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385B1 -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385B1
KR100566385B1 KR1020020016886A KR20020016886A KR100566385B1 KR 100566385 B1 KR100566385 B1 KR 100566385B1 KR 1020020016886 A KR1020020016886 A KR 1020020016886A KR 20020016886 A KR20020016886 A KR 20020016886A KR 100566385 B1 KR100566385 B1 KR 100566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electrode
common bus
pixel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9397A (ko
Inventor
히로따나오또
Original Assignee
오바야시세이꼬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00171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6638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바야시세이꼬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바야시세이꼬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9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6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substrate, i.e. in-plane switching [I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34Flat panel display in which a field is applied parallel to the display pla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전계방식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 중에 서로 분리되어 있는 각각 상이한 전위로 설정된 2행의 공통버스전극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1화소 내에 있어서 상이한 전위로 설정된 상기 2행의 공통버스전극은 그 전위가 일측의 공통버스전극과 타측의 공통버스전극과의 사이에서 수평주사기간의 주기마다 또는 수직주사기간의 주기마다 교체되며, 상기 화소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영상신호배선과 그 영상신호배선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주사선을 매트릭스상으로 구비하는 기술적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영상신호배선의 신호진폭을 크게 하지 않고서도 공통버스전극과 액정구동전극의 전극간 거리를 크게하는 것이 가능하고,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영상신호배선을 쉴드함에 있어서 수직 크로스토크도 감소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개구율을 저하시키지 않고서도 칼라쉬프트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밝고 아름다운 화상을 어떠한 방향에서도 볼 수가 있다.
액정표시장치. 횡전계방식, 공통버스전극, 영상신호배선

Description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ACTIVE MATRIX TYP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HORIZONTAL ELECTRIC FIELD}
도1은 종래의 1화소 중에 1행의 공통버스전극을 갖는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평면구조도.
도2는 종래의 공통버스전극 전위를 고정한 횡전계방식의 액정패널 구동파형
도3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1화소 중에 2행의 공통버스전극을 갖는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평면구조도.
도4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1화소 중에 2행의 공통버스전극을 갖는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평면구조도.
도5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1화소 중에 2행의 공통버스전극을 갖는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평면구조도.
도6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의 1화소 중에 2행의 공통버스전극을 갖는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평면구조도.
도7은 본 발명 제5 실시예의 1화소 중에 2행의 공통버스전극을 갖는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단면구조도.
도8은 종래 1화소 중에 1행의 공통버스전극을 갖는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평면구조도.
도9는 종래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영상신호 배선과 공통버스전극으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의 단면구조도.
도10은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지지용량 부분에 대한 단면구조도.
도11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1화소중에 2행의 공통버스전극을 갖는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평면구조도.
도12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영상신호배선과 공통버스전극으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의 단면구조도.
도13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지지용량부분의 단면구조도.
도14는 본 발명 제3 실시예의 1화소 중에 2행의 공통버스전극을 갖는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평면구조도.
도15는 본 발명 제4 실시예의 1화소 중에 2행의 공통버스전극을 갖는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평면구조도.
도16은 본 발명 제4 실시예의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지지용량 부분의 평면구조도.
도17은 본 발명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주사배선과 공통버스전극으로 인가되는 구동신호파형.
도18은 본 발명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주사배선과 공통버스전극으로 인가되는 구동신호파형.
도19는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영상신호전압과 투과광량의 관계도.
도20은 본 발명 제7 실시예의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주사배선과 공통버스전극으로 인가되는 구동신호파형.
도21은 본 발명 제7 실시예의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주사배선과 공통버스전극으로 인가되는 구동신호파형.
도22는 본 발명 제5 실시예의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칼라필터층과 차광막의 평면구조도.
도23은 본 발명 제5 실시예의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칼라필터층과 차광막의 평면구조도.
도24는 본 발명 제5 실시예의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칼라필터층과 차광막의 평면구조도.
도25는 본 발명 횡전계방식 굴곡화소전극내의 정유전율 이방성액정분자의 배향도.
도26은 본 발명 횡전계방식 굴곡화소전극내의 부유전율 이방성액정분자의 배향도.
도27은 본 발명 제6 실시예의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평면구조도.
도28은 본 발명 제6 실시예의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평면구조도.
도29는 본 발명 제5 실시예의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영상신호배선과 공통버스전극의 단면구조도.
도30은 본 발명 제8 실시예의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평면구조도.
도31은 본 발명 제8 실시예의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평면구조도.
도32는 본 발명 제8 실시예의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평면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주사선
2. 영상신호배선
3. 공통버스전극
3a. 빗살형 공통전극
4. 박막트랜지스터 소자
5. 공통전극과 액정구동전극에 의해 형성된 지지용량
6. 액정구동전극
7. 주사선에 인가되는 구동파형
8. 영상신호배선에 인가되는 영상신호파형
9. 고정되어 있는 공통버스전극 전위
10. n번째 주사선
11. (n+1)번째 주사선
12. n번행의 상부 공통버스전극
12a. n번행의 상부 공통버스전극에서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
12a'. n번행의 상부 공통버스전극에서 분기된 굴곡 빗살형 공통전극
13. n번행의 하부 공통버스전극
13a. n번행의 하부 공통버스전극에서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
13a'. n번행의 하부 공통버스전극에서 분기된 굴곡 빗살형 공통전극
14. (n+1)번행의 상부 공통버스전극
14a. (n+1)번행의 상부 공통버스전극에서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
14a'. (n+1)번행의 상부 공통버스전극에서 분기된 굴곡 빗살형 공통전극
15. (n+1)번행의 하부 공통전극
15a. (n+1)번행의 하부 공통버스전극에서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
15a'. (n+1)번행의 하부 공통버스전극에서 분기된 굴곡 빗살형 공통전극
16. 상부 공통버스전극과 액정구동전극에 의해 형성된 지지용량
17. 하부 공통버스전극과 액정구동전극에 의해 형성된 지지용량
18. (n-1)번째 주사선과 액정구동전극에 의해 형성된 지지용량
19. n번행의 구형(矩形)으로 굴곡되어 있는 상부 공통버스전극
20. n번행의 구형으로 굴곡되어 있는 하부 공통버스전극
21. (n+1)번행의 구형으로 굴곡되어 있는 상부 공통버스전극
22. (n+1)번행의 구형으로 굴곡되어 있는 하부 공통버스전극
23. 공통버스전극과 액정구동전극에 의한 화소 중앙으로 형성된 지지용량
24. 액티브 매트릭스측 글래스기판
25. 패시베이션막
26. 게이트 절연막
27. 지지용량을 형성하고 있는 액정구동전극
28. 콘택트홀
29. 공통전극과 콘택트홀을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는 투명전극
30. 투명도전막
31. 칼라필터측 글래스기판
32. 차광막(블랙마스크)
33. 칼라필터층
34. 평탄화보호층
35. 액정분자 배향막
36. 액정층
37. n번째 주사선으로 인가되는 구동파형
38. (n+1)번째 주사선으로 인가되는 구동파형
39. 수평주사기간마다 극성을 변화시키는 n번행의 상부 공통버스전극의 전압파형
40. 수평주사기간마다 극성을 변화시키는 n번행의 하부 공통버스전극의 전압파형
41. 수평주사기간마다 극성을 변화시키는 (n+1)번행의 상부 공통버스전극의 전압파형
42. 수평주사기간마다 극성을 변화시키는 (n+1)번행의 하부 공통버스전극의 전압파형
43. 수직주사기간마다 극성을 변화시키는 n번행의 상부 공통버스전극의 전압파형
44. 수직주사기간마다 극성을 변화시키는 n번행의 하부 공통버스전극의 전압파형
45. 수직주사기간마다 극성을 변화시키는 (n+1)번행의 상부 공통버스전극의 전압파형
46. 수직주사기간마다 극성을 변화시키는 (n+1)번행의 하부 공통버스전극의 전압파형
47. 액정분자(정유전율 이방성액정)
48. 액정분자(부유전율 이방성액정)
A. 정유전율 이방성액정분자의 배향방향과 화소전극(빗살형 공통전극과 액정구동전극)의 교차하는 각도.
B. 부유전율 이방성액정분자의 배향방향과 화소전극(빗살형 공통전극과 액정구동전극)의 교차하는 각도.
P. 액정분자의 배향방향과 편광판의 편광축방향(광학축)
Q. 편광판의 편광축방향(광학축)
본 발명은 저비용으로 넓은 시야각, 고화질 및 고휘도를 나타내는 대화면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의 한 형태로 기판상에 형성된 빗살형 전극쌍을 이용하여 액정조성물층에 기판과 수평한 방향으로 전계를 인가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이 일본공개특허 평7-36058호 및 일본공개특허 평7-159786호의 공보에 제안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도1 및 도8은 종래의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의 평면구성도이다. 1화소중에는 1행의 공통전극(3)이 있고 액정구동전극(6)과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2는 종래의 횡전계방식 액정표시패널의 구동파형도이다. 공통전극전위(Vcom)는 고정되어 있고, 영상신호파형(8)은 공통전극전위(Vcom)를 중심으로 1수평주사기간 마다 극성을 변화시킨다.
도1과 도8에서와 같이 공통전극(3)이 1화소중에 1행밖에 없는 종래의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은, 액정패널의 개구율을 향상시켜 백라이트의 투과광량을 향상시키는 경우에 화소내의 공통전극(3)과 액정구동전극(6)의 거리를 크게하지 않으면 않된다. 이와 같이 전극간 거리가 커지게 되면 그에 비례해서 액정을 구동하기 위한 전압이 높아질 수 밖에 없다. 공통전극전위(Vcom)를 고정한 종래의 구동방식에서는 영상신호배선(2)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전압의 최대진폭(VDH-VDL)은 약 20V 정도가 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에 주사선(1)에 인가되는 전압의 최대진폭(VGH-VGL)은 약 50V 정도를 필요로 한다. 구동전압의 증대에 의해 드라이버-IC의 가격도 급격하게 증대된다.
또한, 구동전압의 증대에 따라서, 주사선(1)과 영상신호배선(2)의 쇼트도 빈번하게 발생하기 쉽다. 영상신호배선(2)의 신호전압이 커지게 되면 공통전극(3)을 차폐하는 효과도 약하게 되고, 수직 크로스토크도 발생하기 쉽게 된다. 칼라필터기판의 배면측 전체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투명전극과 화소전극간에 인가되는 전계도 크게되고, 가동성 이온이 액정층으로 이동하기 쉽게 된다. 이에 따라 잔상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화질의 상당한 악화가 초래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휘도가 향상된 대형의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을 낮은 제조비용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1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는, 횡전계방식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1화소 중에 서로 분리되어 각각 상이한 전위로 설정된 2행의 공통버스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1의 화소 내에서 상이한 전위로 설정된 상기 2행의 공통전극은 그 전위가 일측의 공통전극과 타측의 공통버스전극과의 사이에서 수평주사기간의 주기마다 또는 수직주사기간의 주기마다 교체되며, 상기 화소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영상신호배선과 그 영상신호배선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주사선을 매트릭스상으로 구비하여 놓고, 상기 화소는 상기 영상신호배선과 상기 주사선에 의해서 형성된 매트릭스에 대응하여 형성된 행열상으로 배열시킴과 아울러 상기 영상신호배선에 접속되는 액정구동전극과 상기 2행의 공통버스전극을 구비하여 상기 2행의 공통전극 내에서 일측의 공통버스전극은 상기 주사선을 따라서 설치되고 타측의 공통버스전극은 상기 일측의 공통전극에 대하여 소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대략 평행하게 배선됨과 아울러 각 화소마다 각기 상이한 어느 일측의 공통버스전극으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은 상기 액정구동전극에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청구항5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는 청구항1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2행의 공통버스전극의 평균전위 또는 상기 영상신호배선의 신호진폭평균전위의 적어도 일측은 어스전위(Ground Voltage) 또는 어스전위에 매우 근접한 정전위(正電位)로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청구항6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는 청구항1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통버스전극은 상기 주사선을 따라 그 양측으로 각각 배선됨과 아울러 상기 주사선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공통버스전극의 전위는 상이한 것으로, 그 전위는 상기 주사선의 양측에 배치된 일측의 공통전극과 타측의 공통전극간에 수평주사기간의 주기마다 또는 수직주사기간의 주기마다 교체되는 것이다.
청구항7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는 청구항1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사선에 근접하여 평행하게 설치된 공통버스전극으로부터 상기 주사선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분기되는 빗살형 공통전극은, 상기 액정구동전극에 나란히 설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통버스전극으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은 각 화소마다 상이한 전위를 갖는 어느 일측의 공통버스전극으로부터 분기되며, 상이한 전위의 빗살형 공통전극은 상기 영상신호배선의 양측에 근접하도록 배선되되어 있다.
청구항8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는 청구항1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정구동전극과 그 액정구동전극에 나란하게 설치된 상기 빗살형 공통전극은 지그재그 형상을 하도록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고, 1화소 내에 1회 이상 굴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굴곡각의 일측 각도는 정의 유전율이방성 액정을 사용하는 경우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1도 ∼ +30도의 범위를 나타내며, 타측 각도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1도 ∼ -30도의 각도 범위를 유지한다.
청구항9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는 청구항8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배선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고, 1화소내에 1회 이상 굴곡되며, 상기 굴곡각의 일측의 각도는 액정배향에 대하여 +1도 ∼ +30도의 범위를 나타내며, 타측 각도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1도 ∼ -30도의 각도 범위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영상신호배선의 2개의 굴곡각과 동일한 각도로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1화소내에 1회 이상 굴곡되는 차광막과 상기 영상신호배선의 2개의 굴곡각과 동일한 각도로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1화소내에 1회 이상 굴곡되는 칼라필터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청구항9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 의하면, 청구항8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와 동일하게 작용하는 것에 더하여, 영상신호배선은 2개의 굴곡각(+1도 ∼ +30도 및 -1도 ∼ -30도)에 의해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1화소내에 1회 이상 굴곡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그 2개의 굴곡각과 동일한 굴곡각을 갖는 칼라필터 또는 차광막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영상신호배선 및 칼라필터와 차광막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1도 ∼ +30도 및 -1도 ∼ -30도로 되도록 지그재그로 배열된다.
청구항10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는 청구항1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정구동전극과 그 액정구동전극에 나란하게 설치된 상기 빗살형 공통전극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고 1화소내에 1회 이상으로 굴곡이 이루어지고, 상기 굴곡각의 일측 각도는 부의 유전율이방성 액정을 사용하는 경우의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60도 ∼ +89도의 범위로 되고, 타측의 각도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60도 ∼ -89도 각도 범위로 된다.
청구항11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는, 청구항10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배선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고 1화소내에 1회 이상 굴곡되며, 상기 굴곡각의 일측의 각도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60도 ∼ +89도의 범위로 되고, 타측의 각도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60도 ∼ -89도 각도 범위로 되며, 그 영상신호배선의 2개의 굴곡각과 동일한 각도로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1화소내에 1회 이상 굴곡하는 차광막과 상기 영상신호배선의 2개의 굴곡각과 동일한 각도로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1화소내에 1회 이상 굴곡하는 칼라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청구항11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 의하면, 청구항10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와 동일하게 작용하는 것에 더하여, 영상신호배선은 2개의 굴곡각(+60도 ∼ +89도 및 -60도 ∼ -89도)에 의해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1화소내에 1회 이상 굴곡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그 2개의 굴곡각과 동일한 굴곡각을 갖는 칼라필터 또는 차광막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영상신호배선 및 칼라필터와 차광막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60도 ∼ +89도 및 -60도 ∼ -89도로 되도록 지그재그로 배열된다.
청구항12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는 청구항3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소 내에서 상기 공통버스전극은 게이트 절연막에 의해 완전히 피복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상기 액정구동전극이 형성됨에 있어서, 상기 2행의 공통버스전극 중 어느 일측의 공통버스전극과 상기 액정구동전극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에 의해 절연상태를 확보한 상태로 되고, 지지용량을 형성하기 위해 그 일부가 서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개재하여 오버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청구항12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구동장치에 의하면, 청구항3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와 동일하게 작용함에 더하여, 공통버스전극과 액정구동전극은 게이트 절연막에 의해 절연된다. 2행의 공통버스전극 내의 어느 일측과 상기 액정구동전극은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절연상태로 있는 양전극에 의해서 지지용량이 형성된다.
청구항13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는 청구항3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소내서 상기 공통버스전극은 게이트 절연막에 의해 완전히 피복되어 있고, 상기 절연막 위에 액정구동전극이 형성됨에 있어서, 상기 2행의 공통버스전극과 상기 액정구동전극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에 의해서 절연상태를 각각 확보한 상태로 1화소 내에 2개소의 지지용량(保持(容量)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2행의 공통버스전극의 일부가 각기 상기 액정구동전극와 1개소씩 별도로 서로 게이트 절연막을 개재하여 오버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청구항13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 의하면, 청구항1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와 동일하게 작용함에 더하여 2행의 공통버스전극과 액정구동전극은 게이트 절연막에 의해 각각 절연된다. 그리고, 양 공통버스전극의 일부는 각각 액정구동전극과 1개소씩 교차되고 1화소 내에 2개소의 지지용량이 형성된다.
청구항14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는 청구항12 또는 청구항13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정구동전극과 상기 공통버스전극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패시베이션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공통버스전극은 소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위치하는 2개의 전극을 구비하며, 그 상하 전극간에 상기 패시베이션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에 의해 절연상태가 확보된 상기 액정구동전극을 끼워넣은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15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는 청구항14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통버스전극은 소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위치하는 2개의 전극간에 상기 패시베이션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영상신호배선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청구항16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는 청구항15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소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위치하는 2개의 전극간에 상기 패시베이션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구비하는 상기 빗살형 공통전극과 상기 액정구동전극은 각각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여 1화소 내에 1회 이상 굴곡되고, 상기 굴곡각의 일측 각도는 정의 유전율이방성 액정을 사용하는 경우의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1도 ∼ +30도 범위이고 타측 각도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1도 ∼ -30도 범위이다.
청구항17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는 청구항16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배선은 지그재그 형상이 되도록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여 1화소내에 1회 이상 굴곡되고, 상기 굴곡각의 일측의 각도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1도 ∼ +30도 범위이고, 타측의 각도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1도 ∼ -30도 범위이며, 그 영상신호배선의 2개의 굴곡각과 동일한 각도로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1화소내에 1회 이상 굴곡하는 차광막과 상기 영상신호배선의 2개의 굴곡각과 동일한 각도로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1화소내에 1회 이상 굴곡하는 칼라필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청구항17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에 의하면, 청구항16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와 동일하게 작용하는 것에 더하여, 영상신호배선은 2개의 굴곡각(+1도 ∼ +30도 및 -1도 ∼ -30도)에 의해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1화소 내에 1회 이상 굴곡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그 2개의 굴곡각과 동일한 굴곡각을 갖는 칼라필터 또는 차광막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영상신호배선 및 칼라필터와 차광막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1도 ∼ +30도 및 -1도 ∼ -30도로 되도록 지그재그로 배열된다.
청구항18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는 청구항15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소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위치하는 2개의 전극사이에 상기 패시베이션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구비하는 상기 공통전극과 상기 액정구동전극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여 1화소 내에 1회 이상 굴곡되며, 상기 굴곡각의 일측의 각도는 부의 유전율이방성 액정을 사용하는 경우의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60도 ∼ +89도 범위이고, 타측의 각도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60도 ∼ -89도 범위이다.
청구항 19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는 청구항18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배선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여 1화소내에 1회 이상 굴곡되며, 상기 굴곡각의 일측의 각도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60도 ∼ +89도 범위이고 타측의 각도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60도 ∼ -89도 범위를 유지하며, 그 영상신호배선의 2개의 굴곡각과 동일한 각도로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1화소 내에 1회 이상 굴곡하는 차광막과 상기 영상신호배선의 2개의 굴곡각과 동일한 각도로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1화소 내에 1회 이상 굴곡하는 칼라필터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청구항19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 의하면, 청구항18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와 동일하게 작용하는 것에 더하여, 영상신호배선은 2개의 굴곡각(+60도 ∼ +89도 및 -60도 ∼ -89도)에 의해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1화소내에 1회 이상 굴곡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그 2개의 굴곡각과 동일한 굴곡각을 갖는 칼라필터 또는 차광막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영상신호배선 및 칼라필터와 차광막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60도 ∼ +89도 및 -60도 ∼ -89도로 되도록 지그재그로 배열된다.
청구항20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는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은 칼라필터가 배치된 면과 그 칼라필터 배치면의 반대면에 형성된 투명도전층을 구비한 칼라필터측 기판과, 그 칼라필터측 기판의 칼라필터 배치면에 대향하는 면으로 전압을 인가하여 화소를 구동시키기 위한 공통버스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상기 투명도전층은 어스전위로 설정되며 상기 공통버스전극의 전위는 어스전위 또는 어스전위에 매우 근사한 정전위로 설정된다.
이 청구항20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에 의하면, 칼라필터측 기판과 액티브 매트릭스형측 기판을 구비하고 있고, 칼라필터측 기판에 형성된 투명도전층은 어스전위로 설정된다. 그리고, 액티브 매트릭스측 기판에 구비된 공통전극의 전위는 어스전위 또는 어스전위에 매우 근사한 정전위로 설정된다. 통상 여기서 어스전위 또는 어스전위에 매우 근사한 정전위는 0V ∼ +1V로 설정된다.
청구항21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는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은 칼라필터 배치면과 그 칼라필터 배치면에 형성된 투명도전층을 구비한 칼라필터측 기판과 그 칼라필터측 기판의 칼라필터 배치면에 대향하는 면에 대향하는 면에 있어서 화소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영상신호배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상기 투명도전층은 어스전위로 설정되고, 상기 영상신호배선의 신호진폭 평균전위는 어스전위 또는 어스전위에 매우 근사한 정전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삭제
삭제
이 청구항21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에 의하면, 칼라필터측 기판과 액티브 매트릭스형측 기판을 구비하고 있고, 칼라필터측 기판에 형성된 투명도전층은 어스전위로 설정된다. 그리고, 액티브 매트릭스측 기판에 구비된 공통 전극의 전위는 어스전위 또는 어스전위에 매우 근사한 정전위로 설정된다. 통상 여 기서 어스전위 또는 어스전위에 매우 근사한 정전위는 0V ∼ +1V로 설정된다.
청구항1에 기재된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영상신호 진폭전압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대형 모니터용 액정표시패널에서는 플리커(flicker)나 크로스 토크(cross talk)를 감소시키기 위한 돗트(dot)반전 구동방식이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이 방식은 도2에서와 같이, 공통전극전위(Vcom)를 고정한 경우 영상신호 진폭전압의 최대치는 (VDH-VDL)로 된다. 도19에 도시되어 있는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의 액정구동전압 Vmax와 영상신호진폭전압의 최대치 (VDH-VDL)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VDH-VDL)≥2×Vmax. 화소내의 공통전극과 액정구동전극과의 전극간 거리가 커지게 되면 Vmax의 전압도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1, 5 및 6 중 어느 항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영상신호 진폭전압의 최대치는 (Vmax - Vth)만으로 충분하게 된다. 약 1/3 정도까지 적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크로스 토크의 발생도 대폭적인 감소가 가능하게 되고, 영상신호배선구동용IC의 소비전력도 대폭적인 감소가 가능해진다. 전자노이즈의 문제도 대폭적으로 감소가 가능해지고, IC제조비용도 감소가 가능하며, 모듈 제조비용도 대폭적으로 감소가 가능하다.
청구항1 또는 6중의 어느 항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함으로써, 2행의 공통버스전극의 전위변화를 제거할 수 있고, 주사선의 전위변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청구항7 및 15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영상신호배선의 전계를 쉴드(shield)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횡전계방식 액정패널에서 발생하기 쉬운 수직 크로스 토크를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청구항5 및 20 또는 21 중의 어느 항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액티브 매트릭스측 기판에 대향하고 있는 칼라필터측 기판의 배면 ITO 및 화소전극과, 공통버스전극과 영상신호배선 사이에 큰 DC전압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이온성 물질이 칼라필터측 기판으로부터 용출되어 나오는 것이 없어지게 되어 신뢰성이 우수한 액정패널이 얻어지게 된다.
청구항5 및 20 또는 21중의 어느 항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액티브 매트릭스측 기판에 대향하고 있는 칼라필터측 기판의 배면 ITO 및 화소전극과, 공통전극과 영상신호배선 사이에 큰 DC전압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이온성 물질이 칼라필터측 기판으로부터 용출되어 나오는 것이 없어지게 되어 신뢰성이 우수한 액정패널이 얻어지게 된다.
청구항8 내지 11 및 16 내지 19항중 어느 항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도25 및 도26에서와 같이 1화소 내에 액정분자의 회전방향이 좌회전과 우회전의 두 종류로 존재하는 것으로 되어 칼라 쉬프트(color shift)나 층간반전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우수한 표시품질을 얻는 것이 가능해 진다.
청구항8 내지 11 및 16 내지 19항중 어느 항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도25 및 도26에서와 같이 1화소내에 액정분자의 회전방향이 좌회전과 우회전의 두종류로 존재하는 것으로 되어 칼라 쉬프트(color shift)나 층간반전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우수한 표시품질을 얻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이 방식을 채용하면 편광판의 편광축과 액정패널의 수직축과 수평축을 일치하는 것으로 되어 편광판의 유효이용율이 향상됨으로써 편광판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칼라필터나 차광막(블랙 마스크)을 영상신호배선이나 화소전극과 동일한 각도로 굴곡시킴으로써 개구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밝은 표시장치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청구항12 내지 14중의 어느 항 기재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를 사 용함으로써, 지지용량을 형성 가능한 박막트랜지스터소자의 누설전류가 커지게 되어도 액정구동전극전위의 변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콘트라스트가 우수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1]
1화소 내에는 2행의 공통버스전극(12 - 15)(공통버스전극12, 13 또는 공통버스전극 14, 15)이 배치되어 있고, 1화소 내에는 상기 2행의 공통버스전극 중 어느 일측의 공통버스전극으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12a - 15a)이 화소전극용의 공통버스전극으로서 액정구동전극(6)과 대향하여(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일측의 공통버스전극은 화소의 윗쪽으로 설치된 주사선을 따라, 즉 화소 내에서 그 위쪽으로 설치되고, 타측의 공통버스전극은 화소의 아래쪽에 설치된 주사선을 따라 일측의 공통버스전극과 소정거리를 둔 채 화소 내의 아래쪽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화소의 위쪽으로 설치된 공통버스전극은 상부 공통버스전극, 화소의 아랫쪽에 설치된 공통버스전극은 하부 공통버스전극으로 된다. 도3 및 도11에서 공통버스전극12 및 14가 상부 공통버스전극이고, 공통버스전극 13 및 15가 하부 공통버스전극으로 되어 있다.
각 공통버스전극(12 -15)은 주사선(10)(11)에 평행한 선상의 연장부로 구성되며, 그 연장부로부터 주사선의 배선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분기하는 복수의 빗살형 공통전극(12a - 1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빗살형 공통전극은 액정구동전극(6)에 나란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영상신호배선(2)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에 있다.
공통버스전극 12 및 13은 이 빗살형부에 의해 1화소 내에 각각 설치된 액정구동전극(6)과 대향한다. 상기 화소내에 구비된 액정구동전극(6)은 스위칭 소자인 트랜지스터(4)를 개재하여 영상신호배선(2)에 접속되어 진다. 여기서, 1화소 내에 있어서 하나의 공통버스전극(공통버스전극 12, 13중 어느 하나)만이 빗살형부를 갖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1화소 내의 2행의 공통버스전극(12, 13)중 어느 것이 화소전극용 빗살형 공통전극(12a - 13a)으로 되어 액정구동전극(6)과 대향하게 된다.
또한, 1화소에서 공통버스전극 12 및 13은 그 화소에 나란히 설치된 두개의 영상신호선(2)에 대하여 각각 하나의 빗살형부가 근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2개의 공통버스전극은 횡방향의 같은 열의 화소에 대하여 교호로 이 빗살형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영상신호배선(2)의 양측에 근접해서 위치하는 빗살형 공통전극(12a - 13a)은 각기 다른 공통버스전극으로부터 분기하여 상이한 전위를 갖는다.
또한, 1화소에서 공통전극 12 및 13은 그 화소에 나란히 설치된 두개의 영상신호선(2)에 대하여 각각 하나의 빗살형부가 근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2개의 공통전극은 횡방향의 같은 열의 화소에 대하여 교호로 이 빗살형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영상신호선(2)의 양측에 근접해서 위치하는 공통전극의 빗살형부는 각기 다른 공통전극으로 존재하여 상이한 전위를 갖는 것으로 된다.
도17 및 도18은 본 발명 횡전계방식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에서 액정패널의 주사선(10, 11)과 공통버스전극(12 - 15)에 인가되는 구동신호파형을 보여주고 있다.
도17 및 도18에서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종축은 전압을 나타낸다. 도17에서 상측에 n번째의 주사선(10)에 인가되는 구동파형(37)과, n번행의 상부 공통버스전극의 전압파형(39)(하부 공통버스전극 12에 대응)과, n번행의 하부 공통버스전극의 전압파형(40)(하부 공통버스전극13에 대응)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압파형의 아랫쪽에는 n+1번째의 주사선(11)으로 인가되는 구동파형 (38)과, n+1번행의 하부 공통버스전극의 전압파형(42)(하부 공통버스전극 15에 대응)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평주사기간의 주기마다에 공통버스전극의 극성이 변화하는 형태가 도시되고 있다.
또한, 도18에는 윗쪽으로 n번째 주사선(10)으로 인가되는 구동파형(37)과, n번행의 상부 공통버스전극의 전압파형(43)(상부 공통버스전극 12에 대응)과, n번행의 하부 공통버스전극의 전압파형(44)(하부 공통버스전극 13에 대응)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압파형의 아래에는 n+1번째의 주사선(11)으로 인가되는 구동파형(38)과, n+1번행의 상부 공통버스전극의 전압파형(45)(상부 공통버스전극 14에 대응)과, n+1번행의 하부 공통버스전극의 전압파형(46)(하부 공통전극 15에 대응)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직주사기간의 주기마다 공통버스전극의 극성이 변화하는 형태가 도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17이나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버스전극의 전위(39 - 46)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수평주기나 수직주기마다 변화하고 있다. 1화소내의 2행의 공통버스전극의 전위(상부 공통버스전극 12, 14의 전위 39, 41, 43, 45와 하부 공통버스전극 13, 15의 전위 40, 42, 44, 46)는 각각 상이하며, 수평주기 또는 수직주기마다 서로 교대되도록 되어 있다. 주사선의 전위변동이 생기지 않도록 주사선을 끼워넣고 있는 상하의 공통버스전극의 전위(예를 들면, 주사선 10에 대해서는 n번행의 하부 공통버스전극13의 전위와 n+1번행의 상부 공통버스전극 14의 전위)는 상이하도록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은 지지용량(16)은 2행의 공통버스전극(12 - 15) 중의 어느 하나와 액정구동전극(6)으로 게이트절연막(26)(도10 참조)을 끼워넣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용량의 단면구조가 도10에 도시되어 있다. 도10에서 액티브 매트릭스측 글래스기판(24)상에 주사선(1)과 공통버스전극(3)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주사선(1)과 공통버스전극(3)의 상면(단면방향 상측)에는 각각 상측방향(단면방향 상측)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한 게이트 절연막(26)이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게이트 절연막(26) 위에는 액정구동전극(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액정구동전극(27)은 액정구동전극(6)의 일부로서, 그 아랫쪽(단면방향 하측)의 공통버스전극(3)으로 교차하는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공통버스전극(3)과 액정구동전극(6)은 게이트절연막(26)에 의해 절연상태가 확보되고, 또한 그 사이에 지지용량이 형성된다.
도11에는 지지용량은 2행의 공통버스전극(14, 15)중의 어느 하나와 액정구동전극 (6)이 교차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13에서는 상기 부분의 단면구성도를 보여주고 있다. 액정구동전극(27)은 액정구동전극(6)의 일부로서 도13에서와 같이 게이트절연막(26)과 패시베이션막(25)를 개재하여 공통버스전극에 의해 상하로부터 끼워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액티브 매트릭스측 글래스기판(24)상에는 주사선(1)과 공통전극(14)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주사선(1)과 공통버스전극(14)의 윗쪽(단면방향 상측)에는 각각의 상측방향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한 게이트 절연막(26)이 적층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26) 위에는 액정구동전극(27)(액정구동전극 6의 일부)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액정구동전극(27)은 그 아랫쪽(단면방향 하측)의 공통버스전극(14)에 교차하는 위치로 설치되어 있다. 액정구동전극(27)의 상면에는 다시 그 상측방향(단면방향 상측)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한 패시베이션막(25)이 적층되고, 그 패시베이션막(25)상에 투명전극(29)이 형성되어 있다.
이 투명전극(29)의 형성위치는 그 아랫쪽의 액정구동전극(27)과 교차하는 위치이다. 투명전극(29)은 그 단면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공통버스전극(14)과 콘택트홀(28)을 개재하여 도통되고 있다. 이 때문에 공통버스전극(14)과 동일한 전위를 갖는바, 이를테면 액정구동전극(27)의 단면방향 상측으로 형성되는(액정구동전극 27을 사이에 끼운 상측의) 공통버스전극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12는 영상신호배선(2)과 공통버스전극(14, 15)의 단면구조도이다. 도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부분에서는 공통버스전극(14)과 공통버스전극(15)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액티브 매트릭스측 글래스기판(24)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공통버스전극(14)과 공통버스전극(15)의 상면(단면방향 상측)에는 각각 상측 방향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한 게이트절연막(26)이 적층되어 있다. 게이트절연막(26) 위쪽의 공통버스전극(14)과 공통버스전극(15)와의 사이에는 영상신호배선(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영상신호배선(2)의 상면에는 영상신호배선(2)의 윗쪽(단면방향 상측)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한 패시베이션막(25)이 적층되어 있다. 이 패시베이션막(25) 위에는 영상신호배선(2)의 양측의 위치에 있고 단면방향 하측에 배치된 공통버스전극(14, 15)에 각각 교차하는 위치에 투명전극(29)이 형성되어 있다. 공통버스전극(14)의 윗쪽에 형성된 투명전극(29)은 콘택트홀(28)을 개재하여 공통버스전극(14)과 접속되고, 공통버스전극(15) 윗쪽에 형성된 투명전극(29)은 콘택트홀(28)을 개재하여 공통버스전극(15)과 접속되어 있다.
도12는 영상신호배선(2)과 공통전극(14, 15)의 단면구조도이다. 도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부분에서는 공통전극(14)과 공통전극(15)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액티브 매트릭스측 글래스기판(24)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공통전극(14)과 공통전극(15)의 상면(단면방향 상측)에는 각각 상측방향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한 게이트절연막(26)이 적층되어 있다. 게이트절연막(26) 윗쪽의 공통전극(14)과 공통 전 극(15)와의 사이 위치에는 영상신호배선(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영상신호배선(2)의 상면에는 영상신호배선(2)의 윗쪽(단면방향 상측)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한 패시베이션막(25)이 적층되어 있다. 이 패시베이션막(25) 위에는 영상신호배선(2)의 양측의 위치에 있고 단면방향 하측에 배치된 공통전극(14, 15)에 각각 교차하는 위치에 투명전극(29)이 형성되어 있다. 공통전극(14)의 윗쪽에 형성된 투명전극(29)은 콘택트홀(28)을 개재하여 공통전극(14)과 접속되고, 공통전극(15) 윗쪽에 형성된 투명전극(29)은 콘택트홀(28)을 개재하여 공통전극(15)과 접속되어 있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평면도이다. 1화소 내에 2행의 공통버스전극 (12 - 15)이 배치되어 있는 점은 실시예1과 동일하다. 제1 실시예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는 액정구동전극(6)(액정구동전극 27)과 공통버스전극(12 - 15)중의 어느 하나가 각 화소에 교차하는 것에 의해서 하나의 지지용량을 형성하는바, 제2 실시예에서는 이 지지용량의 형성방법이 상이하다. 이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4에서 제2 실시예의 지지용량(18)은 주사선(10)과 액정구동전극(6)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도5에서 지지용량(23)은 공통버스전극(19 - 22)와 액정구동전극(6)에 의해서 형성되는 바, 하나의 공통버스전극(공통버스전극 19 - 22중의 어느 하나)과 액정구동전극(6)이 화소의 중앙부에 교차하는 것에 의해서 지지용량은 화소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공통버스전극(19 - 21)은 주사선(10, 11)을 따라서 구형파형상으로 연설된 연설부(延設部)를 구비하고, 이 연설부로부터 주사선(10, 11)에 대해 수직으로 되는 방향으로 빗살형 공통전극이 분기되는 형상으로 된다.
도4에서 제2실시예의 지지용량(18)은 주사선(10)과 액정구동전극(6)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도5에서 지지용량(23)은 공통전극(19 - 22)와 액정구동전극(6)에 의해서 형성되는 바, 1의 공통전극(공통전극 19 - 22중의 어느 하나)와 액정구동전극(6)이 화소의 중앙부에 교차하는 것에 의해서 지지용량은 화소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공통전극(19 - 21)은 주사선(10, 11)을 따라서 구형파 형상으로 연설된 연설부(延設部)를 구비하고, 이 연설부로부터 주사선(10, 11)에 대해 수직으로 되는 방향으로 전극이 분기하는 형상으로 된다.
도6 및 도14는 본 발명 제3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1화소 내에 2행의 공통버스전극(12 - 15)이 배치되어 있는 점은 실시예1과 동일하다. 제3 실시예에서는 영상신호배선(2)과, 공통버스전극(12 - 15)으로부터 분기된 굴곡 빗살형 공통전극(12a' - 15a')과, 액정구동전극(6)이 액정의 배향방향에 대하여 굴곡된 구조로 되어 있다. 공통버스전극(12 - 15)에는 공통버스전극으로부터 분기되는 굴곡 빗살형 공통전극(12a' - 15a')이 굴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하,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25는 정유전율 이방성액정(47)을 사용하는 경우의 액정의 배향방향(P)과 각 전극과의 교차각(A)과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공통버스전극으로부터 분기되어 굴곡된 구조의 굴곡 빗살형 공통전극 12a'와 굴곡된 구조의 액정구동전극 6을 사용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교차각(A)은 ±10도 부터 ±30도 범위가 바람직한 바, 실용적으로는 ±10도부터 ±20도의 범위가 가장 우수하다. 도26은 부유전율 이방성액정(48)을 사용하는 경우의 액정의 배향방향 (P)과 각 전극과의 교차각(B)간의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공통버스전극으로부터 분기되어 굴곡된 구조의 굴곡 빗살형 공통전극 12a'와 굴곡된 구조의 액정구동전극 6을 사용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교차각(B)은 ±60도 부터 ±89도 범위가 바람직한 바, 실용적으로는 ±70도부터 ±80도의 범위가 가장 우수하다. 통상적으로 도6 및 도14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서 영상신호배선(2)과 공통버스전극(12 - 15)으로부터 분기된 굴곡 빗살형 구동전극(12a' - 15a') 및 액정구동전극(6)의 3종류 전극이 굴곡되어 있는 바, 영상신호배선(2)은 반드시 굴곡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개구율을 높히기 위해서는 영상신호배선(2)도 굴곡되는 편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굴곡회수를 도6에서는 1회, 도14에서는 3회를 예로 들고 있으나 5회 또는 그 이상의 경우에도 무방하다. 굴곡회수는 제한이 없다.
도25는 정유전율 이방성액정(47)을 사용하는 경우의 액정의 배향방향(P)과 각 전극과의 교차각(A)과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굴곡된 구조의 공통전극 12와 굴곡된 구조의 액정구동전극 6을 사용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교차각(A)은 ±10도부터 ±30도 범위가 바람직한 바, 실용적으로는 ±10도부터 ±20도의 범위가 가장 우수하다. 도26은 부유전율 이방성액정(48)을 사용하는 경우의 액정의 배향방향(P)과 각 전극과의 교차각(B)간의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굴곡된 구조의 공통전극 12와 굴곡된 구조의 액정구동전극 6을 사용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교차각(B)은 ±60도 부터 ±89도 범위가 바람직한 바, 실용적으로는 ±70도부터 ±80도의 범위가 가장 우수하다. 통상적으로 도6 및 도14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서 영상신호배선(2)과 공통전극(12 - 15) 및 액정구동전극(6)의 3종류 전극이 굴곡되어 있는 바, 영상신호배선(2)은 반드시 굴곡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개구율을 높히기 위해서는 영상신호배선(2)도 굴곡되는 편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굴곡회수를 도6에 서는 1회, 도14에서는 3회를 예로 들고 있으나 5회 또는 그 이상의 경우에도 무방하다. 굴곡회수는 제한이 없다.
도15 및 도16은 본 발명 제4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1화소 내에 2행의 공통버스전극(12 - 15)이 배치되어 있는 점은 실시예1과 동일하다. 도15 및 도16의 경우에는 지지용량(16, 17)이 2행의 공통버스전극(12 - 15)과 액정구동전극(6)이 1화소 내에 2개소 형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제1 - 제3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예의 각 화소 내에서는 액정구동전극(6)과 상부 공통버스전극(12, 14)이 1화소 내에서 1회 교차함과 아울러 액정구동전극(6)과 하부 공통버스전극(13, 15)에 있어서도 1화소 내에서 1회 교차하고 있다. 즉, 1화소 내에 액정구동전극(6)과 공통버스전극(12 - 15)이 2회 교차하는 것으로 되고, 1화소 내에 2개소의 지지용량(16, 17)이 형성된다.
이 구조에서 구동파형은 도18에 의해서 수직주사주기에 2행의 공통전극 전위를 교체하지 않으면 안된다. 도15 및 도16에 따르면 1화소 내에 2개의 지지용량을 갖고, 도6 및 도14에 따르면 전극을 굴곡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구조에서 구동파형은 도18에 의해서 수직주사주기에 2행의 공통전극전위를 교체하지 않으면 안된다. 도15 및 도16에 따르면 1화소내에 2개의 지지용량을 갖고, 도6 및 도14에 따르면 전극을 굴곡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5]
도29에는 제5 실시예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의 영상신호선과 빗살형 공통전극(14a, 15a)과의 단면구조도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단면구조도에서 액티브 매트릭스측 글래스기판(24) 위에는 공통버스전극(14)으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14a)과 공통버스전극(15)으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15a)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공통버스전극(14)으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14a)과 공통버스전극(15)으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15a)의 상면(단면방향 상측)에는 각각의 상측방향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해 게이트절연막(26)이 적층되어 있다. 게이트절연막(26)위에 있어서의 공통버스전극(14)으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14a)과 공통버스전극(15)으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15a) 사이의 위치에는 영상신호배선(2)이 형성되고, 또한 이 영상신호배선(2)의 위에는 절연막으로서의 패시베이션막(25), 투명전극(29)이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영상신호배선(2)은 공통버스전극(14)으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14a) 및 공통버스전극(15)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15a)에 대해서 그 일부가 교차하도록(오버랩부T가) 형성되어 있다. 즉, 영상신호배선(2)은 공통버스전극(14)으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14a)과 공통버스전극(15)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15a)의 배선간격보다도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오버랩부(T)는 2㎛ 정도이면 충분하다.
이와 같이, 영상신호배선(2)과 공통버스전극(14, 15)으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14a, 15a)를 게이트절연막(26)에 의해 절연을 확보한 상태로 교차(오버랩)시키게 되면 영상신호배선(2)의 양 측부로부터 빛이 누설되지 않기 때문에 도24에서와 같이 영상신호배선(2)에 대향하는 차광막(블랙마스크)(32)는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칼라필터층(33)만을 굴곡시키는 구조로 된다. 굴곡횟수에는 제한이 없다.
이와 같이, 영상신호배선(2)과 공통전극(14, 15)를 게이트절연막(26)에 의해 절연을 확보한 상태로 교차(오버랩)시키게 되면 영상신호배선(2)의 양 측부로부터 빛이 누설되지 않기 때문에 도24에서와 같이 영상신호배선(2)에 대향하는 차광막(블랙마스크)(32)는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칼라필터층(33)만을 굴곡시키는 구조로 된다. 굴곡횟수에는 제한이 없다.
[실시예6]
도27에는 공통버스전극(3)으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3a)이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횡전계방식의 액정패널이 예시되고 있으며, 도28에는 공통버스전극(3)으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3a)과 액정구동전극(6)과 영상신호배선(2)이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횡전계방식의 액정패널이 예시되고 있다. 상기 도27 및 도28에 구비되어 있는 공통버스전극(3)은 1화소 내에 1행으로 구성된다. 이 공통버스전극(3)의 윗쪽에는 게이트절연막(도10 참조)이 구비되고, 이 게이트절연막에는 콘택트홀(28)이 개재되어 공통버스전극(3)과 접속되는 투명전극(29)이 설치되어 있다.
도10은 종래방식의 지지용량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단면도에서 액티브 매트릭스측 글래스기판(24) 위에는 주사선(1)과 공통버스전극(3)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공통버스전극(3)의 상면(단면방향 상측)에는 공통전극(3)의 단면방향 상측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한 게이트절연막(26)이 적층되어 있다. 게이트절연막(26) 위에 있어서 공통버스전극(3)의 단면방향 상측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액정구동전극(27)(액정구동전극 6의 일부)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용량(5)(도1 참조)은 그 상하로 위치하는 (교차하는) 공통버스전극(3)과 액정구동전극(27)에 의해서 그 전극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지지용량형성방법을 사용하면, 패시베이션막(25)위에 있어서 액정구동전극(27)의 단면방향 상측에 그 액정구동전극(27)과 동일한 위치에 투명전극(29)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도13 참조). 즉, 단면방향의 동일한 위치에 액정구동전극(27)(액정구동전극 6의 일부)의 상하로 절연물질을 끼워넣은 2개의 공통버스전극(3, 29)이 배치되는(대향하는) 것으로 된다(2개의 콘덴서 형성). 이에 따라, 종래 지지용량의 2배 이상의 지지용량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영상신호배선(2)과 공통버스전극(3)으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3a)의 단면도는, 종래방식에서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으나, 본 발명을 사용하면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으로 되고(도12 중의 공통버스전극 14, 15로부터 분기된 도12의 빗살형 공통전극은 공통버스전극 3으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 3a에 상당한다), 영상신호배선(2)의 전계를 쉴드(차폐)하기 용이하여 크로스토크 발생을 쉽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영상신호배선(2)과 공통전극(3)의 단면도는, 종래방식에서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으나, 본 발명을 사용하면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으로 되고(도12중의 공통전극 14, 15가 공통전극 3에 상당한다), 영상신호배선(2)의 전계를 쉴드(차폐)하기 용이하여 크로스토크 발생을 쉽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20은 제7 실시예의 회전계방식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액정패널의 주사선(10, 11)과 공통전극(12 - 15) 또는 공통버스전극(19 - 22)으로 인가되는 구동신호파형을 보여주고 있다. 제1실시예에서 도17로 도시된 구동신호파형과 동일하며, 수평주사기간의 주기마다 공통버스전극의 극성이 변화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21은 제7 실시예의 횡전계방식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에서 액정패널의 주사선(10, 11)과 공통버스전극(12 - 15, 19 - 22)에 인가되는 구동신호파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제1 실시예에서의 도18에 예시된 구동신호파형과 동일한 형태로서 수직주사기간의 주기마다 공통버스전극의 극성이 변화하는 형태가 도시되고 있다. 이하, 제1 - 제6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횡전계방식액정패널(횡전계방식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의 단면구조도는 도7에서와 같이 기판상의 표면측에 칼라필터층(33)과 차광막(32)를 구비하여 그 칼라필터층(33)과 차광막(32)의 상면에 평탄화 보호막(34)과 액정분자배향막(35)를 순차적으로 적층한 칼라필터측 글래스기판(31)은 그 배면에 정전기 대비를 위한 투명도전막(30)이 형성되며, 투명도전막(30)의 전위는 어스전위에 접지되어 있다. 이 칼라필터측 글래스기판(31)의 표면측은 액티브 매트릭스측 글래스기판(24)에 대향하고, 칼라필터측 글래스기판(31)과 액티브 매트릭스측 글래스기판(24)에 의해서 액정층(36)을 협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액티브 매트릭스측 글래스기판(24)에는 영상신호선(2)이나 공통버스전극(14, 15)으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14a, 15a), 투명전극(29), 액정구동전극(6) 등의 각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영상신호배선(2)이나 공통버스전극(14, 15)으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14a, 15a)나, 액정구동전극(6)의 평균전위가 어스전위로부터 커져서 차이가 벌어지게 되면 이 전극과 칼라필름측의 배면의 투명도전막(30) 사이에서 전계가 발생되어 이온성 물질이 액정층(36)으로 이동하게 된다. 장시간에 걸쳐 액정패널을 사용하는 경우에 이온성 물질의 이동을 방지하지 않으면 잔상이 발생되어 현저하게 화상을 악화시키게 된다.
도20 및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버스전극 전위의 평균치 [상부 공통버스전극의 전압파형 39과 하부 공통버스전극의 전압파형 40을 합성한 것, 혹은 상부 공통버스전극의 전압파형 43과 하부 공통버스전극의 전압파형 44를 합성한 것,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양자 모두 약 0 V(어스전위)로 되는]를 어스에 매우 근사한 값(0 - 1 V)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이온성 물질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영상신호배선의 평균전위(37)는 주사선의 신호가 떨어지는 때의 용량결합에 의해 변화를 고려하여 어스전위보다도 적은 글래스측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러스 1 V 정도로 되면 큰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도20 및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전극전위의 평균치 [상부 공통전극의 전압파형 39과 하부 공통전극의 전압파형 40을 합성한 것, 혹은 상부 공통전극의 전압파형 43과 하부 공통전극의 전압파형 44를 합성한 것,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양자 모두 약 0 V(어스전위)로 되는]를 어스에 매우 근사한 값(0 - 1 V)으로 설정 하는 것으로 이온성 물질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영상신호배선의 평균전위(37)는 주사선의 신호가 떨어지는 때의 용량결합에 의해 변화를 고려하여 어스전위보다도 적은 글래스측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러스 1 V 정도로 되면 큰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도30, 도31 및 도32는 본 발명 제8 실시예이다. 제8 실시예의 영상신호배선(2)과 공통버스전극(14, 15)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14a, 15a)의 단면구조는 제5 실시예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의 영상신호선과 빗살형 공통전극과의 단면구조도를 보인 구조와 동일하고(도29 참조), 영상신호배선(2)을 좌우와 상하를, 공통버스전극(14, 15, 29)으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14a, 15a) 및 투명전극(29)이 에워싸고 있다.
제8 실시예에서는 도30, 도31 및 도32에 도시되어 있듯이, 하층의 공통버스전극(14, 15)으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14a, 15a) 보다도 상층의 투명전극(빗살형 공통전극)(29)은 그 전극이 크게 형성되어 액정구동전극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영상신호배선(2)의 전계를 완전하게 쉴드하면서 빛의 투과광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밝으면서 수평 크로스토크 및 수직 크로스 토크가 없는 양호한 화상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영상신호배선의 신호진폭을 크게하지 않고서도 빗살형 공통전극과 액정구동전극의 전극간 거리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영상신호배선을 쉴드함에 있어서 수직 크로스토크도 감소시킬 수 있다. 영상신호배선과 화소전극, 차광막, 칼라필터층을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굴곡시킴에 의해서 개구율을 저하시키지 않고서도 칼라쉬프트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밝고 아름다운 화상을 어떠한 방향에서도 볼 수가 있다. 또한 본발명의 구동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잔상의 발생이 없는 신뢰성이 높은 액정표시장치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영상신호배선의 신호진폭을 크게하지 않고서도 공통전극과 액정구동전극의 전극간 거리를 크게하는 것이 가능하고,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영상신호배선을 쉴드함에 있어서 수직 크로스토크도 감소시킬 수 있다. 영상신호배선과 화소전극, 차광막, 칼라필터층을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굴곡시킴에 의해서 개구율을 저하시키지 않고서도 칼라쉬프트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밝고 아름다운 화상을 어떠한 방향에서도 볼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동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잔상의 발생이 없는 신뢰성이 높은 액정표시장치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1)

  1. 횡전계방식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1화소 중에 서로 분리되어 각각 상이한 전위로 설정된 2행의 공통버스전극을 갖는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1화소 내에서 상이한 전위로 설정된 상기 2행의 공통버스전극은 그 전위가 일측의 공통버스전극과 타측의 공통버스전극과의 사이에서 수평주사기간의 주기마다 또는 수직주사기간의 주기마다 교체되며, 상기 화소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영상신호배선과 그 영상신호배선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주사선을 매트릭스상으로 구비하고, 상기 화소는 상기 영상신호배선과 상기 주사선에 의해서 형성된 매트릭스에 대응하여 형성된 행열상으로 배열됨과 아울러 상기 영상신호배선에 접속되는 액정구동전극과 상기 2행의 공통버스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2행의 공통버스전극 내에서 일측의 공통버스전극은 상기 주사선에 평행하게 설치되고 타측의 공통버스전극은 상기 일측의 공통버스전극에 대하여 소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평행하게 배선됨과 아울러 각 화소마다 각기 상이한 어느 일측의 공통버스전극으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은 상기 액정구동전극에 나란히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행의 공통버스전극의 평균전위 또는 상기 영상신호배선의 신호진폭 평균전위의 적어도 일측은 어스전위 또는 어스전위에 매우 근접한 정전위(正電位)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버스전극은 상기 주사선을 따라 그 양측으로 각각 배선됨과 아울러 상기 주사선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공통버스전극의 전위는 상이한 것으로, 그 전위는 상기 주사선의 양측에 배선된 일측의 공통버스전극과 타측의 공통버스전극간에 수평주사기간의 매주기마다 또는 수직주사기간의 매주기마다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선에 근접하여 평행하게 설치된 공통버스전극으로부터 상기 주사선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분기되는 빗살형 공통전극은, 상기 액정구동전극에 나란히 설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통버스전극으로부터 분기된 빗살형 공통전극은 각 화소마다 상이한 전위를 갖는 어느 일측의 공통버스전극으로부터 분기되며, 상이한 전위의 빗살형 공통전극은 상기 영상신호배선의 양측에 근접하도록 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구동전극과 그 액정구동전극에 나란하게 설치된 상기 빗살형 공통전극은 지그재그 형상을 하도록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고, 1화소내에 1회 이상 굴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굴곡각의 일측 각도는 정의 유전율이방성 액정을 사용하는 경우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1도 ∼ +30도의 범위를 나타내며, 타측 각도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1도 ∼ -30도의 각도 범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배선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고, 1화소내에 1회 이상 굴곡되며, 상기 굴곡각의 일측의 각도는 액정배향에 대하여 +1도 ∼ +30도의 범위를 나타내며, 타측 각도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1도 ∼ -30도의 각도 범위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영상신호배선의 2개의 굴곡각과 동일한 각도로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1화소내에 1회 이상굴곡되는 차광막과 상기 영상신호배선의 2개의 굴곡각과 동일한 각도로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1화소내에 1회 이상 굴곡되는 칼라필터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구동전극과 그 액정구동전극에 나란하게 설치된 상기 빗살형 공통전극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고 1화소내에 1회 이상으로 굴곡이 이루어지고, 상기 굴곡각의 일측 각도는 부의 유전율이방성 액정을 사용하는 경우의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60도 ∼ +89도의 범위로 되고, 타측의 각도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60도 ∼ -89도 각도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배선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고 1화소내에 1회 이상 굴곡되며, 상기 굴곡각의 일측의 각도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60도 ∼ +89도의 범위로 되고, 타측의 각도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60도 ∼ -89도 각도 범위로 되며, 그 영상신호배선의 2개의 굴곡각과 동일한 각도로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1화소 내에 1회 이상 굴곡하는 차광막과 상기 영상신호배선의 2개의 굴곡각과 동일한 각도로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1화소 내에 1회 이상 굴곡하는 칼라필터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내에서 상기 공통버스전극은 게이트 절연막에 의해 완전히 피복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상기 액정구동전극이 형성됨에 있어서, 상기 2행의 공통버스전극 중 어느 일측의 공통버스전극과 상기 액정구동전극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에 의해 절연상태를 확보한 상태로 되고, 지지용량을 형성하기 위해 그 일부가 서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개재하여 오버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내에서 상기 공통버스전극은 게이트 절연막에 의해 완전히 피복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상기 액정구동전극이 형성됨에 있어서, 상기 2행의 공통버스전극과 상기 액정구동전극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에 의해서 절연상태를 각각 확보한 상태로 1화소 내에 2개소의 지지용량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2행의 공통버스전극의 일부가 각각 상기 액정구동전극과 1개소씩 별도로 서로 게이트 절연막을 개재하여 오버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구동전극과 상기 공통전극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패시베이션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공통전극은 소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위치하는 2개의 전극을 구비하며, 그 상하 전극간에 상기 패시베이션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에 의해 절연상태가 확보된 상기 액정구동전극을 끼워넣은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형 공통전극은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위치하는 2개의 전극간에 상기 패시베이션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구비하고 상기 영상신호배선의 양측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소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위치하는 2개의 전극간에 상기 패시베이션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구비하는 상기 빗살형 공통전극과 상기 액정구동전극은 각각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여 1화소내에 1회 이상 굴곡되고, 상기 굴곡각의 일측 각도는 정의 유전율이방성 액정을 사용하는 경우의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1도 ∼ +30도 범위이고 타측 각도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1도 ∼ -3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배선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여 1화소 내에 1회 이상 굴곡되고, 상기 굴곡각의 일측 각도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1도 ∼ +30도 범위이고 타측 각도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1도 ∼ -30도이고, 그 영상신호배선의 2개의 굴곡각과 동일한 각도로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여 지그재그 형상을 하도록 1화소내에서 1회 이상 굴곡하는 차광막과, 상기 영상신호배선의 2개의 굴곡각과 동일한 각도로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여 지그재그 형상을 하도록 1화소 내에서 1회 이상 굴곡하는 칼라필터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소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위치하는 2개의 전극간에 상기 패시베이션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구비하는 상기 빗살형 공통전극과 상기 액정구동전극은 상기 굴곡각의 일측의 각도는 부의 유전율이방성 액정을 사용하는 경우의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60도 ∼ +89도 범위이고 타측의 각도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60도 ∼ -89도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배선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여 1화소내에 1회 이상 굴곡되며, 상기 굴곡각의 일측의 각도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60도 ∼ +89도 범위이고 타측의 각도는 액정배향방향에 대하여 -60도 ∼ -89도 범위를 유지하며, 그 영상신호배선의 2개의 굴곡각과 동일한 각도로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1화소 내에 1회 이상 굴곡하는 차광막과, 상기 영상신호배선의 2개의 굴곡각과 동일한 각도로 2개의 굴곡각을 구비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도록 1화소내에 1회 이상 굴곡하는 칼라필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은 칼라필터가 배치된 면과 그 칼라필터 배치면의 반대면에 형성된 투명도전층을 구비한 칼라필터측 기판과, 그 칼라필터측 기판의 칼라필터 배치면에 대향하는 면으로 전압을 인가하여 화소를 구동시키기 위한 공통버스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상기 투명도전층은 어스전위로 설정되며 상기 공통버스전극의 전위는 어스전위 또는 어스전위에 매우 근사한 정전위로 설정되는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은 칼라필터 배치면과 그 칼라필터 배치면에 형성된 투명도전층을 구비한 칼라필터측 기판과 그 칼라필터측 기판의 칼라필터 배치면에 대향하는 면에 있어서 화소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영상신호배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상기 투명도전층은 어스전위로 설정되고, 상기 영상신호배선의 신호진폭 평균전위는 어스전위 또는 어스전위에 매우 근사한 정전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KR1020020016886A 2001-04-07 2002-03-27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KR100566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57925 2001-04-07
JP2001157925A JP3774858B2 (ja) 2001-04-07 2001-04-07 液晶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397A KR20020079397A (ko) 2002-10-19
KR100566385B1 true KR100566385B1 (ko) 2006-03-31

Family

ID=1900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886A KR100566385B1 (ko) 2001-04-07 2002-03-27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99049B2 (ko)
JP (1) JP3774858B2 (ko)
KR (1) KR100566385B1 (ko)
CN (1) CN1236351C (ko)
HK (1) HK1050244A1 (ko)
TW (1) TW5466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4598B2 (ja) 2003-08-26 2008-09-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駆動法、液晶表示装置及び携帯型電子機器
KR101023362B1 (ko) 2004-05-31 2011-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200712619A (en) * 2005-09-23 2007-04-01 Innolux Display Corp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asing the same
TWI356222B (en) * 2006-09-18 2012-01-11 Chimei Innolux Corp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
JP2008129324A (ja) * 2006-11-21 2008-06-05 Toppa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720566B1 (ko) * 2010-10-04 2017-04-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9588368B2 (en) * 2012-07-20 2017-03-07 Shanghai Tianma Micro-electronics Co., Ltd. Touch display panel
US10031391B2 (en) 2013-09-06 2018-07-24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having a plurality of common electrodes
CN104460126B (zh) * 2013-09-16 2017-08-25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与液晶显示面板
CN104102402B (zh) * 2014-06-25 2017-0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基板及显示装置
US10809529B2 (en) * 2017-06-15 2020-10-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tical device having multiplexed electrode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767A (ja) * 1996-07-11 1998-01-27 Nec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を搭載した電子機器
JPH10260431A (ja) * 1997-03-21 1998-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JPH112837A (ja) * 1997-06-10 1999-01-06 Nec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KR19990074686A (ko) * 1998-03-13 1999-10-05 윤종용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
KR19990074855A (ko) * 1998-03-16 1999-10-05 구자홍 복합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KR100251655B1 (ko) * 1997-07-31 2000-04-15 구본준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KR100262405B1 (ko) * 1997-06-27 2000-08-01 김영환 액정 표시 소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4594A (en) * 1991-05-29 1992-09-01 Cyber Scientific Acoustic mouse system
EP1061404A1 (en) 1992-09-18 2000-12-20 Hitachi, Lt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07253575A (ja) * 1994-03-16 1995-10-03 Hitachi Ltd カラー液晶表示装置
US6067066A (en) * 1995-10-09 2000-05-23 Sharp Kabushiki Kaisha Voltage output circuit and image display device
US5745207A (en) 1995-11-30 1998-04-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electric fields parallel to substrates
JP3587449B2 (ja) * 1998-03-03 2004-11-10 シャープ株式会社 微粒子散布方法、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微粒子散布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6531997B1 (en) * 1999-04-30 2003-03-11 E Ink Corporation Methods for addressing electrophoretic displays
JP2001013883A (ja) * 1999-06-30 2001-01-19 Fujitsu Ltd ドライバic実装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使用した平板型表示装置
KR100612995B1 (ko) * 2000-03-13 2006-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767A (ja) * 1996-07-11 1998-01-27 Nec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を搭載した電子機器
JPH10260431A (ja) * 1997-03-21 1998-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JPH112837A (ja) * 1997-06-10 1999-01-06 Nec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KR100262405B1 (ko) * 1997-06-27 2000-08-01 김영환 액정 표시 소자
KR100251655B1 (ko) * 1997-07-31 2000-04-15 구본준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KR19990074686A (ko) * 1998-03-13 1999-10-05 윤종용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
KR19990074855A (ko) * 1998-03-16 1999-10-05 구자홍 복합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397A (ko) 2002-10-19
HK1050244A1 (en) 2003-06-13
JP2002303888A (ja) 2002-10-18
CN1236351C (zh) 2006-01-11
TW546625B (en) 2003-08-11
CN1381758A (zh) 2002-11-27
US6999049B2 (en) 2006-02-14
US20020158826A1 (en) 2002-10-31
JP3774858B2 (ja)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5551B1 (ko) 컬러액정표시소자
EP1398658B1 (en) Color active matrix type vertically aligned mode liquid cri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3831863B2 (ja) 液晶表示装置
US807728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neighboring sub-pixel electrodes with opposite polarities in the same pixel
EP1446697A1 (en) A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JPH08179341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100566385B1 (ko) 액티브 매트릭스형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US7576823B2 (en)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593314B1 (ko) 액정 표시장치
JP3031295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KR100430376B1 (ko) 액정디스플레이
WO2008018235A1 (fr) Substrat tft, panneau d'affichage à cristaux liquides et dispositif d'affichage à cristaux liquides comportant le substrat,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substrat tft
KR20060077870A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US7884910B2 (en)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580383B1 (ko) 광시야각액정표시장치
KR101327300B1 (ko) 어레이 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패널
KR100494701B1 (ko) 프린지 필드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CN108761935B (zh) 阵列基板和液晶显示装置及驱动方法
KR20060078712A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CN111458943B (zh) 视角可切换的液晶显示装置及驱动方法
KR100827461B1 (ko) 크로스 필드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KR20060114561A (ko) 횡전계형 액정 표시 장치
KR100658074B1 (ko) 투과도 및 잔상을 개선한 크로스 필드 스위칭 모드액정표시장치
CN108873415B (zh) 液晶显示装置及驱动方法
KR20030029218A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3