 풀어서 볼트슬리브(62)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충격흡수용주름관(70)을 분리할 수 있게 되며, 그 자리에 새로운 충격흡수용주름관(70)을 끼운 다음 분해의 역순으로 조립하게 되면, 교체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꼬임강선의 양단이 완충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도로의 비탈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작은 낙석에 의한 충격은 완충스프링에 의해 흡수하고, 큰 낙석에 의한 충격은 완충스프링과 함께 충격흡수용주름관에 의해 2단계로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스트의 영구적인 변 형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낙석에 의한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철망이 꼬임강선에 설치되어 있는 링에 의해 미끄러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철망의 국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철망 전체로 고르게 전달하여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낙석에 의해 꼬임강선이 인장될 때 포스트에 설치된 강선안내부싱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꼬임강선의 움직임이 좀 더 부드럽게 되어 완충 및 충격흡수 동작에 신뢰성이 있게 되고, 포스트에 형성된 강선삽입구멍에 꼬임강선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떨어진 낙석을 제거하게 되면 완충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꼬임강선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기 때문에 복구가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포스트(30)에 형성된 강선삽입구멍(32)에 꼬임강선(40)을 안내하기 위한 강선안내부싱(50)을 설치하고, 예압너트(60) 및 로크너트(61)와 나사결합되는 볼트슬리브(62)를 상기 꼬임강선(40)의 양단에 압착하며, 꼬임강선(40)을 인장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는 완충스프링(64)을 예압너트(60)와 포스트(30) 사이에서 반발하도록 설치하고, 그 완충스프링(64)의 외측에서 동심을 이루는 충격흡수용주름관(70)을 예압너트(60)와 포스트(30) 사이에 설치하되 상기 완충스프링(64)보다 약한 탄성을 갖는 보조스프링(72)을 충격흡수용주름관(70)의 길이방향으로 개재하여 예압너트(60)와 포스트(30) 사이에 완충스프링(64)에 의한 완충구간(S1)과 충격흡수용주름관(70)에 의한 충격흡수구간(S2)을 형성하며, 꼬임강선(40)의 중간 중간에 철망(34)에 구름접촉하는 회전링(74)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의 비탈면 낙석방지책.
KR1020060001972A 2006-01-06 2006-01-06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의 비탈면 낙석방지책 KR100566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972A KR100566952B1 (ko) 2006-01-06 2006-01-06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의 비탈면 낙석방지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972A KR100566952B1 (ko) 2006-01-06 2006-01-06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의 비탈면 낙석방지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6952B1 true KR100566952B1 (ko) 2006-04-03

Family

ID=37180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972A KR100566952B1 (ko) 2006-01-06 2006-01-06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의 비탈면 낙석방지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9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954B1 (ko) * 2013-04-04 2014-03-10 (주) 효창이엔지 소일네일과 연계시공되는 지표면 압박 보강 구조 및 공법
KR101438557B1 (ko) 2014-04-07 2014-09-12 한가람건설 주식회사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
KR102299389B1 (ko) * 2021-02-10 2021-09-08 주식회사 이도산업 무용접 펜스의 유격조절이 가능한 완충 체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7580A (ja) 2000-05-10 2001-11-16 Yoshida Kouzou Design:Kk 緩衝具
KR200287791Y1 (ko) 2002-05-17 2002-09-09 금호엔지니어링 (주) 완충장치가 구비된 낙석방지용 울타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7580A (ja) 2000-05-10 2001-11-16 Yoshida Kouzou Design:Kk 緩衝具
KR200287791Y1 (ko) 2002-05-17 2002-09-09 금호엔지니어링 (주) 완충장치가 구비된 낙석방지용 울타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954B1 (ko) * 2013-04-04 2014-03-10 (주) 효창이엔지 소일네일과 연계시공되는 지표면 압박 보강 구조 및 공법
KR101438557B1 (ko) 2014-04-07 2014-09-12 한가람건설 주식회사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
KR102299389B1 (ko) * 2021-02-10 2021-09-08 주식회사 이도산업 무용접 펜스의 유격조절이 가능한 완충 체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135B1 (ko)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CN108700152B (zh) 用于承受拉力的钢索的双线性能量耗散和冲击缓冲装置
KR101905473B1 (ko) 완충형 와이어 로프 체결장치를 이용한 분리가능한 낙석방지망 구조체
KR100566952B1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의 비탈면 낙석방지책
JP5097530B2 (ja) 衝撃吸収体及びこれを用いた流下物捕捉装置
KR200450477Y1 (ko) 낙석 방지책용 완충형 와이어 고정장치
US7455155B2 (en) Impact absorbent assembly in slope protection systems
WO2018100499A1 (en) Building components for joining structural members
KR101023123B1 (ko)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05885B1 (ko) 낙석방지 유동형 완충구 및 시공방법
KR102312501B1 (ko) 낙석방지책의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KR102585122B1 (ko) 낙석완충장치를 구비한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5183456A (ja) 落石防止装置
KR101149807B1 (ko) 낙석 차단용 와이어로프의 충격흡수를 위한 결속장치
KR101506327B1 (ko) 낙석방지망용 로프의 교차부 결속 및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방법
JP4156556B2 (ja) 防護柵
KR100471375B1 (ko) 완충식 낙석 방지 공법, 낙석 방지망, 및 단부 완충구
KR20090081843A (ko) 외장형 스프링 락볼트를 이용한 암사면지반 보강공법
CN208364012U (zh) 一种弹压紧固式隐形防护网
KR101107298B1 (ko) 충격흡수형 앵커장치
KR101851678B1 (ko) 스톤 매트리스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스톤 매트리스 장치
JP2004353304A (ja) 落橋防止装置
KR101146879B1 (ko) 스키장 안전 펜스 및 그 시공방법
DE102010009240A1 (de)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KR102662125B1 (ko) 낙석방지책용 와이어 간격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