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423B1 - 슬러지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423B1
KR100566423B1 KR1020040077048A KR20040077048A KR100566423B1 KR 100566423 B1 KR100566423 B1 KR 100566423B1 KR 1020040077048 A KR1020040077048 A KR 1020040077048A KR 20040077048 A KR20040077048 A KR 20040077048A KR 100566423 B1 KR100566423 B1 KR 100566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rotating shaft
cylinder
hollow rotating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7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8055A (ko
Inventor
김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협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협이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협이앤지
Priority to KR1020040077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423B1/ko
Publication of KR20060028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경량으로 구성되어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탈수되는 슬러지에 원심력과 압착력이 동시에 작용하여 탈수 효율이 대단히 우수할 뿐만 아니라, 탈수 슬러지의 이송 및 배출을 마찰이나 소음없이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공 회전축의 후방부를 통해 여과통체의 내벽에 압축 공기를 분사함으로서, 여과 통체 내벽에 붙어 있는 탈수 슬러지를 비접촉식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이송시킬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마찰음이나 마모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탈수되는 슬러지에 원심력과 동시에 압착력을 작용시킬 수 있어서, 탈수 효율이 대단히 우수하여 탈수 슬러지를 수분이 거의 없는 케이크 상태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탈수, 오니, 슬러지, 압축 공기, 압착 롤러

Description

슬러지 탈수장치{Apparatus for Dehydrating Sludge}
도 1은 종래 원심형 탈수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종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 및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여과 통체
3 : 중공 회전축 5 : 수집 커버
3A : 슬러지 투입부 3B : 압축공기 투입부
6a : 압축공기 분사공 70 : 압착롤러 유닛
본 발명은 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 경량으로 구성되어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탈수되는 슬러지에 원심력과 압착력이 동시에 작용하여 탈수 효율이 대단히 우수할 뿐만 아니라, 탈수 슬러지의 이송 및 배출을 마찰이나 소음없이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일상생활과 관련하여 수세식 화장실이나 목욕탕, 주방 등에서 배출되는 오수나, 화장실에서 수거되는 분뇨나 오니 또는 가축의 분뇨나 축산폐수 등은 일차적으로 각 가정이나 산업체에 설치된 오수 정화시설 또는 정화조 등에서 처리된 후, 최종적으로 하수종말처리장이나 폐수종말처리장 또는 오폐수처리시설에서 처리되고 있다.
그런데, 오수, 분뇨, 오니 등 처리 대상물(이하, 이를 "오니"로 통칭하기로 한다.)은 다량의 수분에 슬러지 등과 같은 고형물이 함유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고형물을 분리 제거하지 않고는 정화 처리 과정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없으므로, 정화 처리 공정 중에는 슬러지를 탈수 처리하여 수분과 고형물을 분리하는 공정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슬러지를 탈수 처리하는 방식으로는, 예전에는 2매의 엔드리스 여과포 벨트가 다수의 로울러를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2매의 여과포 사이를 통과하는 슬러지가 로울러에 의해 가압 탈수되는 벨트 프레스 방식이나, 외주면에 스크류 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코운축이 여과 통체의 내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코운축의 직경이 전방으로 갈수록 커지면서 탈수실의 용적이 점차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슬러지가 전방으로 이송됨에 따라 서서히 압축되면서, 슬러지 중의 수분은 여과 통체를 통해 분리되고, 수분이 제거된 슬러지가 케이크 상태로 배출되는 스크류 프레스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벨트 프레스 방식이나 스크류 프레스 방식은 슬러지를 가압하여 탈수하는 방식으로, 장치가 복잡화, 대형화되어 제작비가 많이 들고, 탈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탈수 효과가 낮아서 배출되는 케이크에 많은 수분이 잔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최근에는 데칸터형 탈수기라 하여, 원심력을 이용해 수분을 효과적으로 분리함으로서 소형 경량으로 탈수 효과가 우수한 탈수기가 개발되어 점차 그 사용 범위를 넓혀 가고 있으며, 본 발명자는, 원심력에 의해 수분이 분리되어 여과 통체에 부착되는 고형물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탈수기를 개발하여, 특허 제443050호로 등록 받은 바 있다.
도 1은 그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프레임(1)과, 프레임(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내부로 투입된 슬러지 중의 수분을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분리시키는 여과 통체(2)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여과 통체(2)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공부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배출공(2a)이 형성되어 있어서, 중공부 내부로 공급된 슬러지를 배출공(2a)을 통해 여과 통체(2) 내부로 공급하는 중공 회전축(3)과; 여과 통체(2)를 감싸도록 프레임(1)상에 고정 설치되어 여과 통체를 통해 배출되는 탈수액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며, 중앙 하부에는 탈수액 배출구(5a)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 하부에는 여과 통체의 후방 개방부로부터 탈락되는 탈수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탈수슬러지 배출구(5b)가 형성되어 있는 수집 커버(5)와; 중공 중공 회전축(3)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봉(4a) 에 스프링(4b)을 매개로 탄성 지지되어 있는 고정 프레임(4c)에 경사 방향으로 고정되어, 중공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그 외주면이 여과 통체(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여과 통체와의 상대 회전 운동에 의해 여과 통체의 내벽에 부착된 탈수 슬러지를 긁어내어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레이퍼(4)로 구성된다.
중공 회전축(3)과 여과 통체(2)는 회전 속도가 다르게 구동되는 바, 이를 위해 각각을 별도의 구동모터를 사용하여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예의 경우, 중공 회전축(23)과 여과 통체(22) 각각에 스프로킷(11, 12)을 설치하여 하나의 구동모터(M)로 구동하되, 중공 회전축 스프로킷(11)의 잇수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중공 회전축(3)이 여과 통체(2)보다 약간 빠른 속도로 회전 구동되도록 한 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자에 의해 제안된 탈수기는, 스크레이퍼가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있어서 원심력에 의해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기고 여과 통체와 접촉하게 되므로, 스크레이퍼가 중공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는 기존의 탈수기에 비해, 여과 통체와 스크레이퍼 사이의 마찰로 인한 마모나 소음을 감소시킬 수는 있었으나, 스크레이퍼가 여과 통체의 내벽과 긴밀하게 접촉하여 탈수 슬러지를 긁어낸다는 점에서는 기존 방식과 크게 다를 바 없으므로, 여과 통체와 스크레이퍼가 접촉 상태에서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 운동함에 따라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며, 여과 통체의 내벽과 스크레이퍼가 마모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는 없었다.
또한, 종래 벨트 프레스 방식이나 스크류 프레스 방식 등 압착식 탈수 방식에 비해서는 탈수 효율이 우수하나, 탈수 작용이 여과 통체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서만 발생하므로, 탈수 슬러지 중에 어느 정도 수분이 잔류하여 만족할 만한 탈수 효율을 얻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러지 탈수장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 경량으로 구성되어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탈수되는 슬러지에 원심력과 압착력이 동시에 작용하여 탈수 효율이 대단히 우수할 뿐만 아니라, 탈수 슬러지의 이송 및 배출을 마찰이나 소음없이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슬러지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탈수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내부로 투입된 슬러지 중의 수분을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분리시키는 여과 통체와; 상기 여과 통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중공부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중공부 내부로 공급된 응집 슬러지를 상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여과 통체 내부로 공급하는 중공 회전축과; 상기 여과 통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여과통체 구동수단과; 상기 중공 회전축을 상기 여과 통체와 그 회전 속도가 상이하게 구동시키는 중공회전축 구동수단과; 상기 여과 통체를 감싸도록 상기 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여과 통체를 통해 배출되는 탈수액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며, 중앙 하부에는 탈수액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 하부에는 상기 여과 통체의 후방 개방부로부터 탈락되는 탈수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탈수슬러지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집 커버;를 구비하는 슬러지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공 회전축의 내부에는 격벽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여과 통체의 내부로 슬러지를 투입하는 전방의 슬러지 투입부와, 압축 공기가 투입되는 후방의 압축공기 투입부로 구획되며, 상기 중공 회전축의 압축공기 투입부와 연통되는 압축공기 분사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분사공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여과 통체 내벽의 슬러지를 분리/이송시키는 압축공기 분사부가 상기 여과 통체의 내벽과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종래의 탈수장치가, 스크레이퍼가 여과 통체의 내벽과 긴밀하게 접촉하여 탈수 슬러지를 긁어냄으로서, 마찰력에 의해 금속성 마찰 소음이 크게 발생하고, 마모에 의해 여체 통체 및 스크레이퍼의 내구성이 좋지 않은데 대해, 본 발명의 탈수장치는 여과 통체에 근접하게 압축공기 분사부를 설치하고, 중공 회전축의 후방부를 통해 여과통체의 내벽에 압축 공기를 분사함으로서, 여과 통체 내벽에 붙어 있는 탈수 슬러지를 비접촉식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이송시킬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마찰음이나 마모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압축공기 분사부는, 중공 회전축으로부터 여과 통체의 근접부까지 이르는 분사관을 다수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 회전축에 반경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관과; 상기 중공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연결관에 결합되는 헤더와; 중공의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 단부 부근에 다수 의 분사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헤더에 경사 방향으로 결합되며, 그 외주가 상기 여과 통체의 내벽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압축공기 분사 몸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중공 회전축과 여과 통체가 회전 속도를 달리하여 회전함에 따라, 중공 회전축의 축방향으로부터 일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부채꼴 형상의 압축공기 분사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분사공이 여과 통체의 전체면에 대해 골고루, 또한 나선형으로 순차적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해 줄 수 있으므로, 분리 및 이송 작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내부로 투입된 슬러지 중의 수분을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분리시키는 여과 통체와; 상기 여과 통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중공부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중공부 내부로 공급된 응집 슬러지를 상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여과 통체 내부로 공급하는 중공 회전축과; 상기 여과 통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여과통체 구동수단과; 상기 중공 회전축을 상기 여과 통체와 그 회전 속도가 상이하게 구동시키는 중공회전축 구동수단과; 여과 통체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는 슬러지를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슬러지 이송수단과; 상기 여과 통체를 감싸도록 상기 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여과 통체를 통해 배출되는 탈수액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며, 중앙 하부에는 탈수액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 하부에는 상기 여과 통체의 후방 개방부로부터 탈락되는 탈수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탈수슬러지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집 커버;를 구비하는 슬러지 탈수장치에 있어서, 단부 측에 일자형의 가이드 홈 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바가 상기 중공 회전축에 상기 중공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양단부에 가이드 면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축에 압착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압착롤러 유닛의 상기 가이드 면이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있어서,
상기 중공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압착롤러 유닛의 이동축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압착 롤러가 상기 여과 통체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는 슬러지를 압착하며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탈수되는 슬러지에 원심력과 동시에 압착력을 작용시킬 수 있게 되며, 따라서, 탈수 효율이 대단히 우수하여 탈수 슬러지를 수분이 거의 없는 케이크 상태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압착 롤러는 탄성을 가진 단일의 몸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실험 결과에 의하면, 원통형 몸체에 다수의 오링을 결합되는 형태로 압착롤러를 형성하는 경우, 압착롤러가 원활하게 작동하면서도, 압착력이 국부적으로 강하게 작용하여 압착 효율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탈수 장치는, 프레임(1)과, 프레임(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내부로 투입된 슬러지 중의 수분을 회전시의 원심력 에 의해 분리시키는 여과 통체(2)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여과 통체(2)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공부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배출공(2a)이 형성되어 있어서, 중공부 내부로 공급된 슬러지를 배출공(2a)을 통해 여과 통체(2) 내부로 공급하는 중공 회전축(3)과; 여과 통체(2)를 감싸도록 프레임(1)상에 고정 설치되어 여과 통체를 통해 배출되는 탈수액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며, 중앙 하부에는 탈수액 배출구(5a)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 하부에는 여과 통체의 후방 개방부로부터 탈락되는 탈수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탈수슬러지 배출구(5b)가 형성되어 있는 수집 커버(5)를 구비하여, 중공 회전축을 통해 공급된 슬러지 중 수분만이 여과 통체(2)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여과 통체를 통과하여 수집 커버(5)의 탈수액 배출구(5a)를 통해 배출되고, 여과 통체의 후방 개방부로부터 탈락되는 탈수 슬러지는 수집 커버(5)의 탈수슬러지 배출구(5b)를 통해 배출됨으로서 탈수 작용이 수행되는 점에서는 종래와 유사하나,
중공 회전축(3)의 내부가, 격벽(3b)에 의해, 배출공(3a)을 통해 여과 통체(2)의 내부로 슬러지가 투입되는 전방의 슬러지 투입부(3A)와, 압축 공기가 투입되는 후방의 압축공기 투입부(3B)로 구획되고, 압축공기 투입부(3B)와 연통되는 압축공기 분사공이(6a)형성되어 있는 압축공기 분사관(6)이 중공 회전축의 길이 방향과 원주 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어서, 압축공기 분사공(6a)을 통해 여과 통체의 내벽에 경사지게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여과 통체(2) 내벽의 슬러지를 분리하여 후방으로 이송시키게 되며,
단부에 일자형의 가이드 홈(8a)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바(8)가 중공 회전 축(3)의 반경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고, 양단부에 각형의 가이드 면(71a)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축(71)에 압착 롤러(7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압착롤러 유닛(70)의 가이드 면(71a)이 가이드 홈(8a)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중공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압착롤러 유닛(70)의 이동축(71)이 원심력에 의해 가이드 홈(8a)을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압착 롤러(72)가 여과 통체(2)와 접촉된 상태에서 여과 통체와 중공 회전축 사이의 회전속도 차이에 의해 이동축 상에서 회전하면서, 여과 통체(2)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는 슬러지를 압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탈수장치에 의하면, 여과 통체(2)의 내벽에 압축 공기를 분사함으로서, 여과 통체 내벽에 붙어 있는 탈수 슬러지를 비접촉식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이송시킬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마찰음이나 마모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탈수되는 슬러지에 원심력과 동시에 압착 롤러에 의한 회전 압착력이 작용하므로, 탈수 효율이 대단히 우수하여 탈수 슬러지를 수분이 거의 없는 케이크 상태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압축공기 투입부(3B)의 개구부에는 블로어(60) 또는 압축기가 압축공기 투입관(60a)을 매개로 결합되는 바, 압축공기 투입부(3B)의 개구부와 압축공기 투입관(60a)은 악취의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메카니컬 실이나 그랜드 패킹과 같은 실링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착 롤러는 우레탄이나 테프론 고무 또는 합성 수지 등 탄성을 가진 단일의 몸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원통형 몸체(72)에 다수의 오링(72a)을 결합하여 압착롤러를 형성하는 경우, 압착롤러가 원활하게 작동하면서도, 압착력이 국부적으로 강하게 작용하여 압착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의 압축공기 투입부(3B)는 여과 통체의 눈메꿈을 제거하기 위해서도 적용될 수 있는 바, 압축 공기 투입부에 세정수 공급 수단을 연결한 후 여과 통체 및 중공 회전축을 회전시키면, 고압의 세정수가 압축공기 분사공(6a)을 통해 분사되어 여과 통체의 눈메꿈을 제거하게 되며, 수집 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별도의 세정수 분사수단을 설치하여, 여과 통체의 외부를 세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 및 단면도로, 중공 회전축(3)에 반경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관(6b)과; 중공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연결관에 결합되어 압축 공기를 분배하는 헤더(6c)와; 속이 빈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 단부 부근에 다수의 분사공(6a)이 형성되어 있고, 헤더에 경사 방향으로 결합되며, 그 외주가 여과 통체의 내벽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압축공기 분사 몸체(6d);로 압축공기 분사부를 구성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 회전축(3)과 여과 통체(2)가 회전 속도를 달리하여 회전함에 따라, 중공 회전축의 축방향으로부터 일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부채꼴 형상의 압축공기 분사 몸체(6d)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분사공(6a)이 여과 통체 내부의 전체면에 대해 골고루, 또한 나선형으로 순차적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해 줄 수 있으므로, 슬러지의 분리 및 이송 작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탈수장치에 따르면, 여과 통체 내벽에 붙어 있는 탈수 슬러지를 비접촉식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이송시킬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마찰음이나 마모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공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압착롤러 유닛의 이동축이 원심력에 의해 가이드 홈을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압착 롤러가 상기 여과 통체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는 슬러지를 압착하며 회전하게 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탈수되는 슬러지에 원심력과 동시에 압착력을 작용시킬 수 있게 되며, 따라서, 탈수 효율이 대단히 우수하여 탈수 슬러지를 수분이 거의 없는 케이크 상태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내부로 투입된 슬러지 중의 수분을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분리시키는 여과 통체와; 상기 여과 통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중공부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중공부 내부로 공급된 응집 슬러지를 상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여과 통체 내부로 공급하는 중공 회전축과; 상기 여과 통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여과통체 구동수단과; 상기 중공 회전축을 상기 여과 통체와 그 회전 속도가 상이하게 구동시키는 중공회전축 구동수단과; 상기 여과 통체를 감싸도록 상기 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여과 통체를 통해 배출되는 탈수액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며, 중앙 하부에는 탈수액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 하부에는 상기 여과 통체의 후방 개방부로부터 탈락되는 탈수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탈수슬러지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집 커버;를 구비하는 슬러지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공 회전축의 내부에는 격벽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여과 통체의 내부로 슬러지를 투입하는 전방의 슬러지 투입부와, 압축 공기가 투입되는 후방의 압축공기 투입부로 구획되며,
    상기 중공 회전축의 압축공기 투입부와 연통되는 압축공기 분사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분사공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여과 통체 내벽의 슬러지를 분리/이송시키는 압축공기 분사부가 상기 여과 통체의 내벽 과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는,
    상기 중공 회전축에 반경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관과;
    상기 중공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연결관에 결합되는 헤더와;
    중공의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 단부 부근에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헤더에 경사 방향으로 결합되며, 그 외주가 상기 여과 통체의 내벽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압축공기 분사 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단부 측에 일자형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바가 상기 중공 회전축에 상기 중공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양단부에 가이드 면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축에 압착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압착롤러 유닛의 상기 가이드 면이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있어서,
    상기 중공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압착롤러 유닛의 이동축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압착 롤러가 상기 여과 통체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는 슬러지를 압착하며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롤러는 원통형 몸체에 다수의 오링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장치.
  5.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내부로 투입된 슬러지 중의 수분을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분리시키는 여과 통체와; 상기 여과 통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중공부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중공부 내부로 공급된 응집 슬러지를 상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여과 통체 내부로 공급하는 중공 회전축과; 상기 여과 통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여과통체 구동수단과; 상기 중공 회전축을 상기 여과 통체와 그 회전 속도가 상이하게 구동시키는 중공회전축 구동수단과; 여과 통체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는 슬러지를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슬러지 이송수단과; 상기 여과 통체를 감싸도록 상기 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여과 통체를 통해 배출되는 탈수액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며, 중앙 하부에는 탈수액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 하부에는 상기 여과 통체의 후방 개방부로부터 탈락되는 탈수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탈수슬러지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집 커버;를 구비하는 슬러지 탈수장치에 있어서,
    단부 측에 일자형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바가 상기 중공 회전축에 상기 중공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양단부에 가이드 면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축에 압착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 치되어 있는 압착롤러 유닛의 상기 가이드 면이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있어서,
    상기 중공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압착롤러 유닛의 이동축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압착 롤러가 상기 여과 통체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는 슬러지를 압착하며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장치.
KR1020040077048A 2004-09-24 2004-09-24 슬러지 탈수장치 KR100566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048A KR100566423B1 (ko) 2004-09-24 2004-09-24 슬러지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048A KR100566423B1 (ko) 2004-09-24 2004-09-24 슬러지 탈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612U Division KR200369851Y1 (ko) 2004-09-24 2004-09-24 슬러지 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055A KR20060028055A (ko) 2006-03-29
KR100566423B1 true KR100566423B1 (ko) 2006-04-07

Family

ID=37138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048A KR100566423B1 (ko) 2004-09-24 2004-09-24 슬러지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4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820B1 (ko) * 2011-10-13 2012-03-21 윤남식 가축 분료 및 음식물 쓰레기 폐수 정화 장치
KR20160025215A (ko) 2014-08-27 2016-03-08 (주)엠엠코리아 고액분리를 통한 탈수장치
CN116606054A (zh) * 2023-07-21 2023-08-18 广东红海湾发电有限公司 一种基于发电系统的渣水脱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055A (ko) 200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0440B2 (ja) 固液分離装置
US4266474A (en) Chamber type filter press for de-watering sludges and similar substances
US2001000145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watering sludge
KR200385230Y1 (ko)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CN114291999B (zh) 一种低能耗污泥脱水干化一体化设备
KR100566423B1 (ko) 슬러지 탈수장치
KR100443050B1 (ko)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및 이를이용한 고액분리방법
KR101100740B1 (ko) 원심 분리장치
KR200369851Y1 (ko) 슬러지 탈수장치
JP2907675B2 (ja) スクリュウ式脱水機
AU2015244013B2 (en) Rotary fan press with auger
JP2002001589A (ja) 連続式加圧脱水機
KR100781315B1 (ko)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KR20160004499A (ko) 수질 정화용 드럼스크린장치
KR100625211B1 (ko) 탈수차량 시스템
JP6756981B2 (ja) 吸水ベルト走行式ドラム型濃縮機
JP3936569B2 (ja) スクリュープレス
KR101513549B1 (ko) 트윈 구동이 가능한 압착식 협잡물 탈수장치
CN214199598U (zh) 一种玻璃生产用清洗烘干机
KR20050041572A (ko) 슬러지용 진공 탈수장치
KR200383012Y1 (ko)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
KR100421093B1 (ko) 슬러지 탈수장치
JPH0642928B2 (ja) 汚泥水の固液分離装置
JP3925715B2 (ja) 連続加圧脱水機の洗浄装置
KR200281706Y1 (ko)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